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753B1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753B1
KR100959753B1 KR20030035649A KR20030035649A KR100959753B1 KR 100959753 B1 KR100959753 B1 KR 100959753B1 KR 20030035649 A KR20030035649 A KR 20030035649A KR 20030035649 A KR20030035649 A KR 20030035649A KR 100959753 B1 KR100959753 B1 KR 100959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vehicle
arm
lif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878A (ko
Inventor
이소가이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ublication of KR2004005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66F7/0675Auxiliary scissors, e.g. above main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폭넓은 차종의 리프트업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 위에 마련되는 프리 휠 리프트 보드(12)의 단부에는, 중공의 수납부(16)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16)에 가동 받침대(15)가 수납된다. 가동 받침대(15)는, 지점 핀(17)에 의해 수평 선회 가능하게 축착되고, 수납 상태에서는, 보드(12)의 수납부(16)에 정확하게 들어가고 보드(12)의 일부가 되는 슬라이드체(18)와, 슬라이드체(18) 내에 수납 가능하고, 임의의 길이까지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 아암(19)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아암(19)의 장착 구멍(26)에 어태치먼트(27)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35649
차량 정비용 리프트, 베이스,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 X형 링크 기구

Description

차량 정비용 리프트{Lift for repair of vehicle}
도 1은 실시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전체도.
도 2는 보드의 단부의 사시도(가동 받침대 수납시).
도 3은 보드의 단부의 사시도(가동 받침대 인출시).
도 4는 가동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가동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가동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의 (A)는 실시형태 2의 가동 받침대의 사시도(가동 받침대 수납시) (B)는 실시형태 2의 가동 받침대의 사시도(가동 받침대 인출시).
도 8은 실시형태 3의 가동 받침대의 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 4의 가동 받침대의 사시도.
도 10은 가동 받침대의 변경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정비용 리프트 2 : 베이스
3 :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 4 : X형 링크 기구
10 : 프리 휠 리프트 12 : 보드
15 : 가동 받침대 16 : 수납부
17 : 지점 핀 18, 18a, 18b : 슬라이드체
19 : 슬라이드 아암 27 : 어태치먼트
30 : 고무 패드 32, 38 : 보조 아암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 타이어 사이보다 짧은 치수를 갖는 좌우 한 쌍의 보드와, 그 보드를 동조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지면에 파서 만든 피트 내에서, 차량이 올라탐이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를, X형 링크 기구와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장치에 의해 지지하여 이루어지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의 윗면이 지면과 일치하는 하한 위치로부터 승강 장치의 작동에 의해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를 리프트업 하여, 차량 하부 계통의 점검이나 오일 교환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에는, 차량 전후의 타이어 사이보다 짧은 치수를 갖는 보드와, 마찬가지로 X형 링크 기구와 유압 실린더에 의한 제 2의 승강 장치로 이루어지는 프리 휠 리프트를 마련하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에 올라태워진 차량의 보디를 리프트업 시켜서 휠을 자유롭게 하여, 하체 계통의 정비 등의 작업도 가능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프리 휠식의 경우, 보통 승용차 등의 상자형 보디의 차량에 있어서는,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를 붙여서 보드로 리프트업 할 수 있지만, RV차나 트럭 등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는, 프레임이 높고, 좌우의 폭도 좁기 때문에, 각 보드의 외측에 한 쌍의 스윙 아암을 선회 가능하게 마련하고, 보드의 내측에서의 차량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스윙 아암은 보드의 윗면에서 선회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를 하한 위치까지 내린 경우에 스윙 아암이 윗면에서 돌출한 모양으로 되어, 차량의 이동이나 작업의 방해가 된다. 그래서, 스윙 아암을 보드 외측의 아암 브래킷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스윙 아암의 불사용시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거나(특허 문헌 1 참조), 스윙 아암을 보드의 외측에서 승강시키는 에어 실린더를 마련하고, 사용시에는 보드의 윗면보다 돌출시키고, 불사용시에는 보드의 윗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하강시키거나(특허 문헌 2 참조) 하는 발명이 채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66435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0-272891호 공보
그러나, 스윙 아암을 사용시마다 하나하나 장착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스윙 아암의 승강기구를 채용하는 것은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윙 아암의 착탈이나 승강을 가능하게 하여도, 여전히 보드의 외측에는 스윙 아암 의 아암 브래킷은 필요하기 때문에, 그 만큼 리프트의 폭이 커지고, 외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차량과의 거리가 멀어져서 작업성을 나쁘게 한다. 또한, 하한 위치에서 아암 브래킷이나 스윙 아암을 수용시키기 위해 피트도 넓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쓸데없은 공사도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보드의 외측에 스윙 아암을 마련하지 않아도 폭넓은 차종에 대응하는 차량의 리프트업을 가능하게 하고, 가격이나 작업성에서 유리해지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드에, 보드로의 수납과 보드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고, 보드의 연장측 및/또는 양 보드의 사이측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로 이동 가능한 가동 받침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에 더하여, 축소된 공간에서 가동 받침대를 합리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가동 받침대를, 보드의 단부에 마련한 수납부에 수납되고, 임의의 길이로 보드의 연장측으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체와, 그 슬라이드체에 수용되고, 임의의 길이로 양 보드의 사이측으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 아암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드의 전후 단부에, 보드로의 수납과 보드의 연장측으로의 임의의 길이의 인출이 가능한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의 윗면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좌우 한쌍의 보드의 사이측으로 돌출 가능한 보조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받침대를 마련하고, 상기 보드의 전후 단부에,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보드로 수납되는 때에도, 상기 보조 아암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슬라이드란, 직선상에서의 이동은 물론, 축착(軸着) 등이 이루어진 일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동작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제 1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한 전체도로서, 차량 정비용 리프트(1)는, 한 쌍의 베이스(2)와, 베이스(2)의 윗쪽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를 구비하고, 각 베이스(2)와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 사이에는, X형 링크 기구(4)가 각각 마련된다. 각 X형 링크 기구(4)는, 각 링크(4a, 4b)의 한쪽의 단부를 베이스(2)와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피보팅함과 함께, 다른쪽의 단부에 마련한 롤러(5)를, 베이스(2)와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에 마련한 안내 레일(6)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 한쪽의 링크(4a)의 피보팅측 단부와, 다른쪽의 링크(4b)의 피보팅측에서 회전 중심 근처의 부위가 실린더(7)로 연결되어 있다. 따 라서, 좌우의 실린더(7)를 동조하여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X형 링크 기구(4)가 개폐 작동하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를 수평 자세인 채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2)는, 플로어(F)에 파서 만들어진 피트(8) 내에 설치되어 있고, 각 실린더(7)는, 하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윗면이 플로어(F)에 일치하도록 제어된다. 부호 9는 각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긴변 방향의 전후 단에 마련된 차륜 멈춤으로서,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상승 위치에서는 경사 자세로 되어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 위에 올라탄 차량의 타이어와 간섭 가능하게 되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가 플로어(F)에 일치하는 하한 위치에서는 플로어(F)와 맞닿아서 수평 자세로 되어,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로의 차량의 승강을 허용한다.
그리고, 각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중앙에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보다 긴변 방향(차량이 올라타는 방향)으로 치수가 짧은 프리 휠 리프트(이하「작은 리프트」라고 한다)(10) 각각 마련된다. 이하, 좌우의 작은 리프트(1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한쪽만에 관해 설명한다.
작은 리프트(10)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와 마찬가지로 한쪽이 회전 단, 다른쪽이 활주 단으로 되는 링크(11a, 11b)로 이루어진 X형 링크 기구(11)와, 그 X형 링크 기구(11)에 의해 지지되고, 차량의 전후 타이어 사이보다도 짧은 치수를 갖는 보드(12)와, 링크(11a, 11b) 상호간을 연결하는 실린더(13)를 가지며, 실린더(13)의 신축 동작으로 X형 링크 기구(11)를 개폐 작동시켜서 보드(12)를 수평 자세를 유지한 채로 좌우에서 동조하여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보드(12)의 하한 위치에서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14)에 끼워 들어가서, 보드(12)의 윗면이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의 윗면과 거의 일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보드(12)에 있어서의 긴변 방향의 전후 양 단에는, 임의로 인출 및 수납 가능한 가동 받침대(1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 가동 받침대(15)의 상세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우선, 보드(12)의 단부에는, 보드(12)의 단변과, 그 단변에 연속하는 내측의 긴변의 일부와, 양 변에 연속하는 윗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수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16)에 가동 받침대(15)가 수납된다. 가동 받침대(15)는, 보드(12)의 외측에서 지점 핀(17)에 의해 수평 선회 가능하게 축착되어 수납부(16)로부터 보드(12)의 연장측으로 인출 가능한 상자 모양의 슬라이드체(18)와, 그 슬라이드체(18)에 수용되고, 임의의 길이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 아암(19)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체(18)의 윗면에는, 수납부(16)의 상측의 개구에 꼭 들어가서 윗면이 보드(12)의 윗면과 거의 일치하는 볼록면부(20)가 형성되고, 슬라이드체(18)의 긴변측 면에는, 슬라이드체(18)의 인출 및 수납에 편리도록 손가락 등을 걸 수 있는 투공(透孔)(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19)은, 슬라이드체(18) 내에서 긴변측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용부(22) 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단면 직사각형의 봉 형상체로서, 수용부(22)로의 수납 상태에서는, 최외면이 슬라이드체(18)의 짧은변측 면과 개략 일치하고, 가장 외면에 마련된 투공(23)에 손가락 등을 걸어서 끌어당김으로 써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로 빠짐 방지되는 임의의 길이 까지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19)의 윗면에는, 슬라이드 아암(19)의 긴변 방향에 따라 폭이 넓은 돌조(24)가 형성되고, 슬라이드체(18)의 윗면에 형성된 노치(25)와 끼워맞추어져서, 슬라이드 아암(19)의 출납의 가이드와 수납시의 스토퍼와의 작용을 얻고 있다. 부호 26은, 슬라이드 아암(19)의 돌조(24)상에서 긴변 방향의 전후에 형성된 장착 구멍으로, 이 장착 구멍(26)에 어태치먼트(27)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어태치먼트(27)는, 장착 구멍(26)에 삽입 가능하고, 상단에 플랜지를,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각각 형성한 슬리브(28)와, 그 슬리브(28)에 돌려넣어서 높이 조정 가능한 받침 금구(29)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 정비용 리프트(1)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가동 받침대(15)를 양 단에 수용한 보드(12)를 하한 위치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를 플로어(F)까지 내리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상의 소정 위치에 차량을 올라타게 한다. 그리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를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키면, 차량 하부 계통의 점검이나 오일 교환 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체 계통의 정비 등을 행하는 경우는 작은 리프트(10)를 사용한다. 즉,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는 하한 위치인 상태로, 또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3)를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보드(12)를 상승시켜서 차량의 보디를 지지하고 리프트업 하면, 타이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C)이 상자형 보디의 중소형 승용차인 경우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받침대(15)를 수용한 채로, 가동 받침대(15)를 포함하는 보드(12)의 윗면에서의 차량의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30)을 각각 세트하고, 보드(12)를 상승시키면 좋다.
한편, 차량이 상자형 보디의 대형 승용차인 경우, 차량의 전체 길이가 길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드(12) 양 단의 가동 받침대(15)에서 각 슬라이드체(18)를 소정 각도 인출하여 보드(12)의 연장측으로 돌출시킨 후, 각 슬라이드체(18)의 윗면에서의 차량의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30)를 각각 세트하고, 보드(12)를 상승시키면, 차량(C)을 리프트업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프레임 구조를 갖는 RV차나 소형 트럭인 경우, 프레임이 각 보드(12)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드(12) 양 단의 가동 받침대(15)에서 슬라이드체(18)를 보드(12)의 연장측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각 슬라이드체(18)로부터 슬라이드 아암(19)을 양 보드(12) 사이측으로 각각 소정량 인출하면, 슬라이드 아암(19)의 장착 구멍(26)의 어느 한쪽에 마련한 어태치먼트(27)의 받침 금구(29)를, 차량(C)의 프레임(31) 아래쪽의 리프트 포인트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보드(12)를 상승시키면, 차량을 리프트업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1)에 의하면, 보드의 외측에 스윙아암 마련하지 않아도, 폭넓은 차종에 대응하여 차량의 리프트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 아암의 채용에 관한 착탈 작업이나 코스트 업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스윙 아암의 생략에 의해 보드의 외측으로의 돌출되어 나오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리프트 전체의 폭이 작아지고, 외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트도 최소한의 넓이로 끝나 게 된다.
특히,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가동 받침대를 슬라이드체와 그 슬라이드체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아암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축소된 공간으로 본 발명의 가동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제 1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가동 받침대 이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가동 받침대의 구조만에 관해 설명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실시형태 3,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가동 받침대(15)에 있어서의 슬라이드체(18a)를 보드(12)의 긴변 방향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한 것으로, 수납부(16)로의 수용시에는 볼록면부(20)가 보드(12)의 윗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보드(12)의 일부를 이루고, 인출시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에 의해 필요한 양만큼 신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체(18a)에서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아암(19)이 마련되지만, 이것은 도 2, 도 3에서 설명한 슬라이드 아암과 같은 구조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2에서도, 중소형 승용차에서는 상기 도 7의 (A)와 같이 가동 받침대(15)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형 승용차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a)만을 보드(12)의 연장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RV차 등에서는 동 도 (B)와 같이 슬라이드체(18a)와 슬라이드 아암(19)을 인출하여 양 보드(12) 사이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각각 사용하면, 각 차종의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30) 또는 어태치먼트(27)의 받침 금구(29)를 위치시켜서 리프트업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윙 아암의 채용에 관한 착탈 작업이나 가격 상승 문제의 해소, 리프트 전체의 폭이 작아짐에 의한 작업성의 향상이나 피트의 최소화라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와 슬라이드 아암의 채용에 의한 컴팩트한 구조도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제 2 발명에 대응하는 형태를 실시형태 3, 4로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b)가 보드(12)의 긴변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 구조는 도 7과 같지만, 여기서는 슬라이드 아암 대신에, 보조 아암(32)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체(18b)의 윗면에서 보드(12)의 외측 근처에 마련된 장착 슬리브(33)에, 보조 아암(32)의 기단에서 하향으로 돌출한 핀(34)을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드체(18b)에 보조 아암(32)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것으로, 여기서의 보조 아암(32)은, 핀(34)이 돌출되는 제 1 아암(35)에, 선단에 어태치먼트(27)가 장착 가능한 제 2 아암(36)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한 망원경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보드(12)의 윗면에서는, 슬라이드체(18b)의 수납시에 장착 슬리브(33)가 진입 가능한 노치(37)가 마련되고, 슬라이드체(18b)의 수용시에도 보조 아암(32)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3에서도, 중소형 승용차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b)를 보드(12)에 수용한 상태에서, 대형 승용차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b)를 보드(12)의 연장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RV차 등에서는 슬라이드체(18b)를 인출하여 보조 아암(32)을 장착하고, 양 보드(12) 사이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각각 사용하면, 각 차종의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30) 또는 어태치먼트(27)의 받침 금구(29)를 위치시켜서 리프트업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드의 외측에서의 스윙 아암의 채용에 관한 코스트 업의 문제의 해소, 리프트 전체의 폭이 작아짐에 의한 작업성의 향상이나 피트의 최소화라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9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받침대(15)에서의 슬라이드체(18b) 및 착탈 가능한 보조 아암(38)의 채용은 도 8과 마찬가지이지만, 보조 아암(38)의 장착 위치(장착 슬리브(33)의 위치)가 보드(12)의 내측 근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아암(38)도, 짧은 치수로 각 차량의 리프트 포인트는 커버될 수 있기 때문에, 신축하지 않는 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 4에서도, 중소형 승용차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b)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형 승용차에서는 가동 받침대(15)의 슬라이드체(18b)를 보드(12)의 연장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RV차 등에서는 슬라이드체(18b)를 인출하여 보조 아암(38)을 양 보드(12) 사이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각각 사용하면, 각 차종의 리프트 포인트에 고무 패드(30) 또는 어태치먼트(27)의 받침 금구(29)를 위치시켜서 리프트업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 드의 외측에서의 스윙 아암의 채용에 관한 가격 상승 문제의 해소, 리프트 전체의 폭이 작아짐에 의한 작업성의 향상이나 피트의 최소화라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각 실시형태의 변경예로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슬라이드 아암(19)을 슬라이드체(18)의 긴변측 면 근처에 마련하여 슬라이드체(18)의 폭을 더욱 작게 하거나, 역으로 슬라이드 아암(19)의 폭을 크게 하거나 함으로써, 슬라이드체와 슬라이드 아암을 개략 망원경 형(telescope type)에 가까운 구조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슬라이드체(18)을 축착한 지점 핀(17)의 위치를 역으로 보드(12)의 내측 근처에 마련하여, 슬라이드체(18)의 선회 범위를 크게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의 구조도,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슬라이드 아암의 기단에 마련한 핀과 슬라이드체측의 스토퍼와의 구조에 의해, 슬라이드체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위치에서 슬라이드 아암을 소정 각도 수평 선회 가능하게 하거나, 슬라이드체에 대해 슬라이드 아암을 복수 수납하는 등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역으로, 이와 같은 직선상의 슬라이드가 아니고, 실시형태 1의 슬라이드체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아암을 슬라이드체에 대해 수평 선회 가능하게 축착하여 슬라이드체에 수납하는 구조도 생각된다.
그리고, 가동 받침대는 보드가 올라타는 방향의 전후 단에 수납하는 구조에 한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드(12)의 내측 양 단에 지점 핀(17)을 마련하여 축착한 아암 형상의 가동 받침대(15a)를, 보드(12)의 내측에 형성한 수납부(16a)에 수납하고, 그곳으로부터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보드(12)의 사이측 및 보드(12)의 연장측으로 각각 선회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가동 받침대(15a)를 인출 위치에서 신축할 수 있도록, 실시형태 1과 같은 슬라이드 아암을 수용하거나, 가동 받침대(15a) 자체를 망원경 구조로 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받침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드의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보드의 하면측에 스페이스가 있으면, 슬라이드체 등의 가동 받침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드의 하면측에 마련한 수납부(보드와 같은 중공의 상자 형상체나 한 쌍의 단면 コ자 모양의 레일 등으로 형성하면 좋다)에 수납시켜서 인출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의 지지에 X형 링크 기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롱 아암과 숏 아암과 푸시 로드로 이루어지고, 롱 아암의 하단과 숏 아암의 상단을 연결하는 실린더의 신축 동작으로 승강 구동하는 소위 λ형 링크 기구나, X형 링크 기구를 상하에 2단 연결한 팬터그래프형 등의 다른 링크 기구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링크 기구에 한하지 않고, 플로어에 수직으로 매설된 하나 또는 복수의 실린더의 상단에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실시형태라도 좋다. 물론 이들의 지지 구조의 변경은, 작은 리프트에서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에 파서 만든 피트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 위에 프리 휠 리프트를 구비한 차량 정비 용 리프트라면, 피트를 파서 만들지 않는 바닥 위 설치 타입이라도 본 발명의 가동 받침대의 채용에 의해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브 온 플레이트에 보드와 승강 장치로 이루어지는 프리 휠 리프트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2단형이 아니라, 치수가 짧은 보드만을 구비하여 승강 장치로 승강시키는 단독의 프리 휠 리프트 등의 다른 타입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가동 받침대가 보드의 연장측과 양 보드의 사이측과의 쌍방에 돌출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보드의 연장측만에, 또는 양 보드의 사이측만에 돌출 가능하게 하여도, 리프트업 할 수 있는 차량의 폭은 넓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2에서는 슬라이드 아암을 생략하고 보드에 슬라이드체만을 마련하거나, 역으로 슬라이드체을 생략하고 보드에 슬라이드 아암만을 마련하거나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3, 4에서는 보조 아암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의 외측에 스윙 아암을 마련하지 않아도, 폭넓은 차종에 대응하여 차량의 리프트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윙 아암의 채용에 관한 착탈 작업이나 가격 상승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스윙 아암의 생략에 의해 보드의 외측으로의 삐저나오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리프트 전체의 폭이 작아지고, 외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트도 최소한의 넓이로 끝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동 받침대를 슬라이드체와 슬라이드 아암으로 형성함으로써, 컴팩트한 스페이스로 가동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전후 타이어 사이보다 짧은 치수를 갖는 좌우 한 쌍의 보드와, 그 보드를 동조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전후 단부에, 상기 보드로의 수납과 상기 보드의 연장측으로의 임의의 길이의 인출이 가능한 슬라이드체와, 상기 슬라이드체의 윗면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좌우 한 쌍의 보드의 사이측으로 돌출 가능한 보조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받침대를 마련하고,
    상기 보드의 전후 단부에,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보드로 수납되는 때에도, 상기 보조 아암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20030035649A 2002-12-26 2003-06-03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0959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136A JP4279547B2 (ja) 2002-12-26 2002-12-26 車両整備用リフト
JPJP-P-2002-00378136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878A KR20040057878A (ko) 2004-07-02
KR100959753B1 true KR100959753B1 (ko) 2010-05-25

Family

ID=325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5649A KR100959753B1 (ko) 2002-12-26 2003-06-03 차량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279547B2 (ko)
KR (1) KR100959753B1 (ko)
CN (1) CN100396590C (ko)
DE (1) DE10361322B4 (ko)
IT (1) ITMI20032601A1 (ko)
TW (1) TWI259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5305B1 (it) * 2009-05-19 2012-09-05 Fiorese Sollevatore per veicoli.
KR101671859B1 (ko) * 2014-11-11 2016-11-03 최경숙 차량용 리프트장치
CN105668454B (zh) * 2016-03-10 2018-10-23 洛阳中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加气混凝土制品自动分拣装置
TWI621581B (zh) * 2017-01-12 2018-04-21 欣富康實業有限公司 頂車機用之墊高塊
JP6684416B2 (ja) * 2017-05-30 2020-04-22 株式会社スギヤス 車両整備用リフト
CN109591775A (zh) * 2018-11-15 2019-04-09 山东华宇工学院 一种汽车检测与维修智能控制装置
KR102207660B1 (ko) * 2019-04-08 2021-01-25 황성일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095A (ja) * 2001-05-24 2002-12-04 Altia Co Ltd 車両整備用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8395A (en) * 1955-07-08 1960-11-01 Globe Hoist Co Frame engaging unit for vehicle hoists
US3243015A (en) * 1963-10-07 1966-03-29 Dura Corp Vehicle lift adapter
US4287965A (en) * 1979-10-15 1981-09-08 Pearson Alan D Hoist pad
DE3618160C1 (de) * 1986-05-30 1988-01-14 Eckhard Ochs Radfreihubvorrichtung fuer eine Kraftfahrzeughebebuehne mit Fahrschienen oder eine UEberfahrgrube
DE3830691A1 (de) * 1988-09-09 1990-03-22 Nussbaum Otto Gmbh Co Kg Arbeitspodest, das mit einer hebebuehne fuer fahrzeuge kombiniert ist
JPH0650478Y2 (ja) * 1988-12-01 1994-12-21 杉安工業株式会社 車輛整備用リフトの支持プレートに設けられたエクステンドスライド板の固定機構
FR2666794A1 (fr) * 1990-09-13 1992-03-20 Reidenbach Roger Dispositif elevateur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H09156890A (ja) * 1995-12-08 1997-06-17 Sugiyasu Kogyo Kk 車輌整備用リフト
CN2314991Y (zh) * 1998-01-19 1999-04-21 吕振源 顶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095A (ja) * 2001-05-24 2002-12-04 Altia Co Ltd 車両整備用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032601A1 (it) 2004-06-27
JP4279547B2 (ja) 2009-06-17
TWI259826B (en) 2006-08-11
JP2004203602A (ja) 2004-07-22
TW200410894A (en) 2004-07-01
CN1511779A (zh) 2004-07-14
DE10361322A1 (de) 2004-07-22
CN100396590C (zh) 2008-06-25
KR20040057878A (ko) 2004-07-02
DE10361322B4 (de)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3890A (en) Lift device for small equipment
CN110844832B (zh) 车辆用升降装置
KR100959753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CN101181884B (zh) 升降装置
JP2009143676A (ja) 転倒防止装置
US2777538A (en) Vehicle frame engaging accessory for automobile hoists
US3458013A (en) Multi-purpose vehicle lift
JPH06219276A (ja) 鉄道の保線車両の脱線回復装置
US4486936A (en) Apparatus for removing a roller or workpiece
US7513731B2 (en) Truck bed elevator
JPH0120395Y2 (ko)
KR200226088Y1 (ko) 차량용 리프트
JP3916895B2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格納装置
JP3001793B2 (ja) 軌陸作業車の脱輪復帰方法
JP3608181B2 (ja) 車両用昇降機のフラッパー装置
JP5313449B2 (ja) 車両リフト用リフトアップ位置決め装置
JPH086603Y2 (ja) 車輌運搬車
US5713714A (en) Tilt cylinder for an underreach assembly
US20040045338A1 (en) Collision repair rack
JP2951579B2 (ja) 昇降装置
JP2627411B2 (ja) リフト装置
JP2006232542A (ja) 車両整備用リフト装置
JP2002248984A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2541780Y2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ステージリンク機構
JP200034448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トラックへの搭載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