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35B1 -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35B1
KR102147335B1 KR1020190049334A KR20190049334A KR102147335B1 KR 102147335 B1 KR102147335 B1 KR 102147335B1 KR 1020190049334 A KR1020190049334 A KR 1020190049334A KR 20190049334 A KR20190049334 A KR 20190049334A KR 102147335 B1 KR102147335 B1 KR 10214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support plates
ch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묵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이종묵
이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묵, 이정은 filed Critical 이종묵
Priority to KR102019004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B66F13/005Thrust chai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치합식 직립체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직립체인과, 제1 체인유닛과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수직으로 직립할 때 일 측이 제1 직립체인과 치합되는 제2 직립체인을 포함하고, 제1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메인구동축과,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이 형성되며, 제2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메인구동축과,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Description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Uplight chain and lif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여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장치는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킬 때 사용되며, 유압실린더나 시저 리프트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다. 유압실린더 방식은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로 물체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유압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유발되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높은 곳까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다단 실린더를 사용해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여 고소(高所)로 물체를 들어올리기에 용이하지 않다. 또한, 시저 리프트 방식은 물체의 수직 상승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리프트의 링크 수가 증가하게 되며, 링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프트의 기본 높이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낮은 곳에서 시작하여 높은 곳까지 도달하는 리프트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으며, 링크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상승 높이는 증가하게 되나 리프트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유연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직립으로 세워 수직력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의 체인 및 이러한 체인을 적용한 리프트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체인은 직립 구동을 위해 일 측에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해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조 및 수납이 용이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체인, 및 이러한 체인이 적용된 리프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70355호 (2014. 12.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여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치합식 직립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여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치합식 직립체인을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1 체인유닛과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수직으로 직립할 때 일 측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치합되는 제2 직립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메인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메인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이 서로 맞물린다.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1 요철면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1 서브구동축이 관통하는 제1 확장편, 및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또는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이 관통하는 제1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이 관통하는 제2 확장편,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2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며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또는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이 관통하는 제2 연결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연결편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연결편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서로 맞물리고,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와,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합식 직립체인은,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1 서브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을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는, 하우징과,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수납되는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1 체인유닛과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수납되는 제2 직립체인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치합되는 치합식 직립체인과,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의 끝단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제1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제2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메인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메인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이 서로 맞물린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구동축, 상기 제1 서브구동축, 상기 제2 메인구동축, 및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은 양단에 각각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구동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일 측이 상기 하우징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가이드박스, 및 일 측이 상기 제1 가이드박스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일 측이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각각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스프로킷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동축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한 쌍의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각각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개재되고, 한 쌍의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각각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동시에,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리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어긋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빗면 결합을 하므로, 중량 중심이 어느 일 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빗면이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치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빗면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가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각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용이하게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제1 직립체인의 제1 링크유닛과 제2 직립체인의 제2 링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링크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링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링크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직립체인의 수직 상승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맞물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은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각각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스프로킷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동축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한 쌍의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각각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개재되고, 한 쌍의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각각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가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동시에,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리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어긋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빗면 결합을 하므로, 중량 중심이 어느 일 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빗면이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치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빗면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가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각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용이하게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치합식 직립체인(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제1 직립체인의 제1 링크유닛과 제2 직립체인의 제2 링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링크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링크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제1 링크유닛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1)은 제1 직립체인(10)과, 수직으로 직립할 때 일 측이 제1 직립체인(10)과 치합되는 제2 직립체인(20)을 포함한다.
제1 직립체인(10)은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10a)이 일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체인 형태를 이루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와,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과,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과, 제1 메인구동축(17), 및 제1 서브구동축(18)을 포함한다.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가 삽입된다.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는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는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사이에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가 삽입된다.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와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은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에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에 직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 부재를 통해 간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은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은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에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에 직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 부재를 통해 간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제1 메인구동축(1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메인구동축(17)은 제1 스프로킷(6)에 맞물리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로킷(6)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1 메인구동축(17)이 맞물림에 따라 제1 직립체인(10)이 이동하는 것이다.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메인구동축(17)의 양단에는 각각, 제1 체인유닛(1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구동롤러(19)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인접한 제1 체인유닛(10a)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인접한 제1 체인유닛(10a)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제1 서브구동축(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서브구동축(18)은 제1 메인구동축(17)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스프로킷(6)에 맞물리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인접한 제1 체인유닛(10a)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인접한 제1 체인유닛(10a)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로킷(6)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1 메인구동축(17)과 제1 서브구동축(18)이 차례로 맞물림에 따라 제1 직립체인(10)이 이동하는 것이다.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서브구동축(18)의 양단에는 각각, 제1 체인유닛(1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구동롤러(19)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A1)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B1)이 형성되며, 제1 지지편(11a)과, 제1 확장편(11b), 및 제1 연결편(11c)을 포함한다.
제1 지지편(11a)은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일 측을 이루는 것으로, 일 측에 제1 경사면(A1)이 형성되고, 타 측에 제1 요철면(B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A1)은 제1 직립체인(1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연결편(11c)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확장편(11b)은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타 측을 이루는 것으로, 제1 지지편(11a)보다 너비가 확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편(11b)은 제1 지지편(11a)과 대향되는 타 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제1 메인구동축(17)과 제1 서브구동축(18)이 관통할 수 있다. 제1 지지편(11a)과 제1 확장편(11b)은 제1 연결편(11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편(11c)은 일 측이 제1 지지편(11a)에 결합되고 타 측이 제1 확장편(11b)에 연결되어 제1 지지편(11a)과 제1 확장편(11b)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 확장편(11b)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태,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편(11c)은 제1 지지편(11a)의 제1 경사면(A1)과 연결되는 일 측이 목(neck)의 형상과 같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 또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이 관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지지편(11a)과 제1 확장편(11b), 및 제1 연결편(11c)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지지편(11a)과 제1 확장편(11b), 및 제1 연결편(11c)은 서로 일체 구조로써,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제2 직립체인(20)은 제1 체인유닛(10a)과 상하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20a)이 일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체인 형태를 이루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와,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25)과,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26)과, 제2 메인구동축(27), 및 제2 서브구동축(28)을 포함한다.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사이에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가 삽입된다.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는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는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사이에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가 삽입된다.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는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사이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와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25)에 의해 결합된다.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25)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25)은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에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에 직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 부재를 통해 간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다.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26)에 의해 결합된다.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26)은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26)은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에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에 직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 부재를 통해 간접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는 제2 메인구동축(2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메인구동축(27)은 제2 스프로킷(7)에 맞물리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스프로킷(7)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2 메인구동축(27)이 맞물림에 따라 제2 직립체인(20)이 이동하는 것이다.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메인구동축(27)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체인유닛(2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구동롤러(29)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인접한 제2 체인유닛(20a)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인접한 제2 체인유닛(20a)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는 제2 서브구동축(2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서브구동축(28)은 제2 메인구동축(27)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2 스프로킷(7)에 맞물리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인접한 제2 체인유닛(20a)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인접한 제2 체인유닛(20a)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외곽에 위치한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스프로킷(7)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2 메인구동축(27)과 제2 서브구동축(28)이 차례로 맞물림에 따라 제2 직립체인(20)이 이동하는 것이다.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와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서브구동축(28)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체인유닛(2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구동롤러(29)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B2)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A2)이 형성되며, 제2 지지편(21a)과, 제2 확장편(21b), 및 제2 연결편(21c)을 포함한다.
제2 지지편(21a)은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일 측을 이루는 것으로, 일 측에 제2 요철면(B2)이 형성되고, 타 측에 제2 경사면(A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A2)은 제2 직립체인(2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 연결편(21c)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확장편(21b)은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타 측을 이루는 것으로, 제2 지지편(21a)보다 너비가 확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장편(21b)은 제2 지지편(21a)과 대향되는 타 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제2 메인구동축(27)과 제2 서브구동축(28)이 관통할 수 있다. 제2 지지편(21a)과 제2 확장편(21b)은 제2 연결편(21c)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편(21c)은 일 측이 제2 지지편(21a)에 결합되고 타 측이 제2 확장편(21b)에 연결되어 제2 지지편(21a)과 제2 확장편(21b)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2 확장편(21b)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태,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편(21c)은 제2 지지편(21a)의 제2 경사면(A2)과 연결되는 일 측이 목(neck)의 형상과 같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25) 또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26)이 관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지지편(21a)과 제2 확장편(21b), 및 제2 연결편(21c)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지지편(21a)과 제2 확장편(21b), 및 제2 연결편(21c)은 서로 일체 구조로써,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 및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제1 요철면(B1)과 제2 요철면(B2)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제1 지지편(11a)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2 지지편(21a)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제2 지지편(21a)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지지편(11a)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제1 지지편(11a)과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제2 지지편(21a)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지지편(11a)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제1 지지편(11a)과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2 지지편(21a)이 중첩된 두께와,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지지편(11a)이 중첩된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제1 지지편(11a)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제2 지지편(21a)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제2 지지편(21a)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제1 지지편(11a)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제1 지지편(11a)과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제2 지지편(21a)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제1 지지편(11a)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제1 지지편(11a)과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제2 지지편(21a)이 중첩된 두께와,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제1 지지편(11a)이 중첩된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치합식 직립체인(1)이 균형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직립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어긋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의 빗면 결합을 통해 중량 중심이 어느 일 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중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며 중량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의 빗면이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치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의 빗면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가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각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수직 하중의 지지가 용이하며, 장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치합식 직립체인(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제1 직립체인의 수직 상승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제1 직립체인과 제2 직립체인이 맞물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합식 직립체인(1)은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각각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각각 제1 스프로킷(6)과 제2 스프로킷(7)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동축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한 쌍의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11, 13) 사이로 각각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22, 24)가 개재되고, 한 쌍의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21, 23) 사이로 각각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12, 14)가 개재되어, 제1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12, 14)와 제2 좌, 우측 연결플레이트(22, 24)가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동시에,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11, 13)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21, 23)가 서로 맞물리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어긋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이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치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빗면 결합을 하므로, 중량 중심이 어느 일 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11, 13)와 제2 좌, 우측 지지플레이트(21, 23)가 각각 쌍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각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용이하게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직립체인(10)의 수직 상승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직립체인(20)의 수직 상승 동작은 제1 직립체인(10)의 수직 상승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직립체인(10)의 수직 상승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1 직립체인(10)은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15)에 의해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16)에 의해 서로 결합된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가 서로 교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체인유닛(10a)이 일렬로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며, 끝단부에 수평판(3)이 고정된다. 이러한 제1 직립체인(10)은 일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타단부가 굴절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스프로킷(6)에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 및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와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는 제1 메인구동축(17)과 제1 서브구동축(18)을 중심으로 미소하게 굴절되어 원호를 그리며 90°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로킷(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메인구동축(17) 및 제1 서브구동축(18)과 차례로 맞물리면, 제1 직립체인(1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며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스프로킷(6)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메인구동축(17) 및 제1 서브구동축(18)과 차례로 맞물리면, 제1 직립체인(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타단부가 굴절되며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직립체인(10)의 최종 상승 높이는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10a)이 연결된 길이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하강하는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은 직립 구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제1 지지편(11a)은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2 지지편(21a)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제2 지지편(21a)은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지지편(11a)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12)의 제1 지지편(11a)과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22)의 제2 지지편(21a)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21)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11)의 제1 지지편(11a)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제1 지지편(11a)은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제2 지지편(21a)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제2 지지편(21a)은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제1 지지편(11a)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14)의 제1 지지편(11a)과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24)의 제2 지지편(21a)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23)의 제2 지지편(21a)과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13)의 제1 지지편(11a)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치합 구조를 통해, 치합식 직립체인(1)이 균형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직립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어긋나지 않고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철면(B1)과 제2 요철면(B2)이 맞물림과 동시에 제1 경사면(A1)과 제2 경사면(A2)이 빗면 결합을 하므로, 중량 중심이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며 중량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하우징(2)과, 치합식 직립체인(1)과, 수평판(3)과,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과, 제1 스프로킷(6), 및 제2 스프로킷(7)을 포함한다.
하우징(2)은 내부에 치합식 직립체인(1)을 수용하는 통 형상의 부재로, 베이스판(2a)에 안착된다. 하우징(2)은 원통형, 사각통형, 다각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치합식 직립체인(1)이 수직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 측, 예를 들어,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치합식 직립체인(1)은 하우징(2)의 일 측에 수납되는 제1 직립체인(10)과, 하우징(2)의 타 측에 수납되는 제2 직립체인(20)을 포함하며,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은 각각 일단이 하우징(2)의 개방된 상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의 타단은 각각, 하우징(2)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의 끝단부에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3)이 수평하게 결합되며, 수평판(3)은 별도의 지지부재(3a)를 통하여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에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지지부재(3a) 없이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하우징(2) 내부에는 제1 직립체인(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직립체인(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레일(5)이 결합되며,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구동축(17)과 제1 서브구동축(18)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가이드레일(4)의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제1 구동롤러(19)가 결합되고, 제2 메인구동축(27)과 제2 서브구동축(28)의 양단에는 각각 제2 가이드레일(5)의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제2 구동롤러(29)가 결합되므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은 각각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 내부에 굴절 형성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레일(4)과 제2 가이드레일(5)은 굴절되지 않고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달팽이관 형태와 같이 점차 작은 원을 그리며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프로킷(6)은 하우징(2)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개방된 상측과 접하는 제1 가이드레일(4)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직립체인(10)과 맞물려 제1 직립체인(10)을 하우징(2)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제2 스프로킷(7)은 하우징(2)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개방된 상측과 접하는 제2 가이드레일(5)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직립체인(20)과 맞물려 제2 직립체인(20)을 하우징(2)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2)에는 제1 가이드박스(8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박스(8a)는 하우징(2)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하우징(2) 보다 크기가 작은 통 형상의 부재로, 일 측이 하우징(2)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박스(8a)에는 제2 가이드박스(8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박스(8b)는 제1 가이드박스(8a)와 동일한 형상을 갖되 제1 가이드박스(8a) 보다 크기가 작은 통 형상의 부재로, 일 측이 제1 가이드박스(8a)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타 측이 수평판(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치합식 직립체인(1)이 하우징(2)의 개방된 상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수평판(3)에 결합된 제2 가이드박스(8b)가 제1 가이드박스(8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펼쳐지고, 제1 가이드박스(8a)가 하우징(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치합식 직립체인(1)이 하우징(2)의 외측으로 배출될 때 제1 가이드박스(8a)와 제2 가이드박스(8b)가 다단으로 펼쳐짐에 따라, 치합식 직립체인(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력으로부터 치합식 직립체인(1)을 보호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이드박스(8a)가 하우징(2)에 내접하고, 제2 가이드박스(8b)가 제1 가이드박스(8a)에 내접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박스의 개수 역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치합식 직립체인(1)의 최종 상승 높이에 대응하여 가감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베이스판(2a)과 수평판(3)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9)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베이스판(2a)과 수평판(3)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9)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하우징(2)은 베이스판(2a)의 상면에 안착되며, 베이스판(2a)에는 하우징(2)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9)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막대부(9)는 수평판(3)의 균형 유지를 돕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식 직립체인(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어느 일 방향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링크막대부(9)가 치합식 직립체인(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수평판(3)에 안착된 중량물의 하중이 각각의 링크막대부(9)에 분산될 수 있어 치합식 직립체인(1)의 균형 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막대부(9)는 일 측이 하우징(2) 외측의 베이스판(2a)에 결합되고 타 측이 수평판(3)에 결합되며,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9a)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9a)는 치합식 직립체인(1)이 승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전개 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각각 제1 스프로킷(6)과 제2 스프로킷(7)에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상승될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9a)는 동시에 다단으로 펼쳐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직립체인(10)과 제2 직립체인(20)이 각각 제1 스프로킷(6)과 제2 스프로킷(7)에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하강할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9a)는 동시에 다단으로 접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치합식 직립체인 2: 하우징
2a: 베이스판 3: 수평판
3a: 지지부재 4: 제1 가이드레일
5: 제2 가이드레일 6: 제1 스프로킷
7: 제2 스프로킷 8a: 제1 가이드박스
8b: 제2 가이드박스 9: 링크막대부
9a: 단위 링크막대
10: 제1 직립체인 10a: 제1 체인유닛
11: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11a: 제1 지지편
11b: 제1 확장편 11c: 제1 연결편
12: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13: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14: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 15: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16: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17: 제1 메인구동축
18: 제1 서브구동축 19: 제1 구동롤러
20: 제2 직립체인 20a: 제2 체인유닛
21: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21a: 제2 지지편
21b: 제2 확장편 21c: 제2 연결편
22: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23: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24: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 25: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26: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27: 제2 메인구동축
28: 제2 서브구동축 29: 제2 구동롤러
A1: 제1 경사면 A2: 제2 경사면
B1: 제1 요철면 B2: 제2 요철면
100: 리프트 장치

Claims (10)

  1.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1 체인유닛과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수직으로 직립할 때 일 측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치합되는 제2 직립체인을 포함하는 치합식 직립체인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메인구동축;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메인구동축;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이 서로 맞물리는 치합식 직립체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치합식 직립체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1 요철면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1 서브구동축이 관통하는 제1 확장편, 및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또는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이 관통하는 제1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이 관통하는 제2 확장편,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2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며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또는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이 관통하는 제2 연결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연결편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연결편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는 치합식 직립체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서로 맞물리고,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서로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서로 맞물리는 치합식 직립체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와,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의 제2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의 제1 지지편이 중첩된 두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치합식 직립체인.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1 서브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구동롤러와,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치합식 직립체인.
  7. 하우징;
    복수 개의 제1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수납되는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1 체인유닛과 반전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체인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수납되는 제2 직립체인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치합되는 치합식 직립체인;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의 끝단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제1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제2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메인구동축;
    상기 한 쌍의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1 체인유닛의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1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1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1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인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동일 선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연결플레이트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메인구동축;
    상기 한 쌍의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인접한 제2 체인유닛의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메인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제2 서브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좌측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 좌측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2 우측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측 연결플레이트는 각각, 일 측면에 제2 요철면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립체인과 상기 제2 직립체인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이 서로 맞물리는 리프트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구동축, 상기 제1 서브구동축, 상기 제2 메인구동축, 및 상기 제2 서브구동축은 양단에 각각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구동롤러가 결합되는 리프트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하우징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가이드박스, 및
    일 측이 상기 제1 가이드박스에 내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박스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일 측이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0190049334A 2019-04-26 2019-04-26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34A KR102147335B1 (ko) 2019-04-26 2019-04-26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34A KR102147335B1 (ko) 2019-04-26 2019-04-26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35B1 true KR102147335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34A KR102147335B1 (ko) 2019-04-26 2019-04-26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83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20240029919A (ko) 2022-08-29 2024-03-07 (주)유아이메카트로닉스 텔레스코픽 리프트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26A (ja) * 2004-11-11 2006-06-01 Tsubakimoto Chain Co 自動車ボディ昇降装置
US20100223901A1 (en) * 2009-03-09 2010-09-09 Tsubakimoto Chain Co. Lift-driving engagement chain
KR101047966B1 (ko) *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JP2013212904A (ja) * 2012-04-02 2013-10-17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1633850B1 (ko) * 2015-01-22 2016-06-27 임오배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KR101659817B1 (ko) * 2015-06-19 2016-09-26 곽성곤 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터
KR20180002940U (ko) * 2018-03-23 2018-10-12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무대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526A (ja) * 2004-11-11 2006-06-01 Tsubakimoto Chain Co 自動車ボディ昇降装置
US20100223901A1 (en) * 2009-03-09 2010-09-09 Tsubakimoto Chain Co. Lift-driving engagement chain
KR101047966B1 (ko) *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JP2013212904A (ja) * 2012-04-02 2013-10-17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1633850B1 (ko) * 2015-01-22 2016-06-27 임오배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KR101659817B1 (ko) * 2015-06-19 2016-09-26 곽성곤 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터
KR20180002940U (ko) * 2018-03-23 2018-10-12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무대용 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83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595261B1 (ko) 2021-10-19 2023-10-27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20240029919A (ko) 2022-08-29 2024-03-07 (주)유아이메카트로닉스 텔레스코픽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335B1 (ko)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US9709212B2 (en) Extendable/retractable support column
JP6706745B2 (ja) 移載装置
JP4865923B1 (ja)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CN109285459A (zh) 一种可折叠显示面板的支撑板及可折叠显示装置
KR102147333B1 (ko)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N108328200A (zh) 一种层叠式仓储系统及其运行方法
KR101047966B1 (ko)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US20140256211A1 (en) Pairing Block set and toy block thereof
KR102396839B1 (ko) 다단 리프트 타워
KR200472513Y1 (ko) 리프트
KR101659817B1 (ko) 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터
KR102299795B1 (ko) 포켓형 직립체인과 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ES2585390T3 (es) Una planta para el almacenamiento de productos
US10669139B2 (en) Rack and chain lifting device
JP5070243B2 (ja) 板ガラス用ゲートコンベア
US6896467B2 (en) Storage shelving comprising a lift
ES2256983T3 (es) Aparato para almacenar temporalmente articulos manufacturados, particularmente colchones.
JP2007276916A (ja) 複数同調型リフター
JP6492500B2 (ja) 可動体移動装置
JP6465093B2 (ja) 可動体移動装置
RU2340955C1 (ru) Способ демонстрации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по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285916B1 (ko) 체인구동장치
WO2016047608A1 (ja) 可動体移動装置
SE0801535L (sv) Sätt att rullforma pallställsstolp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