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222B1 -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222B1
KR102325222B1 KR1020200009009A KR20200009009A KR102325222B1 KR 102325222 B1 KR102325222 B1 KR 102325222B1 KR 1020200009009 A KR1020200009009 A KR 1020200009009A KR 20200009009 A KR20200009009 A KR 20200009009A KR 102325222 B1 KR102325222 B1 KR 10232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s
lotus root
burdock
pork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319A (ko
Inventor
최은주
설영수
Original Assignee
최은주
설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주, 설영수 filed Critical 최은주
Priority to KR102020000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2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느타리버섯을 선별 및 건조하는 제 1단계; 선별 및 건조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 제 2단계;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3단계;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4단계;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5단계;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그는 제 6단계;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찌는 제 7단계;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8단계;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9단계;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는 제 10단계;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찌는 제 11단계;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 제 12단계; 덖은 상기 느타리버섯, 상기 우엉, 상기 연근 및 상기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단계에서 상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상기 우엉 20중량부, 상기 연근 20 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Mixed Tea Using Oyster Mushroom}
본 발명은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섭취가 용이하고 각 재료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다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과 다이어트, 힐링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커피나 탄산음료를 섭취하던 한국인들의 음용 습관이 변했기 때문이다.
또한, 건강에 좋은 차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마테차, 우엉차 등이 언론과 매체 등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차 음료에 새로운 원료인 탄산, 과일, 허브, 비타민 C 등을 추가한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한편, 연근과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차를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 연근과 돼지감자에 전분을 제거하지 않고 차를 제조하는 경우 전분 때문에 원재료의 맛을 느낄 수 없으며,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0923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근과 돼지감자에 전분을 제거하고, 느타리버섯, 우엉, 연근 및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느타리버섯을 선별 및 건조하는 제 1단계; 선별 및 건조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 제 2단계;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3단계;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4단계;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5단계;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그는 제 6단계;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찌는 제 7단계;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8단계;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9단계;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는 제 10단계;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찌는 제 11단계;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 제 12단계; 덖은 상기 느타리버섯, 상기 우엉, 상기 연근 및 상기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단계에서 상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상기 우엉 20중량부, 상기 연근 20 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느타리버섯을 150℃에서 5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힌 다음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우엉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찌고, 상기 제 8단계에서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단계에서 상기 돼지감자를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찌고, 상기 제 12단계에서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연근과 돼지감자에 전분이 제거되어 재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소비자의 기도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타리버섯을 선별 및 건조하는 제 1단계(S1), 선별 및 건조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 제 2단계(S2),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3단계(S3),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4단계(S4),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5단계(S5),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그는 제 6단계(S6),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찌는 제 7단계(S7),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8단계(S8),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9단계(S9),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는 제 10단계(S10),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찌는 제 11단계(S11),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 제 12단계(S12), 덖은 상기 느타리버섯, 상기 우엉, 상기 연근 및 상기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하는 제 13단계(S13)으로 구성된다.
제 1단계(S1)는 느타리버섯을 선별 및 건조한다. 상기 느타리버섯은 절단하지 않고 원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마디 2마디 이하의 크기를 사용하며, 4 내지 5cm의 상기 느타리버섯을 사용한다. 그리고 선별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자연 건조시키며, 완전히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느타리버섯은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마른 고목이나 고사목의 그루터기에 무더기로 돋아나 군생한다. 상기 느타리버섯의 식물성 식이섬유는 혈액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다.
제 2단계(S2)는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다. 선별 및 건조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150℃에서 50분 동안 덖고 식힌 다음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다. 상기 느타리버섯을 온도를 높혀가면서 덖어주어 속까지 완전히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느타리버섯을 150℃ 미만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을 익히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며, 15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의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느타리버섯을 50분 미만으로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 내부까지 익힐 수 없으며, 50분 초과하여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이 완전히 익은 상태로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느타리버섯을 200℃ 미만의 온도에서 2차로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20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느타리버섯을 30분 미만으로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이 완전히 익지 않았으며, 상기 느타리버섯을 30분 초과하여 덖는 경우 상기 느타리버섯이 완전히 익은 상태로,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소모된다.
제 3단계(S3)는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엉을 세척하면서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껍질을 약 50% 정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우엉의 껍질을 50% 미만으로 제거하는 경우 상기 우엉에서 흙내가 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초과하여 제거하는 경우 껍질의 영양 성분을 섭취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우엉을 슬라이스하여 절단한다.
상기 우엉은 당질의 일종인 이눌린이 풍부해 신장기능을 높여주고 이뇨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풍부한 식이섬유가 정장작용과 배변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제 4단계(S4)는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다. 상기 우엉을 자연 건조하여 완전히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우엉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다. 상기 우엉을 온도를 높혀가면서 덖어주어 속까지 완전히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우엉을 150℃ 미만의 온도에서 1차로 덖는 경우 상기 우엉을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15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우엉을 200℃ 미만의 온도에서 2차로 덖는 경우 상기 우엉을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20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우엉을 30분 미만으로 덖는 경우 상기 우엉이 완전히 익지 않았으며, 상기 우엉을 30분 초과하여 덖는 경우 상기 우엉이 완전히 익은 상태로,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소모된다.
제 5단계(S5)는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상기 연근을 세척하여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연근을 슬라이스하여 준비한다.
상기 연근은 연의 줄기로, 상기 연근에는 뮤신이 함유되어 있으며, 뮤신은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로 단벡질의 소화를 촉진한다. 또한 상기 연근에는 탄닌과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뛰어난 지혈효과가 있다.
제 6단계(S6)는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근다.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 동안 담궈서 상기 연근의 전분을 1차로 제거하며, 상기 연근에서 탄닌을 제거하여 쓴맛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근을 5분 미만으로 담그면 하기에서 설명될 찌는 과정을 더 하더라도 전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연근을 5분 초과하여 담그는 경우에는 상기 연근에서 식초맛이 과도하여 상기 연근의 맛을 해친다.
제 7단계(S7)는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찐다. 여기서, 상기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쪄서 상기 연근에 남은 전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연근을 5분 미만으로 찌는 경우 하기에서 설명될 건조와 덖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표면에 하얗게 전분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의 맛을 떨어트린다. 그리고 상기 연근을 5분 초과하여 찌는 경우 상기 연근의 유용한 성분들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8단계(S8)는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다. 상기 연근을 자연 건조하여 완전히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다. 상기 연근을 온도를 높혀가면서 덖어주어 속까지 완전히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근을 150℃ 미만의 온도에서 1차로 덖는 경우 상기 연근을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15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근을 200℃ 미만의 온도에서 2차로 덖는 경우 상기 연근을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20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연근을 30분 미만으로 덖는 경우 상기 연근이 완전히 익지 않았으며, 상기 연근을 30분 초과하여 덖는 경우 상기 연근이 완전히 익은 상태로,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소모된다.
제 9단계(S9)는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상기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돼지감자를 슬라이스하여 준비한다.
상기 돼지감자는 땅 속에 있는 덩이 모양의 뿌리 줄기로, 식용하거나 사료로 이용한다. 상기 돼지감자에는 이눌린이 풍부하며, 이눌린은 혈당을 조절해 주어 당뇨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성 식이섬유로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제 10단계(S10)는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다.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5분 동안 담궈서 상기 돼지감자의 전분을 1차로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돼지감자를 5분 미만으로 담그면 하기에서 설명될 찌는 과정을 더 하더라도 전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돼지감자를 5분 초과하여 담그는 경우에는 상기 돼지감자에 수분이 과도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건조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또한 돼지감자의 유용한 성분들이 배출된다.
제 11단계(S11)는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찐다. 여기서, 상기 돼지감자를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쪄서 상기 돼지감자에 남은 전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돼지감자를 5분 미만으로 찌는 경우 하기에서 설명될 건조와 덖는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표면에 하얗게 전분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의 맛을 떨어트린다. 그리고 상기 돼지감자를 5분 초과하여 찌는 경우 상기 돼지감자의 유용한 성분들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12단계(S12)는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다. 상기 돼지감자를 자연 건조하여 완전히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다. 상기 돼지감자를 온도를 높혀가면서 덖어주어 속까지 완전히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돼지감자를 150℃ 미만의 온도에서 1차로 덖는 경우 상기 돼지감자를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15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돼지감자를 200℃ 미만의 온도에서 2차로 덖는 경우 상기 돼지감자를 덖는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200℃ 초과의 온도에서 덖는 경우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돼지감자를 30분 미만으로 덖는 경우 상기 돼지감자가 완전히 익지 않았으며, 상기 돼지감자를 30분 초과하여 덖는 경우 상기 돼지감자가 완전히 익은 상태로,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소모된다.
제 13단계(S13)는 덖은 상기 느타리버섯, 상기 우엉, 상기 연근 및 상기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상기 우엉 20중량부, 상기 연근 20 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10중량부를 혼합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에서 실험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1.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확인 -1
본 발명에 의한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험에서 10개의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 과정에서 연근의 표면에 흰색의 전분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 동안 담근다.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 동안 담근다. 식초에 담근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비교예 1 10개
비교예 2 4개
비교예 3 5개
실시예 1 0개
상술한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1에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근 다음, 찌는 과정을 통해서 전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연근 표면에 전분이 확인되지 않았다.
2.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확인 -2
본 발명에 의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험에서 10개의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 과정에서 연근의 표면에 흰색의 전분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3분 동안 담근다. 식초에 담근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 동안 담근다. 식초에 담근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7분 동안 담근다. 식초에 담근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비교예 4 3개
실시예 2 0개
실시예 3 0개
상술한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 이상 담궈야 전분이 제거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관능평가 - 1
혼합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혼합차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4 7.15 6.85 7.20
실시예 2 8.50 8.50 8.50
실시예 3 6.00 5.90 7.35
상술한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3과 같이 상기 연근을 5분 초과하여 담그는 경우에는 혼합차에서 식초맛과 향이 과도하여 기호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연근을 5분 미만으로 담그는 경우에는 탄닌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상기 연근에서 쓴맛이 과도하였다.
4.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확인 -2
본 발명에 의한 혼합차 제조방법을 제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험에서 10개의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 과정에서 연근의 표면에 흰색의 전분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5분 동안 담근다.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5분 동안 담근다.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표면에 전분 발생 여부
비교예 5 10개
실시예 4 5개
실시예 5 4개
실시예 6 0개
상술한 표 4에서와 같이,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고 찌는 과정을 거쳐야만 상기 돼지감자에 전분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관능평가 - 2
혼합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혼합차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4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6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19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1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6 6.45 6.55 6.80
실시예 7 6.90 7.05 7.05
실시예 8 6.05 6.30 7.00
실시예 9 7.05 7.30 7.10
실시예 10 8.50 8.50 8.50
실시예 11 6.35 7.00 6.50
상술한 표 5에서와 같이, 비교예 6과 실시예 7의 경우, 상기 우엉이 내부까지 익지 않아 깊은 맛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실시예 8과 같이 처음부터 높은 온도로 덖을 경우 표면만 타서 탄맛이 느껴졌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도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서 표면이 탔다.
실시예 10에서는 더욱 향과 맛이 깊어져 기호도가 높은 혼합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관능평가 - 3
혼합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혼합차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4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6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4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19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5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연근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5분동안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그리고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1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7 7.20 6.55 6.90
실시예 12 7.45 7.05 7.30
실시예 13 6.05 6.30 6.30
실시예 14 7.05 7.35 7.10
실시예 15 8.50 8.50 8.50
실시예 16 7.05 6.90 7.15
상술한 표 6과 같이, 비교예 7과 실시예 12는 상기 연근이 골고루 익지 않아 깊은 맛을 느끼기 어려우며, 실시예 13 및 실시예 16에서는 상기 연근의 표면이 타탄맛이 느껴졌다. 실시예 15에서는 더욱 향과 맛이 깊어져 기호도가 높은 혼합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관능평가 - 4
혼합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혼합차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8은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4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7은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8은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60℃에서 30분 동안 덖고 식히는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9는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19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20은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21은 돼지감자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한다.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근 다음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찐다.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1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어서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8 6.55 6.40 6.80
실시예 17 7.00 6.95 7.05
실시예 18 6.30 6.45 6.75
실시예 19 7.35 7.10 7.05
실시예 20 8.50 8.50 8.50
실시예 21 7.00 6.80 6.90
상술한 표 7에 따르면, 실시예 8과 실시예 17은 상기 돼지감자가 덜익어 상기 돼지감자의 풍미가 덜 느껴졌으며, 실시예 18과 실시예 21에서는 탄맛이 느껴졌다.
8. 관능평가 - 5
혼합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혼합차의 맛, 향, 색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likert scale)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9]
비교예 9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10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2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15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은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20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24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25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25는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30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9 6.55 6.50 6.70
실시예 22 6.80 7.00 6.95
실시예 23 8.50 8.50 8.50
실시예 24 7.05 7.10 7.00
실시예 25 6.80 7.00 6.85
상술한 표 8과 같이, 상기 우엉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느타리버섯의 비린내가 과도하여 기호도가 떨어지며, 상기 우엉이 2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우엉의 쓴맛이 과도하였다. 실시예 24와 같이,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우엉 20 중량부, 연근 20 중량부, 돼지감자 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 맛이 조화롭고 기호도가 우수한 혼합차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 느타리버섯 선별 및 건조 단계
S2 : 느타리버섯 덖는 단계
S3 :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 하는 단계
S4 :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 단계
S5 :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S6 : 연근을 식초에 담그는 단계
S7 : 연근을 찌는 단계
S8 :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 단계
S9 :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S10 :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는 단계
S11 : 돼지감자를 찌는 단계
S12 :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 단계
S13 : 느타리버섯, 우엉, 연근 및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하는 단계

Claims (5)

  1. 느타리버섯을 선별 및 건조하는 제 1단계;
    선별 및 건조된 상기 느타리버섯을 덖는 제 2단계;
    우엉을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3단계;
    전처리된 상기 우엉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4단계;
    연근을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5단계;
    전처리된 상기 연근을 식초에 담그는 제 6단계;
    식초에 담근 상기 연근을 찌는 제 7단계;
    찐 상기 연근을 건조한 다음 덖는 제 8단계;
    돼지감자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제 9단계;
    전처리된 상기 돼지감자를 물에 담그는 제 10단계;
    물에 담근 상기 돼지감자를 찌는 제 11단계;
    찐 상기 돼지감자를 건조한 다음 덖는 제 12단계;
    덖은 상기 느타리버섯, 상기 우엉, 상기 연근 및 상기 돼지감자를 혼합하여 포장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단계에서 상기 느타리버섯 40 중량부, 상기 우엉 20중량부, 상기 연근 20 중량부, 상기 돼지감자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느타리버섯을 150℃에서 5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힌 다음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우엉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연근을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찌고,
    상기 제 8단계에서
    상기 연근을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단계에서
    상기 돼지감자를 물이 끓은 후 5분 동안 찌고,
    상기 제 12단계에서
    상기 돼지감자를 150℃에서 30분 동안 1차로 덖고 식히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200℃에서 30분 동안 2차로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KR1020200009009A 2020-01-23 2020-01-23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KR10232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09A KR102325222B1 (ko) 2020-01-23 2020-01-23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09A KR102325222B1 (ko) 2020-01-23 2020-01-23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19A KR20210095319A (ko) 2021-08-02
KR102325222B1 true KR102325222B1 (ko) 2021-11-10

Family

ID=7731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009A KR102325222B1 (ko) 2020-01-23 2020-01-23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2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36B1 (ko) 2014-04-23 2015-04-07 신상식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1601013B1 (ko) 2015-09-10 2016-03-08 (주)소산원 찬물에 우려먹는 냉침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38B1 (ko) * 2011-05-26 2013-11-20 김승용 돼지감자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0711A (ko) * 2011-12-20 2013-06-28 복판규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36B1 (ko) 2014-04-23 2015-04-07 신상식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1601013B1 (ko) 2015-09-10 2016-03-08 (주)소산원 찬물에 우려먹는 냉침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19A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9614A (zh) 一种香辣酱及其制备方法
KR102151378B1 (ko) 간장불고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간장불고기
CN107927219B (zh) 即食膨化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420387B1 (ko)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2006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CN103653065A (zh) 一种麻辣味油炸花生仁的生产方法
KR102291343B1 (ko) 돼지갈비 제조방법
KR102325222B1 (ko)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혼합차 제조방법
KR20200088575A (ko) 단감칩을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102581220B1 (ko) 갈비용 양념 소스 및 이를 이용한 갈비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
KR2020004828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념육 제조 방법
KR101801254B1 (ko) 짜장소스의 제조방법
KR20160099201A (ko) 블루베리 시럽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90058146A (ko) 콩나물 잡채의 제조방법
KR102379239B1 (ko) 솔잎을 이용한 닭가슴살 식품의 제조방법
KR102304539B1 (ko) 오색양파밥의 제조방법
KR20020016223A (ko) 사과고추장
KR101491686B1 (ko) 기호성을 향상시킨 양파 혼합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양파 혼합음료
KR101006076B1 (ko) 뽕잎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1149A (ko)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KR20090040055A (ko) 영양쌀의 제조방법 및 영양쌀을 이용한 즉석식품
CN110638012A (zh) 一种即食腌笋的加工方法
CN110651976A (zh) 一种即食清水笋的加工方法
KR102595926B1 (ko) 낙지 해물 파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1505B1 (ko) 고구마 떡볶이용 고구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