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355B1 -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355B1
KR101470355B1 KR1020140081929A KR20140081929A KR101470355B1 KR 101470355 B1 KR101470355 B1 KR 101470355B1 KR 1020140081929 A KR1020140081929 A KR 1020140081929A KR 20140081929 A KR20140081929 A KR 20140081929A KR 101470355 B1 KR101470355 B1 KR 10147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ear
stage
gear assembly
guide port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Original Assignee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숙 filed Critical 박미숙
Priority to KR102014008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 스테이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하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건물의 지하층과 같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공간의 천공 작업을 낮게 함으로써 적은 인력으로 용이한 시공과 유지 보수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유선형 가이드부와, 상기 유선형 가이드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가이드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하우징 상측으로 굴절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체인기어가 연결봉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조립되되, 상기 연결봉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프로킷이 치합되는 삽입부로 기능하는 체인기어조립체; 및 상기 체인기어조립체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무대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STAGE ELEVATOR}
본 발명은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 스테이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하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건물의 지하층과 같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공간의 천공 작업을 낮게 함으로써 적은 인력으로 용이한 시공과 유지 보수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 기계 장치는 상부 무대 기기와 하부 무대 기기로 나뉘는데, 상부 무대 기기는 오페라, 뮤지컬, 연극, 콘서트 등의 공연 시, 무대의 상층부에서, 공연 또는 연출에 필요한 세트, 커튼, 조명기구 등을 상승, 하강 또는 좌우 이동시켜 무대 효과를 높이는 장비들을 말한다.
아울러, 하부 무대 기기는 무대 바닥에 공연 또는 연출에 필요한 배경 세트 등의 보조 무대를 설치하고, 연출의 특성에 따라 보조 무대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장비를 말하며, 이러한 하부 무대 기기로는, 무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무대리프트 시스템과, 무대를 수평 이동시키는 사이드 무대 와곤시스템, 무대를 회전시키는 회전 와곤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무대리프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나사 잭과 같은 승강 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나사 잭 본체 내에 삽입된 나사 포스트는 입력 스프로킷 박스로부터 공급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포스트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나사 잭 본체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 잭을 이용하여 무대리프트 시스템을 승강시키는 나사 잭의 행정은 나사 잭 본체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무대 하부에는 나사 잭 본체의 길이만큼의 높이를 갖는 공간이 요구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316호(2005.06.30.) "다목적 무대"와 같이, 무대(4)가 설치되는 하부에 일정 깊이 이상의 피트(3; 공간)를 파고, 피트 상에 일정 길이 이상을 갖는 지주(6)를 설치하여 지주 상부에 무대(4)가 결합되며, 지주 하부에 구동박스(5)가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박스의 피니언(8)과 랙의 피트 상에 고정 설치된 랙(7)의 맞물림을 통해 무대가 승하강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무대의 상승 또는 하강 높이가 길수록 지주 및 랙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랙의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하부공간의 천공작업과 같은 시공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증대됨은 물론, 유지보수 시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랙 등의 설치를 위해 무대바닥의 하부공간을 깊게 차지하게 됨으로 인해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을 위한 하부 공간을 낮게 함으로써 적은 인력만으로 무대리프트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도록 무대 스테이지를 승하강시키는 체인기어조립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수직 가이드부와 유선형 가이드부 및 수평 가이드부로 연결되어 구성되도록 하고,
무대 스테이지의 하중이 크더라도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이 원활하며, 작동 시 파손이나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체인기어조립체를 구성하는 체인기어의 연결봉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스프로킷이 치합되는 삽입부로 활용하여 렉스프로킷조립체가 안내부재를 따라 굴절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대 스테이지 하강 시 체인기어조립체가 하강 이동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의 수평 가이드부 상부에 기격 설치되면서 유사'U'자형 가이드부를 통해 연결된 연장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기어조립체의 작동 시, 굴절이 발생하는 유선형 가이드부 또는 유사'U'자형 가이드부에서 체인기어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내부재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체인기어조립체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될 때 해당 부위를 경유하는 체인기어들이 흡사 부채꼴처럼 펼쳐지면서 작동함으로써 체인기어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체인기어조립체가 안내부재에 지지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봉을 통해 결합된 양 외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안내부재의 상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1 롤러들이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체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체인기어조립체가 수평 가이드부 상부에 이격 설치된 연장 가이드부에 동일하게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되면서 좌, 우측 수평 반대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더라도 체인기어조립체가 상시적으로 안내부재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양 외측판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 모서리들 중 일측에 제3 결합공이 구비되어 있는 내측판과, 상기 제3 결합공에 결합되어 안내부재의 하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2 롤러들을 구비한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체인기어를 도입하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되면서 벌어질 때 체인기어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 외측판의 외측 모서리부들에 상기 제2 회전축이 인출입되는 반원홈이 구비되어 있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유선형 가이드부와, 상기 유선형 가이드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가이드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하우징 상측으로 굴절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체인기어가 연결봉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조립되되, 상기 연결봉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프로킷이 치합되는 삽입부로 기능하는 체인기어조립체; 및
상기 체인기어조립체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무대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상기 체인기어는
상기 양 외측판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들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의 하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2 롤러들이 구비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양 외측판은 외측 모서리부들에 상기 제2 회전축이 수용되는 반원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장 가이드부와, 상기 수평 가이드부와 상기 연장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유사 'U'자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상기 체인기어는
한 쌍의 연결봉을 통해 결합되는 양 외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1 롤러들이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무대 스테이지를 승하강시키는 체인기어조립체가 수직 가이드부와, 유선형 가이드부 및 수평 가이드부가 연결된 안내부재를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무대 스테이지 하부의 필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쉬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를 구성하는 체인기어들이 굴절되는 부위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조립되므로 방향 전환이 자유롭고, 동시에 체인기어 조립체를 연결하는 연결봉들 사이의 공간을 스프로킷이 치합되는 삽입부로 활용하여 흡사 체인 스프로킷 방식으로 작동되므로 무대 스테이지의 하중이 크더라도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안내부재가 유사'U'자형 가이드부를 통해 수평 가이드부 상부에 이격되는 연장 가이드부가 연결됨에 따라 체인기어조립체가 지그재그 형태로 굴절되면서 작동되므로 체인기어조립체의 작동 여유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무대 스테이지 하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고, 특히 협소한 공간에도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 되더라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연결봉을 통해 결합된 양 외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안내부재의 상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1 롤러들이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체인기어를 도입하여, 체인기어조립체의 작동 시, 굴절이 발생하는 유선형 가이드부 또는 유사'U'자형 가이드부에서 체인기어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내부재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체인기어조립체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될 때 해당 부위를 경유하는 체인기어들이 흡사 부채꼴처럼 펼쳐지면서 작동함으로써 체인기어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체인기어의 양측에 상, 하로 이격 배열되는 제1, 제2 롤러를 도입하여, 상기 롤러들을 통해 체인기어조립체가 수평 가드부 상부에 이격 설치된 연장 가이드부에 동일하게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되면서 좌, 우측 수평 반대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더라도 체인기어조립체가 상시적으로 안내부재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체인기어를 구성하는 양 외측판의 외측 모서리부들에 상기 제2 회전축이 인출입되는 반원홈을 도입하여, 체인기어조립체가 굴절되면서 벌어질 때 체인기어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종래의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체인기어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체인기어조립체 중 체인기어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체인기어조립체 직립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에서 비상 안전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의 [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특히 하우징(10)이 있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 후를 정하고, 도면에 따라 전방과 좌측, 후방과 우측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는 크게 스프로킷(14)이 설치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설치된 안내부재(20) 및 상기 스프로킷(14)을 통해 작동하여 안내부재(20)를 따라 하우징(10)에서 승하강 작동하여 무대 스테이지(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체인기어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외측으로 절곡된 받침부(11a)를 갖는 양 측면판(11)의 전방에 전면판(미도시)이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11a)에는 승하강되는 무대 스테이지가 설치되는 하부공간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미지칭)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판(11)에는 전면판 및 후술하는 안내부재(20)와 보조 가이드(26)가 볼트 결합되기 위한 볼트공(11b; 도 3의 [A] 참고.)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체인기어조립체(30)의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14)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로킷(14)은 상기 측면판(11)들에 구동축(14a)이 결합되면서 스프로킷 몸체(14b)가 측면판(11) 사이에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스프로킷(14)은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굴절되는 구간 상부 즉, 굴절되는 구간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후술하는 삽입부(320A)에 스프로킷(14)이 치합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의 구동 및 방향 전환을 안내,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프로킷(14)은 일측의 구동축(14a)이 측면판(11)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며, 몸체(14b) 둘레를 따라 외측면에 형성된 톱니부(14c)가 형성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의 삽입부(320A)와 치합됨에 따라 회전 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전, 후 이동(승하강) 작동되면서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밖에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0)은 후술하는 안내부재(20)의 수평 가이드부(23), 유사'U'자형 가이드부(24), 수직 가이드부(21) 등을 감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판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핵심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20)는 수직 가이드부(21)와 유선형 가이드부(22) 및 수평 가이드부(23)가 모두 연결된 일체형 부재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면판(11) 각각의 내측에 한 쌍의 안내부재(20)가 볼트 결합되어 설치된다.
먼저 수직 가이드부(21)는 상기 측면판(11)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로킷(14)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유선형 가이드부(22)는 상기 수직 가이드부(21)의 하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완만한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안내하면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굴절되도록 하고,
수평 가이드부(23)는 상기 유선형 가이드부(22)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면서 체인기어조립체가 무대 스테이지 하부 공간의 하측이 아닌 후방쪽으로 수납(무대 스테이지의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와 달리 승하강 구동을 위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설치 공간을 깊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내부재(20)의 수평 가이드부(23) 후단이 굽어지면서 수평 가이드부(23) 상부에 연장 가이드부(25)가 추가로 연결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납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재(20)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23) 상부에서 측면판(11) 내측에 볼트 결합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안내부재(2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 가이드부(25)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23)의 후단부와 상기 연장 가이드부(25) 후단부가 유사'U'자형 가이드부(24)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일체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안내부재(20)의 각 가이드부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굴절되면서 수납되어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상기 안내부재(2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개구부(13A) 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체인기어(300)가 연결봉(3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조립되며, 이때 상기 연결봉(320)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가 치합되는 삽입부(320A)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로킷(14)과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흡사 체인, 스프로킷 결합 방식을 통해 구동되고,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납 작동(무대 스테이지의 하강)되는 경우 수평 가이드부(23)와, 유사'U'자형 가이드부(24) 및 연장 가이드부(25)를 통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납되는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체인기어조립체(3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 높이의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20)는 상기 연장 가이드부(25)의 전단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유사 'U'자형 가이드와 추가 연장 가이드부를 통해 연결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납되는 길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연장 가이드부(25)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연장 가이드부(25)의 전단은 하우징(10)의 양 측면판(11) 내측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연장 가이드부(25)와 수평 가이드부(23)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5)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체인기어조립체(30)는 굴절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구간, 즉 유선형 가이드부(22)와 유사'U'자형 가이드부(24)에서 체인기어(300)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를 이용한 치합 구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체인기어들의 조립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든지 다양한 구조로 제작, 조립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연결봉(320)을 갖는 다수의 체인기어(300)와, 다수의 체인기어(300)가 벌어지면서 일측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인접한 체인기어(300)의 연결봉(32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링크(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기어(300)는 한 쌍의 연결봉(320)을 통해 결합되는 양 외측판(310)과,
상기 연결봉(320)들 하부 중앙에서 상기 양 외측판(310)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0)의 상면(20A)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1 롤러(341)들이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축(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4, 도5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은 도 2 및 도 3 참고.).
상기 외측판(310)에는 최상부에 한 쌍의 제1 결합공(311)이 구비되어 한 쌍의 연결봉(320)이 각각 결합되어 양 외측판(310)을 연결하며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서로 인접한 체인기어(300)들의 연결봉(320)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인기어(300A)의 제2 연결봉(320b)과, 제2 체인기어(300B)의 제1 연결봉(320a)이 한 쌍의 축공(321a)이 구비된 연결링크(321A)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서 조립되어 연결봉(320)들 사이의 공간이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가 삽입되는 삽입부(320A)로 기능하여 흡사 체인, 스프로킷 결합 방식을 통한 구동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외측판(310)은 상기 제1 결합공(311) 하부 중앙에 제2 결합공(312)이 구비되어 제1 회전축(340)이 양 외측판(310)을 연결하며 결합되고, 양 외측판(3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회전축(340)의 양측 단부에 제1 롤러(341)가 구비된 상태에서 제1 롤러(341)들이 안내부재(20)의 상면(20A)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결합되어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안내부재(20)의 상면(20A)이란 수평 가이드부(23)를 기준으로 상, 하를 구분할 때의 상측 방향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도 3의 [A]를 기준으로 할 때 수직 가이드부(21)의 상면(20A)은 좌측면을 의미하고, 유선형 가이드부(22)의 상면(20A)은 수직 가이드부(21)의 좌측면에서 하측 후방으로 연결되는 좌측 내측을 의미하고, 유사'U'자형 가이드부(24)의 상면(20A)은 유선형 가이드부(22)와 반대로 수평 가이드부(23)의 상면(20A)에서 상측 전방으로 연결되는 우측 내측을 의미하고, 연장 가이드부(25)의 상면(20A)은 유사'U'자형 가이드부(24)의 우측 내측에서 전방으로 연결되는 하면을 의미하고,
안내부재(20)의 하면(20B), 즉 각 가이드부들의 하면(20B)들은 상기한 상면(20A)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하며,
따라서 안내부재(20)의 상, 하면(20A)(20B)으로 구분하는 지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문어적으로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여 구분 지칭하는 것에 불과하고, 실제 상대적으로 상, 하부의 위치 개념과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를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내부재(20)의 굴절 구간(유선형 가이드부(22))에서는 체인기어(300)들의 최상부(내측)만이 연결링크(321A)를 통해 서로 구속된 상태이므로 체인기어조립체(30)의 연결이 단절되지 않으면서 체인기어(300)들의 하부(외측)만이 서로 벌어지게 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체인기어(300)는 양 외측판(310)과 연결봉(320)이 'ㄷ'자 형태로 조립되므로 양 외측판(310) 하부 사이의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측판(310)은 상기 제1 결합공(311)과 동일선 상으로 하부에 제3 결합공(313)이 구비되어, 양 외측판(310)의 제3 결합공(313)에 지지봉(360)이 양 외측판(310)을 연결하며 결합됨으로써, 양 외측판(310)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만으로 체인기어(300) 및 체인기어조립체(30)가 조립될 경우 안내부재(20)의 일반 형태, 즉 수직 가이드부(21)와, 유선형 가이드부(22) 및 수평 가이드부(23)만으로 연결된 안내부재(20)의 경우 안내부재(20)의 굴절 구간(유선형 가이드부(22))에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굴절되면서 이동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나,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의 안내부재(20), 즉 수평 가이드부(23) 후방과 연결된 유사'U'자형 가이드부(24)와 연장 가이드부(25)가 더 연결된 안내부재(2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20)의 상면(20A)의 실제 위치가 반대로 형성되므로(즉, 연장 가이드부(25)와'U'자형 가이드부(24)에서 상면(20A)이 하측을 향하게 되므로) 상기한 구성만으로 이루어진 체인기어(300) 및 체인기어조립체(30)를 도입하게 되면 안내부재(20)의 굴절 구간(유선형 가이드부(22) 및'U'자형 가이드부(24))에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이탈되기 때문에 굴절 이동이 이루지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체인기어조립체(30)가 안내부재(20)를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그재그 형태의 안내부재(20)에도 체인기어조립체(30)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체인기어(300)는 상기 양 외측판(310)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320)들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내측판(330)과,
상기 내측판(330)의 외측 모서리부들 중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20)의 하면(20B)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2 롤러(351)들이 구비되는 제2 회전축(3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판(330)은 상기 양 외측판(310)의 제1 결합공(311)들 및 제2 결합공(312)과 동일한 위치에 제1 대응결합공(331) 및 제2 대응결합공(332)이 각각 구비되어 연결봉(320)들과 제1 회전축(340)이 내측판(330)을 관통하면서 양 외측판(310)에 결합된다.
또 상기 내측판(330)은 상기 제2 대응결합공(332)의 하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도면 상 하측) 모서리부들 중 일측 모서리부에 제4 결합공(333)이 구비되고, 상기 제4 결합공(333)을 관통하여 제2 회전축(350)이 결합되면서 양 외측판(3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회전축(350)의 양측 단부에 제2 롤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제2 롤러(351)들이 안내부재(20)의 하면(20B)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결합되어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인기어조립체(30)는 제1, 제2 롤러(341)(351)에 의하여 안내부재(20)의 상, 하면(20A)(20B)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지그재그 형태의 안내부재(20)가 도입되더라도 안내부재(20)의 실제 상, 하면 위치가 변위되는 구간(연장 가이드부(25), 유선형 가이드부(22) 및'U'자형 가이드부(24))에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안내부재(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로킷(1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 방향에 상관없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상기 내측판(330)은 상기 외측판(310)의 제3 결합공(313)과 동일한 위치에 하측이 개구된 대응결합홈(33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360)이 대응결합홈(334)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내측판(330)에 구멍 형태의 결합공이 아닌 대응결합홈(334)을 구비한 이유는 체인기어조립체(30) 조립 시 양 외측판(310)과 내측판(330)으로 구성되는 체인기어(300)를 지지봉(360)만을 이용하여 먼저 선(先)결합한 후 연결봉(320)들과 연결링크(321)들을 결합하여 완성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은 제2 회전축(350) 및 제2 롤러(351)가 외측판(310) 외측으로 돌출되어야 하고, 또 안내부재(20)의 굴절 구간이 아닌 구간, 특히 수직 가이드부(21)를 통과하여 하우징(10) 상부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승될 때 인접한 체인기어(300)의 외측판(310)들이 서로 접하면서 지지되어야 하는데,
상기 내측판(330)과 외측판(310)이 모두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경우 제2 회전축(350)이 인접한 체인기어(300)의 외측판(310)들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판(310)들이 서로 접하면서 지지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체인기어조립체(3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상기 외측판(310)은 외측 모서리부들에 상기 제2 회전축(350)이 수용되는 반원홈(314)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판(310)에서 상기 제2 회전축(350)이 통과되는 방향의 외측 모서리부에 구비된 제1 반원홈(314A)에는 제2 회전축(350)이 해당 체인기어(300)의 제1 반원홈(314A)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며, 다른 외측 모서리부(즉, 반대 방향)의 제2 반원홈(314A)에는 인접한 다른 체인기어(300)의 제2 회전축(350)이 인출입되면서 수용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즉, 안내부재(20)가 굴절되지 않은 구간에서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체인기어(300)의 제2 회전축(350)이 인접한 다른 체인기어(300)와, 반원홈(314)들로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체인기어(300)들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이동, 지지되고,
안내부재(20)의 굴절 구간에서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는 체인기어(300)들이 일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체인기어(300)의 제2 회전축(350)이 인접한 다른 체인기어(300)의 반원홈(314)에서 이탈된 상태로 이동, 지지된다.
상기 반원홈(314)에 삽입되는 제2 회전축(350)의 구성은 체인기어(300)들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승 이동되어 하우징(10)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무대 스테이지가 상승된 상태에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판(330) 역시 외측판(310)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한 체인기어(300)들의 내측판(330)들끼리 서로 접하거나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내측판(330)은 상기 제4 결합공(333)이 구비된 외측 모서리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335)와, 상기 돌출부(335) 반대편 외측 모서리부 일부가 절개되어 인접한 다른 내측판(330)의 돌출부(335)가 수용되는 절개부(3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외측판(310)과 달리 내측판(330)에 제2 회전축(350)이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인접한 내측판(330)에 반원홈(314)을 도입하기 어려운 것에 기인한 것으로, 제2 회전축(350)이 돌출부(335)에 구비됨에 따라 제1, 제2 회전축(340)(350), 즉 제1, 제2 롤러(341)(351)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안내부재(20)의 상, 하면(20A)(20B)에서 롤러들이 지지될 때 더욱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기어(300)에 내측판(330)이 배치되는 구성은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를 다열 배치시켜 스프로킷(14)과 체인기어조립체(30) 간의 치합되는 체결력을 향상시켜 체인기어조립체(30)의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체인기어(300)는 양 외측판(310) 사이에 하나 이상의 내측판(330)이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한 쌍의 내측판(33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봉(320)들 사이의 삽입부(320A)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화함으로써,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를 구획화된 삽입부(320A)의 수만큼 다열 배치시켜 스프로킷(14)과 체인기어조립체(30)와의 치합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14)의 톱니부(14c)가 3열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한 쌍의 내측판(330)을 양 외측판(310) 사이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연결봉(320)들 사이의 삽입부(320A)가 구획화되도록 함으로써 3열의 톱니부(14c)가 구획화된 삽입부(320A)에 각각 치합되면서 회전하여 체인기어조립체(30)의 구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 체인기어(300)들 상호간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체인기어(300)는 내측판(330) 양측에 연결봉(3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링크(321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당 연결링크(321A)가 인접한 다른 체인기어(300)의 연결봉(3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축공(321a)이 구비된 연결링크(321A)가 체인기어(300)의 외측판(310) 내측에서만이 아니라, 내측판(330)의 양측에서도 다른 체인기어(300)의 연결봉(320)과 연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인기어조립체(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320)은 제1 결합공(311) 및 제1 대응결합공(33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핀(322)과, 상기 축핀(322)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간격유지구(32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내측판(330) 및 연결링크(321A)가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축핀(322)보다 직경이 큰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간격유지구(323)를 직경이 작은 축핀(322)에 결합시키게 되면 간격유지구(323)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 내측판(330)과 연결링크(321A)가 삽입, 결합되도록 체인기어(300)를 조립하게 되면, 내측판(330)이 축핀(322)(즉, 연결봉(320))을 따라 좌우 위치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고정되고, 또 연결링크(321A)는 다른 체인기어(300)의 축핀(322)에 연결되므로 인접한 체인기어(300)들 상호간에 내측판(330)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다열 톱니부(14c)를 갖는 스프로킷(14)의 치합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져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체인기어(3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축핀(322)은 일측 단부가 연결링크(321)로 고정(예를 들어 두 개의 축핀(322) 각각의 일측 단부가 하나의 연결링크(321)에 리벳 등의 방식으로 고정, 결합된 형태)된 링크부재(미지칭)로 구성하고, 이 링크부재가 외측판(310) 등을 관통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링크(321)를 링크부재의 연결되지 않은 축핀(322) 각각의 타측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핀(미지칭)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체인기어(300)의 조립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기어(30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체인과 같은 형태로 조립되면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완성되는데, 이때 최상부의 체인기어(300)는 상부에 무대 스테이지가 결합되면서 지지되어야 하므로 상단부(외측판(310)만을 기준으로 할 때 우측면 방향)에 외측판(310)들과 내측판(330)들 모두와 연결된 받침 프레임(31)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 상기 제2 롤러(351)를 통한 안내,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측면판(11) 내측 전방, 즉 수직 가이드부(21) 전방에는 롤러의 직경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26)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 상승될 때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무대 스테이지(미도시)의 네 군데 모서리측에 설치하여 받침 프레임(31)과 무대 스테이지를 결합시킨 후에는 모터와 밸트 풀리 등을 이용한 통상의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스프로킷(14)이 회전됨에 따라 톱니부(14c)의 치합으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이동되면서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구동수단에 의하여 스프로킷(1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봉(320)들 사이의 삽입부(320A)에 치합된 톱니부(14c)에 의하여 연결봉(320)들이 밀리면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측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체인기어조립체(3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체인기어(300)의 최상부에 구비된 연결봉(320)을 통해 인접한 체인기어(300)들이 연결링크(321)로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1, 제2 롤러(341)(351)가 안내부재(20)의 상, 하면(20A)(20B)에 지지되면서 안내 이동될 때, 굴절 구간에서 체인기어(300)들이 일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체인기어조립체(30)가 굴절되는 구간에서도 연결봉(320)과 연결링크(321)에 의해 서로 결합된 체인기어(300)들이 끊김없이 부드럽게 굴절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체인기어조립체(30)의 승강 운동 중에는 하우징(10)의 측면판(11)에 구비된 수직 가이드부(21)의 상, 하면(20A)(20B)(도면 상, 양측면)에 제1, 제2 롤러(341)(351)가 지지되면서 상승하게 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체인기어(300)들이 벌어진 후 다시 접하면서 상승될 때에도 체인기어조립체(30)의 접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체인기어조립체(30)가 하우징(10) 상부로 상승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체인기어(300)들은 무대 스테이지의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체인기어조립체(3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내부재(20)에서 이탈된 체인기어(300)들이 접히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특히 제2 회전축(350)이 외측판(310)의 반원홈(314)에 모두 삽입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므로 제2 회전축(350)이 반원홈(314)에 걸리면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하여 체인기어(300)들이 접히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안내부재(20)를 따라 이동되는 체인기어조립체(30)의 체인기어(300)들은 제1, 제2 롤러(341)(351)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14)이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기한 상승 동작과 반대로 동작되면서 승강 스테이지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대 스테이지가 상승 완료되었을 때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되면서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는 비상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기어조립체 직립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기어조립체(30)는 무대 스테이지의 하중에 의하여 가압되어 접히는 것이 1차 적으로 방지되나, 무대 공연 중 돌발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만에 하나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는 비상 상황이 발생할 여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하나 또는 두 개 만을 사용하여 소형 무대 스테이지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 역시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 하중 쏠림으로 인한 체인기어조립체(30)의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안전 상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의 직립수단(40)으로써, 상기 하우징(10)에 중첩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와 동반하여 슬라이딩 승하강되는 복수개의 직립 프레임(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체인기어조립체(30)가 하강 완료된 상태 및 상승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직립수단으로써 대표적으로 세 개의 직립 프레임(41)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직립 프레임(41)들은 전,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중첩 설치되며, 각 직립 프레임(41)은 서로 접하는 면 또는 양측 단부 등에 수직 가이드수단(미도시)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직립 프레임(41)들이 수직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수직 가이드수단은 대표적으로 각 직립 프레임(41A)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이 구비되고, 해당 직립 프레임의 전면에 접하는 다른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속, 결합된 가이드돌기의 형태가 있고, 이밖에 서로 중첩 배치된 프레임들이 일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타방향으로 접히면서 이동 개폐되는 방식의 가이드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직립 프레임(41)들 중 어느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인기어조립체(30)와 접하는 직립 프레임(41A)이 상기 받침 프레임(31) 또는 최상부 체인기어(300H)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어 체인기어조립체(30)의 승하강에 동반하여 상기 직립 프레임들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대 스테이지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직립 프레임(41)들이 가이드수단에 구속되어 접힐 수 없는 구조이므로, 혹시 모를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직립수단(40)이 체인기어조립체(30)의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잡아주어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접히면서 무대 스테이지가 낙하,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의 일부 파손, 또는 스프로킷(14)의 파손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의도치 않게 하강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 수단(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 방지 수단(42)은 상기 직립 프레임(41)들 중 최상부 직립 프레임(41A)의 전면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걸림홈(43a)을 형성하는 다수의 걸림돌기(43)와,
무대 스테이지의 하부 공간상에 설치되어 무대 스테이지가 상승 완료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43a)에 걸리도록 작동하는 스토퍼(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최상부 직립 프레임(41A)의 전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43)가 하향 돌출되어 걸림돌기(43)들 사이에 걸림홈(43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4)는 상기 무대 스테이지의 하부 공간상에, 즉, 하부 공간을 형성하는 지반(미도시)의 상부 일측 또는 지반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미도시)의 상부 일측 또는 승하강되는 무대 스테이지와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된 무대 스테이지(미도시) 하부 등과 같이, 체인기어조립체(30) 중 최상부 체인기어(300H)가 상승 완료 되었을 때 상응 하는 높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44)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지의 래칫 기어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정상적으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승하강될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홈(43a)에 걸리지 않도록 하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승 완료된 경우에만 스토퍼(44)가 작동하여 상기 걸림홈(43a)으로 삽입되어 걸리면서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43)가 스토퍼(44)에 고정, 지지됨에 따라 비상 상황 발생 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의도치 않게 하강되면서 무대 스테이지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4)는 상기 걸림홈(43a)에 삽입되는 걸림부(44a)와, 상기 걸림부(44a)와 연결되며 무대 스테이지의 하부 공간상에서 회동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힌지 결합부(44b)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44)를 작동시키는 와이어부재(W)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부재(W)를 잡아당겨 상기 스토퍼(44)의 걸림부(44a)가 상기 걸림홈(43a)에 삽입되도록 작동시키고, 고정장치(미도시)를 통해 와이어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3)가 스토퍼(44)에 고정, 지지됨에 따라 비상 상황 발생 시 체인기어조립체(30)가 의도치 않게 하강되면서 무대 스테이지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인기어조립체(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특히, 체인기어조립체(30)가 하강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44)가 상기 걸림홈(43a)에 체결되면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이지 않으므로, 상기 스토퍼(44)는 힌지 결합부(44b)에 상기 걸림부(44a)가 상기 걸림홈(43a)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와이어부재(W)를 고정시킨 않은 상태에서 상시적으로 걸림부(44a)가 걸림홈(43a)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체인기어조립체(30)의 승하강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술한 직립수단(40)에 추락 방지 수단(42)이 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직립수단(4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인기어조립체(30)에 추락 방지 수단(42)이 채용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도시되지 않았으나, 최상부 체인기어(300A)의 외측판(310) 또는 내측판(330) 또는 이들 모두의 전면 측단부에 상기한 걸림돌기들이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를 통한 추락 방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측면판
20 : 안내부재 21 : 수직 가이드부
22 : 유선형 가이드부 23 : 수평 가이드부
24 : 유사'U'자형 가이드부 25 : 연장 가이드부
26 : 보조 가이드부
30 : 체인기어조립체 300 : 체인기어
310 : 외측판 320 : 연결봉
330 : 내측판 340 : 제1 회전축
341 : 제1 롤러 350 : 제2 회전축
351 : 제2 롤러 360 : 지지봉
40 : 체인기어조립체의 직립수단 41 : 직립 프레임
42 : 추락 방지 수단 43 : 걸림돌기
44 : 스토퍼

Claims (4)

  1.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수직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유선형 가이드부와, 상기 유선형 가이드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가이드부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하우징 상측으로 굴절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체인기어가 연결봉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조립되되, 상기 연결봉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프로킷이 치합되는 삽입부로 기능하는 체인기어조립체; 및
    상기 체인기어조립체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무대가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인기어는
    한 쌍의 연결봉을 통해 결합되는 양 외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1 롤러들이 결합되어 있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인기어는
    상기 양 외측판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들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과 상기 양 외측판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상기 안내부재의 하면에 지지되어 안내하는 제2 롤러들이 구비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양 외측판은 외측 모서리부들에 상기 제2 회전축이 수용되는 반원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기어는 지지봉이 양 외측판을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내측판은 하측이 개구된 대응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이 상기 대응결합홈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외측 모서리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이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반대편 외측 모서리부 일부가 절개되어 인접한 다른 내측판의 돌출부가 수용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장 가이드부와, 상기 수평 가이드부와 상기 연장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유사 'U'자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20140081929A 2014-07-01 2014-07-01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147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29A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07-01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29A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07-01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355B1 true KR101470355B1 (ko) 2014-12-08

Family

ID=5267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29A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07-01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3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90B1 (ko) * 2016-10-06 2018-02-12 김영문 체인리프트
CN108086724A (zh) * 2017-12-18 2018-05-29 方特欢乐世界(芜湖)经营管理有限公司 一种双舞台人员输送装置
KR20200073036A (ko) 2018-12-13 2020-06-23 이종묵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5B1 (ko) 2019-04-26 2020-08-24 이종묵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299795B1 (ko) 2021-06-07 2021-09-08 이종묵 포켓형 직립체인과 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N114319952A (zh) * 2022-01-11 2022-04-12 济南民发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舞台展示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39Y1 (ko) * 2004-02-11 2004-04-30 (주)티이앤씨 무대 와곤 이동장치
KR100956073B1 (ko) * 2010-01-18 2010-05-07 주식회사 케이에스엔텍 무대리프트의 구동장치
KR101047966B1 (ko) *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1075827B1 (ko) * 2010-11-05 2011-10-2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요동방지 멀티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39Y1 (ko) * 2004-02-11 2004-04-30 (주)티이앤씨 무대 와곤 이동장치
KR100956073B1 (ko) * 2010-01-18 2010-05-07 주식회사 케이에스엔텍 무대리프트의 구동장치
KR101075827B1 (ko) * 2010-11-05 2011-10-2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요동방지 멀티무대장치
KR101047966B1 (ko) *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90B1 (ko) * 2016-10-06 2018-02-12 김영문 체인리프트
CN108086724A (zh) * 2017-12-18 2018-05-29 方特欢乐世界(芜湖)经营管理有限公司 一种双舞台人员输送装置
CN108086724B (zh) * 2017-12-18 2023-12-22 华强方特(芜湖)文化产业有限公司 一种双舞台人员输送装置
KR20200073036A (ko) 2018-12-13 2020-06-23 이종묵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3B1 (ko) 2018-12-13 2020-08-24 이종묵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5B1 (ko) 2019-04-26 2020-08-24 이종묵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299795B1 (ko) 2021-06-07 2021-09-08 이종묵 포켓형 직립체인과 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N114319952A (zh) * 2022-01-11 2022-04-12 济南民发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舞台展示台
CN114319952B (zh) * 2022-01-11 2023-11-24 济南民发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旋转式舞台展示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55B1 (ko)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JP506742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6532311B2 (ja) ホーム柵
CN206554721U (zh) 门框用连接件及其应用的淋浴房门
JP3172713B2 (ja) 伸縮体
JP3957484B2 (ja) 先行手摺の支持装置
CN110485252A (zh) 一种水上施工平台
JP2007185236A (ja) キャビネット
JP2006233504A (ja) 手摺部材、仮設部材、及び、仮設部材の組立方法
CN215714876U (zh) 一种市政公路护栏的拼接紧固装置
CN103781984A (zh) 窗户用防坠装置
KR101503428B1 (ko) 가동형 그물망 휀스
JP4844132B2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JP6364233B2 (ja) 可動柵
JP5673958B2 (ja) エレベータ
KR101805822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
JPH07331926A (ja) 伸縮支柱の落下防止機構
CN216354934U (zh) 一种排插安全门
JP2007276916A (ja) 複数同調型リフター
JP5936593B2 (ja) エレベータピット昇降用梯子
JP2007120296A (ja) 垂直循環式駐車装置の改造方法
KR200409863Y1 (ko) 게시탑
JP2008050843A (ja) ブラインド
CN214422050U (zh) 可伸缩式电梯井施工操作平台
JP4319900B2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