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445B1 -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445B1
KR101498445B1 KR1020130110857A KR20130110857A KR101498445B1 KR 101498445 B1 KR101498445 B1 KR 101498445B1 KR 1020130110857 A KR1020130110857 A KR 1020130110857A KR 20130110857 A KR20130110857 A KR 20130110857A KR 101498445 B1 KR101498445 B1 KR 10149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carriage
yarn
knitting
rese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003A (ko
Inventor
아쓰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4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핑거의 선단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세트위치로부터 리셋위치로 절환하고, 리셋위치센서(314)에 의하여 핑거(312)의 기단부(315)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복귀상태 검출수단(33)에 의하여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핑거의 선단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을, 캐리지(12)가 편성포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짐과 동시에 하면, 핑거(312)가 얀캐리어의 급사구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핑거(312)가 얀캐리어의 급사구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한 후에 캐리지를 반전시킨다.

Description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FLA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R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캐리지(carriage)와 함께 이동하여 편성포(編成布)를 가압(加壓)하는 세트위치(set位置)와 편성포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리셋위치(reset位置)로 핑거를 절환(切換)하는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니들베드갭(needel bed gap)을 사이에 두고 전후의 니들베드가 역V자 모양으로 대향하는 횡편기에 있어서는, 니들베드갭에서 편성중인 편성포를 스티치 프레서에 의하여 가압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스티치 프레서는 대략적으로 대략 L자모양을 나타내고,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편침에 선택적인 편성동작을 행하게 하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치 프레서는, 기단부에 의하여 외팔보(cantilever) 지지되고 선단이 연장되며 또한 얀캐리어(yarn carrier)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급사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를 가압 가능하게 하는 핑거를 구비하고, 이 핑거가, 캐리지의 이동중에 편성포를 가압하는 세트위치와 편성포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로 절환된다.
그런데 다수의 얀캐리어를 사용하는 편성에서는, 이들 얀캐리어가 밀집하여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밀집된 얀캐리어 상호간이 니들베드의 전후방향에서 겹치고 있으면, 캐리지를 반전시킬 때에 세트위치로부터 리셋위치로 절환되는 핑거의 이동궤적에 각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한 횡편기의 사용자에 따라서는, 급사구를 하강시켜서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하기 쉽게 니들베드갭에 가깝게 된 상태에서 얀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핑거의 이동궤적에 각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어느 쪽의 경우에도 캐리지를 반전시킬 때에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걸림이 염려되어, 양자가 걸린 상태에서 캐리지를 반전시키면 핑거의 선단부가 구부러져 버린다.
따라서, 종래로부터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얀캐리어의 정지위치를 기억해 두고, 캐리지를 반전시킬 때에 리셋위치로 절환된 핑거와 각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켜서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고 나서 캐리지를 반전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일본국 특허제4977603호 공보
그런데 핑거가, 기단부에 의하여 외팔보 지지되고 선단부를 연장시키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선단부에 경년변화(經年變化)에 의한 구부러짐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불량은 매우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핑거와 각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상태를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양자의 간섭상태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어도, 그것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핑거의 선단부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고, 선단부에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편침에 선택적인 편성동작을 행하게 하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얀캐리어의 급사구로부터 급사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를 가압 가능하게 하는 핑거가, 상기 캐리지의 이동중에 상기 편성포를 가압하는 세트위치와 상기 편성포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로 절환되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하는 리셋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핑거의 선단부의 복귀상태를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리셋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귀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캐리지가 반전할 때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당해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행하게 하는 간섭회피 동작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의 연장에 의하여 회피하는 스트로크 연장수단이 채용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이 상기 캐리지의 이동방향의 동일한 장소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판정되었을 때에 당해 장소에서의 그 이후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켜도 좋다.
이에 대하여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 상기 얀캐리어를 자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얀캐리어를 상기 캐리지가 진행하고 있었던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자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회피하는 얀캐리어 이동수단이 채용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복귀상태 검출수단은, 2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당해 2위치 중에서 일방의 위치측으로 가압된 회전편과, 상기 핑거를 리셋위치로 절환하였을 때에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상기 회전편에 접촉하여 당해 회전편이 상기 일방의 위치로부터 타방의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편침에 선택적인 편성동작을 행하게 하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얀캐리어의 급사구로부터 급사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를 가압 가능하게 하는 핑거가, 상기 캐리지의 이동중에, 상기 편성포를 가압하는 세트위치와 상기 편성포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로 절환되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어방법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의 복귀상태를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함으로써 핑거의 선단부에서의 구부러짐 등의 불량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고, 선단부에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가 반전할 때에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당해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양자가 실제로 간섭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당해 양자의 간섭상태가 확실하게 파악되어, 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간섭회피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편성 데이터에 의하여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할 가능성에 의거하여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과도하게 연장시킨 것에 비하여, 1코스당의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가 단축되어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 스트로크 연장수단을 채용하고,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의 연장에 의하여 회피함으로써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순방향으로 그대로 연장시키는 것 만으로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간단하게 회피시킬 수 있다.
또한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이 캐리지의 이동방향의 동일한 장소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판정된 때에, 당해 장소에서의 그 이후의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킴으로써 동일한 장소에서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그 때마다 연장시키는 위화감을 없애어 캐리지를 반전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 얀캐리어 이동수단을 채용하고, 얀캐리어를 캐리지가 진행하고 있었던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구동부에 의하여 자력으로 이동시켜서 핑거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1코스당의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켜서 핑거와 급사구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없어, 더 한층 편성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한 상태에서,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접촉한 회전편이 2위치 중에서 일방의 위치로부터 타방의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핑거의 선단부가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함으로써 회전편과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복귀상태 검출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한 상태에서,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다고 검출되었을 때에만,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함으로써 핑거의 선단부에서의 구부러짐 등의 불량을 간단하게 확인하여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범위에 관해서도 채용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횡편기의 니들베드갭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3은, 니들베드갭 상방의 얀가이드 레일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4는, 횡편기의 전후의 캐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니들베드갭 부근에서의 스티치 프레서의 핑거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6은 스티치 프레서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7은 스티치 프레서 기구의 사시도로서, (a)는 핑거의 기단부를 세트위치로 절환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핑거의 기단부를 리셋위치로 절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컨트롤러에 의한 각 캐리지 및 각 스티치 프레서 기구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포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도2는 도1의 횡편기의 니들베드갭 부근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10)을 사이에 두고 역V자 모양으로 대향하는 전후의 니들베드(11a, 1lb)를 구비하고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11a, 1lb)에는 각각 캐리지(12)가 설치되고, 니들베드갭(10)의 부분에서는 전후의 캐리지(12)를 브리지(13)로 연결하고 있다. 각 캐리지(12)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서보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니들베드(11a, 1lb)의 길이방향(도1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한다.
도3은 니들베드갭(10)의 상방의 얀가이드 레일 부근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3에 있어서, 니들베드갭(10)의 상방에는, 복수의 얀가이드 레일(14)(도3에서는 3개 만을 나타낸다)이 니들베드(11a, 1lb)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설되어 있다. 얀가이드 레일(14)에는, 니들베드갭(10)에 편사(21)를 공급하는 얀캐리어(15)가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얀가이드 레일(14)에는, 얀캐리어(15)를 주행시키는 트랙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얀캐리어(15)의 하측에는, 편사(21)를 편침(2)에 공급하기 위한 급사구(15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급사구(151)는 니들베드갭(10)의 중앙 부근으로 모아지고, 전후의 니들베드(11a, 1lb)로부터 니들베드갭(10)으로 진출하는 편침(2)의 어느 쪽에도 편사(21)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다른 얀가이드 레일(14)을 주행하는 얀캐리어(15) 사이에서는, 급사구(151)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급사구(151)가 간섭하여 주행의 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고 있다.
브리지(13)는 얀가이드 레일(14)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얀캐리어(15)를 선택하여 연행한다. 각 얀캐리어(15)에는, 편사콘(編絲cone)(16)으로부터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텐션 기구(17) 등의 급사기구를 통하여 편사(21)가 공급된다.
편침(2)은 니들베드(11a, 1lb)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나란하게 설치되고, 캐리지(12)에 각각 2개 탑재되는 선침기구(選針機構) 및 캠기구(cam機構) 등의 시스템(2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편성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각 캐리지에 각각 1개 또는 3개 이상의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각 시스템(25)에 의한 편성동작은, 편침(2)의 선단의 훅을 니들베드갭(10)으로 진출시켜서,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로부터 급사되는 편사(21)를 니들베드(11a, 1lb)로 인입(引入)하는 것을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전후의 캐리지(12)는, 복수의 얀캐리어(15)를 연행하여 편성포(22)를 편성한다. 편성포(22)의 편성은, 미리 작성되는 편성 데이터를 입력한 컨트롤러(4)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이루어지고, 편성포(22)가 니들베드갭(10)의 하방으로 편성된다. 시스템(25)에 의한 캐리지(12) 및 편침(2)의 동작도,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컨트롤러(4)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캐리지(12)가 이동하는 이동 스트로크도 편성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최적화 되어 있다. 또한 얀캐리어(15)는, 편성단(編成端)(22a) 부근에서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에 대기하고 있다. 얀캐리어(15)의 대기위치는, 얀캐리어(15)를 캐리지(12)가 연행한 다음에, 연행으로부터 해방된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 부근이며, 컨트롤러(4)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얀캐리어(15)가 정지위치에 있어서 겹쳐서 정지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상황을 횡편기(1)의 모니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표시하여 각 얀캐리어(15)의 위치보정을 촉구하는 것도 이루어진다. 또한 각 캐리지(12)의 이동방향은,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 부근에서 서보모터의 회전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반전된다.
도4는, 횡편기(1)의 전후의 캐리지(1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각 캐리지(12)에는, 2개의 시스템(25)에 각각 대응하는 선행(先行) 및 후행(後行)의 스티치 프레서 기구(3)(도6, 7 참조)가 탑재되어 있다. 이 각 스티치 프레서 기구(3)는, 대략 L자 모양을 나타내는 스티치 프레서(31)와, 스티치 프레서(31)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스티치 프레서(3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암(311)과 이 암(311)의 일단에 기단부(315)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당해 기단부(315)로부터 당해 암(311)과 직교하는 캐리지(12)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선단(316)이 연장되는 핑거(312)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기구(32)는, 사각형 프레임 모양의 프레임(30)에 부착된 스텝핑 모터(321)와, 이 스텝핑 모터(32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암(311)을 2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링크기구(3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311)을 스텝핑 모터(321)의 구동축에 연결된 캠이나 홈캠(groove cam) 등에 의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핑거를 세트위치와 리셋위치로 이동시켜도 좋다.
도5는, 니들베드갭(10) 부근에서의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로서,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312a∼312e)는, 니들베드갭(10)내로 편성포(22)를 가압할 때의 세트위치와 편성포(22)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의 2위치 사이에서 원호 모양의 이동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한다. 암(311)은, 세트위치로부터 리셋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급사구(151)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6은 스티치 프레서 기구(3)의 평면도, 도7은 스티치 프레서 기구(3)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스티치 프레서(31)의 기단부(315)는, 스텝핑 모터(321)의 구동에 의하여 링크기구(322)를 통하여 구동하고,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로부터 급사된 편사(21)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22)를 핑거(312)로 가압하는 세트위치(도7(a)에서 나타내는 위치)와, 편성포(22)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도7(b)에서 나타내는 위치)로 절환된다. 이 때에,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기단부(315)가 세트위치로 절환된 것은 세트위치센서(313)에 의하여 검출되고,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은 리셋위치 검출수단으로서의 리셋위치센서(314)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들의 위치센서(313, 314)는, 근접센서(近接sensor)로 이루어지고,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세트위치와 리셋위치의 사이에서 암(311)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322)의 이동편(323)의 움직임에 의하여 검출하고 있다. 또,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기단부(315)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리셋위치로 절환 스위치가 절환된 것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거나, 스텝핑 모터로 리셋위치로의 절환용의 펄스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지령을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검출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각 스티치 프레서 기구(3)는,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리셋위치로 절환하였을 때에 당해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도6 및 도7의 (b)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33)과, 이 복귀상태 검출수단(3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핑거(312)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34)과, 이 판정수단(34)에 의하여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당해 양자(312, 15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행하게 하는 간섭회피 동작수단(35)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복귀상태 검출수단(33)에 의한,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검출은, 캐리지(12)가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져서 반전하기 위해서 정지했을 때에, 리셋위치센서(314)에 의한 핑거(312)의 기단부(315)의 검출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복귀상태 검출수단(33)은, 길이방향 대략 중간부가 프레임(30)에 지지되어 2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편(331)과, 이 회전편(331)이 2위치 중에서 비검출위치(도7(a)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검출위치(도7(b)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33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편(331)은, 그 길이방향 일단측(도6 및 도7에서는 상단측)에 추(332)를 구비하고, 이 추(332)에 의하여 비검출위치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검출부(333)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고, 회전편(331)의 일단의 추(332)가 접촉하고 있으면,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는 한편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리셋위치로 절환하였을 때에 당해 핑거(312)의 선단(316)이 회전편(331)의 타단(도6 및 도7에서는 하단)에 접촉하면, 추(3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검출위치로 회전하는 회전편(331)의 일단의 추(332)가 검출부(333)로부터 이반함으로써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다. 이에 따라 회전편(331)과 검출부(333)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복귀상태 검출수단(33)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편(331)이, 추(332) 대신에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하여 비검출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캐리지의 진동에 대하여 신뢰성이 높아 보다 바람직하다.
판정수단(34)은 컨트롤러(4)에 설치되고, 핑거(312)의 기단부(315)의 리셋위치로의 절환이 리셋위치센서(314)에 의하여 검출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복귀상태 검출수단(33)에 의하여 핑거(312)의 선단(316)의 리셋위치로의 복귀상태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만, 핑거(312)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간섭회피 동작수단(35)은 컨트롤러(4)에 설치되고,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의 간섭을 캐리지(12)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의 연장에 의하여 회피하는 스트로크 연장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이 스트로크 연장수단에 의한 제어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컨트롤러(4)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후행의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선단(316)이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지고 나서 각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소정량(예를 들면, 20∼30mm정도)만큼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킨다. 또한, 스트로크 연장수단에 의한 제어가, 복귀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핑거의 선단의 리셋위치로의 복귀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켜서, 핑거의 선단의 리셋위치로의 복귀상태가 검출된 시점에서 캐리지를 반전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여기에서 컨트롤러(4)에 의한 각 캐리지(12) 및 각 스티치 프레서 기구(3)의 제어순서를 도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각 캐리지(12)의 2개의 시스템(25)을 사용하여 선행 및 후행의 스티치 프레서 기구(3)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에서, 횡편기(1)를 기동하여 각 부의 초기설정을 한 후에, 편성하는 편성포(22)에 관한 편성 데이터를 읽는다. 편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종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통하거나 혹은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통한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기억부에 저장된다.
스텝 S2에서 다음에 편성하는 코스의 준비를 하고, 스텝 S3에서 다음의 코스가 최종코스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최종코스가 아니면, 스텝 S4에서 다음의 코스에서 스티치 프레서(31)를 사용할 것인가 아닌가를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선행 및 후행의 스티치 프레서(31)를 사용할 때에는, 다음의 코스에서는 현재의 코스에서 사용중인 각 스티치 프레서(31)를 리셋동작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텝 S5에서 후행의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선단(316)이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짐과 동시에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리셋위치로 절환한다. 이 핑거(312)의 기단부(315)의 리셋위치로의 절환은, 리셋위치센서(314)에 의하여 확인한다. 또한, 선행의 시스템(25)만에 의하여 편성포(22)의 편성을 하였을 때에는, 선행의 스티치 프레서(31)의 선단(316)이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짐과 동시에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리셋위치로 절환하면 좋다.
스텝 S6에서,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부(333)로 검출한다. 이 검출에 의하여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스텝 S7에서 핑거(312)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에 따라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가 실제로 간섭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당해 양자(312, 151)의 간섭상태가 확실하게 파악되어, 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스텝 S7의 판정에 의하여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스텝 S8에서 후행의 스티치 프레서(31)의 핑거(312)의 선단(316)이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지고 나서 각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소정량(예를 들면, 20∼30mm정도)만큼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그대로 순방향으로 연장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한 후에, 스텝 S9에서 캐리지(12)를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의 간섭을,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키는 것 뿐만으로 간단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6의 검출에 의하여 핑거(312)의 선단(316)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스텝 S10에서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가 비간섭이라고 판정하고, 스텝 S9에서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하지 않고,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진 위치에서 캐리지(12)를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편성 데이터에 의하여 양자(312, 151)가 간섭할 가능성에 의거하여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필요 이상으로 연장시킨 것에 비하여, 1코스당의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가 20∼30mm 정도로 단축되어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지 않는 편성포(22)의 편성폭내에서 핑거(312)의 기단부(315)를 리셋위치로 절환하여도 선단(316)의 리셋위치로의 복귀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판정수단(34)에 의하여 핑거(312)의 선단(316)에 구부러짐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있으면 간단하게 판정할 수도 있어, 선단(316)에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312)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판정수단(34)에 의하여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의 간섭이 캐리지(12)의 이동방향의 동일한 장소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판정되었을 때에는, 당해 장소에서의 그 이후의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동일한 장소에서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캐리지(12)가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져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그 때마다 연장시켜서 캐리지(12)의 움직임을 불안하게 하는 위화감을 제거하고, 연장된 반전위치까지 캐리지(12)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급사구(151)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얀캐리어(1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장소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소에 캐리지(12)가 정지했을 때에도 핑거(312)와 급사구(151)가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캐리지(12)가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으로 빠진 위치 이외에서 양자(312, 151)의 간섭이 많이 발생할 때에는, 불량이 있다고 판단하여 횡편기(1)의 모니터 등에 조정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4)에 의한 캐리지(12) 및 스티치 프레서 기구(3)의 제어순서에 의하면, 핑거(312)의 선단(316)에서의 구부러짐 등의 불량을 간단하게 확인하여 이미 불량이 발생한 핑거(312)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스티치 프레서(31)를 구비한 횡편기(1)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불필요하게 연장시키지 않고 단축시켜서 편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치 프레서(31)를 구비한 횡편기(1)의 제어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간섭회피 동작수단(35)으로서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하는 스트로크 연장수단을 채용했지만, 얀캐리어를 자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이 구동부에 의하여 얀캐리어를 캐리지가 진행하고 있었던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자력으로 이동시켜서 핑거와의 간섭을 회피한 후에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되돌리는 얀캐리어 이동수단이 채용되고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1코스당의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할 필요가 없어, 새로운 편성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귀상태 검출수단(33)을, 길이방향 일단측에 추(332)를 구비하는 회전편(331)과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검출부(333)로 구성하였지만, 추를 대신하여 스프링 등에 의하여 회전편이 비검출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일단이 프레임에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비검출위치측으로 가압된 타단에 대하여 핑거의 선단이 접촉하여 검출위치로 회전하는 회전편이 사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핑거의 선단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것을 당해 선단과의 접촉에 의하여 통전(通電)하는 접촉편에 의하여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이더라도 좋다. 또한 핑거의 선단이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것을 근접센서나 CCD카메라에 의한 화상분석에 의하여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핑거(312)의 선단(316)을 회전편(331)의 타단에 접촉시켜서 당해 핑거(312)의 선단(316)의 복귀상태를 검출했지만, 선단보다도 약간 기단측이 되는 핑거의 선단부를 회전편의 타단에 접촉시켜서 당해 핑거의 선단부의 복귀상태가 검출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캐리지(12)를 편성포(22)의 편성폭의 외측 부근에서 반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편성포에 패턴 등을 편성하는 것에 있어서 각 캐리지를 편성포의 편성폭내에서 반전시킬 때에도 핑거의 선단부와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이 생각되므로, 편성포의 편성폭내에서 캐리지를 반전시키는 경우에도 컨트롤러에 의한 동일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핑거(312)와 얀캐리어(15)의 급사구(151)와 간섭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캐리지(12)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키는 간섭회피동작을 하지만, 이 간섭회피동작은 핑거와 급사구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부가적인 동작으로서,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핑거의 선단부에 구부러짐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기만 하면 된다.
1 : 횡편기
11a, 1lb : 니들베드
12 : 캐리지
15 : 얀캐리어
151 : 급사구
2 : 편침
21 : 편사
22 : 편성포
31 : 스티치 프레서
312 : 핑거
314 : 리셋위치센서
315 : 기단부
316 : 선단
33 : 복귀상태 검출수단
331 : 회전편
333 : 검출부
34 : 판정수단
35 : 간섭회피 동작수단, 스트로크 연장수단

Claims (7)

  1.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편침(編針)에 선택적인 편성동작을 행하게 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어, 얀캐리어(yarn carrier)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급사된 편사(編絲)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編成布)를 가압 가능하게 하는 핑거가, 상기 캐리지의 이동중에 상기 편성포를 가압하는 세트위치(set 位置)와 상기 편성포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리셋위치(reset 位置)로 절환(切換)되는,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기단부(基端部)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하는 리셋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핑거의 선단부의 복귀상태를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리셋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이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귀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캐리지가 반전할 때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가 간섭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회피동작을 행하게 하는 간섭회피 동작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는,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의 연장에 의하여 회피하는 스트로크 연장수단이 채용되고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이 상기 캐리지의 이동방향의 동일한 장소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장소에서의 그 이후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트로크를 연장시키고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 동작수단으로서는, 상기 얀캐리어를 자력(自力)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얀캐리어를 상기 캐리지가 진행하고 있었던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자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핑거와 상기 얀캐리어의 급사구의 간섭을 회피하는 얀캐리어 이동수단이 채용되어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상태 검출수단은,
    2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상기 2위치 중에서 일방의 위치측으로 가압된 회전편과,
    상기 핑거를 리셋위치로 절환하였을 때에 당해 핑거의 선단부가 상기 회전편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편이 상기 일방의 위치로부터 타방의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리셋위치로 복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7.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편침에 선택적인 편성동작을 행하게 하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얀캐리어의 급사구로부터 급사된 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를 가압 가능하게 하는 핑거가, 상기 캐리지의 이동중에 상기 편성포를 가압하는 세트위치와 상기 편성포로부터 이반하는 리셋위치로 절환되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기단부가 리셋위치로 절환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핑거의 선단부의 복귀상태를 검출하는 복귀상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핑거의 선단부가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핑거의 선단부에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어방법.
KR1020130110857A 2012-09-24 2013-09-16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8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9148 2012-09-24
JP2012209148A JP5955180B2 (ja) 2012-09-24 2012-09-24 ステッチプレッサを備えた横編機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003A KR20140040003A (ko) 2014-04-02
KR101498445B1 true KR101498445B1 (ko) 2015-03-04

Family

ID=5023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57A KR101498445B1 (ko) 2012-09-24 2013-09-16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55180B2 (ko)
KR (1) KR101498445B1 (ko)
CN (1) CN103668760B (ko)
DE (1) DE102013014071B4 (ko)
IT (1) ITTO20130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6750B (zh) * 2014-04-30 2015-12-16 绍兴市越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的压脚装置
EP3169128B1 (en) 2014-07-07 2019-04-03 LG Electronics Inc. -1-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034665B1 (de) 2014-12-18 2024-01-24 KARL MAYER STOLL R&D GmbH Flachstrick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Einstreifen und Einlegen von Schuss-, Kett- und/oder Flottfäden
CN105386224A (zh) * 2015-12-28 2016-03-09 江苏国茂纺织科技有限公司 针织横机用铸铁机架
CN105648647B (zh) * 2015-12-31 2017-10-10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横机及其机头定位方法
CN105780280B (zh) * 2016-03-11 2018-02-16 浙江台鹰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针织机械的压圈装置
CN109765043A (zh) * 2019-01-28 2019-05-17 宁波星睿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针织横机换色基座检测设备
CN110983610B (zh) * 2019-12-31 2021-10-01 江苏国茂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的工作方法
JP2021195698A (ja) * 2020-06-18 2021-12-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及び不良検出システム
CN115341333A (zh) * 2022-09-07 2022-11-15 浙江恒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耙子用检测织物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8485A (ja) * 1992-11-09 1994-06-0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KR20030076157A (ko) * 2002-07-08 2003-09-26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EP1908868A1 (en) * 2005-06-10 2008-04-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17188A (ja) * 2010-12-03 2012-06-2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3451A (en) * 1981-04-28 1982-11-11 Shima Idea Center Knitted cloth press apparatus in v bed traverse knitting machine
DD250147A1 (de) * 1986-06-24 1987-09-30 Textima Veb K Flachstrickmaschine, insbesondere r/r-flachstrickmaschine
JPH038841A (ja) * 1989-06-02 1991-01-16 Shima Seiki Seisakusho:Kk Vベツド横編機における編地プレツサー
JPH0672347B2 (ja) * 1990-08-22 1994-09-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揺動シンカーとプレッサーバーを有する横編機
JP5329811B2 (ja) * 2005-11-16 2013-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キャリッジ搭載ユニット
CN201835064U (zh) * 2010-09-27 2011-05-18 南安市南星工业机械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的辅助脱圈装置
CN102108593B (zh) * 2011-03-24 2012-05-02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针织横编机的毛刷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8485A (ja) * 1992-11-09 1994-06-07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KR20030076157A (ko) * 2002-07-08 2003-09-26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EP1908868A1 (en) * 2005-06-10 2008-04-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pres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17188A (ja) * 2010-12-03 2012-06-2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003A (ko) 2014-04-02
DE102013014071A1 (de) 2014-03-27
JP5955180B2 (ja) 2016-07-20
DE102013014071B4 (de) 2020-08-20
CN103668760B (zh) 2016-01-20
JP2014062347A (ja) 2014-04-10
CN103668760A (zh) 2014-03-26
ITTO20130767A1 (it)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445B1 (ko) 스티치 프레서를 구비한 횡편기 및 그 제어방법
JPH0362821B2 (ko)
EP1418263A1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US5415016A (en) Knitted fabric presser unit of flat knitting machine
JP2009219780A (ja) 二本針ミシン
KR101516154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JPS62125053A (ja) 横編機
JP4016003B2 (ja) 横編機における磁力式選針装置
JP2017185177A (ja) 縫い終わり端検知自動停止装置付きミシン
US20020014190A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5982228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KR101347665B1 (ko)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JPS6039780B2 (ja) 自動横編機の裏目編み装置
JP4030864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CN110468493B (zh) 织机的张力测定装置及其张力测定方法
JP2009127140A (ja) 自動横編機
CN105525444B (zh) 缝纫机
JP4977603B2 (ja) 編地プレッサ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WO2009081583A1 (ja) 横編機および横編機での自走式キャリアの制御方法
JPH11152655A (ja) 横編み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CN101573484B (zh) 横编机的端线处理装置
CN112301575B (zh) 缝纫机
JP3992785B2 (ja) 多頭ミシンにおける手動糸切り指示方法
CN103510278A (zh) 绕线钉扣机
CN102719995A (zh) 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