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51B1 -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 Google Patents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51B1
KR102336151B1 KR1020210086253A KR20210086253A KR102336151B1 KR 102336151 B1 KR102336151 B1 KR 102336151B1 KR 1020210086253 A KR1020210086253 A KR 1020210086253A KR 20210086253 A KR20210086253 A KR 20210086253A KR 102336151 B1 KR102336151 B1 KR 10233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pg
main body
helmet
safety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한승현
양재경
안창호
박동균
한정석
구민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우정산업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우정산업기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우정산업기술
Priority to KR102021008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에 부착하여 작업자가 작업하는 밀폐공간 내부의 다양한 작업환경 요인들을 측정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는 안전모의 전면 모자챙의 상면에 놓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자챙을 소정 탄성력으로 집어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클립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소정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LPG가스를 감지하는 LPG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안전모의 전방을 밝히는 램프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를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점멸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산소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하이거나, LPG 감지센서에 의해 LPG가 감지되어 상기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LPG 감지센서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부저와 상기 점멸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MULTI-FUNCTIONAL MEASURING APPARATUS FOR SAFETY HELMET}
본 발명은 다기능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에 부착하여 작업자가 작업하는 밀폐공간 내부의 다양한 작업환경 요인들을 측정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광산 등의 작업현장에서 작업하거나 출입하는 자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헬멧과 충격흡수제 및 턱끈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안전모는 개방된 작업현장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에 대해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된 공간의 작업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식, 폭발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즉, 밀폐된 작업공간인 선박내부, 지하도, 폐수처리시설의 물탱크, 맨홀등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거나, 오염된 공기로 가득차 있어, 산소부족 및 오염된 공기로 인한 질식사고, 가스누출로 인한 폭발 사고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이에, 작업자는 안전모의 착용과 함께, 가스 및 산소농도 측정기등 각종 측정기들과 조명기구를 항상 작업시 소지하였다. 이는 각종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에게는 이들을 소지하고 작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작업도중 잃어버리거나 파손되는 일도 자주 발생되어 가스 및 산소농도의 측정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838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7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276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작업현장의 각종 환경 요인인 산소, LPG, 유해가스등을 측정하여 작업자에게 작업현장의 위험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작업 현장의 산소, LPG, 유해가스등의 측정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위험여부를 어떠한 작업중에서도 인지시킬 수 있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는 안전모의 전면 모자챙의 상면에 놓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자챙을 소정 탄성력으로 집어 상기 본체를 고정하는 클립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소정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LPG가스를 감지하는 LPG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안전모의 전방을 밝히는 램프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를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점멸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산소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하이거나, LPG 감지센서에 의해 LPG가 감지되어 상기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LPG 감지센서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부저와 상기 점멸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가 설치된 상기 안전모의 전면 반대측인 상기 안전모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과 상기 본체의 양측을 상기 안전모의 둘레를 따라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본체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상면을 지나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전력공급선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유해가스 농도센서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 주변 공기가 지나는 공기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홀은 소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끝단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고, 확장된 내경으로 일정 길이 유지되어 유입된 공기가 일정 시간 체류하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에 상기 산소농도센서, 상기 LPG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농도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모 주변의 공기를 상기 공기홀로 유도하는 브로워수단과; 상기 브로워수단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타이머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시 착용하는 안전모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현장의 산소농도, LPG가스, 유해가스등을 정확하게 측정 및 감지하고,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작업자에게 위험상황을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센서의 측정 감도가 향상되며, 다양한 작업에서도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위험상황을 인지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위험상황을 반드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본체가 안전모의 모자챙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본체에 형성된 공기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일 실시 예가 안전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일 실시 예의 제어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는 안전모(10)의 모자챙(11)에 놓이는 본체(100)와, 본체(100)를 모자챙(11)에 탈부착시키는 클립수단(200)과, 본체(100)에 구비되는 산소농도센서(300), LPG 감지센서(400), 램프(500), 부저(600), 유해가스 농도센서(700)와, 램프(50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800)와, 각종 센서 및 기기들을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메인제어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100)의 반대측인 안전모(10)의 후면에 각종 센서 및 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00)가 내장되는 배터리 케이스(1100)와, 베터리 케이스(1100)를 안전모(10)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100)의 양측과 베터리 케이스(1100)의 양측을 연결하는 고정밴드(1200)와, 배터리(1000) 전력을 각종 센서 및 기기들에 공급하는 전력공급선(13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안전모(10) 주변의 공기가 유도되어 흐르도록 공기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홀(110)에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브로워수단(1400)과, 브로워수단(1400)을 간헐적으로 동작시키는 타이머수단(1500)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100)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은 평탄하고 후면은 안전모(10)의 헬멧 외형에 따라 곡선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모(10)를 착용할 때, 느끼는 무게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량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클립수단(200)은 본체(100)의 저면에 하방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된 지지부분(210)과, 지지부분(210)의 끝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저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 가압부분(220)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ㄴ'형으로 형성된 클립이 사용된다.
클립은 가압부분(220)이 소정 탄성력으로 본체(100)의 저면을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압부분(220)을 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지지부분(2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격시키고, 안전모(10) 모자챙(11)의 선단을 인입시키면 가압부분(220)이 모자챙(11)을 가압하여 본체(100)를 모자챙(11)에 장착할 수가 있다. 탈착은 클립으로부터 모자챙(11)을 간편하게 이탈시키면 된다.
가압부분(220)의 끝단은 모자챙(11)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저면과 점점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클립수단(200)은 상기에서 예시한 'ㄴ'형의 클립이외에, 양단이 소정 탄성력으로 맞닿아 있는 밴드클립, 더블클립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산소농도센서(300), LPG 감지센서(400), 유해가스 농도센서(700)는 전기 화학식, 고체전해질식, 반도체식, 접촉연소식, 적외선식, PID 광이온화식, 열전도식에서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소농도센서(300)는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LPG 감지센서(400)는 공기중에 LPG를 감지하며, 유해가스 농도센서(700)는 공기중에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이산화탄소등을 감지하게 된다.
램프(500)는 적은 전력소비와, 긴 수명,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LED 램프가 사용된다. 램프(500)는 본체(100)의 전면 중앙에 다수 개가 배열된다.
부저(600)는 메인제어부(9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업자가 들을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스피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점멸제어부(800)는 램프(500)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력공급을 온(ON)/오프(OFF) 반복하여 일정 시간동안 점멸되게 한다.
또한, 램프 이외에 별도의 경광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메인제어부(900)는 각종 센서로부터 측정신호 및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부저(600)와 점멸제어부(800)에 소정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부저(600) 및 점멸제어부(800)를 구동시킨다.
즉, 산소농도센서(300)에 측정된 산소농도가 19%일 경우, LPG 감지센서(400)는 1.000ppm농도의 LPG가 감지되는 경우, 유해가스 농도센서(700)는 일산화탄소 40ppm, 이산화탄소 2000ppm, 황화수소 10ppm의 농도가 각각 감지되는 경우, 각 센서는 메인제어부(90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메인제어부(900)는 이를 수신받아 부저(600) 및 점멸제어부(800)에 구동을 위한 소정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각종 센서 및 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00)는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사용되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다.
그러나, 본체(100)가 안전모(10)의 전면 모자챙(11)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중량이 안전모(10)의 앞측에 집중되어 작업자가 안전모(10)를 착용할 때, 안전모(10)가 기울어져 작업자가 느끼는 하중부담이 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10)의 후면에 배터리(10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가 설치된 안전모(10)의 전면 반대측인 안전모(10)의 후면에 배터리(1000)가 내장되는 배터리 케이스(1100)가 구비된다.
배터리 케이스(1100)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또한, 내장된 배터리(100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1110)가 구비된다.
고정밴드(1200)는 소정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밴드(1200)는 본체(100)의 양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전모(10)의 헬멧 외주면을 조이면서 배터리 케이스(1100)를 잡아당겨 안전모(10)의 후면에 밀착시키고 고정시킨다.
배터리 케이스(1100)의 양측에는 고정밴드(1200)가 끼워지는 일측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슬릿홈부(1120)가 돌출되어 있다.
본체(100)의 양측에도 고정밴드(1200)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끼움홈부(120)가 돌출되어 있다.
전력공급선(1300)은 배터리 전력을 각종 센서와 기기들에 공급하는 전선으로 배터리 케이스(1100)부터 인출되어 헬멧의 상면을 지나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별도의 고정밴드(1200)를 구비하고, 그 위에 전력공급선(13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밴드(1200) 위에 전력공급선(1300)을 구비하면 헬멧의 표면에 고정밴드(1200)가 인장력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전력공급선(1300)이 자유자재로 휘어져 헬멧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가지런히 정리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각종 센서들의 측정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전모(10) 주변의 공기가 유도되어 흐르고 잠시 체류할 수 있는 공기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홀(110)은 공기가 흐르도록 본체(100)를 소정 직경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유입부(111)와, 유입부(111)의 끝단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고 확장된 내경으로 일정 길이 유지되어 유입된 공기가 일정 시간 체류하는 센싱부(112)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공기홀(110)을 흐르는 공기가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센싱부(112)에서 유속이 느려지고, 유입부(111)와 센싱부(112)의 연결부위에서 난류가 발생되어 일정 시간 체류하게 된다.
이러한 센싱부(112)에 각종 센서가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가 일정 시간 체류하기 때문에 각종 센서에 산소, LPG, 유해가스의 접촉시간이 늘어나 각종 센서의 측정 감도가 향상된다.
공기홀(110)에는 안전모(10) 주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기홀(110)로 유도하기 위한 브로워수단(1400)이 구비된다. 브로워수단(1400)은 공기홀(110)의 유입부(111)상에 구비되는 프로펠러(1410)와, 프로펠러(1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1420)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머수단(1500)은 지속적인 전동모터(1420)의 구동이 배터리(1000)의 소모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간격으로 일정 시간동안 전동모터(1420)를 구동하게 된다. 타이머수단(1500)은 메인제어부(9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산소, LPG, 유해가스등의 농도측정 및 이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들을 구비한 본체(100)와 배터리 케이스(1100)를 클립수단(200) 및 고정밴드(1200)에 의해 안전모(10)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분리 또한 간편하다.
본체(100)는 클립수단(200)에 의해 안전모(10)의 모자챙(11) 상면에 위치되고, 배터리 케이스(1100)는 고정밴드(1200)에 의해 안전모(10)의 후면에 위치된다.
안전모(10)의 전/후면에 본체(100)와 베터리 케이스(1100)가 위치되면 안전모(10)의 전/후면에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작업자가 안전모(10)를 착용할 때 작업자가 느끼는 하중부담을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본체(100) 및 배터리 케이스(1100)를 장착하고도 불편함이 없이 작업을 할 수가 있다.
한편,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 산소농도가 낮아지거나, LPG 가스 및 유해가스가 허용기준치이상 발생되면, 각종 센서들은 이를 감지하고, 소정의 감지신호를 메인제어부(900)에 송신하게 된다.
메인제어부(900)는 각종 센서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으면 부저(600)와 점멸제어부(8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부저(600)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램프(500)는 반복적으로 점멸된다.
즉, 조용한 작업현장에서는 경보음을 듣고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소음이 심한 작업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램프를 보고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환경 속에서도 작업자는 위험상황을 반드시 인지할 수가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100)에 형성된 공기홀(110)의 센싱부(112)에서 공기가 일정 시간 체류함으로써, 센싱부(112)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의 측정감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LPG와, 유해가스중 황하수소, 이산화탄소등은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일반적으로 누출되거나 발생되면 바닥에 가라앉고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는 허용기준치이상의 농도로 발생되어도 쉽게 각종 센서에 의해 정확한 농도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공기홀(110)에 구비된 브로워수단(1400)을 통해 작업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비산되는 LPG, 유해가스를 강제적으로 공기홀(110)로 유도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각종 센서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허용기준치이상의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농도를 측정하고 감지 할 수가 있다.
브로워수단(1400)의 전동모터(1420)에 전력을 타이머수단(1500)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안전모 11 : 모자챙
100 : 본체 110 : 공기홀
120 : 끼움홈부 200 : 클립수단
300 : 산소농도센서 400 : LPG 감지센서
500 : 램프 600 : 부저
700 : 유해가스 농도센서 800 : 점멸제어부
900 : 메인제어부 1000 : 배터리
1100 : 배터리 케이스 1200 : 고정밴드
1300 : 전력공급선 1400 : 브로워수단
1500 : 타이머수단

Claims (4)

  1. 안전모의 전면 모자챙의 상면에 놓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자챙을 소정 탄성력으로 집어 상기 본체를 상기 모자챙에 탈부착시키는 클립수단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전모 주변 공기가 지나는 공기홀과;
    상기 공기홀 내에 구비되고 소정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공기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 중의 LPG가스를 감지하는 LPG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안전모의 전방을 밝히는 램프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를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점멸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산소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 농도가 기준치 이하이거나, LPG 감지센서에 의해 LPG가 감지되어 상기 산소농도센서와 상기 LPG 감지센서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부저와 상기 점멸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공기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모 주변의 공기를 상기 공기홀로 유도하는 브로워수단과;
    상기 브로워수단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타이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설치된 상기 안전모의 전면 반대측인 상기 안전모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과 상기 본체의 양측을 상기 안전모의 둘레를 따라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본체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상면을 지나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전력공급선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유해가스 농도센서와;
    상기 공기홀은
    소정 직경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끝단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고, 확장된 내경으로 일정 길이 유지되어 유입된 공기가 일정 시간 체류하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에 상기 산소농도센서, 상기 LPG 감지센서, 상기 유해가스 농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4. 삭제
KR1020210086253A 2021-07-01 2021-07-01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KR10233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53A KR102336151B1 (ko) 2021-07-01 2021-07-01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53A KR102336151B1 (ko) 2021-07-01 2021-07-01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51B1 true KR102336151B1 (ko) 2021-12-09

Family

ID=7886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53A KR102336151B1 (ko) 2021-07-01 2021-07-01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5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457A (ja) * 2007-01-17 2008-07-31 Riken Keiki Co Ltd ガス警報器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101039416B1 (ko) *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101112760B1 (ko) 2009-06-29 2012-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KR20170050813A (ko) * 2015-10-31 2017-05-11 김청균 스마트 헬멧
KR101838383B1 (ko)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2037246B1 (ko) * 2018-12-04 2019-11-26 여순구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457A (ja) * 2007-01-17 2008-07-31 Riken Keiki Co Ltd ガス警報器
KR101112760B1 (ko) 2009-06-29 2012-03-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KR101039416B1 (ko) *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KR20170050813A (ko) * 2015-10-31 2017-05-11 김청균 스마트 헬멧
KR101838383B1 (ko)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2037246B1 (ko) * 2018-12-04 2019-11-26 여순구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72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ES2620024T3 (es) Equipo de seguridad
KR101778930B1 (ko) 스마트 헬멧
JP5307654B2 (ja) 安全帯用チェック装置
CA2925776C (en) Fall protection device
KR101984302B1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102336151B1 (ko) 안전모 부착형 다기능 측정기
CN1586349A (zh) 多功能劳动安全防护方便帽
CN113876063A (zh) 一种多功能反光衣
KR102045277B1 (ko)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CN205512571U (zh) 多功能安全矿灯帽
CN206260927U (zh) 一种用于地下施工的安全帽
CN216623463U (zh) 一种用于甲烷气体检测的报警装置
CN110617913A (zh) 一种环路内流体压力监测设备
CN213848987U (zh) 电力工程用防电击安全帽
KR20210042489A (ko)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CN218773414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的安全头盔
CN214539517U (zh) 振动报警的甲烷测定器
KR102570088B1 (ko) 가스검출장치
CN210091351U (zh) 一种矿用甲烷氧气两参报警仪
JPH0616884Y2 (ja) 酸欠ガス感知機能付きヘルメット
CN212545801U (zh) 一种多功能式安全帽
CN216719221U (zh) 一种密闭空间危害气体穿戴式报警设备
KR101962905B1 (ko) 수압을 이용한 목적별 시간제어형 수중타이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