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403B1 -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 Google Patents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403B1
KR101916403B1 KR1020170140031A KR20170140031A KR101916403B1 KR 101916403 B1 KR101916403 B1 KR 101916403B1 KR 1020170140031 A KR1020170140031 A KR 1020170140031A KR 20170140031 A KR20170140031 A KR 20170140031A KR 101916403 B1 KR101916403 B1 KR 10191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de
accident
accident alarm
electr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언
Original Assignee
박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언 filed Critical 박무언
Priority to KR102017014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악세사리 등에 설치 구성되어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악세사리 등에 사고 알람 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 외력에 의해 사고 알람 장치가 동작하여 주변에 알람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악세사리 등에 설치 구성되어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고소작업 즉, 높은 건물이나 구조물등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추락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10)의 일단에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 고리(10)를 형성하고, 안전로프(40)의 타단에는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착탈시키기 위한 연결 고리(20)를 형성시킨다.
연결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는 충격완화장치부(30)가 형성된다.
충격완화장치부(30)는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그 외부를 고무재질의 하우징(32)으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된 벨트에 후크형 고리(10)를 장착하고, 연결 고리(20)를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연결시키고 작업을 하다가 만약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에는 연결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30)의 하우징(32)이 파열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안전대(31)가 풀어지고 안전구조물에 연결된 연결고리(40)에서 안전대(31), 안전로프(40) 및 후크형 고리(10)에 전달되는 장력에 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추락시에 충격완화장치부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하우징이 파열되면서 안전대가 풀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락시의 충격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어느 작업장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없었으며, 추락 당사자가 소리를 질러 알리거나 아니면 다른 작업자들에 의해 식별이 되어야 추락 사고임을 알 수 있었지만, 건설 현장의 특성상 수많은 잡음 혹은 기타 작업에 집중하다보면 추락 사고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즉각적인 사후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나 인명 피해를 입히게 된다.
한편, 가방이나 배낭 등의 도난 사고 발생시, 또는 치한이나 강도등의 위협시 도난, 치한등의 피해자가 직접 주변에 알려야 하는데 있어 사고의 피해를 알리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외력 발생시에 자동적으로 이를 인지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주변에 있는 타인들이 즉각적으로 이를 확인하여 신속한 2차 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인용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518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악세사리 등에 설치 구성되어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에 구성될 경우에,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으며, 그 외부를 고무재질의 하우징(32)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추락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추락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추락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추락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악세사리 혹은 배낭에 구성될 경우에,
악세사리 혹은 배낭의 끈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는,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가방 등에 사고 알람 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 외력에 의해 사고 알람 장치가 동작하여 주변에 알람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지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지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동작 전 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에 구성될 경우에,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으며, 그 외부를 고무재질의 하우징(32)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추락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추락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추락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추락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액세사리 혹은 배낭에 구성될 경우에,
액세사리 혹은 배낭의 끈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에 적용될 경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안전로프에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여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로프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가 풀릴 경우에 자동적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가 동작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추락 사고를 주변에 알려줄 수 있는 추락사고 알람이 가능한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으며, 그 외부를 고무재질의 하우징(32)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로 구성된 안전벨트에 구성되게 되는데, 상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고알람동작바(110)는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다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액세사리 혹은 배낭의 끈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와 차이점은 결합부(120)가 배낭 혹은 가방의 끈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배낭 혹은 가방 혹은 브롯찌와 같은 악세사리 등의 끈의 어느 일부분에 결합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외력에 의해 잡아당길 경우에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되면 즉각적으로 알람이 출력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잡아당기는 힘의 강도에 따라 사고알람동작바가 이탈되도록 사전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 강도를 조절하여 평상시 활동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기능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지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 내지 이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스프링(1021);과
상기 제1스프링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스프링(1022);과
상기 제2스프링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부(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일정 간격은 내부에 스프링이 상하 운동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스프링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벽부에는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게 되며, 홀을 통해 사고알람동작바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1021)은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의 하측에 제1전극부(102a)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1022)은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의 상측에 제2전극부(102b)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은 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104)를 전선과 연결시키게 되는데, 추락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며, 이때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점되게 되면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원발생부(106)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음원은 제조시 저장된 음원이 될 수 있으며, 음원으로는 각종 알람음, 안내 멘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증폭부(107)는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게 되며, 스피커부(108)는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는, 배낭 혹은 가방의 끈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추락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일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결합부(120)가 배낭 혹은 가방의 끈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가방 혹은 배낭의 끈을 잡아 당기는 외력이 발생하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점되게 되면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원발생부(106)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에게 도난이나 위험 상황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도난이나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호각이나 각종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피해자가 호각을 부는 행위 혹은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행위가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위험 상황에서 피해자는 두려움에 상기한 행위를 하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서는 가해자가 배낭이나 가방을 끌어 당기는 외력을 가할 경우에 자동적으로 알람이 발생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피해자가 별도의 행위를 할 필요없이 즉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지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동작 전 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통해, 사고알람동작장치 동작 전 후를 비교해보면,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어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접점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외부로 이격되고,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점시키게 된다.
이후,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알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외력은 일실시예에서는 추락에 따른 중력, 이실시예에서는 잡아당기는 힘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저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공사현장에 구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 혹은 가방이나 배낭에 구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고유식별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부를 통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적으로 관리단말기(200)로 송출하게 된다.
공사 현장의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혹은 현장사무소가 될 것이며, 기타 장소의 경우에는 중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 혹은 근거리 통신 방식 혹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 혹은 이동통신 방식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 관리저장부, 정보분석부, 사고정보출력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관리저장부는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정보분석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고정보출력부에 의해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공사 현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공사 현장의 B 사고알람동작장치는 홍길동이라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사전에 관리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때, A 공사 현장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고유식별 정보인 A-B라는 식별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정보분석부에서는 A-B라는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하여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추락 사고자는 홍길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트, 가방 등에 사고 알람 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 외력에 의해 사고 알람 장치가 동작하여 주변에 알람음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고알람동작장치
200 : 관리단말기

Claims (2)

  1.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으며, 그 외부를 고무재질의 하우징(32)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서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스프링(1021);과
    상기 제1스프링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스프링(1022);과
    상기 제2스프링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접점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가,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저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



  2. 삭제
KR1020170140031A 2017-10-26 2017-10-26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KR10191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1A KR101916403B1 (ko) 2017-10-26 2017-10-26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1A KR101916403B1 (ko) 2017-10-26 2017-10-26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403B1 true KR101916403B1 (ko) 2018-11-07

Family

ID=6436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31A KR101916403B1 (ko) 2017-10-26 2017-10-26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20A (ko) *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14034422A (zh) * 2021-11-25 2022-02-11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699B2 (ja) * 1992-12-28 2001-0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複合体
JP2002172015A (ja) 2000-12-08 2002-06-18 Satoshi Yonemochi ストラップ兼用防犯ブザー
US20110103558A1 (en) * 2009-10-30 2011-05-05 Hooten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perably connected to a safety lany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699B2 (ja) * 1992-12-28 2001-0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複合体
JP2002172015A (ja) 2000-12-08 2002-06-18 Satoshi Yonemochi ストラップ兼用防犯ブザー
US20110103558A1 (en) * 2009-10-30 2011-05-05 Hooten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perably connected to a safety lanyar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20A (ko) *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156386B1 (ko) * 2018-11-13 2020-09-15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14034422A (zh) * 2021-11-25 2022-02-11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CN114034422B (zh) * 2021-11-25 2024-09-06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19016B (zh) 坠落保护合规系统和方法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916403B1 (ko)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JP2014153876A (ja) 騒音環境下における作業者間情報伝達システム,作業者間情報伝達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伝達方法
KR102140829B1 (ko)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6606B1 (ko) 안전고리 체결시스템과 안전고리 체결제어방법
KR101976726B1 (ko)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JP2017215915A (ja) トランシーバを用いた騒音環境下作業者間安全システム,作業者間安全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情報伝達方法
KR101612507B1 (ko) 호신용 반지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102140830B1 (ko) 작업스케줄 및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9142A (ko)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73475B1 (ko)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WO2019177007A1 (ja) ヘルメット装着用緊急避難警報装置および緊急避難警報システム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TWI724009B (zh) 電子掉落事件通信系統
CA3035485A1 (en) Fall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KR102217589B1 (ko)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US8717161B1 (en) Lockout for hydrogen sulfide monitoring system
KR100452129B1 (ko) 음성인식에 의한 비상호출신호의 발생장치
TW201702107A (zh) 用於腳踏車之安全防護系統、車鎖裝置與防盜監控模組
JP2021068116A (ja) 高所作業現場用警報システム
JPH1091877A (ja) 非常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