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739B1 -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39B1
KR101498739B1 KR1020087017405A KR20087017405A KR101498739B1 KR 101498739 B1 KR101498739 B1 KR 101498739B1 KR 1020087017405 A KR1020087017405 A KR 1020087017405A KR 20087017405 A KR20087017405 A KR 20087017405A KR 101498739 B1 KR101498739 B1 KR 10149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nting
print
delete delete
pri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154A (ko
Inventor
싱고 요코우치
가츠미 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무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63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28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2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28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2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82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27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2900B2/ja
Application filed by 무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G06K15/1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using ink jet print heads
    • G06K15/105Multipass or interlaced printing
    • G06K15/107Mask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4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with means for effecting line or character spacing in either direction
    • B41J19/142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with means for effecting line or character spacing in either direction with a reciprocating print head printing in both directions across the paper width
    • B41J19/147Colour shift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23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reducing size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05Ink jet for printing a discrete number of tones
    • B41J2/2054Ink jet for printing a discrete number of tones by the variation of dot disposition or characteristics, e.g. dot number density, dot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G06K15/1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using ink jet print heads
    • G06K15/105Multipass or interlaced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인쇄되는 화상의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가 공급된다.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는, 서로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인쇄 도트의 메인 주사 동작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에는, 그 서브 주사 방향의 단부의 이음매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나란히 늘어서지 않도록 한, 예를 들면, 파형의 요철 형상의 변형 데이터부가 형성된다.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요철 형상과, 상기 인쇄 데이터와 접하는 다른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요철 형상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인쇄된다.
프린터, 인쇄 데이터, 변형 데이터, 보완 데이터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PRINTER AND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서브 주사(sub-scanning)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dot)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main-scanning)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헤드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의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로서, 이음매(joint) 부분의 인쇄 얼룩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인쇄 위치를 복잡하게 하는 제안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검은 줄무늬 등의 농도 얼룩을 저감(低減)하기 위해서, 잉크의 양을 제어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도트의 선별(decimation) 처리나 겹쳐서 인쇄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밴드와 밴드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이음매 줄무늬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억제하도록 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이음매를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 라인을 중복시켜, 중복 라인의 기록 농도를 다른 비(非) 중복 라인보다 저농도로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비스듬히 인쇄하여, 밴딩(banding)을 방지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3401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2-20074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0-23893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평 09-9955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 2000-5259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이 보이는 현상은, 인쇄 장치의 용지의 반송 정밀도 등의 기계적 오차의 문제나 헤드의 부착 위치의 미묘한 편차,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인쇄 위치의 근소한 편차, 인쇄 데이터 문제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 용지가 반송된 후에 인쇄 헤드가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쇄 폭만큼의 인쇄를 실행하고 있는 점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쇄 헤드에 의해서 잉크 토출 노즐이 잉크를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경우에는, 이들 노즐 중, 인쇄 노즐 중에서 다수의 나란히 토출하고 있는 노즐이 있다면, 그 끝에 위치하는 노즐로부터의 인쇄 위치의 정밀도가 만족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 끝의 노즐과 그 이외의 노즐의 잉크 토출 제어는 같지만, 끝의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위치의 정밀도가 만족되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버리는 것으로 인해, 줄무늬 발생의 요인의 하나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인쇄 헤드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이음매 부분에서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 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헤드의 주사 방향의 줄무늬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동작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단부(端部)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한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도트 배열이 파형(波形)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의 인쇄는,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매체에 대한 N(N은 정수)회의 주사를 1단위로 하여 순차 완료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헤드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구비한 상기 화상의 인쇄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헤드에 1주사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 중, 화상의 선단(先端)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후단부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화상의 중간부의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화상의 후단(後端)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전단부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상의 인쇄가 완료됐을 때,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화상의 삭제 부분이 다음 인쇄 헤드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에 의해 보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n(n은 정수) 라인의 인쇄 데이터를 인쇄 단위로 하여 순차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의 이동과 인쇄 매체의 서브 주사 방향의 반송에 의해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소정 수(數)의 라인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서지 않도록, 이음매측의 단부의 라인이 요철 형상을 반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요철 형상과, 상기 인쇄 데이터와 접하는 다른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요철 형상이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인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철 형상이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철 형상은, 마스크 패턴(mask pattern)에 의해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도트 정보를 삭제해서 형성되고, 이 삭제된 도트 정보는, 다음 주사로 인쇄되는 인쇄 데이터의 요철 형상에 의해 보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삭제된 도트 정보의 보완 데이터는, 상기 마스크 패턴을 반전시켜서 작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동작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메인 데이터부의 서브 주사 방향의 단부측에, 이 단부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한 요철부를 갖는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여, 이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을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을 상기 서브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인쇄율을 서브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인쇄율이 변화된 영역을 변형 데이터부로 하고, 이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를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오버랩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동작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 메인 데이터부의 서브 주사 방향의 단부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한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여, 이 변형 데이터부를 상기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상기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의 양쪽을 따라 인쇄율이 변화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상기 요철부의 도트 배열이 파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상기 메인 데이터부와 접하는 쪽에, 인쇄율 100%의 영역을 형성하고, 이 인쇄율 100%의 영역과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이 변화되는 영역이 요철 모양으로 접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철 모양이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n은 정수) 라인의 인쇄 데이터를 인쇄 단위로 하여 순차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의 이동과 인쇄 매체의 서브 주사 방향의 반송에 의해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소정 수의 라인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서지 않도록, 이음매측의 단부의 라인이 요철 형상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이음매측의 근방의 소정 범위의 인쇄율을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음매측의 근방의 소정 범위의 인쇄율을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의 양쪽을 따라 변화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된 영역을 변형 데이터부로 하고, 이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를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오버랩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구비한 인쇄 데이터와 이음매가 접하는 다른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를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오버랩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요철 형상이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메인 주사 방향으로 겹치도록 병렬 모양으로 복수 배치하여 각각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 단부의 데이터에 이 인쇄 데이터의 단부의 도트가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에 변형 데이터부를 생성하는 변형 데이터 생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변형 데이터 생성 수단이 위상(位相)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 헤드에 위상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여 복수의 인쇄 헤드에 의해 위상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중첩해서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메인 주사 방향으로 겹치도록 병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쇄 헤드와, 서로 위상이 어긋난 복수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마스크 패턴 데이터에 의해 상기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 단부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변형 데이터부를 생성하는 변형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인쇄 헤드에 상기 요철부의 위상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여 복수의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요철부의 위상이 어긋난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중첩해서 인쇄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상기 요철부의 도트 배열이 파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인쇄율이 변화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의 메인 데이터부와 접하는 쪽에, 인쇄율 100%의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율 100%의 영역과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이 변화되는 영역이 요철 모양으로 접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철 모양이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에 의해 상기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의 인쇄는, 상기 인쇄 헤드의 상기 인쇄 매체에 대한 N(N은 정수)회의 주사를 1단위로 하여 순차 완료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헤드에 변형 데이터부를 구비한 상기 화상의 인쇄 데이터와 상기 보완 데이터를 구비한 인쇄 데이터 및/또는 상기 변형 데이터부와 보완 데이터의 양쪽을 구비한 인쇄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헤드에 1주사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 중, 화상의 선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후단부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화상의 중간부의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후단부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전단부에, 이것에 인접하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의 후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전단부에 이것에 접하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상의 인쇄가 완료됐을 때,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화상의 삭제 부분이 다음 인쇄 헤드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단부에 부가된 보완 데이터에 의해 보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주사 방향으로 겹치도록 병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쇄 헤드에, n(n은 정수) 라인의 인쇄 데이터를 인쇄 단위로 해서 순차 공급하여, 상기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의 이동과 인쇄 매체의 서브 주사 방향의 반송에 의해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 단부의 데이터에 상기 인쇄 데이터의 단부의 도트가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시켜서, 상기 인쇄 데이터에 변형 데이터부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인쇄 헤드에 위상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여 복수의 인쇄 헤드에 의해 위상이 어긋난 변형 데이터부를 중첩해서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주사 방향으로 겹치도록 병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인쇄 헤드에, n(n은 정수) 라인의 인쇄 데이터를 인쇄 단위로 해서 순차 공급하여, 상기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의 이동과 인쇄 매체의 서브 주사 방향의 반송에 의해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기본 마스크 패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복수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마스크 패턴 데이터에 의해 상기 각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메인 데이터부의 서브 주사 방향의 단부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한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인쇄 헤드에 위상이 어긋난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공급하여, 복수의 인쇄 헤드에 의해 위상이 어긋난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중첩해서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를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오버랩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를 구비한 인쇄 데이터와 이음매가 접하는 다른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측에, 상기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된 도트 데이터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보완 데이터를 상기 변형 데이터부에 오버랩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요철 형상이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인쇄 헤드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 눈에 띄지 않는, 인쇄 결과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인쇄 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인쇄 헤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은 인쇄 헤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 프린터
4: 컨트롤러
6: 커넥터
8: 컴퓨터
10: 인쇄 매체
12: 캐리지
14: 구동 롤러
16: 인쇄 유닛
18: 벨트 구동 롤러
20: 벨트 구동 롤러
22: 벨트
24: 핀치 롤러
26: 플래튼
28: 리니어 스케일
30: 인쇄 헤드
32: 노즐
34: 후단부
36: 변형 데이터부
38: 기본 마스크 패턴
40: 데이터
42: 부분
44: 전단 부분
46: 전단 부분
48: 후단 부분
50: 영역
52: 삭제 부분
54: 영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개략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잉크 제트 프린터(2)는, 컴퓨터 회로를 포함하는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되고, 이 컨트롤러(4)는 커넥터(6)를 통해서 외부의 컴퓨터(8)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4)에는, 인쇄용 데이터의 반송 방향 전후의 단부의 변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조립되어 있다. 컴퓨터(8)는, 프린터(2)에 실장(實裝)된 컨트롤러(4)로 인쇄 데이 터를 송신한다. 컨트롤러(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한 데이터의 해석을 실행하고, 프린터(2)의 구동부를 제어한다. 프린터(2)는, 지송(紙送) 모터에 의해 롤지(roll paper) 등의 인쇄 매체(10)를 화살표 방향 B로 반송하는 서브 주사 이송 기구와, 캐리지 모터에 의해 캐리지(12)를, 구동 롤러(14)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메인 주사 이송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서브 주사 이송 기구에 의한 인쇄 매체(10)의 이송 방향 B를 서브 주사 방향이라 하고, 메인 주사 이송 기구에 의한 캐리지(12)의 이동 방향 A를 메인 주사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인쇄’라 함은, 단순히 문자를 쓰는 의미가 아니고, 화상, 기호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캐리지(12)에는, 복수개의 인쇄 헤드를 구비한 인쇄 유닛(16)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12)는, 벨트 구동 롤러(18, 20) 사이에 걸쳐진 헤드 구동용 벨트(22)에 의해 Y축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메인 주사 방향(A)으로 왕복 구동된다. 인쇄 매체(10)는, 구동 롤러(14) 및 핀치 롤러(24)에 의해 서브 주사 방향으로 구동되어, 플래튼(platen)(26) 위를 슬라이드 한다. 인쇄 매체(10)로서는, 보통 롤지가 사용된다. 캐리지(12)의 위치는, 인쇄 유닛(16)에 설치된 센서와 이것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28)로 이루어진 리니어 인코더로부터의 타이밍 펜스(timing fence) 신호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인쇄 동작이 시작되면, 컨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캐리지(12)는, Y축 레일을 따라 메인 주사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어, 인쇄 유닛(16)에 탑재된 인쇄 헤드의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킨다. 인쇄 유닛(16)이 메인 주사 방향의 말단에 도달하면, 컨트롤러(4)는, 인쇄 매체(10)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소정 피치(pitch)만큼 이동시키고, 다음 메인 주사 방향의 인쇄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프린터(2), 컨트롤러(4) 및 컴퓨터(8)는, 전체로서 인쇄 장치를 구성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인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컴퓨터(8)는, 인쇄 출력해야 할, 싸인(sign) 문자나 도형, 모양, 화상 등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퓨터(8)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커넥터(6)를 통하여, 컨트롤러(4)로 전송된다(단계 1, 2). 컨트롤러(4)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컴퓨터(8)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인쇄 데이터를 해석 한다(단계 3). 컨트롤러(4)의 CMYK 변환부는, 각 화소의 색을 프린터(2)로 출력 가능한 잉크 색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인쇄 데이터를 잉크 제트 인쇄 헤드에 대응한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4). 도 3에 인쇄 헤드(30)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유닛(16)에는,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각각의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개의 인쇄 헤드가 장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 복수개의 인쇄 헤드 중, 한 개의 인쇄 헤드(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인쇄 헤드의 구성과 동작은 이제부터 설명하는 인쇄 헤드(30)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헤드(30)는, 서브 주사 방향으로 256개의 노즐(32)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작도(作圖)의 형편상 모든 노즐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물론, 인쇄 헤드(30)의 해상도는,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256개의 노즐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56개의 노즐 중, 예를 들면 4회의 주사로 인쇄를 완성시켜 갈 경우에 있어서는, 1회의 용지 반송 거리를 60노즐분(portion of 60 nozzles)으로 했을 경우, 60노즐의 4배에 해당하는 240노즐분과 단부 데이터 인쇄용으로서의 14노즐분을 인쇄에 사용하는 노즐로서 할당하여, 상기 254노즐을 사용하면서 인쇄를 실행해 간다. 이 때문에 나머지의 2노즐분은 미사용이 된다. 또한, 사용하는 노즐의 수, 반송 거리, 주사 횟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인쇄 헤드(30)의 최초의 4주사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4회의 인쇄 헤드(30)의 주사로, 60노즐분의 주사 영역(33)에 상당하는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 데이터 A는,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크기가 인쇄 헤드의 74노즐분에 대응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그 메인 데이터부의 후단부(34)(이음매)에, 14노즐분의 파형의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 데이터부(36)는, 인쇄 데이터 A, B, C, D의 모든 후단부(34)(이음매)에 형성된다.
도 13에, 변형 데이터부(36)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러(4)는, 미리 변형 데이터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마스크 패턴(38)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이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패턴(w) 이외에, 삼각 파형 패턴(t), 돌출형 패턴(p), 톱날형 패턴(s) 등 기타, 메인 주사 방향으로 도트가 연속적으로 늘어서지 않는 형상이면 어떠한 요철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이 파형 패턴의 높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면 좋은 것이며, 특별히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A에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인쇄 데이터 A의 메인 데이터부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14노즐 폭만큼의 데이터를 변경 부분의 데이터(40)로 하고, 이 데이터(40)에, 기본 마스크 패턴(38)이 파형으로 접속하도록, 도 13과 같이 전개하여, 변경 부분의 데이터(40)의 기본 마스크 패턴(38)으로부터 벗어난 부분(42)을 삭제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의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한다.
인쇄 데이터 A에 있어서, 변경 부분의 데이터(40)로부터 삭제된 부분(42)은, 통상은 파기되지만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로서 메모리에 보관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5회째의 인쇄 동작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E 전단부(44)에 보충분으로서 작성되어도 좋다. 또한, 보완 데이터 A'의 작성은, 기본 마스크 패턴(38)을 상하 반전시켜 마찬가지의 순서로 작성해 가면 좋다. 인쇄 데이터 중, 원본 화상(original image)의 전단 부분(46) 즉, 인쇄 개시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에는, 반송 방향의 후단부(34)에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고,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 즉, 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F, G, H, Ⅰ에는, 반송 방향 전단부(44)에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고, 원본 화상의 전·후단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부분의 인쇄 데이터 E에는, 반송 방향의 전후 단부(44, 34)에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된다.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된 각 인쇄 데이터 A, B, C, D, E, F, G, H, Ⅰ의 이음매측은, 파형의 형상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의 반송 방향 전후의 단부의 변경 처리가 실행되면(단계 5), 이어서, 컨트롤러(4)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헤드(30)로 전송하고(단계 6), 헤드 유닛(16)에 의한 인쇄(단계 7)가 실행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이 실행되어(단계 8), 인쇄 매체(10)에 원본 화상의 인쇄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 7과 8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인쇄 헤드(30)에 의한 1회째의 주사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헤드(30)의 74노즐 그룹에 의한 1회째의 주사가 완료되면,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A가 인쇄 매체(10)에 인쇄된다. 이어서, 인쇄 매체(10)는, 6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2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13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B가 인쇄된다. 인쇄 헤드(30)에 의한 2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는, 6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째, 4회째의 인쇄가 실행된다.
4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의, 60노즐분의 길이에 상당하는 첫 번째의 영역(50)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 영역(50)은, 도 7에 A+B+C+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 B, C, D에 의해 4회의 주사가 실행되지만, 변형 데이터부의 삭제 부분(52)은, 인쇄 데이터 B, C, D에 의한 3회분의 인쇄밖에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삭제 부분(52)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가 6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5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가 인쇄된다. 이 때, 첫 번째의 영역(50)의 파형 변형부의 데이터 삭제 부분(52)이, 상기한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에 의해 보완된다. 즉, 인쇄 데이터 E의 전단부(44)(이음매측)는,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이 변형 데이터부(36)로서 작성된다.
이와 같이, 1매의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접하는 영역(50)의 변형 데이터부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가 변형 데이터부(36)로서 작성된다.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 즉,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A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인쇄 매체(10)의 첫 번째 영역(50)과 두 번째 영역(54)의 이음매(경계)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쇄 매체(10)의 다른 영역의 이음매도 마찬가지이다. 6회째의 인쇄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25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F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F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B의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F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B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추어 진다. 7회째의 인쇄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19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G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G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C의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G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C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8회째의 인쇄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134 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H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H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D의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H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D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추어 진다.
9회째의 인쇄는,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7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I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I에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I의 이음매측의 변형 데이터부(36)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E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원본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설명으로서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것뿐이며, 데이터가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E에 해당하는 데이터 부분이 작성되고(단계 9), 최후에 F 이후의 데이터가 작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매체의 반송은, 상기한 바와 같이, 60노즐분씩 등간격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했지만, 반송마다 변경해도 좋다. 이것은, 노즐의 피치보다 작은 인쇄를 실행할 때에, 그 사이에 도트를 찍기 위한 것으로, 등간격은, 60노즐분이지만, 예를 들면 59노즐분 이송하거나, 61노즐분 이송하거나 하는 바와 같이, 반송마다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인쇄 매체(용지)의 반송과 인쇄 헤드의 주사의 관계에서는, 인쇄 헤드의 가는(going) 움직임으로 인쇄, 용지를 이송하고,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인쇄와 용지 이송을 할 경우도 있지만, 헤드의 가는 움직임,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같은 라인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헤드의 주사, 용지의 반송은, 특별히 도시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4)는, 단계 9에서 인쇄 데이터가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긍정을 판단하면, 인쇄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에조(piezo) 소자를 이용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를 구비한 잉크 제트 프린터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피에조 소자를 이용한 잉크 제트 프린터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버블(bubble)에 의해 잉크를 토출하는, 가로 방향으로 헤드 유닛이 이동하는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2 및 도 15 내지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인쇄 장치와 동일하고, 인쇄 동작도 도 2에 나타내는 흐름도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헤드(30)의 상기 256개의 노즐 중, 예를 들면 4회의 주사로 인쇄를 완성시켜 가는 경우에 있어서는, 1회의 용지 반송 거리를 50노즐분으로 한 경우, 50노즐의 4배에 해당하는 200노즐분과 단부 데이터 인쇄용으로서의 54노즐분을 인쇄에 사용하는 노즐로서 할당하여, 이 254노즐을 사용하면서 인쇄를 실행하여 간다. 이 때문에 나머지의 2노즐분은 미사용이 된다. 상기 단부 데이터 인쇄용으로서의 54노즐 중,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노즐은 후술하는 변형 데이터부(36)의 인쇄율 100%의 파형 부분(w)을 포함하는 영역(a)의 인쇄용으로서 사용되고, 나머지의 36노즐은, 요철부를 갖는 인쇄율을 변경한 인쇄율 변경 영역(b)의 인쇄용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사용하는 노즐의 수, 반송 거리, 주사 횟수 등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는, 인쇄 헤드(30)의 최초의 4주사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가 개시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4회의 인쇄 헤드(30)의 주사로, 50노즐분의 주사 영역(33)에 상당하는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 데이터 A에는,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크기가 인쇄 헤드의 104노즐분에 대응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그 메인 데이터부(e)의 후단부(34)에 접해서, 54노즐분의 파형의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 데이터부(36)는, 인쇄 데이터 A, B, C, D의 모든 메인 데이터부의 후단부(34)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전단부 또는 후단부는 인쇄 매체의 반송 방향 즉,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서브 주사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변형 데이터부(36)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율(농도) 100%의 파형 영역(w)과, 인쇄율 50%의 인쇄율 변화 영역(c)과 인쇄율 0%의 파형 영역(d)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각 인쇄 데이터에 형성되는 변형 데이터부(36)는, 서브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되는 구성 즉, 인쇄율이 0%,50% 혹은 0%,50%,100% 혹은 50%,100%로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인쇄율이란, 1회의 주사로 인쇄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인쇄의 비율을 말하고, 인쇄율 100%란, 이 데이터를 모두(100%)인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5에, 변형 데이터부(36)의 생성 방법이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4)는, 미리 변형 데이터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마스크 패턴(38)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은, 인쇄율 0%의 영역과, 50%의 영역과, 100%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인쇄율 0%와 인쇄율 50%의 경계 및 인쇄율 50%와 인쇄율 100%의 영역은 서로 파형으로 접하고 있다. 인쇄율 0%와 인쇄율 50%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1)과, 인쇄율 50%와 인쇄율 100%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이지만, 파형 패턴 이외에, 삼각 파형 패턴, 돌출형 패턴, 톱날형의 패턴 등 그 외, 메인 주사 방향으로 도트가 연속적으로 늘어서지 않는 형상이면 어떠한 요철 형상이라도 괜찮다.
또한, 이 파형 패턴의 높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은 것이며,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A의 단부에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인쇄 데이터 A의 메인 데이터부(e)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54노즐 폭만큼의 데이터를 변경 부분의 데이터(40)로 하고, 이 데이터(40)에, 기본 마스크 패턴(38)이 파형으로 접속하도록, 도 15(B)와 같이 전개하여, 변경 부분의 데이터(40)에, 마스크 된 부분 즉, 도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d)과, 농도가 50%로 변경되어 있는 인쇄율 변경 부분(c)과, 인쇄율이 100%인 부분(w)을 생성시킨다.
상기 기본 마스크 패턴의 인쇄율 50%의 인쇄율 변화 영역(c)은 특별히 50%의 인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단일의 인쇄율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마스크 패턴(38)으로, 복수의 인쇄율 0%,25%,50%,75%,100%의 영역을 형성하고, 데이터(40)를, 복수의 다른 인쇄율의 영역 예를 들면, 0%,25%,50%,75%,100%와 같이, 서브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되는 영역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36)는, 기본 마스크 패턴에 의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d의 도트 정보(도트 데이터)가 삭제되고, 영역 c의 도트 정보(도트 데이터)가 인쇄율에 따라서 선별된다. 이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는,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가 완료됐을 때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삭제
이 때문에 컨트롤러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보완하는 데이터로서 각 변형 데이터부마다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보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5회째 이후의 인쇄 동작에 있어서, 변형 데이터부(36)에는, 이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구비한 보완 데이터가 오버랩돼서 인쇄되어, 변형 데이터부(36)가 보완된다. 예를 들면, 변형 데이터부의 50% 인쇄율 부분은, 보완 데이터의 50%의 인쇄율 부분에 의해 보완된다. 즉, 변형 데이터부(36)와, 이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의 농도 배분은, 가산해서 100%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보완 데이터는, 1회의 인쇄로 보완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회의 인쇄에 의해 보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50%의 인쇄율(농도)로 인쇄한 변형 데이터부(36)의 농도 변경 부분(c)을, 농도 30%와 20%의 두 개의 보완 데이터로 2회의 인쇄 동작에 의해 보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인쇄면의 히터에 의한 잉크의 건조라는 점을 고려했을 경우, 처음에 80%의 농도로 인쇄하고, 이후에, 농도 20%의 보완 데이터에 의해 보완하는 인쇄율의 배분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터로 잉크를 건조시킬 경우, 처음에 잉크량을 좀 많게 해도,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조에 여유가 있지만, 이후의 인쇄에서는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잉크가 건조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의 요인이 아니고, 처음의 인쇄보다 이후의 인쇄쪽이 그곳에 총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많아지므로 마르기 어렵고, 이 때문에 이후의 인쇄를 적게 하면 건조가 용이해지는 점도 있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을 서브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은,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에 의해, 단순 계산으로 도트 정보를 선별하는 등 재현성이 있는 기술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36)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 0% 이외의 인쇄율 변경 부분을 그라데이션(gradation) 기술에 의해 세밀하게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인쇄 데이터 A의, 도 16 중, 인쇄율 변경 부분 A'로서 나타낸 변형 데이터부(36)의 보완 데이터 A"은, 도 15(A)에 나타내는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온(인쇄) 오프(삭제) 도트 정보를 반전한 마스크 패턴(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다. 후술하는 다른 보완 데이터 B", C", D", E"도 마찬가지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중, 원본 화상의 전단 부분(46) 즉, 인쇄 개시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에는, 반송 방향의 후단부(34)에 변형 데이터부(36) 즉, A', B', C', D'이 형성되고,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 즉, 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F, G, H, Ⅰ에는, 반송 방향 전단부(44)에 보완 데이터 B", C", D", E"이 형성되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전후단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부분의 인쇄 데이터 E에는, 반송 방향의 전단부에 보완 데이터 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변형 데이터부 E'이 형성된다. 변형 데이터부 및 보완 데이터가 형성된 각 인쇄 데이터 A, B, C, D, E, F, G, H, I의 이음매측은, 파형의 형상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의 반송 방향 전후 단부의 변경 처리가 실행되면(단계 5), 이어서, 컨트롤러(4)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헤드(30)로 전송하고(단계 6), 헤드 유닛(16)에 의한 인쇄(단계 7)가 실행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이 실행되어(단계 8), 인쇄 매체(10)에 원본 화상의 인쇄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 7과 8의 동작을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6은, 인쇄 헤드(30)에 의한 1회째의 주사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헤드(30)의 104노즐 그룹에 의한 1회째의 주사가 완료되면,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A가 인쇄 매체(10)에 인쇄된다. 이어서, 인쇄 매체(10)는,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2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1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B가 인쇄된다. 인쇄 헤드(30)에 의한 2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는,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하여, 도 18,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째, 4회째의 인쇄가 실행된다.
4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의, 50노즐분의 길이에 상당하는 첫 번째의 영역(50)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 영역(50)은, 도 8에 A+B+C+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 B, C, D에 의해 4회의 주사가 실행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 매체(10)의 첫 번째 영역(50)에 인접하는 54노즐분의 영역(52)에는, A'+B+C+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의 변형 데이터부 A'과, 인쇄 데이터 B, C, D의 인쇄가 실행되고, 아직 이 영역은 변형 데이터부 A'에서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의 인쇄가 보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변형 데이터부 A'을 농도 50%의 보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완 데이터 A"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가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5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가 인쇄된다. 이 때, 영역 52의 변경 데이터부의 데이터 삭제·선별 부분이, 상기한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에 의해 보완된다. 즉, 인쇄 데이터 E의 전단부(44)(이음매측)에는,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으로 이루어진 보완 데이터 A"이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매의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접하는 영역(50)의 변형 데이터부 A'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A"이, 보완 데이터부 A"으로서 작성된다. 인쇄 데이터 E의 보완 데이터 A" 즉,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A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인쇄 매체(10)의 첫 번째의 영역(50)과 두 번째의 영역(54)의 이음매(경계)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쇄 매체(10)의 다른 영역의 이음매도 마찬가지이다. 6회째의 인쇄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25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F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F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B의 변형 데이터부(36) B'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B"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F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B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져, 보완 데이터 B"이 변형 데이터부 B'에 오버랩돼서 인쇄된다. 7회째의 인쇄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20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G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G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C의 변형 데이터부(36) C'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C"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G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C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져, 보완 데이터 C"이 변형 데이터부 C'에 오버랩돼서 인쇄되어, 인쇄 데이터 C의 변형 데이터부 C'이 보완 데이터 C"에 의해 보완된다.
8회째의 인쇄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15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H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H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D의 변형 데이터부(36) D'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D"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H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D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9회째의 인쇄는,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104노 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I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I에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 E'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부 E"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I의 이음매측의 변형 데이터부(36)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E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지고, 그것에 의해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 E'이 보완 데이터 E"에 의해 보완되어, 원본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설명으로서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것뿐이며, 데이터가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E에 해당하는 데이터 부분이 순차 작성되고(도 2의 단계 9 참조), 최후에 F 이후의 데이터가 작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인쇄율이 변화된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인쇄의 규칙성을 없애서 랜덤(random)성을 발생시키고, 이것과 변형 데이터부의 요철 형상에 의한 줄무늬 발생 방지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이음매에 있어서의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잉크가 토출되는 노즐이 나열해 있을 경우, 단부에 위치하는 인쇄 정밀도가 나쁜 노즐로부터의 인쇄가 가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계속되지 않는 것도 좋은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매체의 반송은, 상기하는 바와 같이, 50노즐분씩 등간격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했지만, 반송마다 변경해도 좋다. 이것은, 노즐의 피치보다 작은 인쇄를 실행할 때에, 그 사이에 도트를 찍기 위한 것으로, 등간격은, 50노즐분이지만, 예를 들면 49노즐분 이송하거나, 51노즐분 이송하거나 하는 바와 같 이, 반송마다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인쇄 매체(용지)의 반송과 인쇄 헤드의 주사의 관계에서는, 인쇄 헤드의 가는 움직임으로 인쇄, 용지를 이송하고,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인쇄와 용지 이송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헤드의 가는 움직임,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같은 라인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어,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헤드의 주사, 용지의 반송은, 특별히 도시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4)는, 도 2에 나타내는 단계 9에서 인쇄 데이터가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 판단하여, 긍정을 판단하면, 인쇄를 종료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2 및 도 16 내지 24 및 도 26 내지 2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동작과 원리적으로 동일해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 데이터부(36)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율(농도) 100%의 파형 영역(w)과, 인쇄율이 메인 주사 방향 즉, 헤드 이동 방향으로 변화되는 인쇄율 변화 영역(c)과 인쇄율 0%의 파형 영역(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인쇄율이란, 1회의 주사로 인쇄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100이라고 보았을 경우의 인쇄의 비율을 말하고, 인쇄율 100%란, 이 100의 데이터를 모두(100%)인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6에, 변형 데이터부(36)의 생성 방법이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4)는, 미리 변형 데이터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마스크 패턴(38)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은, 인쇄율 0%의 영역(d)과, 인쇄율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되는 영역(c)과, 인쇄율 100%의 영역(w)으로 구성된다. 영역 c는,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율 0∼25%의 영역(c1), 인쇄율 26∼50%의 영역(c2, c3), 인쇄율 51∼75%의 영역(c4, c5), 인쇄율 76∼100%의 영역(c6, c7)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 영역(c1∼c7)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단부가 인쇄율이 가장 높고, 서서히 중앙을 향해서 인쇄율이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율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되는 기본 마스크 패턴(38)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메인 주사 방향)만으로 인쇄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율을 세로 방향(서브 주사 방향)과 가로 방향(메인 주사 방향)의 양쪽을 따라 변화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28에 있어서,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영역 c는, 그 중앙 영역이 밑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76∼100%의 인쇄율에서 0∼25%의 인쇄율로 변화하고 있다. 영역 c의 좌우의 영역은 밑으로부터 비스듬히 중앙 위쪽을 향하여, 76∼100%의 인쇄율에서 0∼25%의 인쇄율로 변화하고 있다.
도 28의 화살표 y1은, 영역 c의 중앙 부분의 인쇄율이 화살표 방향으로 세로 방향(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낮아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화살표 y2, y3는, 영역 c의 좌우의 영역의 인쇄율이 화살표 방향으로, 세로 방향(서브 주사 방향)과 가로 방향(메인 주사 방향)의 양쪽을 따라 낮아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율 0%의 영역(d)과 영역 c의 경계 및 영역 c와 인쇄율 100%의 영역(w)은 파형으로 접하고 있다. 인쇄율 0%의 영역(d)과 영역 c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1)과, 영역 c와 인쇄율 100%의 영역(w)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이지만, 파형 패턴 이외에, 삼각 파형 패턴, 돌출형 패턴, 톱날형의 패턴 등 그 외, 메인 주사 방향으로 도트가 연속적으로 늘어서지 않는 형상이면 어떠한 요철 형상이라도 괜찮다.
또한, 이 파형 패턴의 높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은 것이며,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A의 단부에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인쇄 데이터 A의 메인 데이터부(e)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54노즐 폭만큼의 데이터를 변경 부분의 데이터(40)로 하고, 이 데이터(40)에, 기본 마스크 패턴(38)이 파형으로 접속하도록 전개하여, 변경 부분의 데이터(40)에, 마스크 된 부분 즉, 도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d)과, 농도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인쇄율 변경 부분(c)과, 인쇄율이 100%인 부분(w)을 생성시킨다. 상기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인쇄율 변화 영역(c)은 특정한 인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36)는, 기본 마스크 패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d의 도트 정보가 삭제되고, 영역 c의 도트 정보가 인쇄율에 따라서 선별된다. 이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는,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가 완료됐을 때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보완하는 데이터로서 각 변형 데이터부마다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보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5회째 이후의 인쇄 동작에 있어서, 변형 데이터부(36)에는, 그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구비한 보완 데이터가 오버랩돼서 인쇄되어, 변형 데이터부(36)가 보완된다. 변형 데이터부(36)와, 이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의 농도 배분은, 가산해서 100%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보완 데이터는, 1회의 인쇄로 보완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회의 인쇄에 의해 보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50%의 인쇄율(농도)로 인쇄한 변형 데이터부(36)의 농도 변경 부분(c)을, 농도 30%와 20%의 두 개의 보완 데이터로 2회의 인쇄 동작에 의해 보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인쇄면의 히터에 의한 잉크의 건조라는 점을 고려했을 경우, 처음에 80%나 70% 등의 높은 농도로 인쇄하고, 이후에, 농도 20%나 30% 등의 낮은 보완 데이터에 의해 보완하는 인쇄율의 배분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터로 잉크를 건조시킬 경우, 처음에 잉크량을 좀 많게 해도 건조 시간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조에 여유가 있지만, 이후의 인쇄에서는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잉크가 건조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의 요인이 아니고, 처음에 찍힌 인쇄보다 이후의 인쇄쪽이 그곳에 총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많아지므로 마르기 어렵고, 이 때문에 이후의 인쇄를 적게 하면 건조가 용이해지는 점도 있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을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은,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에 의해, 단순 계산으로 도트 정보를 선별하는 등 재현성이 있는 기술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36)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 변경 부분을 그라이데이션 기술에 의해 세밀하게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인쇄 데이터 A의, 도 16 중, 인쇄율 변경 부분 A'으로서 나타낸 변형 데이터부(36)의 보완 데이터 A"은, 도 26(B)에 나타내는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온(인쇄) 오프(삭제) 도트 정보를 반전한 마스크 패턴(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다. 후술하는 다른 보완 데이터 B",C",D",E"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된 변형 데이터부를 구성함으로써,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인쇄의 규칙성을 없애서 랜덤성을 발생시키고, 이것과 변형 데이터부의 요철 형상에 의한 줄무늬 발생 방지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이음매에 있어서의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잉크가 토출되는 노즐이 나열해 있을 경우, 단부에 위치하는 인쇄 정밀도가 나쁜 노즐로부터의 인쇄가 가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계속되지 않는 것도 좋은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2 및 도 16 내지 24 및 도 29 내지 3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의 인쇄 동작의 원리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의 인쇄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이용한 도 16 내지 24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한다.
컴퓨터(8)는, 인쇄 출력해야 할, 싸인 문자나 도형, 모양 등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퓨터(8)에 의해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커넥터(6)를 통하여, 컨트롤러(4)에 전송된다(단계 1, 2). 컨트롤러(4)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컴퓨터(8)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인쇄 데이터를 해석한다(단계 3). 컨트롤러(4)의 CMYK 변환부는, 각 화소의 색을 프린터(2)로 출력 가능한 잉크색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인쇄 데이터를 잉크 제트 인쇄 헤드에 대응한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4). 도 31에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인쇄 헤드(30)가 나타나 있다.
인쇄 유닛(16)에는,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그 밖의 각각의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6개의 인쇄 헤드(30)가 장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 복수개의 인쇄 헤드 중, 한 개의 인쇄 헤드(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인쇄 헤드의 구성과 동작은 이제부터 설명하는 인쇄 헤드(30)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헤드(30)는, 서브 주사 방향으로 256개의 노즐(32)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작도의 형편상 모든 노즐은 도시하지 않는다. 물론, 인쇄 헤드(30)의 해상도는,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256개의 노즐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쇄 헤드(30)의 노즐 배열은 1열 모양 또는 복수열 모양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256개의 노즐 중, 예를 들면 4회의 주사로 인쇄를 완성시켜 갈 경우에 있어서는, 1회의 용지 반송 거리를 50노즐분으로 했을 경우, 50노즐의 4배에 해당하는 200노즐분과 단부 데이터 인쇄용으로서의 54노즐분을 인쇄에 사용하는 노즐로서 할당하여, 이 254노즐을 사용하면서 인쇄를 실행해 간다. 이 때문에 나머지의 2노즐분은 미사용이 된다. 상기 단부 데이터 인쇄용으로서의 54노즐 중,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노즐은 후술하는 변형 데이터부(36)의 인쇄율 100%의 파형 부분(w)을 포함하는 영역(a)의 인쇄용으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36노즐은, 요철부를 갖는 인쇄율을 변경한 인쇄율 변경 영역(b)의 인쇄용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사용하는 노즐의 수, 반송 거리, 주사 횟수 등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는, 인쇄 헤드(30)의 최초의 4주사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가 개시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4회의 인쇄 헤드(30)의 주사로, 50노즐분의 주사 영역(33)에 상당하는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는, 데이터의 서브 주사 방향의 크기가 인쇄 헤드의 104노즐분에 대응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그 메인 데이터부(e)의 후단부(34)에 접하여, 54노즐분의 파형의 변형 데이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변형 데이터부(36)는, 인쇄 데이터 A, B, C, D의 모든 메인 데이터부의 후단부(34)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전단부 혹은 후단부는, 인쇄 매체의 반송 방향 즉,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서브 주사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변형 데이터부(36)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율(농도) 100%의 파형 영역(w)과, 인쇄율 50%의 인쇄율 변화 영역(c)과 인쇄율 0%의 파형 영역(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율 변화 영역(c)의 인쇄율은 다양한 인쇄율을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50%의 인쇄율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쇄율은 0%∼100%에서, 서브 주사 방향 또는 메인 주사 방향으로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 인쇄율이란, 1회의 주 사로 인쇄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인쇄의 비율을 말하고, 인쇄율 100%란, 이 데이터를 모두(100%)인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9에, 변형 데이터부(36)의 생성 방법이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4)는, 미리 변형 데이터부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마스크 패턴(38)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은, 인쇄율 0%의 영역(d)과, 인쇄율이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되는 영역(c)과, 인쇄율 100%의 영역(w)으로 구성된다. 인쇄율 0%의 영역(d)과 영역 c의 경계 및 영역 c와 인쇄율 100%의 영역(w)은 파형으로 접하고 있다. 인쇄율 0%의 영역(d)과 영역 c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1)과, 영역 c와 인쇄율 100%의 영역(w)의 경계에 형성되는 요철 라인(L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형이지만, 파형 패턴 이외에, 삼각 파형 패턴, 돌출형 패턴, 톱날형의 패턴 등 그 외, 메인 주사 방향으로 도트가 연속적으로 늘어서지 않는 형상이면 어떠한 요철 형상이라도 괜찮다. 또한, 이 파형 패턴의 높이,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면 좋은 것이며,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A의 단부에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인쇄 데이터 A의 메인 데이터부(e)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54노즐 폭만큼의 데이터를 변경 부분의 데이터(40)로 하고, 이 데이터(40)에, 기본 마스크 패턴(38)이 파형으로 접속하도록 전개하여, 변경 부분의 데이터(40)에, 마스크 된 부분 즉, 도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d)과, 농도가 변화되고 있는 인쇄율 변경 부분(c)과, 인쇄율이 100%인 부분(w)을 생성시킨다. 상기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인쇄율 변화 영역(c)은 특정한 인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36)는, 기본 마스크 패턴(38)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d의 도트 정보가 삭제되고, 영역 c의 도트 정보가 인쇄율에 따라서 선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기본형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한 변형 데이터부의 생성 이외에,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복수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b, 38c, 38d)를 작성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인쇄 데이터에 변형 데이터부(36)를 생성하고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가로 축(위치)의 a점을, 도트 삭제·선별 패턴 주기의 시점으로 하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가 기본형으로서 도 29(B)에 나타나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a점에서 메인 주사 방향으로 위상이 어긋난 b점을 패턴 주기의 시점으로 하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b)가, b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으로서 나타나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c점을 패턴 주기의 시점으로 하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c)가, c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으로서 나타나 있다. 기본 마스크 패턴(38)의 d점을 패턴 주기의 시점으로 하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d)가, d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으로서 나타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해 변형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는 No. 1, 3, 5의 인쇄 헤드(30)에 공급되고, 마스크 패턴 데이터(38c)에 의해 변형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는, No. 2, 4, 6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들 마스크 패턴 데이터와 인쇄 헤드의 조합은 이 조합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인쇄 데이터의 데이터(40)가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는, 각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가 완료됐을 때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가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보완하는 데이터로서 각 변형 데이터부마다 보완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보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5회째 이후의 인쇄 동작에 있어서, 변형 데이터부(36)에는, 그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를 구비한 보완 데이터가 오버랩돼서 인쇄되어, 변형 데이터부(36)가 보완된다. 변형 데이터부(36)와, 이 변형 데이터부(36)를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의 농도 배분은, 가산해서 100%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보완 데이터는, 1회의 인쇄로 보완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회의 인쇄에 의해 보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50%의 인쇄율(농도)로 인쇄한 변형 데이터부(36)의 농도 변경 부분(c)을, 농도 30%와 20%의 두 개의 보완 데이터로 2회의 인쇄 동작에 의해 보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인쇄 헤드(30)를 No.1, 2, No.3, 4, No.5, No.6로 그룹 분리하면, 인쇄 헤드의 수보다 적은 네 개의 마스크 패턴으로도 대응이 가능하다.
인쇄면의 히터에 의한 잉크의 건조라는 점을 고려했을 경우, 처음에 80%나 90% 등의 고농도로 인쇄하고, 이후에, 농도 20%나 10% 등의 저농도 보완 데이터에 의해 보완하는 인쇄율의 배분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터로 잉크를 건조시킬 경우, 처음에 잉크량을 좀 많게 해도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조에 여유가 있지만, 이후의 인쇄에서는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잉크가 건조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의 요인이 아니고, 처음에 찍힌 인쇄보다 이후의 인쇄쪽이 그곳에 총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많아지므로 마르기 어렵고, 이 때문에 이후의 인쇄를 적게 하면 건조가 용이해지는 점도 있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을 변화시키는 변형 데이터 생성 수단은,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러에 의해, 단순 계산으로 도트 정보를 선별하는 등 재현성이 있는 기술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변형 데이터부(36)나 보완 데이터의 인쇄율 변경 부분을 그라데이션 기술에 의해 세밀하게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유닛(16)이 여섯 개인 No.1∼6의 인쇄 헤드(30)를 이용하여 여섯 가지 색으로 인쇄를 실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16 내지 도 24는, 여섯 개의 인쇄 헤드(30) 중, No.1의 인쇄 헤드(30)의 인쇄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No.1의 인쇄 헤드(30)에, 도 29(B)에 나타내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해 변형 데이터부(36)가 생성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른 No.2∼6의 인쇄 헤드(30)의 동작은 No.1의 인쇄 헤드(30)의 동작과 동일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 데이터 A의, 도 16 중, 인쇄율 변경 부분 A'으로서 나타낸 변형 데이터부(36)의 보완 데이터 A"은, 도 29(A)에 나타내는 마스크 패턴(38)의 온(인쇄) 오프(삭제) 도트 정보를 반전한 마스크 패턴(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된다. 후술하는 다른 보완 데이터 B", C", D", E"도 마찬가지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중, 원본 화상의 전단 부분(46) 즉, 인쇄 개시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A, B, C, D에는, 반송 방향의 후단부(34)에 변형 데이터부(36) 즉, A', B', C', D'이 형성되고,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 즉, 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 F, G, H, Ⅰ에는, 반송 방향 전단부(44)에 보완 데이터 B", C", D", E"이 형성되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 전후단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부분의 인쇄 데이터 E에는, 반송 방향 전단부에 보완 데이터 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변형 데이터부 E'이 형성된다.
변형 데이터부 및 보완 데이터가 형성된 각 인쇄 데이터 A, B, C, D, E, F, G, H, I의 이음매측은, 파형의 형상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의 반송 방향 전후의 단부의 변경 처리가 실행되면(단계 5), 이어서, 컨트롤러(4)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헤드(30)로 전송하고(단계 6), 헤드 유닛(16)에 의한 인쇄(단계 7)가 실행되고, 인쇄 매체(10)의 반송이 실행되어(단계 8), 인쇄 매체(10)에 원본 화상의 인쇄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 7과 8의 동작을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상이 어긋나지 않는 마스크 패턴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 및 보완 데이터가 형성된 인쇄 데이터를 No.1의 인쇄 헤드(30)에 의해 인쇄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다른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동작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6은, 인쇄 헤드(30)에 의한 1회째의 주사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헤드(30)의 104노즐 그룹에 의한 1회째의 주사가 완료되면,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A가 인쇄 매체(10)에 인쇄된다. 이어서, 인쇄 매체(10)는,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 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2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1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이음매측의 파형의 인쇄 데이터 B가 인쇄된다. 인쇄 헤드(30)에 의한 2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는,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하여, 도 18,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째, 4회째의 인쇄가 실행된다.
4회째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 매체(10)의, 50노즐분의 길이에 상당하는 첫 번째의 영역(50)의 인쇄가 완료된다. 이 영역(50)은, 도 19에 A+B+C+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 B, C, D에 의해 4회의 주사가 실행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 매체(10)의 첫 번째 영역(50)에 인접하는 54노즐분의 영역(52)에는, A'+B+C+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A의 변형 데이터부 A'과, 인쇄 데이터 B, C, D의 인쇄가 실행되고, 아직 이 영역은 변형 데이터부 A'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의 인쇄가 보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변형 데이터부 A'을 농도 50%의 보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완 데이터 A"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가 50노즐분,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인쇄 헤드(30)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5회째의 인쇄가 실행되고,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가 인쇄된다. 이 때, 영역 52의 변경 데이터부의 데이터 삭제·선별 부분이, 상기한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에 의해 보완된다. 즉, 인쇄 데이터 E의 전단부(44)(이음매측)에는, 인쇄 데이터 A의 보완 데이터 A"으로 이루어지는 보완 데이터 A"이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매의 원본 화상의 중간 부분의, 254노즐분의 길이를 갖는, 인쇄 데이터 E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접하는 영역(50)의 변형 데이터부 A'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A"이, 보완 데이터부 A"으로서 작성된다. 인쇄 데이터 E의 보완 데이터 A" 즉,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A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인쇄 매체(10)의 첫 번째 영역(50)과 두 번째 영역(54)의 이음매(경계)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쇄 매체(10)의 다른 영역의 이음매도 마찬가지이다. 6회째의 인쇄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25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F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F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B의 변형 데이터부(36) B'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B"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F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B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져, 보완 데이터 B"이 변형 데이터부 B'에 오버랩돼서 인쇄된다. 7회째의 인쇄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20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G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G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C의 변형 데이터부(36) C'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C"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G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C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져, 보완 데이터 C"이 변형 데이터부 C'에 오버랩돼서 인쇄되어, 인쇄 데이터 C의 변형 데이터부 C'이 보완 데이터 C"에 의해 보완된다.
8회째의 인쇄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을 포함하는 15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H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H에는, 그 전단에, 인쇄 데이터 D의 변형 데이터부(36) D'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D"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H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D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진다. 9회째의 인쇄는, 원본 화상의 후단 부분(48)(인쇄 종료단)을 포함하는 104노즐분의 길이의 인쇄 데이터 I에 의해 실행된다. 인쇄 데이터 I에는, 그 전단 부분(44)에,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 E'을 보완하는 보완 데이터 E"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 데이터 I의 이음매측의 변형 데이터부(36)의 파형 요철 형상은, 인쇄 데이터 E의 이음매측의 파형 요철 형상과 끼워 맞춰져, 인쇄 데이터 E의 변형 데이터부(36) E'이 보완 데이터 E"에 의해 보완되어, 원본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설명으로서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것뿐이며, 데이터가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E에 해당하는 데이터 부분이 순차 작성되고(단계 9), 최후에 F 이후의 데이터가 작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30은, 기본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와, c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c)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의 인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는, No.1, 3, 5의 인쇄 헤드(30)에 공급되고, c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c)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는, No.2, 4, 6의 인쇄 헤드(30)에 공급된다.
기본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a)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36)는, No.1, 3, 5의 인쇄 헤드(30)에 의해 각각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된다. 또한, c 부분으로부터의 전개형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38c)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36)를 갖는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36)는, No.2, 4, 6의 인쇄 헤드(30)에 의해 각각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된다. 도 30(C)의 좌측의 도면은, 마스크 패턴 데이터 (38a)와 (38c)가 겹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0(C)의 오른쪽의 도면은, No.1, 2, 3, 4, 5, 6의 인쇄 헤드(30)에 의한 인쇄 데이터의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가 복합적으로 겹친 인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30) No.1, 3, 5에 같은 상(相)의 변형 데이터부(36)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30) No.2, 4, 6에 같은 상의 변형 데이터부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각 인쇄 헤드마다, 다른 위상의 마스크 패턴 데이터에 의해 작성된 변형 데이터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각 인쇄 헤드(30)마다 작성된 마스크 패턴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변형 데이터부로부터 삭제되고, 선별된 도트 정보는, 인쇄 헤드마다 사용된 마스크 패턴의 보완 데이터에 의해 보완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인쇄율이 변화된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 데이터의 이음매에 인쇄의 규칙성을 없애서 랜덤성을 발생시키고, 이것과 변형 데이터부의 요철 형상에 의한 줄무늬 발생 방지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이음매에 있어서의 줄무늬 발생을 방지 하고 있다. 또한, 잉크가 토출되는 노즐이 나열해 있는 경우의 단부에 위치하는 인쇄 정밀도가 나쁜 노즐로부터의 인쇄가 가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계속되지 않는 것도 좋은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매체의 반송은, 상기한 바와 같이, 50노즐분씩 등간격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했지만, 반송마다 변경해도 좋다. 이것은, 노즐의 피치보다 작은 인쇄를 실행할 때에, 그 사이에 도트를 찍기 위한 것으로, 등간격은 50노즐분이지만, 예를 들면 49노즐분 이송하거나, 51노즐분 이송하거나 하는 바와 같이, 반송마다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인쇄 매체(용지)의 반송과 인쇄 헤드의 주사의 관계에서는, 인쇄 헤드의 가는 움직임으로 인쇄, 용지를 이송하고,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인쇄와 용지 이송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헤드의 가는 움직임,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 같은 라인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어,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헤드의 주사, 용지의 반송은 특별히 도시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4)는, 도 2의 단계 9에서 인쇄 데이터가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 판단하고, 긍정을 판단하면, 인쇄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은, 프린터로 고품질의 화상의 인쇄를 실행할 경우에 특히 유용하며, 가로 방향으로 헤드 유닛이 이동하는 타입의 잉크 제트 프린터 등에 이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Claims (4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브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도트 형성 요소가 배열된 인쇄 헤드에 다수의 도트 정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공급하고,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를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 매체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동작마다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 중 최초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는 인쇄 매체의 서브 주사 방향의 반송 폭에 상당하는 폭의 메인 데이터부를 갖고, 이 메인 데이터부의 서브 주사 방향의 후단부(端部)에, 인쇄 헤드의 메인 주사 방향으로 연속해서 도트가 늘어서지 않도록 한 요철부를 갖는 변형 데이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을 상기 메인 주사 방향으로 변화시켜 인쇄율이 변화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을 상기 메인 주사 방향과 서브 주사 방향의 양쪽을 따라 인쇄율이 변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상기 메인 데이터부와 접하는 쪽에, 인쇄율 100%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율 100%의 영역과 상기 변형 데이터부의 인쇄율이 변화되는 영역이 요철 모양으로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모양이 파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87017405A 2006-03-31 2007-02-14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1498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6307 2006-03-31
JP2006096307A JP4322883B2 (ja) 2006-03-31 2006-03-31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JP-P-2006-00202699 2006-07-26
JP2006202700A JP4322899B2 (ja) 2006-07-26 2006-07-26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JP-P-2006-00202701 2006-07-26
JP2006202699A JP4358210B2 (ja) 2006-07-26 2006-07-26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2006202701A JP4322900B2 (ja) 2006-07-26 2006-07-26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JP-P-2006-00202700 2006-07-26
PCT/JP2007/000085 WO2007116577A1 (ja) 2006-03-31 2007-02-14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067A Division KR101551138B1 (ko) 2006-03-31 2007-02-14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154A KR20090003154A (ko) 2009-01-09
KR101498739B1 true KR101498739B1 (ko) 2015-03-04

Family

ID=38580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067A KR101551138B1 (ko) 2006-03-31 2007-02-14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20087017405A KR101498739B1 (ko) 2006-03-31 2007-02-14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067A KR101551138B1 (ko) 2006-03-31 2007-02-14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84444B2 (ko)
EP (1) EP1944162B1 (ko)
KR (2) KR101551138B1 (ko)
TW (1) TWI435809B (ko)
WO (1) WO2007116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2275B2 (ja) * 2007-11-19 2012-09-26 武藤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5179151B2 (ja) * 2007-11-26 2013-04-10 武藤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US20110261100A1 (en) 2010-04-23 2011-10-27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JP2015016671A (ja) 2013-07-12 2015-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ドット記録装置、ドット記録方法、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197425B2 (ja) 2013-07-12 2017-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ドット記録装置、ドット記録方法、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EP4223543A3 (en) * 2022-02-03 2023-10-18 Ricoh Company, Ltd. Liquid discharg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4587A (en) * 1991-06-07 1995-01-24 Canon Kabushiki Kaisha Multi-drop ink-jet recording method with compensation for image density non-uniformities
US5429441A (en) * 1991-03-28 1995-07-04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of printing with serial printhea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561A (en) * 1984-04-10 1986-11-1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for dot matrix printer
JP2940362B2 (ja) * 1993-10-26 1999-08-25 東レ株式会社 布帛へ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1996023662A1 (en) * 1995-01-31 1996-08-08 Summagraphics Corporation Non-linear edge stitching apparatus and method
JPH0999550A (ja) 1995-10-04 1997-04-15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680909B2 (ja) 1998-08-11 2005-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リアルプリンタ
JP2000238935A (ja) 1999-02-18 2000-09-05 Copyer Co Ltd 記録紙検出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063016A (ja) * 1999-08-24 2001-03-13 Canon Inc 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01129985A (ja) * 1999-08-24 2001-05-15 Canon Inc プリント位置調整方法並びに該方法を用いる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US7198347B2 (en) * 2000-05-30 2007-04-03 Seiko Epson Corporation Adjustment of shift of dot position of printer
JP4931164B2 (ja) * 2000-08-30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スク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4931165B2 (ja) * 2000-08-31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3880366B2 (ja) 2000-11-01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3034017A (ja) 2001-07-24 2003-02-04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688726B2 (en) * 2001-09-29 2004-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 masks to eliminate step advance and swath height error banding
JP2005125658A (ja) * 2003-10-24 2005-05-1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これら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252356B2 (en) * 2004-08-30 2007-08-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284763A (ja) * 2007-05-17 2008-11-27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939658B2 (ja) * 2008-12-19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441A (en) * 1991-03-28 1995-07-04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of printing with serial printhead
US5384587A (en) * 1991-06-07 1995-01-24 Canon Kabushiki Kaisha Multi-drop ink-jet recording method with compensation for image density non-uniform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4444B2 (en) 2012-10-09
KR101551138B1 (ko) 2015-09-07
KR20090003154A (ko) 2009-01-09
WO2007116577A1 (ja) 2007-10-18
US20090091785A1 (en) 2009-04-09
KR20140143413A (ko) 2014-12-16
EP1944162A1 (en) 2008-07-16
TWI435809B (zh) 2014-05-01
EP1944162B1 (en) 2017-10-11
TW200744859A (en) 2007-12-16
EP1944162A4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118B1 (ko) 프린터 및 프린트 방법
JP2000108322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01498739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4322883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4988033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US6712443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4322899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H091831A (ja) 記録装置および印字制御方法
JP4277165B2 (ja) 記録装置
JP4322900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2014141079A (ja) 記録制御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4358210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5032275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3775143B2 (ja) 縦配列ヘッドを用いたカラー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217708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6657862B2 (ja) 補償方法、プログラム、補償装置、及び補償システム
KR102480007B1 (ko) 마스크를 이용하여 덴서티 밴딩을 개선하는 방법
JP2003305830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9051063A (ja) 画像形成装置
JP5179151B2 (ja) 印字装置及び印字方法
JP6885006B2 (ja) 印刷装置
JP440913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07321B2 (ja) 縦配列ヘッドを用いたカラー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印刷ヘッド
JP3382410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