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33B1 -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33B1
KR102147333B1 KR1020180161286A KR20180161286A KR102147333B1 KR 102147333 B1 KR102147333 B1 KR 102147333B1 KR 1020180161286 A KR1020180161286 A KR 1020180161286A KR 20180161286 A KR20180161286 A KR 20180161286A KR 102147333 B1 KR102147333 B1 KR 10214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pair
link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036A (ko
Inventor
이종묵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이종묵
이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묵, 이정은 filed Critical 이종묵
Priority to KR102018016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B66F13/005Thrust chai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직립체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링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제1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확장편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제2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확장편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되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와, 제2 지지편과 인접한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제1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조각편과, 제1 지지편과 인접한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제1 조각편과 교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과,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연결축과, 한 쌍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제1 조각편과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축, 및 한 쌍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제2 체결홀과 제2 조각편을 관통하며 제1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축을 포함하되, 링크유닛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하중은, 제1 확장편과 제2 확장편 및 연결축이 연결된 부분과, 제1 지지편과 제1 조각편 및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 및 제2 지지편과 제2 조각편 및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되되, 제1 지지편과 제1 조각편 및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과, 제2 지지편과 제2 조각편 및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에 편중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Upright chain and lif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하게 굴절되어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장치는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킬 때 사용되며, 유압실린더나 시저 리프트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다. 유압실린더 방식은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로 물체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유압펌프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유발되며,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높은 곳까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다단 실린더를 사용해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여 고소(高所)로 물체를 들어올리기에 용이하지 않다. 또한, 시저 리프트 방식은 물체의 수직 상승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리프트의 링크 수가 증가하게 되며, 링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프트의 기본 높이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낮은 곳에서 시작하여 높은 곳까지 도달하는 리프트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으며, 링크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상승 높이는 증가하게 되나 리프트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크기가 작고 소음이 적으면서 높은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유연하여 보관이 용이한 체인을 직립으로 세워 수직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체인은 직립 구동을 위해 일 측에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해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조 및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체인, 및 이러한 체인이 적용된 리프트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355호 (2014. 12.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연하게 굴절되어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직립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연하게 굴절되어 수납이 용이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직립체인을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링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확장편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확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편과 인접한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인접한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조각편과 교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과,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조각편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유닛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하중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상기 제2 확장편 및 상기 연결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되되,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에 편중된다.
상기 제2 확장편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고, 상기 제2 확장편과 상기 제1 확장편이 중첩된 부분의 두께와,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이 중첩된 두께,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이 중첩된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제1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되 상기 제1 연결편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연결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립체인은,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조각편을 상기 제1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2 조각편을 상기 제2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고정핀은 각각,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1 연결홀 사이, 또는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은 각각,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사이 또는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은 각각,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직립체인은, 상기 연결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로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을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는, 하우징과,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직립체인과, 상기 직립체인의 끝단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상기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링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확장편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확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편과 인접한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인접한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조각편과 교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과,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연결축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조각편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유닛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하중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상기 제2 확장편 및 상기 연결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되되,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에 편중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양단에 각각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로울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조각편을 상기 제1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2 조각편을 상기 제2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은 각각,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판에 안착되며, 상기 리프트 장치는, 일 측이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링크막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립체인이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직립체인은 일 측에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구동축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직립체인은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이 크지 않아 리프트의 최저점 높이가 높지 않으며, 직립체인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고소(高所)까지 상승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직립체인은 작동 소음도 매우 적으며, 장치의 크기가 작고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링크유닛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크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링크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직립체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직립체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직립체인의 수직 상승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링크유닛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직립체인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은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직립체인은 일 측에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구동축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직립체인은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이 크지 않아 리프트의 최저점 높이가 높지 않으며, 직립체인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고소(高所)까지 상승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직립체인은 작동 소음도 매우 적으며, 장치의 크기가 작고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직립체인(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링크유닛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링크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직립체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직립체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체인(10)은 링크유닛(100)이 기본 단위를 이루며, 복수 개의 링크유닛(100)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직립체인(10)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100)이 일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체인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링크유닛(100)은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와, 한 쌍의 제1 조각편(130)과, 한 쌍의 제2 조각편(140)과, 연결축(150)과, 제1 구동축(160), 및 제2 구동축(170)을 포함한다.
제1 링크플레이트(110)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링크플레이트(110)는 제1 지지편(111)과 제1 확장편(112), 및 제1 연결편(113)을 포함한다. 제1 지지편(111)은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일 측을 이루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편(11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111a)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에 제1 확장편(112)이 배치된다. 제1 확장편(112)은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타 측을 이루는 것으로, 제1 지지편(111)보다 너비가 확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편(112)은 제1 지지편(111)과 대향되는 타 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111a)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제1 체결홀(111a)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체결홀(111a)은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편(111)에 하나의 제1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경우, 제1 체결홀(111a)과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은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편(111)에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경우,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과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은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제1 지지편(111)에 하나의 제1 체결홀(111a)이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지지편(111)과 제1 확장편(112)은 제1 연결편(11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연결편(113)은 일 측이 제1 지지편(111)에 결합되고 타 측이 제1 확장편(112)에 결합되어 제1 지지편(111)과 제1 확장편(112)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 확장편(112)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태,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편(113)은 제1 지지편(111)과 결합되는 일 측이 목(neck)의 형상과 같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지지편(111)과 제1 확장편(112), 및 제1 연결편(113)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지지편(111)과 제1 확장편(112), 및 제1 연결편(113)은 일체 구조로서,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판 상의 부재로, 한 쌍이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제2 지지편(121)과 제2 확장편(122), 및 제2 연결편(123)을 포함한다. 제2 지지편(121)은 제2 링크플레이트(120)의 일 측을 이루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편(121)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121a)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에 제2 확장편(122)이 배치된다. 제2 확장편(122)은 제2 링크플레이트(120)의 타 측을 이루는 것으로, 제2 지지편(121)보다 너비가 확장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장편(122)은 제2 지지편(121)과 대향되는 타 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제2 체결홀(121a)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제2 체결홀(121a)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체결홀(121a)은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편(121)에 하나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되는 경우, 제2 체결홀(121a)과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은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편(121)에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되는 경우,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과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은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제2 지지편(121)에 하나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2 지지편(121)과 제2 확장편(122)은 제2 연결편(1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연결편(123)은 일 측이 제2 지지편(121)에 결합되고 타 측이 제2 확장편(122)에 결합되어 제2 지지편(121)과 제2 확장편(122)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2 확장편(122)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태,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편(123)은 제2 지지편(121)과 결합되는 일 측이 목(neck)의 형상과 같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지지편(121)과 제2 확장편(122), 및 제2 연결편(123)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지지편(121)과 제2 확장편(122), 및 제2 연결편(123)은 일체 구조로서, 제2 링크플레이트(120)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제1 연결홀(112a)과 제2 연결홀(122a)이 연통되도록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일부 영역이 중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확장편(122)이 제1 확장편(112)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고, 제2 연결편(123)이 제1 연결편(113)과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너비가 확장 형성된 제2 확장편(122)이 제1 확장편(112)과 일부 영역이 중첩됨으로써, 제2 확장편(122)과 일 측으로 인접한 제2 확장편(122)이 서로 접하고, 제1 확장편(112)과 타 측으로 인접한 제1 확장편(112)이 서로 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립체인(10)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100)이 일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체인을 형성하며,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지지편(111)과 인접한 제1 지지편(111) 사이, 및 제2 지지편(121)과 인접한 제2 지지편(121) 사이에 이격 공간이 교대로 형성되며, 각각의 이격 공간에는 제2 조각편(140)과 제1 조각편(130)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조각편(130)은 제1 지지편(11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제2 지지편(121)과 인접한 제2 지지편(121) 사이에 개재되되 제1 지지편(111)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조각편(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각각, 제2 지지편(121)과 인접한 제2 지지편(121)에 면 접촉하여 수직 하중을 지지한다. 제1 조각편(130)은 제1 지지편(111)의 내측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지지편(111) 사이에 한 쌍의 제1 조각편(130)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각편(130)은 제1 고정핀(180)에 의해 제1 지지편(111)과 고정된다.
제1 고정핀(180)은 제1 조각편(130)을 제1 지지편(111)에 핀 결합하는 것으로, 제1 조각편(130)과 제1 지지편(111)이 중첩된 두께에 대응하는 핀 또는 봉 또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편(111)과 제1 조각편(130)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제1 고정핀(180)은 제1 체결홀(111a)과 제1 연결홀(112a) 사이에 결합되어 후술할 제1 구동축(160)과 함께 제1 조각편(130)과 제1 지지편(111)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조각편(140)은 제2 지지편(12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판 상의 부재로, 제1 지지편(111)과 인접한 제1 지지편(111) 사이에 개재되되 제2 지지편(121)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 조각편(140)은 제1 조각편(130)과 교대로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각각 제1 지지편(111)과 인접한 제1 지지편(111)에 면 접촉하여 수직 하중을 지지한다. 제2 조각편(140)은 제2 지지편(121)의 외측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140) 사이에 한 쌍의 제2 지지편(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각편(140)은 제2 고정핀(190)에 의해 제2 지지편(121)과 고정된다.
제2 고정핀(190)은 제2 조각편(140)을 제2 지지편(121)에 핀 결합하는 것으로, 제2 조각편(140)과 제2 지지편(121)이 중첩된 두께에 대응하는 핀 또는 봉 또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지지편(121)과 제2 조각편(140)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제2 고정핀(190)은 제2 체결홀(121a)과 제2 연결홀(122a) 사이에 결합되어 후술할 제2 구동축(170)과 함께 제2 조각편(140)과 제2 지지편(121)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조각편(130)과 제1 지지편(111)이 중첩된 두께와, 제2 조각편(140)과 제2 지지편(121)이 중첩된 두께, 및 제1 확장편(112)과 제2 확장편(122)이 중첩된 부분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각편(130)과 제1 지지편(111)이 중첩된 두께와, 제2 조각편(140)과 제2 지지편(121)이 중첩된 두께, 및 제1 확장편(112)과 제2 확장편(122)이 중첩된 부분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직립체인(10)이 균형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직립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연결축(15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연결축(150)은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제2 링크플레이트(120)를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제1 연결홀(112a)과 제2 연결홀(122a)을 동시에 관통하여 양단이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연결축(15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120)가 연결축(15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링크유닛(100)이 유연성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직립체인(10)을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다.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축(150)의 양단에는 각각, 링크유닛(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울러(151)와, 와셔(W), 및 로울러(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N)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편(111) 사이에는 제1 구동축(160)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구동축(160)은 스프로킷(50)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제1 조각편(130)과 제1 체결홀(111a)을 관통하여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스프로킷(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1 구동축(160)이 맞물림에 따라 제1 링크플레이트(110)가 이동하는 것이다. 제1 링크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구동축(160)의 양단에는 각각, 너트(N)가 결합되어 제1 구동축(16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편(121) 사이에는 제2 구동축(170)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구동축(170)은 제1 구동축(16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스프로킷(50)에 맞물리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제2 체결홀(121a)과 제2 조각편(140)을 관통하여 제2 조각편(14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스프로킷(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 사이에 제2 구동축(170)이 맞물림에 따라 제2 링크플레이트(120)가 이동하는 것이다. 제2 링크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구동축(170)의 양단에는 각각, 너트(N)가 결합되어 제2 구동축(17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제2 링크플레이트(120)는 서로 교대로 연결되어 링크유닛(100)을 형성한다. 이러한 링크유닛(100)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링크유닛(100)에 가해지는 하중, 즉, 압축력은, 제1 확장편(112)과 제2 확장편(122) 및 제1 연결축(150)이 연결된 부분과, 제1 지지편(111)과 제1 조각편(130) 및 제1 구동축(160)이 연결된 부분, 및 제2 지지편(121)과 제2 조각편(140) 및 제2 구동축(170)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된다. 이 때, 실질적인 하중은 제1 지지편(111)과 제1 조각편(130) 및 제1 구동축(160)이 연결된 부분과, 제2 지지편(121)과 제2 조각편(140) 및 제2 구동축(170)이 연결된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조각편(130)과 제2 지지편(121)이 면 접촉하는 부분, 및 제2 조각편(140)과 제1 지지편(111)이 면 접촉하는 부분에 편중되도록 설계되어, 직립체인(10)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직립체인(10)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직립체인의 수직 상승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체인(10)은 유연하게 굴절 가능하므로, 롤(roll) 형태로 말아 수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일 측에 스프로킷(50)과 맞물리는 제1 구동축(160) 및 제2 구동축(170)만 조립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을 위해 랙 기어(rack gear)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이 크지 않아 리프트의 최저점 높이가 높지 않으며, 직립체인(10)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고소(高所)까지 상승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 소음도 매우 적으며, 장치의 크기가 작고 간단하여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직립체인(10)은,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제2 링크플레이트(120)가 서로 교대로 연결되어 형성된 링크유닛(100)이 일렬로 연결되어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직립체인(10)의 끝단부에는 수평판(30)이 고정된다. 이러한 직립체인(10)은 일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타단부가 굴절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프로킷(50)에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직립체인(10)은 제1 링크플레이트(110)와 제2 링크플레이트(120)가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축(150)을 중심으로 미소하게 굴절되어 원호를 그리며 90°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로킷(50)이 제1 구동축(160) 및 제2 구동축(170)과 맞물리며 직립체인(10)을 상승시키면, 직립체인(1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며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스프로킷(50)이 제1 구동축(160) 및 제2 구동축(170)과 맞물리며 직립체인(10)을 하강시키면, 직립체인(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타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굴절되며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하강하는 직립체인(10)은 실질적으로 공급되는 길이에 따라 최종 상승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10)을 구성하는 링크유닛(100-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을 구성하는 링크유닛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직립체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10)은 제1 지지편(111)과 제2 지지편(121)에 각각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과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체인(10)은 제1 지지편(111)과 제2 지지편(121)에 각각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과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제1 지지편(111)에는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이 관통 형성되며,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은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 사이에 개재되어, 두 개의 제1 연결홀(112a)과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제1 지지편(111)에 두 개의 제1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1 체결홀(111a)에 제1 구동축(160)이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지지편(111) 사이에 두 개의 제1 구동축(160)이 개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편(111) 사이에 두 개의 제1 구동축(160)이 개재됨으로써, 링크유닛(100-1)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1 지지편(111)과 제1 조각편(130) 및 제1 구동축(160)이 연결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프로킷(50)과 보다 정밀하게 맞물릴 수 있다.
제2 지지편(121)에는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이 관통 형성되며,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은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 사이에 개재되어, 두 개의 제2 연결홀(122a)과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룰 수 있다. 제2 지지편(121)에 두 개의 제2 체결홀(121a)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2 체결홀(121a)에 제2 구동축(170)이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지지편(121) 사이에 두 개의 제2 구동축(170)이 개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편(121) 사이에 두 개의 제2 구동축(170)이 개재됨으로써, 링크유닛(100-1)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제2 지지편(121)과 제2 조각편(140) 및 제2 구동축(170)이 연결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프로킷(50)과 보다 정밀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하우징(20)과, 직립체인(10)과, 수평판(30)과, 가이드레일(40), 및 스프로킷(5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내부에 직립체인(10)을 수용하는 통 형상의 부재로, 베이스판(P)에 안착된다. 도면 상에는 하우징(20)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ㄴ' 형상의 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20)는 일 측에 직립체인(10)이 수직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직립체인(10)은 일단부가 하우징(20)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고, 타단부는 하우징(2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직립체인(10)의 끝단부에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30)이 수평하게 결합되며, 수평판(30)은 하우징(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면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 내부에는 직립체인(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이 결합되며, 가이드레일(4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직립체인(10)은 가이드레일(40)의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레일(4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부에 굴절 형성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가이드레일(40)의 형상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가이드레일(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40)은 굴절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달팽이관 형태와 같이 점차 작은 원을 그리며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프로킷(50)은 하우징(2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개구부와 접하는 가이드레일(4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직립체인(10)과 맞물려 직립체인(10)을 하우징(20)의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P)에는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링크막대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막대부(60)는 수평판(30)의 균형 유지를 위한 것으로, 직립체인(1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크막대부(60)는 일 측이 하우징(20) 외측의 베이스판(P)에 결합되고 타 측이 수평판(30)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61, 62)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직렬로 연결되어, 직립체인(10)이 승하강함에 따라 전개 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립체인(10)이 스프로킷(50)과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상승될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수직 평면 상에서 다단으로 펼쳐지고, 직립체인(10)이 수직 방향으로 하강할 때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수직 평면 상에서 다단으로 접힐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는 각각, 단부가 제1 가이드편(70)과 제2 가이드편(7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편(70)은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의 일 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2 가이드편(71)은 제1 가이드편(70)과 동일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되어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의 타 측 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단위 링크막대(60A, 60B, 60C)의 일 측 단부와 타 측 단부가 각각 제1 가이드편(70)과 제2 가이드편(7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링크막대부(60)가 보다 안정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편(70)과 제2 가이드편(7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막대(80A, 80B, 80C)에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가이드막대(80A, 80B, 80C)는 복수 개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립체인(10)이 승하강함에 따라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며 링크막대부(60)를 신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체인(10)이 상승될 때, 복수 개의 가이드막대(80A, 80B, 80C)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다단으로 펼쳐지며 링크막대부(60)를 펼칠 수 있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체인(10)이 하강할 때, 복수 개의 가이드막대(80A, 80B, 80C)는 다단으로 접히며 링크막대부(60)를 접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리프트 장치
10: 직립체인 100, 100-1: 링크유닛
110: 제1 링크플레이트 111: 제1 지지편
111a: 제1 체결홀 112: 제1 확장편
112a: 제1 연결홀 113: 제1 연결편
120: 제2 링크플레이트 121: 제2 지지편
121a: 제2 체결홀 122: 제2 확장편
122a: 제2 연결홀 123: 제2 연결편
130: 제1 조각편 140: 제2 조각편
150: 연결축 151: 로울러
160: 제1 구동축 170: 제2 구동축
180: 제1 고정핀 190: 제2 고정핀
20: 하우징 30: 수평판
40: 가이드레일 50: 스프로킷
60: 링크막대부 60A, 60B, 60C: 단위 링크막대
61, 62: 링크막대 70: 제1 가이드편
71: 제2 가이드편 80A, 80B, 80C: 가이드막대

Claims (13)

  1. 복수 개의 링크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직립체인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확장편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확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편과 인접한 링크유닛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조각편;
    상기 제1 지지편과 인접한 링크유닛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조각편과 교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조각편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유닛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하중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상기 제2 확장편 및 상기 연결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되되,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에 편중되는 직립체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편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고,
    상기 제2 확장편과 상기 제1 확장편이 중첩된 부분의 두께와,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이 중첩된 두께,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이 중첩된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직립체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제1 연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확장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확장편을 향하여 너비가 점차 확장되되 상기 제1 연결편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제2 연결편을 더 포함하는 직립체인.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조각편을 상기 제1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2 조각편을 상기 제2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직립체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고정핀은 각각,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1 연결홀 사이, 또는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 사이에 결합되는 직립체인.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은 각각,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사이 또는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 사이에 개재되는 직립체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은 각각,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루는 직립체인.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로울러를 더 포함하는 직립체인.
  9.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직립체인;
    상기 직립체인의 끝단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수평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직립체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직립체인과 맞물려 상기 직립체인을 상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상기 직립체인은 복수 개의 링크유닛이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링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제1 확장편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보다 너비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확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
    상기 제2 지지편과 인접한 링크유닛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조각편;
    상기 제1 지지편과 인접한 링크유닛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편과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조각편과 교대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조각편;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연결축;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조각편과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축;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편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조각편을 관통하며, 상기 제1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축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유닛이 수직으로 직립할 때 하중은, 상기 제1 확장편과 상기 제2 확장편 및 상기 연결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 및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으로 나뉘어 분배되되,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 및 상기 제1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 및 상기 제2 구동축이 연결된 부분에 편중되는 리프트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은 양단에 각각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굴러가는 로울러가 결합되는 리프트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1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조각편을 상기 제1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1 고정핀과,
    상기 제2 지지편과 상기 제2 조각편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2 조각편을 상기 제2 지지편에 핀 결합하는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홀과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홀은 각각,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꼭지점을 이루는 리프트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판에 안착되며,
    일 측이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평판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하여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링크막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 링크막대가 직렬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링크막대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0180161286A 2018-12-13 2018-12-13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86A KR102147333B1 (ko) 2018-12-13 2018-12-13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86A KR102147333B1 (ko) 2018-12-13 2018-12-13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36A KR20200073036A (ko) 2020-06-23
KR102147333B1 true KR102147333B1 (ko) 2020-08-24

Family

ID=7113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286A KR102147333B1 (ko) 2018-12-13 2018-12-13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839B1 (ko) * 2020-08-12 2022-05-11 이종묵 다단 리프트 타워
KR102595261B1 (ko) * 2021-10-19 2023-10-27 주식회사 상원인텍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966B1 (ko)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1075827B1 (ko) 2010-11-05 2011-10-2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요동방지 멀티무대장치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720U (ko) * 2007-05-30 2007-06-21 이종묵 푸시체인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27B1 (ko) 2010-11-05 2011-10-2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요동방지 멀티무대장치
KR101047966B1 (ko) 2010-12-30 2011-07-12 이종묵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1470355B1 (ko) 2014-07-01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36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333B1 (ko)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US20190093818A1 (en) Extendable/retractable support column
JP2015045332A5 (ko)
CN109285459A (zh) 一种可折叠显示面板的支撑板及可折叠显示装置
JPH03163299A (ja) 伸縮自在の支柱装置
KR101047966B1 (ko) 랙-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2147335B1 (ko)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N1284194A (zh) 便携式显示系统
WO2008120071A3 (en) Collapsible tent or marquee
EP2508273A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plate for a duct, including mesh-type beads
CN105905843A (zh) 升降运送车的升降装置及升降运送车
CN101748911B (zh) 一种能从平面变换成球面的圆盘形表演舞台
KR102396839B1 (ko) 다단 리프트 타워
KR102299795B1 (ko) 포켓형 직립체인과 그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KR101365043B1 (ko) 가변 구조물
JP2011217849A (ja) 天板付き家具
JP6492500B2 (ja) 可動体移動装置
JP2015214822A (ja) 屋根用支持装置
JP6465093B2 (ja) 可動体移動装置
CN210658688U (zh) 一种led屏幕装配式钢结构
JP2005120807A (ja) 組立式法枠及び該組立式法枠の設置方法
CN21684046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快速安装和拆卸的脚手架
KR20210086794A (ko) 표시 장치
CN217924840U (zh) 一种建筑工程模板用固定支架
RU2743116C1 (ru) Опора из секций многогранного се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