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60B1 -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 Google Patents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60B1
KR101112760B1 KR1020090058258A KR20090058258A KR101112760B1 KR 101112760 B1 KR101112760 B1 KR 101112760B1 KR 1020090058258 A KR1020090058258 A KR 1020090058258A KR 20090058258 A KR20090058258 A KR 20090058258A KR 101112760 B1 KR101112760 B1 KR 10111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tag
hazard
rfid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27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산업현장에서 위험요소에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경고태그를 읽어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경고를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스피커와 감지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감지장치는, 위험요소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이는 태그 수신부와, 상기 태그 수신부가 위험요소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인 위험요소 경고 태그의 내용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의해, 산업안전 표지판의 위험경고를 소리 또는 골전도로 알려줌으로써, 주변환경과 혼돈됨이 없이 근로자에게 위험경고를 명확하게 통고하여 안전재해를 줄일 수 있다.
RFID, 골전도, 안전모, 스피커, 위험요소

Description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 A safety helmet warning dangerous elements by sensing RFID tags }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위험요소에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경고태그를 읽어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를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위험요소에는 수동적 태그로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안전모에 장착한 감지장치에서 능동적으로 경고태그를 읽어 인식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위험요소의 경고를 인지하여 골전도 스피커로 경고를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안전 표지판은 위험요소에 접근하면 이를 미리 알려 주어 근로자가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심적 준비상태를 만들어 위험 요소를 회피하도록 하는 알림판이다.
산업현장에는 기계, 기구, 설비에 의한 위험요소, 전기에 의한 감전 위험요소, 화재 폭발의 위험요소, 붕괴 및 낙하물의 위험요소, 유해한 물질에 의한 위험요소 등이 상시 존재한다. 즉, 산업현장에서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위험요소는 추락, 전도, 충돌, 낙하 비래, 붕괴 도괴, 협착, 감전, 폭발, 파열, 화재, 무리한 동작이 있다.
이러한 위험요소에 의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요소에 따른 금지, 경고, 지시, 안내 등을 표시하는 산업안전 표지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은 산업안전 표지판을 통해, 근로자에게 위험요소를 알리고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등 사전에 사고발생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산업안전 표지판은 시각적으로만 위험요소를 경고하므로, 근로자가 주변환경과 혼돈되어 잘 알아보기 어렵거나, 집중력을 잃어 무시하는 경우 등이 자주 발생한다. 또, 근로자가 표지판을 자주 접하다 보면, 위험에 대한 경고에 무감각해져 위험요소에 대한 경계심을 잃을 수 있다.
한편, 시각적인 안내표지를 대신하여, 안내표지를 RF신호에 의해 무선으로 접근자에게 알려주는 기술들이 RFID 태그를 이용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근로자가 위험요소에 접근하면 근로자에게 강력하게 경고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위험요소에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경고태그를 읽어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를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요소의 경고를 인지하여 골전도 스피커로 경고를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스피커와 감지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감지장치는, 위험요소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이는 태그 수신부와, 상기 태그 수신부가 위험요소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인 위험요소 경고 태그의 내용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일반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과 연결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안전모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 고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경고 태그의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경고식별정보와 상기 경고식별정보에 따른 경고 멘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요소 경고 태그에 포함된 경고식별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경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경고 멘트를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와 경고 태그의 내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요소 경고태그에 포함된 위험등급을 인식하여, 인식된 위험등급에 해당하는 출력횟수 또는 출력크기로 상기 경고 멘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의 감지장치에서 읽혀지는 위험요소 경고 RFID 태그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에서 안전표지 태그를 언제나 읽어 알려줌으로써, 익숙해지거나 주의력이 산만한 경우라 하더라도 항상 강력한 경고를 통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에 의하면, 산업안전 표지판의 위험경고를 골전도로 알려줌으로써, 소음이 많은 환경이나 소음으로 인해 귀마개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근로자에게 위험경고를 명확하게 통고할 수 있는 효과 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RFID 위험요소 경고 태그 및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를 실시하는 일례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위험요소(12) 또는 그 근처에는 위험요소 경고태그(이하 경고 태그)(20)가 부착되고, 근로자(11)는 감지장치(40)가 장착된 안전모(30)를 착용한다.
위험요소(12)는 산업현장에서 화재, 붕괴, 감전,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기계, 기구, 설비, 장소 등을 말한다. 경고 태그(20)는 위험요소(12)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위험요소(12)가 존재하는 근처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경고 태그(20)는 무전원으로 작동되는 무선 태그로 구성되어, 위험 신호를 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경고 태그(20)는 수동형 RFID 태그이다.
경고 태그(20)가 독립적인 전원으로 지속적인 신호를 발신하는 형태의 태그이면, 사용되는 배터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고 태그(20)는 전원의 사용없이 태그 수신부(또는 RFID 리더기) 가 접근하면 신호를 동조하여 발생하는 수동형 RFID 태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업현장에는 많은 위험요소가 존재하며 각 위험요소별로 여러 장소에 태그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가격도 부담이 없는 수동형 RFID가 유리하다.
한편, 경고 태그(20)는 위험요소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즉, 태그 수신부(또는 RF태그 리더기)에서 경고태그(20)를 읽어 들이는 내용을 말한다. 경고 태그의 내용은 경고 멘트 또는 경고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경고 멘트는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 문구를 말하고, 경고식별정보는 경고 멘트를 식별하기 위한 ID 등의 정보를 말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화물 조심”은 경고 멘트이고, “낙화물 조심”의 경고식별정보는 “001”이다. 경고식별정보는 각 경고 멘트들에 대하여 코드화한 ID 등이다.
경고 멘트를 경고 태그(20)에 직접 기록하면 용량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고 태그(20)의 용량이 늘어나고 그만큼 가격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록하는 양이 소량으로 정해진 경고식별정보를 이용하면, 경고 태그(20)는 적은 용량으로도 많은 경고 멘트를 담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고 태그(20)는 경고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참고로, 이런 경우, 태그 수신부 또는 RF리더기는 경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경고멘트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경고식별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경고멘트를 찾아 출력한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고 태그(20)는 위험등급을 포함하여 기록된다. 위험등급은 위험요소(12)의 위험 수준을 의미한다. 도 3과 같이, 위험등급은 1이 가장 높고, 숫자가 클수록 위험 수준이 낮다. 따라서 도 3에서, “001”, “003”, “101”의 경고식별정보가 가장 높고, 각각의 경고멘트는 “낙하물 조심”, “감전주의”, “접금금지”를 의미한다.
한편, 근로자(11)는 감지장치(40)가 장착된 안전모(30)를 착용한다. 감지장치(40)는 경고 태그(20)에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여, 이 신호에 의해 경고 태그(20)에서 발생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지장치(40)는 근로자(11) 주변에 위치하는 경고 태그(20)에 기록된 내용을 수신한다.
감지장치(40)는 경고 태그(20)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수신부(41)를 포함한다. 태그수신부(41)는 RFID 리더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안전모의 외부 사시도, 내부 사시도, 저면도이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30)는 그 내부의 내주면(31)에 쿠션부재(32) 및 완충용 벨트(33)와, 머릿결속용 밴드(34)가 마련된 통상의 안전모이다.
도 4b와 같이, 상기 안전모(30)는 내주면(31)의 일측에 고정한 골전도 스피커(35)와 안전모(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장치(40)로 구성된다.
골전도 스피커(35)는 골전도에 의해 음파를 전달하는 방식의 스피커이다. 골전도란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이(內耳)에 전달되는 현상으로서, 두개골에서 직접 내이(內耳)로 들어오는 경우의 순수골전도와, 두개골이 3개의 이소골(耳 小骨)에 전하고, 이어서 내이(內耳)에 전달되는 골고실전도(骨鼓室傳導)가 있다. 골전도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전도 스피커(35)는 상기 안전모(30)의 머릿결속용 밴드(34)에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머릿결속용 밴드(34)에서 턱결속용 밴드(미도시)로 이어지는 부분에 골전도 스피커(35)가 장착된다.
골전도 스피커(35)는 귀의 앞쪽에 관자놀이 부근에 접촉될 때 음파를 가장 잘 전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골전도 스피커(35)와 병행하여, 일반 스피커(36)도 장착된다. 일반 스피커(36)도 귀가 있는 위치 또는 그 근처의 안전모 내주면(31)에 부착한다.
감지장치(40)는 경고태그(20)를 읽어 들이고, 경고태그(20)의 내용에 따라 경고 멘트를 상기 골전도 스피커(35)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이다. 일반 스피커(36)가 작동하는 경우, 감지장치(40)는 일반 스피커(36)를 통해 소리로써 경고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장치(40)는 안전모(3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장치(40)는 경고태그(20)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모(30)의 내주면(31) 안에 장착되는 것보다 안전모(30) 밖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감지장치(40)는 충전부(4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37,38)를 더 구비한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단자(37,38)는 안전모(30)의 외부 뒤편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단자(37,38)는 안전모(30)의 뒤편 바깥쪽에 구비되는 제1 충전단자(37)와 안전모(30)의 뒤편 안쪽에 구비되는 제2 충전단자(38)로 구비된다. 충전단자는 제1 충전단자(37) 또는 제2 충전단자(38)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충전단자(37)는 충전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 홈으로 구비되는 충전단자이다. 제1 충전단자(37)는 사용자가 충전 커넥터를 직접 꽂아야 한다.
이에 반해, 제2 충전단자(38)는 걸이형 충전거치대(또는 충전거치대)(50)에 안전모(30)를 걸으면 자동으로 충전거치대(50)의 접속단자(51)와 결합되어 충전되는 단자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이형 충전거치대(50)는 안전모(30)을 걸을 수 있는 걸이형으로 제작된다. 충전거치대(50)는 벽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52)와 고리형의 걸림고리(53)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고리(53)는 중간 상측에 접속단자(51)가 구비된다. 접속단자(51)는 양 극으로 형성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로서 기능한다. 충전거치대(50)의 전원 공급 회로는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충전거치대(50)에 안전모(30)를 거치하는 일례가 도 6에 도시되고 있다.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안전모(30)의 뒤쪽을 충전거치대(50)의 걸림고리(53)에 걸으면, 안전모(30)의 제2 충전단자(38)와 충전거치대(50)의 접속단자(51)가 닿게 되어 충전된다. 특히, 안전모(30)의 무게에 의하여 접속단자(51)와 제2 충전단자(38)은 서로 잘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접속단자(51)와 제2 충전단자(38)가 서로 맞추어 닿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충전단자(38)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2 충전단자(38)의 돌출 형태에 대응되도록 충전거치대(50)의 접속단자(51) 부분이 주위에 비해 안쪽으로 들어가 넓은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넓은 홈 부분과 제2 충전단자(38)의 돌출 형상과 요철로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30)의 감지장치(40)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장치(40)는 태그수신부(41), 음성출력부(42), 제어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충전부(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5)를 포함한다.
태그수신부(41)는 위험요소 경고 태그(20)를 읽어 들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RFID 태그 수신부(또는 RFID 리더기)이다. 태그수신부(41)는 안테나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가 경고 태그(20)에 전달된다. 안테나 신호를 수신한 경고 태그(20)는 내부 회로에 의해 태그 정보를 송신하고, 태그수신부(41)는 이 태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경고 태그(20)를 읽어 들이게 된다.
태그수신부(41)는 주파수 대역별 통신의 특성을 감안하여 중거리(2~3m) 정도의 거리를 원활하게 통신 가능하며 저가이면서도 고성능 특성을 가져야 한다. 따 라서 태그수신부(41)는 U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태그수신부(41)는 주파수 대역이 UHF 영역인 RFI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수신부(41)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작은 수신부의 신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일정한 수신 감도를 가질 수 있는 크기와 재질로 구성된다. 실제 적용하기에는 집중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안전모(30)에 넓은 면적으로 안테나의 사용 범위를 확대하면 좋은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넓게 분포되어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용 안테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출력부(42)는 출력하려는 음성을 상기 골전도 스피커(35) 또는 일반 스피커(36)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출력부(42)는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회로 등을 구비한다.
음성출력부(42)는 오디오 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42)는 미리 약속된 위험 신호에 해당되는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 칩은 우선 각 위험 신호에 대해 각기 다른 경고 멘트를 칩에서 녹음하여 메모리(45)에 저장하고, 제어부(44)의 명령에 의하여 약속된 경고멘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도 오디오 칩 회로 내에 포함된다. 경고멘트의 녹음은 전문가에 의한 음성 녹음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직접 음성을 녹음할 수 있게 하여, 가족 등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사람의 음성을 녹음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제어부(44)는 태그 수신부(41)가 위험요소 경고 태그(20)를 읽어 들이면, 상기 경고 태그(20)의 내용을 상기 골전도 스피커(35) 또는 일반 스피커(36)로 출력 한다. 이때, 제어부(44)는 음성출력부(42)를 제어함으로써 스피커(35,36)로 음성을 출력한다.
제어부(44)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ASIC(주문형 반도체) 등으로 구현되어, 중앙제어 및 연산을 처리한다. 또, 제어부(44)는 다른 구성요소가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4)는 배터리 SOC 저하 신호를 발생하고, 작동 모드를 분리하고 타이머(Timer)를 활용하여 동력절약 모드를 수행하거나, 고장 진단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44)는 경고 횟수만큼 반복하여 경고태그(20)의 내용을 출력한다. 경고 횟수는 2-3회 등 내용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44)는 일률적으로 정해진 경고 횟수만큼 골전도 스피커(35) 또는 일반 스피커(36)로 경고태그의 내용을 출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고 태그(20)에 기록된 내용은 경고식별정보와 위험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45)는 경고식별정보와 상기 경고식별정보에 따른 경고 멘트를 저장한다.
그리고 태그수신부(41)가 상기 경고 태그(20)를 읽어 들이면, 제어부(44)는 상기 경고 태그(20)에 포함된 경고식별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경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경고 멘트를 상기 메모리(45)에서 읽어와 경고 태그의 내용으로 출력한다.
도 3의 예에서, 경고식별정보가 “101”이면, 제어부(44)는 “101”에 해당하는 경고 멘트인 “접근 금지”를 메모리(45)로부터 읽어와서 “접근 금지”라는 경고 멘트를 골전도 스피커(35) 또는 일반 스피커(36)로 출력한다.
경고멘트는 보다 구어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근 금지”는 “이 지역은 폭발물질을 보관하는 곳이므로, 절대 접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등의 구체적인 경고멘트로 표시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 제어부(44)는 상기 위험요소 경고태그에 포함된 위험등급을 인식하여, 인식된 위험등급에 해당하는 출력횟수 또는 출력크기로 상기 경고 멘트를 출력한다. 도 3의 예에서, 위험등급이 1인 경고 멘트는 “낙하물 조심”, “감전주의”, “접근금지” 등이다. 이들 경고멘트는 위험등급이 1이므로, 이들 경고 멘트는 5번을 반복하거나 음량의 크기를 보다 크게 출력한다. 위험등급이 2이면, 반복횟수를 3번으로 줄이거나 음량의 크기를 위험등급 1보다 작게 한다.
또한, 감지장치(40)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부(43)와,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과 연결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38)는 상기 안전모(30)의 후면에 형성시킨다.
일례로, 충전지는 독립 동력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로서, 리튬-폴리머(Li-Polimer)를 사용한다. 이로써, 충전지의 사용시간을 길게 하면서 경량화를 할 수 있다. 또, 사용되는 배터리의 SOC(Stae Of Charge)가 감소하여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전압 경고장치를 부착한다. 즉, 충전지는 일정 전압 이하로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저전압 경고장치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안전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장치(40)는 하나의 작동 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작동 보드에는 다양한 작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전원 ON/OFF 스위치, 음량 조절 스위치가 설계되며 이 설계들을 바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작동보드는 안전모(30)에 고정한다.
RFID 리더기와 메인 제어보드는 크기가 안전모 내에 위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두 부분을 같은 보드로 제작하고 RFID 리더기와 메인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통신 변환기도 같은 보드에 회로화 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이로써, 더 축소된 보드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위험요소에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경고태그를 읽어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를 해주는 안전모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산업현장의 위험요소에는 수동적 태그로 경고태그를 부착하고, 안전모에 장착한 감지장치에서 능동적으로 경고태그를 읽어 인식하는 안전모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위험요소 경고 표지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위험요소 경고 태그 및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를 실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경고멘트와, 그 경고식별정보와 위험등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의 외부 사시도, 내부 사시도,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이형 충전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가 걸이형 충전거치대에 걸려지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의 감지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근로자 12 : 위험요소
20 : 위험요소 경고태그
30 : 안전모 31 : 내주면
32 : 쿠션부재 33 : 완충용 벨트
34 : 머릿결속용 밴드 35 : 골전도 스피커
36 : 일반 스피커 37 : 제1 충전단자
38 : 제2 충전단자
40 : 감지장치 41 : 태그수신부
42 : 음성출력부 43 : 충전부
44 : 제어부 45 : 메모리
50 : 걸이형 충전거치대 51 : 접속단자

Claims (7)

  1. 안전모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스피커와 감지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감지장치는,
    위험요소 경고 태그(이하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이는 태그 수신부,
    상기 태그 수신부가 위험요소 경고 태그를 읽어 들인 위험요소 경고 태그의 내용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
    충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전원과 연결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안전모의 내주면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모가 걸이형 충전거치대에 걸려지면 상기 충전거치대의 접속단자와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일반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고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경고 태그의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경고식별정보와 상기 경고식별정보에 따른 경고 멘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요소 경고 태그에 포함된 경고식별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경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경고 멘트를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와 경고 태그의 내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요소 경고태그에 포함된 위험등급을 인식하여, 인식된 위험등급에 해당하는 출력횟수 또는 출력크기로 상기 경고 멘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7. 제 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RFID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의 감지장치에서 읽혀지는 위험요소 경고 RFID 태그.
KR1020090058258A 2009-06-29 2009-06-29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KR10111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58A KR101112760B1 (ko) 2009-06-29 2009-06-29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58A KR101112760B1 (ko) 2009-06-29 2009-06-29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27A KR20110000927A (ko) 2011-01-06
KR101112760B1 true KR101112760B1 (ko) 2012-03-14

Family

ID=436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258A KR101112760B1 (ko) 2009-06-29 2009-06-29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151B1 (ko) 2021-07-01 2021-12-09 유한회사 우정산업기술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KR20230126246A (ko) 2022-02-21 2023-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16B1 (ko) * 2011-02-11 2012-01-06 성환도 스마트 소방 헬멧
KR101379695B1 (ko) * 2012-09-0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낙하물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1424B1 (ko) * 2014-03-05 2014-08-18 (주)우주텔레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623U (ko) * 1990-03-08 1991-11-29
KR200248156Y1 (ko) * 1998-11-05 2001-12-13 김창준 무선 수신장치가 내장된 헬멧
KR100816555B1 (ko) * 2007-05-29 2008-03-2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623U (ko) * 1990-03-08 1991-11-29
KR200248156Y1 (ko) * 1998-11-05 2001-12-13 김창준 무선 수신장치가 내장된 헬멧
KR100816555B1 (ko) * 2007-05-29 2008-03-2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151B1 (ko) 2021-07-01 2021-12-09 유한회사 우정산업기술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KR20230126246A (ko) 2022-02-21 2023-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27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893B (zh) 指示供气式呼吸器系统中的危险暴露
KR101112760B1 (ko)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CN103124989B (zh) 具有集成eas和能量收获磁性元件的安全标签
KR102592177B1 (ko) 에너지 검출 경고 디바이스
CN205692300U (zh) 一种用于确保商品不被盗窃的安全系统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US11113940B2 (en) Wireless merchandise security system
US9041537B2 (en) Pre-alarm for abnormal merchandise handling
US10510228B2 (en) Security system with kill switch functionality
KR1018028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3164925A (zh) 蓝牙警示装置、通信设备及警示方法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JP5280506B2 (ja) 商品オーダーシステムにおける電気機器の充電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8077477A (ja) 携行品紛失防止システム
JP2008040550A (ja) アクティブrfidタグ探索装置
CN216315850U (zh) 一种微型智能颏托装置、头戴设备及其检测系统
KR20160127921A (ko) IoT단말기가 설치된 블루투스 형 스마트키퍼
KR101521905B1 (ko) 물건 위치 알림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470228B1 (ko) Gps 태그 스티커를 이용한 미아 발생 방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미아 발생 방지 방법
KR101294793B1 (ko)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벨트 및 그 운용 방법
CN102426755A (zh) 一种家庭幼儿保护报警装置
KR2015012018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2497524B1 (ko)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