KR20190022208A - 추락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208A
KR20190022208A KR1020170108213A KR20170108213A KR20190022208A KR 20190022208 A KR20190022208 A KR 20190022208A KR 1020170108213 A KR1020170108213 A KR 1020170108213A KR 20170108213 A KR20170108213 A KR 20170108213A KR 20190022208 A KR20190022208 A KR 2019002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gear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node
fixed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722B1 (ko
Inventor
조주현
문만호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프온 filed Critical (주) 세이프온
Priority to KR102017010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7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 시스템{Fall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락 사고는 작업자가 산업현장 중의 고소(高所)에서 작업할 때 작업을 위하여 설치한 발판에서 발을 헛딛거나, 발판이 무너져 추락하는 사고이다.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추락의 위험이 있는 현장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보호장구(예를 들어, 그네식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현장으로 접근한 후,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 예를 들어, 보호장구의 후크를 현장의 프레임 등 고정된 시설에 고정시켜 만약의 경우, 예를 들어 발을 헛딛거나, 발판이 무너져도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그네처럼 프레임에 매달리도록 하여 추락을 면하도록 한다.
보호장구(10)의 하나의 구체예로서 소위 "그네식 보호장구"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호장구(1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11), 연결띠(13)를 통하여 본체(1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12)을 포함하며, 추락방지수단(12)으로서는 후크와 같이 작업 현장의 프레임 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이 사용된다. 도 1에서는 추락방지수단(12)이 본체(11)의 측면에 걸어 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추락의 위험이 있는 현장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장구(10)를 착용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현장에 접근하여 먼저 작업현장의 프레임(F)과 같은 확실히 고정된 시설에 추락방지수단(12)을 고정시켜 만약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보호장구(10)를 착용하고도 부주의 또는 무관심 등에 의해 후크와 같은 추락방지수단(12)의 고정을 망각하여 추락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현장의 빈번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사전 설정된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순간, 자동으로 보호장구에서 알람 경고가 주기적으로 출력을 행하고,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 예를 들어 후크를 상부 또는 주변의 프레임에 장착을 하면 자동으로 알람이 해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지역에서 반드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장착해야만 비로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호장구 역시 작업자가 본인의 의지에 따라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장착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의 작업(고소 작업)인 경우에도 작업자의 망각이나 부주의, 무관심에 의해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상부 또는 주변의 프레임에 장착하지 않고 작업자의 보호장구 내의 주변부에 장착한 채로 작업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사고 예방으로써의 주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추락방지수단을 확실하게 프레임 등에 고정시켜 불의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네식 보호장구"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장구를 위험지역 등에서 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예로, 작업장의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보호장구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알람 출력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프레임 등에 고정된 상태(알람 출력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2 모바일 노드를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제3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알람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경우의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추락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 시, 사전 설정한 추락 위험지역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 주기로 알람 경고를 줌으로써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작업자에 의한 추락방지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알람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전 설정된 위험지역 내에서 작업자가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만 알람 경고를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의 작동을 망각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있는 지 또는 비위험 지역에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2)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이 작동되었는 지의 여부를 인시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위의 조건 1) 및 2)의 기술적 조합을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보호장구(20)와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2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21), 연결띠(23)를 통하여 본체(2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22);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24);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25);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장구(2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21), 연결띠(23)를 통하여 본체(2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22);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24);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25);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앵커 노드(24)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제1 모바일 노드(25)를 고정시킴으로써 일차적으로는 상시적으로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본체(21)로부터 얼마나 이격되어 있는 지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제2 모바일 노드(26)를 설치하여 이차적으로는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노드(24)가 구비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를 중심으로 제1 모바일 노드(25)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영역(①) 및 제2 모바일 노드(26)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②)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영역(①)은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현재의 추락방지수단(22)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2 영역(②)은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위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이동하여 추락 위험 영역 내로 진입하였음에도 추락방지수단(22)이 여전히 보호장구(20)에 근접하게(즉, 제1 영역(①)의 범위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도 3에 도시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 가능성을 인지하도록 하고,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되도록 추락방지수단(22)을 작동시키도록 하여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2 영역(②) 내로 진입하였음에도 여전히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22)을 작동시키지 않아(즉, 제1 모바일 노드가 여전히 제1 영역(①) 이내에 존재하여) 추락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우에만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달리,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이동하여 추락 위험 영역 내로 진입하였더라도, 추락방지수단(22)이 보호장구(20)로 이격되어(즉, 제1 영역(①)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위치되는 경우(도 4에 도시된 경우), 즉, 작업자가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을 본체(21)로부터 이격시켜 프레임(F) 등에 고정시키는 경우, 더 이상의 알람 출력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알람으로 인한 작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호장구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위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TLS: Real Time Locating System)을 응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 이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수동형 및 능동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CSS(Chirp Spread Spectrum), IR-UWB 등의 무선인식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작업자의 위치 좌표를 도출하기 위한 무선 측위 기술로, 이를테면 Cell-ID 기술, AOA(Angle Of Arrival) 기술, TOA(Time Of Arrival) 기술,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술,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n) 기술, TOF(Time Of Flight) 기술, Fingerprint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술 중 특히 TOA(Time Of Arrival) 기술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간에서 전송되는 RF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간 거리를 구하고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정확도 측면에서도 양호하며, 또한 위치추적 범위에서도 비교적 넓은 범위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는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및 제어부 간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무선통신 모듈로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람부는 작업자에게 추락 사고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알람(alarm)을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 알람 수단으로 이를테면, 청각(부저, 사이렌 등), 시각(경광 램프, 비상안내 문자 발송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여, 전원부, 무선 통신부, 알람부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로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2 모바일 노드(26)를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알람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경우의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함에도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도면 중 섬광 표시의 경우), 알람이 발생되고,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된 경우(도면 중 섬광 미표시의 경우), 알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중심으로 보호장구(30)를 포함하는 고정형 검출루프(31)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보호장구(30)를 포함하는 고정형 검출루프(31)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정형 검출루프(3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모바일 노드(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26-1, 26-2, 26-3 및 26-4)를 포함하는 망형 검출루프(41), 보호장구(30)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제2 모바일 노드(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26-1, 26-2, 26-3 및 26-4)를 포함하는 망형 검출루프(41)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망형 검출루프(4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고정루프(51)와 고정루프(51)에 연결되는 앵커 노드(52), 보호장구(30)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고정루프(51)와 고정루프(51)에 연결되는 앵커 노드(52)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정루프(5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보호장구 11: 본체
12: 추락방지수단 13: 연결띠
20: 보호장구 21: 본체
22: 추락방지수단 23: 연결띠
24: 앵커 노드 25: 제1 모바일 노드
26: 제2 모바일 노드
26-1, 26-2, 26-3, 26-4: 제2 모바일 노드
①: 제1 영역 ②: 제2 영역
③: 제3 영역
30: 보호장구 31: 고정형 검출루프
41: 망형 검출루프 51: 고정루프
52: 앵커 노드
F: 프레임

Claims (4)

  1.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2.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중심으로 보호장구를 포함하는 고정형 검출루프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3.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는 망형 검출루프,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4.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고정루프와 고정루프에 연결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KR1020170108213A 2017-08-25 2017-08-25 추락방지 시스템 KR10240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213A KR102400722B1 (ko) 2017-08-25 2017-08-25 추락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213A KR102400722B1 (ko) 2017-08-25 2017-08-25 추락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08A true KR20190022208A (ko) 2019-03-06
KR102400722B1 KR102400722B1 (ko) 2022-05-24

Family

ID=6576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213A KR102400722B1 (ko) 2017-08-25 2017-08-25 추락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88B1 (ko) * 2020-05-28 2021-04-09 (주) 세일시스 스마트 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솔루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84A (ko) * 2009-10-19 2011-04-27 주식회사코어벨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험 지역 감시 시스템
KR20130066775A (ko) * 2011-12-13 2013-06-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ms 센서를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위치 및 안전 정보 추적 시스템
KR20140002303A (ko) * 2012-06-29 2014-0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84A (ko) * 2009-10-19 2011-04-27 주식회사코어벨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험 지역 감시 시스템
KR20130066775A (ko) * 2011-12-13 2013-06-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ms 센서를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위치 및 안전 정보 추적 시스템
KR20140002303A (ko) * 2012-06-29 2014-0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88B1 (ko) * 2020-05-28 2021-04-09 (주) 세일시스 스마트 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솔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722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9056B2 (en) Distributed network of communicatively coupled noise monitoring and mapping devices
US9836941B2 (en) Heavy equipment proximity alert system
KR20180037209A (ko) 개인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프로세스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JP4785031B2 (ja) 鉄道用作業区間防護システム、そのための列車用搭載装置及び作業員用携帯装置
JP2018531443A6 (ja) 個人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プロセスの自動化
JP2009165517A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KR20130066775A (ko) Mems 센서를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위치 및 안전 정보 추적 시스템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101385A (ko)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101670306B1 (ko)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11538323B2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164A (ko) 안전고리 체결지역여부 및 체결여부 판단장치
KR102057239B1 (ko) 추락방지 시스템
KR20190022208A (ko) 추락방지 시스템
KR20090089142A (ko)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64508B1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48809B1 (ko)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30119159A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