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45B1 -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45B1
KR101487345B1 KR20130026046A KR20130026046A KR101487345B1 KR 101487345 B1 KR101487345 B1 KR 101487345B1 KR 20130026046 A KR20130026046 A KR 20130026046A KR 20130026046 A KR20130026046 A KR 20130026046A KR 101487345 B1 KR101487345 B1 KR 10148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isotope
pipe
valve
solution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440A (ko
Inventor
준 가토
토모야 이와타
타카시 오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005Isotope delivery syste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HOBTAINING ENERGY FROM RADIOACTIVE SOURCES; APPLICATIONS OF RADIATION FROM RADIOACTIVE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TILISING COSMIC RADIATION
    • G21H5/00Applications of radiation from radioactive sources or arrangement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ucle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약제를 합성 가능한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용 카세트, 방사성약제 합성장치, 및,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용 기판을 제공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지주부(F)를 구비하는 플레이트(22)와, 복수의 지주부(F) 중 일부에 의하여 플레이트(22)에 장착된 배관(21)을 구비한다. 또, 플레이트(22)에는, 배관(21)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H)이 형성되고, 관통구멍(H)의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주부(F)는, 제1 방향을 따라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주부(Fv)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주부(Fh)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Cassette for handling apparatus of radioactive isotope, handling apparatus of the same and handling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은,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병원 등에서의 PET 검사(포지트론 단층촬영검사) 등에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 표지화합물(RI 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RI)를 소정의 원료시약과 화학반응시키는 RI 화합물 합성장치로 합성된다. 이러한 합성장치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합성장치는, 고정설치모듈과, 복수의 배관을 기판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모듈을 구비한다. 이 합성장치에서는, 1회의 합성이 종료되면, 일회용 모듈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 다음의 합성에 대비한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공보 2004-515330호
이러한 합성장치를 시험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 유로를 자유롭게 변경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합성장치에서는, 일회용 모듈은, 1종류의 약제의 합성전용이다. 이로 인하여, 유저는 일회용 모듈의 유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일회용 모듈을 다른 종류의 약제의 합성에는 사용할 수 없다. 동일한 과제가, 예를 들면,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하는 정제장치 등의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 가능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는,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기판과, 복수의 지지수단 중 일부에 의하여 기판에 장착된 배관을 구비하고, 기판에는,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관통구멍의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지지수단이 대응하여 설치되고, 복수의 지지수단은, 제1 방향을 따라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수단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 지지수단 및 복수의 제2 지지수단 중 일부에 배관이 장착됨으로써, 원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 가능해진다. 그 결과,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관통구멍에 적어도 2개의 지지수단이 대응하여 설치됨으로써, 지지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배관을 관통구멍 상에 위치맞춤할 수 있어, 배관을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수단의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라인의 어느 것의 위에 설치되어도 되고, 복수의 제2 지지수단의 각각은, 제2 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2 라인의 어느 것의 위에 설치되어도 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은, 복수의 제1 라인의 어느 것과 복수의 제2 라인의 어느 것과의 교점에 위치맞춤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을 따라 배관을 장착할 수 있다. 또, 장착된 배관을 보다 확실히 관통구멍 상에 위치맞춤할 수 있어, 배관을 보다 확실히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관통구멍의 각각에는, 적어도 3개의 지지수단이 대응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관의 장착 자유도가 더욱 향상된다.
관통구멍은, 제2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긴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고, 긴 구멍은,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구멍이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넓은 범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과 관통구멍과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는,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배관을 압압(壓押) 가능한 복수의 압압부재를 구비한다. 이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에 있어서는, 고정부에 고정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로, 복수의 제1 지지수단 및 복수의 제2 지지수단 중 일부에 배관이 장착됨으로써, 원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 가능해진다. 그 결과,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압압부재에 의하여 배관을 관통구멍으로 압압함으로써, 배관을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관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에서는, 고정부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의 기판을 받는 전면과, 기판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클릭(爪)부와,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가져도 된다. 고정부는, 전면으로 기판을 받아, 클릭부로 기판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여, 돌출부를 기판의 관통구멍으로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를 더욱 구비해도 된다. 또, 복수의 압압부재는, 도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로, 배관을 압압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와,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로, 압압부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가 장착되어,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와,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로, 압압부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의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에 있어서, 본체부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압압부재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압부재는, 돌출부와의 사이에서 카세트의 배관을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압압부재는 배관을 확실히 막을 수 있어, 유로의 설정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은,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배관을 압압 가능한 복수의 압압부재와, 방사성동위원소를 용해시킨 용액의 조정을 행하는 용액조정유닛과, 용액조정유닛에서 조정된 용액에 포함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정제부를 구비하고, 정제부는, 용액으로부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부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는, 교환 가능한 삼방활전(三方活栓)과, 삼방활전과는 별체로서 설치되고, 삼방활전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가져도 된다. 추출부보다 하류측의 유로에 있어서,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액체가 통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가이고 일회용 가능한 삼방활전으로 하여, 삼방활전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해 삼방활전과는 별체의 구동부로 하고 있다. 이로써, 상이한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하는 경우, 구동부에 대해서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 부품으로서 사용하고, 액체가 통과하는 부분은 새로운 삼방활전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로써, 저가의 구조로, 정제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로서 예시되는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사성약제 합성장치가 구비하는 플레이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모듈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모듈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2의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모듈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모듈의 제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2의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모듈의 제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로서 예시되는 용액조정장치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용액조정장치에서 이용되는 카세트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용액조정유닛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용액조정유닛의 도어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용액조정유닛의 고정부에 카세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부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64Cu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89Zr을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99 mTc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은 64Cu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9는 89Zr을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0은 99 mTc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로서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방사성약제를 합성하는 방사성약제 합성장치, 방사성동위원소를 포함하는 용액의 농도조정 등을 행하는 용액조정장치,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로서 방사성약제 합성장치를 채용했을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로서 용액조정장치(다만, 도 17, 도 19 및 도 20의 예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장치도 예시되어 있다)를 채용했을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이하, 단순히 "합성장치"라고 한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장치(1)는, 분리모듈(2)(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과 고정설치모듈(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3)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합성장치(1)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에 해당하는 분리모듈(2)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에 해당하는 고정설치모듈(3)을 구비하는, 방사성약제 합성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합성장치(1)의 상하, 전후, 좌우란, 합성장치(1)를 설치했을 경우의 설치면측을 아래, 분리모듈(2)이 장착되어 있는 측면을 앞으로 했을 때의 방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분리모듈(2)은, 방사성약제에 대응한 유로를 구비한 디스포저블 카세트로서, 배관(21)과, 플레이트(22)(기판)와, 반응기(23)를 가지고 있다. 배관(21)은, 예를 들면 실리콘튜브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유체를 흘려 보내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이 배관(21)은, 복수의 이음부(J)에 의하여 복수의 배관부(L)가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이음부(J)는, 2 이상의 배관부(L)의 단부를 서로 접속한다. 또, 배관(21)은, 시약 바이알 등에 접속하기 위한 이음부(J)를 가진다.
플레이트(2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용 기판이다. 이 플레이트(22)는,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지주부(F)(지지수단)를 가지고, 이 복수의 지주부(F)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한 배관(21)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지지한다. 이 플레이트(22)에는, 후술하는 실린더(S)(압압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관(21)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2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응기(23)는, 원료를 반응시켜 표지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성약제의 합성을 행하기 위한 바이알이다. 이 반응기(23)에서는, 그 용량이 예를 들면 7cc 정도로서, 평편한 바닥, 둥근 바닥, 혹은 추형의 바닥을 가지며, 반응성이 높아지고 있다. 분리모듈(2)은, 합성대상의 약제에 따라서는, 복수의 반응기(23)(반응기(23A, 23B))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고정설치모듈(3)은, 외형이 대략 정육면체인 부재이며, 본체부(31)와 도어부(3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31)의 전면에는, 분리모듈(2)의 플레이트(22)를 장착하는 장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의 단부(31a) 상면에는, 반응기(23;23A, 23B)를 수용하는 수용구멍(34;34A, 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구멍(34)의 둘레에는, 반응기(23)를 냉각하기 위한 쿨러, 반응기(23)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반응기(23) 내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센서, 반응기(23) 내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계, 및, 반응기(23) 내에 포함되는 방사선량을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1)에는, 가스를 온라인에서 가열하기 위한 전기로,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매스플로 컨트롤러, 및, 시약 바이알 등을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부(32)는, 본체부(31)의 단부(31a) 측면에 설치된 힌지를 통하여, 화살표 A의 방향으로 90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부(32)는, 손잡이(36)를 회전하여 고정구(37)를 본체부(31)의 계합구멍(38)에 계합시키고, 또 계합 해제시킴으로써, 본체부(31)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이 도어부(32)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실린더(S)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실린더(S)는, 예를 들면 에어의 힘으로 전후 이동하는 에어실린더이다. 에어는, 본체부(31)로부터 뻗는 에어튜브(41)를 통하여, 개개의 실린더(S)에 공급된다. 또, 본체부(31)에는, 관통구멍(H)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H)을 향하여 돌출하는 배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S)는, 도어부(32)가 폐쇄된 상태에서 배관(21)을 압압 가능해진다. 그리고, 실린더(S)를 전후 이동시켜, 대략 원형의 관통구멍(H)에 배관(21)을 밀어 넣어, 배판과 실린더(S)와 배관(21)을 삽입함으로써, 배관(21)을 짓누르거나 되돌리거나 하는 개폐밸브(VP)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합성장치(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제품 바이알을 향하여, 정제한 약액을 공급하는 배관부(L)가 뻗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플레이트(22)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합성장치(1)가 구비하는 플레이트(2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플레이트(22)에서는, 복수의 지주부(F)는, 상하방향(제1 방향)을 따라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주부(Fv)(제1 지지수단)와, 좌우방향(제2 방향)을 따라 배관(21)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주부(Fh)(제2 지지수단)를 포함한다. 제1 지주부(Fv)의 각각은, 상하방향을 따른 라인(C1~C17)(제1 라인) 중 어느 라인(C) 상에 배치된다. 또, 제2 지주부(Fh)의 각각은, 좌우방향을 따른 라인(R1~R7)(제2 라인) 중 어느 라인(R) 상에 배치된다. 다만, 라인(C1~C17)은,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하여 차례로 배열되어 있으며, 라인(R1~R7)은,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구멍(H)의 각각은, 라인(C1~C17) 중 어느 것과 라인(R1~R7) 중 어느 것의 교점에 위치맞춤하여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관통구멍(H)은, 라인(R1)과 라인(C1, C2, C4, C5, C7, C8, C10, C11, C13, C14, C16, C17)과의 교점, 라인(R2)과 라인(C1, C4, C8, C10, C14, C17)과의 교점, 라인(R3)과 라인(C3, C6, C12, C15)과의 교점, 라인(R4)과 라인(C9)과의 교점, 라인(R5)과 라인(C3, C6, C12, C15)과의 교점, 라인(R6)과 라인(C1, C4, C8, C10, C14, C17)과의 교점, 및, 라인(R7)과 라인(C1, C2, C4, C5, C7, C8, C10, C11, C13, C14, C16, C17)과의 교점에 각각 위치맞춤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구멍(H)의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배치되지만, 이 예에서는, 적어도 3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라인(C1~C17) 중 가장 좌측의 라인(C1) 상에 형성된 관통구멍(H)에는, 그 주연부에 3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H)의 상하 각각에 제1 지주부(Fv)가 설치되고, 관통구멍(H)의 우측에 제2 지주부(Fh)가 설치되어 있다.
또, 라인(C1~C17) 중 가장 우측의 라인(C17) 상에 형성된 관통구멍(H)에는, 그 주연부에 3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H)의 상하 각각에 제1 지주부(Fv)가 설치되고, 관통구멍(H)의 좌측에 제2 지주부(Fh)가 설치되어 있다. 또, 라인(C2~C16) 상에 형성된 관통구멍(H)에는, 그 주연부에 4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H)의 상하 각각에 제1 지주부(Fv)가 설치되고, 관통구멍(H)의 좌우 각각에 제2 지주부(Fh)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지주부(F)는, 관통구멍(H)의 주연부 이외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제1 지주부(Fv)는, 라인(C1~C17) 상에 있어서, 인접하는 라인(R1~R7)에 끼워진 부분 및 라인(C1~C17) 상의 양단에 위치하는 관통구멍(H)과 플레이트(22)의 단부에 끼워진 부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플레이트(22)를 이용한 분리모듈(2)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합성대상이 되는 방사성약제에 따른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지주부(F)의 조합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지주부(F)의 각각에 배관부(L)를 장착한다. 이 때, 1개의 관통구멍(H)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지주부(F)가 선택된다. 이로 인하여, 지주부(F)에 장착한 배관부(L)는, 관통구멍(H)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고정된다. 이어서, 이음부(J)에 의하여 복수의 배관부(L)를 서로 접속한다. 이 때, 3개의 배관부(L)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T자 형상의 이음부(J) 또는 Y자 형상의 이음부(J)를 이용하고, 4개의 배관부(L)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자 형상의 이음부(J)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방사성약제에 따른 유로를 가지는, 방사성약제의 합성용 배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관(21)에 반응기(23) 및 원하는 시약 바이알 등을 이음부(J)를 통하여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분리모듈(2)이 조립된다.
이하, 복수 종류의 방사성약제의 각각에 따른 분리모듈(2)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3~도 7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관통구멍(H) 대신에, 관통구멍(H)과 실린더(S)에 의하여 구성되는 개폐밸브(VP)를 나타내고, 각 개폐밸브(VP)를 좌측 위에서부터 차례로 개폐밸브(VP1)~개폐밸브(VP45)로 하여 구별한다. 또, 배관의 접속은, 접속되는 배관의 수에 따른 형상의 이음부(J) 등을 통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각 배관 및 배관부는, 1개의 배관부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배관부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되는데, 소정 범위의 배관 및 배관부마다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구성예)
제1 구성예에서는, 분리모듈(2)을 11C-메틸화 반응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설치모듈(3)에는, 배관(T), 쿨러(43)(43A, 43B), 히터(44)(44A, 44B), 전기로(45), 제품 바이알(50), 바이알(51), 바이알(M;M11, M1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고정설치모듈(3)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T)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가속기 및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봄베에 접속되는 배관(Tin)에, 배관(T1)의 일단 및 배관(T2)의 일단이 T자의 이음부(J)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배관(T1)의 일단측에는 개폐밸브(V1)가 설치되고, 타단측에는 개폐밸브(V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T1)의 타단은 압력계(46)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T2)은 바이알(M12)까지 뻗고, 배관(T2)의 경로 중에는 개폐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에 있어서, 배관(T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T3)의 경로 중에는 개폐밸브(V6) 및 개폐밸브(V15)가 설치되고, 배관(T3)의 타단은, 압력계(46)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T3)의 개폐밸브(V6)가 설치된 부분을 바이패스하도록, 배관(T4)이 설치되고, 배관(T4)에 의하여 바이패스된 배관(T3)의 부분을 더욱 바이패스하도록, 배관(T5)이 설치되어 있다. 배관(T4)의 일단측에는 개폐밸브(V3)가 설치되고, 타단측에는 개폐밸브(V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관(T5)의 일단측에는 개폐밸브(V4)가 설치되고, 타단측에는 개폐밸브(V17)가 설치되어 있다. 배관(T5)의 개폐밸브(V4)와 개폐밸브(V17)와의 사이에 있어서, 배관(T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T8)의 타단에는, 개폐밸브(V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관(T5)에 의하여 바이패스된 배관(T3)의 부분에 배관(T9)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T9)의 타단에는, 개폐밸브(V13)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V10) 및 개폐밸브(V13)의 사이에, 개폐밸브(V11 및 V12)를 통하여 전기로(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관(T3)의 일단측에는 배관(T6)이 접속되어 있으며, 배관(T6)은 바이알(M11)까지 뻗어 있다. 이 배관(T6)의 경로 중에는 개폐밸브(V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관(T3)에는, 개폐밸브(V6)를 통하여 배관(T7)이 접속되어 있으며, 배관(T7)은 바이알(51)까지 뻗어 있다. 이 배관(T7)의 경로 중에는 개폐밸브(V7)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계(46)에는, 배기 라인(waste line) 및 진공 라인(vacuum line)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 라인은, -40kPa 정도로 인압하는 라인이다. 진공 라인은, -98kPa 정도로 인압하는 라인이다. 이 배기 라인에는, 개폐밸브(V18)가 설치되고, 진공 라인에는, 개폐밸브(V19)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의 바이알(M11)에는, 요오드화 수소산(HI)이 예를 들면 0.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12)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충전되어 있다.
다음으로, 분리모듈(2)에 대해 설명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과, 플레이트(22)와, 반응기(23A) 및 반응기(23B)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21)은, 배관부(L11~L17)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부(L11)는, 바이알(M11)로부터 반응기(23A)까지 뻗어, 개폐밸브(VP3, VP14, VP29, VP36)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관부(L)가 개폐밸브(VP)를 통과하도록 장착된다라고 하는 것은, 배관부(L)가, 개폐밸브(VP)의 주연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지주부(F)에 의하여, 관통구멍(H) 상을 통과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개폐밸브(VP)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관부(L)는, 관통구멍(H)의 상하에 설치된 2개의 제1 지주부(Fv)에 의하여 관통구멍(H) 상을 통과하도록 고정된 배관부(L)를 의미하고, 개폐밸브(VP)를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관부(L)는, 관통구멍(H)의 좌우에 설치된 2개의 제2 지주부(Fh)에 의하여 관통구멍(H) 상을 통과하도록 고정된 배관부(L)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배관부(L12)는,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11)의 개폐밸브(VP3)와 개폐밸브(VP14)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13)는, 배관(T4)의 개폐밸브(V3)와 개폐밸브(V16)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A)까지 뻗어, 개폐밸브(VP34, VP3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14)는, 반응기(23A)로부터 개폐밸브(V10)까지 뻗어, 개폐밸브(VP38, VP39)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배관부(L14)의 경로 중에 필터(61)를 설치해도 된다.
배관부(L15)는, 바이알(M12)로부터 반응기(23B)까지 뻗어, 개폐밸브(VP10, VP17, VP32, VP43)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16)는, 배관부(L15)의 개폐밸브(VP32)와 개폐밸브(VP43)와의 사이로부터 개폐밸브(V13)까지 뻗어, 개폐밸브(VP4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관부(L17)는, 배관부(L15)의 개폐밸브(VP17)와 개폐밸브(VP32)와의 사이로부터 제품 바이알(50)까지 뻗어, 개폐밸브(VP22, VP18, VP1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반응기(23B)로부터 배관(T5)의 개폐밸브(V4)와 개폐밸브(V17)와의 사이까지 뻗는 배관(T10)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을 이용한 11C-메틸화 반응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THF(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한 수소화 알루미늄리튬을 반응기(23A)에 충전하고, 쿨러(43A)에 의하여 -10℃ 정도로 냉각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15, V16, V18, VP4, VP14, VP29, VP34~VP36)를 개방하고, 가속기에 의하여 제조한 11C-CO2가스를 반응기(23A) 내의 THF용액에 분사함으로써, 11CO2가스와 수소화 알루미늄리튬을 반응시킨다.
그 후, 개폐밸브(V15, V16, V18, VP34, VP35)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VP)를 폐쇄한다. 그리고, 배기 라인에 의하여 반응기(23A)를 감압함과 함께, 히터(44A)에 의하여 반응기(23A)를 가열한다. 이로써, 반응기(23A) 내의 THF를 기화하여 배출하여, 반응기(23A) 내를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5, V15, V16, V18, VP3, VP14, VP29, VP34~VP36)를 개방하고,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한다. 그리고, 건조한 반응기(23A)에 바이알(M11)로부터 요오드화 수소산을 도입하여, 상기 반응으로 발생한 11C를 포함하는 염과 산화 반응시킨다. 이 때, 배관(Tin)으로부터 바이알(M11)에 불활성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바이알(M11) 내의 요오드화 수소산을 반응기(23A)에 이송한다.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바이알(M) 내의 용액 등을 이송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써, 반응기(23A) 내에 있어서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합성한다. 여기서 합성한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는, 11C를 포함하는 방사성약제의 합성에 있어서, 기간(基幹) 시약으로서 취급된다.
예를 들면,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이용한 11C-메티오닌의 합성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11C-메티오닌의 합성은, 계속해서 분리모듈(2)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다만, 전기로(45)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전기로(45) 및 개폐밸브(V11, V12) 대신에 개폐밸브(V10) 및 개폐밸브(V13)를 배관으로 접속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메티오닌의 원료인 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을 아세톤으로 용해하여, 반응기(23B)에 충전한다. 그 후, 개폐밸브(V1, V10, V13, V15, V17, V18, VP4, VP14, VP29, VP36, VP38, VP39, VP42, VP43)를 개방하고, 반응기(23A)에 있어서 합성한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반응기(23B)에 분사한다. 이로써, 11C-요오드화 메틸가스와 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을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2, V15, V17, V18, VP10, VP17, VP32, 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12) 내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반응기(23B)에 도입하여, 반응기(23B) 내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한다. 이어서, 개폐밸브(V1, V4, VP12, VP18, VP22, VP32, VP43)를 개방하고,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반응기(23B) 내의 반응액을 꺼내, 적절한 정제처리를 하여 11C-메티오닌을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또,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이용하여 11C-라클로프라이드 및 11C-플루마제닐을 합성할 수도 있다. 11C-라클로프라이드 및 11C-플루마제닐의 합성은, 계속해서 분리모듈(2)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들 약제의 합성수순은 대략 동일하므로, 11C-라클로프라이드를 합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을 미량으로 포함하는 아세톤에, 라클로프라이드의 원료인 데스메틸라클로프라이드를 용해하여, 반응기(23B)에 충전한다.
그 후, 개폐밸브(V1, V10~V13, V15, V17, V18, VP4, VP14, VP29, VP36, VP38, VP39, VP42, VP43)를 개방하고, 반응기(23A)에 있어서 합성한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은(AgOTf)이 충전된 전기로(45)에 통과시킨다. 이로써, 11C-요오드화 메틸가스와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은을 온라인으로 반응시키고, 11C-메틸트리플레이트가스를 합성한다.
그리고, 이 11C-메틸트리플레이트가스를 반응기(23B)에 분사하여, 11C-메틸트리플레이트가스와 데스메틸라클로프라이드를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4, VP12, VP18, VP22, VP32, 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반응기(23B) 내의 반응액을 꺼내, 적절한 정제처리를 하여 11C-라클로프라이드를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제2 구성예)
제2 구성예에서는, 분리모듈(2)을 11C-콜린의 합성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설치모듈(3)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에 대해서, 바이알(M11) 및 바이알(M12) 대신에 바이알(M21) 및 바이알(M24)을 구비하고, 바이알(M22), 바이알(M23), 폐액보틀(53), 필터(61) 및 컬럼(62)을 더욱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바이알(M21)에는, 요오드화 수소산(HI)이 0.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22)에는, 에탄올/물이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23)에는, 물이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24)에는, 생리식염수가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컬럼(62)은, 수지가 채워진 통형상 용기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과, 플레이트(22)와, 반응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21)은, 배관부(L21~L30)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부(L21)는, 바이알(M21)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 VP14, VP29, VP36)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22)는,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21)의 개폐밸브(VP3)와 개폐밸브(VP14)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23)는, 배관(T4)의 개폐밸브(V3)와 개폐밸브(V16)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4, VP3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24)는, 반응기(23)로부터 필터(61)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38, VP39)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25)는, 바이알(M22)로부터 필터(61)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7, VP16, VP31, VP4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된다. 배관부(L26)는, 바이알(M23)로부터 배관부(L25)의 개폐밸브(VP7)와 개폐밸브(VP16)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8)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관부(L27)는, 바이알(M24)로부터 배관부(L25)의 개폐밸브(VP16)와 개폐밸브(VP31)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0, VP17, VP21)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관부(L28)는, 배관부(L25)의 개폐밸브(VP31)와 개폐밸브(VP40)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1)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관부(L29)는, 폐액보틀(53)로부터 제품 바이알(50)까지 뻗어, 개폐밸브(VP45, VP33, VP18, VP1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0)는, 배관부(L29)의 개폐밸브(VP33)와 개폐밸브(VP45)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4)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액보틀(53)로부터 배관(T5)의 개폐밸브(V4)와 개폐밸브(V17)와의 사이까지 뻗는 배관(T11)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을 이용한 11C-콜린의 합성수순을 설명한다. 11C-콜린의 합성의 전단계로서, 도 3의 분리모듈(2)에 의하여, 반응기(23) 내에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합성한다. 다음으로, 도 4의 분리모듈(2)을 이용하여, 11C-콜린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콜린의 원료인 2-디메틸아미노에탄올을 컬럼(62)에 충전한다.
그 후, 개폐밸브(V1, V3, V15, V17, V18, VP34, VP35, VP38~41, VP44, VP45)를 개방하고, 반응기(23)에 있어서 합성한 11C-요오드화 메틸가스를 컬럼(62)으로 통과시킨다. 이로써, 11C-요오드화 메틸가스와 2-디메틸아미노에탄올을 반응시키고, 11C-콜린을 합성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5, V17, V18, VP7, VP16, VP31, VP41, VP44, VP45)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22) 내의 에탄올/물을 컬럼(62)에 도입하여, 컬럼(62) 내의 미반응의 2-디메틸아미노에탄올을 세정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2, VP10, VP12, VP17, VP18, VP21, VP31, VP33, VP41, VP44)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24) 내의 생리식염수를 컬럼(62)에 도입하고, 11C-콜린을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제3 구성예)
제3 구성예에서는, 분리모듈(2)을 11C-아세트산의 합성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설치모듈(3)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에 대해서, 바이알(M11) 및 바이알(M12) 대신에 바이알(M31) 및 바이알(M33)을 구비하고, 바이알(M32), 폐액보틀(53), 컬럼(62) 및 컬럼(64)을 더욱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바이알(M31)에는, 1mol/L의 염산(HCl)이 0.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32)에는, 물이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33)에는, 생리식염수가 충전되어 있다. 컬럼(62)은, 음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컬럼으로서, 통과액 중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을 일시적으로 포집한다. 또, 컬럼(62)은, 아세트산을 포집한 후에 이 컬럼(62)에 생리식염수가 통과됨으로써, 다시 컬럼(62) 내에서 이온교환을 행하고, 아세트산을 추출한다. 컬럼(64)은, 양이온교환수지의 충전된 컬럼으로서, 반응액 중에 포함되는 마그네슘이온을 은이온으로 교환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과, 플레이트(22)와, 반응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21)은, 배관부(L31~L39)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부(L31)는, 바이알(M31)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 VP14, VP29, VP36)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2)는, 배관(T4)의 개폐밸브(V3)와 개폐밸브(V16)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4, VP3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3)는,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4)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6, VP15, VP30, VP39)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4)는, 배관부(L33)의 개폐밸브(VP30)와 개폐밸브(VP39)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8)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5)는, 바이알(M32)로부터 컬럼(64)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7, VP16, VP31, VP4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6)는, 바이알(M33)로부터 배관부(L35)의 개폐밸브(VP7)와 개폐밸브(VP16)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8)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7)는, 배관부(L35)의 개폐밸브(VP31)와 개폐밸브(VP40)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1)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8)는, 폐액보틀(53)로부터 제품 바이알(50)까지 뻗어, 개폐밸브(VP45, VP33, VP18, VP1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39)는, 배관부(L38)의 개폐밸브(VP33)와 개폐밸브(VP45)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폐액보틀(53)로부터 배관(T5)의 개폐밸브(V4)와 개폐밸브(V17)와의 사이까지 뻗는 배관(T11)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분리모듈(2)을 이용한 11C-아세트산의 합성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그리나르시약인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의 THF용액을 반응기(23)에 충전한다. 그 후, 개폐밸브(V1, V15, V16, V18, VP6, VP15, VP30, VP34, VP35, VP38)를 개방하고, 가속기에 의하여 제조한 11C-CO2가스를 반응기(23)로 분사한다. 이로써, 11C-CO2가스와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의 THF용액을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5, V15, V16, V18, VP3, VP14, VP29, VP34~VP36)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31) 내의 염산을 반응기(23)에 도입하여, 반응기(23) 내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하고, 반응기(23) 내에 11C-아세트산을 합성한다. 이어서, 개폐밸브(V1, V3, VP12, VP18, VP33~VP35, VP38~VP41, VP44)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반응기(23) 내의 반응액을 컬럼(64) 및 컬럼(62)을 통하여 꺼내, 적절한 정제처리를 하여 11C-아세트산을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제4 구성예)
제4 구성예에서는, 분리모듈(2)을 18F-FDG, 18F-FLT, 18F-FMISO의 합성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의 제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설치모듈(3)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에 대해서, 바이알(M11) 대신에 바이알(M41)을 구비하고, 바이알(M42)~바이알(M47) 및 이온교환수지(66)를 더욱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구성예에서는, 배관(T2)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바이알(M41)은, 가속기로 제조한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바이알(M42)에는, 상간이동촉매(K. 222)가 0.7mL 정도 포함되고, 탄산칼륨 수용액이 0.2mL 정도 포함된 용액이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43)에는, 아세토니트릴(MeCN)이 0.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44)에는, 합성약제의 주원료, 예를 들어 FDG이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만노피라노스가 20mg 정도 용해된 아세토니트릴이 1.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45)에는, 1mol/L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이 0.7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46, M47)에는, 합성하는 약제에 따라 추가하는 필요한 반응처리를 하기 위한 약제를 충전해 둔다. 예를 들면 FDG의 경우는 생리식염수, 예를 들면 FLT의 경우는 pH를 조정하기 위한 인산완충액 등이 충전된다. 이온교환수지(66)는, 전해액을 통함으로써, 수지 내의 이온성물질과 전해액 중의 이온성물질을 교환하는 수지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과, 플레이트(22)와, 반응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21)은, 배관부(L41~L54)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부(L41)는, 바이알(M41)로부터 배관(T4)의 개폐밸브(VP3)와 개폐밸브(VP16)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 VP13, VP28, VP34)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2)는, 바이알(M42)로부터 배관부(L41)의 개폐밸브(VP1)와 개폐밸브(VP13)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2)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3)는, 배관부(L41)의 개폐밸브(VP28)와 개폐밸브(VP34)와의 사이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35)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4)는, 바이알(51)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9, VP30, VP31, VP4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5)는, 배관부(L44)의 개폐밸브(VP30)와 개폐밸브(VP39)와의 사이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38)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6)는, 반응기(23)로부터 제품 바이알(50)까지 뻗어, 개폐밸브(VP43, VP32, VP27, VP18, VP1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7)는, 바이알(M43)로부터 배관부(L46)의 개폐밸브(VP18)와 개폐밸브(VP27)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3, VP14, VP20, VP21, VP2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8)는, 바이알(M44)로부터 배관부(L47)의 개폐밸브(VP3)와 개폐밸브(VP14)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49)는,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47)의 개폐밸브(VP20)와 개폐밸브(VP21)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6, VP1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50)는, 배관부(L47)의 개폐밸브(VP20)와 개폐밸브(VP21)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44)의 개폐밸브(VP30)와 개폐밸브(VP31)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23)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51)는, 바이알(M47)로부터 배관부(L46)의 개폐밸브(VP12)와 개폐밸브(VP18)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1)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52)는, 바이알(M46)로부터 배관부(L47)의 개폐밸브(VP21)와 개폐밸브(VP22)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0, VP17)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53)는, 바이알(M45)로부터 배관부(L52)의 개폐밸브(VP10)와 개폐밸브(VP17)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9)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54)는, 배관부(L46)의 개폐밸브(VP43)와 반응기(23)와의 사이로부터 배관(T5)의 개폐밸브(V4)와 개폐밸브(V17)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44, VP45)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분리모듈(2)을 이용한 18F-FDG, 18F-FLT, 18F-FMISO의 합성수순을 설명한다. 이들 약제의 합성수순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18F-FDG를 합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개폐밸브(V1, V5, VP1, VP13, VP28, VP35, VP38, VP39)를 개방하고, 가속기에 의하여 제조한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일단 바이알(M41)에 저장한 후에, 이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이온교환수지(66)를 통하여, 18F이온을 이온교환수지(66)에 흡착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P2, VP13, VP28, VP30, VP31, VP35, VP38, VP40)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간이동촉매와 혼합한 탄산칼륨 수용액을 바이알(M42)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를 통하여 이온교환수지(66)에 흡착된 18F이온을 상간이동촉매와 함께 반응기(23)로 이송한다. 이 상간이동촉매를 전해질(이온)에 혼합함으로써, 아세토니트릴 등의 비플로톤성 용매에 전해질을 용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탄산칼륨 수용액을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18F이온을 반응기(23)로 이송한 후, 상간이동촉매를 반응기(23)에 도입하여도 된다.
이어서, 개폐밸브(V15, V17, V18, VP44, VP45)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히터(44)에 의하여 반응기(23)를 가열하고, 배기 라인에 의하여 반응기(23)를 감압하여, 반응기(23) 내를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P4, VP14, VP20, VP23, VP31, VP40)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만노피라노스를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용해액을 바이알(M44)로부터 반응기(23)에 도입한다. 이로써, 상간이동촉매를 혼합한 18F이온과 용해액을 불소화 반응시킨다.
이어서, 개폐밸브(VP9, VP17, VP22, VP27, VP32, 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45) 내의 염산(또는 수산화나트륨)을 반응기(23)에 도입하여, 반응기(23) 내의 화합물을 가수분해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P6, VP12, VP15, VP18, VP23, VP27, VP31, VP32, VP40, 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반응기(23) 내의 반응액을 꺼내, 적절한 정제처리를 하여 18F-FDG를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제5 구성예)
제5 구성예에서는, 분리모듈(2)을 18F-F-콜린의 합성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분리모듈(2) 및 고정설치모듈(3)의 제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설치모듈(3)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에 대해서, 바이알(M11) 및 바이알(M12) 대신에 바이알(M51) 및 바이알(M58)을 구비하고, 바이알(M52)~바이알(M54), 바이알(M56), 바이알(M57), 폐액보틀(53), 컬럼(62), 이온교환수지(66), 실리카겔컬럼(68)을 더욱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바이알(M51)은, 가속기로 제조한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바이알(M52)에는, 상간이동촉매(K. 222)가 0.7mL 정도 포함되고, 탄산칼륨 수용액이 0.2mL 정도 포함된 용액이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53)에는, 아세토니트릴이 0.5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54)에는, 디브로모메탄(CH2Br2)이 200μL정도 용해된 아세토니트릴이 1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56)에는, 에탄올이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57)에는, 물이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바이알(M58)에는, 생리식염수가 10mL 정도 충전되어 있다. 실리카겔컬럼(68)은, 실리카겔이 채워진 통형상 용기로서, 반응목적물을 통 내에 체류시켜, 반응목적물과 이물을 분리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구성예의 고정설치모듈(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모듈(2)은, 배관(21)과, 플레이트(22)와, 반응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21)은, 배관부(L61~L80)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부(L61)는, 바이알(M51)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1, VP13, VP28, VP34)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2)는, 바이알(M52)로부터 배관부(L61)의 개폐밸브(VP1)와 개폐밸브(VP13)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2)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3)는, 배관(T1)의 개폐밸브(V1)와 개폐밸브(V14)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61)의 개폐밸브(VP13)와 개폐밸브(VP28)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6, VP15, VP20, VP19)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4)는, 바이알(M53)로부터 배관부(L63)의 개폐밸브(VP19)와 개폐밸브(VP20)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3, VP14)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5)는, 바이알(M54)로부터 배관부(L64)의 개폐밸브(VP3)와 개폐밸브(VP14)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6)는, 배관부(L68)의 개폐밸브(VP23)와 개폐밸브(VP25)와의 사이로부터 배관(T4)의 개폐밸브(V3)와 개폐밸브(V16)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30, VP39)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7)는, 바이알(M58)로부터 개폐밸브(V13)까지 뻗어, 개폐밸브(VP12, VP18, VP27, VP26, VP31, VP40)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8)는, 배관부(L61)의 개폐밸브(VP13)와 개폐밸브(VP28)와의 사이로부터 배관부(L67)의 개폐밸브(VP18)와 개폐밸브(VP27)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24, VP25, VP23, VP21, VP22)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69)는, 배관부(L68)의 개폐밸브(VP21)와 개폐밸브(VP23)와의 사이로부터 실리카겔컬럼(68)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16, VP7)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실리카겔컬럼(68)의 타단은, 개폐밸브(V10)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부(L71)는, 배관부(L68)의 개폐밸브(VP24)와 개폐밸브(VP25)와의 사이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29, VP36)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2)는, 배관부(L71)의 개폐밸브(VP29)와 개폐밸브(VP36)와의 사이로부터 바이알(51)까지 뻗어, 개폐밸브(VP35)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3)는, 배관부(L71)의 개폐밸브(VP29)와 개폐밸브(VP36)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7)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4)는, 배관부(L66)의 개폐밸브(VP30)와 개폐밸브(VP39)와의 사이로부터 반응기(2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8)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5)는, 바이알(M56)로부터 배관부(L68)의 개폐밸브(VP21)와 개폐밸브(VP22)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0, VP17)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6)는, 바이알(M57)로부터 배관부(L67)의 개폐밸브(VP12)와 개폐밸브(VP18)와의 사이까지 뻗어, 개폐밸브(VP11)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7)는, 배관부(L67)의 개폐밸브(VP26)와 개폐밸브(VP27)와의 사이로부터 폐액보틀(53)까지 뻗어, 개폐밸브(VP32, VP43)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8)는, 배관부(L67)의 개폐밸브(VP31)와 개폐밸브(VP40)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일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1)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79)는, 배관부(L77)의 개폐밸브(VP32)와 개폐밸브(VP43)와의 사이로부터 컬럼(62)의 타단까지 뻗어, 개폐밸브(VP42)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배관부(L80)는, 배관부(L77)의 개폐밸브(VP32)와 개폐밸브(VP43)와의 사이로부터 제품 바이알(50)까지 뻗어, 개폐밸브(VP44)를 통과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분리모듈(2)을 이용한 18F-F-콜린의 합성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밸브(VP1~VP45)를 폐쇄해 둔다. 그리고, 개폐밸브(V1, V5, VP1, VP13, VP28, VP34~VP36)를 개방하고, 가속기에 의하여 제조한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일단 바이알(M51)에 저장한 후에, 이 18F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이온교환수지(66)를 통하여, 18F이온을 이온교환수지(66)에 흡착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P2, VP13, VP28, VP34, VP36, VP37)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간이동촉매와 혼합한 탄산칼륨 수용액을 바이알(M52)로부터 이온교환수지(66)를 통하여, 이온교환수지(66)에 흡착된 18F이온을 상간이동촉매와 함께 반응기(23)로 이송한다. 다만, 탄산칼륨 수용액을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18F이온을 반응기(23)로 이송한 후, 상간이동촉매를 바이알(M53)로부터 반응기(23)에 별도 도입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개폐밸브(VP3, VP14, VP19, VP24, VP29, VP37)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이어서, 개폐밸브(V15, V16, V19, VP38, VP39)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히터(44)에 의하여 반응기(23)를 가열하고, 배기 라인에 의하여 반응기(23)를 감압하여, 반응기(23) 내를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P4, VP14, VP19, VP24, VP29, VP37)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디브로모메탄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용해액을 바이알(M54)로부터 반응기(23)에 도입한다. 이로써, 상간이동촉매를 혼합한 18F이온과 용해액을 불소화 반응시켜, 18F-브롬화 불화 메틸가스를 합성한다.
이어서, 개폐밸브(V1, V10, V15, V17, V18, VP6, VP7, VP15, VP16, VP19, VP20, VP23, VP24, VP29, VP30, VP37, VP38)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반응기(23) 내의 18F-브롬화 불화 메틸가스를 실리카겔컬럼(68)을 통하여, 목적물(18F-브롬화 불화 메틸가스)이 확인되면 목적물을 분류한다. 이 때, 목적물이 확인될 때까지는 배기 라인을 통하여 가스를 폐기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1, V10~V13, VP6, VP7, VP15, VP16, VP19, VP20, VP23, VP24, VP29, VP30, VP37, VP38, VP40~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콜린의 원료인 2-디메틸아미노에탄올을 충전한 컬럼(62)에, 분류된 18F-브롬화 불화 메틸가스를 통하여, 18F-F-콜린을 합성한다.
그 후, 개폐밸브(VP10, VP17, VP22, VP26, VP27, VP31, VP41~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56) 내의 에탄올을 컬럼(62)에 도입하여, 컬럼(62) 내에 잔류하는 미반응의 2-디메틸아미노에탄올을 세정한다. 또한, 개폐밸브(VP11, VP18, VP26, VP27, VP31, VP41~VP43)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57) 내의 물을 컬럼(62)에 도입하여, 컬럼(62) 내에 잔류하는 에탄올을 세정한다. 다음으로, 개폐밸브(VP12, VP18, VP26, VP27, VP31, VP41, VP42, VP44)를 개방하여 다른 개폐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바이알(M58) 내의 생리식염수를 컬럼(62)에 도입하여 18F-F-콜린을 제품약제로 하여 제품 바이알(50)로 회수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합성장치(1)에서는, 1개의 플레이트(22)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상의 배관(21)을 장착할 수 있고, 원하는 방사성약제를 합성하기 위한 유로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하여, 합성대상의 방사성약제 전용의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일 없이, 1개의 플레이트(22)를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방사성약제의 합성이 가능해진다. 또, 관통구멍(H)에 적어도 2개의 지주부(F)가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지주부(F)에 의하여 장착된 배관(21)을 관통구멍(H) 상에 위치맞춤할 수 있어, 배관(21)을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관한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용 카세트, 방사성약제 합성장치, 및, 방사성약제 합성장치용 기판은 본 실시형태에 기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22)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구멍(H)의 각각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제1 지주부(Fv)가 배치되는 라인(C) 및 제2 지주부(Fh)가 배치되는 라인(R)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라인(C) 및 라인(R)의 수를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라인(C)과 각 라인(R)이 9개소 이상에서 교차하도록 해도 된다. 또, 라인(C)의 뻗음 방향 및 라인(R)의 뻗음 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라인(C)과 라인(R)이 서로 교차하면 된다.
또, 관통구멍(H)의 상하 및 좌우에 지주부(F)를 배치하고 있지만, 관통구멍(H)의 주연부의 다른 방향으로 지주부(F)를 배치해도 된다. 관통구멍(H)에 대해서 2 이상의 지주부(F)가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지주부(F)가 설치되는 방향에 제한은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22)의 좌우방향의 단부에 지주부(F)를 설치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지주부(F)를 설치해도 된다.
또, 지주부(F) 대신에, 배관부(L)를 장착 가능하고, 또한, 배관부(L)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다른 지지수단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주부(F) 대신에 플레이트(22)에 형성된 홈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은, 하전입자선이 조사됨으로써 방사성동위원소가 생성된 타겟재료를 용해시키는 용해조(101)와, 방사성동위원소를 용해시킨 용액의 조정을 행하는 용액조정유닛(102)과, 용액조정유닛(102)으로 조정된 용액에 포함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정제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도 8에 있어서는, 배관 중, 한 개의 실선으로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교환 가능한 배관이고, 2개의 실선으로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시스템에 고정되어 단기적인 주기로의 교환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은 배관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교환 가능"이란, 1회, 또는 규정 횟수 사용하면,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일회용을 전제로 한 것인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으로 정제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로서, 예를 들면, 64Cu, 89Zr, 99 mTc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조사하는 하전입자는, 양자, 중양자, 알파입자, 3He 또는 전자 등이다.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할 때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타겟기판의 표면에 타겟재료로서 금속층을 형성해 둔다. 타겟재료에 의한 금속층은, 타겟기판의 표면에 도금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당해 타겟재료에 하전입자선을 조사함으로써, 타겟재료 중에 미량의 방사성동위원소가 생성된다. 다만, 타겟기판의 재료로서, Au, Al, Pt 등을 들 수 있다. 타겟재료로서, 64Ni, 89Y, 100Mo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조(101)에서는, 용해액을 이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와 함께 타겟재료를 용해시킨다. 이로써, 방사성동위원소와 타겟재료가 혼재한 용액이 얻어진다. 용해액으로서, 염산, 질산, 수산화나트륨, 과산화수소,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용액조정유닛(102)은, 용해조(101)에서 생성된 용액의 농도조정 등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센서, 펌프, 구동부, 밸브, 기구 등을 구비한 용액조정장치(150)(도 10 참조)에 각종 용기나 배관 등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된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복수의 배관(111)이 설치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용 카세트(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1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다(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용 카세트"를 "카세트"라고 칭한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에는, 용액의 조정에 이용되는 각종 용기가 조립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용액조정유닛(102)은, 희석조나 혼합조로서 이용되는 용기(121)와, 시린지(122)와, 용해액이 수용되는 용기(123)와, 중화·희석 용해용의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24)와, 세정액이 수용되는(혹은 예비용으로서 이용되는) 용기(126)와, 세정액(A1)이 수용되는 용기(127)와, 세정액(A2)이 수용되는 용기(127)와, 추출액(B1)이 수용되는 용기(129)와, 시린지(131)와, 희석·혼합 등에 의하여 용액을 조정하는 조정용기(132)와,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용기(133)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세트(110)의 유로는 자유자재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22~29)에 수용되는 액체는, 서로 교체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123, 124, 126)에 수용되어, 용액을 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액체로서, 상술의 용해액과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고(그들에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해도 된다), 물 등을 이용해도 된다. 용기(127, 128)에 수용되는 세정액(A1, A2)으로서, 상술의 용해액과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고, 생리식염수나 물 등을 이용해도 된다. 용기(129)에 수용되는 추출액(B1)으로서, 염산, 질산, 옥살산,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TBAB)를 포함한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 등을 이용해도 된다.
정제부(103)는, 용액으로부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제1 조정용기(132)와, 세정액(A3)을 수용하는 용기(136)와, 추출액(B2)을 수용하는 용기(137)와, 용액으로부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제2 추출부(138)과, 재이용할 수 있는 회수액을 회수하는 회수용기(139)와,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용기(141)와, 정제된 방사성동위원소의 용액을 회수하는 회수용기(142)와, 각 구성요소를 접속하는 배관(143)과, 배관(143)에 설치되는 삼방활전(144)과, 삼방활전(144)을 전환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정제부(103)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유닛화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에 필요한, 센서, 펌프, 구동부(146), 밸브, 기구를 구비한 정제장치에 각종 용기나 추출부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는 정제유닛(140)이 설치되어 있다. 정제유닛(140)은, 용기(136, 137, 139, 141, 142), 제2 추출부(138), 배관(143), 삼방활전(144), 구동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조정용기(132)로서는, 음이온교환수지나, 방사성동위원소의 선택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조정용기(132)는,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으로 배치되어, 방사성동위원소를 더욱 정제하는 것이다. 제2 추출부(138)로서는, Sep-Pak(등록상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용기(136, 137)는,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으로서 제2 추출부(138)보다 상류측으로 배치된다. 용기(136)에 수용되는 세정액(A3)으로서, 생리식염수나 물 등을 이용해도 된다. 용기(137)에 수용되는 추출액(B2)으로서 염산이나 생리식염수 등을 이용해도 된다.
삼방활전(144)은,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의 유로에 설치되어, 당해 유로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삼방활전(144)은,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는 배관(143)끼리를 접속하고 있으며, 내부의 밸브를 전환함으로써, 3개의 배관(143) 중, 2개의 배관(143)을 연통시킨다. 삼방활전(144) 및 배관(143)은, 교환 가능한 일회용의 구성요소이다. 구동부(146)는, 삼방활전(144)과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삼방활전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구동부(146)는, 일회용의 삼방활전(144)과는 상이하여, 정제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된 부품으로서 정제유닛(140)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시에 있어서는, 구동부(146)의 장착부에 삼방활전(144)을 장착하고, 교환시에는 장착부로부터 사용완료된 삼방활전(144)을 분리한다. 예를 들면, 삼방활전(144)은,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를 전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동부(146)는, 삼방활전(144)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장치의 케이싱 내부에 당해 공급구조의 본체부분이 수납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외벽부에, 각 삼방활전(144)을 장착하는 장착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9~도 13을 참조하여, 용액조정유닛(102) 및 카세트(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1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용액조정유닛(1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용액조정유닛(102)의 도어부(152)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용액조정유닛(102)의 고정부(161)에 카세트(110)를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어부(152)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카세트(110)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에 교환 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이며, 용액조정유닛(102)의 용액조정장치(150)에 대해서,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회용의 모듈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110)는, 기판(112)과, 기판(112)에 장착된 복수의 배관(111)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112)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이며, 일회용의 부재이기 때문에,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이 적용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112)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뻗는 한 쌍의 장변, 및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뻗는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판(112)의 표면(112a)에는, 배관(111)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하기 위한 훅(지지수단)(113), 및 지주부(지지수단)(114)가 형성되어 있다. 훅(113)은, 표면(112a)으로부터 2개의 클릭이 대향하여 돌출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당해 클릭의 사이에 배관(111)을 삽입함으로써, 당해 배관(111)을 고정할 수 있다. 또, 훅(113)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관(111)을 장착 가능하고, 제1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과, 제2 방향(D2)을 따라 배관(111)을 장착 가능하고, 제2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있다. 지주부(114)는, 복수개의 지주가 대향하여 돌출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지주끼리의 사이에 배관(111)을 삽입함으로써, 당해 배관(111)을 고정할 수 있다. 지주부(114)는, 배관(111)의 장착방법에 따라, 제1 방향(D1)을 따라 배관(111)을 장착 가능함과 함께, 제2 방향(D2)을 따라 배관(111)을 장착 가능하고, 동시에 제1 지지수단 및 제2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훅(113) 및 지주부(114)는, 기판(112)의 표면(112a)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관(111)의 형성에 의하여, 일부는 사용되고, 일부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기판(112)에는, 당해 기판(112)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1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 구멍(116)은, 제1 방향(D1)을 따라 뻗어 있으며, 제2 방향(D2)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112)에는, 단변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부(112b)에, 위치 결정용의 원형의 관통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훅(113), 지주부(114), 긴 구멍(116), 관통구멍(117)은, 제1 방향(D1)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배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관(111)은, 훅(113)이나 지주부(11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기판(112)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배관(111)은, 일회용의 부재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실리콘튜브나 테플론(Tefon)(등록상표), 테프젤(Tefzel), 폴리우레탄 등이 적용된다. 또, 이음새(118)를 통하여 배관(111)끼리를 접속함으로써, 기판(112) 상에, 직각으로 굴곡하는 유로나 삼방으로 분기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훅(113) 및 지주부(114)에 의한 고정 위치나, 이음새(118)로의 접속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기판(112)에 대해서, 자유자재로 배관구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배관(111)은, 긴 구멍(116) 상을 통과한다. 일부의 배관(111)은, 기판(112)의 장변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부(112c)로부터 외측으로 뻗어 있으며, 당해 배관(111)의 선단에는 커넥터(119)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커넥터(119)는, 도 8에 나타내는 용해조(101)나, 각종 용기나, 제1 조정용기(132) 등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다만, 도 9에 나타내는 카세트(110)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기판(112)의 형상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훅(113)이나 지주부(114) 등의 위치 등도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복수의 배관(111)의 조합에 의한 배관구성도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액조정유닛(102)은, 용액조정장치(150)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내는 각종 용기나 배관 등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은, 카세트(11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카세트(110)는 교환 가능한 모듈인데 반해, 용액조정장치(150)는, 정제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되는 고정설치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110) 이외의 부분의 각종 용기나 배관은,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에 따라 교환해도 되고, 세정하여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용액조정장치(150)는, 본체부(151)와 도어부(152)를 가지고 있다. 도어부(152)는, 본체부(151) 중, 상측의 영역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51)의 하측의 영역에는, 용기(132, 133)를 수용하는 수용부(153, 154)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53)의 둘레에는, 조정용기(132)를 냉각하기 위한 쿨러, 조정용기(132)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정용기(132) 내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센서, 조정용기(132) 내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계, 및 조정용기(132) 내에 포함되는 방사선량을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151)에는, 각종 용기(22~29)를 장착하는 장착부(156)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156)의 어느 부분에 어떤 용기를 설치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부(152)는, 본체부(151)의 측면에 설치된 힌지(157)(도 10 참조)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부(152)로 덮이는 위치에 있어서의, 본체부(151)의 전면(151a)에는, 카세트(1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16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61)는, 카세트(110)의 기판(112)을 받는 전면(151a)과, 카세트(110)의 기판(112)의 가장자리부(112c)를 지지하는 클릭부(162)와, 기판(112)의 긴 구멍(116)에 삽입통과되는 타원형상의 배관받침부(돌출부)(163)와, 기판(112)의 관통구멍(117)에 삽입통과되는 원기둥형상의 핀(164)을 구비하고 있다.
클릭부(162)는, 본체부(151)의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L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면(15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당해 돌출하는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부분을 가진다. 기판(112)은, 당해 상방으로 뻗는 부분과 전면(151a)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배관받침부(163)는, 전면(15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판(112)의 긴 구멍(116)과 대응하는 형상 및 위치(클릭부(162)로 기판(112)을 고정했을 때에 있어서의 긴 구멍(116)의 위치)에 설치된다. 핀(164)은, 전면(151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복수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판(112)의 관통구멍(117)과 대응하는 형상 및 위치(클릭부(162)로 기판(112)을 고정했을 때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17)의 위치)에 설치된다. 관통구멍(117)에 핀(164)이 삽입통과됨으로써, 고정부(161)에 대한 카세트(11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도어부(152)의 내면(152a)은, 당해 도어부(152)를 폐쇄한 경우에 본체부(151)의 전면(151a)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도록 대향한다. 도어부(152)의 내면(152a)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압압부재(16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압압부재(166)는, 예를 들면 에어의 힘으로 전후 이동하는 에어실린더이다. 에어는, 본체부(151)로부터 뻗는 에어 튜브(도시생략)를 통하여, 개개의 압압부재(166)로 공급된다. 다만, 압압부재(166)의 구동은, 에어의 힘에 의하여 행해지지 않아도 되고, 전기적인 힘, 자기적인 힘에 의하여 행해져도 된다. 압압부재(166)는, 도어부(152)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51)의 배관받침부(163)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압압부재(166)와 배관받침부(163)와의 사이에, 카세트(110)의 배관(111)이 배치된다. 따라서, 압압부재(166)는, 도어부(152)를 폐쇄한 상태로, 본체부(151)의 배관받침부(163)와의 사이에 배관(111)을 압압 가능해진다.
도 13을 참조하여, 압압부재(166)에 의한 압압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166)는, 도어부(152)의 벽부(158)(도어부(152)의 내면(152a)을 가지고 있다)에 지지됨과 함께 내면(152a)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167)와, 축부(167)에 설치된 압압부(168)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부재(166)는, 축부(167)의 뻗음 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한편, 본체부(151)의 전면(151a)에는, 압압부재(166)의 압압부(16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관받침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배관받침부(163)의 단면(163a)에는, 돌출부(163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63b)의 선단면은, 고정부(161)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기판(112)의 표면(112a)보다 압압부재(166)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부재(166)의 중심위치와 돌출부(163b)의 높이방향의 중심위치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압압부재(166)의 압압부(168)가 배관받침부(16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배관(111)은 압압부(168)와 배관받침부(163)와의 사이에서 끼워져 압압되어, 배관(111)의 내부 공간이 찌그러짐으로써 유로가 폐쇄된다. 다만, 압압부재(166)에 의한 압압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관받침부(163)가 돌출부(163b)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 배관받침부(163) 및 긴 구멍(116) 자체가 없어도 되고, 압압부재(166)의 압압부(168)와 기판(112)의 표면(112a)과의 사이에서 배관(111)을 삽입해도 된다.
상술과 같이, 용액조정유닛(102)은, 배관(111)을 압압부재(166)로 압압함으로써, 카세트(110)의 배관(111)에 의하여 구성되는 유로를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도 8에서는, 압압부재(166)에 의하여 배관(111)을 압압 가능한 압압위치가, 1A~1Q, 2A~2Q, 3B~3P, 4H, 5B~5P, 6A~6Q, 7A~7Q로 나타나 있다. 용액을 통과시키고자 하는 라인이 결정되었을 경우, 당해 라인 상에 존재하는 압압위치에서는 압압부재(166)에 의한 압압을 OFF로 하고, 다른 압압위치에서는 압압부재(166)에 의한 압압을 ON으로 한다. 이로써, 용액은 원하는 라인을 따른 유로를 흐르며, 당해 라인 이외의 유로에는 흐르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경우의 수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64Cu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5는 89Zr을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16은 99 mTc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64Cu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을 구성한다. 6mol/L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을 수용한 용기(123)와, 6mol/L의 염산을 수용한 용기(124)와, 물을 수용한 용기(126)와, 6mol/L의 염산을 수용한 용기(127, 128)와, 1mol/L의 염산을 수용한 용기(129)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또, 조정용기(132) 및 폐액용기(133)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에 카세트(110)를 장착하고, 각 배관(111)에 설치된 커넥터(119)(도 9 참조)를 상대측의 커넥터에 접속한다. 정제부(103)에서는, 제1 조정용기(132)로서 음이온교환수지를 준비하고, 회수용기(139)와 회수용기(142)가 정제유닛(140)에 조립되고, 배관(143) 및 삼방활전(144)이 소정의 패턴으로 정제유닛(140)에 조립된다. 다만,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에서는, 제2 추출부(138)는 조립되지 않아, 그에 따라 용기(136, 137)도 조립되지 않는다.
(수순 1)
먼저, 용해조(101)에서, Au의 타겟기판표면에 형성된 Ni(64Ni)의 금속층에 하전입자선이 조사된 것을, 가열하면서 6mol/L의 염산으로 용해시킴으로써, Ni와 64Cu가 혼재한 용액을 얻는다.
(수순 2)
용액조정유닛(102)은, 용해조(101)에서 얻어진 용액을,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2)을 통하여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이 때, 용액조정유닛(102)은, 라인(L2)에 관한 유로가 설정되도록, 각 압압위치에서의 압압의 ON/OFF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인(L2)이 통과하는 압압위치(7A, 6A, 3B, 6C, 7C)에서의 압압을 OFF로 하고, 다른 압압위치에서의 압압을 ON으로 한다. 다만, 이후의 수순에 있어서 유로를 설정할 때의 제어 방법은, 라인(L2)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수순 3)
용액조정유닛(102)은, 용기(123, 124, 126)의 액체를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냄으로써, 조정용기(132) 내에서 용액의 농도조정을 행한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3)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3)을 통하여, 용기(123)의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6mol/L의 염산(압압위치 1D:OFF, 압압위치 1F, 1G:ON), 용기(124)의 6mol/L의 염산(압압위치 1F:OFF, 압압위치 1D, 1G:ON), 용기(126)의 물을(압압위치 1G:OFF, 압압위치 1D, 1F:ON), 이 순서로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다만, 각 용기(123, 124, 126)가 시린지로 구성되어 있었을 경우는, 각 용기(123, 124, 126)로부터 직접 조정용기(132)로 액체를 흘려보낸다. 각 용기(123, 124, 126)가 단순한 용기였을 경우는, 시린지(122)로 일단 액체를 원하는 양만큼 흡출한 후,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다만, 용기(127, 128, 129)에 대해서도, 단순한 용기였을 경우는, 시린지(131)를 이용한다.
(수순 4)
용액조정유닛(102)은, 조정용기(132)에서 조정된 용액을 제1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4)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4)을 통하여, Ni와 64Cu가 혼재한 용액을 제1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64Cu는 음이온인 테트라클로로 구리이온([CuCl4]2-), Ni는 양이온인 니켈이온([Ni2 ])으로서 존재한다. 64Cu는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고, Ni는 흡착되는 일 없이 염산용액과 함께 제1 조정용기(132)를 통과하고, 회수용기(139)로 회수된다. 단, 일부 Ni는 제1 조정용기(132) 내에 잔존한다.
(수순 5)
용액조정유닛(102)은, 용기(127, 128)의 액체를 제1 조정용기(132)로 흘림으로써, 제1 조정용기(132)에 잔존하는 Ni를 용출시킨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5)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5)을 통하여, 용기(127)의 6mol/L의 염산(압압위치 1J:OFF, 압압위치 1K:ON), 용기(127)의 6mol/L의 염산을(압압위치 1K:OFF, 압압위치 1J:ON), 이 순서로 제1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제1 조정용기(132)를 통과한 염산용액은, Ni와 함께 회수용기(139)로 회수된다.
(수순 6)
용액조정유닛(102)은, 용기(129)의 액체를 제1 조정용기(132)로 흘림으로써, 제1 조정용기(132)에 흡착되어 있는 64Cu를 용출시킨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6)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6)을 통하여, 용기(129)의 1mol/L의 염산을 제1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제1 조정용기(132)를 통과한 염산용액은, 64Cu와 함께 회수용기(142)로 회수된다. 다만, 수순 5와 수순 6과의 사이에 있어서, 삼방활전(144)은 구동부(146)로부터 부여된 구동력에 의하여, 회수용기(139)로 향하는 라인(L5)으로부터, 회수용기(142)로 향하는 라인(L6)으로 유로를 전환한다. 이상에 의하여, 정제된 64Cu가 얻어진다.
[89Zr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을 구성한다. 희석조로서 이용되는 용기(121)와, 6mol/L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을 수용한 용기(123)와, 6mol/L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을 수용한 용기(124)와, 물을 수용한 용기(126)와, 1mol/L의 염산을 수용한 용기(127)와, 물을 수용한 용기(128)와, 1mol/L의 옥살산을 수용한 용기(129)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또, 폐액용기(133)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다만,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에서는, 조정용기(132) 대신에, 희석조로서의 용기(121)가 이용된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에 카세트(110)를 장착하고, 각 배관(111)에 설치된 커넥터(119)(도 9 참조)를 상대측의 커넥터에 접속한다. 정제부(103)에서는, 제1 조정용기(132)로서 Zr선택 유지수지를 준비하고, 물을 수용한 용기(136)와, 1mol/L의 염산을 수용한 용기(137)와, Sep-Pak(등록상표) QMA가 적용된 제2 추출부(138)와, 회수용기(139)와, 폐액용기(141)와, 회수용기(142)가 정제유닛(140)에 조립되고, 배관(143) 및 삼방활전(144)이 소정의 패턴으로 정제유닛(140)에 조립된다.
(수순 1)
먼저, 용해조(101)에서, 타겟기판표면에 형성된 Y(89Y)의 금속층에 하전입자선이 조사된 것을 6mol/L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으로 용해시킴으로써, Y와 89Zr이 혼재한 용액을 얻는다.
(수순 2~수순 5)
조정용기(132) 대신에, 희석조로서의 용기(121)에서 용액의 조정이 행해지는 점 이외는, 64Cu를 정제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수순 6)
용액조정유닛(102)은, 용기(129)의 액체를 제1 조정용기(132)로 흘림으로써, 제1 조정용기(132)에 유지되어 있는 89Zr을 용출시킨다. 용액조정유닛(102)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6)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6)을 통하여, 용기(129)의 1mol/L의 옥살산을 제1 조정용기(132)로 흘려보낸다. 제1 조정용기(132)를 통과한 옥살산 용액은, 89Zr과 함께 제2 추출부(138)를 통과한다. 89Zr 및 잔존하고 있던 불순물은, 제2 추출부(138)에 잔존한다. 옥살산 용액과 일부 불순물은 폐액용기(141)로 회수된다. 다만, 수순 5와 수순 6과의 사이에 있어서, 삼방활전(144)은 구동부(146)로부터 부여된 구동력에 의하여, 회수용기(139)로 향하는 라인(L5)으로부터, 제2 추출부(138) 및 폐액용기(141)로 향하는 라인(L6)으로 유로를 전환한다.
(수순 7)
정제유닛(140)은, 용기(136)의 액체를 제2 추출부(138)로 흘림으로써, 제2 추출부(138)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흘려보낸다. 정제유닛(140)은, 삼방활전(144)을 구동부(146)로 전환함으로써,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7)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7)을 통하여, 용기(136)의 물을 제2 추출부(138)로 흘려보낸다. 제2 추출부(138)를 통과한 물은, 불순물과 함께 폐액용기(141)로 회수된다.
(수순 8)
정제유닛(140)은, 용기(137)의 액체를 제2 추출부(138)로 흘림으로써, 제2 조정용기(132)에 유지되어 있는 89Zr을 용출시킨다. 정제유닛(140)은, 도면에 나타내는 라인(L8)에 관한 유로를 설정함과 함께, 당해 라인(L8)을 통하여, 용기(137)의 1mol/L의 염산을 제2 추출부(138)로 흘려보낸다. 제2 추출부(138)를 통과한 염산용액은, 89Zr과 함께 회수용기(142)로 회수된다. 이상에 의하여, 정제된 89Zr이 얻어진다.
[99 mTc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을 구성한다. 혼합조로서 이용되는 용기(121)와, 2mol/L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을 수용한 용기(123)와, 5mol/L의 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을 수용한 용기(124)와, 물을 수용한 용기(126)와, 생리식염수를 수용한 용기(127)와,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TBAB)를 포함한 디클로로메탄(CH2Cl2)을 수용한 용기(129)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또, 폐액용기(133)가 용액조정유닛(102)에 조립된다. 다만,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에서는, 조정용기(132) 대신에, 혼합조로서의 용기(121)가 이용된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에 카세트(110)를 장착하고, 각 배관(111)에 설치된 커넥터(119)(도 9 참조)를 상대측의 커넥터에 접속한다. 정제부(103)에서는, 제1 조정용기(132)로서 음이온교환수지를 준비하고, 물을 수용한 용기(136)와, 생리식염수를 수용한 용기(137)와, Sep-Pak(등록상표) Al-N이 적용된 제2 추출부(138)와, 회수용기(139)와, 폐액용기(141)와, 회수용기(142)가 정제유닛(140)에 조립되고, 배관(143) 및 삼방활전(144)이 소정의 패턴으로 정제유닛(140)에 조립된다.
(수순 1)
먼저, 용해조(101)에서, 타겟기판표면에 형성된 Mo(100Mo)의 금속층에 하전입자선이 조사된 것을 소정 농도의 염산(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다)으로 용해시킴으로써, Mo와 99 mTc가 혼재한 용액을 얻는다.
(수순 2~수순 8)
89Zr을 정제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 및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용 카세트(11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종류가 상이한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경우, 종류 마다 정제 수순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종류에 대응한 개별의 시스템이나, 개별의 용액조정유닛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혹은, 종래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하나의 용액조정유닛으로 정제하려고 했을 경우, 배관 등을 세정할 필요성이 생긴다. 또한, 당해 세정이 불충분한 경우는, 다른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데에 이용한 액체가 잔존하여, 정제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에 의하면, 용액조정유닛(102)은, 고정부(161)로 고정된 카세트(110)의 배관(111)을 압압부재(166)로 압압함으로써, 유로를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하는 경우, 용액조정유닛(102)은, 종류에 따라 적절한 정제 수순을 실행할 수 있도록, 유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용액조정유닛(102)을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나의 용액조정유닛(102)을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용액조정유닛(102)은, 카세트(1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161)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세트(110)로서, 용액조정유닛(102)에 대해서 교환 가능한 일회용의 카세트(110)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하는 경우는, 새로운 카세트(110)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등의 세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잔존물의 영향에 의한 정제성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하여, 정제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상이한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에 있어서, 용액조정유닛(102)은, 카세트(110)에 형성된 긴 구멍(1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관받침부(163)를 구비하고, 압압부재(166)는, 배관받침부(163)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압부재(166)는, 배관받침부(163)와의 사이에서 카세트(110)의 배관(111)을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압압부재(166)는 배관(111)을 확실히 막을 수 있어, 유로의 설정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은, 용액조정유닛(102)으로 조정된 용액에 포함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정제부(103)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또, 정제부(103)는, 용액으로부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제1 조정용기(132)와,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의 유로에 설치되는, 교환 가능한 삼방활전(144)과, 삼방활전(144)과는 별체로서 설치되고, 삼방활전(144)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조정용기(132)보다 하류측의 유로에 있어서,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액체가 통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가이며 일회용 가능한 삼방활전(144)으로 하고, 삼방활전(144)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해 삼방활전(144)과는 별체의 구동부(146)로 하고 있다. 이로써, 상이한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정제를 행하는 경우, 구동부(146)에 대해서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 부품으로서 사용하고, 액체가 통과하는 부분은 새로운 삼방활전(144)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로써, 저가의 구조로, 정제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에서는, 고정부(161)는, 카세트(110)의 기판(112)을 받는 전면(151a)과, 기판(112)의 가장자리부(112c)를 지지하는 클릭부(162)와, 전면(151a)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배관받침부(163)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61)는, 전면(151a)으로 기판(112)을 받고, 클릭부(162)로 기판(112)의 가장자리부(112c)를 지지하고, 배관받침부(163)를 기판(112)의 긴 구멍(116)에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161)는 카세트(110)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액조정장치(150)는, 카세트(110)가 장착되는 본체부(151)와, 본체부(15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152)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또, 복수의 압압부재(166)는, 도어부(152)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부(152)가 폐쇄된 상태로, 배관(111)을 압압 가능하다. 이 경우, 도어부(152)가 개방된 상태와, 도어부(152)가 폐쇄된 상태로, 압압부재(166)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카세트(110)가 장착되어, 용액조정장치(150)를 동작시키는 경우와, 카세트(11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압압부재(166)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카세트(110)의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용액조정장치(150)에 있어서, 본체부(151)는, 카세트(110)에 형성된 긴 구멍(1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관받침부(163)를 구비하고, 압압부재(166)는, 배관받침부(163)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압부재(166)는, 배관받침부(163)와의 사이에서 카세트(110)의 배관(111)을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압압부재(166)는 배관(111)을 확실히 막을 수 있어, 유로의 설정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110)에 있어서는, 복수의 훅(113) 및 지주부(114) 중 일부에 배관(111)이 장착됨으로써, 원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1개의 기판(112)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 가능해진다. 그 결과, 1개의 기판(112)을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긴 구멍(116)에 훅(113) 및 지주부(114)가 대응하여 설치됨으로써, 훅(113) 및 지주부(114)에 의하여 장착된 배관(111)을 긴 구멍(116) 상에 위치맞춤할 수 있어, 배관(111)을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110)에 있어서, 기판(112)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은, 제2 방향(D2)을 따라 뻗어 있는 긴 구멍(116)에 의하여 구성되고, 긴 구멍(116)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관통구멍으로서의 긴 구멍(116)이 제2 방향(D2)을 따라 뻗어 있어 넓은 범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111)과 관통구멍으로서의 긴 구멍(116)과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로 설명한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이나 용액조정유닛의 구성은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으로 해도 된다.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은, 카세트(210)를 장착 가능한 정제유닛(240)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과 주로 상이하다. 다만, 카세트(210)는, 기판(212)의 크기·형상이나 배관(211)의 구성이 상이한 점 이외는, 카세트(1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정제유닛(240)은, 용액조정유닛(10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카세트(2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카세트(210)의 배관(211)을 압압하는 압압부재를 가지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장치(25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정제유닛(240)에서는, 압압위치(1R~1X, 2R~2X, 3T, 3W, 5T, 5W, 6R~6X, 7R~7X)에서, 압압부재로 배관(211)을 압압 가능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을 이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경우의 수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64Cu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A)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9는 89Zr을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B)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20은 99 mTc를 정제하는 경우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C)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64Cu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A)을 구성한다. 조립하는 용기 등이나, 그들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는 도 14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과 동일하다. 다만, 정제유닛(240)에는 제2 추출부(138)나 용기(136, 137)가 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카세트(210)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또,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A)에서는, 도 14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A)(수순 1~수순 6)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89Zr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B)을 구성한다. 조립하는 용기 등이나, 그들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는 도 15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과 동일하다. 정제유닛(240)에는 카세트(210)가 장착되고, 각 배관(211)에 설치된 커넥터를 용기(136, 137, 141, 142)측의 커넥터나, 제2 추출부(138)측의 커넥터에 접속한다.
(수순 1~수순 5)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B)에서는, 도 15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수순 1~수순 5)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수순 6~수순 8)
도 15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에서는 구동부(146)로 삼방활전(144)을 전환함으로써 라인(L6~L8)의 유로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도 19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B)에서는 각 압압위치에서 배관(211)을 압압함으로써 라인(L6~L8)의 유로를 설정한다. 그 외에 관해서는, 도 15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B)(수순 6~수순 8)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99 mTc의 정제]
먼저, 각종 배관이나 용기를 조립함으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C)을 구성한다. 조립하는 용기 등이나, 그들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는 도 16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과 동일하다. 정제유닛(240)에는 카세트(210)가 장착되고, 각 배관(211)에 설치된 커넥터를 용기(136, 137, 141, 142)측의 커넥터나, 제2 추출부(138)측의 커넥터에 접속한다.
(수순 1~수순 5)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C)에서는, 도 16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수순 1~수순 5)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수순 6~수순 8)
도 16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에서는 구동부(146)로 삼방활전(144)을 전환함으로써 라인(L6~L8)의 유로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도 20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200C)에서는 각 압압위치에서 배관(211)을 압압함으로써 라인(L6~L8)의 유로를 설정한다. 그 외에 관해서는, 도 16의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100C)(수순 6~수순 8)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술의 실시형태로 설명한 용액조정유닛 및 정제유닛에 있어서 유닛화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어느 구성요소를 유닛에 장착할지는, 자유롭게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조정용기(132)를 용액조정유닛, 또는 정제유닛에 장착해도 된다. 또, 용액조정유닛과 정제유닛을 하나의 유닛으로 합쳐도 된다.
또, 카세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구조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한, 모든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1: 방사성약제 합성장치
2: 분리모듈(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3: 고정설치모듈(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21: 배관
22: 플레이트(기판)
31: 본체부
32: 도어부
C1~C17: 라인(제1 라인)
F: 지주부(지지수단)
Fh: 제2 지주부(제2 지지수단)
Fv: 제1 지주부(제1 지지수단)
H: 관통구멍
R1~R7: 라인(제2 라인)
S: 실린더(압압부재)
102: 용액조정유닛
103: 정제부
110: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용 카세트(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111: 배관
112: 기판
113: 훅(지지수단, 제1 지지수단, 제2 지지수단)
114: 지주부(지지수단, 제1 지지수단, 제2 지지수단),
116: 긴 구멍(관통구멍)
138: 추출부
144: 삼방활전
146: 구동부
150: 용액조정장치(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151: 본체부
151a: 전면
152: 도어부
161: 고정부
162: 클릭부
163: 배관받침부(돌출부)
166: 압압부재
100, 200: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시스템(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250: 방사성동위원소 정제장치(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Claims (9)

  1.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는,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 중 일부에 의하여 상기 기판에 장착된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수단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하나의 관통구멍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사이에 끼우도록 2개의 상기 제1 지지수단이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하나의 관통구멍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사이에 끼우도록 2개의 상기 제2 지지수단이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은,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을 압압 가능한 복수의 압압부재와,
    방사성동위원소를 용해시킨 용액의 조정을 행하는 용액조정유닛과,
    상기 용액조정유닛으로 조정된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정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제부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는, 교환 가능한 삼방활전과,
    상기 삼방활전과는 별체로서 설치되고, 상기 삼방활전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2.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구비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으로서,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는,
    배관을 장착 가능한 복수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 중 일부에 의하여 상기 기판에 장착된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대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3개의 지주를 가지고,
    상기 지주들 사이에 상기 배관을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배관을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고정하고,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은,
    상기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을 압압 가능한 복수의 압압부재와,
    방사성동위원소를 용해시킨 용액의 조정을 행하는 용액조정유닛과,
    상기 용액조정유닛으로 조정된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를 정제하는 정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제부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방사성동위원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보다 하류측에 설치되는, 교환 가능한 삼방활전과,
    상기 삼방활전과는 별체로서 설치되고, 상기 삼방활전의 전환을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30026046A 2012-03-13 2013-03-12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KR101487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6070 2012-03-13
JPJP-P-2012-056070 2012-03-13
JP2013021428A JP5808764B2 (ja) 2012-03-13 2013-02-06 放射性同位元素取り扱い装置用カセット、放射性同位元素取り扱い装置、及び放射性同位元素取り扱いシステム
JPJP-P-2013-021428 2013-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440A KR20130105440A (ko) 2013-09-25
KR101487345B1 true KR101487345B1 (ko) 2015-01-28

Family

ID=4912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046A KR101487345B1 (ko) 2012-03-13 2013-03-12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66488A1 (ko)
JP (1) JP5808764B2 (ko)
KR (1) KR101487345B1 (ko)
CN (1) CN103301484B (ko)
TW (1) TWI5207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485B1 (ko) 2020-04-16 2020-12-03 케이비엔지니어링(주) 방사성 물질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50335T3 (es) * 2017-03-24 2023-10-09 Carefusion 303 Inc Recipiente de desechos para mezclador automático de fármacos
JP7178769B2 (ja) * 2017-05-30 2022-11-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放射性同位元素成分分離装置
WO2020114353A1 (zh) * 2018-12-03 2020-06-11 米度(南京)生物技术有限公司 用于放射性同位素操作系统的可更换模块以及放射性同位素操作系统
CN113490514A (zh) * 2018-12-03 2021-10-08 米度(南京)生物技术有限公司 用于放射性同位素操作系统的可更换模块以及放射性同位素操作系统
KR20210097102A (ko) * 2018-12-03 2021-08-06 서텍스 메디컬 인크. 방사선 색전술 마이크로스피어의 전달을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1852A1 (en) 2005-02-02 2006-08-03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Microfluidics prototyping platform and components
KR20070115664A (ko) * 2006-05-30 2007-12-0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성 약액 합성장치의 사용방법, 및 방사성 약액합성장치
KR20120117358A (ko) * 2011-04-15 2012-10-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의약품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592A (en) * 1990-06-13 1994-05-17 Scanditronix Ab Disposable kit for preparation
WO1993011871A1 (en) * 1991-12-10 1993-06-24 Johansson Soere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radioisotope labelled chemicals and pharmaceuticals
JP3008329B2 (ja) * 1995-01-26 2000-02-14 信彦 中澤 ラジオアイソトープ標識試薬調整用プレフィルドキット
EP1216715A1 (fr) * 2000-12-22 2002-06-26 Ion Beam Applications S.A. Dispositif de synthèse de produits radiopharmaceutiques
CN1151163C (zh) * 2001-07-26 2004-05-26 张锦明 一种制备2-18F-2脱氧-β-D-葡萄糖的设备及工艺
JP4663995B2 (ja) * 2004-02-20 2011-04-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放射性薬剤合成投与装置
US20050232861A1 (en) * 2004-04-20 2005-10-20 Buchanan Charles R Microfluid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s of molecular imaging probes including FDG
US8518346B1 (en) * 2005-02-02 2013-08-27 Sandia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bioseparation with modular microfluidics
JP4361537B2 (ja) * 2006-02-08 2009-11-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放射性薬液合成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洗浄機能付放射性薬液合成装置
JP4732187B2 (ja) * 2006-02-27 2011-07-27 株式会社カネカ 自動培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1852A1 (en) 2005-02-02 2006-08-03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Microfluidics prototyping platform and components
KR20070115664A (ko) * 2006-05-30 2007-12-0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성 약액 합성장치의 사용방법, 및 방사성 약액합성장치
JP2007319254A (ja) * 2006-05-30 2007-12-13 Sumitomo Heavy Ind Ltd 放射性薬液合成装置の使用方法、及び放射性薬液合成装置
KR20120117358A (ko) * 2011-04-15 2012-10-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의약품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485B1 (ko) 2020-04-16 2020-12-03 케이비엔지니어링(주) 방사성 물질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0728B (zh) 2016-02-11
TW201341342A (zh) 2013-10-16
JP2013215551A (ja) 2013-10-24
US20130266488A1 (en) 2013-10-10
JP5808764B2 (ja) 2015-11-10
CN103301484B (zh) 2015-02-25
KR20130105440A (ko) 2013-09-25
CN103301484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345B1 (ko)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용 카세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시스템
CA2930479C (en) Dual run cassette for the synthesis of 18f-labelled compounds
JP4342586B2 (ja) 放射性フッ素標識化合物の製造方法
ES2598284T3 (es) Método de purificación
US20140213757A1 (en) Cassette for radiopharmaceutical synthesis
EP3218333B1 (en) Fluoride trapping arrangement
JP6726665B2 (ja) Petトレーサー精製システム
EP2825266A1 (en) Device for material purification
JP5438858B1 (ja) 有機化合物の製造装置
JP2005343798A (ja) 放射性標識化合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05057589A2 (en) Multi-purpose automated radiotracer synthesizer
JPH09263593A (ja) 三方切り替え活栓を組み込んだfdg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