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162B1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3162B1 KR101523162B1 KR1020137025851A KR20137025851A KR101523162B1 KR 101523162 B1 KR101523162 B1 KR 101523162B1 KR 1020137025851 A KR1020137025851 A KR 1020137025851A KR 20137025851 A KR20137025851 A KR 20137025851A KR 101523162 B1 KR101523162 B1 KR 101523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lance
- connection terminal
- engaging surface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속 단자(20)는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 돌기부(32b)와 각진 통형상부(22)의 랜스 결합면(23a)의 결합에 의해 분리가 방지된다. 랜스를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22)의 상부벽(22a)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개구와 상부벽(22a)의 측면 에지에 연결된 측벽부(22b)를 형성하여, 랜스 결합면(23a)을 후크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랜스 결합면은 상부벽(22a)의 개구 가장자리로서의 제1결합면(231)과, 측벽부(22b)의 개구 에지부에서 제1결합면(231)에 거의 직교하도록 형성된 제2결합면(2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구멍에 수용될 때, 이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랜스에 의해 분리가 방지되는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커넥터 하우징(101)에 유지되는 접속 단자(110)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접속 단자(110)는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접속 단자(110)는 커넥터 하우징(101)의 단자 수용 구멍(102)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커넥터 하우징(101)에서 그 단자 수용 구멍(102)에는 랜스(10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수용 구멍(102)에서 중앙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3b)가 단자 수용 구멍(102)의 길이(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캔틸레버 형상 탄성편(103a)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랜스(103)가 구성된다.
접속 단자(110)는 피메일 단자로서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다. 접속 단자(110)는 상대 접속 단자의 선단부와 정합하는 각진 통형상 단자 정합부(111)와, 단자 정합부(111)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각진 통형상부(112)와, 각진 통형상부(112)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전선 압착부(113)와, 각진 통형상부(112)에 형성된 랜스 결합면(114)을 포함한다. 한편, 도 11의 좌측은 전방측으로 정하고, 도 11의 우측은 후방측으로 정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스 결합면(114)은 개구(115)에 위치하는 전방 에지부(115a)의 일부분이며, 여기서 개구(115)는 랜스(103)와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112)의 상부벽(112a)과, 이 상부벽(112a)의 양측 에지에 연속하는 양 측벽부(112b, 112c)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랜스 결합면(114)은 개구(115)에 정합된 돌기부(103b)의 선단부와 마주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스(103)에서 그 돌기부(103b)의 폭치수(W1)는 상부벽(112a)의 폭치수(W2)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115)에서 그 전방 에지부(115)의 폭치수(W1)에 상당하는 범위는 랜스 결합면(114)으로서 기능한다.
접속 단자(110)가 단자 수용 구멍(102)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리 방향으로 인장 하중이 접속 단자(110)에 작용할 때, 랜스 결합면(114)은 돌기부(103b)에 접촉하여 분리를 방지한다.
그러나, 특허문헌1과 같이, 실질적 평판형상을 가진 상부벽(112a)의 폭 중에서 그 일부가 랜스 결합면(114)으로서 설정되는 종래의 접속 단자(110)에 따르면, 랜스 결합면(114)은 상부벽(112a)의 판 두께를 따라서 단순한 직선형상을 가진다. 이 때문에, 랜스 결합면(114)이 돌기부(103b)에 가압될 때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부벽(112a)의 판 두께를 필연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다시 설명하면, 커넥터 하우징(101)에 있어서 그 접속 단자(110)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려면, 접속 단자(110)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해야 한다. 이 경우, 두께의 증가로 인해 접속 단자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접속 단자의 유지력 향상을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접속 단자로서: 상대 접속 단자의 선단부와 정합하는 단자 정합부와; 상기 단자 정합부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각진 통형상부와; 상기 각진 통형상부에 형성된 랜스 결합면;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구멍에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랜스 결합면은 상기 단자 수용 구멍에 배치된 랜스의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 구멍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랜스 결합면은 후크형상 결합면으로서, 상기 랜스와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의 상부벽을 가로질러 형성된 개구와, 상기 상부벽의 측면 에지에 연속하는 측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후크형상 결합면은 상기 상부벽에서의 상기 개구의 에지부인 제1결합면과 상기 측벽부의 개구의 에지부인 제2결합면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상부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합부는 상기 상대 접속 단자의 탭이 정합가능한 각진 통형상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3)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합부는 상기 상대 접속 단자의 각진 통형상 구조를 구비한 단자 정합부에 정합가능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상기 (1)의 구성에 따르면, 랜스 결합면은 후크형상 결합면으로서, 상부벽 개구의 에지부인 제1결합면과, 측벽부에서 그 개구의 에지부이고 제1결합면의 단부로부터 상부벽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면을 구비한다.
상부벽 개구의 에지부 중 일부분만을 사용하는 직선형의 랜스 결합면을 가진 종래의 접속 단자와 비교할 때, 후크형상의 랜스 결합면을 구비한 접속 단자는 랜스의 돌기부에 대한 증가된 접촉 면적과, 후크 형상 구조로 인하여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랜스와의 결합시에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간의 분리 방지를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접속 단자의 유지력을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따르면, 접속 단자는 상대 접속 단자의 탭(tab)이 정합되는 단자 정합부를 구비하는 피메일 단자이다. 이 피메일 단자의 경우,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간의 분리 방지를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서 접속 단자의 유지력을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3)의 구성에 따르면, 접속 단자는 탭(tab)으로된 단자 정합부를 구비하는 메일 단자이다. 이 메일 단자의 경우,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서 접속 단자의 유지력을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직선형의 랜스 결합면을 가진 종래의 접속 단자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자에 따르면, 랜스 결합면이 후크형상이어서, 랜스의 돌기부에 대한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이러한 후크형상 구조로 인하여 또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랜스 결합에 따른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커넥터 하우징에서 접속 단자의 유지력을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접속 단자의 유지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측단면도이다(도 5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측단면도이다(도 5의 화살표 G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H-H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접속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접속 단자의 유지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측단면도이다(도 5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측단면도이다(도 5의 화살표 G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H-H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접속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 관한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접속 단자인 메일 탭 단자 및 피메일 접속 단자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서 그 접속 단자의 유지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의 측단면도이고(도 5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의 측단면도이고(도 5의 화살표 G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H-H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커넥터(1)는 메일 탭 단자(10), 피메일 접속 단자(20), 피메일 하우징(30), 및 메일 하우징(40)을 구비하며, 여기서 피메일 하우징(30)은 피메일 접속 단자(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유지하는 제1하우징으로서 기능하고, 메일 하우징(40)은 메일 탭 단자(101)를 내부에 수용하여 유지하는 한편 제1하우징에 정합하여 접속되는 제2하우징으로서 기능한다.
메일 탭 단자(1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제품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도 6에서 좌측 단부)에 형성된 봉형상 탭(11)과, 탭(11)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각진 통형상 구조의 각진 통형상부(12)와, 각진 통형상부(12)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전선 압착부(14)를 구비한다. 한편, 도 6의 좌측은 전방측으로 정하고, 도 6의 우측은 후방측으로 정한다.
탭(11)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피메일 접속 단자(20)와 용이하게 정합하도록 모따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각진 통형상부(12)의 상부벽(12)에는 제2랜스 결합부로서 기능하는 랜스 결합 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랜스 결합부에 후술하는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의 돌출부(42b)가 결합된다.
랜스 결합 구멍(16)은 실질적 사각형 개구로서 도 5에 도시한 메일 탭 단자(10)의 중심축(C10)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폭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의 돌출부(42b)가 각진 통형상부(12)의 일측벽부(12b)와 결합할 수 있도록 랜스 결합 구멍(16)이 형성된다. 즉, 랜스 결합 구멍(16)은 후술하는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를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12)의 상부벽(12a)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개구(노치)와, 상부벽(12a)의 측면 에지에 연속하는 측벽부(12b)에 의해 형성된다.
선단부측에서의 랜스 결합 구멍(16)의 에지부는 랜스 결합면(16a)이 되며, 이 랜스 결합면(16a)은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의 돌출부(42b)와 접촉하여 분리를 방지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스 결합면(16a)은 후크형상(L자형)의 결합면으로서, 상부벽(12a) 개구의 에지부인 제1결합면(161)과, 측벽부(12b) 개구의 에지부이면서 제1결합면(161)의 단부로부터 상부벽(12a)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면(162)을 구비한다.
전선 압착부(14)는 전선의 도체에 압착되는 도체 코킹편(17)과, 전선의 피복부에 코킹되는 피복부 코킹편(18)을 구비한다.
피메일 접속 단자(2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 제품으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도 9에서 좌측 단부)에 형성된 각진 통형상 단자 정합부(21)와, 단자 정합부(21)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각진 통형상 구조의 각진 통형상부(22)와, 각진 통형상부(22)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전선 압착부(24)를 구비한다. 한편, 도 9의 좌측은 전방측으로 정하고, 도 9의 우측은 후방측으로 정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진 통형상부(22)는 단자 정합부(21)의 후방 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각진 통형상 구조를 구비한다. 각진 통형상부(22)의 상부벽(22a)에는 랜스 결합 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랜스 결합 구멍(23)은 후술하는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출부(32b)가 결합되는 랜스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단자 정합부(21)는 메일 탭 단자(10)에서 그 선단부의 탭(11)이 정합가능한 각진 통형상 구조로서 탭(11)이 정합 접속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정합부(21) 내부에는 삽입된 탭(11)을 상면(21a) 측으로 가압하여 탭(11)에 대해 통전 접속을 실현하는 가압 스프링 편(26)이 설치되어 있다.
랜스 결합 구멍(23)은 후술하는 피메일 하우징(30)에서 그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출부(32b)가 결합하는 랜스 결합부이다. 랜스 결합 구멍(23)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개구로서 도 8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중심축(C20)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고 폭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출부(32b)가 각진 통형상부(22)의 일 측벽부(22b)와 결합할 수 있도록 랜스 결합 구멍(23)이 형성된다. 즉, 랜스 결합 구멍(23)은 후술하는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를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22)의 상부벽(22a)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개구(노치)와, 상부벽(22a)의 측면 에지에 연속하는 측벽부(22b)에 의해 형성된다.
선단부측에서의 랜스 결합 구멍(26)의 에지부는 랜스 결합면(23a)이 되며, 이 랜스 결합면(23a)은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출부(32b)와 접촉하여 분리를 방지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스 결합면(23a)은 후크형상(L자형)의 결합면으로서, 상부벽(22a)에서의 개구 에지부인 제1결합면(231)과, 측벽부(22b)에서의 개구 에지부이면서 제1결합면(231)의 단부로부터 상부벽(22a)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면(232)을 구비한다.
전선 압착부(24)는 전선의 도체에 압착되는 도체 코킹편(27)과, 전선의 피복부에 코킹되는 피복부 코킹편(28)을 구비한다.
피메일 하우징(30)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 제품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 탭 삽입 구멍(33), 및 테이퍼형 안내면(34)을 구비한다.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은 내부에 피메일 접속 단자(20)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은 피메일 하우징(30)의 후방 단부면(기단면)에 개구되어 있으며, 피메일 접속 단자(20)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는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에 배치되어 이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32a)과, 이 탄성편(32a)으로부터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의 중앙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b)를 구비한다.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랜스 결합면(23a)과 돌출부(32b)가 접촉함에 따라서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는 피메일 접속 단자(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탭 삽입 구멍(33)은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에 유지된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단자 정합부(21)로 탭(11)을 삽입하기 위해 하우징 선단부에 관통 형성된 구멍으로서 그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다. 탭 삽입 구멍(33)은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에 연통되어 있다.
테이퍼형 안내면(34)은 탭(11)의 선단부가 접촉한 경우에, 접촉된 탭(11)을 탭 삽입 구멍(33)의 중심으로 향하여 안내하는 테이퍼면이다. 이 테이퍼형 안내면(3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 삽입 구멍(33)의 개구 에지의 4변에 대응한 4개의 안내면(34a, 34b, 34c, 34d)을 구비한다. 안내면(34a)은 탭 삽입 구멍(33)의 개구 에지의 상변에 연속하는 테이퍼면이다. 안내면(34b)은 탭 삽입 구멍(33)의 개구 에지의 하부변에 연속하는 테이퍼면이다. 안내면(34c)은 탭 삽입 구멍(33)의 개구 에지의 좌변(도 3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변)에 연속하는 테이퍼면이다. 안내면(34d)은 탭 삽입 구멍(33)의 개구 에지의 우변(도 3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변)에 연속하는 테이퍼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기부(32b)는 단자 폭방향을 따라서 일정 폭(W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32b)[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중심축(C32)은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31)의 중심축(C31)에 대하여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폭 방향 좌측(도 3에서 좌측)으로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축(C32)과 중심축(C31) 사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수(d2)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돌기부(32b)가 결합하는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랜스 결합 구멍(23)은 중심축(C31)에 대한 중심축(C32)의 편심량(d2)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한 피메일 접속 단자(20)의 중심축(C20)으로부터 단자 폭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하우징(40)은 내부에 메일 탭 단자(10)를 수용하는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과,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에 마주하여 설치된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를 구비한다.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는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의 길이(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탄성편(42a)과, 이 탄성편(42a)으로부터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부(42b)를 구비한다. 돌기부(42b)가 메일 탭 단자(10)의 랜스 결합면(16a)에 결합함에 따라서,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는 메일 탭 단자(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메일 하우징(30)의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32)의 경우와 같이,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가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의 중심축에 대하여 메일 탭 단자(10)의 폭방향으로 편심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가 결합하는 제2랜스 결합부인 메일 탭 단자(10)의 랜스 결합 구멍(16)이 메일 탭 단자(10)의 중심축으로부터 단자 폭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된다. 이 랜스 결합 구멍(16)의 편심량은 전술한 메일 단자 수용 구멍(41)에 대한 메일 단자 결합 랜스(42)의 편심량(d2)에 대응한다.
이상 설명한 메일 탭 단자(10)나 피메일 접속 단자(20)에 있어서는, 랜스 결합면(16a, 23a)은 후크형상으로서, 각진 통형상부(12, 22)의 상부벽(12a, 22a)에서 그 개구의 에지부인 제1결합면(161, 231)과, 측벽부(12b, 22b)에서 그 개구의 에지부이면서 제1결합면(161, 231)의 단부로부터 상부벽(12a, 22a)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결합면(162, 232)을 구비한다.
상부벽에서의 개구 에지부의 일부만을 사용하는 직선형의 랜스 결합면(도 12 참조)을 구비한 종래의 접속 단자와 비교할 때, 후크형상 랜스 결합면(16a, 23a)을 구비한 접속 단자(10, 20)는 랜스(32, 42)의 돌기부(32b, 42b)에 대한 증가된 접촉 면적과, 후크형상 구조에 의해 향상된 기계적 강도(좌굴강도: buckling strength)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접속 단자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랜스(32, 42)의 결합시에 있어서 그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커넥터 하우징(30, 40)의 랜스(32, 42)와 접속 단자(10, 20) 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30, 40)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10, 20)의 유지력 을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크형상 랜스 결합면을 구비한 접속 단자로서, 피메일 단자인 피메일 접속 단자(20)와, 메일 단자인 메일 탭 단자(10)를 설명하였다. 다시 설명하면, 랜스 결합면을 후크형상으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접속 단자가 메일, 피메일 단자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가 메일, 피메일 단자인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접속 단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의 랜스와 접속 단자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의 유지력 향상을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개수, 배치부위, 등은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으면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랜스 결합면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 측의 랜스의 돌기부에 접촉하는 제2결합면의 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 03. 30.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1-075926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접속 단자에 따르면, 랜스 결합면이 후크형상으로 구성된다. 직선형의 랜스 결합면을 구비한 종래의 접속 단자와 비교할 때, 랜스의 돌기부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후크형상 구조로 인해 기계적인 강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자는 접속 단자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랜스와의 결합시에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1. 커넥터
10. 메일 탭 단자(접속 단자)
11. 탭
16. 랜스 결합 구멍(제2랜스 결합부)
16a. 랜스 결합면
20. 피메일 접속 단자(접속 단자)
21. 단자 정합부
23. 랜스 결합 구멍(랜스 결합부)
23a. 랜스 결합면
30. 피메일 하우징(제1하우징)
31.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
32.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
32b. 돌출부
40. 메일 하우징(제2하우징)
41. 메일 단자 수용 구멍
42. 메일 단자 결합 랜스
42b. 돌출부
161. 제1결합면
162. 제2결합면
231. 제1결합면
232. 제2결합면
10. 메일 탭 단자(접속 단자)
11. 탭
16. 랜스 결합 구멍(제2랜스 결합부)
16a. 랜스 결합면
20. 피메일 접속 단자(접속 단자)
21. 단자 정합부
23. 랜스 결합 구멍(랜스 결합부)
23a. 랜스 결합면
30. 피메일 하우징(제1하우징)
31. 피메일 단자 수용 구멍
32. 피메일 단자 결합 랜스
32b. 돌출부
40. 메일 하우징(제2하우징)
41. 메일 단자 수용 구멍
42. 메일 단자 결합 랜스
42b. 돌출부
161. 제1결합면
162. 제2결합면
231. 제1결합면
232. 제2결합면
Claims (3)
- 접속 단자로서:
상대 접속 단자의 선단부와 정합하는 단자 정합부와;
상기 단자 정합부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는 각진 통형상부와;
상기 각진 통형상부에 형성된 랜스 결합면;
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구멍에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랜스 결합면은 상기 단자 수용 구멍에 배치된 랜스의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 구멍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랜스 결합면은 랜스 결합 구멍의 에지부인 후크형상 결합면으로서, 상기 랜스와 마주하는 각진 통형상부의 상부벽을 가로질러 형성된 개구와, 상기 상부벽의 측면 에지에 연속하는 측벽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랜스 결합면은 상기 상부벽에서의 상기 개구의 에지부인 제1결합면과 상기 측벽부에서의 개구의 에지부이고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상부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랜스의 돌출부의 중심축은, 상기 단자 수용 구멍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의 폭 방향에서 편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의 랜스 결합 구멍은, 상기 랜스의 돌출부의 중심축의 편심량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 단자의 중심축으로부터 접속 단자 폭 방향에서 편심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합부는 상기 상대 접속 단자의 탭이 정합가능한 각진 통형상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합부는 상기 상대 접속 단자의 각진 통형상 구조를 구비한 단자 정합부에 정합가능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75926 | 2011-03-30 | ||
JP2011075926A JP6092500B2 (ja) | 2011-03-30 | 2011-03-30 | コネクタ |
PCT/JP2012/057989 WO2012133444A1 (ja) | 2011-03-30 | 2012-03-27 | 接続端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327A KR20140000327A (ko) | 2014-01-02 |
KR101523162B1 true KR101523162B1 (ko) | 2015-05-26 |
Family
ID=4693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5851A KR101523162B1 (ko) | 2011-03-30 | 2012-03-27 | 접속 단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197009B2 (ko) |
JP (1) | JP6092500B2 (ko) |
KR (1) | KR101523162B1 (ko) |
CN (1) | CN103460513A (ko) |
DE (1) | DE112012001471T5 (ko) |
WO (1) | WO201213344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86115A (ja) * | 2011-03-08 | 2012-09-27 | Yazaki Corp | コネクタ |
CA2836651C (en) | 2012-12-27 | 2016-03-22 |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 Ankl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
US9974588B2 (en) | 2012-12-27 | 2018-05-22 |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 Ankl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
US9480571B2 (en) | 2012-12-27 | 2016-11-01 |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 Ankl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
BR112015022274A2 (pt) | 2013-03-14 | 2017-07-18 | Wright Medical Tech Inc | sistema e método de substituição de tornozelo |
JP6781934B2 (ja) * | 2017-04-26 | 2020-11-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 |
DE102018009921A1 (de) * | 2018-12-17 | 2020-06-18 | Leopold Kostal Gmbh & Co. Kg | Flachsteckverbinderanordnung und Flachkontakt für die Flachsteckverbinderanordnu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7574A (ja) * | 2001-09-05 | 2003-03-14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
JP2007141069A (ja) * | 2005-11-21 | 2007-06-07 | Canon Inc | 情報取得システム |
JP2007287615A (ja) * | 2006-04-20 | 2007-11-01 | Yazaki Corp | 端子金具 |
JP2009104863A (ja) * | 2007-10-23 | 2009-05-14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メス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3328A (en) * | 1993-11-04 | 1997-01-14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Female terminal fitting for connector |
JP2003157924A (ja) * | 2001-11-22 | 2003-05-3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雌側端子金具 |
DE10252832B4 (de) * | 2001-11-22 | 2006-11-30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 Anschlußpaßstück und Verfahren zum Ausbilden desselben |
JP4586714B2 (ja) | 2005-11-17 | 2010-11-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1786066B1 (en) | 2005-11-15 | 2011-01-26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A connector |
JP4743109B2 (ja) * | 2006-12-18 | 2011-08-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
JP5098875B2 (ja) * | 2008-07-31 | 2012-12-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500578B2 (ja) | 2009-09-30 | 2014-05-21 | シンジーテック株式会社 | 導電性ゴム部材 |
-
2011
- 2011-03-30 JP JP2011075926A patent/JP6092500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3-27 WO PCT/JP2012/057989 patent/WO201213344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3-27 DE DE112012001471T patent/DE112012001471T5/de not_active Withdrawn
- 2012-03-27 KR KR1020137025851A patent/KR1015231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3-27 US US13/984,194 patent/US91970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3-27 CN CN2012800158796A patent/CN103460513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7574A (ja) * | 2001-09-05 | 2003-03-14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
JP2007141069A (ja) * | 2005-11-21 | 2007-06-07 | Canon Inc | 情報取得システム |
JP2007287615A (ja) * | 2006-04-20 | 2007-11-01 | Yazaki Corp | 端子金具 |
JP2009104863A (ja) * | 2007-10-23 | 2009-05-14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メス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316562A1 (en) | 2013-11-28 |
JP6092500B2 (ja) | 2017-03-08 |
US9197009B2 (en) | 2015-11-24 |
WO2012133444A1 (ja) | 2012-10-04 |
JP2012209222A (ja) | 2012-10-25 |
DE112012001471T5 (de) | 2013-12-19 |
KR20140000327A (ko) | 2014-01-02 |
CN103460513A (zh) | 2013-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3162B1 (ko) | 접속 단자 | |
CN110797687B (zh) | 电连接器 | |
JP5708837B1 (ja) | コネクタ端子 | |
JP5699029B2 (ja) | コネクタ | |
CN104253337B (zh) |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 |
US8851938B2 (en) |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
TWI523346B (zh)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 |
US9350119B2 (en) |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 |
WO2014199833A1 (ja) | 雌端子 | |
CN108736185B (zh) |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 |
WO2012133350A1 (ja) | コネクタ | |
CN110649410B (zh) | 端子金属配件 | |
CN111092318B (zh) | 端子以及连接电线与端子的方法 | |
KR20150027231A (ko) | 커넥터 및 접속 단자 | |
JP2006331971A (ja) | 雌端子および雌端子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 |
KR20070076550A (ko) | 단자 피팅 및 이 단자 피팅이 마련된 커넥터 | |
JP2002124333A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JP5836623B2 (ja) | コネクタ | |
CN218997128U (zh) | 端子、电连接器、线束和车辆 | |
JP4548798B2 (ja) | 電気コネクタ | |
CN111146613B (zh) |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 |
WO2023042619A1 (ja) | 積層コネクタ | |
KR20090004915U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JP5129792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2002124351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