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236B1 -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236B1
KR101509236B1 KR20140048649A KR20140048649A KR101509236B1 KR 101509236 B1 KR101509236 B1 KR 101509236B1 KR 20140048649 A KR20140048649 A KR 20140048649A KR 20140048649 A KR20140048649 A KR 20140048649A KR 101509236 B1 KR101509236 B1 KR 10150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tea material
burdock
roasting
lotus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식
Original Assignee
신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식 filed Critical 신상식
Priority to KR2014004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차재료로 이용하여 건강에 유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은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잘게 잘라 혼합하여 차재료를 준비하는 혼합단계와, 차재료에 열풍을 가해 상기 차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차재료를 볶는 로스팅단계와, 로스팅단계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차재료를 티백에 주입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ea using lotus root, burdock, balloonflower, yam}
본 발명은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차재료로 이용하여 건강에 유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정신적 및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대인관계가 점점 다양해지고 빈번해짐에 따라 타인과의 만남시 촉매역할을 하거나, 개인이 조용하게 자신만의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 사고(思考)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해주는 기호식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차(茶)나 커피가 즐겨 이용되고 있다.
기호식품의 일종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는 커피는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주성분인 카페인이 아드레날린이라고 알려진 체내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활동을 활성화시켜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나, 이와 같은 커피를 빈번하게 마시는 경우 카페인의 독성 및 중독성 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커피를 대체할 기호식품으로서 차나무의 어린잎을 가공하여 제조한 녹차(綠茶:작설차)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현미차, 자스민차나 또는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 등 여러 종류의 차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의 잎을 이용한 몇 가지 종류의 차가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종류가 매우 적어 다양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면면히 이어온 선현들의 정신과 멋이 살아 숨쉬는 듯한 높은 품격을 갖춘 새로운 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94133호에는 연근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특허는 연근, 둥근마 및 연자를 두 번 나누어 볶음 처리하되, 상기 연근은 용기 표면온도 220 ~ 240℃, 연근온도 110 ~ 130℃에서 6 ~ 8분(min) 동안 볶음 수행한 다음 2 ~3분간 식혀서 6 ~ 8분(min)동안 2차 볶음을 실시하고, 상기 둥근마는 용기 표면온도 210 ~ 230℃, 둥근마 온도 100 ~ 120℃에서 4 ~ 6분(min) 동안 1차 볶음을 수행한 다음 2 ~ 3분간 식혀서 다시 4 ~ 6분(min) 동안 2차 볶음을 실시하며, 상기 연자는 용기 표면온도 200 ~ 220℃, 연자 온도 90 ~ 110℃에서 3 ~ 5분(min) 동안 볶음 수행한 다음 2 ~3분간 식히는 단계를 2차로 실시한 다음 상기 연근, 둥근마 및 연자를 입자 상태로 파쇄하여 혼합한다.
상기 특허는 각 재료를 따라 볶은 후 혼합하므로 각 재료의 향이 한데 어우러지지 못해 차의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가 개방된 용기에서 볶으므로 재료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분들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므로 유용성분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4가지 차의 재료인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 내에서 한번에 볶아 차를 제조함으로써 향미가 우수하고 건강에 유용한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은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잘게 잘라 혼합하여 차재료를 준비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차재료에 열풍을 가해 상기 차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차재료를 볶는 로스팅단계와; 상기 로스팅단계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차재료를 티백에 주입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건조된 차재료를 밀폐된 용기 내부에 투입한 후 열을 가해 4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용기 내부로 황칠나무 추출액을 분사하여 상기 차재료 내부에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을 침투시키면서 수행하며,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은 황칠나무에 대하여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2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4가지 차의 재료인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 내에서 한번에 볶아 차를 제조함으로써 향미가 우수하고 건강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액을 차재료에 침투시킴으로써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황산화 활성에 의해 차의 장기 보관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의 제조방법은 크게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잘게 잘라 혼합하여 차재료를 준비하는 혼합단계와, 차재료에 열풍을 가해 상기 차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차재료를 볶는 로스팅단계와, 로스팅단계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차재료를 티백에 주입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혼합단계
먼저,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잘게 잘라 혼합하여 차재료를 준비한다. 여기서 차재료는 잘게 자른 연근, 잘게 자른 우엉, 잘게 자른 도라지, 잘게 자른 마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연근은 연의 뿌리를 의미한다. 연(Nelumbo nucifera)은 한국, 시베리아 지역의 못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로서 예전에는 연꽃은 관상용으로, 연은 차와 술로 이용되었으나 근대에 이르러 연근 및 연잎, 연꽃이 식용이나 약용으로 많이 이용되게 되었다. 특히 연근은 가을철에 뿌리줄기의 끝 부분이 굵어져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으로 본초명으로는 우(藕)라 하며, 예로부터 한방과 민가에서 맛은 달고 떫으면서 성질이 차지도 덥지도 않아 죽으로 요리하여 장복하면 어혈을 풀어주고, 신경통이나 류머티즘 및 피로회복과 병후의 회복에 좋으며, 위장과 폐가 약하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 스트레스와 초조감,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널리 이용되어왔다.
연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식물성 섬유는 장의 벽을 자극하여 장내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며 아스파라긴 약 2%를 비롯하여 알기닌, 티로신, 트리코네린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지질인 레시틴이 풍부하다. 또한 연근에는 실과 같은 끈끈한 뮤신이라는 당단백질 물질이 있어 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콜리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해독작용 등을 한다.
우엉(Arctium laooa)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일반적으로는 뿌리를 식용으로 하고, 어린 줄기잎도 먹는다. 야생종은 유럽, 시베리아, 만주 등지에 자생하며, 유럽에서는 간혹 어린 잎과 뿌리를 식용으로 하고, 중국에서는 종자를 우방자(牛蒡子)라 하여 이뇨제로 쓰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우엉이 채소로서 발달되었고, 한국에서도 채소로서의 용도로 그 재배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우엉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열매,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및 껍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뿌리를 이용한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한국, 일본 및 중국의 산간지방에서 널리 자생하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고, 일반식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채 식품으로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 당질 및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사포닌은 동물실험에서 진해, 거담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급성 만성염, 항궤양 및 위액분비 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 항산화 및 항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도라지는 뿌리를 이용한다.
마(Dioscorea batatas)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우(山芋)·서여(薯囊)라고도 하며, 중국 원산으로 약초로 재배하며 산지에서 자생한다. 마의 덩이뿌리는 전분이 주성분으로 15 내지 20% 들어있으며,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트립토판 등의 각종 아미노산과,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등의 무기질뿐 아니라 비타민 B1, 및 비타민 C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마는 덩이뿌리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차의 재료로 이용하는 연근, 우엉, 도라지, 마는 모두 가식부위인 식물의 뿌리 부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차의 재료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상기 네가지 재료는 모두 전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구수한 맛을 낼 수 있으며 각 재료의 향들이 잘 어우러져 차의 향미를 증대시키는데 적합하다.
연근, 우엉, 도라지, 마는 각각 깨끗한 물로 2 내지 3회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한 다음 잘게 자른다. 잘게 자른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혼합함으로써 차재료가 준비된다.
연근, 우엉, 도라지, 마의 혼합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연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엉 60 내지 100중량부, 도라지 40 내지 80중량부, 마 40 내지 8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2. 건조단계
다음으로, 연근, 우엉, 도라지, 마가 혼합된 차재료는 볶기 전에 수분을 감소시키는 건조단계를 거친다.
건조방식으로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빠른 건조를 위해 열풍건조시킨다. 가령, 60 내지 80℃의 열풍으로 6 내지 12시간 정도 건조시킨다. 건조 후 차재료의 수분함량은 약 4 내지 10중량%가 적당하다.
3. 로스팅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차재료는 열을 가해 볶는다. 열을 가해 볶는 로스팅(roasting)은 차재료 내부 조직에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차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가공공정이다. 로스팅의 온도와 시간에 따라 차는 다양한 향과 맛을 낸다. 본 발명에서는 로스팅의 온도는 120 내지 140℃, 시간은 4 내지 10분이 적절하다.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혼합한 상태로 함께 볶기 때문에 각 재료의 향이 한데 어우러져 차의 향미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차재료를 밀폐된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해 차재료를 볶는다.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팬이나 가마솥에 볶아서 차를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본 발명은 밀폐된 용기에서 차재료를 볶는다. 이는 볶는 과정에서 차재료로부터 발생된 휘발성 성분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차재료의 유용성분들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밀폐된 용기의 내부에는 차재료를 교반시켜줄 교반기가 설치되어 열을 가하면서 차재료를 골고루 교반해준다. 밀폐 용기의 내부 온도를 120 내지 140℃로 조절한 상태에서 4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볶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로스팅 과정에서 황칠나무 추출액을 차재료에 침투시킨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최대 높이 15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우리 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액이 소량 분비되는데 이를 황칠이라 한다. 황칠나무는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라는 학명을 가질 정도로 그 약리학적 효능이 매우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황칠나무의 수피에서 채취되는 수액인 황칠은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나무로 일찍이 주목받았으며, 과거에는 천연도료로 쓰였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암, 항산화 효과, 간세포 재생, 당뇨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황칠나무 추출액은 차재료에 침투됨으로써 제조되는 차의 기능성을 부가한다. 황칠나무 추출액은 우수한 황산화 활성에 의해 차의 맛의 변질을 막아 차의 장기보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로스팅 과정에서 황칠나무 추출액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어 건강에 유용한 황칠성분을 차의 형태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황칠나무 추출액은 황칠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의미한다.
황칠나무 추출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황칠나무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10 내지 12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차재료에 황칠 성분을 침투시키기 위해 로스팅 과정에서 차재료를 볶는 용기 내부로 황칠나무 추출액을 분사한다. 황칠나무 추출액의 분사는 로스팅 중간에 1 내지 2회 정도 실시하거나, 로스팅이 완료된 직후 실시할 수 있다.
열을 가해 차재료를 볶게 되면 차재료는 내부에 수분이 제거되면서 미세한 구멍이 무수하게 형성된 건조한 다공질 조직으로 변한다. 이때 분사되는 황칠나무 추출액은 차재료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된다.
4. 냉각단계
로스팅이 완료되면 볶아진 차재료를 20 내지 30℃의 실온에서 냉각시킨다. 열이 외부로 잘 방출될 수 있도록 차재료를 바닥에 넓게 펼친 상태로 자연냉각시킨다.
5. 포장단계
차재료를 냉각시킨 후 포장단계를 수행한다. 필요할 경우 포장 전에 차재료를 1~2mm 크기로 잘게 자르는 절단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차재료는 일정량씩 티백에 주입하여 포장한다. 또한, 티백에 담지 않고 통 형상의 포장용기에 담아 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차에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우려내서 차 음료로 마실 수 있다. 가령, 티백을 찻잔에 담은 후 70 내지 90℃의 뜨거운 물을 붓고 1~3분 정도 우려낸 후 마신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준비된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각각 깨끗한 물로 2회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한 후 1 내지 2cm 크기로 잘게 잘랐다. 그리고 연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엉 80중량부, 도라지 60중량부, 마 6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차재료를 만든 다음 70℃의 열풍을 8시간 정도 가해 건조시켰다. 그리고 내부에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상부에 뚜껑이 결합된 밀폐용기 내부에 차재료를 투입한 후 밀폐용기를 가열하여 밀폐용기 내부 온도를 약 130℃로 조절한 상태에서 6분 동안 교반하면서 볶았다. 그리고 밀폐용기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꺼낸 다음 돗자리에 넓게 펼친 상태로 실내에서 자연냉각시킨 다음 부직포 소재의 티백에 담아 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를 제조하되, 차재료를 볶은 직후 밀폐용기의 뚜껑을 열고 차재료를 교반하는 상태에서 황칠나무 추출액을 골고루 분사하였다. 이때 볶은 차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추출액 5중량부를 분사하였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은 황칠나무의 가지에 물을 10배를 가한 후 11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를 제조하되, 각 재료를 각각 볶은 후 혼합하였다. 구체적 방법은 아래와 같다.
준비된 연근을 깨끗한 물로 2회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한 후 1 내지 2cm 크기로 잘게 잘랐다. 그리고 70℃의 열풍을 8시간 정도 가해 건조시킨 다음 내부에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상부에 뚜껑이 결합된 밀폐용기 내부에 연근을 투입한 후 밀폐용기를 가열하여 밀폐용기 내부 온도를 약 130℃로 조절한 상태에서 6분 동안 교반하면서 볶았다. 그리고 밀폐용기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꺼낸 다음 돗자리에 넓게 펼친 상태로 실내에서 자연냉각시켰다.
우엉, 도라지, 마 역시 상기 연근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 건조, 로스팅, 냉각과정을 거쳐 준비하였다. 그리고 연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엉 80중량부, 도라지 60중량부, 마 6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부직포 소재의 티백에 담아 차를 제조하였다.
<관능검사>
상기 실시 예 1 및 2, 비교 예에서 제조한 차의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90℃ 물이 담긴 찻잔에 상기 실시 예 1 및 2, 비교 예의 티백을 5분 정도 담가 우려내었다. 이렇게 얻어진 차 음료를 시료로 이용하였다.
패널은 성인 10명(남 5명, 여 5명)을 선정하여 차 음료의 향과 맛, 전체적기호도를 9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전체적기호도
실시예1 8.2 8.3 8.2
실시예2 8.5 8.8 8.6
비교예 5.9 5.1 4.72
상기 표 1의 관능검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의 경우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비해 맛과 향에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경우 4가지 재료가 한데 어우러져 차의 향미를 증진시킨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제 2실시예는 맛과 향에서 제 1실시 예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황칠나무 추출액이 차재료에 침투되어 기호도를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황칠나무 추출액을 가미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 유용함과 동시에 차의 장기보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잘게 잘라 혼합하여 차재료를 준비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차재료에 열풍을 가해 상기 차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차재료를 볶는 로스팅단계와;
    상기 로스팅단계에서 볶아진 차재료를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된 차재료를 티백에 주입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건조된 차재료를 밀폐된 용기 내부에 투입한 후 열을 가해 4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볶으며,
    상기 로스팅단계는 상기 용기 내부로 황칠나무 추출액을 분사하여 상기 차재료 내부에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을 침투시키면서 수행하며,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은 황칠나무에 대하여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2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20140048649A 2014-04-23 2014-04-23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150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649A KR101509236B1 (ko) 2014-04-23 2014-04-23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649A KR101509236B1 (ko) 2014-04-23 2014-04-23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236B1 true KR101509236B1 (ko) 2015-04-07

Family

ID=5303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649A KR101509236B1 (ko) 2014-04-23 2014-04-23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78B1 (ko) * 2015-08-14 2016-06-02 김한식 우엉과 누룽지 혼합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8582A (ko) * 2017-05-24 2018-12-04 농업회사법인 쌍계명차주식회사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KR20190080394A (ko) 2017-12-28 2019-07-08 김용운 연근, 연근촉(연근새싹)을 활용한 티백차 제조방법
KR102001640B1 (ko) * 2018-05-31 2019-07-18 (주)현진에프엔비 흑우엉 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차 제조방법
KR20210095319A (ko) 2020-01-23 2021-08-02 최은주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528B1 (ko) 2010-07-02 2013-03-11 이순숙 새싹채소를 주재료로 하는 새싹채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0711A (ko) * 2011-12-20 2013-06-28 복판규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528B1 (ko) 2010-07-02 2013-03-11 이순숙 새싹채소를 주재료로 하는 새싹채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0711A (ko) * 2011-12-20 2013-06-28 복판규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78B1 (ko) * 2015-08-14 2016-06-02 김한식 우엉과 누룽지 혼합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8582A (ko) * 2017-05-24 2018-12-04 농업회사법인 쌍계명차주식회사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KR102173223B1 (ko) 2017-05-24 2020-11-03 농업회사법인 쌍계명차주식회사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KR20190080394A (ko) 2017-12-28 2019-07-08 김용운 연근, 연근촉(연근새싹)을 활용한 티백차 제조방법
KR102001640B1 (ko) * 2018-05-31 2019-07-18 (주)현진에프엔비 흑우엉 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흑우엉 차 제조방법
KR20210095319A (ko) 2020-01-23 2021-08-02 최은주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KR102325222B1 (ko) 2020-01-23 2021-11-10 최은주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44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KR101509236B1 (ko)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CN103931829B (zh) 一种青刺茶的制备方法
KR101166884B1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5B1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147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화무차의 제조방법 및 그 국화무차 티백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606558B1 (ko)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KR101725873B1 (ko) 도라지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의 제조방법
KR20190063852A (ko) 갯방풍 뿌리 증숙 차의 제조방법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377162B1 (ko) 커피를 함유한 민들레 뿌리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0509B1 (ko) 버섯튀김의 제조방법
KR20140080470A (ko) 차가버섯으로 발효한 고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KR20080104221A (ko) 순간발포(瞬間發泡)에 의한 달콤한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20170114078A (ko) 그라비올라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240B1 (ko) 꾸지뽕 분말차 조성물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50053740A (ko) 베타글루칸이 함유된 기능성커피의 제조방법
KR20110071153A (ko)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KR20150053739A (ko) 코코넛 과액(Coconut water)으로 발효한 고품질 커피의 제조방법
KR100952877B1 (ko) 헛개차의 제조방법
KR20210048033A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