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298A -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298A
KR20230086298A KR1020210174779A KR20210174779A KR20230086298A KR 20230086298 A KR20230086298 A KR 20230086298A KR 1020210174779 A KR1020210174779 A KR 1020210174779A KR 20210174779 A KR20210174779 A KR 20210174779A KR 20230086298 A KR20230086298 A KR 2023008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ensing
ring
safety ring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333B1 (ko
Inventor
최두원
이상범
문주영
권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비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비콘
Priority to KR102021017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되었는지를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에서 안전모에 설치된 메인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며, 고소작업장의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봉,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소작업의 현장에 근접할 수 없는 곳에서도 관리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원거리에서도 안전고리를 체결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은 작업자와 안전고리를 체결한 작업자의 선별이 이루어짐으로써 계도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Safety hook fastening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장의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봉,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설공사장이나 철탑 및 전신주 작업, 대형 조선 구조물의 조립 작업등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통상 고소작업이라 칭함)시에는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생명줄이라 불리는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일명 죔줄)를 포함한 안전벨트를 의무적으로 착용하여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고소작업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추락방지 구조물에는 작업자의 안전벨트와 연결된 추락방지용 안전로프를 걸 수 있도록 추락방지용 안전줄(로프, 강봉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함, 안전고정대라고도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고소작업시 모든 작업자는 의무적으로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 구조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걸고 작업하여야 한다.
그러나, 많은 작업자들이 안전고리를 안전줄에 걸고 작업을 할 경우 작업간 이동 및 동작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의 작업상 불편함을 이유로,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으며, 실제 건설공사의 경우 2018년 기준 사망자의 50%이상이 추락사고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리자들은 고소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관리하고 있으나, 실제 안전고리의 체결 여부는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자들 역시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을 알고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체결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들은 안전벨트 착용 후에는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의 안전고리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전면부 좌측 또는 우측의 밴드, 안전그네 밴드, 뒷측의 안전로프 연결고리 등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안전고리를 체결하고 이동한다.
고소작업시에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해야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에 안전고리를 체결한 상태 그대로 작업을 실시하거나, 심지어는 안전줄에 체결하지 않고 바닥에 두고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966892호의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이하 선행1)와, 등록특허 제10-1964727호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이하 선행2)과, 등록실용신안 제20-0482611호의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이하 선행3)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선행1 내지 선행3을 살펴보기에 앞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이 갖춰져 있는지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는 뒤에서 설명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도 사이 사이에 비교 언급할 것이다.
즉, ①안전고리 체결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지, ②안전고리가 미체결인 지의 여부에 관한 현황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신 및 ID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 ③해당 작업영역이 안전고리 체결이 필요한 고소작업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는지, ④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지, ⑤관리자의 고소작업지역 관리 및 조치를 위한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1은 ①안전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할 경우 수직(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안전고리 무게로 인해 접촉센서(스위치)가 작동하게 되므로 접촉스위치 작동여부로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1은 ②안전고리 미체결 현황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신 및 ID 기능으로서, 안전고리에 체결 판단을 위한 장치와 별개로 유무선 통신방식의 RFID 리더기 장치를 안전벨트에 설치하여 통신 및 ID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1은 ③안전고리 체결이 필요한 고소작업지역인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장치가 결여되어 있다.
또한, 선행1은 ④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판단 장치 임의 해제 방지를 위한 기능이 없다.
아울러, 선행1은 ⑤관리자의 고소작업지역 관리 및 조치를 [0017] 위한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
한편, 선행2는 ①안전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할 경우 수직(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안전고리 무게로 인해 압력센서(물리,전기)가 작동하게 되므로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2는 ②안전고리에 체결 판단을 위한 장치와 별개로 무선 통신방식의 별도 장치(안전고리 홀더)를 안전벨트에 설치하여 통신 및 ID 관리하게 되어 있으므로, 매우 번거롭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행2는 ③위치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별도 통신 장치(안전고리 홀더)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2는 ④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판단 장치 임의 해제 방지를 위한 기능이 없다.
아울러, 선행2는 ⑤별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작업 구역내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설치되는 경고발생부라는 장치와는 별개의 장치를 통해 경고 조치를 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어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오작동의 우려가 다분하다.
한편, 선행3은 ①안전줄이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안전 고리 위치 측정이 가능한 장치를 통해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에 안전고리가 있을 경우 안전고리를 체결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안전줄과 안전고리에 발신 및 수신이 가능한 별도의 장치를 각각 설치한 후 두 장치간 접촉을 통해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3은 ②최소 5종 이상의 다수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발신 모듈을 통해 관리자와 상호 통신하지만 개별 ID 부여 기능은 결여되어 있다.
선행3은 ③별도의 위치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 장치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휴대의 불편함이 수반된다.
또한, 선행3은 ④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판단 장치 임의 해제 방지를 위한 기능이 없다.
아울러, 선행3은 ⑤관제 센터 개념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작업자에게 직접 알리기 위해서는 별도 알람 발생 유닛을 이용하여 경고를 전파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어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오작동의 우려가 다분하다.
무엇보다도, 선행1 및 선행2는 안전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할 경우 수직(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안전고리 무게로 인해 작동하는 접촉센서(스위치) 또는 압력센서(물리,전기)가 작동 여부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 알고리즘은 안전고리를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전면부 좌측 또는 우측의 밴드, 안전그네 밴드, 뒷측의 안전로프 연결고리 등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안전고리를 체결한 경우에도 안전고리 자체 무게(500g내외)로 인해 선행1 및 선행2와 동일한 반응(접촉센서 또는 압력센서 작동)이 발생하므로 실제 안전고리를 안전줄에 체결하지 않아도 센서 반응에 의해 안전고리를 안전줄에 체결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아울러, 선행3은 안전줄이 작업자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안전고리 위치로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판단하나, 대다수 고소작업에서는 추락방지 구조물이 작업자보다 낮거나 비슷하게 설치되므로 안전고리 체결 여부 판단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선행3에서 안전줄과 안전고리에 각각의 접촉 감지 송수신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안전줄에 별도에 장치를 설치를 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적용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실제 고소작업에 적용하는데 분명한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66892호 등록특허 제10-196472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826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소작업장의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봉,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의 현장에 근접할 수 없는 곳에서도 관리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원거리에서도 안전고리를 체결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되었는지를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컨트롤러에서 감지부재를 통해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 및 해제 시간을 저장하여 고소작업 시 안전고리의 착용의 유무를 판단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며,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에서 안전모에 설치된 메인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7'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부재와; 고리부재의 내측으로 안전봉의 입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의 중간에서 끝단부로 연설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부재와; 안전후크부재가 회동되게 안전고리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안전봉에 의해 회동되게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단부가 래치부재에 밀착되는 안전후크부재와; 안전후크부재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래치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후크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후크부재는, 안전봉이 고리부재의 걸림고리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부재는, 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컨트롤러는,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제어하는 MCU와; 감지부재로부터 신호의 인가 시 실시간 클럭신호를 MCU로 인가하는 RTC와; 감지MCU(210)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체신호와 타임신호를 메인컨트롤러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감지송수신기와;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RTC로부터 인가되는 타임신호가 감지MCU에서 매칭되고, 매칭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는 PC로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타임신호가 매칭시킨 매칭데이터를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컨트롤러는, 고소작업 시 사고가 발생되면 저장장치에 안전고리의 체결 및 해제 신호와 함께 RTC에서 인가되는 타임신호를 매칭시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는 PC로 인가되어 사고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지컨트롤러는, 메인컨트롤러로와 전기선에 의한 유선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고리는,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컨트롤러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인컨트롤러는, 개별적으로 IP(internet protocol address)가 설정되고, IP를 현장의 관리장치로 인가하여 고소작업자가 안전고리의 체결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리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피시, 노트북, 데스크탑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인컨트롤러는, 메인MCU의 제어를 받아 고소 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안전봉에 체결하였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재와; 안전고리가 체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를 온오프를 제어하는 LED드라이버와; 메인송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LED드라이버를 제어하여 표시부재를 통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MCU와; 감지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메인MCU로 인가하는 메인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장의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봉,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가 항상 안전한 상태에서 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의 현장에 근접할 수 없는 곳에서도 관리자가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를 원거리에서도 안전고리를 체결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은 작업자와 안전고리를 체결한 작업자의 선별이 이루어짐으로써 계도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지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를 안정봉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된 상태에서 메인컨트롤러의 표시부재에 의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는 안전고리(150)가 안전봉(500)에 체결되었는지를 감지부재(150)와 감지컨트롤러(200)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컨트롤러(200)에서 감지부재(150)를 통해 안전고리(100)가 안전봉(500)에 체결 및 해제 시간을 저장하여 고소작업 시 안전고리(100)의 착용의 유무를 판단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며, 감지부재(150)와 감지컨트롤러(200)에서 안전모(400)에 설치된 메인컨트롤러(300)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10)를 통해 표시하며, 고소작업장의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봉(500),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안전고리(100)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지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를 안정봉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된 상태에서 메인컨트롤러의 표시부재에 의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는 안전고리(100), 감지컨트롤러(200), 메인컨트롤러(3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고리(100)는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하는 하네스에 벨트로 연결되어 안전봉, 안전띠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안전벨트에 체결되어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고리(100)는 '7'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재(110)의 내측으로 안전봉(500)의 입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110)의 중간에서 끝단부로 연설되어 회동 가능하게 래치부재(12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후크부재(140)가 회동되게 안전고리부재(110)에 가이드부재(130)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봉(500)에 의해 회동되게 가이드부재(130)에 설치되어 단부가 래치부재(120)에 밀착되게 안전후크부재(14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후크부재(14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래치부재(120) 내측에 감지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재(110)는 벨트가 결합되는 끼움공(111-1)을 가지며 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 형상의 상단에는 '∩'자 형상의 걸림고리(1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7'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부재(120)는 단면이 'U'자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감지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후크부재(140)의 단부가 내측에 위치되어 감지부재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안전봉(500)에 의해 안전후크부재(140)가 회동되면 안전봉(500)의 체결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고리(112)와 안전후크부재(140)의 일측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전후크부재(140)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130)에 설치된다. 즉, 안전후크부재(140)는 고리부재(110)의 걸림고리(112)에서 안전봉(500)이 이탈되면, 초기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감지부재에 의해 안전후크부재(140)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봉(500)의 체결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후크부재(140)는 안전봉(500)이 고리부재(110)의 걸림고리(112) 내측 쪽으로 인입되면, 안전봉(500)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여 감지부재(150)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재(150)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래치부재(1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안전후크부재(140)의 단부가 밀착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150)는 안전후크부재(140)의 회동에 의해 안전후크부재(140)의 단부가 분리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컨트롤러(200)로 신호가 인가되도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150)는 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는 홀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안전후크부재(140)가 분리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적용하여 안전봉(500)이 걸림고리(112)에 체결된 상태의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회동부재(16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회동부재바디(161)가 형성되고, 'ㄷ'자 형상에는 래치부재(120)의 회동 시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62)은 래치부재(12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안전봉(50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고리(112)에 안전봉(5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200)는 안전고리(100)의 걸림고리바디(111)에 설치되어 감지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재(15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메인컨트롤러(300)로 인가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안전봉에 체결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200)는 감지MCU(210), RTC(220), 감지송수신부(230), 저장장치(240) 및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MCU(210)는 감지부재(150)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체신호와 RTC(220)로부터 인가되는 타임신호를 저장하면서 감지송수신부(230)를 통해 메인컨트롤러(300)로 신호의 무선송신 제어, 고소작업 시 사고의 발생 시 인터페이스(250)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한다.
상기 RTC(220)는 감지부재(15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타임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MCU(210)로 인가한다.
상기 감지송수신부(230)는 감지MCU(210)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체신호와 타임신호를 메인컨트롤러(300)로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저장장치(240)는 감지부재(150)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RTC(220)로부터 인가되는 타임신호가 감지MCU(210)에서 매칭되고, 매칭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추후 고소작업 시 사고가 발행하였을 때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인가하여 PC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장치(240)는 블랙박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50)는 RS232, US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는 PC로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타임신호가 매칭된 매칭데이터를 인가하며, 이때 감지MCU에 의해 제어를 받는다.
상기 감지MCU(210), RTC(220), 감지송수신부(230), 저장장치(240) 및 인터페이스(250)는 PCB에 실장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PCB에 설치된 상태에서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감지컨트롤러바디(미부호)에 고정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바디에는 감지MCU(210), RTC(220), 감지송수신부(230), 저장장치(240) 및 인터페이스(250)가 실장된 PCB와 배터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컨트롤바디에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바디는 배터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배터리 설치공간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감지컨트롤러바디(미부호)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설치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배터리덮개(미부호)가 감지컨트롤러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0)는 안전모의 후면 또는 측면에 브라켓에 의해 부착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0)는 메인컨트롤러바디(미부호), 바디덮개(미부호), 표시부재(310), LED드라이버(320), 메인MCU(330), 메인송수신부(340), 전원램프(미부호), 메인전원스위치(미부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바디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터리 및 PCB가 실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배터리탑재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탑재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설치된 배터리가 메인컨트롤러바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디덮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재(310)는 메인MCU(330)의 제어를 받아 고소 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100)를 안전봉(500)에 체결하였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재(310)는 면발광 형태로 발광되거나 또는 다수의 표시램프에 의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재(310)는 안전고리(100)가 체결된 상태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빛의 색깔이 다르게 표현되어 먼거리에서도 작업자의 안전고리 체결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드라이버(320)는 표시부재(310)를 온오프를 제어하여 안전고리(100)가 체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MCU(330)는 메인송수신부(34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LED드라이버(320)를 제어하여 표시부재(310)를 통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인MCU(330)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여 배터리의 교한시키를 표시한다.
상기 메인송수신부(340)는 감지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메인MCU로 인가한다. 상기 메인송수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감지컨트롤러(200)의 감지송수신부(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MCU(330)로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메인전원램프는 메인전원스위치를 온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도로 색갈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재(310)는 메인MCU(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컨트롤러바디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전원스위치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메인컨트롤러바디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는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피시, 노트북, 데스크탑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메인컨트롤러의 송수신부와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져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안전봉에 체결하였는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관리장치에서 각각의 작업자가 안전고리의 체결유무를 원격지에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 시 안전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계도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에 의해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100)를 안전봉(500)에 체결하면, 체결된 상태에 대해 메인컨트롤러(300)에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고리부재(110)의 걸림고리바디(111)에 형성된 끼움공(111-1)에 벨트를 결합하고, 벨트는 작업자가 착용한 하네스에 연결한다.
상기 벨트에 연결된 안전고리(100)를 고조작업 현장에 설치된 안전봉(500)에 래치부재(120)의 일측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시키면, 래치부재(120)는 회동부재(160)의 가이드홀(162)을 따라 회동되면서 걸림고리(112)의 내측으로 안전봉(500)이 위치된다.
이때 래치부재(120)의 회동 시 래치부재(120)의 단부가 위치된 안전후크부재(140) 또한 가이드부재(130)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안전봉(5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위치된다.
상기 래치부재(120)의 일측에 안전봉(500)이 위치된 상태에서 래치부재(12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걸림고리(112)에서 안전봉(50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림고리(112)의 입구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120)가 안전봉(500)에 의해 회동될 때 래치부재(120)의 단부가 감지부재(150)에서 분리되고, 상기 감지부재(150)는 분리되는 래치부재(120)를 감지하여 안전봉(500)이 걸림고리(112)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다는 것을 걸림고리바디(111)에 설치된 감지컨트롤러(20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200)는 마이컴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메인컨트롤러(300)로 인가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300)는 송수신부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에서 표시부재(31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안전고리(100)가 안전봉(500)에 체결된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봉(500)에서 안전고리(100)가 분리되면, 안전후크부재(140)는 가이드부재(130)와 결합된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에 탄성력에 안전후크부재(140)가 회동하면서 그 단부가 래치부재(120) 내측으로 인입되고, 래치부재(120)의 내측으로 인입된 단부가 감지부재(150)에 밀착되면, 상기 감지부재(150)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컨트롤러(20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감지컨트롤러(200)는 송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메인컨트롤러(300)로 신호를 인하가고 , 상기 메인컨트롤러(300)의 메인송수신부(340)에서 수신한 신호를 메인MCU(330)로 인가하여 표시부재(3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안전고리(100)가 안전봉(500)과 분리된 상태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색깔은 안전고리(100)가 안전봉(500)과 결합된 상태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속작업 중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안전모 뒤쪽에 설치된 감지컨트롤러(200)에 인터페이스에 데이터케이블을 이용하여 PC와 연결한다.
상기 PC와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감지컨트롤러(200)는 PC에 제어를받아 저장장치(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여 고소작업 시 안전고리(100)의 체결 시간 및 해제 시간을 파악하여 사고 발생 시 안전고리(100)의 체결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 작업장 안전벨트의 안전고리(100)를 추락방지용 안전봉(500), 안전띠 또는 와이어에 체결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체결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이를 쉽게 파악하여 계도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안전고리 110: 고리부재
111: 걸림고리바디 111-1: 끼움공
112: 걸림고리 120: 래치부재
130: 가이드부재 140: 안전후크부재
150: 감지부재 160: 회동부재
161: 회동부재바디 162: 가이드홀
200: 감지컨트롤러 210: 감지MCU
220: RTC 230: 감지송수신부
240: 저장장치 250: 인터페이스
300: 메인컨트롤러 310: 표시부재
320: LED드라이버 330: 메인MCU
340: 메인송수신부 400: 안전모
500: 안전봉

Claims (12)

  1.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되었는지를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컨트롤러에서 감지부재를 통해 안전고리가 안전봉에 체결 및 해제 시간을 저장하여 고소작업 시 안전고리의 착용의 유무를 판단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며,
    감지부재와 감지컨트롤러에서 안전모에 설치된 메인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7'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부재와;
    고리부재의 내측으로 안전봉의 입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의 중간에서 끝단부로 연설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부재와;
    안전후크부재가 회동되게 안전고리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안전봉에 의해 회동되게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단부가 래치부재에 밀착되는 안전후크부재와;
    안전후크부재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래치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후크부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후크부재는,
    안전봉이 고리부재의 걸림고리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컨트롤러는,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제어하는 MCU와;
    감지부재로부터 신호의 인가 시 실시간 클럭신호를 MCU로 인가하는 RTC와;
    감지MCU(210)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체신호와 타임신호를 메인컨트롤러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감지송수신기와;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RTC로부터 인가되는 타임신호가 감지MCU에서 매칭되고, 매칭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는 PC로 체결 또는 해제신호와 타임신호가 매칭시킨 매칭데이터를 인가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컨트롤러는,
    고소작업 시 사고가 발생되면 저장장치에 안전고리의 체결 및 해제 신호와 함께 RTC에서 인가되는 타임신호를 매칭시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는 PC로 인가되어 사고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컨트롤러는,
    메인컨트롤러로와 전기선에 의한 유선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감지부재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컨트롤러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개별적으로 IP(internet protocol address)가 설정되고,
    IP를 현장의 관리장치로 인가하여 고소작업자가 안전고리의 체결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피시, 노트북, 데스크탑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메인MCU의 제어를 받아 고소 작업 시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안전봉에 체결하였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재와;
    안전고리가 체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재를 온오프를 제어하는 LED드라이버와;
    메인송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LED드라이버를 제어하여 표시부재를 통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MCU와;
    감지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메인MCU로 인가하는 메인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1020210174779A 2021-12-08 2021-12-08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10264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79A KR102644333B1 (ko) 2021-12-08 2021-12-08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79A KR102644333B1 (ko) 2021-12-08 2021-12-08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298A true KR20230086298A (ko) 2023-06-15
KR102644333B1 KR102644333B1 (ko) 2024-03-08

Family

ID=8676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79A KR102644333B1 (ko) 2021-12-08 2021-12-08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3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0482611Y1 (ko) 2015-01-30 2017-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17051271A (ja) * 2015-09-07 2017-03-16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安全帯の使用状況管理方法
KR101964727B1 (ko)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0482611Y1 (ko) 2015-01-30 2017-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17051271A (ja) * 2015-09-07 2017-03-16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安全帯の使用状況管理方法
KR101964727B1 (ko)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333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4354B1 (en) Safety belt and system for checking a belt-wearing status
US11559706B2 (en)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JP4992729B2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CA2880874A1 (e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tilizable in a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ame
JP5147636B2 (ja) 安全帯および安全帯の装着確認システム
US9993671B2 (en) Fall protection device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TW202116376A (zh) 消防控制系統
KR20230039093A (ko) 안전고리 체결감지시스템
KR20230086298A (ko)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52669A (ko)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US20200260824A1 (en) System having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JP2006187502A (ja) 緩降機
KR20140133231A (ko) 고위험 작업자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20210042489A (ko)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KR20220021557A (ko)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스마트 안전대의 이중 비콘 시스템
KR102586620B1 (ko) 알람기능을 갖는 승강장 도어키
KR102217589B1 (ko)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CN116453293A (zh) 一种输电杆塔高空作业告警装置
KR102421272B1 (ko) 인체의 식별이 가능한 지능형 센싱 기술을 이용한 건설 기계의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90067055A (ko) 스마트 산업안전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