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42B1 -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42B1
KR101478842B1 KR20090030843A KR20090030843A KR101478842B1 KR 101478842 B1 KR101478842 B1 KR 101478842B1 KR 20090030843 A KR20090030843 A KR 20090030843A KR 20090030843 A KR20090030843 A KR 20090030843A KR 101478842 B1 KR101478842 B1 KR 10147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jack
hoistway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847A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것이다.
그 해결 수단으로, 승강로(1)의 피트(5)의 바닥면(5a)에 개구되는 잭 보호관(6) 내로부터,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던 유압잭(22)을 철거하고, 그 잭 보호관(6)의 내부 공간에 서스펜션 풀리(14)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균형추(7)를 배치한다. 그 후, 메인 로프(8)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 로프(8)의 중간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2)의 옆쪽을 통과시켜서 상기 서스펜션 풀리(14)에 감고, 상기 메인 로프(8)의 타단부를 상기 승강로(1)의 고정체에 연결한다.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피트, 바닥면, 유압잭, 서스펜션 풀리, 메인 로프

Description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MODERNIZING METHOD OF EXISTING ELEVATOR AND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기설(旣設)된 유압 엘리베이터를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개수(改修)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기설 유압 엘리베이터를 개수하여 얻어진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직결식(直結式)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면부호 2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3은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22는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잭이다. 유압잭(22)의 유압력은, 승강로(1)에 인접한 엘리베이터 전용의 기계실(도시하지 않음) 등에 설치된 파워 유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직결식의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잭(22)의 실린더(23)가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2)은 유압잭(22)의 플런저(24)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23)로부 터 돌출하는 플런저(24)의 돌출량이 상기 파워 유니트에 의해서 제어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동작 및 정지가 적절하게 행해진다.
상기 방식에 의해서 구동되는 직결식의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유압잭(22)으로서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거리에 따른 길이의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길이가 긴 유압잭(22)을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유압잭(22)의 전부를 승강로(1)의 피트(5) 내에 배치하는 것은 어려우며, 실린더(2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승강로(1)의 지하에 매설한 잭 보호관(6) 내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잭 보호관(6)은, 지하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유압잭(22)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잭 보호관(6)은, 예를 들어 한쪽만 개구되는 원통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가 피트(5)의 바닥면(5a)에 배치되도록 승강로(1)의 지하에 세로 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다.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아래를 플런저(24)로 지지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1a)과의 사이의 틈새를 극한까지 좁힐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에 필요한 평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을 갖추는 한편, 직결식의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는 유압 엘리베이터에 특유의 과제도 가지고 있다. 즉,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는 에너지 효율이 나쁘며, 또한 다량의 윤활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환경성능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화나 환경에 대한 배려 등에 대한 요구의 고 조로 인하여,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다른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예를 들어 로프(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로의 리뉴얼화가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지금까지도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로서,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던 유압잭을 리턴 풀리나 권상기 등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개수 후도 사용하여, 유압잭을 해체 및 철거하지 않고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리뉴얼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375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3-34474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는, 소위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 것이다. 간접식의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측면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에 유압잭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는, 상기 공간 등을 이용하여 균형추의 승강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개수 전의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가 간접식이면,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기설 엘리베이터 칸을 그대로 사용하여),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의 리뉴얼이 가능해진다.
한편,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측면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에는 극히 얼마 안 되는 틈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그 이점인 승강로 평면적의 유효 이용이 화근이 되어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균형추의 승강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기설 엘리베이터 칸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던 문제나, 리뉴얼 후의 엘리베이터의 정원이 감소해 버린다고 하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 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할 수 있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과, 그와 같은 개수 방법에 따라 개수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은, 기설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으로, 승강로의 피트 바닥면에 개구되는 잭 보호관 내로부터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던 유압잭을 철거하는 단계와, 유압잭을 철거함으로써 잭 보호관 내에 형성된 공간에, 서스펜션 풀리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균형추를 배치하는 단계와,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연결하는 동시에, 메인 로프의 중간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옆쪽을 통과시켜서 서스펜션 풀리에 감고 메인 로프의 타단부를 승강로의 고정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의 피트 바닥면에 개구되도록 승강로의 지하에 매설된 잭 보호관과, 잭 보호관 내에 형성된 공간을 엘리베이터 칸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균형추의 승강 거리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두레박식으로 매다는 메인 로프와, 메인 로프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이 도 1 내지 도 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수하여 얻어진 로프(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리뉴얼 후의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3은 승강로(1) 내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다. 가이드 레일(3)은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평면에서 보아 엘리베이터 칸(2)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4는 최하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5는 승강로(1)의 하부 공간을 구성하는 피트, 6은 승강로(1)의 지하에 매설된 잭 보호관이다. 잭 보호관(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의 유압잭(22)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던 것이다. 이 잭 보호관(6)은, 예를 들어 한쪽만 개구되는 원통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가 피트(5)의 바닥면(5a)에 배치되도록 승강 로(1)의 지하에 세로 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은 개수 전과 같은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이나 가이드 레일(3), 잭 보호관(6) 등은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은 사방의 측면이 주위의 승강로 벽(1a)과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의 리뉴얼시에 새롭게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부호 7은 엘리베이터 칸(2)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8은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7)를 두레박식으로 매다는 메인 로프, 9는 메인 로프(8)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이다.
균형추(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기둥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잭 보호관(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균형추(7)는 유압잭(22)을 철거함으로써 잭 보호관(6) 내에 형성된 공간을 승강한다. 이 때문에,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 칸(2)보다 항상 아래쪽에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아래를 승강한다.
개수 전의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가 오랜 기간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었을 경우, 잭 보호관(6)에 녹 등이 발생해 있을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균형추(7)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잭 보호관(6)의 내부에 잭 보호관(6)보다 지름이 작은 추 가이드관(10)을 새롭게 설치하고 있다. 즉, 균형추(7)는 가이드슈(11)가 추 가이드관(10)의 내측면을 미끄러져 움직이거나 혹은 전동(轉動)함으로써, 이 추 가이드관(10)에 의해서 그 승강 방향이 안내된다.
또한, 상기 추 가이드관(10)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한쪽이 개구되는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개구가 피트(5)의 바닥면(5a)에 배치되도록 잭 보호관(6) 내에서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8)는 균형추(7)의 승강 거리가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7)를 두레박식으로 매단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을 1:1 로핑에 의해서, 균형추(7)를 2:1 로핑에 의해서 매다는 경우를 일례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균형추(7)의 승강 거리는, 원리적으로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거리의 1/2이 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로프(8)는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의 상부 들보(2a))에 로프 고정구(8a)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메인 로프(8)의 일단부를 분기하고, 엘리베이터 칸(2)을 2개소에서 매다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능하다면, 엘리베이터 칸(2)의 매달기 위치를 1개소로 해도 된다. 그리고, 메인 로프(8)는, 상기 일단부측으로부터 그 중간부가 승강로(1) 꼭대기의 리턴 풀리(12), 피트(5)의 리턴 풀리(13), 권상기(9)의 구동 풀리(9a), 균형추(7)의 서스펜션 풀리(14)에 순차적으로 감겨지며, 타단부가 피트(5)의 고정체에 로프 고정구(8b)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상기 리턴 풀리(12)는,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메인 로프(8)의 일단부측을 아래쪽으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대향하는 승강로 벽(1a) 사이(혹은, 가이드 레일(3)의 상단부 사이)에 리턴 풀리 들보(15)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리턴 풀리(12)는 이 리턴 풀리 들보(15)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풀리(1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메인 로프(8)는,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1a)과의 사이에 형성된 아주 작은 틈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턴 풀리(13)는, 리턴 풀리(12)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의 옆쪽을 통과하여 승강로(1)의 하부에 도달한 메인 로프(8)를, 피트(5)에 있어서 위쪽(경사 위쪽)으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턴 풀리(13)는 장착 부재(16)를 통하여 피트(5)의 측벽 등(고정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풀리(13)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메인 로프(8)는, 피트(5) 내에 있어서, 구동 풀리(9a)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되돌아온 후, 균형추(7)의 서스펜션 풀리(14)에 의해서 재차 위쪽으로 되돌아가서 피트(5)의 고정체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 풀리(14)는 균형추(7)의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스펜션 풀리(14) 및 메인 로프(8)의, 구동 풀리(9a)로부터 서스펜션 풀리(14)에 이르는 부분과 서스펜션 풀리(14)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부분은, 균형추(7)의 승강시에 추 가이드관(10)과 접촉하지 않는 것과 같은 소정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권상기(9)는 구동 풀리(9a)를 회전 및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메인 로 프(8)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기계대(17)와 권상기대(18)에 의해서 피트(5)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17)는 피트(5)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피트(5)의 대향하는 벽면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평행 들보에 의해 구성된다. 권상기대(18)는 권상기(9)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권상기(9)를 기계대(17)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권상기대(18)에 메인 로프(8)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권상기(9)는 피트(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이 하부 완충기(19)에 충돌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과 접촉하지 않는 것과 같은 소정의 높이로 배치되며, 또한 구동 풀리(9a)로부터 서스펜션 풀리(14)에 이르는 메인 로프(8)가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동 풀리(9a)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완충기(19)는 피트(5)의 바닥면(5a)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며, 리턴 풀리(13)나 기계대(17), 권상기대(18)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7)가 추 가이드관(10)(또는, 잭 보호관(6))의 바닥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승강로(1) 꼭대기부의 리턴 풀리 들보(l5)에는 상부 완충기(20)가 아래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기설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수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를 완성시키는 순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수 공사에 있어서는, 우선 기설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를 운전함으로 써,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설치하기 위한 기기를 위쪽으로 반송하고, 이들 기기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2) 위로부터, 리턴 풀리(12)가 미리 장착된 리턴 풀리 들보(15) 일체를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설치하고, 리턴 풀리 들보(15)에 상부 완충기(20)를 장착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2) 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의 상부 들보(2a)에 로프 고정구(8a)를 장착한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필요한 기기를 설치한 후, 유압잭(22)과는 다른 다른 수단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로(1) 내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달아 올릴 수 있는 제1 양중(揚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리턴 풀리 들보(15) 혹은 기설 가이드 레일(3)의 상단부에 장착하고, 이 제1 양중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단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을 상기 제1 양중 장치에 의해서 지지한 후, 유압잭(22)의 플런저(24)의 상단부와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체결부를 분리하고, 엘리베이터 칸(2)을 유압잭(22)으로부터 해방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2)을 유압잭(22)으로부터 해방하기 전 혹은 후에,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 비상 멈춤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 양중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지지하며, 또한 비상 멈춤 장치를 설치한 후, 제1 양중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2)을 최상층까지 매달아 올린다.
엘리베이터 칸(2)과 유압잭(22)을 분리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 뒤이어서 유압잭(22)을 철거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가이드 레일(3) 등의 고정체에 유압잭(22)을 양중하기 위한 제2 양중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제2 양중 장치를 사 용하여 위쪽이 개구되는 잭 보호관(6) 내로부터 유압잭(22)을 철거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유압잭(22)을 절단하여 단척화(短尺化)한 후, 이 유압잭(22)을 승강장(4)의 출입구 등으로부터 승강로(1)의 외부에 반출한다.
그리고 나서, 유압잭(22)을 철거한 것으로 인하여 잭 보호관(6) 내에 형성된 공간에, 추 가이드관(1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또한, 이때 필요하면, 추 가이드관(10)을 길이가 짧은 관으로 미리 분할해 두고, 각 관을 접속하면서 잭 보호관(6)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추 가이드관(10)의 설치가 완료한 후, 상기 제2 양중 장치 등을 이용하여 균형추(7)를 추 가이드관(10) 내에 삽입하고 그 내부에 배치하며, 균형추(7)를 추 가이드관(10)의 상부에 가(假)고정한다. 또한, 서스펜션 풀리(14) 및 가이드슈(11)는, 균형추(7)를 추 가이드관(10)에 삽입하기 전에 균형추(7)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장착해 두면 좋다.
상기 균형추(7)의 가고정이 완료한 후, 뒤이어서 승강로(1)의 피트(5)에 대한 엘리베이터 기기의 설치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피트(5)의 하부에 리턴 풀리(13)를 설치하고, 기계대(17)를 피트(5)의 벽면 사이에 걸쳐서 장착한다. 또, 고정된 기계대(17)에 권상기(9)가 미리 장착된 권상기대(18)를 재치하여 고정하고, 피트(5)의 바닥면(5a)에 하부 완충기(19)를 세워 설치한다.
상기 작업에 의해서 피트(5)로의 기기 설치가 완료된 후, 다음에 메인 로프(8)의 감기 및 연결 작업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인 로프(8)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해 둔 로프 고정구(8a)에 체결하고, 상기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에 연결한다. 그리고 나서,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설치한 리턴 풀리(12)에 메인 로프(8)를 감은 후, 엘리베이터 칸(2)의 옆쪽을 통과시켜 메인 로프(8)를 피트(5)까지 늘어뜨린다. 그리고, 피트(5)에 있어서, 메인 로프(8)를 리턴 풀리(13), 권상기(9)의 구동 풀리(9a), 서스펜션 풀리(14)에 순차적으로 감고, 타단부를 로프 고정구(8b)에 체결하여 메인 로프(8)(타단부)를 권상기대(18)에 연결한다.
상기 순서에 의해서 메인 로프(8)의 감기 및 양단부의 연결 작업이 완료한 후, 균형추(7)의 가고정을 떼어내며 균형추(7)를 메인 로프(8)에 의해서 지지시키고 제2 양중 장치를 철거한다. 또, 제1 양중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2)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을 메인 로프(8)에 의해서 지지시키고 제1 양중 장치를 철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던 배관(도시하지 않음)이나 기계실의 파워 유니트 등을 철거하고,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리뉴얼을 완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사이즈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기설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리뉴얼 후의 엘리베이터의 정원이 감소한다고 하던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추가로 직결실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던 기설 엘리베이터 칸(2)을 개수 후에도 그대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균형추(7)의 승강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거리보다 짧게(본 실 시의 형태에서는 1/2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 행정(行程)에 제한이 있는 잭 보호관(6)의 내부 공간을 균형추(7)의 승강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구성이면,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거리의 절반밖에 균형추(7)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원리적으로는 잭 보호관(6) 길이의 약 절반의 치수까지 균형추(7)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무거운 엘리베이터 칸(2)의 용도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수 방법에 따라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1a)과의 사이에 적어도 메인 로프(8)가 상하로 통과할 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기설된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가 직결식이더라도,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1a) 사이에는 가이드 레일(3)과 그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할 만큼의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8)의 배치에 있어서 특별히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균형추(7)가 잭 보호관(6)의 내부 공간밖에 이동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균형추(7)의 승강 동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이드슈(11)의 설치 위치를 궁리하거나, 추 가이드관(10)을 피트(5)의 바닥면(5a)보다 위쪽 위치까지 연장하거나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이 최하층에 정지했을 때에 균형추(7)의 상부가 피트(5)의 바닥면(5a)보다 위쪽 위치에 돌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균형추(21)는, 개수 전에 사용되고 있던 유압잭(22)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어서, 유압잭(22)의 일부를 이용하여 균형추(21)를 구성했을 경우의 개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수 공사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3) 등에 제2 양중 장치를 장착한 후, 이 제2 양중 장치를 사용하여 위쪽으로 개구되는 잭 보호관(6) 내로부터 유압잭(22)을 철거한다. 그리고, 잭 보호관(6) 내로부터 뽑아 낸 유압잭(22)을 소정의 무게 혹은 길이로 절단하여 균형추(21)로서 이용 가능한 크기로 한다.
유압잭(22)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균형추(21)로 이용하는 유압잭(22)의 일부에 가이드슈(11)와 서스펜션 풀리(14)를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제2 양중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슈(11)와 서스펜션 풀리(14)가 장착된 상기 유압잭(22)의 일부를 양중하여 잭 보호관(6) 내에 배치한다. 즉, 상기 유압잭(22)의 일부를 추 가이드관(10) 내에 삽입하고 추 가이드관(10)의 상부에 가고정한다.
그 밖의 순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신규로 설치하는 균형추(21)로서 유압잭(22)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수 공사를 절력화할 수 있으며, 추가로 개수시의 폐자재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그 외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승강로, 1a: 승강로 벽, 2: 엘리베이터 칸, 2a: 상부 들보, 3: 가이드 레일, 4: 승강장, 5: 피트, 5a: 바닥면, 6: 잭 보호관, 7: 균형추, 8: 메인 로프, 8a: 로프 고정구, 8b: 로프 고정구, 9: 권상기, 9a: 구동 풀리, 10: 추 가이드관, 11: 가이드슈, 12: 리턴 풀리, 13: 리턴 풀리, 14: 서스펜션 풀리, 15: 리턴 풀리 들보, 16: 장착 부재, 17: 기계대, 18: 권상기대, 19: 하부 완충기, 20: 상부 완충기, 21: 균형추, 22: 유압잭, 23: 실린더, 24: 플런저

Claims (8)

  1. 기설(旣設)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를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개수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으로서,
    승강로의 피트 바닥면에 개구되는 잭 보호관 내로부터, 상기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던 유압잭을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유압잭을 철거한 것으로 인하여 상기 잭 보호관 내에 형성된 공간에, 서스펜션 풀리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균형추를 배치하는 단계와,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 로프의 중간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옆쪽을 통과시켜서 상기 서스펜션 풀리에 감고, 상기 메인 로프의 타단부를 상기 승강로의 고정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직결식 유압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유압잭과는 다른 다른 수단에 의해서 승강로 내에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수단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지지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유압잭의 체결부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비상 멈춤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잭 보호관 내로부터 철거한 유압잭을 소정의 무게 또는 길이가 되도록 절단 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유압잭의 일부에 가이드슈 및 서스펜션 풀리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슈 및 상기 서스펜션 풀리가 장착된 상기 유압잭의 일부를 상기 잭 보호관 내에 배치하고, 상기 유압잭의 일부를 균형추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4.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의 피트 바닥면에 개구되도록 상기 승강로의 지하에 매설된 잭 보호관과,
    상기 잭 보호관 내에 형성된 공간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승강 거리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두레박식으로 매다는 메인 로프와,
    상기 메인 로프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칸보다 항상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바로 아래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균형추는 잭 보호관 내에 설치되어 있던 유압잭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균형추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서스펜션 풀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메인 로프는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중간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옆쪽을 통과하여 상기 서스펜션 풀리에 감겨지고, 타단부가 승강로의 고정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적어도 한 쪽이 개구되는 통 모양을 나타내는 동시에, 잭 보호관 내에 배치되며 그 내측면에 의해서 균형추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는 추 가이드관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20090030843A 2008-10-31 2009-04-09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78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1759 2008-10-31
JP2008281759A JP4595011B2 (ja) 2008-10-31 2008-10-31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47A KR20100048847A (ko) 2010-05-11
KR101478842B1 true KR101478842B1 (ko) 2015-01-02

Family

ID=4227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0843A KR101478842B1 (ko) 2008-10-31 2009-04-09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95011B2 (ko)
KR (1) KR101478842B1 (ko)
CN (1) CN1017232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9768A1 (it) * 2020-12-03 2022-06-03 Doppler S A Metodo per convertire un ascensore idraulico in un ascensore a trazi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5788B2 (ja) * 2010-05-17 2014-09-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US8448323B2 (en) * 2010-10-15 2013-05-2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US9382094B2 (en) * 2011-06-06 2016-07-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efurbishment method
JP6270635B2 (ja) * 2014-06-05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1607901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496231B2 (ja) * 2015-10-15 2019-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GR1009066B (el) * 2016-03-17 2017-07-05 Βαλσαμιδης Aνωνυμη Τεχνικη Εταιρεια Ανελκυστηρων Με Δ.Τ. Βαλσαμιδης Α.Τ.Ε.Α. Μετατροπη υδραυλικου ανελκυστηρα σε ηλεκτρομηχανικο με εφαρμογη ηλεκτρομηχανολογικων παρεμβασεων
CN109562911B (zh) * 2016-08-18 2021-09-1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改造方法及电梯导轨
CN112811282A (zh) * 2021-02-03 2021-05-18 福建省三明华丰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施工用升降机吊箱
KR102319977B1 (ko) * 2021-07-20 2021-11-01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471U (ja) * 1983-05-23 1984-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油圧エレベ−タ装置
KR20040071180A (ko) * 2002-11-12 2004-08-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07039224A (ja) 2005-08-04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KR100770500B1 (ko) 2005-06-14 2007-10-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4188A (ja) * 1986-05-13 1987-11-17 富士変速機株式会社 バランスウエ−ト吊上げ機構
US6354769B1 (en) * 1999-05-24 2002-03-12 Patrick Richard All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in-ground elevator cylinder casings
JP4675548B2 (ja) * 2000-08-21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42853A (ja) * 2002-10-22 2004-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4260502B2 (ja) * 2003-02-13 2009-04-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巻上機交換用治具
JP2008120476A (ja) * 2006-11-08 2008-05-29 Nozomi Saruhashi エレベーター及び複層建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471U (ja) * 1983-05-23 1984-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油圧エレベ−タ装置
KR20040071180A (ko) * 2002-11-12 2004-08-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70500B1 (ko) 2005-06-14 2007-10-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7039224A (ja) 2005-08-04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9768A1 (it) * 2020-12-03 2022-06-03 Doppler S A Metodo per convertire un ascensore idraulico in un ascensore a trazione
WO2022118065A1 (en) * 2020-12-03 2022-06-09 Doppler S.A. Method for transforming a hydraulic lift into a traction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47A (ko) 2010-05-11
CN101723222A (zh) 2010-06-09
JP2010105805A (ja) 2010-05-13
JP4595011B2 (ja) 2010-12-08
CN101723222B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842B1 (ko)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72694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리뉴얼 된 로프식 엘리베이터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CN110228743B (zh) 电梯井曳引上置二比一悬挂比施工升降机及其作业方法
JP6813123B2 (ja) 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技術の適用方法
WO2020142001A1 (en) A moveable platform
CN107555289B (zh) 无机房电梯的改装方法及无机房电梯
JP2011213420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06347727A (ja)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JP5278359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5278360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033062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140819U (ja) 油圧シリンダを使用した昇降装置
WO2012060007A1 (ja) エレベータ
JP2002037563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5535055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3872833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5231770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806166B2 (ja) エレベータ改修用機器設置方法
JPH072378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け工法
JP5718837B2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及びこの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へ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0216087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020803A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AU2005247035B2 (en) Method of modernising a drive in a lift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