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03Y1 - 에어 댐핑 스토퍼 - Google Patents

에어 댐핑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03Y1
KR200353503Y1 KR20-2004-0008173U KR20040008173U KR200353503Y1 KR 200353503 Y1 KR200353503 Y1 KR 200353503Y1 KR 20040008173 U KR20040008173 U KR 20040008173U KR 200353503 Y1 KR200353503 Y1 KR 200353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top
air
pallet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서대용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20-2004-0008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23Pivoting stop, swinging in or out of the path of the art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댐핑 스토퍼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 댐핑 스토퍼는, 이동 중인 물체(2)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00)로서, 상기 물체(2)의 이동 라인 상에서 상기 물체(2)의 선단부(21)와 접촉하여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부재(150)와; 상기 스톱부재(150)와 상기 물체(2)가 충돌할 때의 충격을 댐핑시키기 위한 에어 댐퍼부(130)와; 상기 이동 중인 물체(2)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제 1 위치(도1에서 스토퍼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물체(2)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제 2 위치로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에 의하면, 차량 시트와 같은 비교적 큰 하중의 작업물을 적재하는 파레트와 같은 물체(2)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상에서의 스토퍼 작동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비교적 큰 충격량을 에어 댐핑에 의해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율적인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댐핑 스토퍼{AIR-DAMPING STOPPER}
본 고안은 에어 댐핑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댐핑시킴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견고한 스톱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퍼로서, 차량 시트와 같은 비교적 큰 하중의 작업물을 적재하는 파레트와 같은 물체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상에서의 스토퍼 작동시, 큰 충격량을 에어 댐핑에 의해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율적인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조립과정의 콘베이어 상에서 작업물은 파레트 상에서 적재되어 작업장소로 이송된다. 이러한 콘베이어 공정 설비의 일반적인 종래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콘베이어(1)에 의해 작업장소에 파레트(2)가 도착하면 스토퍼(3)에 의해 파레트(2)의 이동이 정지된다. 도면에는 파레트(2)만 도시되어 있으나, 파레트(2)에는 예컨대 차량 시트와 같은 작업물이 적재된 상태이다. 스토퍼(3)에 의해 파레트(2)가 정지된 후, 작업물에 대해 예컨대 조립, 검사 등의 필요한 작업을 위해 상기 파레트(2)는 별도의 파레트 승강장치(4)에 의해 콘베이어(1)에서 약간 떨어지게 상승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파레트(2)의 선단부(21)가 스토퍼(3)의 탄성댐퍼(31)에 의해 접촉되어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파레트(2)가 정지되어 있으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파레트 승강장치(4)의 공압 구동 액추에이터(42)가 작동하여 푸시 플레이트(44)가 상승하여 파레트(2)를 콘베이어롤(11)에서부터 약간 상승시키게 된다. 콘베이어(1)는 연속적으로 회동하는 콘베이어롤(11)로 구성되며, 이 콘베이어롤(11)들은 콘베이어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파레트 승강장치(4) 및 스토퍼(3)도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조립이나 검사 등의 작업이 종료되면, 승강장치(4)에 의해 파레트(2)가 다시 콘베이어롤(11) 상으로 하강하여 다시 다음 작업장소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스토퍼(3)도 탄성 댐퍼(31)를 하강시켜 파레트(2)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탄성 스프링 댐핑 구조의 스토퍼는 도 2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3)는 로커아암(32)의 상단에 설치된 대체로 고무 재질의 탄성 댐퍼(31)와 로커아암(32)이 힌지(37)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승강로드(33)와, 승강로드(33)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에어파이프(35, 36)가 연결되어 있는 공압 승강구동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로드(33)의 상단 측에는 로커아암(32)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돌기(38)가 더 설치되어 있다. 탄성 댐퍼(31)는 초기 위치(31a)에 존재한 상태로 파레트가 이동하여 오기를기다린다.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파레트가 이동하여 오면, 파레트에 의해 댐퍼(31)에 충격량이 가해져 로커아암(32)은 화살표 C로 표시된 것과 같이 회전한다. 이 회전은 돌기(38) 및 힌지(37)에 설치된 스프링 등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스톱위치(31b)에 댐퍼(31)가 정지함으로써, 파레트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필요한 작업이 종료된 후, 파레트가 화살표 A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야 할 경우, 승강구동부(34)가 작동한다. 예컨대 에어파이프(35)를 통해 에어가 공급(화살표 F)됨으로써 화살표 E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로드(33)가 하강한다. 이에 따라 로커아암(32) 및 탄성 댐퍼(31)가 전체적으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파레트는 콘베이어롤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파레트가 전부 이동한 후, 승강구동부(34)가 다시 작동 즉 에어파이프(36)을 통해 에어가 공급(화살표 G)되면, 화살표 E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로드(33) 및 로커아암(32)이 상승한다. 이때 탄성 댐퍼(31)는 초기위치(31a)에 있다. 그런데, 종종 이미 지나간 파레트에 있는 작업물에 대한 필요한 작업이 누락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작업자는 파레트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역이동시켜 누락된 작업공정을 다시 할 수 있다. 역이동하는 파레트의 후단부에 의해 탄성 댐퍼(31)에 충격량이 가해진다. 그러면 로커아암(32)이 힌지(37)를 중심으로 역방향통과 위치(31c)까지 회전하여 파레트의 역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에 로커아암(32)은 힌지(37)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31a)로 복귀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스톱 동작 과정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토퍼(3)에 있어서는, 작업물의 무게에 의한 충격량이 큰 경우, 예컨대 파레트의 무게 및 차량 시트의 무게와 같이 대중량의 경우와 같이 충격량이 큰 경우에는, 로커 아암(32)의 힌지(37) 부분이 잘 부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탄성 댐퍼(31)에 인가되는 충격량이 로커 아암(32)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로커 아암(32)에 전달된 충격량은 파레트가 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돌기(38)로 전달되어 로커 아암(32)의 파손 위험이 존재하며,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힌지(37) 부분에 전부 전달되어 힌지의 파손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로커 아암(32)이 커져야 하고 따라서 이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승강구동부의 공압 출력이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져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 이러한 스프링 탄성 댐퍼 스토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49217호의 등록공보에는 유압 댐핑 구조를 갖는 충격 흡수 스토퍼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 댐핑 스토퍼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스토퍼는 하우징(68)에 에어파이프(69)가 설치되고 공압 작동식 승강구동부(67)를 포함하고, 이 승강구동부(67)의 작동에 따라 승강플런저(66)를 상승시킴으로써 파레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로 로커암(62)과 유압 댐퍼(61)를 상승시킨다. 유압 댐퍼(61)는 파레트와 접촉함으로써 파레트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유압 댐퍼(61)의 내부에는 스프링과 유체가 채워져 있는 공간이 있어, 파레트가 댐퍼(61)에 가하는 충격량이 유압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 유압 댐퍼(61)는 로커암(62)에 의해 지지되며, 로커암(62)은 승강플런저(66)에 힌지(63)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로커암(62)에 형성된 경사면과 파레트가 충돌하게 된다. 이 충격량에 의해 로커암(62)은 힌지(63)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파레트의 역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로커암(62)의 초기 위치는 별도의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구된다. 이러한 유압 댐핑 스토퍼의 경우에는, 스프링과 유압이 가지는 하중부담력의 한계로 큰 중량에서의 사용이 어려울뿐 아니라 유압 댐퍼가 고장났을 때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 흡수 댐핑 스토퍼가 가지는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더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쉽고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고충격량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스톱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스토퍼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댐핑 스토퍼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에어 댐핑 구조의 스토퍼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작용 공압을 조절함으로서 충격 흡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새로운 에어 댐핑 구조의 스토퍼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베이어 상에서의 스토퍼 작동 및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프링 탄성 댐퍼 구조의 스토퍼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유압 스프링 댐퍼 구조의 스토퍼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댐핑 구조의 스토퍼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스토퍼가 역방향통과위치에 있을 때의 헤드 부분의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스토퍼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부분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에어 댐핑 스토퍼 110 : 승강구동부
111 : 베이스 112 : 에어구동공간
114,116 : 승강안내통로 122 : 주 승강로드
124,126 : 보조 승강로드 130 : 에어 댐퍼부
131 : 댐퍼 몸체 132 : 에어댐핑공간
133 : 댐퍼 로드 134, 135, 136 : 에어연결통로
150 : 스톱부재 152 : 고정 스톱헤드
155 : 가동 헤드부재 156 : 경사면
157 : 힌지 158 : 스프링
상술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 중인 물체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물체의 이동 라인 상에서 상기 물체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부재와; 상기 스톱부재와 상기 물체가 충돌할 때의 충격을 댐핑시키기 위한 에어 댐퍼부와; 상기 이동 중인 물체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스톱부재를 제 1 위치(도1에서 스토퍼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물체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부재를 다시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 댐핑 스토퍼에 의하면, 스톱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공기압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 스톱부재의 파손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고정된 스톱헤드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물체가 계속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체의 후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에 대하여 회동하는 가동 헤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헤드부재는 힌지에 의해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에는 상기 가동 헤드부재를 상기 스톱헤드에 대해 회동하지 못하게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동 헤드부재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 중인 물체의 후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예컨대 차량 시트를 적재한 파레트에 의해 역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량이 스톱부재 전체에 전달되지 않으면서도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최소한의 부품만이 동작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에 전달되는 충격량에 의한 스토퍼의 파손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공압 액추에이터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댐핑 스토퍼(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옆에서 본 부분단면도, 헤드부분 확대도, 위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예컨대 차량 시트와 같은 작업물을 조립 또는 검사할 수 있도록 파레트 상에 적재하여 콘베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작업 공정에서, 작업자의 위치에 상기 파레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에어 댐핑 구조를 갖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스토퍼의 일 실시예가 도 4에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00)는, 예컨대 차량 시트 등을 적재하고 있는 파레트인 물체(2)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톱부재(150), 에어 댐퍼부(130), 및 승강구동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톱부재(150)는 파레트(2)의 이동 라인 상에서 이동하여 오는 파레트(2)의 선단부(21)와 접촉함으로써, 파레트(2)의 이동을 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톱부재(150)에는 예컨대 순방향으로 이동하는(화살표 H) 예컨대 차량 시트를 적재하고 있는 파레트(2)의 충돌에 의하여 강한 충격량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량을 댐핑 즉 흡수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에어 댐퍼부(130)가 제공된다. 에어 댐퍼부(130)는 스톱부재(150)가 일단에 고정되는 댐퍼로드(133)를 수용하는 댐퍼몸체(131)로 이루어진다. 댐퍼몸체(131)의 내부는 댐퍼로드(133)의 타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에어 댐핑 공간(132)이 형성된다. 파레트(2)가 스톱부재(150)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량은 댐퍼로드(133)로 전달된다. 댐퍼로드(133)에 전달된 충격량은 에어 댐핑 공간(132) 내의 공기압에 의해 댐핑될 수 있다. 에어 댐핑 공간(132)은 에어 연결통로(134, 135, 136)를 통해 외부 또는 에어 공급부(미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부는 에어 댐핑 공간(132)에 채워져 있는 에어의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에어 연결통로(134, 135, 136)는 에어 댐핑 공간(132)의 에어에 충격량이 전달되는 경우 갑작스런 에어 압력 증가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연결통로(134, 135, 136)는 하나 이상의 에어 댐핑 공간(132)과 하나의 에어 공급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적인 연결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톱부재(150) 및 에어 댐핑부(130)를 가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00)에 의하면, 별도의 아암 없이 스톱 작용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강한 충격량이 작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에어 댐핑부(130) 내의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100)는 상기 이동 중인 물체(2)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제 1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물체(2)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다시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1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승강구동부(110)는 에어파이프(미도시됨)에 의해 공급되는 공압 액추에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구동부(110)는 하단의 베이스(111) 부재와 베이스(111) 위에 고정된 몸체(119)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가진다. 이 프레임 내부에는 에어구동공간(112) 및 안내 공간(116, 114)이 형성된다. 에어 구동 공간(112)으로는 예컨대 에어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112, 114, 116)내에서 예컨대 에어 압력 즉 공압에 의해 승강로드(122, 124, 126)가 상하로(화살표 K 참조)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승강로드(122, 124, 126)의 상단에는 에어 댐핑부(130)의 몸체(131)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로드(122, 124, 126)의 상하운동에 따라 몸체(131) 및 몸체(131)에 삽입되어 있는 스톱부재(15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톱부재(150)의 상.하 이동과정을 보면, 상기 스톱부재(150)가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스톱부재(150)를 하강시키기 위해 압축공기를 피스톤(123)과 몸체실린더(115) 사이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공급되는 에어 중 일부가 승강구동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미 도시됨)를 따라 에어연결통로(136)로 유입됨으로서 충돌로 인해 댐핑공간(132) 내부로 밀려들어와 있던 댐퍼로드가 다시 밀려나가게 된다. 이어서 승강로드를 공압으로 상승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부재(150)가 물체와 충돌전의, 상승된 제 1 위치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톱부재(15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고정된 스톱헤드(152)를 가진다. 스톱헤드(152)에는 에어 댐핑부(130)의 댐퍼로드(133)가 고정된다. 또한 스톱부재(150)는 가동 헤드부재(155)를 더 가질 수 있다. 가동 헤드부재(155)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높이를 가지며, 예컨대 파레트와 같은 물체가 이동하여 오면 충돌하는 부분이다. 가동 헤드부재(155)는 스톱헤드(152)와 밀착되어 있는 초기 위치를 가진다. 파레트가 순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다가 가동 헤드부재(155)에 충돌하는 경우에 그 충격량은 전부 스톱헤드(152)로 전달되며, 차례로 에어 댐핑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가동 헤드부재(155)는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15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파레트의 후단부는 가동 헤드부재(155)에 충돌한다. 이때, 고정된 스톱헤드(152)에는 파레트가 닿지 않고 오직 가동 헤드부재(155)에만 충돌하게 된다. 이것은 가동 헤드부재(155)의 상단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톱헤드(152)의 상단부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155a)함으로써 가능하다. 가동 헤드부재(155)는 그 하단부에서 고정 스톱헤드(152)에 힌지(157)와 스프링(15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파레트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가동 헤드부재(155)가 회동하여, 가동 헤드부재(155)의 상단부는 화살표 J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톱헤드(152)의 상단부 높이 아래로(155b) 내려갈 수 있고, 따라서 파레트는 화살표 I로 표시된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158)은 평소에 가동 헤드부재(155)를 상기 스톱헤드(152)에 대해 회동하지 못하게 가압하여, 가동 헤드부재(155)가 스톱위치(155a)에 존재하도록 강제한다. 그리고 파레트에 의한 충격량에 의해 가동 헤드부재(155)가 역방향통과위치(155b)로 내려온 후, 파레트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158)의 탄성력은 가동 헤드부재(155)를 스톱위치(155a)로 복귀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동 헤드부재(155)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 중인 물체(2)의 후단부(22)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15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레트에 의한 충격량에 의해 가동 헤드부재(155)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여러 특징들을 변형하고 수정하며 조합한 다른 실시예들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댐핑 스토퍼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더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쉽고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고충격량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스톱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스토퍼가 제공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이동 중인 물체(2)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00)로서,
    상기 물체(2)의 이동 라인 상에서 상기 물체(2)의 선단부(21)와 접촉하여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부재(150)와;
    상기 스톱부재(150)와 상기 물체(2)가 충돌할 때의 충격을 댐핑시키기 위한 에어 댐퍼부(130)와;
    상기 이동 중인 물체(2)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제 1 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물체(2)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부재(150)를 다시 하강시키는 승강구동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15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고정된 스톱헤드(152)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15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물체(2)의 후단부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상기 물체(2)가 계속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152)에 대하여 회동하는 가동 헤드부재(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헤드부재(155)는 힌지(157)에 의해 상기 고정된 스톱헤드(152)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157)에는 상기 가동 헤드부재(155)를 상기 스톱헤드(152)에 대해 회동하지 못하게 가압하는 스프링(15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헤드부재(155)는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 중인 물체(2)의 후단부(22)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15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150)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물체(2)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다시 하강하기 위해 에어가 피스톤(123)과 몸체실린더(115) 사이에 공급될때, 공급된 에어 중 일부가 댐핑공간(132)으로 유입되어 상기 스톱부재(150)가 상기 물체와 충돌전의 위치로 밀려나오게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10)는 공압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스토퍼.
KR20-2004-0008173U 2004-03-24 2004-03-24 에어 댐핑 스토퍼 KR200353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73U KR200353503Y1 (ko) 2004-03-24 2004-03-24 에어 댐핑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73U KR200353503Y1 (ko) 2004-03-24 2004-03-24 에어 댐핑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03Y1 true KR200353503Y1 (ko) 2004-06-18

Family

ID=4943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73U KR200353503Y1 (ko) 2004-03-24 2004-03-24 에어 댐핑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814B1 (ko) * 2005-04-27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동 충격흡수장치
KR20210036554A (ko) 2019-09-26 2021-04-05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에어 댐퍼
US11059671B1 (en) 2020-03-20 2021-07-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assette stopping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814B1 (ko) * 2005-04-27 2006-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동 충격흡수장치
KR20210036554A (ko) 2019-09-26 2021-04-05 한국에스엠씨 주식회사 에어 댐퍼
US11059671B1 (en) 2020-03-20 2021-07-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assette stopp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8963A1 (en) Lifter with Linkage Mechanism
CN108891897A (zh) 用于上台面装配输送线的挡料装置
KR200353503Y1 (ko) 에어 댐핑 스토퍼
CN106217011A (zh) 一种新型卧式轴承压装机
KR101783698B1 (ko) 전기자동차의 변속기 시험용 고정장치
CN109019348B (zh) 一种积放吊具防撞结构
KR20020066927A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0942593B1 (ko) 고소작업차용 포트홀 바
KR200380845Y1 (ko) 유공압 댐핑 스토퍼
CN201012900Y (zh) 随行叉式升降机
CN2716213Y (zh) 重型止动器
CN109911033B (zh) 一种飞翼车厢
CN101338499B (zh) 缝纫机
CN111015265B (zh) 一种倍速链工装板定位装置
CN206049636U (zh) 制动踏板结构
JP2019116339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KR0144797B1 (ko) X링크식 승강장치
KR100277374B1 (ko) 리프트의 하강금지장치
CN109909665B (zh) 一种半挂车架拼装台
CN219839404U (zh) 一种剪式千斤顶
CN207018811U (zh) Poc型煤气柜
WO2021039078A1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CN212609369U (zh) 一种堆高车
JP3877299B2 (ja) 油圧ジャッキ装置
CN219413101U (zh) 一种带内置式限位阀的液压油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3

Year of fee payment: 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