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018B1 -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018B1
KR101498018B1 KR20140077191A KR20140077191A KR101498018B1 KR 101498018 B1 KR101498018 B1 KR 101498018B1 KR 20140077191 A KR20140077191 A KR 20140077191A KR 20140077191 A KR20140077191 A KR 20140077191A KR 101498018 B1 KR101498018 B1 KR 10149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eat
unit
cover body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청수
유종근
최장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2014007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22Ovens heated by radiators by electric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0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물의 전 부위로 열원이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연기 및 열기의 순환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연기의 감소 및 열기의 균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기 히터를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하되 전자파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한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되며,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조리물이 얹히는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덮도록 형성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부;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 중 상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를 향해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상측열원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와, 상기 공기 순환부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상측열원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electricity roaster}
본 발명은 전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리물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되어 배출되도록 한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장치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 및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직화방식 혹은, 복사열 방식으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특히,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6681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8855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0662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이 이동되면서 완전한 조리가 이루어진 후 배출되도록 한 연속 조리식 구이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속 조리식 구이장치에 의해 조리물의 연속 반복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 조리식 구이장치는 열원의 유형에 따라 전기 구이장치와 가스 구이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스 구이장치의 경우는 조리물이 연속하여 이동되는 경로 모두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가 극히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안전의 위험에 의해 실질적인 사용은 미미할 뿐 주로 전기 구이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조리물의 전 부위를 고르게 익히기가 어려우며, 특히 조리물의 저부에 대한 가열은 더욱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다.
즉,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의 경우 조리물이 트레이에 닮긴 상태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한 트레이의 이송을 위한 장치가 컨베이어 장치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구이장치의 저부에 열기 제공을 위한 전기 히터를 추가로 구비한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저부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해당 전기히터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상기 조리물에까지는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여 해당 조리물의 내부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상기 트레이에 얹힌 상태로 조리물이 조리되는 도중 해당 조리물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름 성분이 상기 전기 히터로 튀게 됨을 고려할 때 다량의 위해 연기가 발생되었던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전기 히터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컸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함께, 전술된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그의 열원으로 시스히터나 할로겐히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히터들은 다량의 전자파 발생으로 인해 주변 작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연속 조리식 구이장치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열기 및 연기가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열기 및 연기는 조리물이 배출되는 측을 통해 상기 조리물과 함께 배출됨에 따라 제품 신뢰성의 저하가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물론, 전술된 등록실용신안 제20-0166811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188555호에도 구이장치 내부의 연기 및 열기를 해당 구이장치 측부로 배출시킨 후 다시금 구이장치 내의 상부 및 저부로 순환되도록 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만, 상기 구이장치 측부 중 특정 부위에서 연기 및 열기가 집중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구이장치 내부의 열기가 조리물의 전 부위를 고르게 가열하지 못하고 상기 열기의 배출 부위로만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조리물의 고른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 역시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의 전 부위로 열원이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연기 및 열기의 순환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연기의 감소 및 열기의 균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기 히터를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하되 전자파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되며,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조리물이 얹히는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덮도록 형성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부;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 중 상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를 향해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상측열원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와, 상기 공기 순환부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상측열원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출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메인스프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입측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종동스프라켓과, 각 메인스프라켓 및 그의 직후방에 위치된 종동스프라켓을 각각 경유하도록 설치되면서 트레이가 얹힌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두 체인과, 상기 각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이루는 두 체인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의 저부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하측열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커버체 내의 상측 중앙 부위를 따라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기 유동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고, 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통슬릿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의 중앙으로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동관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강제 순환시키도록 구동되는 송풍팬과 팬모터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팬어셈블리와, 일단은 상기 커버체의 외측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동관체의 연통공과 연통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 흡입측에 연결되는 제1유동안내관과, 일단은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커버체의 측면 중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유입측에 연결되는 제2유동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의 저부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하측열원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측열원부 및 하측열원부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면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발열램프와, 상기 발열램프가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발열램프에서 발생된 열기가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이송 경로를 향해 제공되도록 반사하는 반사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열원부는 상기 커버체 내의 상측 양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되고, 각 상측열원부를 이루는 반사갓은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를 향해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대각 방향을 향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램프는 양단이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원통형의 외부발열관과, 상기 외부발열관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부발열관과, 상기 내부발열관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외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발열되면서 상기 내부발열관을 가열하는 카본사와, 상기 내부발열관의 양 끝단에 감기면서 상기 카본사를 상기 내부발열관의 외주면에 고정함과 더불어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전원공급단자 및 제2전원공급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본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카본사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발열램프를 이루는 제1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는 그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충돌하여 상쇄됨에 따라 전자파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 혹은,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상측열원부 및 하측열원부의 새로운 배치 구조에 의해 조리물의 전 부위로 열기가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조리물의 조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연기 및 열기의 순환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연기 및 열기의 외부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유동관체 및 그에 형성된 각 연통슬릿의 구조에 의해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된 연기 및 열기의 균일한 순환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가열원을 이루는 발열램프를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함과 더불어 그의 구조는 전자파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중 트레이 이송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중 커버체 내부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중 공기 순환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중 공기 순환부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중 각 열원부를 이루는 발열램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크게 메인프레임(100)과, 트레이 이송부(200)와, 커버체(300)와, 공기 순환부(400)와, 상측열원부(500) 및 하측열원부(600)와,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하측열원부(600)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의 내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공기 순환부(400)는 커버체(300) 내의 상부로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한 후 커버체(300) 내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상기 흡입된 연기 및 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외관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지면에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메인프레임(100)은 조리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 중 트레이 유입측 부위 및 트레이 유출측 부위에는 조리물이 얹힌 트레이(10)가 안착되면서 그의 이송 안내를 보조하기 위해 복수의 롤러(111,121)가 이격 설치되어 이루어진 롤러 컨베이어(110,12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롤러 컨베이어(110,120)는 단순히 작업자의 트레이(10) 인입 혹은, 인출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10)가 원활히 굴러갈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롤러(111,121)는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트레이(10)를 강제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조리물이 얹히는 트레이(10)를 이송시키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가 구동축(210), 구동모터(220), 두 메인스프라켓(230), 두 종동스프라켓(240), 두 체인(250) 및 텐션 조절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출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구동축(210)과 체인이나 벨트 혹은, 기어로써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2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메인스프라켓(230)은 상기 구동축(21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축(21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 종동스프라켓(2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입측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두 종동스프라켓(240)은 상기 두 메인스프라켓(230)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두 체인(250)은 상기 각 메인스프라켓(230)과 그의 직후방에 위치된 종동스프라켓(240)을 각각 경유하도록 설치되면서 트레이(10)가 얹힌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체인(250)의 외표면(트레이가 얹히는 면)에 별도의 마찰부재(도시는 생략됨)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트레이(10)와의 접촉 마찰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체인(250)의 외표면에 상기 트레이(10)의 이송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트레이(10)의 더욱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텐션 조절부(260)는 상기 각 체인(250)의 텐션을 조절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텐션 조절부(260)는 첨부된 도 2의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종동스프라켓(240)에 결합되는 결합축(261) 및 이 결합축(261)을 수평 이동시키는 조절볼트(262)로 구성되며, 상기한 조절볼트(262)의 조작을 통해 상기 각 종동스프라켓(240)을 상기 메인스프라켓(230)과의 대향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체(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덮도록 형성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커버체(300)는 양 측벽(도면상 전방측 벽면 및 후방측 벽면) 및 상부벽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며, 이러한 커버체(300)로 인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되는 트레이 이송부(200)는 트레이 유입측 및 트레이 유출측 부위를 제외하고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체(30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는 관통공(3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도 4의 확대도로 대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순환부(400)는 상기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순환시키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공기 순환부(400)가 유동관체(410)와, 송풍팬어셈블리(420)와, 제1유동안내관(430) 및 제2유동안내관(4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유동관체(410)는 상기 커버체(300) 내의 상측 중앙 부위를 따라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기 유동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관체(410)의 저면에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통슬릿(411)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관체(41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커버체(300)의 관통공(310)과 연통되는 연통공(4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관체(410)의 구조는, 상기 연통공(412)을 통해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커버체(300) 내의 공간 중 상기 연통공(412)에 인접된 중앙측 공간의 연기 및 열기만 흡입되도록 한 것이 아닌 상기 커버체(300) 내의 전 부위에 대한 연기 및 열기가 고르게 흡입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유동관체(410)의 저면은 폐쇄되면서 해당 면에 형성된 각 연통슬릿(411)으로만 연기 및 열기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커버체(300) 내의 특정 부위에서만 연기 및 열기가 집중하여 유입되는 것이 아닌 커버체(300) 내의 전 부위에서 연기 및 열기가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팬어셈블리(420)는 송풍팬(421)과 팬모터(422) 및 팬하우징(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면서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강제 순환시키도록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1유동안내관(430)은 그의 일단이 상기 커버체(300)의 외측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동관체(410)의 연통공(412)과 연통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팬하우징(423)이 이루는 공기 흡입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유동안내관(440)은 그의 일단이 상기 팬하우징(423)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커버체(300)의 측면 중 트레이 이송부(200)의 트레이 유입측(두 체인의 트레이 유입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유동안내관(440)의 타단을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연결되도록 한 이유는 후술될 상측열원부(500)를 이루는 반사갓의 설치로 인해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부위가 트레이 유입측이나 트레이 유출측을 제외하고는 커버체(300)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상태이기 때문이며, 또한 조리물의 조리 시작 시점에서부터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술된 유동관체(410)의 구조와 각 유동안내관(430,440)의 연결 구조에 의해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에 발생된 연기 및 열기를 반복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되어 열손실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어셈블리(420)는 상기 커버체(300)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열원부(500) 및 하측열원부(600)는 트레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10) 상의 조리물을 향해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상측열원부(500)는 상기 트레이(10)에 얹힌 조리물의 상부로 열기를 제공하여 조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측열원부(600)는 상기 트레이(10)에 얹힌 조리물의 하부로 열기를 제공하여 조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각 열원부(500,60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면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발열램프(510,610)와, 상기 발열램프(510,610)가 설치되면서 상기 발열램프(510,610)에서 발생된 열기가 트레이 이송부(20))의 트레이 이송 경로를 향해 제공되도록 반사하는 반사갓(520,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열원부(500)가 두 개로 구성되면서 상기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 중 상측 양 모서리 부위를 따라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상측열원부(500)를 이루는 각 반사갓(520)은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10)를 향해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대각 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반사갓(520)은 그의 하측 부위가 지지플레이트(5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측 부위는 유동관체(410)의 저면에 연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 중 트레이(10)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재차적으로 구획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열기의 누설이 최소화됨에 따른 조리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30)는 그의 하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 중 두 체인(250)의 외측편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측열원부(6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 중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이루는 두 체인(2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10) 상의 조리물이 상하 방향에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측열원부(6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두 체인(250)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두 체인(250)에 얹혀 이송되는 트레이(1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10)에 얹힌 조리물의 하측 부위에 대한 조리 역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가 양단이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원통형의 외부발열관(511,611)과, 상기 외부발열관(511,611)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부발열관(512,612)과, 상기 내부발열관(512,612)의 외주면에 감겨짐과 더불어 외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발열되면서 상기 내부발열관(512,612)을 가열하는 카본사(513,613)와, 상기 내부발열관(512,612)의 양 끝단에 감기면서 상기 카본사(513,613)를 상기 내부발열관(512,612)의 외주면에 고정함과 더불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전원공급단자(514,614) 및 제2전원공급단자(515,615)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본사(513,61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카본사고정부재(516,616)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발열램프(510,610)를 이루는 제1전원공급단자(514,614)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515,615)는 그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열램프(510,610)를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하되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514,614)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515,61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충돌하여 상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의 절감과 더불어 전자파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는 트레이(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각 열원부(500,600)마다 각각 하나씩 제공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이는, 상기 발열램프(510,610)가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단 하나로 길게 형성하더라도 전 부위의 고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열램프(510,610)는 각 열원부(500,600)마다 각각 둘 이상씩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레이(10)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 혹은, 구조로 형성됨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이 램프형 히터인 탄소 나노 발열램프(510,610)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트레이(10)를 빛 투과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트레이(10)에 얹히는 조리물이 더욱 원활히 조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이라 함은 예컨대, 수정, 강화유리 혹은, 연옥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빛의 투과가 가능한 구조라 함은 메쉬형 구조 혹은, 다공판의 구조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와, 상기 공기 순환부(400)의 동작 제어 및 각 열원부(500,600)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700)는 조리물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각 제어 대상 부품에 대한 제어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를 이용한 조리물의 조리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의 사용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제어부(7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트레이 이송부(200)를 이루는 구동모터(220)의 구동과 송풍팬어셈블리(420)를 이루는 팬모터(422)의 구동 및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의 발열이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이 이송부(200)를 이루는 구동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210) 및 이에 결합된 두 메인스프라켓(230)의 일괄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각 체인(250)을 동작시키게 되고, 송풍팬어셈블리(420)를 이루는 팬모터(422)의 구동에 의해 커버체(300)의 조리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열기는 반복적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의 발열에 의해 커버체(300) 내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 모두로 균일한 열기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의 상태에서, 트레이(10)에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메인프레임(100)의 트레이 유입측에 구비된 롤러 컨베이어(110)에 얹은 상태로 커버체(300) 내부를 향해 투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0)의 양측 저면(도면상 전방측 및 후방측 저면)은 상기 커버체(300) 내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두 체인(250)에 각각 얹히면서 상기 각 체인(250)의 동작에 의해 커버체(300)의 트레이 유출측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로부터 가해지는 열기에 의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 후 커버체(300)의 트레이 유출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각 열원부(500,600)를 이루는 발열램프(510,610)는 각각 트레이(10) 상면에 얹힌 조리물의 상부 및 저부에서 동시에 열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조리물은 전 부위가 고르게 조리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열원부(600)의 경우 상기 트레이(10)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트레이(10)는 빛 투과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리물의 저부에 대한 조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열램프(510,610)는 전원공급리드선(517,617)을 따라 한 쌍의 전원연결판(518,618)에 전원이 각각 공급되고, 계속해서 상기 전원연결판(518,618))으로 공급된 전원은 제1,2전원공급단자(514,614)를 따라 각각 내부발열관(512,612)에 감겨진 양측 카본사고정부재(516,616))로 공급됨과 더불어 이렇게 공급된 전원에 의해 내부발열관(512,612)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감겨진 카본사(513,613)가 발열하여 외부로의 고온 열기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514,614)의 전류 이동방향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515,615)의 전류 이동방향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외부발열관(511,611)의 내부에 폐회로가 생성되며, 특히 상기 제1,2전원공급단자(514,614)의 전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을 고려할 때 상기 각 전원공급단자(514,614)로의 전류 이동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은 서로 충돌하여 상쇄됨으로써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514,614)는 “A”방향(우측방향에서 좌측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515,615)는 “B”(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a”자기장과 “b”자기장의 충돌에 의해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 혹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상측열원부(500) 및 하측열원부(600)의 배치 구조에 의해 조리물의 전 부위로 열기가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조리물의 조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연기 및 열기의 순환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연기 및 열기의 외부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유동관체(410) 및 그에 형성된 각 연통슬릿(411)의 구조에 의해 커버체(300) 내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된 연기 및 열기의 균일한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는 가열원을 이루는 발열램프(510,610)를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함과 더불어 그의 구조는 전자파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 트레이 100. 메인프레임
110,120. 롤러컨베이어 111,121. 롤러
200. 트레이 이송부 210. 구동축
220. 구동모터 230. 메인스프라켓
240. 종동스프라켓 250. 체인
260. 텐션 조절부 261. 결합축
262. 조절볼트 300. 커버체
310. 관통공 400. 공기순환부
410. 유동관체 411. 연통슬릿
412. 연통공 420. 송풍팬어셈블리
421. 송풍팬 422. 팬모터
423. 팬하우징 430. 제1유동안내관
440. 제2유동안내관 500. 상측열원부
600. 하측열원부 510,610. 발열램프
511,611. 외부발열관 512,612. 내부발열관
513,613. 카본사 514,614. 제1전원공급단자
515,615. 제2전원공급단자 516,616. 카본사고정부재
517,617. 전원공급리드선 518,618. 전원연결판
700. 제어부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되며,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조리물이 얹히는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덮도록 형성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구획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유입측으로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부;
    상기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 중 상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를 향해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상측열원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와, 상기 공기 순환부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상측열원부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순환부는
    상기 커버체 내의 상측 중앙 부위를 따라 설치되면서 내부에 공기 유동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되고, 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통슬릿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의 중앙으로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유동관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커버체 내의 조리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 및 열기를 흡입하여 강제 순환시키도록 구동되는 송풍팬과 팬모터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팬어셈블리와,
    일단은 상기 커버체의 외측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동관체의 연통공과 연통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 흡입측에 연결되는 제1유동안내관과,
    일단은 상기 팬하우징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커버체의 측면 중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유입측에 연결되는 제2유동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출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메인스프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끝단 중 트레이 유입측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종동스프라켓과, 각 메인스프라켓 및 그의 직후방에 위치된 종동스프라켓을 각각 경유하도록 설치되면서 트레이가 얹힌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두 체인과, 상기 각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이루는 두 체인 사이에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의 저부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하측열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의 저부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는 하측열원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측열원부 및 하측열원부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면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발열램프와, 상기 발열램프가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발열램프에서 발생된 열기가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이송 경로를 향해 제공되도록 반사하는 반사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열원부는 상기 커버체 내의 상측 양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되고,
    각 상측열원부를 이루는 반사갓은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를 향해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대각 방향을 향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램프는
    양단이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원통형의 외부발열관과,
    상기 외부발열관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원통형의 내부발열관과,
    상기 내부발열관의 외주면에 감겨지면서 외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발열되면서 상기 내부발열관을 가열하는 카본사와,
    상기 내부발열관의 양 끝단에 감기면서 상기 카본사를 상기 내부발열관의 외주면에 고정함과 더불어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전원공급단자 및 제2전원공급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본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카본사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소 나노 발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발열램프를 이루는 제1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는 그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2전원공급단자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충돌하여 상쇄됨에 따라 전자파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 혹은,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KR20140077191A 2014-06-24 2014-06-24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KR10149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191A KR101498018B1 (ko) 2014-06-24 2014-06-24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7191A KR101498018B1 (ko) 2014-06-24 2014-06-24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018B1 true KR101498018B1 (ko) 2015-03-03

Family

ID=5302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7191A KR101498018B1 (ko) 2014-06-24 2014-06-24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29Y1 (ko) * 2000-03-07 2000-08-16 김영덕 피자구이기
JP2004329107A (ja) * 2003-05-07 2004-11-25 Nichiwa Denki Kk コンベアオーブン
JP2004344162A (ja) * 2003-05-22 2004-12-09 Masterfoods Austria Ohg 食品または飼料の熱処理用装置および該装置を利用して焼かれた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70030769A (ko) * 2004-03-05 2007-03-16 글로벌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러지즈, 아이엔씨. 컨베이어 오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29Y1 (ko) * 2000-03-07 2000-08-16 김영덕 피자구이기
JP2004329107A (ja) * 2003-05-07 2004-11-25 Nichiwa Denki Kk コンベアオーブン
JP2004344162A (ja) * 2003-05-22 2004-12-09 Masterfoods Austria Ohg 食品または飼料の熱処理用装置および該装置を利用して焼かれた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70030769A (ko) * 2004-03-05 2007-03-16 글로벌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러지즈, 아이엔씨. 컨베이어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8403B2 (en) Heating cooker
KR20110135954A (ko) 적외로 시스템
EP3104667B1 (en) Microwave heating device
JP5129249B2 (ja) ハイブリッド型熱処理機及びその方法
JP5753358B2 (ja) 連続炊飯装置
JP5753360B2 (ja) 連続炊飯装置
JP5859188B2 (ja) 連続炊飯装置
KR101498018B1 (ko) 연속 조리식 전기 구이장치
JP4382725B2 (ja) 食品の加熱装置
JP2017110830A (ja) 排気装置
US20190373899A1 (en) Conveyor baking oven for continuous baking operation
JP6412224B2 (ja) 連続炊飯装置
CN214709953U (zh) 一种烘焙隧道炉
JP6525131B2 (ja) 交換用熱源ユニット、加熱調理装置
JP2006000279A (ja) 連続炊飯装置
CN104480276A (zh) 一种立式连续式回火炉
JP6196023B2 (ja) 連続炊飯装置
JP6106255B2 (ja) 連続炊飯装置
JP6404967B2 (ja) 連続炊飯装置
CN218889187U (zh) 一种分区独立控制的连接输送炉
KR101894893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가열장치
JP5753359B2 (ja) 連続炊飯装置
JP3105702U (ja) 串物焼き装置
JP3206904U (ja) 連続式加熱調理装置
JP2019013775A (ja) 連続炊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