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277B1 -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77B1
KR102045277B1 KR1020190061683A KR20190061683A KR102045277B1 KR 102045277 B1 KR102045277 B1 KR 102045277B1 KR 1020190061683 A KR1020190061683 A KR 1020190061683A KR 20190061683 A KR20190061683 A KR 20190061683A KR 102045277 B1 KR102045277 B1 KR 10204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xygen concentration
harmful gas
alarm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
Priority to KR102019006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센싱하여 경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 출입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이 밀폐된 공간(이하, '작업공간'이라 한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작업공간의 산소농도가 낮아지거나 유해가스의 발생을 신속하게 작업자가 인지하여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휴대의 불편함이 없고,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감지시 작업자에게 경보를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의 팔에 탈부착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부에 밴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팔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착용이 간편하게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팔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시 작업자의 행동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및 작업자의 시야에 가까운 팔에 설치됨으로써, 유해가스 감지시 빠르고 확실하게 경보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Detachable oxygen concentration and hazardous gas alarm using band}
본 발명은 가스를 센싱하여 경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 출입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이 밀폐된 공간(이하, '작업공간'이라 한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작업공간의 산소농도가 낮아지거나 유해가스의 발생을 신속하게 작업자가 인지하여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휴대의 불편함이 없고,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감지시 작업자에게 경보를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의 팔에 탈부착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특히, 지하통로의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과 같이 출입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이 밀폐된 작업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산소 결핍이나 유해가스 및 폭발성 가스의 발생을 미리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기기가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안전기기는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의 가스 농도를 모니터링 하는 설치식 가스 검출 시스템과, 작업자가 소지한 상태에서 작업자 주변의 가스 또는 가스 농도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검출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검출 시스템은 상기 설치식 검출 시스템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고, 주변의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의 감지 또는 가스의 농도를 바로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앞서 언급된 유해가스는 특정한 냄새 또는 색깔을 갖는 가스가 누설되면 작업자들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산소의 농도가 낮아져 산소 결핍으로 호흡이 곤란해지거나 일산화탄소 또는 질산계열 등의 무색 무취의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무의식 중에 중독되거나 질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무색 무취의 가스는 LPG, 아세틸렌, 부탄가스 등 냄새 또는 색깔에 관계없이 공기 중 농도가 일정치로 되면 작은 불꽃으로도 폭발할 수 있어, 당해 가스의 누설을 신속히 감지하고 필요한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폭발 또는 질식을 유발하는 등의 가스사고의 모습에 관계없이 가스누설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누설여부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술된 문제점들로 인해 가스를 취급하거나 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장에서는 가스누설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 즉, 안전기기(이하, '가스누설감지기'라 한다.)가 설치되어 가스누설에 의한 폭발 또는 질식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누설감지기는 감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으로 각종 기능의 장치들이 부가되면서 그 무게와 부피가 증가되었고, 이는 종래 가스누설감지기의 이동성을 약화시켜 일정한 장소에만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범위가 크거나 가스누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곳이 넓게 분포될 경우에는 종래 가스누설감지기가 무용지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작업자가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누설감지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가스누설감지기는 일단 가스누설이 감지되면 경보음 또는 경보등을 작동시켜 작업자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휴대용 가스누설감지기는 통상 작업자의 헬멧에 주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헬멧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의 시야 위쪽에서 경보음 및 경보등이 작동되어 작업자가 작업시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휴대용 가스누설감지기는 작업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헬멧에 설치되지 않고 작업자의 옷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행동에 제약을 주게되어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94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4759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05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사용자의 팔에 탈부착이 이용하여 쉽게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시 작업자의 행동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자의 시야에서 가까운 위치에 휴대하여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감지시 작업자에게 가스위험의 경보를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양측에 밴드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에 상기 밴드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부면에 공기가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과 복수 개의 경보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공기의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경보홀에 상부가 내입되는 복수 개의 경보등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부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진동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산소농도와 유해가스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등, 부저, 진동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과 복수 개의 경보홀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와 배터리가 설치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와 대응되는 하부걸이부가 형성되며,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사이에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하우징은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에 상기 진동자가 끼움결합되는 제1설치부와 내측 하부면에 배터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터리가 끼움결합되는 제2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홈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설치부는 내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형성되되, 하부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배터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보등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부에 밴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팔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착용이 간편하게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팔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시 작업자의 행동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및 작업자의 시야에 가까운 팔에 설치됨으로써, 산소농도가 낮아지거나 유해가스 감지시 빠르고 확실하게 경보를 인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나 화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보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보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보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부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공기의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를 센싱하여 경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하통로의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과 같이 출입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이 밀폐된 작업공간 즉,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작업공간에서 산소농도 및 누설되거나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감지하되, 작업자의 팔에 설치되어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감지시 작업자에게 신속하고 확실하게 경보를 인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팔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의 행동 제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양측에 밴드(1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에 상기 밴드(10)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부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형성되며, 내부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112)로 유입된 공기의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경보홀(114)에 상부가 내입되는 복수 개의 경보등(220);과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는 부저(23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진동자(122);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배터리(124); 및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10)로부터 감지된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00)은 공기가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122)와 배터리(124)가 설치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와 대응되는 하부걸이부(120a)가 형성되며,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사이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1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홈(121a)과 상기 설치홈(121a)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1b)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121a)에 상기 진동자(122)가 끼움결합되는 제1설치부(121);와 내측 하부면에 배터리(12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24)가 끼움결합되는 제2설치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홈(121a)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홈(121a-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설치부(123)는 내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형성되되,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배터리(124)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23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보등(220)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하우징(100)은
양측에 밴드(1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에 상기 밴드(10)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부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형성되며, 내부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122), 배터리(124) 및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감지센서(210), 경보등(220), 부저(23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작업자의 팔에 상기 밴드(10)에 의해 쉽게 탈부착되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밴드(1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팔에 탈부착되거나, 하우징(100)의 일측 걸이부에 결합되는 제1밴드와 하우징(100)의 타측 걸이부에 결합되는 제2밴드로 구성된 후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가 겹치는 부분에 각각 벨크로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팔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관통형성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 하부면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진동자(122)와 배터리(124)가 설치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와 대응되어 최종적으로 밴드(10)의 말단이 결합되는 걸이부를 형성하는 하부걸이부(120a)가 형성되며, 외측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사이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에 설치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감지센서(210)와 대응되는 유입홀(11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유입홀(112)은 작업공간에 누설되거나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포함한 공기가 원활하게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감지센서(210)에 의해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가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에 설치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경보등(220)의 상부가 내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보홀(1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보홀(114)은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감지시 상기 경보등(220)에서 발생되는 불빛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내측에 밴드(1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결합홈(미표시)이 형성되는 상부걸이부(11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걸이부(110a)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하우징(120)이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면 하부걸이부(120a)의 상부에 밀접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밴드(10)의 말단이 결합될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부저(230)에서 발생되는 알림음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발산되어 작업자에게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부저(2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부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배터리(124)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등(201)의 상부가 내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충전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홀은 상기 배터리(124)의 충전시 상기 충전등(201)에서 발생되는 불빛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게 배터리(124)의 충전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전원스위치(202)와 USB포트(203)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홀과 포트홀이 상기 전원스위치(202)와 USB포트(203)와 대응되는 위치 즉,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122)와 배터리(124)와 회로기판(200) 및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10), 경보등(220), 부저(230), 제어부(300)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진동자(122)가 설치되어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감지시 상기 진동자(1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작업자에게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진동자(122)는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어 직접 작업자에게 진동이 전달되어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배터리(124)가 설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하우징(100)의 무게중심이 잡힐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경보장치가 작업자의 팔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내측에 밴드(1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앞서 설명된 상부하우징(110)의 상부걸이부(110a)와 대응되는 하부걸이부(12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걸이부(120a)는 하부하우징(120)이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걸이부(110a)의 하부에 밀접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밴드(10)의 말단이 결합될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외측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경보장치 즉, 하우징(100)이 작업자의 팔에 밴드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의 행동 제약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본 발명의 경보장치 즉, 하우징(100)이 작업자의 팔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시 팔에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진동자(1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홈(121a)과 상기 설치홈(121a)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1b)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121a)에 진동자(122)가 끼움결합되는 제1설치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설치부(121)는 끼움결합된 진동자(122)가 진동 발생시 안정적으로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설치홈(121a)은 진동자(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동자(122)의 하부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121b)는 상기 진동자(122)의 상부가 끼움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자(122)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진동자(122)에서 진동이 발생하여도 끼움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설치홈(121a)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홈(121a-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121a-1)에 의해 진동자(122)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된 진동자(122)의 교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진동자(122)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가이드홈(121a-1)은 상기 설치홈(121a)에 설치된 진동자(122)의 외측면을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진동자(122)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배터리(12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24)가 끼움결합되는 제2설치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설치부(123)는 끼움결합된 배터리(124)가 작업자의 움직임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로기판(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설치부(123)는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배터리(124)의 형상과 대응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 배터리(124)의 하부가 끼움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설치부(123)는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하부면 양측이 끼움결합되는 배터리(124)의 하부면과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에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23a)을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124)가 안정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23a)은 상기 제2설치부(123)의 내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형성되되,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 즉, 상기 제2설치부(123)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배터리(124)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24)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3a)은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설치부(123)의 하부면 또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124)의 하부면과 상기 제2설치부(123)의 양측 하부면이 이격되는 공간(이하, '이격공간'이라 한다.)에 의해 상기 배터리(124)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격공간으로 배터리(124)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4)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상기 제2설치부(123) 즉, 상기 제2설치부(123)의 몸체는 전후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배터리(124)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방출홀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에 수용된 열이 상기 이격공간의 외측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24)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상기 지지프레임(123a)은 배터리(124)에서 발생되는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124)에서 발생되는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격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터리(124)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설치부(123)의 몸체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3a)과 마찬가지로 방열재질 즉,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124)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작업자에게 불빛으로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표시하는 복수 개의 경보등(220) 및 작업자에게 소리로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알리는 부저(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감지센서(210)로부터 감지된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112)로 유입된 공기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산소농도 및 적어도 3종류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시 산소농도 감지센서 및 1종류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3의 감지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지센서(210)는 하우징(100)의 유입홀(11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감지하고, 산소농도가 낮거나 적어도 하나의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감지정보를 제어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경보등(220)은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경보홀(114)에 상부가 내입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선서(210)에서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감지되어 감지정보가 제어부(30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되어 불빛으로 작업자가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경보등(220)은 발열이 적은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마다 색을 다르게하여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보등(220)은 산소농도가 낮거나 복수 개 중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작동되도록 하고, 색을 다르게하여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감지되었는지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더욱더 명확하게 낮은 산소농도 또는 유해가스의 종류를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피 또는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경보등(220)은 감지된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하나일 때, 어느 하나가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되어 불빛의 색을 보고 작업자가 산소농도 또는 어떠한 유해가스가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된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누설 또는 발생된 유해가스의 농도를 작업자가 인지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 또는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일예로, 상기 복수 개의 경보등(220)은 제1가스, 제2가스, 제3가스의 종류나 산소농도에 따라 적색, 녹색, 파란색 등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제1가스가 감지된 경우 적색의 불빛이 들어온 후 농도에 따라 밝은 적색(분홍색), 적색(빨간색), 어두운 적색(검붉은색)의 불빛이 들어오게하여 작업자가 제1가스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보등(220)은 작업자가 더욱더 유해가스 또는 낮은 산소농도가 감지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점멸 등의 다양한 불빛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부저(230)는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감지센서(210)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소리를 통하여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소리 특히,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할 정도의 소음이 발생되도록하여 작업자에게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감지상태를 상기 경보등(220)과 더불어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앞서 언급된 진동자(122)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 즉,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제1설치부(12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210)에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되어 작업자에게 진동을 통해 유해가스 등의 감지상태를 경보등(220), 부저(230)와 함께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더욱더 명확하게 산소농도가 낮거나 유해가스가 누설 또는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앞서 언급된 배터리(124)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 즉,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제2설치부(1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로기판(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감지센서(210),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 및 제어부(3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124)는 축전지를 사용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로기판(200)에 USB포트(203)가 구비되어 상기 USB포트(203)를 이용하여 손쉽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로기판(200)은 전원을 인가하여 본 발명의 경보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스위치(202)와 상기 배터리(124)를 충전할 수 있는 USB포트(20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200)은 배터리(124)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등(20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충전등(201)은 앞서 설명된 상부하우징(110)의 충전홀에 상부가 내입되어 USB포트(203)를 통해 배터리(124)를 충전하면 색을 다르게하여 충전중, 충전완료, 충전필요 등과 같은 상태를 작업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본 발명의 경보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앞서 언급된 제어부(300)는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10)로부터 감지된 유해가스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일예로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경보장치는 밴드(1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팔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하우징(100)의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팔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행동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눈 및 귀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유해가스 감지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밴드 100 : 하우징
110 : 상부하우징 110a : 상부걸이부
112 : 유입홀 114 : 경보홀
120 : 하부하우징 120a : 하부걸이부
121 : 제1설치부 121a : 설치홈
121a-1 : 가이드홈 121b : 이탈방지돌기
122 : 진동자 123 : 제2설치부
123a : 지지프레임 124 : 배터리
200 : 회로기판 210 : 감지센서
220 : 경보등 230 : 부저
300 : 제어부

Claims (6)

  1. 양측에 밴드(1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에 상기 밴드(10)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부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형성되며, 내부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112)로 유입된 공기의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0);와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경보홀(114)에 상부가 내입되는 복수 개의 경보등(220);과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는 부저(23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진동자(122);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배터리(124); 및
    상기 회로기판(2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210)로부터 감지된 산소농도와 유해가스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경보등(220), 부저(230), 진동자(1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공기가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112)과 복수 개의 경보홀(114)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122)와 배터리(124)가 설치되고, 양측에 상부걸이부(110a)와 대응되는 하부걸이부(120a)가 형성되며, 하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사이에 회로기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20)은
    내측 하부면에 진동자(1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홈(121a)과 상기 설치홈(121a)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1b)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홈(121a)에 상기 진동자(122)가 끼움결합되는 제1설치부(121);와
    내측 하부면에 배터리(12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24)가 끼움결합되는 제2설치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121a)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홈(121a-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설치부(123)의 몸체는 전후면에 상기 배터리(124)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치부(123)는
    내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형성되되,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배터리(124)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23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등(220)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KR1020190061683A 2019-05-27 2019-05-27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KR10204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683A KR102045277B1 (ko) 2019-05-27 2019-05-27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683A KR102045277B1 (ko) 2019-05-27 2019-05-27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277B1 true KR102045277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683A KR102045277B1 (ko) 2019-05-27 2019-05-27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478A (zh) * 2019-12-30 2020-04-17 苏州普康智慧养老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型家居养老上门服务呼叫系统
KR20220026088A (ko) 2020-08-25 2022-03-04 (주)오픈웍스 이동식 유해가스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598B1 (ko) 1997-08-21 2003-04-1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콘택트 형성 방법 및 콘택트를 포함하는 장치
KR20090072430A (ko) * 2007-12-28 2009-07-02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101039416B1 (ko)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20140078957A (ko) * 2012-12-18 2014-06-26 (주) 래트론 진동자 조립체
CN207052065U (zh) * 2017-06-20 2018-02-27 北京华通天畅工程监理咨询有限公司 一种工业安全生产监理装置
KR101947598B1 (ko) 2015-09-02 2019-04-22 정주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598B1 (ko) 1997-08-21 2003-04-1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콘택트 형성 방법 및 콘택트를 포함하는 장치
KR20090072430A (ko) * 2007-12-28 2009-07-02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101039416B1 (ko) 2009-12-18 2011-06-07 대아산업주식회사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20140078957A (ko) * 2012-12-18 2014-06-26 (주) 래트론 진동자 조립체
KR101947598B1 (ko) 2015-09-02 2019-04-22 정주환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CN207052065U (zh) * 2017-06-20 2018-02-27 北京华通天畅工程监理咨询有限公司 一种工业安全生产监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478A (zh) * 2019-12-30 2020-04-17 苏州普康智慧养老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型家居养老上门服务呼叫系统
KR20220026088A (ko) 2020-08-25 2022-03-04 (주)오픈웍스 이동식 유해가스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8277C1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модуль датчиков для защи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оловы
KR101039416B1 (ko)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KR102045277B1 (ko) 밴드를 이용한 탈부착형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경보장치
KR101696751B1 (ko)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WO2011059128A1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10053826A (ko) 유해작업장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GB2565120A (en) A welding dosimeter
KR20190004083A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KR20110053827A (ko) 유해작업장 상황에 따른 작업자 작업량 제한 규칙에 대한 방법
CN204467050U (zh) 压力防毒安全帽
JP6340678B2 (ja) 携帯用ガス警報器
KR101208662B1 (ko)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2623288B1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CN207269942U (zh) 一种自动救护安全防瓦斯帽
JP6546358B1 (ja) 浮遊式汚染物質測定装置
CN217213089U (zh) 一种水陆漏电定位搜救管控箱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2037246B1 (ko)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CN208706029U (zh) 一种检测密闭空间有可燃气体的安全保护装置
KR101963345B1 (ko) 밀폐공간작업용 안전 경보시스템
KR102080261B1 (ko) 유해가스 검출 방독면
CN221014269U (zh) 一种智能灭火救援盾牌
KR20200017285A (ko) 방독면 탈부착형 안전장치
JP2008150761A (ja) 検電器を装着した作業用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