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110B1 -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110B1
KR101473110B1 KR1020130109592A KR20130109592A KR101473110B1 KR 101473110 B1 KR101473110 B1 KR 101473110B1 KR 1020130109592 A KR1020130109592 A KR 1020130109592A KR 20130109592 A KR20130109592 A KR 20130109592A KR 101473110 B1 KR101473110 B1 KR 10147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d
gas
exhaust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699A (ko
Inventor
겐이치 아오야마
신스케 가지야마
신이치로오 마츠다
메구미 사와이
가즈노부 스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453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38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4535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238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11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using structural parts of the vehicle as ducts, e.g. fram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주행 기체측에 대한 커버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커버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배기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고온의 배기 가스라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주행 기체측에 커버(17)를 장착함에 있어서,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은,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은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하방 돌출부(49)와 위치 결정 구멍(50)의 걸림 결합 위치는,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이 걸림 결합 상태이고, 또한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이 걸림 결합 상태일 때에, 본체부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고, 하방 돌출부(49)와 위치 결정 구멍(50)은,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로(1029)는, 엔진룸(1009) 안에 구비된 내부측 유로 부위(1030)와, 엔진룸(1009) 밖에 구비된 외부측 유로 부위(1031)가 구비되고, 외기 도입부(1032)로서, 배기로(1029)에 있어서의 내부측 유로 부위(1030)에 배치되어, 엔진룸(1009) 안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부(1033)와, 배기로(1029)에 있어서의 외부측 유로 부위(1031)에 배치되어, 엔진룸(1009) 밖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부(1034)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MOUNTING STRUCTURE OF COVER IN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원동부를 덮는 본네트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주행 기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커버가 구비된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와, 그 배기로의 도중 부위에서 외기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에 외기를 혼합시키는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버 장착 구조에서는, 커버의 하단부에 2군데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커버 내측의 상하 2군데에 수평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주행 기체측의 하부에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걸림 지지편이 설치되고, 주행 기체측에 수평 플레이트가 결합 분리되는 결합 분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주행 기체측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커버를 기체 가로 방향으로 경사 자세로 해서 커버의 장착 구멍을 걸림 지지편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어서, 장착 구멍과 걸림 지지편을 걸어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착 구멍을 지지점에 커버의 상단부를 주행 기체측에 일으키도록 커버를 요동시켜서 기립 자세로 하고, 커버의 수평 플레이트를 결합 분리 기구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주행 기체측에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기 장치는, 외기 도입부에 의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외기를 혼합시킴으로써, 배기 온도를 저하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배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기 도입부로서는, 소직경의 제1 유통관과 대직경의 제2 유통관을 구비하고, 제1 유통관의 하류측 단부와 제2 유통관의 상류측 단부가, 제1 유통관과 제2 유통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제1 유통관을 내측으로 하고 또한 제2 유통관을 외측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이와 같이 이중관 구조로 함으로써, 제1 유통관으로부터 제2 유통관으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이젝터 작용에 의해, 제1 유통관과 제2 유통관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배기 가스에 그 외기를 혼합시킴으로써,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2877호 공보(특히, 도 4) 일본 특허 공개 제2012-6095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주행 기체측에 커버를 장착할 때, 장착 구멍과 걸림 결합편을 걸어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를 요동시킴으로써, 수평 플레이트를 결합 분리 기구에 걸어 결합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장착 구멍과 걸림 결합편을 걸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버의 요동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장착 구멍이 걸림 결합편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를 요동시켜서 수평 플레이트를 결합 분리 기구에 걸림 결합시킬 때, 커버가 위치 어긋나기 쉽고, 그 위치 조정이 필요해서 커버의 장착에 손이 많이 간다.
상술한 실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주행 기체측에 대한 커버의 장착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을 포집 제거하는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배기 정화 장치에서는, 포집한 입자상 물질이 퇴적하는 것에 의한 포집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수단에 의해 포집한 입자상 물질을 가열하여 연소 제거하는 재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 처리 시에는 배기 정화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온도가 통상의 배기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배기 장치로서는, 그 고온이 되는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기 장치에서는, 배기로의 도중 부위에 간격을 두고 외기 도입부를 2개 구비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혼합시키는 외기의 혼합량을 증대시켜, 보다 고온이 되는 배기 가스에서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기 장치에서는, 2개의 외기 도입부가 배기로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된 외부측 유로 부위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그 외부측 유로 부위는, 2개의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는 만큼의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배기로로서는 그 길이가 길어져서, 배기로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외부측 유로 부위의 길이가 길어지면,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피해서 배치할 필요가 발생하여, 그 배치 위치의 조정이나 지지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배기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고온의 배기 가스라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작업차의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원동부를 덮는 본네트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주행 기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배치된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배치된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3 걸림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 기체측에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1 피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2 피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3 피걸림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위치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 상태이고, 또한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 상태일 때에, 상기 본체부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우선 예를 들어 본체부의 전단부에 배치된 제1 걸림 결합부를 주행 기체측의 제1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고,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를 기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본체부의 후단부에 배치된 제2 걸림 결합부를 주행 기체측의 제2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하고,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함으로써, 본체부가 기체 가로 방향으로 규제되어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하면,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3 걸림 결합부와 주행 기체측의 제3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위치는, 본체부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본체부를 기체 가로 방향으로 규제한 그대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걸림 결합부와 제3 피걸림 결합부가 걸어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하는 데 더하여, 제3 걸림 결합부와 제3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함으로써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이 규제되어, 주행 기체측에 대해서 커버가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커버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주행 기체측에 대한 커버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과,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이 다른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와 제2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양립한 상태로, 커버의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쪽이,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보다도 크게 한 경우는, 먼저 제1 걸림 결합부를 제1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면, 제2 걸림 결합부를 제2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기 쉬워진다.
반대로,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쪽이,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보다도 크게 한 경우는, 먼저 제2 걸림 결합부를 제2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면, 제1 걸림 결합부를 제1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이 커지지 않으므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1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체 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2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제1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제2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하는 제2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본체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1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본체부로부터 기체 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2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본체부의 기체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돌기부와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 본체부의 이동이 전후 방향에 허용된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간소한 구조의 커버 장착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를 돌기부로 구성할 수 있고, 제1 피걸림 결합부 및 제2 피걸림 결합부를 삽입 관통 구멍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부 및 피걸림 결합부의 구성 자체의 간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상기 본체부가, 전방측의 광폭 부위와 후방측의 협폭 부위를 갖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가, 상기 광폭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본체부가, 전방측의 광폭 부위와 후방측의 협폭 부위를 갖고 있으므로, 본체부의 무게 중심은 광폭 부위측에 편중되고,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3 걸림 결합부는, 무게 중심에 가까운 광폭 부위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3 걸림 결합부를 제3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기 위해서, 본체부를 기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지고, 이에 더해, 제3 걸림 결합부를 제3 피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시키면 제3 피걸림 결합부에 의해 본체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상기 커버는, 상기 원동부의 엔진에 연결된 배기관의 기체 가로 외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커버가, 원동부의 엔진에 연결된 배기관의 기체 가로 외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즉 약간 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고, 또한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가 배기관의 열의 영향을 받아 예를 들어 다소 변형되었다고 해도, 제1 걸림 결합부와 제1 피걸림 결합부, 제2 걸림 결합부와 제2 피걸림 결합부에는 각각 기체 전후 방향으로 융통이 있으므로, 주행 기체측으로부터 커버의 제거를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원동부의 엔진의 부수 부품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주행 기체측의 제1 피걸림 결합부를, 원동부의 엔진의 부수 부품, 예를 들어 팬 슈라우드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부품을 유효 활용할 수 있어, 커버 장착 구조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특징 구성은,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을 형성하는 본네트와,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와, 그 배기로의 도중 부위에서 외기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에 외기를 혼합시키는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로는, 상기 엔진룸 안에 구비된 내부측 유로 부위와, 상기 엔진룸 밖에 구비된 외부측 유로 부위가 구비되고,
상기 외기 도입부로서,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내부측 유로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룸 안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부와,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측 유로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룸 밖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기로의 내부측 유로 부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우선 제1 외기 도입부에 의해 엔진룸 안의 공기가 도입되어 혼합된다. 이때, 내부측 유로 부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고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룸 안의 공기를 혼합시켜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기로의 외부측 유로 부위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는, 제1 외기 도입부에서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 가스로 된다. 따라서, 제2 외기 도입부에서는, 엔진룸 안의 공기보다도 저온의 엔진룸 밖의 공기를 도입하여 혼합시킴으로써, 그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외기 도입부와 제2 외기 도입부의 2단계로, 외기를 도입시켜서 배기 가스에 혼합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외기 도입부는, 엔진룸을 이용해서 배치할 수 있고, 배기로의 외부측 유로 부위에 배치되는 것은, 제2 외기 도입부만으로 된다. 따라서, 배기로의 외부측 유로 부위는, 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한정된 스페이스에 간이한 구성으로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의 문제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배기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고온의 배기 가스라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한층 더한 특징 구성은, 상기 엔진룸 안에는, 후방측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냉각 팬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외기 도입부는, 상기 냉각 팬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외기 도입부는, 냉각 팬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외기로 해서 적극적으로 배기로에 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기 도입부에서는, 외기의 도입량을 최대한 다량으로 하기 쉬워, 냉각 팬에서 송풍되는 비교적 저온의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어, 배기 온도의 저하를 적확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한층 더한 특징 구성은, 상기 제2 외기 도입부는, 상기 제1 외기 도입부보다도. 도입시키는 외기의 도입량이 다량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외기 도입부에서는, 제1 외기 도입부에서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하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보다 다량의 외기를 도입시켜서 배기 가스에 혼합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서는, 제2 외기 도입부는, 제1 외기 도입부보다도. 도입시키는 외기의 도입량을 다량으로 함으로써, 이 요망에 부응할 수 있어, 배기 온도의 저하를 효과적이면서 보다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한층 더한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외기 도입부는, 제1 유통관과 그 제1 유통관보다도 유로 단면적이 큰 제2 유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통관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 유통관의 상류측 단부가, 상기 제1 유통관과 상기 제2 유통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유통관을 내측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통관을 외측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외기 도입부는, 제3 유통관과 그 제3 유통관보다도 유로 단면적이 큰 제4 유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유통관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4 유통관의 상류측 단부가, 상기 제3 유통관과 상기 제4 유통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 유통관을 내측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4 유통관을 외측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외기 도입부 및 제2 외기 도입부의 양자 모두, 2개의 유통관을 이중관 구조로 하는 간이한 구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기 도입부와 제2 외기 도입부와의 2개의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그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2개의 외기 도입부에서 배기 온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한층 더한 특징 구성은, 상기 엔진룸 안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로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통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네트에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상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배기로는, 배기 정화 장치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통시키므로, 배기 정화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보다 고온으로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기 도입부와 제2 외기 도입부에 의해 그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네트에는 배기 정화 장치의 상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그 개구부로부터 엔진룸 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엔진룸 안의 공기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외기 도입부에서 엔진룸 안의 공기를 도입시킬 때, 보다 저온의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어 배기 온도의 저하에도 공헌할 수 있다.
도 1은 작업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작업차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작업차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커버 장착 구조의 일부 및 커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커버 장착 구조의 일부 및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제1 피걸림 결합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2 피걸림 결합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제3 걸림 결합부 및 제3 피걸림 결합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고정부의 부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커버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 (A)는 제1 걸림 결합부에 대한 제1 피걸림 결합부를 걸림 결합 시, (B)는 제2 걸림 결합부에 대한 제2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시, (C)는 제3 걸림 결합부에 대한 제3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시, (D)는 고정부에 대한 피고정부의 걸림 결합 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팬 슈라우드의 폐색 구조에 있어서의 폐색판의 제거 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팬 슈라우드의 폐색 구조에 있어서의 폐색판의 장착 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배기관의 부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15는 원동부의 측면도.
도 16은 원동부의 평면도.
도 17는 배기로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8는 외기 도입부의 단면도.
도 19은 원동부의 주요부의 측면 단면도.
도 20은 연료 탱크의 주요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트랙터의 개략 구성]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1)(「작업차」의 일례)는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륜(12)과 좌우 한 쌍의 구동 가능한 후륜(13)에 의해 주행 기체(14)를 스스로 움직일 수 있게 한 사륜 구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4)의 전방부에는, 원동부(15)와, 원동부(15)를 덮는 본네트(16)와, 본네트(16)의 하방에 위치하는 커버(17)와, 커버(17)를 주행 기체(14)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게 하는 커버 장착 구조(18)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14)에 있어서의 원동부(15)의 후방에는, 운전 조종부(19)가 구비되어 있고, 운전 조종부(19)에는 스티어링 휠(20)과, 스티어링 휠(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운전 좌석(21)과, 스티어링 휠(20)의 부근에 위치하는 운전 패널(22)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4)에 있어서의 운전 조종부(19)의 후방에는, PTO축(23)과, 링크 기구(24)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트랙터(11)는 주행 기체(14)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2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작업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그 작업 장치에 PTO축(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경운 등의 각종 작업을 행하는 승용형 작업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5)에는 엔진(26)과, 연료 탱크(27)와, 에어 클리너(28)와, 배기 처리 장치(29)와, 배기관(30)과, 팬(31)과, 라디에이터(32)와, 배터리(33)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26)은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고, 주행 기체(14)의 전방부 앞 차축 프레임(34) 상에 지지되어 있다. 연료 탱크(27)는 엔진(26)의 측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28)는, 엔진(26)의 전방에 위치하고, 인렛 호스(36)를 통해서 엔진(26)의 흡기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29)는 엔진(26)의 배기에 포함되는 배기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로, 엔진(26)의 배기측으로 연결되고, 엔진(26)의 상부에 장치 지지 프레임(37)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배기 처리 장치(29)는 내부의 필터(도시하지 않음)로 엔진(26)의 배기에 포함되는 배기 미립자를 걸러서, 필터에 축적한 배기 미립자를 연소시키므로, 배기 처리 장치(29)로부터는 고온의 배기가 배출된다. 배기관(30)은 배기 처리 장치(29)에 연결되어, 기체 가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엔진(26)으로부터의 배기를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팬(31)은 엔진(26)의 전방에 위치하고, 팬 슈라우드(38)(「엔진의 부속 부품」의 일례)에 지지되어 있다. 라디에이터(32)는 엔진(26)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차축 프레임(34) 상에 지지되어 있다.
본네트(16)는 칸막이 프레임(35)에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지지구(39)를 통과하는 횡축심 P 둘레에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원동부(15)를 덮는 폐쇄 자세와, 원동부(15)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자세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6)에는 본네트(16)의 폐쇄 자세 시에, 원동부(15)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부위(16A)와, 원동부(15)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방 부위(16B)와, 원동부(15)의 측방측에 위치하는 측방 부위(16C)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부위(16A)에는, 전방측 공간 FR에 공기를 거두어들어는 취득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로부터 이해되듯이, 측방 부위(16C)는 엔진룸 R의 하방측을 차폐하지 않고 외부에 개방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동부(15)에 있어서의 엔진(26)이나 배기 처리 장치(29)에서 발생하는 열을 본네트(16)의 측방측에서 기체 외부에 효율적으로 배열에서 자른다. 본네트(16)의 측방 부위(16C)의 후방부의 하부 테두리부에 커버(17)가 배치되고, 측방 부위(16C)는 장착 시의 커버(17)와 대략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38)는 본네트(16)의 폐쇄 자세 시에, 본네트(16)의 내부를 엔진(26)이 배치된 엔진룸 ER과, 엔진룸 ER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측 공간 FR로 칸막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프레임(35)은, 엔진룸 ER과, 엔진룸 ER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측 공간 RR로 칸막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인렛 호스(36)는 팬 슈라우드(38)의 상부에 있어서 전방측 공간 FR과 엔진룸 ER에 걸쳐서 팬 슈라우드(38)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되어 있다. 팬 슈라우드(38)에는 인렛 호스(36)와 팬 슈라우드(38) 사이의 간극을 방지함으로써, 전방측 공간 FR과 엔진룸 ER 사이를 폐색하는 폐색 구조(44)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 및 커버 장착 구조]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6)의 측방 부위(16C)의 후방부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주행 기체(14)측에 착탈 가능한 커버(17)가 배치된다. 커버(17)는 주행 기체(14)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커버(17)는 예를 들어 수지제로 되고, 커버 장착 구조(18)에 의해 주행 기체(14)측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7)는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기체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협폭이 되도록 형성된 본체부(42)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42)는 커버(17)의 장착 시에 본네트(16)의 측방 부위(16C)의 후방부의 하부 테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원동부(15)의 측방을 덮고 있다. 본체부(42)는 전방측의 광폭 부위(42A)와, 광폭 부위(42A)의 후방측에서 광폭 부위(42A)보다도 상하로 협폭한 형상으로 된 협폭 부위(42B)를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42)는 통기부(43)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위부가 보강을 위해 기체 내측 방향의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42)에는, 원동부(15)의 열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전후의 2군데에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는 통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네트(16)의 전방 부위(16A)에 있어서의 취득부(40)로부터 팬(31) 등의 작용에 의해 거두어들여진 공기가 원동부(15)를 냉각한 후, 커버(17)의 통기부(43)로부터 배출된다.
커버 장착 구조(18)에는, 커버(17)측의 제1 돌기부(45)(「제1 걸림 결합부」의 일례)와, 주행 기체(14)측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6)(「제1 피걸림 결합부」의 일례)과, 커버(17)측의 제2 돌기부(47)(「제2 걸림 결합부」의 일례)와, 주행 기체(14)측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8)(「제2 피걸림 결합부」의 일례)과, 커버(17)측의 하방 돌출부(49)(「제3 걸림 결합부」의 일례)와, 주행 기체(14)측의 위치 결정 구멍(50)(「제3 피걸림 결합부」의 일례)이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5)는 커버(17)의 본체부(42)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돌기부(45)에는 본체부(42)의 전방 테두리부로부터 기체 경사 내측 전방으로 연장된 내측 연장부(45A)와, 내측 연장부(45A)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협폭으로 되고, 내측 연장부(45A)의 전단부로부터 기체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45B)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 연장부(45B)는 제2 돌기부(47)보다도 기체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돌기부(47)는, 커버(17)의 본체부(42)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돌기부(47)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1 돌기부(45)에 있어서의 전방 연장부(45B)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돌기부(47)는 제1 돌기부(45)와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방 돌출부(49)는 커버(17)의 본체부(42)의 하부 테두리부로부터 기체 하방측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방 돌출부(49)에는, 본체부(4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대직경부(49A)와, 대직경부(49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대직경부(49A)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부(49B)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은, 주행 기체(14)측의 팬 슈라우드(38)의 가로 일단부 및 가로 타단부의 전방 하강으로 된 판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제1 돌기부(45)를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은, 주행 기체(14)측의 칸막이 프레임(35)의 하부에 있어서의 가로 일단부 및 가로 타단부에 형성되고,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돌기부(47)를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50)은 주행 기체(14)측의 전방 차축 프레임(34)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스테이(56)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56)는 팬 슈라우드(38)의 하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위치 결정 구멍(50)은 스테이(56)의 수평 형상 부위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하방 돌출부(49)를 걸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시키면,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의해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의 기체 가로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의 기체 전후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바꿔 말하면,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은,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4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의 후단부에 내측 연장부(45A)가 접촉하는 위치까지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면,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사이에 전후 방향의 간극이 생기므로, 본체부(42)를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을 위치 정렬한다.
그리고,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시키면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하면,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의해 제2 돌기부(47)의 기체 가로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제2 돌기부(47)의 기체 전후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은,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본체부(4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하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걸어 결합한 상태로 하면, 본체부(42)는 기체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기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제1 삽입 관통 구멍(46) 및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의해 가이드된다.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시키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걸어 결합시킨 상태로 한 채, 본체부(42)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 및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있어서의 융통성이 있는 범위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방 돌출부(49)에 위치 결정 구멍(50)을 위치 정렬한다.
여기서, 도 2 또는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42)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과,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부(42)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과는 다르게 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돌기부(45)의 기체 전후 방향 길이쪽이, 제2 돌기부(47)의 기체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먼저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시켜서 걸어 결합시키고, 그 후에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시켜서 걸어 결합시킨다고 하는 장착 수순이 명확해짐과 함께,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한 채,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시켜서 걸어 결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시키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42)를 하방으로 내리고, 하방 돌출부(49)를 위치 결정 구멍(50)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시키면, 하방 돌출부(49)의 전후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본체부(42)의 전후 방향·좌우 방향·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커버(17)의 자중에 의해 커버(17)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하방 돌출부(49)와 위치 결정 구멍(50)의 걸림 결합 위치는,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이 걸림 결합 상태이고, 또한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이 걸림 결합 상태일 때에, 본체부(42)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은 기체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돌기부(45)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6)보다도 기체 상하 방향으로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을 제1 돌기부(45)에 걸어 결합시켰을 때,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 사이에는 기체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은 기체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돌기부(47)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8)보다도 기체 상하 방향으로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삽입 관통 구멍(48)을 제2 돌기부(47)에 걸어 결합시켰을 때,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사이에는 기체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시키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걸어 결합시킨 상태에 있어서, 커버(17)의 본체부(42)가 기체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한 만큼의 융통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커버(17)를 주행 기체(14)측에 위치 결정할 수 있지만, 도 2, 도 4, 도 5,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장착 구조(18)에, 또한 고정부(51)와, 피고정부(52)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부(51)는 본체부(42)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방향의 중앙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어, 전방의 통기부(43)의 내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수평 형상의 평판과, 평판 상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구멍부를 갖고 있다. 피고정부(52)는 엔진(26)의 상방에 배기 처리 장치(29)를 지지하는 장치 지지 프레임(37)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브래킷(55) 상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구멍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주행 기체(14)측에 대한 커버(17)의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2)를 기체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시킨다. 이때, 본체부(42)를 약간 들어 올리면서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한다. 제1 돌기부(45)의 내측 연장부(45A)의 전단부에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의 후단부가 접촉하는 위치까지,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면,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사이에 기체 전후 방향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삽입 관통 구멍(46)은 제2 삽입 관통 구멍(48)보다도 기체 가로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돌기부(45)의 전방 연장부(45B)가 제2 돌기부(47)보다도 기체 가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한 채, 본체부(42)를 기체 후방측으로 약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걸어 결합하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걸어 결합한 상태로 하면, 본체부(42)는, 기체 가로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기체 상하 방향으로 융통이 있는 상태에서, 기체 전후 방향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커버(17)의 본체부(42)가 주행 기체(14)에 대해서 기체 가로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5)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6)에 삽입 관통하고, 또한 제2 돌기부(47)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8)에 삽입 관통한 채, 본체부(42)를 약간 들어 올려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하방 돌출부(49)를 위치 결정 구멍(50)에 위치 정렬하고, 본체부(42)를 기체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하방 돌출부(49)를 위치 결정 구멍(50)에 떨어뜨리는 것으로 삽입 관통하여 걸어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커버(17)의 본체부(42)의 기체 전후 방향 및 기체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6)를 폐쇄 자세로 하면, 본네트(16)의 측방 부위(16C)의 하부 테두리부에 의해 커버(17)의 본체부(42)의 기체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본체부(42)는 기체 가로 방향, 기체 전후 방향, 기체 상하 방향으로 규제되어, 본네트(16)을 폐쇄 자세로 하고 있는 한, 커버(17)가 주행 기체(14)측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장착 구조(18)에 의해 커버(17)를 주행 기체(14)에 장착하면,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 사이 및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사이에, 기체 전후 방향 및 기체 가로 방향으로 융통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행 기체(14)이 주행 등에 의해 상하 진동했을 때에, 제1 돌기부(45)와 제1 삽입 관통 구멍(46) 사이 및 제2 돌기부(47)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사이에, 다소의 상하 방향의 융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방 돌출부(49)를 위치 결정 구멍(50)에 걸어 결합하면,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고정부(52)의 위치에 고정부(51)가 위치된다. 노브 볼트(57) 등의 체결 부재를 상방측으로부터 체결하는 등으로 해서 고정부(51)를 피고정부(52)에 걸어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커버(17)의 본체부(42)를 주행 기체(14)측에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폐색 구조]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구조(44)는 팬 슈라우드(38)측의 삽입부(60)와, 삽입부(60)의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부(60)에 걸어 결합되는 폐색판(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60)는 인렛 호스(36)의 하반부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렛 호스(36)는 단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삽입부(60)는 인렛 호스(36) 아래 반원부를 받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60)에는 지지부(60A)와, 하 규제부(60B)와, 중 규제부(60C)와, 상 규제부(60D)가 구비되어 있다. 하 규제부(60B), 중 규제부(60C), 상 규제부(60D)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전후로 교대로 배치되고, 하 규제부(60B) 및 상 규제부(60D)와, 중 규제부(60C) 사이에 폐색판(61)이 삽입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60A)는 걸어 결합된 폐색판(61)을 하방으로부터 받아내어 지지한다. 하 규제부(60B)는 지지부(60A)의 상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폐색판(61)의 상부 전면의 가로 양단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 규제부(60C)는, 하 규제부(60B)의 상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폐색판(61)의 상하 중앙부 후방면의 가로 양단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 규제부(60D)는 중 규제부(60C)의 상방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폐색판(61)의 상부 전면의 가로 양단부의 후방에의 이동을 규제함과 함께, 폐색판(61)의 볼록부(61B)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60)는 폐색판(61)을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끼워 넣음으로써, 폐색판(6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폐색판(61)은,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수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폐색판(61)은, 평판부(61A)와, 평판부(61A)의 가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볼록부(61B)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61A)는 사각 형상의 하단부를, 인렛 호스(36)의 상부의 외형을 따라서 상반 원 형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B)는, 평판부(61A)에 고착되고, 평판부(61A)의 차폐면으로부터 기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폐색판(61)을 삽입부(6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평판부(61A)를 휘게 해서 볼록부(61B)를 상 규제부(60D)의 하방에 위치시킨 후, 자유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폐색판(61)은 삽입부(60)에 의해 전후 상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엔진룸 ER과 전방측 공간 FR 사이를 완전히 칸막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61B)가 상 규제부(60D)에 접촉됨으로써, 폐색판(61)의 빠짐 방지 및 진동 멈춤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스펀지 등을 사용하여 팬 슈라우드(38)와 인렛 호스(36)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져서, 간소한 구조로, 엔진룸 ER과 전방측 공간 FR의 칸막음성을 높일 수 있다.
[배기관의 구체 구조]
도 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30)에는, 엔진(26)측으로 연결된 제1 배출관(62)과, 제1 배출관(62)에 연결된 제2 배출관(63)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배출관(62)은 일단부측이 엔진(26)측에 연결되어, 일단부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굴곡부에 이르고, 굴곡부로부터 경사 기체 전방에 타단부측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출관(62)의 배출구(62A)에서는 단면적이 좁혀져 있고, 이에 의해, 배출구(62A) 부근에서 배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배출구(62A) 부근의 부압을 높일 수 있다.
제2 배출관(63)은 제1 배출관(62)으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유도하는 도풍관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전방 차축 프레임(34)의 측부에,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래킷(63E)을 개재해서 볼트 고정에 의해 장착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나타낸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배출관(63)에는 후방부 상면을 개구한 제1 상방 개구부(63A)와, 후방면을 개구한 후방 개구부(63B)와, 제1 상방 개구부(63A)보다도 전방 위치의 상면을 개구한 제2 상방 개구부(63C)와, 전면을 개구한 배기구(63D)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상방 개구부(63A)에, 제1 배출관(62)의 배출구(62A)로부터의 배기가 배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구(62A)는 제1 배출관(62)의 단면적을 좁힘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배기의 유속을 높이고 있으므로, 배출구(62A)의 둘레에 의해 큰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제1 상방 개구부(63A)의 주위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량을 보다 많게 하여, 배기 온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는 제1 상방 개구부(63A)로부터 뿐만 아니라, 후방 개구부(63B)로부터도 도입시킬 수 있으며, 도입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배출관(63)에 있어서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해서, 배기 온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방 개구부(63A)는 제2 배기관(63)의 후방 개구부(63B)의 상방측으로 연속해서 절결한 부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개구부(63B)와 상방 개구부(63A)가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동안에 공기의 도입을 저해하는 것 같은 저항이 되는 것이 없어, 공기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기관(63)은, 기울어서 앞쪽이 낮은 경사 자세로 구비되어 있고, 배출구(62A)로부터의 배기는, 제2 배기관(63)의 내부로의 유입 방향이 기울어서 앞쪽이 낮게 되므로, 배출구(62A)로부터의 배기가 최대한 저항을 받지 않고, 제2 배기관(63)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보다 큰 부압의 발생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배기관(63)에 있어서의 공기의 도입구의 단면적보다도 배기구(63D)의 단면적 쪽이 크므로, 제2 배기관(63)에서의 배기와 공기의 혼합기의 흐름이 원활한 흐름으로 되어, 배기 온도가 저하된 혼합기를 확실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구(63D)는 절결부(63F)에 의해 경사 가로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구(63D)로부터의 배기는, 그 전방측에만 집중되어 배기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 가로 방향으로도 분산하여 배기되게 된다.
이러한 배기관(30)에 의하면, 배기 처리 장치(29)로부터 제1 배출관(62)에 고온의 배기가 배출되고, 제1 배출관(62)의 배출구(62A)로부터 제2 배출관(63)의 제1 상방 개구부(63A)에 배기가 불어 넣어진다. 그러면, 배출구(62A)의 부근이 부압으로 되어, 제2 배출관(63)의 후방 개구부(63B)로부터 기체 외부의 공기가 제2 배출관(63) 안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제1 상방 개구부(63A)로부터 불어 넣어진 배기와 혼합되어, 배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관(63) 안으로 배기가 흐르면, 제2 상방 개구부(63C)로부터 기체 외부의 공기가 제2 배출관(63) 안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온도가 저하된 배기와 혼합되어, 배기의 온도를 보다 한층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온도까지 저하된 배기를 기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돌기부(45)가 제2 돌기부(47)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2 돌기부(47)가 제1 돌기부(45)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 결합부로서 제1 돌기부(45), 제2 걸림 결합부로서 제2 돌기부(47), 제3 걸림 결합부로서 하방 돌출부(49), 제1 피걸림 결합부로서 제1 삽입 관통 구멍(46), 제2 피걸림 결합부로서 제2 삽입 관통 구멍(48), 제3 피걸림 결합부로서 위치 결정 구멍(50)을 예로 들어, 돌기부와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한 걸림 결합 방식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걸림 결합부, 제2 걸림 결합부, 제3 걸림 결합부를 훅 형상의 부재로 하고, 제1 피걸림 결합부, 제2 피걸림 결합부, 제3 피걸림 결합부를, 훅 형상의 부재를 걸 수 있는 구멍 형상의 부재로 하는 것 같은 걸림 결합 방식이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51) 및 피고정부(52)가 구비된 예를 나타냈지만, 폐쇄 자세로 한 본네트(16)의 측방 부위(16C)의 하단부에 의해 커버(17)의 기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고정부(51) 및 피고정부(52)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부(15)에 있어서의 엔진(26)의 부속 부품의 일례로서 팬 슈라우드(38)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엔진(26)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 등의 다른 부속 부품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의 일례로서 트랙터(11)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콤바인, 이앙기 등의 다른 작업차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배기 장치를 적용한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의 전체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트랙터는, 차체 전방부에 원동부(1001)를 구비하고, 그 원동부(1001)의 후방부에서 차체 중간 부에 조종부(1002)을 구비하고 있고, 엔진 탑재 프레임(1003), 클러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 및 미션 케이스(1004)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1005)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 탑재 프레임(1003)에 원동부(1001)를 탑재하고 있어, 차체 프레임(1005)이 좌우 한 쌍의 전륜(1006) 및 후륜(1007)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001)에는, 엔진 탑재 프레임(1003) 상에 방진재(도시하지 않음)로 방진 지지된 디젤 엔진을 채용한 엔진(10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1008)을 수납하는 엔진룸(1009)을 형성하는 본네트(1010)가 구비되고, 이 본네트(1010)는 그 내부에 엔진룸(1009)을 형성하는 폐쇄 상태와 그 엔진룸(1009)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엔진(1008)으로부터의 동력을, 프레임 겸용의 미션 케이스(1004)에 내장한 주행용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행 전동계를 개재해서 전륜(1006) 및 후륜(1007)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사륜 구동형 트랙터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종부(1002)에는 스티어링 휠(1013)이나 운전 좌석(10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14로 되돌아가서, 미션 케이스(1004)의 후방부에는, 그 후상부에 내장한 유압식 승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011)이나, 엔진 동력의 외부로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 취출축(1012)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동력 취출축(1012)에는, 미션 케이스(1004)에 내장한 주행 전동계와는 다른 계통의 작업용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작업 클러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전동계를 통해서, 엔진(100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리프트 아암(1011)에는 미션 케이스(1004)의 후방부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 장비되는 링크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고, 동력 취출축(1012)에는 그 링크 기구에 연결되는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축 등이 접속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룸(1009) 안에는, 기체 전후 방향의 전방측부터 순서대로 배터리(1015), 라디에이터(1016), 기체 후방측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냉각 팬(1017), 엔진(100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엔진룸(1009) 안에는 배터리(1015)의 상부에 엔진용 에어 클리너(1057)가 구비되고, 엔진(1008)의 상부에 DOC(1020)(디젤 산화 촉매)나 DPF(1021)(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 등을 수용한 머플러 기능을 갖는 배기 정화 장치(1018)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018)는, 그 길이 방향이 기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전후 방향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1008)의 상부에서 배기 정화 장치(1018)의 가로측부 및 엔진(1008)의 후방측에 걸쳐서, 연료 탱크(1041)가 구비되어 있다.
(본네트)
엔진룸(1009)을 형성하는 본네트(1010)는 상부 패널(1010a)과 기체 가로폭 방향의 좌우 양측의 측부 패널(1010b)과 전방부 패널(1010c)을 구비한 하방측 및 후방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패널(1010a)과 좌우 양측의 측부 패널(1010b)과 전방부 패널(1010c)을 일체의 패널체로서 형성하고 있고, 그 패널체로 본네트(1010)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패널(1010a)은, 원동부(1001)의 상부를 덮도록 기체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패널(1010a)에는,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상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엔진룸(1009)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개구부(1023)(도 16에서는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1023)는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전방측 부위(배기 가스의 배출측 부위)의 상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개구부(1023)에는,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된 다공체(1024)가 구비되고, 엔진룸(1009) 안의 공기의 외부로의 배출은 허용하면서, 외부로부터 엔진룸(1009) 안으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측부 패널(1010b) 각각은, 그 후방측 부위가 전방측 부위보다도 상방측으로 오목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방측으로 오목해진 부위에는, 본네트(1010)와는 별체의 사이드 패널(104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사이드 패널(1040)은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된 다공 형상 부위를 갖고 있으며, 엔진룸(1009)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네트(1010)는 그 후단부의 기체 가로폭 방향을 따르는 요동축심(1025)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축심(1025)은 엔진룸(1009)과 그 후방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체(1026)로부터 기체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체(1027)에 지지되어 있다. 구획체(1026)는 상하 방향 및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본네트(1010)의 후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본네트(1010)는 그 상부 패널(1010a)과 기체측 사이에 배치된 가압 부재(1028)에 의해 상방측으로 요동 가압되어 있다. 본네트(1010)를 상방측으로 요동시켜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 가압 부재(1028)의 가압력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본네트(1010)를 상방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
배기 정화 장치(1018)는, 엔진(1008)의 배기관(1019)에 연결되어 있고, 그 배기관(1019)을 유통한 배기 가스를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018)는, 그 배기 가스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DOC(1020), DPF(1021)를 구비하고 있고, 기체 후방측으로부터 공급된 배기 가스를 정화하고, 그 정화된 배기 가스를 기체 전방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018)는, 엔진(1008)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미립 형상 물질을 DPF(1021)에서 포집하고, 배기 가스 중 미연소 연료를 DOC(1020)에서 산화 연소시켜서 배기 온도를 높임으로써 DPF(1021)에 포집된 미립 형상 물질을 소각하여 DPF(1021)의 재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재생 처리를 어떤 타이밍에서 행할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DPF(1021)의 상류측 부위와 하류측 부위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1022)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018)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는, 차압 센서(1022)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DPF(1021)이 눈막힘이 생기고 있는지 등, 재생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별하여, 적정한 타이밍에서 재생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배기로)
엔진(1008)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1029)가 구비되어 있고, 그 배기로(1029)의 도중 부위에 배기 정화 장치(1018)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로(1029)는 엔진룸(1009) 안에 구비된 내부측 유로 부위(1030)와, 엔진룸(1009) 밖에 구비된 외부측 유로 부위(1031)가 구비되고, 배기 가스의 통류 방향에서 내부측 유로 부위(1030)가 외부측 유로 부위(1031)보다도 상류측으로 되어 있다. 엔진(1008)으로부터 배기 정화 장치(1018)에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관(1019)은, 내부측 유로 부위(1030)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정화 장치(1018)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배기로(1029)에는 그 도중 부위에서 외기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에 외기를 혼합시키는 외기 도입부(1032)가 구비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1032)로서, 배기로(1029)에 있어서의 내부측 유로 부위(1030)에 배치되어, 엔진룸(1009) 안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부(1033)와, 배기로(1029)에 있어서의 외부측 유로 부위(1031)에 배치되어, 엔진룸(1009) 밖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부(1034)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외기 도입부)
제1 외기 도입부(1033)는 도 15, 도 17,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유통관(1035)(제1 유통관에 상당)과 그 상류측 유통관(1035)보다도 유로 단면적이 큰 중간 유통관(1036)(제2 유통관에 상당)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기 도입부(1033)는 상류측 유통관(1035)의 하류측 단부와 중간 유통관(1036)의 상류측 단부가, 상류측 유통관(1035)과 중간 유통관(1036) 사이에 간극 K1100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류측 유통관(1035)을 내측으로 하고 또한 중간 유통관(1036)을 외측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측 유통관(1035)은, 배기 정화 장치(1018)의 배출부(1037)에 연결되어 있고, 그 도중에 전방측으로 만곡하는 만곡 부위(1035a)를 갖고,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유통관(1036)은,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하는 상류측 부위(1036a)와, 그 상류측 부위(1036a)에 연속해서 배기 가스의 유통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바꾸도록 기체 전방측으로 만곡하는 하류측 부위(1036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 유통관(1035) 및 중간 유통관(1036)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그 도중 부위까지가, 내부측 유로 부위(1030)로 되어 있다. 상류측 유통관(1035) 및 중간 유통관(1036)은 모두 유로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 유통관(1036)의 내경을 상류측 유통관(1035)보다도 대직경으로 함으로써, 유로 단면적의 대소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유통관(1036)의 지지에 대해서는, 상류측 유통관(1035)과 중간 유통관(1036)을 연결하는 연결체(1038)가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체(1038)에 의한 연결에 의해, 중간 유통관(1036)이 상류측 유통관(1035)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연결체(1038)는 상류측 유통관(1035) 및 중간 유통관(1036)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연결체(1038)끼리의 사이에 외기를 유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어 있고, 상류측 유통관(1035)과 중간 유통관(1036) 사이의 간극 K1100에 있어서의 외기의 유통을 최대한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유통관(1036)은 기체측으로 연결된 기체측 연결체(1059)에도 연결되어 있다.
제1 외기 도입부(1033)는, 상류측 유통관(1035)으로부터 중간 유통관(1036)에의 배기 가스의 유입에 의한 이젝터 작용에 의해, 상류측 유통관(1035)과 중간 유통관(1036) 사이의 간극 K1100로부터 엔진룸(1009) 안의 공기를 중간 유통관(1036)에 도입시켜서 배기 가스에 혼합시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간극 K1100은, 상류측 유통관(1035)의 주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 방향의 폭이 동일해지고 있다. 제1 외기 도입부(1033)는, 냉각 팬(1017)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각 팬(1017)에서 기체 후방측에 통풍되는 공기를 적극적으로 외기로서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외기 도입부(1033)는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사이드 패널(1040)에 있어서의 다공 형상 부위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패널(1040)의 다공 형상 부위로부터 엔진룸(1009)의 외부로 배출되는 비교적 저온의 공기를 외기로 해서 제1 외기 도입부(1033)에서 도입하기 쉬워, 배기 온도의 저하를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2 외기 도입부)
제2 외기 도입부(1034)는, 도 15, 도 17,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유통관(1036)(제3 유통관에 상당)과 그 중간 유통관(1036)보다도 유로 단면적이 큰 하류측 유통관(1039)(제4 유통관에 상당)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외기 도입부(1034)는, 중간 유통관(1036)의 하류측 단부와 하류측 유통관(1039)의 상류측 단부가, 중간 유통관(1036)과 하류측 유통관(1039) 사이에 간극 K2100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중간 유통관(1036)을 내측으로 하고 또한 하류측 유통관(1039)을 외측으로 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제2 유통관과 제3 유통관이 단일의 중간 유통관(1036)으로 겸용되어 있다.
하류측 유통관(1039)은, 엔진 탑재 프레임(1003)의 가로측부에 기체측 연결체(1060)로 고정 지지되어 있고, 2개의 ㄷ자 형상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그 유로 단면 형상이 다각형(예를 들어,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유통관(1036)의 도중 부위로부터 하류측 단부까지 및 하류측 유통관(1039)이, 외부측 유로 부위(1031)로 되어 있다. 제2 외기 도입부(1034)는 본네트(1010)의 하방에서 엔진 탑재 프레임(1003)의 가로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외기 도입부(1034)는 중간 유통관(1036)으로부터 하류측 유통관(1039)으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에 의한 이젝터 작용에 의해, 중간 유통관(1036)과 하류측 유통관(1039) 사이의 간극 K2100로부터 엔진룸(1009) 밖의 공기를 하류측 유통관(1039)에 도입시켜서 배기 가스에 혼합시켜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간극 K2100는, 중간 유통관(1036)의 주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 방향의 폭은 상하 방향보다도 기체 가로폭 방향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부터 보다 많은 외기를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외기 도입부(1034)에 있어서의 중간 유통관(1036)과 하류측 유통관(1039) 사이의 간극 K2100는, 제1 외기 도입부(1033)에 있어서의 상류측 유통관(1035)과 중간 유통관(1036) 사이의 간극 K1100보다도 그 단면적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외기 도입부(1034)는 제1 외기 도입부(1033)보다도 도입시키는 외기의 도입량이 다량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 외기 도입부(1033)에서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 가스에 다량의 외기를 혼합시켜서, 그 배기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배기 온도가 저하된 배기 가스가, 하류측 유통관(1039)을 유통해서 기체 전방측으로 배출되어 있다.
하류측 유통관(1039)은 상류측 유통관(1035) 및 중간 유통관(1036)보다도 그 길이가 짧으므로, 배기로(1029)에 있어서의 외부측 유로 부위(1031)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탑재 프레임(1003)의 가로측부의 한정된 스페이스라도,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여 적절하게 배치하면서, 배기 온도의 저하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료 탱크)
연료 탱크(1041)는, 도 16,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이 폭이 좁고 후방측이 폭이 넓은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료 탱크 지지체(10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연료 탱크 지지체(1042)는 연료 탱크(1041)의 저부를 적재 지지하는 저부(1043)와, 연료 탱크(1041)의 전단부에 근접 위치하는 전방 벽부(1044)과, 연료 탱크(1041)의 왼쪽 가로측부에 근접 위치하는 가로벽부(1045)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1043)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에 위치하는 전단부측 부위(1043a)와,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전단부측 부위(1043a)보다도 1단 낮게 형성된 중간 부위(1043b)와,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중간 부위(1043b)보다도 1단 낮게 형성된 후단부측 부위(1043c)를 갖는 3단 형상의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저부(1043)는 연료 탱크(1041)의 저부와의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1046)를 개재시켜서 연료 탱크(1041)의 저부를 적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연료 탱크(1041)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1041a)에 끼워 맞추어 연료 탱크(1041)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1058)가 구비되고, 그 이동 규제 부재(1058)의 양단부가 저부(1043)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방 벽부(1044)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1043)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하는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연료 탱크(1041)의 전면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부(1044)에는, 연료 탱크(1041)의 전면부에 구비된 걸림 결합부(1047)(예를 들어, 돌기부)를 걸어 결합시키는 피걸림 결합부(1048)(예를 들어, 걸림 결합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041)의 걸림 결합부(1047)를 전방 벽부(1044)의 피걸림 결합부(1048)에 결합시킴으로써, 연료 탱크(1041)의 기체 가로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41)의 가로측부가 가로벽부(1045)에 접촉함으로써도, 연료 탱크(1041)의 기체 가로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가로벽부(1045)는, 저부(1043)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방측에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연료 탱크(1041)와 배기 정화 장치(1018)를 기체 가로폭 방향 및 기체 전후 방향에서 칸막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엔진룸(1009)은, 가로벽부(1045)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1018)측의 공간과 연료 탱크(1041)측의 공기로 구획되어 있고,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열의 영향이 연료 탱크(1041)에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로벽부(1045)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 연료 탱크(1041)와 배기 정화 장치(1018)로 칸막이하는 부위가, 연료 탱크(1041)에 접촉함으로써, 연료 탱크(1041)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41)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에 대해서는, 상술한 이동 규제 부재(1058)에 의해서도 규제되어 있다.
(본네트의 가압 부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네트(1010)를 상방측으로 요동 가압하는 가압 부재(1028)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1028)는, 예를 들어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체 가로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가압 부재(1028)는, 본네트(1010)측으로 연결된 통형상 부재(1049)와, 그 통형상 부재(1049)에 대해서 삽입 분리 가능한 막대형상 부재(1050)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 부재(1028)는 막대형상 부재(1050)가 통형상 부재(1049)에 대하여 삽입 분리함으로써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신축측으로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본네트(1010)를 상방측으로 요동 가압하고 있다. 막대형상 부재(1050)의 단부를 기체측에 장착하기 위해서,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저부(1043)에는, 그 기체 가로폭 방향의 중앙부에, 판상의 제1 지지 부위(1051)와 그 제1 지지 부위(1051)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제2 지지 부위(1052)를 일체적으로 갖는 가압 부재용 지지체(105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막대형상 부재(1050)의 단부는, 제2 지지 부위(1052)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횡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가압 부재용 지지체(1053)의 제1 지지 부위(1051)를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저부(1043)에 체결하고, 가압 부재용 지지체(1053)의 제2 지지 부위(1052)에 가압 부재(1028)의 일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만으로, 가압 부재(1028)의 일단부를 연료 탱크 지지체(104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1028)의 장착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저부(1043)를, 가압 부재(102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028)는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가로벽부(1027)를 사이에 두고 배기 정화 장치(1018)와는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기체 가로폭 방향에서 가압 부재(1028)와 배기 정화 장치(1018) 사이에는 가로벽부(1027)가 존재하게 되어, 가압 부재(1028)는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열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의 차압 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1018)에는, 도 16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DPF(1021)가 눈막힘이 생기고 있는지 등을 판별하기 위해서 차압 센서(102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차압 센서(1022)는,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열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전방 벽부(1044)에는, 그 상부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센서 지지체(1054)가 구비되어 있고, 그 센서 지지체(1054)의 선단부에 차압 센서(1022)가 배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1022)에는 DPF(1021)의 상류측 부위와 연통하는 상류측 연통부(1055) 및 DPF(1021)의 하류측 부위와 연통하는 하류측 연통부(1056)가 연결되어 있고, DPF(1021)의 상류측 부위와 하류측 부위의 차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압 센서(1022)는 연료 탱크(1041)와 배기 정화 장치(1018)를 칸막이하는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가로벽부(1045)보다도, 기체 가로폭 방향에서 배기 정화 장치(1018)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어, 배기 정화 장치(1018)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위치에 차압 센서(1022)를 배치하기 위해서, 연료 탱크(1041)를 지지하기 위한 연료 탱크 지지체(1042)의 전방 벽부(1044)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외기 도입부(1033)에서 이중관 구조의 외측에 배치하는 유통관과 제2 외기 도입부(1034)에서 이중관 구조의 내측에 배치하는 유통관을, 동일한 중간 유통관(1036)으로 하고 있지만, 제1 외기 도입부(1033)에서 이중관 구조의 외측에 배치하는 유통관과 제2 외기 도입부(1034)에서 이중관 구조의 내측에 배치하는 유통관을 다른 유통관으로 할 수도 있다.
(7)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류측 유통관(1035), 중간 유통관(1036), 하류측 유통관(1039)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모든 유통관의 유로 단면을, 원 형상, 혹은 하류측 유통관(1039)과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8)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외기 도입부(1033)에 있어서의 외기의 도입량과 제2 외기 도입부(1034)에 있어서의 외기의 도입량을 거의 동일한 양으로 할 수도 있다.
(9)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외기 도입부(1033) 및 제2 외기 도입부(1034)를 이중관 구조로 했지만, 이 이중관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기 도입부는 상류측 유통관과 하류측 유통관을 구비하고, 하류측 유통관의 도중 부위 등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 상류측 유통관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유입시킴으로써, 그 배기 가스의 유입에 의한 이젝터 작용에 의해, 상류측 유통관의 주위로부터 개구부를 통해서 외기를 하류측 유통관에 도입시켜서 배기 가스에 혼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로서 트랙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어 콤바인이나 건설 기계 등, 기타 각종 작업차를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와, 그 배기로의 도중 부위에서 외기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에 외기를 혼합시키는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배기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다 고온의 배기 가스라도 그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각종 작업차의 배기 장치에 적응 가능하다.
11 : 트랙터(「작업차」)
14 : 주행 기체
15 : 원동부
16 : 본네트
17 : 커버 장착 구조
30 : 배기관
38 : 팬 슈라우드(「엔진의 부속 부품」)
41 : 커버
42 : 본체부
42A : 광폭 부위
42B : 협폭 부위
45 : 제1 돌기부(「제1 걸림 결합부」)
46 : 제1 삽입 관통 구멍(「제1 피걸림 결합부」)
47 : 제2 돌기부(「제2 걸림 결합부」)
48 : 제2 삽입 관통 구멍(「제2 피걸림 결합부」)
49 : 하방 돌출부(「제3 걸림 결합부」)
50 : 위치 결정 구멍(「제3 피걸림 결합부」)
1008 : 엔진
1009 : 엔진룸
1010 : 본네트
1017 : 냉각 팬
1018 : 배기 정화 장치
1029 : 배기로
1030 : 내부측 유로 부위
1031 : 외부측 유로 부위
1032 : 외기 도입부
1033 : 제1 외기 도입부
1034 : 제2 외기 도입부
1035 : 상류측 유통관(제1 유통관)
1036 : 중간 유통관(제2 유통관과 제3 유통관을 겸용)
1039 : 하류측 유통관(제4 유통관)
K1100 : 간극
K2100 : 간극

Claims (11)

  1. 원동부를 덮는 본네트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주행 기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에 배치된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배치된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3 걸림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 기체측에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1 피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2 피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에 걸어 결합하는 제3 피걸림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위치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 상태이고, 또한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 상태일 때에, 상기 본체부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 이동이 허용되고 있는 범위 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3 피걸림 결합부는, 그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과,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허용량이 다른,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1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체 후방측을 따라 돌출된 제2 돌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제1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제2 돌기부를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하는 제2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전방측의 광폭 부위와 후방측의 협폭 부위를 갖고, 상기 제3 걸림 결합부가, 상기 광폭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원동부의 엔진에 연결된 배기관의 기체 가로 외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걸림 결합부가, 상기 원동부의 엔진의 부수 부품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09592A 2013-03-07 2013-09-12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KR101473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5352A JP5943863B2 (ja) 2013-03-07 2013-03-07 作業車の排気装置
JPJP-P-2013-045352 2013-03-07
JPJP-P-2013-045354 2013-03-07
JP2013045354A JP6022382B2 (ja) 2013-03-07 2013-03-07 作業車におけるカバー取付構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8060A Division KR20140135938A (ko) 2013-03-07 2014-10-29 작업차의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699A KR20140110699A (ko) 2014-09-17
KR101473110B1 true KR101473110B1 (ko) 2014-12-15

Family

ID=514607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2A KR101473110B1 (ko) 2013-03-07 2013-09-12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KR20140148060A KR20140135938A (ko) 2013-03-07 2014-10-29 작업차의 배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8060A KR20140135938A (ko) 2013-03-07 2014-10-29 작업차의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73581B2 (ko)
KR (2) KR101473110B1 (ko)
CN (2) CN106004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3775B1 (ja) * 2013-10-25 2015-02-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275552B2 (ja)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EP2985166B1 (en) * 2014-08-14 2017-08-02 CNH Industrial Italia S.p.A.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JP6438341B2 (ja) * 2014-10-15 2018-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499524B (zh) * 2014-11-13 2018-10-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渭南分公司 供排烟管穿过的烟孔结构、工程机械
KR101961058B1 (ko) 2015-05-22 2019-03-2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US10449851B2 (en) 2015-07-31 2019-10-22 Yanmar Co., Ltd. Work vehicle
CN107920469B (zh) * 2015-09-16 2022-06-21 株式会社久保田 收割机以及普通型联合收割机
JP6448507B2 (ja) * 2015-10-20 2019-01-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10336377B2 (en) 2015-11-09 2019-07-0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US9764776B2 (en) * 2015-12-18 2017-09-19 Honda Motor Co., Ltd. Motor vehicle engine room air and water management system
US10280882B2 (en) * 2016-04-18 2019-05-07 Hall Labs Llc Fuel tank with carbon dioxide storage
CA2958965C (en) * 2016-08-03 2019-01-08 Komatsu Ltd. Working vehicle
CN106347105A (zh) * 2016-09-14 2017-01-25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可反向排污的动力系统及车体、高空作业平台
CN106285977A (zh) * 2016-09-21 2017-01-04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驱动装置的控制系统及车体、高空作业平台
JP6965781B2 (ja) * 2018-02-13 2021-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クト開口部構造
JP6985970B2 (ja) * 2018-03-30 2021-12-22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WO2018216824A1 (ja) * 2018-07-10 2018-11-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ボディ及びダンプトラック
JP7059991B2 (ja) * 2019-08-30 2022-04-2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13389631B (zh) * 2021-06-30 2022-07-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纵置发动机总成排气侧局部高温的导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081A (ja) * 1993-08-31 1995-03-14 Mitsubishi Motors Corp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縦型排気管装置
JPH07277012A (ja) * 1994-04-08 1995-10-24 Kubota Corp 農機の原動部
JPH11105740A (ja) * 1997-10-02 1999-04-20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サイド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2060955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920A (en) * 1954-02-24 1955-05-24 Deere & Co Air intake pre-cleaner
US3307336A (en) * 1963-06-07 1967-03-07 Massey Ferguson Inc Air filter installation
US4126199A (en) * 1977-05-09 1978-11-21 Allis-Chalmers Corporation Bottom serviced air cleaner for a motor vehicle
JPS5790214A (en) * 1980-11-27 1982-06-04 Suzuki Motor Co Ltd Exhaust pipe for motor cycle equipped with turbo-charger
JP2756344B2 (ja) * 1990-04-07 1998-05-25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機構
JPH04317872A (ja) * 1991-04-16 1992-11-09 Kubota Corp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構造
GB2319994B (en) * 1996-12-04 2001-05-23 Massey Ferguson Ltd Vehicle body panel assembly
DE69829343T2 (de) * 1997-10-02 2006-04-1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Amagasaki Befestig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paneels
US6032620A (en) * 1997-10-31 2000-03-0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ir intake structure in a construction machine
JP2004122877A (ja) 2002-10-01 2004-04-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トラクタにおけるサイドカバーの取付構造
EP1661795B1 (en) * 2003-08-12 2011-08-03 Yanmar Co., Ltd. Tractor with a splitted body surrounding the engine compartiment
JP4176032B2 (ja) * 2004-02-20 2008-11-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原動部構造
US7575081B2 (en) * 2004-03-29 2009-08-18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4613082B2 (ja) * 2005-03-14 2011-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US20090098961A1 (en) * 2007-10-12 2009-04-16 Toshiyuki Hasegawa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Lawn Tractor Equipped With Them
US8100212B2 (en) * 2008-03-24 2012-01-24 Kubota Corporation Tractor
JP5483857B2 (ja) * 2008-10-20 2014-05-07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JP5184387B2 (ja) * 2009-01-09 2013-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ボンネット構造
JP5427115B2 (ja) * 2010-06-04 2014-02-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101455141B1 (ko) 2011-02-01 2014-10-27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 기계
CN102897020B (zh) * 2011-07-29 2016-01-20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的排气装置
JP5911758B2 (ja) 2011-07-29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081A (ja) * 1993-08-31 1995-03-14 Mitsubishi Motors Corp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縦型排気管装置
JPH07277012A (ja) * 1994-04-08 1995-10-24 Kubota Corp 農機の原動部
JPH11105740A (ja) * 1997-10-02 1999-04-20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サイド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2060955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9738B (zh) 2016-07-06
US20140251713A1 (en) 2014-09-11
KR20140135938A (ko) 2014-11-27
CN106004416B (zh) 2018-09-18
US9073581B2 (en) 2015-07-07
CN106004416A (zh) 2016-10-12
CN104029738A (zh) 2014-09-10
KR20140110699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10B1 (ko) 작업차에 있어서의 커버 장착 구조
JP5911392B2 (ja) 作業車
US10287962B2 (en) Work vehicle
US10487711B2 (en) Work vehicle
WO2014069038A1 (ja) ダンプトラック
US8544582B2 (en) Utility vehicle
CN105051342B (zh) 发动机装置
RU2735192C2 (ru) Воздухозаб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не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669913B2 (en) Engine apparatus
US9676270B2 (en) Work vehicle
JP2010096153A (ja) 走行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CN104995053A (zh) 发动机装置
JP6137739B2 (ja) 作業車両
US10543744B2 (en) Working vehicle
WO2014155507A1 (ja) 作業車両、及びホイールローダ
CN105849377A (zh) 发动机装置
JP5943863B2 (ja) 作業車の排気装置
JP5865197B2 (ja) 排気管
JP2013027346A (ja) コンバイン
JP6224749B2 (ja) 作業車両
JP5438249B1 (ja) ダンプトラック
JP2023051494A (ja) トラクタ
JP6022382B2 (ja) 作業車におけるカバー取付構造
JP5984503B2 (ja) トラクタの排気装置
JP2021182885A (ja) 乗用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