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730A - 안전유도형 하네스 - Google Patents

안전유도형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730A
KR20190092730A KR1020180011826A KR20180011826A KR20190092730A KR 20190092730 A KR20190092730 A KR 20190092730A KR 1020180011826 A KR1020180011826 A KR 1020180011826A KR 20180011826 A KR20180011826 A KR 20180011826A KR 20190092730 A KR20190092730 A KR 2019009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uckle
belt
coupl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순
황경섭
배준모
Original Assignee
신한순
배준모
황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순, 배준모, 황경섭 filed Critical 신한순
Priority to KR102018001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730A/ko
Publication of KR2019009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1) 배면(back)에서 교차되어 어깨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110)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장착되는 환형상의 한 쌍의 대퇴부벨트(120) 및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허리벨트(130)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는 사용자의 인체(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벨트수단(100)과;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시 상기 숫버클의 중앙단(141)에 의해 스프링력으로 상기 암버클의 내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감지 이동체(210)와,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에 연결된 와이어(220)가 각각 구비된 결합감지수단(200)과; 상기 어깨밸트(110)의 배면 교차점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고정지지대에 결합되는 죔줄(1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죔줄결합홀(321)이 형성되되,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 마련된 숫버클 및 암버클 전부가 결합된 상태에만 상기 죔줄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에 고정 설치된 고정체(3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되도록 스프링력으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고정체로부터 돌출될 경우 관통 형성된 상기 죔줄결합홀(321)이 노출되는 죔줄결합 이동체(320)와, 상기 각각의 숫버클 및 암버클 중에서 어느하나라도 미결합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체에 수용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의 힌지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을 경유한 상기 와이어 각각의 타측과 결합되고, 스프링력으로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 단속부재(330)가 각각 구비된 죔줄결합수단(300)과; 상기 와이어(220) 각각이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의 결합감지 이동체(210)로부터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단속부재(330)까지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의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안전벨트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도르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유도형 하네스{Harness for safety}
본 발명은 안전유도형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에 구비된 복수의 버클의 결합여부에 따라 고정지지대에 결합된 죔줄과의 결합을 단속 또는 가능하도록 하고, LED 점멸동작 및 경고음 출력으로 버클의 미결합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한 안전유도형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예기치 못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장치들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경우 추락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 등과 같은 고정지지대에 죔줄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단으로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혹은 안전대)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유도형 하네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어깨와 허리, 사타구니 등으로 결속하는 벨트부재(2)를 상호 결속토록 하고, 상기 벨트부재에 설치된 고리 등의 연결수단(4)을 통해 고정지지대에 연결된 죔줄(5)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벨트부재(2)는 작업자의 인체로부터 탈착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통상적으로 복수의 숫버클 및 암버클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는 죔줄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으로 대부분 고리가 사용됨에 따라 숫버클 및 암버클의 결합여부와 상관없이 죔줄을 고리에 연결시킨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고의적, 부주의 또는 버클의 파손으로 인하여 숫버클 및 암버클이 미결합된 상태로 빈번히 작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죔줄을 결합하더라도 작업자가 고층에서 실족할 경우 버클의 미결합으로 작업자의 인체로부터 안전유도형 하네스가 벗겨지거나 불균형적으로 작업자의 인체가 조여짐에 따라 추락사 또는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전 작업자와 관리자 간의 안전유도형 하네스의 올바른 착용 및 점검에 관하여는 눈대중이나 형식적인 보고로 이뤄짐에 따라 안전유도형 하네스의 올바른 착용을 장치적으로 유도하고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에 구비된 복수의 버클의 결합여부에 따라 고정지지대에 결합된 죔줄과의 결합을 단속 또는 가능하도록 하고, LED 점멸동작 및 경고음 출력으로 버클의 미결합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버클 미결합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유도형 하네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인체(1) 배면(back)에서 교차되어 어깨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110)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장착되는 환형상의 한 쌍의 대퇴부벨트(120) 및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허리벨트(130)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는 사용자의 인체(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벨트수단(100)과;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시 상기 숫버클의 중앙단(141)에 의해 스프링력으로 상기 암버클의 내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감지 이동체(210)와,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에 연결된 와이어(220)가 각각 구비된 결합감지수단(200)과; 상기 어깨밸트(110)의 배면 교차점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고정지지대에 결합되는 죔줄(1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죔줄결합홀(321)이 형성되되,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 마련된 숫버클 및 암버클 전부가 결합된 상태에만 상기 죔줄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에 고정 설치된 고정체(3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되도록 스프링력으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고정체로부터 돌출될 경우 관통 형성된 상기 죔줄결합홀(321)이 노출되는 죔줄결합 이동체(320)와, 상기 각각의 숫버클 및 암버클 중에서 어느하나라도 미결합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체에 수용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의 힌지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을 경유한 상기 와이어 각각의 타측과 결합되고, 스프링력으로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 단속부재(330)가 각각 구비된 죔줄결합수단(300)과; 상기 와이어(220) 각각이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의 결합감지 이동체(210)로부터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단속부재(330)까지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의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안전벨트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도르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은,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을 갖는 안전모(18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과 상기 안전모를 연결벨트(190)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상기 안전모(180)는, 상기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죔줄결합홀(321)의 사용을 단속 또는 해제시키도록 상기 턱끈용 암버클에 상기 결합감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된 결합감지센서(500)와;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된 LED점멸수단(600)과;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된 경고음출력수단(700)과; 상기 결합감지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상기 LED점멸수단(600)은 점멸동작시키고, 상기 경고음출력수단(700)은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아두이노(Arduino,800)와;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9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공급을 ON/OFF 시키는 사용자조작부(1000)와; GPS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GPS(1100)와;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의 정보와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의 정보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전송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선통신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는, 안전벨트에 구비된 복수의 버클의 결합여부에 따라 고정지지대에 결합된 죔줄과의 결합을 단속 또는 가능하도록 하고, LED 점멸동작 및 경고음 출력으로 버클의 미결합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버클 미결합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가) 및 (나)는 도 2의 실시예 중 안전벨트수단의 숫버클 및 암버클의 분리상태 및 연결상태에 따른 결합감지수단의 동작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암버클에 결합감지센서 및 LED점멸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7은 도 3의 실시예의 죔줄결합수단에 구비된 죔줄결합 이동체가 잠금부재에 의해 힌지 회전이 단속되거나 해제되어 죔줄과 결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 및 7의 실시예 중 와이어 및 잠금부재 간의 결합관계가 보이도록 고정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의 실시예 중 가이드 도르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2 및 3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아두이노 및 이와 연계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도 2 및 3의 실시예의 안전벨트수단이 안전모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수단(100), 결합감지수단(200), 죔줄결합수단(300) 및 가이드 도르래(400)를 포함하면서 결합감지센서(500), LED점멸수단(600), 경고음출력수단(700), 아두이노(Arduino,800), 전원공급수단(900), 사용자조작부(1000), GPS(1100) 및 무선통신부(1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전벨트수단(100)은 도 2, 3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체(1) 배면(back)에서 교차되어 어깨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110)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장착되는 환형상의 한 쌍의 대퇴부벨트(120) 및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허리벨트(130)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는 사용자의 인체(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은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신체의 각 부분으로 분산시켜 부상을 막고 안전을 도모하는 하네스형(Harness type) 안전벨트로서, 상기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은, 상기 숫버클(140)의 중앙단(141) 및 좌우단(142)이 상기 암버클(150)의 결합홀(151)에 삽입되되, 상기 좌우단(142)이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홀(15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을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이다.
또한, 상기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및 허리벨트(130) 각각에는 사용자의 인체와 맞닿는 면에는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쿠션부재가 결합되고, 사용자의 인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반대면에는 주야에 상관없이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광색의 반사시트(105)가 결합되며, 상기 반사시트에는 후술할 결합감지수단(200)의 와이어(220)가 수용되는 와이어수용관(160)이 결합된다.
결합감지수단(200)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시 상기 숫버클의 중앙단(141)에 의해 스프링력으로 상기 암버클의 내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감지 이동체(210)와,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에 연결된 와이어(22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및 허리벨트(130) 각각에 설치된 암버클 전부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버클(140)이 미결합된 상태에는 스프링수용체(212)에 수용된 이동체지지스프링(211)에 의해 상기 암버클(150)의 결합홀(151)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숫버클(140)이 결합될 경우 상기 숫버클(140)의 중앙단(141)과 접촉되면서 푸쉬(push) 동작에 의해 상기 암버클(150)의 결합홀(151) 내부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와이어(220)는 일측이 상기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21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210)가 후방으로 이동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숫버클(140)을 상기 암버클(150)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이동체지지스프링(211)의 스프링력으로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210)는 상기 암버클(150)의 후방에서 원위치인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20)의 타측은 후술할 죔줄결합수단(300)의 단속부재(330)에 연결되어 당김동작에 따라 단속된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죔줄결합 이동체(320)의 힌지 동작을 해제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동작과정은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죔줄결합수단(300)은 도 3, 6,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밸트(110)의 배면 교차점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고정지지대에 결합되는 죔줄(1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죔줄결합홀(321)이 형성되되,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 마련된 숫버클 및 암버클 전부가 결합된 상태에만 상기 죔줄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에 고정 설치된 고정체(3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되도록 스프링력으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고정체로부터 돌출될 경우 관통 형성된 상기 죔줄결합홀(321)이 노출되는 죔줄결합 이동체(320)와, 상기 각각의 숫버클 및 암버클 중에서 어느하나라도 미결합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체에 수용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의 힌지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을 경유한 상기 와이어 각각의 타측과 결합되고, 스프링력으로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 단속부재(33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부재(330)는 인출동작시 상기 고정체(310)에 수용된 죔줄결합 이동체(32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의 힌지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는 고정체(310)로부터 힌지 회전하되, 힌지 회전축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스프링력으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가 상기 고정체(310)의 이동체수용홈(3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가 상기 고정체(310)의 이동체수용홈(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단속부재(330)가 인출동작되면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는 상기 단속부재(330)에 의해 힌지 회전이 단속되고,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의 결합의 따른 상기 와이어(220)의 당김동작에 따라 상기 단속부재(330)가 인입동작되면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는 비틀림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힌지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체(310)의 이동체수용홈(311)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부재(30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310)의 외측에서 이동체수용홈(311)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단속부재수용홀(312)에 스프링력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상기 단속부재수용홀(312)에는 단속부재지지스프링(331)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220)의 타측과 연결된 단속부재(300)는 상기 와이어(220)의 당김동작에만 상기 단속부재수용홀(312)로 인입동작하고 외력이 없을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및 허리벨트(130) 각각에 설치된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 전부가 결합되어야만 상기 단속부재(330)가 모두 인입동작하면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가 단속해제되고, 힌지 회전으로 죔줄결합홀(321)이 노출되면서 죔줄(10)의 훅(11)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320)의 단속 및 단속해제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버클의 결합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가이드 도르래(400)는 도 3, 4, 5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20) 각각이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의 결합감지 이동체(210)로부터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단속부재(330)까지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의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안전벨트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수단이다. 즉, 상기 암버클(150)와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또는 허리벨트(130) 간의 연결부분 및 각각의 벨트 간의 연결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을 갖는 안전모(18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과 상기 안전모를 연결벨트(190)를 매개로 연결시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안전모(180)는 상기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죔줄결합홀(321)의 사용을 단속 또는 해제시키도록 상기 턱끈용 암버클에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클을 통한 상기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및 허리벨트(130)의 연결과 함께 안전모(180)의 턱끈도 모두 연결된 경우에만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죔줄결합홀(321)에 죔줄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클 전부를 체결하는 습관과 함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더욱 높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는 버클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동작에 따라 경고음 및 LED점멸동작의 출력을 제어하고, 버클의 결합상태 정보 및 현재위치 정보를 무선통신에 의해 사용자 및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전송할 수 있도록 결합감지센서(500), LED점멸수단(600), 경고음출력수단(700), 아두이노(Arduino,800), 전원공급수단(900), 사용자조작부(1000), GPS(1100) 및 무선통신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감지센서(500)는 도 5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된다. 여기서, 결합감지센서(500)는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의 결합감지 이동체(210)가 상기 암버클(1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 충격센서, 근접센서 또는 리드센서(Reed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LED점멸수단(600)은 도 5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되되, 식별이 용이하도록 암버클(15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감지센서(500) 및 LED점멸수단(600)은 후술할 아두이노(Arduino,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어깨벨트(110), 대퇴부벨트(120) 및 허리벨트(130) 각각에 결합된 반사시트(105) 내부에 전선(510)이 연결될 수 있다.
경고음출력수단(700)은 도 6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된다.
아두이노(Arduino,800)는 도 6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감지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상기 LED점멸수단(600)은 점멸동작시키고, 상기 경고음출력수단(700)은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여기서, 아두이노(Arduino)란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와 관련 개발 도구 및 환경을 말한다.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중의 하나로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 통합 개발 환경(IDE)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실행코드 업로드도 제공하고 어도비 플래시, 프로세싱, Max/MSP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연동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가장 큰 장점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아두이노는 컴파일 된 펌웨어를 USB를 통해 쉽게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윈도를 비롯해 맥 OS X, 리눅스와 같은 여러 OS를 모두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감지센서(500)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LED점멸수단(600)의 점멸동작 및 상기 경고음출력수단(700)의 경고음 출력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진다. 예컨대, 상기 LED점멸수단(600)은 미결합상태의 암버클에 설치된 것만 점멸동작하고, 상기 경고음출력수단(700)은 복수의 암버클 중에서 어느하나라도 미결합상태일 경우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900)은 도 6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되고,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조작부(10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공급을 ON/OFF 시키는 수단으로 전원버튼이 포함된다.
GPS(1100)는 도 6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다.
무선통신부(1200)는 도 6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의 정보와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의 정보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폰(1300)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전송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선통신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적외선통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300)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관리자의 작업자 관리가 용이하도록 작업자 즉, 사용자별로 식별ID를 부여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도형 하네스는, 안전벨트에 구비된 복수의 버클의 결합여부에 따라 고정지지대에 결합된 죔줄과의 결합을 단속 또는 가능하도록 하고, LED 점멸동작 및 경고음 출력으로 버클의 미결합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버클 미결합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무선통신하면서 작업자의 현재위치 및 버클의 결합상태 정보를 작업자 자신과 함께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안전벨트수단 110 : 어깨벨트
120 : 대퇴부벨트 130 : 허리벨트
140 : 숫버클 150 : 암버클
160 : 와이어수용관 180 : 안전모
190 : 연결벨트 200 : 결합감지수단
210 : 결합감지 이동체 220 : 와이어
300 : 죔줄결합수단 310 : 고정체
320 : 죔줄결합 이동체 330 : 단속부재
400 : 가이드 도르래 500 : 결합감지센서
600 : LED점멸수단 700 : 경고음출력수단
800 : 아두이노 900 : 전원공급수단
1000 : 사용자조작부 1100 : GPS
1200 : 무선통신부

Claims (3)

  1. 사용자의 인체(1) 배면(back)에서 교차되어 어깨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110)와, 사용자의 대퇴부 양측에 장착되는 환형상의 한 쌍의 대퇴부벨트(120) 및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허리벨트(130)가 구비되고,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는 사용자의 인체(1)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숫버클(140) 및 암버클(150)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벨트수단(100)과;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시 상기 숫버클의 중앙단(141)에 의해 스프링력으로 상기 암버클의 내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합감지 이동체(210)와,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일측이 상기 결합감지 이동체에 연결된 와이어(220)가 각각 구비된 결합감지수단(200)과;
    상기 어깨밸트(110)의 배면 교차점에 설치되면서 일측이 고정지지대에 결합되는 죔줄(1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죔줄결합홀(321)이 형성되되, 상기 어깨벨트, 대퇴부벨트 및 허리벨트 각각에 마련된 숫버클 및 암버클 전부가 결합된 상태에만 상기 죔줄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에 고정 설치된 고정체(3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용되도록 스프링력으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고정체로부터 돌출될 경우 관통 형성된 상기 죔줄결합홀(321)이 노출되는 죔줄결합 이동체(320)와, 상기 각각의 숫버클 및 암버클 중에서 어느하나라도 미결합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체에 수용된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의 힌지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을 경유한 상기 와이어 각각의 타측과 결합되고, 스프링력으로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기 죔줄결합 이동체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 단속부재(330)가 각각 구비된 죔줄결합수단(300)과;
    상기 와이어(220) 각각이 상기 결합감지수단(200)의 결합감지 이동체(210)로부터 상기 죔줄결합수단(300)의 단속부재(330)까지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의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안전벨트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도르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은,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을 갖는 안전모(18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어깨밸트의 배면 교차점과 상기 안전모를 연결벨트(190)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상기 안전모(180)는,
    상기 턱끈용 숫버클(181) 및 암버클(182)의 결합상태에 따라 상기 죔줄결합홀(321)의 사용을 단속 또는 해제시키도록 상기 턱끈용 암버클에 상기 결합감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버클(140)이 상기 암버클(150)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된 결합감지센서(500)와;
    상기 안전벨트수단(100)에 설치된 LED점멸수단(600)과;
    상기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된 경고음출력수단(700)과;
    상기 결합감지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310)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상기 LED점멸수단(600)은 점멸동작시키고, 상기 경고음출력수단(700)은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아두이노(Arduino,800)와;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9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감지센서, 경고음출력수단 및 아두이노에 전원공급을 ON/OFF 시키는 사용자조작부(1000)와;
    GPS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GPS(1100)와;
    상기 결합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숫버클 및 암버클의 미결합된 상태의 정보와 상기 GPS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의 정보를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전송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선통신하고, 상기 죔줄결합수단의 고정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1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형 하네스.
KR1020180011826A 2018-01-31 2018-01-31 안전유도형 하네스 KR20190092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26A KR20190092730A (ko) 2018-01-31 2018-01-31 안전유도형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26A KR20190092730A (ko) 2018-01-31 2018-01-31 안전유도형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30A true KR20190092730A (ko) 2019-08-08

Family

ID=6761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826A KR20190092730A (ko) 2018-01-31 2018-01-31 안전유도형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827A (zh) * 2020-12-22 2021-04-27 无锡扬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作业安全智能防护系统
KR20210117888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버클 체결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888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버클 체결 감지 장치
CN112704827A (zh) * 2020-12-22 2021-04-27 无锡扬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作业安全智能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401B2 (en) Safety belt and system for checking a usage status of the safety belt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WO2018104804A1 (zh)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KR101398030B1 (ko) 하네스형 안전대
JP7122780B2 (ja) 安全帯用発報装置
US11266862B2 (en) Self-retracting lanyard with fall protection harness tracker
JP2018502998A (ja) 安全衣類、安全システム、目防護装置、及び、安全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
JP5147636B2 (ja) 安全帯および安全帯の装着確認システム
EP2459027B1 (en) Lanyard and personal emergency transmitter system
KR20190092730A (ko) 안전유도형 하네스
CN106875650B (zh) 安全装置及工具
KR20190037902A (ko)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JP6298359B2 (ja) 発光装置を備えた安全帯
CN109078281B (zh) 一种可以检查人员是否穿戴标准的智能安全带
CN109791720B (zh) 可穿戴设备及包括其的监控系统
KR101790469B1 (ko) 개선된 우산
WO2020145362A1 (ja) 身体保護具装着検出装置
KR102057239B1 (ko) 추락방지 시스템
JP2006187502A (ja) 緩降機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CN112023290A (zh) 一种智能安全带
KR20210009050A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및 이를 가진 안전모
JP2021068116A (ja) 高所作業現場用警報システム
KR20130123774A (ko) 안전 보조 시스템
CN211325005U (zh) 具有报警的安全佩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