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01Y1 -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01Y1
KR200320301Y1 KR20-2003-0013147U KR20030013147U KR200320301Y1 KR 200320301 Y1 KR200320301 Y1 KR 200320301Y1 KR 20030013147 U KR20030013147 U KR 20030013147U KR 200320301 Y1 KR200320301 Y1 KR 200320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nk
maintenance
lif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13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2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with fluid-pressure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주 정비부분인 자동차 전방하부를 정비할 때 바닥프레임으로 인하여 정비자가 움직이는데 방해를 받지 않고 보조정비장치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한 정비를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한 쌍의 바닥프레임(10)과, 유압실린더(20)에 의해 작동되는 X자형의 승강링크(30)과, 자동차를 받치는 승강받침판(40)으로 구성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0)에서 승강링크(30)의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을 평판부(11)로 형성하고 이 평판부(11)상에 레일(12)을 설치하여 승강링크(30)의 한 쪽 하단부에 설치된 로울러(31)가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링크(3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Automobile maintenance lift}
본 고안은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정비할 때 작업자가 이동 및 정비보조장치를 사용하는데 번거로움이 없이 안전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바닥프레임(10)과, 유압실린더(20)에 의해 작동되는 X자형의 승강링크(30)와, 자동차를 받치는 승강 받침판(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프트에서 X자형의 승강링크(30)의 하부 한 쪽은 힌지 연결되고 다른 쪽은 로울러가 설치되어 바닥프레임에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데 로울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바닥프레임(10)의 양측이 로울러를 감싸도록 절곡부(10a)가 형성되어 X자형의 승강링크(30)의 하단 로울러가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자동차를 승강받침판(40)으로 받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0)에 의하여 X자형의 승강링크(30)가 승강할 때 그 하단부의 가변되는 쪽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이 이루진 후, 슬라이딩되는 부분의 받침프레임(10) 상부에 자동차의 엔진부가 위치하게되어 그 위치에서 정비자는 엔진부, 밋션 등의 수리나 오일등의 교환하게게 될 때 움직이는 과정에서 바닥프레임(10)의 양측으로 돌출된 절곡부(10a)로 인하여 발이 걸려 균형을 잃어 넘어지거나 잃는 등의 자유로이 움직이는 공간부를 확보하지 못하여 정비하는데 상당한 방해를 받고 있다.
또한 돌출된 바닥프레임(10)으로 인하여 정비시 사용되는 보조정비장치를 진입시키어 사용하는데 상당한 방해를 받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바닥프레임(10)의 절곡부(10a) 내측으로 이물질이나 볼트나 너트 등 각종 부품이 모아져 지저분하게 모아지고 이를 청소하는데 번거롭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정비할 때 바닥프레임으로 인하여 정비자가 움직이는데 방해를 받지 않고 보조정비장치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한 정비를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바닥프레임과,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X자형의 승강링크과,
자동차를 받치는 승강 받침판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바닥프레임의 슬라이딩되는 부분을 평판으로 형성하고 이 평판부상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홈이 형성된 로울러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링크가 슬라이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리프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리프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리프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리프트가 승강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프레임
11: 평판부 12:레일
20: 유압실린더
30: 승강링크
31: 로울러 32: 레일홈
40: 승강받침판
이하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종래와 동일한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리프트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지면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10)과, 유압실린더(20)에 의해 작동되는 X자형의 승강링크(30)와, 자동차를 받치는 승강받침판(40)으로 구성한다.
상기 바닥프레임(10)에서 승강링크(30)의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부분을 평판부(11)로 형성하고 이 평판부(11)상에 사각 띠형태의 레일(12)을 설치하여 승강링크(30)의 한 쪽 하단부에 설치되어 레일홈(32)이 형성된 로울러(31)가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링크(3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레일(12)은 한 쪽 또는 양쪽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로울러(31)가 외측으로 탈선하지 않을 정도의 최소 높이로 하는 것이 정비자의 발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링크(30)의 한측에 경첩으로 연결된 덮개(50)에는 자동차가 진입시 정지하도록 하는 정지편(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이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를 진입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X자형 승강링크(30)가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승강링크(30)의 하단 한측에 설치된 로울러(31)가 바닥프레임(10)에 설치된 레일(12)에 걸린이므로 이탈 우려 없이 이동이 이루어져 상단의 승강받침판(40)이 자동차를 승강시키어 정비하고자하는 적정위치까지 올린다. 이 과정에서 별도 설치되는 래칫수단(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은 작동상태를 이루어 오동작 등으로 승강받침판(40)이 내려올 때 하강을 막을 수 있게하며, 정비가 완료되어 유압실린더(20)의 작동으로 하강시에는 정상적으로 서서히 하강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자동차를 승강한 후 정비할 때 승강링크(30)이 슬라이딩되는 부분의 받침프레임(10) 상부에 자동차의 엔진부가 위치하게되어 그 위치에서 정비자는 엔진부, 밋션 등의 수리나 오일등의 교환하게게 될 때 움직이는 과정에서 바닥프레임(10)이 평판부(11)상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발이 쉽게 걸리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이는 공간부를 확보하므로서 정비하는데 상당히 편리하고 위험성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보조정비장치의 입출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정비 작업공간의 바닥에 바닥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에 설치된 장치로 인하여 걸리어 정비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하여 정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 쌍의 바닥프레임(10)과, 유압실린더(20)에 의해 작동되는 X자형의 승강링크(30)와, 자동차를 받치는 승강받침판(40)으로 구성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0)에서 승강링크(30)의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을 평판부(11)로 형성하고 이 평판부(11)상에 레일(12)을 설치하여 승강링크(30) 하단부에 설치된 로울러(31)가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링크(3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31)에 레일홈(32)을 형성하여 레일(12)에 걸려져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2003-0013147U 2003-04-28 2003-04-28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0320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47U KR200320301Y1 (ko) 2003-04-28 2003-04-28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47U KR200320301Y1 (ko) 2003-04-28 2003-04-28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432A Division KR20040092198A (ko) 2003-04-25 2003-04-25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01Y1 true KR200320301Y1 (ko) 2003-07-22

Family

ID=4941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147U KR200320301Y1 (ko) 2003-04-28 2003-04-28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147A (en) Jacking device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2180713B1 (ko) 리프트
CN110844832B (zh) 车辆用升降装置
KR20080061221A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US7143869B1 (en) Hydraulic vehicle lift
KR101666344B1 (ko) 타이어 리프트
KR200320301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040092198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130137281A (ko) 자동차 정비 리프트 시스템
KR100959753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200377496Y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하강잠금해제 구동에어실린더 설치구조
CN210438361U (zh) 一种升降机
KR200410524Y1 (ko)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JPH0680790U (ja) 自動車整備用リフト
KR200320302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JPH0518389Y2 (ko)
KR960031743A (ko)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KR102279631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KR20070077559A (ko) 자주식 중량물 수송장치
JPH0730632Y2 (ja) 車輌整備用リフト
KR200294516Y1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JPH0650479Y2 (ja) テーブルリフター
DE50106848D1 (de) Ladeboden
JPH05122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