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950B1 - 전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950B1
KR101523950B1 KR1020137029434A KR20137029434A KR101523950B1 KR 101523950 B1 KR101523950 B1 KR 101523950B1 KR 1020137029434 A KR1020137029434 A KR 1020137029434A KR 20137029434 A KR20137029434 A KR 20137029434A KR 101523950 B1 KR101523950 B1 KR 10152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magnetic coil
winding
coi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389A (ko
Inventor
카즈히코 타카이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5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coils or to clutches having more than one coil in the sam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자 부재의 압입(壓入)에 의한 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연결 장치는, 전자 코일(5)의 권선의 단부(5a, 5b)를 단자 케이스의 홈에 끼워 넣는 한편, 상기 홈과 교차하는 홈에 단자 부재(19a, 19b)를 압입함으로써, 단자 부재(19a, 19b)에 유지된 리드 선(18a, 18b)과 권선의 단부(5a, 5b)를 도통(導通)시킨다. 그리고 알루미늄 선으로 구성되는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양단에, 에나멜 구리 선으로 구성되는 단자 배선(51a, 51b)을 접속하고, 상기 단자 배선(51a, 51b)을 권선의 단부(5a, 5b)로 하여, 단자 부재(19a, 19b)의 황동제 접속편(29a, 29b)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단자 배선(51a, 51b)과 접속편(29a, 29b)은, 열팽창률이 가까운 동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도통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코일(5)의 권선을 알루미늄 선으로 함으로써, 전자 연결 장치를 경량화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자 연결 장치{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코일이 내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에 고정된 절연성의 단자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구비한 전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 코일과 단자 부재의 결선(結線)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연결 장치에 있어서의 결선 구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 연결 장치는, 단자 케이스 내부로 유도된 전자 코일의 권선(卷線)의 양단을, 단자 케이스 내에 형성된 홈 내부로 절곡(折曲)하여, 상기 홈과 교차하는 홈에 대해 리드 선을 접속한 단자 부재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단자 부재에 형성된 슬릿에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을 끼워 넣어, 단자 부재(리드 선)와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을 결선(結線)한다.
일본 특허 공보 제3069044호
여기서, 전자 코일의 권선으로서 에나멜 구리 선을 이용하여, 황동제의 단자 부재에 접속시킬 경우, 구리와 황동은 동종(同種)의 금속으로서 열팽창률이 근사(近似)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단자 부재와 전자 코일의 권선의 사이에 있어서의 도통(導通)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자 연결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자 코일의 권선을, 예컨대 구리 선에서 알루미늄 선으로 변경했을 경우, 단자 부재의 재료인 황동보다 알루미늄의 열팽창률이 높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는, 알루미늄 권선이 팽창함에 따라 단자 부재의 슬릿이 확장되고, 반대로, 온도가 저하되면, 알루미늄 권선이 수축함에 따라, 단자 부재의 슬릿과 권선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전자 코일의 권선과 단자 부재의 사이에서의 도통이 단절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자 부재의 압입(壓入)에 의한 결선 구조에 있어서, 전자 코일의 재료로서, 단자 부재의 재료와는 이종(異種)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면서, 온도 변화에 대하여, 단자 부재에 있어서의 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자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연결 장치는, 전자 코일이 내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에 고정된 절연성의 단자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구비한 전자 연결 장치로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상기 단자 케이스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부 각각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끼워 넣는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홈부와 교차하는 제 2 홈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 2 홈부에 끼워 넣어지는 한 쌍의 단자 부재를 가지고, 상기 단자 부재에는 상기 권선의 단부에 도통(導通)시키는 리드 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제 2 홈부를 횡단하는 상기 권선의 단부 각각을 끼워 넣는 슬릿이 형성된 접속편(接續片)을 가지며,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을 구성하는 재료와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재료가 이종의 금속 재료이고,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부 각각에,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된 단자 배선을 접속하여, 상기 단자 배선을 상기 제 1 홈부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슬릿에 상기 단자 배선을 끼워 넣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부 각각에 단자 배선을 접속하고, 단자 배선을 접속편의 슬릿에 끼워 넣어, 단자 부재에 접속된 리드 선과 전자 코일의 권선을 도통시킨다. 여기서, 접속편의 슬릿에 끼워 넣어지는 단자 배선, 및 접속편은, 상호 동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한편, 전자 코일의 권선은, 단자 배선 및 접속편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와는 이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연결 장치에 따르면, 단자 배선과 접속편은 동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 열팽창률이 가까우며, 온도 변화에 대해 길이, 체적이 유사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슬릿이 확장되거나, 단자 배선과 접속편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단자 배선(전자 코일의 권선)과 접속편(리드 선)의 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전자 코일의 권선은, 접속편 및 단자 배선을 구성하는 재료와는 이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알루미늄계 재료 등의 경량의 금속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연결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연결 장치의 전자 코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연결 장치의 전자 코일과 전자 코일을 수납하는 링 바디(ring body)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연결 장치의 전자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 연결 장치의 전자석에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커넥터와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선 구조를 적용한 코일 보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연결 장치(전자 클러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전자 연결 장치는, 자동차용 냉방장치를 구성하는 냉매 압축기에 있어서, 동력원으로부터 압축기의 구동축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자 연결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의 하우징에 대하여 부착 판(1)을 통해 고정된 요크(3)를 구비하고 있다.
요크(3)의 링 형상 홈(3a)에는, 전자 코일(5)이 내부에 설치된다. 압축기 하우징의 원통부(500)에는, 링 형상 홈(106a)을 갖는 로터(600)가, 베어링(700)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지지되고, 링 형상 홈(106a)에는, 요크(3)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한편, 원통(500)을 관통하는 압축기의 구동축(800)의 선단부에는, 플랜지가 부착된 원통 형상의 허브(109)가 볼트(2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허브의 플랜지(109a)에 장착된 판 스프링(111)에는, 전체가 링 플레이트(ring plate) 형상으로 형성된 아마추어(112)가, 마찰 면(112a)이 로터(600)의 마찰 면(106b)에 대향되어 장착되어 있다.
풀리(115)는,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축 위에 설치된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의 회전에 따라 로터(60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11)는, 요크(3)와 함께 전자석(170)을 구성하며, 전자 코일(5)은 커넥터(11)를 통해 외부의 전기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1)로부터 도출되는 2개의 리드 선(알루미늄 선; 18a, 18b)의 단부에는, 전자석(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41)가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1)를 통한 전자 코일(5)로의 통전(通電)의 온/오프(on/off)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며, 전자 코일(5)에 통전함으로써, 아마추어(112)가 로터(600)에 자기 흡착되어, 로터(600)의 회전이 구동축(8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크(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코일(5)과, 상기 전자 코일(5)을 수용하는 통형상의 링 바디(ring body; 6)를 갖는다.
링 바디(6)는, 제 1 링부(6a)와, 상기 제 1 링부(6a)와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동축(同軸)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2 링부(6b)와, 제 1 및 제 2 링부(6a 및 6b)를 일단 측에서 서로 접속하고 있는 바닥이 있는 부분(bottomed part; 6c)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이 있는 부분(6c) 및 부착 판(1)에는,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양단부(5a, 5b)를 직접 관통시켜 바닥이 있는 부분(6c)의 밖으로 도출시키는 관통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링 바디(6)에는, 전자 코일(5)이 끼워 넣어지며, 그 후에 수지재에 의해 링 바디(6)에 전자 코일(5)을 고정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판(1)에 형성된 관통 구멍(7)의 상방에는, 커넥터(11)가, 예컨대, 부착 판(1)의 관통 구멍(7)에 형성된 클로(claw) 등에 의해, 코킹(caulking)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1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절연성의 단자 케이스(13)와, 상기 단자 케이스(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권선의 단부(5a, 5b)와, 다이오드(15)와, 2개의 리드 선(18a, 18b)의 일단에 접속된 2개의 도전성(황동제)의 단자 부재(19a, 19b)를 갖는다. 2개의 리드 선(18a, 18b)의 타단에는, 권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41)가 접속된다.
단자 케이스(13)의 바닥부에는, 링 바디(6)의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인 위치에 한 쌍의 케이스 구멍(23)이 형성되며, 한 쌍의 케이스 구멍(23)에는, 권선의 양단부(5a, 5b)가 각각 관통 삽입된다.
단자 케이스(13)의 내부에는, 권선의 단부(5a, 5b) 각각을 끼워 넣는 홈으로서, 한 쌍의 케이스 구멍(23)으로부터 더욱 링 바디(6)의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홈부(25)와, 다이오드(15)의 양측의 리드 부(15a, 15b) 각각 끼워 넣는 홈으로서, 제 1 홈부(25)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 3 홈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부(25)에는, 권선의 단부(5a, 5b)의 각각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끼워 넣어지고, 제 3 홈부(27)에는, 다이오드(15)의 양측의 리드 부(15a, 15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끼워 넣어진다. 즉, 권선의 단부(5a, 5b)와, 다이오드(15)의 리드 부(15a, 15b)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단자 케이스(13)의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또, 단자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3 홈부(25, 27)와 교차하는 방향이면서, 또한, 링 바디의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직선을 끼고 평행하게 한 쌍의 제 2 홈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홈부(28)에는, 서로 평행하게 끼워 넣어지는 다이오드(15)의 리드 부(15a, 15b) 및 권선의 단부(5a, 5b)의 중간 부분이 횡단하게 된다.
리드 부(15a, 15b) 및 권선의 단부(5a, 5b)의 중간 부분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한 쌍의 단자 부재(19a, 19b)를 제 2 홈부(28)에 압입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리드 선(18a, 18b)에 대해 접속된다.
한 쌍의 단자 부재(19a, 19b)는, 절연 피복이 이루어져 있는 리드 선(18a, 18b)의 피복부를 유지(保持)하는 원통 형상의 유지부(30a, 30b)와, 유지부(30a, 30b)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단면(斷面)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편(29a, 29b)으로 이루어진다.
접속편(29a, 29b)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단면의 바닥부가, 리드 선(18a, 18b)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되며, U자 형상을 이루는 단면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되는 측벽에는, U자 형상 단면의 개방 측을 향해 개방되며, U자 형상을 이루는 단면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슬릿(19c)이, 리드 선(18a, 18b)의 연장방향의 앞뒤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릿(19c) 중 선단 측에 형성되는 슬릿(19c; 제 1 슬릿)에는, 제 1 홈부(25)에 끼워 넣어진 권선의 단부(5a, 5b)가 끼워 넣어지고, 유지부(30a, 30b)측의 슬릿(19c; 제 2 슬릿)에는, 제 3 홈부(27)에 끼워 넣어진 다이오드(15)의 리드 부(15a, 15b)가 끼워 넣어지도록, 제 1 홈부(25)와 제 3 홈부(27)의 위치관계에 맞추어 한 쌍의 슬릿(19c)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부재(19a, 19b)를 제 2 홈부(28)에 끼워 넣을 경우에는, 접속편(29a, 29b)의 U자 형상을 이루는 단면의 개방 단(端)이, 단자 케이스(11)의 바닥부를 향하도록 하여 압입(壓入)함으로써, 단자 부재(19a, 19b)의 한 쌍의 슬릿(19c)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부(15a, 15b) 및 권선의 단부(5a, 5b)의 중간 부분이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단자 부재(19a, 19b)를 제 2 홈부(28)에 끼워 넣는 압입 동작에 의해, 리드 선(18a, 18b)에 대하여 다이오드(15) 및 전자 코일(5)의 권선을 접속할 수 있어,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홈부(28)에 대한 단자 부재(19a, 19b)의 압입에 의해 리드 부(15a, 15b) 및 권선의 단부(5a, 5b)의 중간 부분을 서로 접속한 후에, 이들의 접속 부분을 방수 구조로 하기 위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케이스(11) 내부를 수지재(40)에 의해 본딩(시일)하고, 수지재(40)가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태(미경화 상태)에서 단자 케이스(11)의 개구를 커버(42)에 의해 폐색(閉塞)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코일(5)의 권선은 알루미늄 선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알루미늄 권선의 양단에, 에나멜 구리 선(구리 선을 에나멜로 피복한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배선(51a, 51b)이 접속되어 있어, 상기 단자 배선(51a, 51b)의 단부를 권선의 단부(5a, 5b)로 하여 케이스 구멍(23)으로부터 단자 케이스(11) 내부로 유도하여 제 1 홈부(25)에 끼워 넣고, 단자 부재(19a, 19b)를 제 2 홈부(28)에 끼워 넣었을 때, 접속편(29a, 29b)의 슬릿(19c)에 단자 배선(51a, 51b)이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즉, 전자 코일(5)의 알루미늄 권선은, 에나멜 구리 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배선(51a, 51b)을 통해 리드 선(18a, 18b)에 접속되고, 단자 부재(19a, 19b)에 있어서는, 접속편(29a, 29b)과 단자 배선(51a, 51b)이 접하여 도통(導通)되게 되어 있다.
또한, 단자 배선(51a, 51b)을 구성하는 에나멜 구리 선의 에나멜 피복은, 슬릿(19c)에 끼워 넣어질 때, 슬릿(19c)에 의해 벗겨져, 내부의 구리 선과 접속편(29a, 29b)이 접촉하여 도통되게 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선 구조를 적용한 보빈(52)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보빈(52)은, 통형상부(52b)와, 상기 통형상부(52b)의 중심 축 방향의 양 단면에 각각 연이어 설치된 플랜지부(52a)로 이루어지며, 플랜지부(52a)와 통형상부(52b)로 형성되는 링 형상 홈(52c) 내에, 전자 코일(5)의 알루미늄 권선이 수용된다.
도 9에 있어서 단자 배선(51a)은 감기(winding) 개시 측이며, 단자 케이스(11)에 일단이 유지되는 단자 배선(51a; 에나멜 구리 선)의 타단은, 통형상부(52b)로부터 플랜지(52a)의 외측으로 도출되며, 여기서, 알루미늄 선으로 구성되는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일단(감기 개시 측)에 코일 단자(53a)의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자 배선(51a)에 접속된 전자 코일(5)의 권선(알루미늄 선)은, 플랜지(52a)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52c)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플랜지(52a)의 외측을 따라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후, 플랜지(52a)에 형성된 절결(切缺; 52d)을 통해 통형상부(52b)로 복귀되어, 통형상부(52b)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권회(卷回)된다.
또한, 전자 코일(5)의 권선(알루미늄 선)의 감기 종료측을, 통형상부(52b)로부터 플랜지(52a)의 외측으로 도출하며, 전자 코일의 권선(알루미늄 선)의 감기 종료측의 단부에 코일 단자(53b)의 코킹에 의해 온도 퓨즈(55)의 일단이 접속되고, 또, 온도 퓨즈(55)의 타단에 코일 단자(53c)의 코킹에 의해 단자 배선(51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 코일(5)의 권선(알루미늄 선)의 감기 종료측, 온도 퓨즈(55) 및 단자 배선(51b)은, 플랜지(52a)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52c)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플랜지(52a)의 외측을 따라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단자 배선(51b)의 타단을 전자 코일(5)의 외주를 통해 단자 케이스(11) 내부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52a)의 외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전자 코일(5)의 권선, 온도 퓨즈(55) 및 단자 배선(51a, 51b)은, 코일 단자(53a~53c)와 함께 수지에 의해 시일(seal) 된다. 이러한 수지에 의한 시일에 의해, 전자 코일(5)의 권선(알루미늄 선)에 물이 침입하여 녹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온도 퓨즈(55)를 개재(介在)시키지 않고, 전자 코일(5)의 권선(알루미늄 선)의 감기 종료측에 단자 배선(51b)의 일단을 접속하고, 단자 배선(51b)의 타단을 단자 케이스(11)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선으로 이루어진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양단에, 에나멜 구리 선으로 이루어진 단자 배선(51a, 51b)을 접속하고, 상기 단자 배선(51a, 51b)을 케이스 구멍(23)으로부터 단자 케이스(11) 내부로 유도하여 접속편(29a, 29b)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단자 배선(51a, 51b)이 에나멜 구리 선으로 구성되는 데 대하여, 단자 배선(51a, 51b)에 접속되는 접속편(29a, 29b)은, 황동으로 형성된다. 즉, 단자 배선(51a, 51b) 및 접속편(29a, 29b)은, 서로 동종(同種)의 금속 재료(구리계 재료)로 구성되는 데 대하여, 전자 코일(5)의 권선은, 단자 배선(51a, 51b) 및 접속편(29a, 29b)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와는 이종(異種)의 재료(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된다.
전자 코일(5)의 권선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경량이기 때문에, 전자 코일(5; 전자석), 나아가 전자 연결 장치를 경량화할 수가 있다.
단, 알루미늄 선인 전자 코일(5)의 권선과, 황동제의 접속편(29a, 29b)을 접촉시켜 도통(導通)시키도록 하면, 서로 열팽창률이 다른 이종 금속을 접촉시키는 것이 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생겼을 때, 슬릿(19c)을 확장시키거나, 슬릿(19c)과 알루미늄 선의 사이에 틈새가 생김에 따라, 알루미늄 선(전자 코일(5)의 권선)과 황동제의 접속편(29a, 29b; 단자 부재(19a, 19b))의 사이에서의 도통이 단절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알루미늄 선인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양단에, 에나멜 구리 선인 단자 배선(51a, 51b)을 접속하고, 상기 단자 배선(51a, 51b)과 황동제의 접속편(29a, 29b)을 접속시키도록 하면, 단자 배선(51a, 51b)과 접속편(29a, 29b)이 동종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서로의 열팽창률이 가깝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슬릿(19c)을 확장시키거나, 슬릿(19c)과 단자 배선(51a, 51b)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어, 전자 코일(5)의 권선과 리드 선(18a, 18b)의 도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단자 부재(19a, 19b)를 제 2 홈부(28)에 압입(壓入)함으로써, 전자 코일(5)의 권선과 리드 선(18a, 18b)을 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선 구조가 간이(簡易)하고 저렴하며,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 접속편(29a, 29b)을, 전연성(展延性)이 우수한 황동으로 구성함으로써, 접속편(29a, 29b)의 가공이 용이하고, 또, 접속편(29a, 29b)을 구성하는 황동과 동종의 금속 재료로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로 단자 배선(51a, 51b)을 구성함으로써, 접속편(29a, 29b)과의 사이에서 뛰어난 도통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전자 코일(5)의 권선의 일방단부에, 온도 퓨즈(55)를 통해 단자 배선(51b)을 접속하면, 압축기의 시저(seizure)에 수반되는 클러치 마찰 면의 미끄러짐에 의한 발열로 인해 온도 퓨즈(55)가 용단(溶斷)됨에 따라, 전자 코일(5)에 대한 통전이 차단되어, 차량 측의 벨트의 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敎示)에 근거하여, 당업자라면 각종 변형 양태를 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전자 연결 장치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석을 이용하는 공지된 전자 연결 장치에, 본 발명의 결선 구조, 및 전자 코일(5)의 권선 및 그 양단의 단자 배선(51a, 51b)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코일(5) 및 리드 선(18a, 18b)을 알루미늄제로 하고, 접속편(29a, 29b)을 황동제로 하고, 단자 배선(51a, 51b)을 구리제로 하였으나, 이들 금속 재료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코일(5)의 재료와 접속편(29a, 29b)의 재료가 이종의 금속 재료이며, 접속편(29a, 29b)의 재료와, 단자 배선(51a, 51b)의 재료가, 열팽창률이 가까운 동종의 금속 재료이면 된다. 예컨대, 전자 코일(5)의 권선을, 알루미늄 합금제로 할 수 있으며, 또한, 황동제의 접속편(29a, 29b)에 대하여, 구리 합금으로 형성한 단자 배선(51a, 51b)을 조합할 수가 있다.
또, 접속편(29a, 29b)은, 단자 배선(51a, 51b)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와 동종의 금속을 도금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단자 배선(51a, 51b)을 피복하여 절연시키기 위한 재료는, 에나멜 외에 폴리우레탄이나 비닐 등이어도 무방하다.
1; 부착판
3; 요크
5; 전자 코일(알루미늄 선)
5a, 5b; 권선(卷線)의 단부
7; 관통 구멍
13; 단자 케이스
15; 다이오드
15a, 15b; 다이오드의 리드 부
18a, 18b; 리드 선
19a, 19b; 단자 부재
19c; 슬릿
25; 제 1 홈부
27; 제 3 홈부
28; 제 2 홈부
29a, 29b; 접속편(황동제)
51a, 51b; 단자 배선(에나멜 구리 선)
55; 온도 퓨즈
100; 전자 연결 장치
170; 전자석

Claims (4)

  1. 전자 코일이 내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에 고정된 절연성의 단자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구비한 전자 연결 장치로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상기 단자 케이스 내부로 유도된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卷線)의 양단부 각각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끼워 넣는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홈부와 교차하는 제 2 홈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 2 홈부에 끼워 넣어지는 한 쌍의 단자 부재를 가지고, 상기 단자 부재에는 상기 권선의 단부에 도통(導通)시키는 리드 선이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 부재는, 상기 제 2 홈부를 횡단하는 상기 권선의 단부 각각을 끼워 넣는 슬릿이 형성된 접속편을 가지며,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을 구성하는 재료와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재료가 이종의 금속 재료이고,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의 양단부 각각에,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同種)의 금속 재료로 구성된 단자 배선을 접속하여, 상기 단자 배선을 상기 제 1 홈부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슬릿에 상기 단자 배선을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이 알루미늄계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편 및 단자 배선이 모두 구리계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연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이 황동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 배선이 구리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연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코일의 권선의 일측단부에, 퓨즈를 통해 상기 단자 배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연결 장치.
KR1020137029434A 2011-04-28 2012-02-23 전자 연결 장치 KR101523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0589 2011-04-28
JP2011100589A JP5765706B2 (ja) 2011-04-28 2011-04-28 電磁連結装置
PCT/JP2012/054351 WO2012147400A1 (ja) 2011-04-28 2012-02-23 電磁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89A KR20130135389A (ko) 2013-12-10
KR101523950B1 true KR101523950B1 (ko) 2015-06-01

Family

ID=4707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434A KR101523950B1 (ko) 2011-04-28 2012-02-23 전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5534B2 (ko)
EP (1) EP2696090B1 (ko)
JP (1) JP5765706B2 (ko)
KR (1) KR101523950B1 (ko)
CN (1) CN103492745B (ko)
WO (1) WO2012147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081A (ja) * 2013-01-15 2014-07-28 Denso Corp 電磁クラッチ
CN104300337A (zh) * 2013-07-18 2015-01-21 康平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铝线定子漆包线与其引出线铆接缠线及包胶工艺
CN104315032A (zh) * 2014-08-19 2015-01-28 上海金山易通汽车离合器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空调离合器线圈环部件及制作方法
JP7077639B2 (ja) * 2018-02-01 2022-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3521B2 (ja) * 2019-09-19 2022-08-05 株式会社不二工機 樹脂モールド電磁コイ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磁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830A (ja) * 1996-05-07 1997-11-18 Sanden Corp 電磁連結装置
JP2009273354A (ja) * 2008-05-06 2009-11-19 Halla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用電磁クラッチのフィールドコイ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85B2 (ja) * 1986-07-03 1995-03-06 日本電装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のコイル接続構造
JPH04125320A (ja) * 1990-09-17 1992-04-24 Hitachi Ltd 電磁クラッチの励磁装置
KR0148181B1 (ko) 1995-03-31 1998-10-15 김광호 디지탈 기록재생시스템의 가변적 동기패턴검출장치 및 방법
JP3925880B2 (ja) * 1998-01-19 2007-06-06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JPH11270589A (ja) * 1998-03-25 1999-10-05 Denso Corp コネクタ一体型コイル装置
JP2001244111A (ja) * 2000-02-29 2001-09-07 Sanden Corp コイルボビン
JP2003130087A (ja) * 2001-10-30 2003-05-08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用ヨーク
JP5600034B2 (ja) * 2009-08-28 2014-10-01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830A (ja) * 1996-05-07 1997-11-18 Sanden Corp 電磁連結装置
JP2009273354A (ja) * 2008-05-06 2009-11-19 Halla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用電磁クラッチのフィールドコイ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89A (ko) 2013-12-10
EP2696090A4 (en) 2014-11-26
US20140049125A1 (en) 2014-02-20
US9515534B2 (en) 2016-12-06
WO2012147400A1 (ja) 2012-11-01
JP5765706B2 (ja) 2015-08-19
EP2696090A1 (en) 2014-02-12
CN103492745B (zh) 2016-03-02
JP2012233498A (ja) 2012-11-29
CN103492745A (zh) 2014-01-01
EP2696090B1 (en)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950B1 (ko) 전자 연결 장치
JP3069044B2 (ja) 電磁連結装置
JP4911221B2 (ja) 車両用ターミナル付きリニアソレノイド
JP4867834B2 (ja) スタータ及びスタータの製造方法
EP3082231B1 (en) Motor
JP200823697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49395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US20160053829A1 (en) Electromagnetic Clutch
US6160329A (en) Miniature electric motor
JPH1163019A (ja) 電磁クラッチ
EP3291252B1 (en) Excit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nnection device
US10141811B2 (en) Stator for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and air conditioner
JP2000230579A (ja) 電磁クラッチ
JP5508974B2 (ja) モータ
CN115143204B (zh) 电磁耦合装置
JP4766219B2 (ja) 電磁クラッチ
JP4985557B2 (ja) 電磁クラッチ、および電磁クラッチのアース固定方法
KR20190062821A (ko) 전자클러치용 코일연결구조
WO2019150978A1 (ja) 電磁クラ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44551B2 (ja) スタータ及びスタータの製造方法
JPS636512Y2 (ko)
CN112436650A (zh) 起动器
JP3186467B2 (ja) 電磁連結装置
WO2016017166A1 (ja) モータ
JPH1137179A (ja) 電磁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