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390B1 - 체인리프트 - Google Patents

체인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390B1
KR101828390B1 KR1020160129303A KR20160129303A KR101828390B1 KR 101828390 B1 KR101828390 B1 KR 101828390B1 KR 1020160129303 A KR1020160129303 A KR 1020160129303A KR 20160129303 A KR20160129303 A KR 20160129303A KR 101828390 B1 KR101828390 B1 KR 10182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atchet gear
ratchet
housing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문 filed Critical 김영문
Priority to KR102016012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08Devices for directly stopping or interrupting the drive or gear in case of danger to the machine, e.g. devices with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승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이 고장 나는 경우에도 갑자기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체인리프트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체인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체인리프트(100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1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1200)과,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하우징(1300)과, 상기 몸체에 끼워져 스프로킷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됨과 더불어 스프로킷에 의해 체인하우징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되는 한편, 고리(1410)와 고리로 연결된 체인블럭(14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된 체인(1400)과, 상기 체인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체나 대차 또는 실린더를 밀어올리도록 된 브라켓(1500)과, 상기 체인하우징의 하부에 체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설치된 래칫기어(1600)와,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을 따라 래칫기어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신호를 받아 상기 래칫기어에 선택적으로 걸려 후방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브라켓이 갑자기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신호를 받아 래칫기어에서 이탈되어 체인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안전유니트(1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리프트{Chain lift}
본 발명은 중량체를 상승시키는 리프트(Lifter)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생산라인 등과 같은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중량체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조립공정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체인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장 등의 생산라인에서 공정간에 이송되는 파레트상에 설치되어 중량체를 승,하강시키면서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레트에 중량체의 물품(조립중인 자동차)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리프트 또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체인 리프트가 있지만, 현재의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공압 또는 유압 리프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공장 등에서 공정간에 이송되는 팔레트상에 유압 리프트를 설치하여 중량체의 물품을 승,하강시키면서 부품을 조립할 경우에는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전체적인 설비 측면에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동작시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었으므로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작업환경상 많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었으므로 인해 기름이 유출될 경우 작업환경을 해치게 됨은 물론 유압장비에 무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압식 리프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정간에 고가의 공압라인을 설치하여야 되는 폐단이 있었음은 물론 공압이 누설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수반된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공개 제1998-083482호로 "체인리프트"가 공지되어 있는바,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상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하판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판에 고정된 가이
드레일과, 상기 체인의 각 유니트 일단에 연결되어 체인의 꺽임현상을 방지하는 체인블럭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설치되어 체인블럭의 꺽임 반대방향으로 체인블럭에 외력을 가하는 체인블럭 꺽임방지수단과, 상기 상판의 상,하사점을 감지하여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따른 기계적인 동작으로 상판을 승,하강시키게 되므로
승,하강에 따른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부품 조립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먼지 등이 많이 발생되더라도 리프트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인리프트는 구동수단인 모터의 파손에 따라 체인이 갑자기 하강하여 상판에 올려진 제품이 떨어져 파손되는 한편, 리프트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공개 제1998-083482호로 "체인리프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이 고장 나는 경우에도 갑자기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체인리프트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체인리프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체인리프트는,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과,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하우징과, 상기 몸체에 끼워져 스프로킷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됨과 더불어 스프로킷에 의해 체인하우징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되는 한편, 고리와 고리로 연결된 체인블럭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된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체나 대차 또는 실린더를 밀어올리도록 된 브라켓과, 상기 체인하우징의 하부에 체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설치된 래칫기어와,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을 따라 래칫기어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신호를 받아 상기 래칫기어에 선택적으로 걸려 후방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브라켓이 갑자기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신호를 받아 래칫기어에서 이탈되어 체인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안전유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리프트는, 상기 체인하우징은, 상기 래칫기어를 좌우측 하부에서 고정하는 래칫기어고정판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과 래칫기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단부를 고정하는 블록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체인의 고리를 래칫기어고정판과 함께 안내하도록 된 체인안내판과, 상기 몸체에 래칫기어고정판과 체인안내판을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과 체인안내판을 바닥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리프트는, 상기 안전유니트는, 상기 체인과 함께 체인하우징을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과, 상기 상부브라켓에 고정된 센서고정브라켓과, 상기 체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래칫기어에 걸리도록 된 래칫과, 상기 센서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캠에 의해 래칫이 래칫기어에서 들어올려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리프트는,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면에는 회전체가 돌출되도록 더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의 내측면과 구름 마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리프트는, 상기 래칫이 상부에는 캠과 회전마찰이 잘 이루어지도록 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리프트에 의하면, 차체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이 고장 나는 경우에도 체인이 체인하우징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안전유니트에 의해 갑자기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체인리프트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체인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1의 체인리프트를 구성하는 안전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의 평면도,
도 12는 도 8의 저면도,
도 13은 도 8의 저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안전유니트를 구성하는 래칫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체인리프트가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리프트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인리프트(1000)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1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1200)과,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하우징(1300)과, 상기 몸체(1100)에 끼워져 스프로킷(120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됨과 더불어 스프로킷(1200)에 의해 체인하우징(1300)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되는 한편, 고리(1410)와 고리로 연결된 체인블럭(14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된 체인(1400)과, 상기 체인(140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체나 대차 또는 실린더를 밀어올리도록 된 브라켓(1500)과, 상기 체인하우징의 하부에 체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설치된 래칫기어(1600)와,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1300)을 따라 래칫기어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신호를 받아 상기 래칫기어(1600)에 선택적으로 걸려 후방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브라켓(1500)이 갑자기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신호를 받아 래칫기어에서 이탈되어 체인(140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안전유니트(170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프로킷(1200)가 회전하여 체인(1400)의 체인블럭(1420)이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상기 브라켓(1500)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안전유니트(1700)는 체인하우징(1300)의 안내를 받아 래칫기어(1600)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110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스프로킷(120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안전유니트(1700)가 래칫기어(1600)에 걸려서 체인(1400)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0)는 좌,우측몸체(1110,1120)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체결되면서 스프로킷(12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좌,우측몸체(1110,1120)의 사이에는 체인(1400)을 가이드하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블록(11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1400)이 상부로 이동할 때와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블록(1130)에 의해 체인(1400)이 안내되게 된다.
상기 스프로킷(1200)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1100)를 구성하는 좌,우측몸체(1110,1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 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단수단의 회전축이 키이(1210) 결합으로 조립되어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하우징(1300)은, 상기 래칫기어(1600)를 좌우측 하부에서 고정하는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이 래칫기어고정판과 래칫기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132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단부를 고정하는 블록(133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체인(1400)의 고리(1410)를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함께 안내하도록 된 체인안내판(1340)과, 상기 몸체(1100)에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체인안내판(1340)을 고정하는 고정판(135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체인안내판(1340)을 바닥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3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유니트(1700)가 체인하우징(1300)의 안내를 받으면서 래칫기어(1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래칫기어(1600)에 걸려서 체인(1400)이 갑자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1400)은, 공지의 기술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0)에 끼워져 스프로킷(120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됨과 더불어 스프로킷(1200)에 의해 체인하우징(1300)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되는 한편, 다수개의 고리(1410)와 고리로 연결된 복수개의 체인블럭(14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싱기 체인블럭(1420)의 외측면으로 상기 고리(1410)와 고리(1410)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14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안전유니트(1700)는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체인(1400)과 함께 체인하우징(1300)을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블록(1710)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브라켓(1720)과,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730)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1740)과, 상기 상부브라켓에 고정된 센서고정브라켓(1750)과, 상기 체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래칫기어(1600)에 걸리도록 된 래칫(1760)과, 상기 센서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캠에 의해 래칫이 래칫기어에서 들어올려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177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인(1400)가 상승할 때에는 안전유니트(1700)의 래칫(1760)이 체인과 함께 래칫기어(1600)의 상부로 끌려가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체인(1400)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면 래칫(1760)이 래칫기어(1600)에 걸려서 체인(1400)이 하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작업중 안전사고가 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1500)가 하강할 때에는 상기 모터(1730)에 하강신호를 주게 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조립된 캠(1740)이 회전하면서 래칫(1760)이 래칫기어(1600)에서 빠져나오도록 하여 체인이 하강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1770)에 의해 래칫(1760)이 회전한 것을 확인한 후에 하강하도록 신호를 스프로킷(1200)을 회전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 보내게 된다.
또 상기 이동블록(1710)의 양측면에는 회전체(1780)가 돌출되도록 더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1300)의 내측면과 구름 마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록(1710)이 회전체(1780)에 의해 체인하우징(1300)의 체인안내판(1340)에 구름 마찰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1760)이 상부에는 캠(1740)과 회전마찰이 잘 이루어지도록 베어링(176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캠(1740)이 회전할 때 베어링(1761)과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래칫(1760)을 회동시켜 래칫기어(1600)에서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체인리프트
1100: 몸체 1110: 좌측몸체
1120: 우측몸체 1130: 가이드블록
1200: 스프로킷 1210: 키이
1300: 체인하우징 1310: 래칫기어고정판
1320: 체결수단 1330: 블록
1340: 체인안내판 1350: 고정판
1360: 고정브라켓 1400: 체인
1410: 고리 1420: 체인블럭
1430: 링크(체인링크) 1500: 브라켓
1600: 래칫기어 1700: 안전유니트
1710: 이동블록 1720: 상부브라켓
1730: 모터 1740: 캠
1750: 센서고정브라켓 1760: 래칫
1770: 센서 1780: 회전체

Claims (5)

  1.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1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1200)과,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하우징(1300)과,
    상기 몸체(1100)에 끼워져 스프로킷(120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됨과 더불어 스프로킷(1200)에 의해 체인하우징(1300)의 단부로 이동하도록 되는 한편, 고리(1410)와 고리로 연결된 체인블럭(14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된 체인(1400)과,
    상기 체인(140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체나 대차 또는 실린더를 밀어올리도록 된 브라켓(1500)과,
    상기 체인하우징의 하부에 체인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설치된 래칫기어(1600)와,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1300)을 따라 래칫기어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신호를 받아 상기 래칫기어(1600)에 선택적으로 걸려 후방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브라켓(1500)이 갑자기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신호를 받아 래칫기어에서 이탈되어 체인(140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인(1400)과 함께 체인하우징(1300)을 따라 동기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블록(1710)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브라켓(1720)과, 상기 상부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730)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돌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1740)과, 상기 상부브라켓에 고정된 센서고정브라켓(1750)과, 상기 체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래칫기어(1600)에 걸리도록 된 래칫(1760)과, 상기 센서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상부브라켓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캠에 의해 래칫이 래칫기어에서 들어올려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1770)로 이루어진 안전유니트(1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하우징(1300)은,
    상기 래칫기어(1600)를 좌우측 하부에서 고정하는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과 래칫기어를 고정하는 체결수단(132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단부를 고정하는 블록(133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체인(1400)의 고리(1410)를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함께 안내하도록 된 체인안내판(1340)과,
    상기 몸체(1100)에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체인안내판(1340)을 고정하는 고정판(1350)과,
    상기 래칫기어고정판(1310)과 체인안내판(1340)을 바닥의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3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리프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1710)의 양측면에는 회전체(1780)가 돌출되도록 더 설치되어, 상기 체인하우징(1300)의 내측면과 구름 마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1760)이 상부에는 캠(1740)과 회전마찰이 잘 이루어지도록 베어링(176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리프트.
KR1020160129303A 2016-10-06 2016-10-06 체인리프트 KR10182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303A KR101828390B1 (ko) 2016-10-06 2016-10-06 체인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303A KR101828390B1 (ko) 2016-10-06 2016-10-06 체인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390B1 true KR101828390B1 (ko) 2018-02-12

Family

ID=6122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03A KR101828390B1 (ko) 2016-10-06 2016-10-06 체인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3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7332A (ja) 2011-09-07 2013-03-28 Sr Engineering Co Ltd チェーンの繰り出し装置
KR101470355B1 (ko) *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1542166B1 (ko) 2011-02-10 2015-08-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66B1 (ko) 2011-02-10 2015-08-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JP2013057332A (ja) 2011-09-07 2013-03-28 Sr Engineering Co Ltd チェーンの繰り出し装置
KR101470355B1 (ko) *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150B1 (ko) 드롭 리프트 장치
CN209396820U (zh) 一种防坠的建筑材料提升设备
JP2019031367A (ja) 昇降自在なワーク支持装置
KR101828390B1 (ko) 체인리프트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610928B1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106044622A (zh) 一种升降装置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US9347603B2 (en) Counterweight hoisting apparatus
KR20150019638A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솔리드형 타이어 조립장치
KR200482885Y1 (ko) 수직형 모터의 부품 분해,조립 작업용 리프팅 거치대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N204549435U (zh) 自动上料机
US3534868A (en) Lifting equipment
KR102051601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이송시스템
KR20170109776A (ko) 자동차 부품 조립라인용 박스형 리프트 장치
CN110665976B (zh) 一种钢坯提升机
KR100579288B1 (ko) 드롭 리프트 시스템의 어저스트 아암 장치
KR102051602B1 (ko) 어큐물레이터를 활용한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작동시스템
JP7049099B2 (ja) ピットの床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車両用リフト装置
CN114803852A (zh) 一种无动力屏蔽吊运装置
TW201924993A (zh)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JP5562205B2 (ja) ブラダーへのクランプリング装着方法および装置
JP4804013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トップシーブユニット
KR101569615B1 (ko) 금형 회전기능을 갖는 성형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