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850B1 -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850B1
KR101633850B1 KR1020150010399A KR20150010399A KR101633850B1 KR 101633850 B1 KR101633850 B1 KR 101633850B1 KR 1020150010399 A KR1020150010399 A KR 1020150010399A KR 20150010399 A KR20150010399 A KR 20150010399A KR 101633850 B1 KR101633850 B1 KR 10163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s
chain
pair
holes
spr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오배
Original Assignee
임오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오배 filed Critical 임오배
Priority to KR102015001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16G13/20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stiff; Push-pul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16H2019/02
    • F16H2055/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설치된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제1,2 스프라킷와, 상기 제1,2 스프라킷에 물려 상승 이동 시에 상호 간 맞물리는 한편, 하강 이동시에는 상호 간 맞물림이 해제되는 한 쌍의 체인, 및 상기 한 쌍의 체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과정에서 적재물을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Lifting Apparatus Of Toothed Gear Chain}
본 발명은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 상호 간에 맞물리며 승강 작동됨에 따라 적재물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경우 적재물을 이동시킬 경우, 체인 부품이 적용된 컨베이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베이어는 다수의 체인 유니트가 컨베이어 체인의 동력차(Power Train) 상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부하로 인하여 보다 강력한 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즉, 부하에 대하여 체인이 일정 부분 분담해야 하나, 체인의 구조적 연결 형태가 부하를 분담할만한 강성이나 지지력을 갖지 못함에 따라, 모든 부하를 감내할 수 있는 강력한 모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컨베이어의 제작 비용도 함께 증가하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기술들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공개특허 제10-2014-0136377호, 특허문헌 002 공개특허 제10-2014-0006999호, 특허문헌 003 공개특허 제10-2013-0140171호, 특허문헌 004 공개특허 제10-2013-0132976호, 특허문헌 005 공개특허 제10-2013-0110214호, 특허문헌 006 공개특허 제10-2013-0105901호, 특허문헌 007 공개특허 제10-2012-0079811호, 특허문헌 008 등록특허 제10-1381457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물의 승강 이동 시에 적재물 하중에 대하여 강한 지지력을 확보함에 따라 동력원에 전이되는 과부하를 경감시키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된 구획플레이트,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제1,2 스프라킷, 상기 제1,2 스프라킷에 물려 상승 이동 시에 상호 간 맞물리는 한편, 하강 이동시에는 상호 간 맞물림이 해제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과정에서 적재물을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체인은 제1,2 스프라킷에 물리는 다수의 제1 체인, 상기 제1 체인들의 외측에서 제1 체인 상호 간을 연결하며 상호 간에 물리는 다수의 제2 체인, 상기 제2 체인들의 외측에서 제2 체인 상호 간을 연결하며 상호 간에 물리는 다수의 제3 체인, 상기 제1,2,3 체인들을 힌지 연결하는 다수의 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핀은, 제1 체인들의 홀들에서부터 제2 체인들의 홀들에 이르는 삽입 구간에 해당되는 제1 구역의 형태가 원형이며, 제1 구역의 일측 단인 제3 체인들의 홀들에 삽입되는 구간에 해당되는 제2 구역의 형태는 다각 형이고, 제2 구역에 일체형의 원형단턱이 형성되며, 제1 구역의 타측 단에는 그 내부로 다각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캡은, 원 형상의 원형단턱, 상기 원형단턱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다각 형상의 돌기, 상기 돌기의 양측에서 탄발되는 방식으로 구비된 채 상기 통공에 돌기의 삽입 과정에서 탄발되며 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홀에 걸림되어 고정캡을 고정하게 되는 걸림핀, 상기 걸림핀의 탄발을 가능하도록 상기 돌기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 및 상기 제1 구역의 타측 단 주연을 끼울 수 있는 홀을 형성한 채 제3 체인들의 홀들에 삽입되는 다각 형상의 제3 구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 중앙에는, 고정 상태의 슬라이드 지지축과,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에 물린 슬라이드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구는, 적재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을 결합 연결한 체인연결플레이트와 결합된 채, 고정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지지축에 물려 한 쌍의 체인 맞물림 운동 과정에서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 상승되고, 한 쌍의 체인 맞물림 해제 운동 과정에서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 하강됨에 따라, 체인의 승 하강 과정에서 적재플레이트에 실린 짐의 유동에 기인한 체인의 요동(흔들림)을 방지하여, 체인 간 또는 체인과 스프라킷 간의 물림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원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원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며, 제1,2 스프로킷의 물림 반대측으로 정 방향의 후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3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다각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며, 제1,2 스프로킷의 물림 반대측으로 역 방향의 후크부를 형성하게 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적재물을 승강 시킬 때에 발생되는 부하를 모터와 체인이 분담함에 따라 장치에 작용하는 기계적 무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적은 동력으로도 많은 량 또는 하중이 큰 적재물에 대한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동력 운용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적은 동력의 모터 부품을 적용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장치 제작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적재된 적재물의 상승 이후 멈춘 상태에서 적재물의 하중을 맞물린 체인으로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관계로 모터에 작용될 수 있는 지탱압을 줄이고 이로 인한 모터의 기계적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체인의 회동 작동 과정에서 체인들을 힌지 연결한 힌지핀의 풀림을 예방하는 한편, 체인의 교체 및 수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 상호 간의 맞물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을 구성하는 제1,2,3 체인 상호 간의 연결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제시된 체인 상호 간의 맞물림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인 상호 간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체인 상호 간의 맞물림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을 구성하는 제1,2,3 체인들을 힌지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의 상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체인을 구성하는 제1,2,3 체인들에 힌지 연결된 힌지핀의 연결 상태를 평면으로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는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100)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 구축되는 동력원인 구동모터(300)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타측에 구축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제1,2 스프라킷(400,410)과, 상기 제1,2 스프라킷의 회전에 의해 맞물려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한 쌍의 체인(800,800a)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승강에 의해 적재물을 싣고 승강하게 되는 적제플레이트(7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일측편에 구동모터(300)가 구축되되, 모터축(미도시) 결합된 제1 평기어(미도시)와 상기 제1 평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평기어(미도시)가 함께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플레이트(100)의 일측편 중앙에는 슬라이드 지지축(200)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200)에 물려 승강되는 슬라이드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타측편에 상기 모터축(미도시)에 결합되는 제1 스프라킷(400)이 구축되고, 상기 제1 평기어(미도시)와 맞물린 상기 제2 평기어(미도시) 축에 제2 스프라킷(410)이 구축된다.
다시 말해, 구획플레이트(100)의 일측편으로는 구동모터(300) 및 제1,2 평기어가 구축되고, 구획플레이트(100)의 타측편에 제1 스프라킷(400) 및 제2 스프라킷(410)이 구축된다.
상기 제1,2 스프라킷(400,410)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2 스프라킷 각각에는 체인(800,800a)이 맞물리게 된다.
즉, 제1 스프라킷(400)에는 체인(800)이 맞물리고, 제2 스프라킷(410)에는 체인(800a)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체인(800,800a) 상호 간에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체인(800,800a) 일측 단부 각각은 체인연결플레이트(600)에 힌지 연결될 때, 동일한 위치에서 힌지 연결되지 않고, 체인(800,800a)의 어느 한쪽 일측 단부가 다른 쪽 일측 단부보다 상기 제1,2 스프라킷(400,410)의 기어이 수가 하나 더 물릴 수 있는 높은 위치에서 힌지 연결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체인(800,800a) 일측 각 단부는 단차를 두는 위치에서 힌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단차의 높이는 스프라킷(400,410)의 기어이 수가 체인(800,800a)들 중 어느 하나의 체인에 더 물릴 수 있는 위치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인(800,800a)들을 힌지 연결한 체인연결플레이트(600)는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200)에 물려 승강되는 슬라이드구(미도시)에 결합됨에 따라 체인(800,800a)들이 맞물려 수직 상승하는 과정에서 체인연결플레이트(600)와 결합된 슬라이드구가 슬라이드 지지축(200)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200)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구에 한 쌍의 체인(800,800a)들을 힌지 연결한 체인연결플레이트(600)가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한 쌍의 체인(800,800a)이 맞물려 수직 상승하거나 수직 하강할 때에 슬라이드구가 슬라이드 지지축(200)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며 슬라이됨에 따라, 한 쌍의 체인(800,800a) 유동을 방지하며, 체인(800,800a) 상호 간의 견고한 맞물림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체인연결플레이트(600) 상부에는 적재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플레이트(700)가 결합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체인(800,800a)의 승강 시에 체인연결플레이트(600)와 함께 승강하며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체인(800,800a)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다수의 제1 체인(810), 다수의 제2 체인(820), 다수의 제3 체인(830)과 함께 힌지핀(9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체인(810)의 개별 구성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한 쌍의 홀(811,812)들을 관통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홀(811,812)들은 일례로서 원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체인(820)의 개별 구성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한 쌍의 홀(821,822)들을 관통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홀(821,822)들은 일례로서 원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홀(821,822)의 마주보는 반대편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82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3 체인(830)의 개별 구성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한 쌍의 홀(831,832)들을 관통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홀(831,832)들은 다각 형태가 바람직하되, 일례로서 사각 형태도 바람직하며, 상기 홀(831,832)의 마주보는 반대편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부(833)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별 구성을 갖는 제1 체인(810)들이 일렬로 구성되면, 상기 제2 체인(820)들 각각은 상기 제1 체인(810)들의 외측에서 두 개의 제1 체인(810)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일렬 배열되며, 상기 제3 체인(830)들 각각은 상기 제2 체인(820)들의 외측에서 두 개의 제2 체인(820)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일렬 배열된 상태에서 힌지핀(900)의 삽입으로 힌지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2,3 체인(810,820,830) 및 힌지핀(900)의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일렬로 배열 구성된 제1 체인(810)들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홀(811,812)들과, 제2 체인(820)들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홀(821,822)들과, 제3 체인(830)들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홀(831,832)들에 힌지핀(900)들의 삽입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일렬로 구성된 제1 체인(810)들의 외측에 위치한 제2 체인(820)들의 경우 두 개의 제1 체인(810)들을 힌지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맞물림의 결속력을 제고시키는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또한, 일렬로 구성된 제2 체인(820)들의 외측에 위치한 제3 체인(830)들의 경우 두 개의 제2 체인(820)들을 힌지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맞물림의 결속력을 더욱 제고시키는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일렬로 구성된 제1 체인(810)들은 상기 스프라킷(400,410)의 기어이에 물리지만, 일렬로 구성된 일측의 제2 체인(820)들은 일렬로 구성된 타측의 제2 체인(820)들과 상호 간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후크부(823)들 간에 맞물려 맞물림의 결속력을 제고시키고, 제1 체인(810)들을 힌지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물론, 일렬로 구성된 일측의 상기 제3 체인(830)들은 타측의 제3 체인(830)들과 상호 간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후크부(833)들 간에 맞물려 맞물림의 결속력을 제고하는 한편, 제2 체인(820)들을 힌지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도 병행함이 당연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인(830)들이 후크부(833)의 방향이 상부로 향하는 일렬 구성될 때, 제2 체인(820)들은 후크부(823)의 방향이 하부로 향하는 반대의 일렬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체인(830)과 제2 체인(820)이 동일한 배열이 아닌 상호 간 역 배열로 구성되는 이유는 맞물림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맞물림 결속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2,3 체인(810,820,830)의 홀(811,812)(821,822)(831,832)들에 삽입되어 이들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핀(900)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힌지핀(900)은 제1 구역(910)에 해당되는 부분은 제1 체인(810)의 홀(811,812) 및 제2 체인(820)의 홀(821,822)까지 삽입되는 영역으로서, 원 형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제1 구역(910)의 일측 단에서 일체된 제2 구역(920)에 해당되는 부분은 제3 체인(830)의 홀(831,832)에만 삽입되는 영역으로서 다각 형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제3 체인(830)의 홀(831,832)도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역(920)에 해당되는 부분과 일체된 원형단턱(951)은 힌지핀(900)의 탈거 방지를 목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구역(910)의 타측 단에는 내부로 통공(94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공(940)에 고정캡(950)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힌지핀(90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캡(950)은 원형단턱(951)과, 제3 체인(830)의 홀(831,832)에 삽입되면서 제1 구역(910)의 타측 단부를 끼울 수 있는 홀(952a)을 형성한 제3 구역(952)과, 상기 통공(94)에 삽입되며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핀(954)을 구비한 돌기(953)로 구성된다.
상기 원형단턱(951)은 힌지핀(900)의 탈거를 방지하게 되고, 상기 제3 구역(952)은 다각 형상이 바람직하나,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으로서 제3 체인(830)의 홀(831,832)에 삽입되어 고정캡(950)의 헛돌림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3 체인(830)의 홀(831,832) 역시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953) 역시 다각 형상이 바람직한데,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돌기(953)는 통공(940)에 삽입되는바, 이때 돌기(953)의 상 하부면에 구비된 걸림핀(954)이 통공(940) 내부의 상 하벽에 형성된 구멍(미표기)으로 탄발되면서 걸림되어 고정캡(950)의 외부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핀(900)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2,3 체인(810,820,830)의 마모로 인한 교체나 수리 과정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볼트 및 너트의 풀림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제3 체인(930)들의 회동 시 함께 회동되는 특징을 갖는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획플레이트(100)의 일측편에 구비된 구동모터(3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모터축에 장착된 제1 평기어도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제1 평기어와 맞물린 제2 평기어는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획플레이트(100)의 타측편에 구비된 제1 스프라킷(400)은 상기 모터축에 장착되어 제1 평기어와 동일한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제2 평기어 축에 장착된 제2 스프라킷(410)은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스프라킷(400)에 맞물린 체인(800) 및 제2 스프라킷(410)에 맞물린 체인(800a)은 상호 간에 맞물리면서 수직으로 상승하며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체인(800,800a)들을 연결한 체인연결플레이트(600) 및 슬라이드구 및 적재플레이트(700)가 동반 수직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구는 슬라이드 지지축(200)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체인(800,800a)의 수직 상승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유동이나 맞물림의 이탈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체인 맞물림의 이동 과정에 대한 안정화를 도모한다.
상기 적재플레이트(700)의 수직 상승으로 적재물을 원하는 높은 위치에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체인(800,800a)들의 맞물림 과정에 대하여 보강 설명하자면, 체인(800) 및 체인(800a)의 제1 체인(810)들은 제1,2 스프라키(400,410)의 기어이에 물리면서 동작되며, 체인(800) 및 체인(800a)의 제2 체인(820)들은 후크부(823)들 간의 맞물림으로 동작되고, 체인(800) 및 체인(800a)의 제3 체인(830)들은 후크부(833)들 간의 맞물림으로 동작되며 수직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 체인(820)들에 구성된 후크부(823)들이나 제3 체인(830)에 구성된 후크부(833)들은 상호 보완 관계로서 맞물림의 결속력 증대를 도모하게 된다.
즉, 적재플레이트(700)에 실린 적재물이 많거나 그 하중이 매우 무거울 경우에는 적재물을 상승 이동시킬 때에 구동모터(300)에 상당한 과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과부하를 체인(800,800a)으로 분산시켜 구동모터(300)의 작용될 수 있는 상당량의 과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플레이트(700)가 상승된 이후 특정 위치에서 멈춰져 있을 경우 적재물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지지력을 체인(800,800a) 상호 간의 맞물림 결속력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제2 체인(820) 및 제3 체인(830)에 구성된 이중적 후크부(823,833)의 구성으로 체인(800,800a) 상호 간의 맞물림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기인하여 적재물 하중에 대한 지지력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재물의 하강 이동에 대한 본 발명의 장치 작동은 상기 적재물의 상승 이동을 구현하는 장치 작동과 반대로 작동될 수 있는 관계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0 : 구획플레이트 200 : 슬라이드 지지축
300 : 구동모터
400 : 제1 스프라킷 410 : 제2 스프라킷
600 : 체인연결플레이트
700 : 적재플레이트
800,800a : 체인
810 : 제1 체인 811, 812 : 홀
820 : 제2 체인 821, 822 : 홀 823 : 후크부
830 : 제3 체인 831, 832 : 홀 833 : 후크부
900 : 힌지핀 910 : 제1 구역 920 : 제2 구역
930 : 원형단턱 940 : 통공
950 : 고정캡
951 : 원형단턱 952 : 제3 구역 952a : 홀
953 : 돌기 954 : 걸림핀

Claims (6)

  1. 중앙에 설치된 구획플레이트;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타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제1,2 스프라킷; 상기 제1,2 스프라킷에 물려 상승 이동 시에 상호 간 맞물리는 한편, 하강 이동시에는 상호 간 맞물림이 해제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과정에서 적재물을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적재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체인은 제1,2 스프라킷에 물리는 다수의 제1 체인; 상기 제1 체인들의 외측에서 제1 체인 상호 간을 연결하며 상호 간에 물리는 다수의 제2 체인; 상기 제2 체인들의 외측에서 제2 체인 상호 간을 연결하며 상호 간에 물리는 다수의 제3 체인; 상기 제1,2,3 체인들을 힌지 연결하는 다수의 힌지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핀은, 제1 체인들의 홀들에서부터 제2 체인들의 홀들에 이르는 삽입 구간에 해당되는 제1 구역의 형태가 원형이며, 제1 구역의 일측 단인 제3 체인들의 홀들에 삽입되는 구간에 해당되는 제2 구역의 형태는 다각 형이고; 제2 구역에 일체형의 원형단턱이 형성되며, 제1 구역의 타측 단에는 그 내부로 다각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캡;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은,
    원 형상의 원형단턱; 상기 원형단턱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다각 형상의 돌기; 상기 돌기의 양측에서 탄발되는 방식으로 구비된 채 상기 통공에 돌기의 삽입 과정에서 탄발되며 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홀에 걸림되어 고정캡을 고정하게 되는 걸림핀; 및 상기 걸림핀의 탄발을 가능하도록 상기 돌기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 상기 제1 구역의 타측 단 주연을 끼울 수 있는 홀을 형성한 채 제3 체인들의 홀들에 삽입되는 다각 형상의 제3 구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 중앙에는, 고정 상태의 슬라이드 지지축과, 상기 슬라이드 지지축에 물린 슬라이드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구는, 적재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을 결합 연결한 체인연결플레이트와 결합된 채, 고정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지지축에 물려 한 쌍의 체인 맞물림 운동 과정에서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 상승되고, 한 쌍의 체인 맞물림 해제 운동 과정에서 슬라이드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 하강됨에 따라, 체인의 승 하강 과정에서 적재플레이트에 실린 짐의 유동에 기인한 체인의 요동(흔들림)을 방지하여, 체인 간 또는 체인과 스프라킷 간의 물림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원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원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며, 제1,2 스프로킷의 물림 반대측으로 정 방향의 후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3 체인들은 개별적으로 소정의 간극으로 병행되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다각 형태의 홀들을 형성하며, 제1,2 스프로킷의 물림 반대측으로 역 방향의 후크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10399A 2015-01-22 2015-01-22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KR10163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99A KR101633850B1 (ko) 2015-01-22 2015-01-22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99A KR101633850B1 (ko) 2015-01-22 2015-01-22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850B1 true KR101633850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399A KR101633850B1 (ko) 2015-01-22 2015-01-22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35B1 (ko) * 2019-04-26 2020-08-24 이종묵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365A (ja) * 2008-05-23 2009-12-03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JP2011006264A (ja) * 2010-09-06 2011-01-13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20120079811A (ko) 2011-01-05 2012-07-13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JP2013092174A (ja) * 2011-10-24 2013-05-16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KR20130105901A (ko) 2011-01-05 2013-09-2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용 스토퍼
KR20130110214A (ko) 2011-01-12 2013-10-0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30132976A (ko) 2011-02-10 2013-12-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30140171A (ko) 2011-04-20 2013-12-23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JP2014001791A (ja) * 2012-06-18 2014-01-09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KR20140006999A (ko) 2011-05-12 2014-01-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KR101381457B1 (ko) 2010-10-27 2014-04-04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치합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40136377A (ko) 2013-05-20 2014-11-2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365A (ja) * 2008-05-23 2009-12-03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JP2011006264A (ja) * 2010-09-06 2011-01-13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381457B1 (ko) 2010-10-27 2014-04-04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치합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20079811A (ko) 2011-01-05 2012-07-13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KR20130105901A (ko) 2011-01-05 2013-09-2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용 스토퍼
KR20130110214A (ko) 2011-01-12 2013-10-0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30132976A (ko) 2011-02-10 2013-12-0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30140171A (ko) 2011-04-20 2013-12-23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KR20140006999A (ko) 2011-05-12 2014-01-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JP2013092174A (ja) * 2011-10-24 2013-05-16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2014001791A (ja) * 2012-06-18 2014-01-09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KR20140136377A (ko) 2013-05-20 2014-11-2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맞물림 체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35B1 (ko) * 2019-04-26 2020-08-24 이종묵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670B2 (ja)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JP4662500B2 (ja) 噛合チェーン式駆動装置
EP2700844B1 (en) Engagement chain unit
EP2708775B1 (en) Engagement chain unit
US20110101294A1 (en) Engagement chain
JP4662504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2010054005A (ja) 噛合チェーン
JP5814407B2 (ja) 昇降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搬送システム
DE102008029212A1 (de) Hebe- und Absenkvorrichtung vom Zahnkettentyp
KR101633850B1 (ko)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KR20120079811A (ko)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JP2009113872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KR101659817B1 (ko) 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터
CN104685134B (zh) 作业车辆
JP2017043438A (ja)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吊り雇
KR101298528B1 (ko) 통키 어셈블리
JP2011006264A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016833B1 (ko) 분리형 교량받침
JP2017043437A (ja) エレベー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吊り雇
CN217097743U (zh) 一种多腿锚式链条的存放装置
JP4681022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2010078120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WO2011004817A1 (ja) 高剛性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KR20210100969A (ko) 승강시 틸팅이 방지되는 싱글 레일 타입 레귤레이터
CN102528446A (zh) 滑轮总成预装装置及滑轮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