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13Y1 - 리프트 - Google Patents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13Y1
KR200472513Y1 KR2020140000084U KR20060031211U KR200472513Y1 KR 200472513 Y1 KR200472513 Y1 KR 200472513Y1 KR 2020140000084 U KR2020140000084 U KR 2020140000084U KR 20060031211 U KR20060031211 U KR 20060031211U KR 200472513 Y1 KR200472513 Y1 KR 200472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support
support member
guide rail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환
유상말
Original Assignee
유상말
김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말, 김익환 filed Critical 유상말
Priority to KR2020140000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66F3/0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with racks comprising pivotable toothed sections or segments, e.g. arranged in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66F3/0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with several r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승강구동장치(B)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푸쉬로드(20)를 하강시키면 푸쉬로드(20)가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부러지면서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됨으로, 승강구동장치(B)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승강판(A)을 하강시켰을 때, 승강판(A)이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매우 낮게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트{lif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물건이나 사람들을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리프트는 사람이나 물건이 올라갈 수 있도록 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구동장치를 작동시켜 승강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나 기계식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타입이나, 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타입 또는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X자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승강판이 승강되도록 하는 타입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한 반면, 큰 하중을 견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2-0101963호 등록실용신안 20-0127406호 등록실용신안 20-0226088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승강구동장치(B)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12a)와, 상기 상하연장부(12a)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20)는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21)와, 힌지축(23)에 의해 상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의 지지부재(21)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힌지축(23)에 결합된 제1 가이드휠(24)과, 상기 제1 가이드휠(2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축(25)에 결합된 제2 가이드휠(26)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휠(24,26)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도록 상기 측판(11)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전면에는 랙기어(21a,22a)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30)의 출력축(31)에는 상기 랙기어(21a,2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기 후방연장부(12b)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상하연장부(12a)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하연장부(12a)를 따라 승강되는 제1 가이드휠(24)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레일(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상하방향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후측에는 상기 힌지축(23)이 결합되는 상, 하부 관통공(21b,22b,21c,22c)이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관통공(21b,22b)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1/4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21c,22c)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3/4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를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면, 상하측에 위치된 지지부재(21)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상하측에 위치된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전방으로 구부러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축(25)에 대응되는 오목부(21e,22e)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를 이룰 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기 지지축(25)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승강구동장치(B)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푸쉬로드(20)를 하강시키면 푸쉬로드(20)가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부러지면서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됨으로, 승강구동장치(B)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승강판(A)을 하강시켰을 때, 승강판(A)이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매우 낮게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푸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푸쉬로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푸쉬로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지지부재와 연결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푸쉬로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승강판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를 도시한 것으로, 사람이 올라서거나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된 승강판(A)과, 상기 승강판(A)에 연결되어 승강판(A)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B)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A)은 넓은 사각형의 패널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승강판(A)이 결합되는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전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푸쉬로드(20)의 상단이 상기 승강판(A)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30)로 상기 푸쉬로드(20)를 승강시켜 상기 승강판(A)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이 구비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 전방에는 상기 푸쉬로드(20)가 결합되는 개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12a)와, 상기 상하연장부(12a)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2b)와, 상기 후방연장부(12b)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2c)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연장부(12a)와 후방연장부(12b)의 연결부는 후방으로 라운드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방연장부(12b)와 전방연장부(12c)의 연결부는 상기 후방연장부(12b)의 후단부에서 상측 전방으로 라운드진 반원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상하연장부(12a)의 후측에는 후술하는 제1 가이드휠(24)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레일(14)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푸쉬로드(2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21)와, 힌지축(23)에 의해 상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의 지지부재(21)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힌지축(23)에 결합된 제1 가이드휠(24)과, 상기 제1 가이드휠(2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지지축(25)에 결합된 제2 가이드휠(26)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휠(24,26)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도록 상기 측판(11)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면이 평행을 이루는 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후단의 상하측 모퉁이 부분은 라운드지게 가공되며,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21a,2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전후방향 폭과 상하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1)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2)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후측에는 상기 힌지축(23)이 결합되는 상, 하부 관통공(21b,22b,21c,22c)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관통공(21b,22b)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1/4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21c,22c)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3/4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1)는 하부 관통공(21c)이 연결부재(22)의 상부 관통공(22b)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3)은 상기 상, 하부 관통공(21b,22b,21c,22c)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가 후방으로는 회동되면서 전방으로는 회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즉, 상기 푸쉬로드(20)가 전술한 방법으로 결합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20)가 일직선으로 펴질 경우, 상하측에 위치된 지지부재(21)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상하측에 위치된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어,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가 전방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반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1)의 상단 또는 하단에 후방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상기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푸쉬로드(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23)은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23) 양단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가이드휠(24)은 상기 지지부재(21)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축(23)의 양단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축(25)은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전방에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공(21d,22d)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휠(26)은 상기 지지축(25)의 양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축(25)에 대응되는 오목부(21e,22e)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를 이룰 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기 지지축(25)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20)의 하단을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지지대(10)의 내부로 삽입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휠(24,26)의 사이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상하연장부(12a)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20)를 하측으로 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로드(20)의 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후방연장부(12b) 및 전방연장부(12c)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푸쉬로드(20) 전체가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된다.
반대로, 상기 푸쉬로드(20)를 상측으로 밀면 상기 지지대(10)의 내부에 수납되었던 푸쉬로드(20)가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상승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출력축(31)이 상기 지지대(10)의 측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기어드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축(31)에는 상기 랙기어(21a,2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를 정역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32)와 랙기어(21a,22a)의 작용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20)가 하강되어 상기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되면서 상기 승강판(A)이 하강되거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내부에 수납된 푸쉬로드(20)가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승강판(A)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장치(B)는 도 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가 전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 상기 푸쉬로드(20)가 휘어지려고 하는 힘이 상호 상쇄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상부로 상승된 푸쉬로드(20)가 휘어지지 않고 직선형태로 펴짐으로써, 상기 승강판(A)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승강구동장치(B)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푸쉬로드(20)를 하강시키면 푸쉬로드(20)가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부러지면서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됨으로, 승강구동장치(B)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승강판(A)을 하강시켰을 때, 승강판(A)이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매우 낮게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기 후방연장부(12b)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2c)를 더 포함으로, 상기 푸쉬로드(20)가 지지대(10)의 내부로 수납될 때 푸쉬로드(20)가 한번 더 접혀 푸쉬로드(20)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장치(B)를 더욱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상하연장부(12a)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하연장부(12a)를 따라 승강되는 제1 가이드휠(24)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레일(14)이 더 구비됨으로, 상기 푸쉬로드(20)가 직선형태로 상승될 때 상기 보조가이드레일(14)이 제1 가이드휠(24)을 지지하여, 푸쉬로드(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푸쉬로드(20)가 직선형태로 상승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상하방향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후측에는 상기 힌지축(23)이 결합되는 상, 하부 관통공(21b,22b,21c,22c)이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관통공(21b,22b)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1/4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21c,22c)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3/4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를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면, 상하측에 위치된 지지부재(21)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상하측에 위치된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전방으로 구부러지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20)에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로 힘이 분산되어, 푸쉬로드(20)가 전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축(25)에 대응되는 오목부(21e,22e)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를 이룰 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기 지지축(25)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리프트는 승강판(A)과 승강구동장치(B)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판(A)의 구성을 삭제하고, 상기 승강구동장치(B)만을 이용하여 특정한 물체를 승강시키는 데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장치(B)는 2개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구동장치(B)는 상기 승강판(A)에 올려지는 물체의 하중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A. 승강판 B. 승강구동장치
10. 지지대 20. 푸쉬로드
30. 구동모터

Claims (5)

  1.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인접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판(11)을 포함하는 지지대(10)와,
    상하단이 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로드(20)와,
    상기 푸쉬로드(20)에 연결되어 푸쉬로드(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로 구성된 승강구동장치(B)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12a)와,
    상기 상하연장부(12a)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20)는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재(21)와,
    힌지축(23)에 의해 상하측에 배치된 지지부재(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의 지지부재(21)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힌지축(23)에 결합된 제1 가이드휠(24)과,
    상기 제1 가이드휠(2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축(25)에 결합된 제2 가이드휠(26)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휠(24,26)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도록 상기 측판(11)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전면에는 랙기어(21a,22a)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30)의 출력축(31)에는 상기 랙기어(21a,2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는 상하방향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후측에는 상기 힌지축(23)이 결합되는 상, 하부 관통공(21b,22b,21c,22c)이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관통공(21b,22b)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1/4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공(21c,22c)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단에서 3/4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를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면, 상하측에 위치된 지지부재(21)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상하측에 위치된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호 밀착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전방으로 구부러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기 후방연장부(12b)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상하연장부(12a)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하연장부(12a)를 따라 승강되는 제1 가이드휠(24)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레일(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축(25)에 대응되는 오목부(21e,22e)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를 이룰 때, 상기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상하단이 상기 지지축(25)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2020140000084U 2006-12-07 2006-12-07 리프트 KR200472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84U KR200472513Y1 (ko) 2006-12-07 2006-12-07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84U KR200472513Y1 (ko) 2006-12-07 2006-12-07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13Y1 true KR200472513Y1 (ko) 2014-05-07

Family

ID=4162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84U KR200472513Y1 (ko) 2006-12-07 2006-12-07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1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74A (ko) 2015-01-14 2016-07-22 김재근 조향 편의성 배치 구조의 전동스쿠터용 조향핸들 어셈블리
KR101713555B1 (ko) * 2016-07-05 2017-03-09 제이엠스테이지(주) 높이조절식 무대장치
WO2019139213A1 (ko) * 2018-01-15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장치
KR20200067789A (ko) * 2020-06-01 2020-06-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20200069270A (ko) * 2020-06-01 2020-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20230055483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5081B2 (ja) * 1998-11-30 2011-01-19 セラピド フランス 持ち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5081B2 (ja) * 1998-11-30 2011-01-19 セラピド フランス 持ち上げ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74A (ko) 2015-01-14 2016-07-22 김재근 조향 편의성 배치 구조의 전동스쿠터용 조향핸들 어셈블리
KR101713555B1 (ko) * 2016-07-05 2017-03-09 제이엠스테이지(주) 높이조절식 무대장치
WO2019139213A1 (ko) * 2018-01-15 2019-07-1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장치
KR20190086916A (ko) * 2018-01-15 2019-07-2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102120340B1 (ko) * 2018-01-15 2020-06-0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20200067789A (ko) * 2020-06-01 2020-06-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20200069270A (ko) * 2020-06-01 2020-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102135012B1 (ko) * 2020-06-01 2020-07-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102135011B1 (ko) * 2020-06-01 2020-07-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KR20230055483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102595261B1 (ko) * 2021-10-19 2023-10-27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13Y1 (ko) 리프트
US3016988A (en) Lifting device
JP6134095B2 (ja) 荷受台構造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
JP3450900B2 (ja) 舞台用可搬式リフト
KR20090021473A (ko) 승강 구동식 주차장치
CN216129278U (zh) 一种方便直观的沙盘楼层模型选层升降机
JP5279113B2 (ja) Xリンク式昇降機構を有するベッド
DE102006002635A1 (de) Mobile Wechseleinrichtung für einen Batterieblock eines Flurförderzeugs
JP4097657B2 (ja) 家具などの支持装置
JP2007276916A (ja) 複数同調型リフター
KR20110077628A (ko) 타워형 구조물 시공방법
CN213060021U (zh) 一种汽车油底壳顶升工装
CN216812706U (zh) 一种板列式载荷提升起重装置
KR100460187B1 (ko) 이동형 주차장치
JP2001206680A (ja) リフト装置
JP2004018163A (ja) 舞台の迫り設備
CN212603693U (zh) 一种纸箱钉箱机
JP3786411B2 (ja) 除塵機
CN217203627U (zh) 一种可以自动伸缩的架桥机用临时支腿
CN216823240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扫地机机械举升设备
DE50106848D1 (de) Ladeboden
JP5750204B2 (ja) 駐車装置
CN214059645U (zh) 一种轻小型起重设备竖向辅助支架
CN209808798U (zh) 一种中床框架可升降的床
KR200320301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