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555B1 -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 Google Patents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555B1
KR100816555B1 KR1020070051794A KR20070051794A KR100816555B1 KR 100816555 B1 KR100816555 B1 KR 100816555B1 KR 1020070051794 A KR1020070051794 A KR 1020070051794A KR 20070051794 A KR20070051794 A KR 20070051794A KR 100816555 B1 KR100816555 B1 KR 10081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rfid
signal
informa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래 철 이
Original Assignee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05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모에 충돌인지센서를 구비하여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에 접근시 음향신호로 작업자의 위험을 인지시킴으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모의 전면에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곳곳에 부착되는 RFID 태그에 반응하여 RFID 태그의 해당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발생하는 RFID 리더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허용범위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자에게 위험위치와 위험강도를 인지시켜주어 주의를 요하게 함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위험요소에 대한 작업자의 불안한 마음을 해소시켜 주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능률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를 제공한다.
RFID 태그, RFID 리더, 안전모

Description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Inspection for Safety hat having a collision cognizance sen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의 RFID 태그와 RFID 리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전모 200: RFID 리더
210: RF송신부 220: RF수신부
230: 주파수합성기 240: 출력조정기
250: 안테나 260: 마이크로프로세서
270: 스위치 280: 스피커
290: 전원부 300: RFID 태그
310: IC칩 320: RF회로
330: 제로매직 340: 메모리
350: 안테나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모에 충돌인지센서를 구비하여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에 접근시 음향신호로 작업자의 위험을 인지시킴으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는 작업자의 두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 설치되는 위험 시설물 및 구조물의 경우 안전모를 착용하여도 머리에 어느 정도 충격을 주게 되며 특히 위험한 시설물에는 접근을 차단시켜야 하나 경우에 따라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야간작업이나 날씨의 영향으로 해당 위험시설물의 위치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및 시야 확보가 어려운 곳에서 작업자가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의 허용범위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음향신호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위험위치을 인지하도록 알려줌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의 위험강도에 따라 음향신호가 다르게 설정되거나, 볼륨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위험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곳곳에 부착되는 RFID 태그에 반응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발생하는 RFID리더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 태그에는 부착되는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의 위험강도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RFID 리더는 RFID 태그에 입력된 위험강도의 높낮이에 따라 음향신호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볼륨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RFID 리더는 RF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RF송신부와,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RF수신부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주파수합성기와, 고주파의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조정기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RF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F신호를 분리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스위치(듀플렉서)와, 송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음향신호를 다르게 발생하는 스피커와, RFID 리더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의 RFID 태그와 RFID 리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독출하거나 기록함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동물, 사람 등을 인식·추적·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지니고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태그와, 상기 태그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10) 곳곳에 RFID 태그(300)를 부착하고,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100)의 전면에 RFID태그(300)의 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반응하는 RFID 리더(200)를 부착하여 작업자가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의 허용범위 이내로 접근하였음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RFID 태그(300)에는 수동형 태그와 능동형 태그로 구분되는데, 상기 수동형 태그는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고 단순히 식별코드와 정보를 반사시키는 기능만을 하며, 어느 곳이나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저가인 동시에 소형이다.
반면, 상기 능동형 태그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장착되어 읽기/쓰기가 가능하며 환경정보를 센싱할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소형화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RFID 태그(300)는 RFID 리더와 정보를 교류할 때 활성화되고, 저가이며 어느 곳이나 설치할 수 있는 수동 태그를 사용한다.
상기의 RFID 태그(300)는 공사현장 내의 시설물이나 구조물에서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모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300)는 부착되는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10) 각각의 해당정보와 위험강도의 높낮이정보 등을 입력하는 IC칩(310)과 안테나(350)로 이루어지고, IC칩(310)에는 고주파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RF회로(320), 제어로직(330) 및 메모리(340)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RFID 태그(300) IC칩에는 부착되는 시설물이나 구조물의 특이사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입력하고, 작업자가 쉽게 머리를 부딪칠 수 있는 곳, 구멍이 있어 빠지기 쉬운 곳, 미끄러질 수 있는 곳 등 위험강도가 낮은 곳과, 전기 감전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이나 낙하할 수 있는 곳 등 위험강도가 높은 곳으로 구분하여 위험률의 높낮이 강도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RFID 리더(2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RFID 태그(300)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RFID 태그(300)에서 반사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ID 리더(200)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리더와 태그에 형성된 다권선 코일을 이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리더와 태그 사이의 고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권선 코일을 이용하는 자계결합 방식은 태그의 인식거리가 짧기 때문에 물류관리, 출입관리 및 교통카드 등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RFID 리더(200)는 인식거리를 10m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고주파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때, 인식거리는 예를 들어 50㎝, 1m, 3m, 5m, 7m, 10m 등으로 고주파의 출력을 조절하여 바꿀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200)는 RF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RF송신부와(210),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RF수신부(220)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주파수합성기(230)와, 고주파의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조정기(240)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RF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50)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60)와, RF신호를 분리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스위치(듀플렉서)(270)와, 송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음향신호를 다르게 발생하는 스피커와(280), RFID 리더(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RFID 리더(200)는 안전모의 외측면에 구비하되, 상기 RFID 리더(200)를 고정띠, 벨크로파스너, 양면테이프 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안전모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사현장에서 위험한 시설물 및 구조물(10)이 많고, 야간작업이나 날씨의 영향으로 시야가 어두워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10)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10) 곳곳에 RFID 태그(300)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RFID 태그(300)의 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반응하는 RFID 리더(200)를 작업자의 안전모(100)에 부착한다.
상기 작업자가 공사현장 내로 들어가면서 RFID 리더(200)의 전원부(280)를 온(ON)시키면 상기 RFID 리더(200)는 무선 주파수를 출력하게 되고 작업도중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허용범위 이내로 접근했을 때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에 부착된 RFID 태그(300)에서 반사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정보 및 위험강도정보를 읽어들인 후 위험강도에 따라 음향신호가 다르게 출력되거나 또는 볼륨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출력됨으로 작업자가 위험위치와 위험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위험요소에 대한 불안함을 해소함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 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곳곳에 해당정보가 저장되는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RFID태그의 정보를 읽어 음향신호로 반응하는 RFID 리더를 안전모에 부착하여 작업자가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허용범위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작업자에게 위험위치와 위험강도를 인지시켜주어 주의를 요하게 함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험요소에 대한 작업자의 불안한 마음을 해소시켜 주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곳곳에 부착되는 RFID 태그에 반응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발생하는 RFID리더가 부착되되,
    상기 RFID 태그에는 부착되는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의 위험강도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RFID 리더는 RFID 태그에 입력된 위험강도의 높낮이에 따라 음향신호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볼륨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3.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는 공사현장의 위험시설물 및 구조물 곳곳에 부착되는 RFID 태그에 반응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읽고 이를 음향신호로 발생하는 RFID리더가 부착되되,
    상기 RFID 리더는 RF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RF송신부와, RF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RF수신부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주파수합성기와, 고주파의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조정기와, 소정 주파수 대역의 RF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F신호를 분리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스위치(듀플렉서)와, 송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음향신호를 다르게 발생하는 스피커와, RFID 리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KR1020070051794A 2007-05-29 2007-05-29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KR10081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794A KR100816555B1 (ko) 2007-05-29 2007-05-29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794A KR100816555B1 (ko) 2007-05-29 2007-05-29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555B1 true KR100816555B1 (ko) 2008-03-25

Family

ID=3941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794A KR100816555B1 (ko) 2007-05-29 2007-05-29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55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0298A (en) * 2009-05-16 2010-11-17 Swift Invent Ltd Safety system incorporating safety helmet.
KR101088322B1 (ko) 2009-03-25 2011-12-01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건설현장용 출역 게이트 장치
GB2482853A (en) * 2009-12-15 2012-02-22 Earlybird Corp Ltd Portable anti collision sensor
KR101112760B1 (ko) * 2009-06-29 2012-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GB2488770A (en) * 2011-03-05 2012-09-12 Paul Perry Vicinity indicator for a helmet
KR101286943B1 (ko) * 2011-05-30 2013-07-23 주식회사 아이디로 위험 경고 시스템
KR101431424B1 (ko) 2014-03-05 2014-08-18 (주)우주텔레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5342557A (zh) * 2015-09-30 2016-02-24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用于逆作法施工的人员状态监测系统
KR101707847B1 (ko) * 2015-12-07 2017-0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모
DE102016009364A1 (de) * 2016-08-03 2018-02-08 Dräger Safety AG & Co. KGaA Kopfschutzvorrichtung
GB2572315A (en) * 2018-02-26 2019-10-02 Adger Lt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N112302703A (zh) * 2020-10-28 2021-02-0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基于智能控制的矿洞空气净化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308A (en) * 1987-07-07 1989-01-18 Tokyo Keiki Kk Helmet for alarm apparatus
JPH03115623U (ko) * 1990-03-08 1991-11-29
JPH073513A (ja) * 1993-06-14 1995-01-06 Koito Ind Ltd ヘルメットおよび入出門管理装置
JPH07160952A (ja) * 1993-12-10 1995-06-23 Taisei Corp 警報ランプ付きヘルメット
JPH07260934A (ja) * 1994-03-23 1995-10-13 Tokimec Inc 安全ヘルメット装置
JP2000355820A (ja) 1999-06-11 2000-12-26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警報装置
JP2002327330A (ja) 2001-03-01 2002-11-15 Taisei Corp 受光器を備えるヘルメット並びに吊荷下の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308A (en) * 1987-07-07 1989-01-18 Tokyo Keiki Kk Helmet for alarm apparatus
JPH03115623U (ko) * 1990-03-08 1991-11-29
JPH073513A (ja) * 1993-06-14 1995-01-06 Koito Ind Ltd ヘルメットおよび入出門管理装置
JPH07160952A (ja) * 1993-12-10 1995-06-23 Taisei Corp 警報ランプ付きヘルメット
JPH07260934A (ja) * 1994-03-23 1995-10-13 Tokimec Inc 安全ヘルメット装置
JP2000355820A (ja) 1999-06-11 2000-12-26 Honda Motor Co Ltd 二輪車用警報装置
JP2002327330A (ja) 2001-03-01 2002-11-15 Taisei Corp 受光器を備えるヘルメット並びに吊荷下の警報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22B1 (ko) 2009-03-25 2011-12-01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건설현장용 출역 게이트 장치
GB2470298A (en) * 2009-05-16 2010-11-17 Swift Invent Ltd Safety system incorporating safety helmet.
KR101112760B1 (ko) * 2009-06-29 2012-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GB2482853A (en) * 2009-12-15 2012-02-22 Earlybird Corp Ltd Portable anti collision sensor
GB2488770A (en) * 2011-03-05 2012-09-12 Paul Perry Vicinity indicator for a helmet
KR101286943B1 (ko) * 2011-05-30 2013-07-23 주식회사 아이디로 위험 경고 시스템
KR101431424B1 (ko) 2014-03-05 2014-08-18 (주)우주텔레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5342557A (zh) * 2015-09-30 2016-02-24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用于逆作法施工的人员状态监测系统
KR101707847B1 (ko) * 2015-12-07 2017-0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모
DE102016009364A1 (de) * 2016-08-03 2018-02-08 Dräger Safety AG & Co. KGaA Kopfschutzvorrichtung
DE102016009364B4 (de) * 2016-08-03 2019-09-12 Dräger Safety AG & Co. KGaA Kopfschutzvorrichtung
US10423242B2 (en) 2016-08-03 2019-09-24 Dräger Safety AG & Co. KGaA Head protection device
GB2572315A (en) * 2018-02-26 2019-10-02 Adger Lt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N112302703A (zh) * 2020-10-28 2021-02-0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基于智能控制的矿洞空气净化设备
CN112302703B (zh) * 2020-10-28 2022-07-0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基于智能控制的矿洞空气净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555B1 (ko) 충돌인지센서가 구비된 점검용 안전모
JP5835577B2 (ja) 接近検知システム
Teizer Wearable, wireless identification sensing platform: Self-monitoring alert and reporting technology for hazard avoidance and training (SmartHat)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EP23770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tem level uhf rfid tag with low frequency power assist
US96959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risk of a moving machine colliding with personnel or an object
KR100933690B1 (ko) 무선인식 모듈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111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ncrease the range of rfid systems
EP3040913A1 (en) Rfid tag with anti-tamper assembly
KR101706592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지문인식 rf 스마트카드 및 그 제어방법
Malakar et al. Survey of RFID applications in railway industry
WO2006056657A1 (en) An anti-theft arrangement, method and program
EP20024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objects
CN202351900U (zh) 一种基于rfid技术的核电站管理系统
CN104361372A (zh) 一种基于远程控制的射频卡
JP200634415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usoh et al. Motorcycle security system using GSM and RFID
Gnoni et al. An IOT-based system to prevent injuries in assembly line production systems
CN106910264A (zh) 一种幼儿园门禁系统
US9275530B1 (en) Secure area and sensitive material tracking and state monitoring
CN103707807A (zh) 减速带碰撞预警系统
KR102444593B1 (ko) RTLS 및 IoT 기반 스마트 멀티태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09755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Bonthu et al. Optimized Warning and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Using RFID-based Networks
CN202548935U (zh) 一种小区智能进出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