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24Y1 -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24Y1
KR200410524Y1 KR2020050036490U KR20050036490U KR200410524Y1 KR 200410524 Y1 KR200410524 Y1 KR 200410524Y1 KR 2020050036490 U KR2020050036490 U KR 2020050036490U KR 20050036490 U KR20050036490 U KR 20050036490U KR 200410524 Y1 KR200410524 Y1 KR 200410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expansion
vehic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20050036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중앙이 관통된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차량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와 상부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링크부재(131)를 힌지 결합하고 작동수단(132)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기구(1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144)를 신축 플레이트(141)의 수용공간(143)에 형성하고 슬라이드 바(144)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45)을 형성한 신축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상부 플레이트, 링크부재, 신축장치, 슬라이드 바

Description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Automobile Lift with Means of Length Adjustment}
도 1 은 본 고안의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상부 플레이트에 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가 상부 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일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가 상부 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일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베이스에 스토퍼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4지주식 차량용 리프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용 리프트 110: 베이스
111: 스토퍼 120: 상부 플레이트
121: 삽입공 122: 공간부
122a: 가이드홈 130: 승강기구
131: 링크부재 131a: 제 1 링크부재
131b: 제 2 링크부재 132: 작동수단
133: 실린더 133a: 실린더 하우징
133b: 실린더 로드 134: 수평바
140: 신축장치 141: 신축 플레이트
142: 개구부 143: 수용공간
143a: 가이드 홈 144: 슬라이드 바
144a: 가이드 돌기 145: 구동수단
146: 실린더 146a: 실린더 하우징
146b: 실린더 로드
본 고안은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바퀴를 받쳐들어 올리는 하부계통, 오일교환 등의 일반정비 및 휠을 자유롭게 하여 휠 얼라인먼트 등의 하체계통 정비 등의 작업이 가능한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X형 리프트, 시저스형 리프트 및 4주식 리프트등이 있다.
정비 차량이 올라탐이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에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며 상부 플레이트를 링크부재와 실린더등의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장치에 의해 지지하여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정비 차량이 올려진 상부 플레이트를 들어올려 휠 얼라인먼트 등의 정비작업을 할 수 있는 휠 얼라인먼트 전용 정비 리프트가 있다.
또한, 차량의 바디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차량의 전후 타이어 사이보다 짧은 치수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승강장치로 지지하여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를 들어올려 하체부분의 정비 작업을 할 수 있는 일반정비 전용 리프트가 있다.
상기 일반정비 전용 리프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차량의 하체 부분의 작업성이 용이한 반면,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아 휠 얼라인먼트 정비 작업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휠 얼라인먼트 정비 작업과 일반정비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가지 방식의 리프트를 각각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리프트 구입에 대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었고 또한 리프트를 설치할 공간이 두 배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정비 목적에 따라서 차량의 보강부를 지지하거나 양 바퀴를 지지하여 차량의 하부계통의 일반정비 및 휠 얼라인먼트 정비등의 정비 목적에 따라서 차량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중앙이 관통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차량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와 상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링크부재를 형성하여 힌지 결합하고 작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기구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신축 플레이트의 수용공간에 형성하고 슬라이드 바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형성한 신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가 상부 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일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가 상부 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일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의 슬라이드 바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의 베이스에 스토퍼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장치가 4지주식 차량용 리프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10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중앙이 관통된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차량의 저면 보강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와 상부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제 1 링크부재(131a)와 제 2 링크부재(131b)로 교차 형성된 X형 링크부재(131)를 형성하고 링크부재(131)에 수평바(134)를 형성하며 수평바(134)에 링크부재(131)를 상하 작동시키는 실린더(133)를 형성하되 실린더 로드(133b)를 수평바(134)에 고정하고 저면을 베이스(110)에 고정하는 작동수단(132)을 형성한 승강기구(1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144)를 개구되어 관통된 신축 플레이트(141)의 수용공간(143)에 슬라이드 되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바(144)를 작동시키는 실린더(146)를 수용공간(143)에 형성하되 실린더 하우징(146a)을 수용공간(143)에 고정 결합하며 실린더 로드(146b)를 슬라이드 바(144)에 고정 결합한 구동수단(145)을 형성한 신축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측이 개방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방 상측에는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111)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삽입공(121)을 구비한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차량의 저면 보강부만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122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기구(130)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베이스(110) 사이에 형성되어 X형으로 교차 된 한 쌍의 링크부재(131)와 상기 링크부재(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구(130)의 링크부재(131)는 하측이 베이스(110)에 힌지 결합되고 상측이 상부 플레이트(120)에 대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링크부재(131a)와, 상기 제 1 링크부재(131a)의 중간에 교차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하측이 베이스(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이 상부 플레이트(120)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링크부재(131b)와, 상기 제 1 링크부재(131a)에 양단이 결 합 된 수평바(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구(130)의 작동수단(132)은 실린더(133)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실린더(133)의 실린더 하우징(133a) 하측이 베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33b)가 수평바(134)의 중간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33b)의 신축에 따라서 링크부재(131)가 작동되어 상부 플레이트(12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신축장치(140)는 수용공간(143)을 형성한 신축 플레이트(141)와, 상기 수용공간(143)에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로 삽입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바(144)와, 상기 슬라이드 바(144)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45)으로 형성된다.
상기 신축장치(140)의 신축 플레이트(141)는 적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된 개구부(142)를 구비한 수용공간(143)을 형성한다.
여기서, 신축 플레이트(141)를 상부 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되 일 측을 베이스(110)의 스토퍼(111) 절곡부에 밀착 위치시켜 상부 플레이트(120) 작동시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공간(143) 양측면에는 공간부(122)의 가이드 홈(122a)과 동일한 가이드 홈(143a)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장치(140)의 슬라이드 바(144)는 신축 플레이트(141)의 수용공간(143)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바(144)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122a, 143a)에 삽입되어 가 이드 되는 가이드 돌기(144a)가 외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신축장치(140)의 구동수단(145)은 실린더(146)를 구비하여 신축 플레이트(141)의 수용공간(143)에 형성하되 실린더(146)의 실린더 하우징(146a)을 수용공간(143)에 결합 고정하고 실린더 로드(146b)를 슬라이드 바(144)에 결합 고정하여 실린더 로드(146b)의 작동으로 슬라이드 바(144)를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 삽입 슬라이딩 시킨다.
아울러, 구동수단(145)의 실린더(146)를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146)에 압축기 등의 동력원을 하나로 연결하여 한번의 동력원 조작으로 실린더(146)를 동시에 작동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신축장치(140)를 4주식 리프트의 상부 플레이트(1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비자가 차량의 기종 및 차량의 저면 보강부를 받쳐 차량을 들어올릴 것인지 바퀴를 받쳐 들어올릴 것인지 정비목적에 맞추어 신축장치(140)의 신축 플레이트(141)를 상부 플레이트(120)에 결합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차량의 차체점검이나 오일교환 등의 일반 정비 등으로 신축 플레이트(141) 미결합으로 결정되면 신축장치(140)를 스토퍼(111)에 밀착시켜 위치시켜 상부 플레이트(120)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신축장치(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에 미 결합된 상태로 차량을 리프트(100)의 상부 플레이트(120)에 차량의 저면 보강부가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뒤 승강기구(130)의 작동수단(132)을 작동시켜 상 부 플레이트(120)를 상부로 상승시켜 차량의 정비 및 점검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차량의 전장이 길거나 휠 얼라인먼트 등의 정비 및 점검 등으로 차량의 바퀴를 받쳐야 할 경우 신축장치(140)를 스토퍼(111)에 밀착 위치시키되 신축 플레이트(141)의 개구부(142)가 공간부(122)의 삽입공(121)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다.
여기서, 신축장치(140)가 위치하게되면 구동수단(145)을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146b)를 신장시켜 슬라이드 바(144)가 수용공간(143)에서 토출 되면서 상부 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1)을 통하여 공간부(122) 내부로 삽입 슬라이드 되어 신축장치(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에 일체로 결합한다.
다음으로 정비 차량을 신축장치(140)가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120)로 이동시킨 뒤 승강기구(130)의 작동수단(132)을 작동시켜 상부 플레이트(120)을 상부로 상승시켜 차량의 정비 및 점검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는 신축장치가 상부 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차량의 하체부분 정비와 휠 얼라인먼트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리프트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량용 리프트 구입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장치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의 길이가 연장되어 중소형 차량뿐만 아니라 대형차량의 기종에 관계없이 정비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고, 하체부분 정비 와 휠 얼라인먼트 정비 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신축 플레이트에 의해 작업 가능 범위가 추가되어 정비자에게 최상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정비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동수단을 실린더로 사용하여 슬라이드 바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작이 간편하며 신축 플레이트의 수용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안정성이 보장되고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입출이 방해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돌기와 가이드 홈에 의해 슬라이드 바의 슬라이딩 작동과 고정력이 증대되고 슬라드시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중앙으로 관통된 삽입공(121)을 구비한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차량의 저면 보강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와 상부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제 1 링크부재(131a)와 제 2 링크부재(131b)로 교차 형성된 X형 링크부재(131)를 형성하고 링크부재(131)에 수평바(134)를 형성하며 수평바(134)에 실린더 로드(133b)를 결합 고정하고 실린더 하우징(133a)를 베이스(110)에 고정한 실린더(133)로 링크부재(131)를 상하 작동시키는 작동수단(132)을 형성한 승강기구(1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144)를 양측이 개구되어 관통된 신축 플레이트(141)의 수용공간(143)에 슬라이드 되게 형성하고 슬라이드 바(144)에 결합되는 실린더(146)를 수용공간(143)에 형성하되 실린더 하우징(143a)을 수용공간(143)에 결합 고정하며 실린더 로드(143b)를 슬라이드 바(144)에 결합 고정하여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로 삽입 슬라이드 시키는 구동수단(145)을 형성한 신축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와 신축 플레이트(141)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 홈(122a, 143a)을 형성하고 가이드 홈(122a, 143a)에 결합 가이드 되는 가이드 돌기(144a)를 슬라이드 바(144)의 양 측면에 형성하여 구동수단(145) 작동으로 공간부(122)에 슬라이드 바(144) 삽입 슬라이드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 스토퍼(111)를 형성하여 신축장치(140)의 신축 플레이트(141)의 위치를 설정하여 상부 플레이트(120)의 공간부(122)에 슬라이드 바(144) 삽입 슬라이드가 용이하고 상부 플레이트(120)만 작동시 신축 플레이트(141)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KR2020050036490U 2005-12-27 2005-12-27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KR200410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90U KR200410524Y1 (ko) 2005-12-27 2005-12-27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90U KR200410524Y1 (ko) 2005-12-27 2005-12-27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24Y1 true KR200410524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90U KR200410524Y1 (ko) 2005-12-27 2005-12-27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37B1 (ko) * 2013-12-20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하중 계측장치
KR101732437B1 (ko) * 2015-08-11 2017-05-04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더블 익스텐션 시져스타입 리프트
KR102629714B1 (ko) 2023-03-28 2024-01-29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자동평형 유지기능이 강화된 비례제어식 리프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337B1 (ko) * 2013-12-20 2015-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하중 계측장치
KR101732437B1 (ko) * 2015-08-11 2017-05-04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더블 익스텐션 시져스타입 리프트
KR102629714B1 (ko) 2023-03-28 2024-01-29 대일리프트 주식회사 자동평형 유지기능이 강화된 비례제어식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90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KR200410524Y1 (ko) 신축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리프트
TW200827212A (en) Lift for vehicle maintenance
CN110844832A (zh) 车辆用升降装置
US5984270A (en) Jack safety device
TWI259826B (en) Vehicle lifting platform used in maintenance
JP4422361B2 (ja) 自動車整備用リフト装置
JP2004315209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H10238240A (ja) 防水扉の起立補助装置
KR200377496Y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하강잠금해제 구동에어실린더 설치구조
JP3228954B2 (ja) プラットホーム上に自動車を駐車させるためのパーキング装置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0144797B1 (ko) X링크식 승강장치
JPH08259192A (ja) 片上げ式自動車整備用リフト
KR200294516Y1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100499973B1 (ko) 콘크리트펌프카의 아웃트리거장치
CN215726836U (zh) 一种机械车辆故障辅助诊断设备
KR20040012254A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JP3411970B2 (ja) 作業車のアウトリガジャッキ
KR200377497Y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승강실린더 회동간섭 방지구조
JP2004283189A (ja) 車両設置式の介護用リフト装置
KR200353503Y1 (ko) 에어 댐핑 스토퍼
KR200495135Y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KR200320302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040092199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