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811A -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 Google Patents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811A
KR20120079811A KR1020110144840A KR20110144840A KR20120079811A KR 20120079811 A KR20120079811 A KR 20120079811A KR 1020110144840 A KR1020110144840 A KR 1020110144840A KR 20110144840 A KR20110144840 A KR 20110144840A KR 20120079811 A KR20120079811 A KR 20120079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ngagement
chains
chai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오이타카
다카히사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2007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66F3/0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with racks comprising pivotable toothed sections or segments, e.g. arranged in p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16G13/20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stiff; Push-pul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자립시키는 동시에,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을 제공한다.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가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을 마련한다.

Description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Lifting Engagement Chain Unit}
본 발명은 각종 제조분야의 제조설비, 운수분야의 이송설비, 의료복지분야의 간호설비, 예술분야의 무대설비 등에 이용하여 피구동물을 설치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에 내장되는 승강 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맞물림 체인에 걸어맞추어지는 구동용 스프로킷을 회전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승강시키는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 있다.
상술한 승강장치에 이용되는 맞물림 체인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플레이트(213)의 플레이트 맞물림면의 반대측에 면하는 평탄한 플레이트 단면(213S)을 승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서로 접촉시킨 상태로 승강구동되어 하중지지부재 등의 피구동체(220)를 승강 구동한다.
일본국 특개평 11-278797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도 1)
그러나, 상술한 승강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을 서로 맞물리게 해서 상승시켰을 때에 하중의 수평분력(F)을 발생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을 기울어지게 하기 때문에 수직방향 즉 연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을 자립시켜서 일정한 체인길이의 범위 내에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220)를 반송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더구나 서로 맞물리는 링크 플레이트(213) 사이에 틈을 생기게 해서 맞물림 정도를 저하시키는 동시에, 링크 플레이트(213)에 작용하는 하중부담을 불균일하게 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의 좌굴강도 향상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기울어진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에 수직방향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계속해서 하중을 작용시켜서 하중의 수평분력(F)을 증대시킨 상태에서는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의 경사를 더욱 증대시켜서 좌굴강도를 더욱 저하시키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장치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더구나 소정의 좌굴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맞물림 체인(211)의 사이즈, 즉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211, 211)의 단면적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켜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반송하는 동시에,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 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은, 체인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 및 그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를 전후 한 쌍의 연결핀으로 체인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대향 배치하여 맞물리게 해서 일체화하는 동시에, 맞물림 해제하여 분기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 플레이트면을 따라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중심선을 걸치고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어 체인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에 겹쳐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의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체인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 및 그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를 전후 한 쌍의 연결핀으로 체인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대향 배치하여 맞물리게 해서 일체화하는 동시에, 맞물림 해제하여 분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와 같은 특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청구항 1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 중,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의 좌굴규제면을 서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규제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청구항 2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연결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한 쌍의 맞물림 체인 전체를 일체의 강체로 하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더욱 규제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반송하는 동시에,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이만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더한층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청구항 3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됨으로써 수직방향을 따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에 작용하는 하중을 좌굴규제면에 분담시켜서 수평분력을 저감하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좌굴강도를 더한층 향상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청구항 4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중심선을 걸치고 있음으로써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건너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중심선의 양측에서 좌굴규제면에 하중을 분산하여 부담시키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좌굴강도를 더한층 향상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보다 정확하게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더한층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청구항 5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어 체인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에 겹쳐있음으로써 체인 폭방향으로부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로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체인 폭방향을 따른 좌굴강도를 향상시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보다 정확하게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을 채용한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구동용 스프로킷 및 맞물림 체인 근방의 일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분해조립상태와 맞물림 해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은 체인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 및 이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를 전후 한 쌍의 연결핀으로 체인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대향 배치하여 맞물려 일체화하는 동시에, 맞물림 해제하여 분기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켜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을 채용한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100)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을 채용한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구동용 스프로킷 및 맞물림 체인 근방의 일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분해조립상태와 맞물림 해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의 측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을 채용한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의 단부에 피구동체(120)를 고정 접속해서 수직방향 즉 연직방향을 따라 피구동체(12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갖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과, 서로 분기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안내해서 수납하는 체인 수납용 홈(131) 및 이 체인 수납용 홈(131)에 이어 접속되어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강직위치로 유도하는 체인 유도용 홈(132)을 설치한 체인 안내 플레이트(130)와, 이 체인 안내 플레이트(130)에 형성되어 맞물림 체인(111A)의 측방으로 개구하는 오목형상의 구동용 스프로킷 수용홈(133)에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맞물림 체인(111A)에 걸어맞추어져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진퇴 자유롭게 구동하는 구동용 스프로킷(140)과, 이 구동용 스프로킷(14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직교기어(151) 및 구동용 모터(152)로 이루어지는 구동기어(150)를 기본적인 장치구성으로서 구비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강직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강직방향 D1 및 분기방향 D2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안내하고, 피구동체(120)를 승강 자유롭게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100)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스프로킷 수용홈(133)이 서로 맞물려서 강직화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으로 개구하고 있음으로써, 맞물림 체인(111A) 및 구동용 스프로킷(140) 사이의 코덜 액션에 기인한 상하동(맥동), 진동, 소음, 속도변동의 발생이 회피되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100)가 체인 구동시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진동 소음을 더욱 줄이는 동시에, 체인 구동을 안정시켜서 원활하게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자립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체인 폭방향(W)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 112) 및 이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 112)의 외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를 전후 한 쌍의 연결핀(114)에서 체인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대향 배치하여 맞물려 일체화하는 동시에, 맞물림을 해제하여 분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척 체인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와, 이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에 대하여 체인 길이방향으로 반피치만큼 어긋나게 겹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와,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를 체인 폭방향(W)으로 연결 고정하는 동시에, 연결핀(114)을 끼워넣은 부시(115)를 구비하고 있고, 상술한 체인 안내 플레이트(130)를 따라 분기방향 D2로부터 강직방향 D1로 편향하면서 서로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 및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를 맞물려 일체로 자립상태에서 승강 동작하는 동시에, 강직방향 D1로부터 분기방향 D2로 편향하면서 서로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 및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를 맞물림 해제하여 분기한다.
이어서, 상술한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이 가장 특징으로 하는 구성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에서는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를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116S)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가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 중,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의 좌굴규제면(116S)을 서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규제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 등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에서는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에 포함되는 연결핀(114)에 의해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에 연결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를 포함하는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 전체를 일체의 강체로 하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더한층 규제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더한층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에서는 좌굴규제면(116S)이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수직방향을 따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에 작용하는 하중을 좌굴규제면(116S)에 분담시켜서 수평분력을 저감하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좌굴강도를 더한층 향상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에서는 좌굴규제면(116S)이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의 플레이트면(116P)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으로부터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중심선(CL)을 걸치고 있음으로써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의 플레이트면(116P)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에 걸쳐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중심선(CL)의 양측에서 좌굴규제면(116S)에 하중을 분산하여 부담시키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을 따라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좌굴강도를 더한층 향상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보다 정확하게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더욱 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에서는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에 포함되어 체인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 113)에 겹쳐있음으로써 체인 폭방향(W)으로부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로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 113)를 지지하기 때문에,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체인 폭방향(W)을 따른 좌굴강도를 향상시켜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더욱 정확하게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을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116S)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116)가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110)은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대향면(S)을 따라 일방의 맞물림 체인(111A)으로부터 타방의 맞물림 체인(111B)으로 향하여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규제해서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자립시킨 상태로 높은 위치까지 피구동체(120)를 반송하는 동시에,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112) 끼리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113)끼리의 링크 플레이트간의 맞물림 정도의 저하를 피하고, 더구나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을 보강하는 보강구를 설치하는 장치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 부담의 증대 및 부품수의 증가나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한 쌍의 맞물림 체인(111A, 111B)의 단면적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좌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크다.
100 : 맞물림 체인식 승강장치 110 :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111A, 111B, 211 : 맞물림 체인 112 :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
113 :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 114 : 연결핀
115 : 부시 116 :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
116S : 좌굴규제면
116P :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의 플레이트면
120, 220 : 피구동체 130 : 체인 안내 플레이트
131 : 체인 수납용 홈 132 : 체인 유도용 홈
133 : 구동용 스프로킷 수용홈 140 : 구동용 스프로킷
150 : 구동원 151 : 직교 기어
152 : 구동용 모터 213 : 링크 플레이트
213S : 링크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단면
CL : 서로 맞물려 일체화한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중심선
D1 :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강직방향
D2 :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분기방향
F : 수평분력 S :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
W : 체인 폭방향

Claims (5)

  1. 체인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 및 그 한 쌍의 후크형상 내치 플레이트의 외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를 전후 한 쌍의 연결핀으로 체인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대향 배치해서 맞물려 일체화하는 동시에, 맞물림 해제하여 분기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대향면을 따라 좌굴을 규제하는 전후 한 쌍의 좌굴규제면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체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의 외측에만 각각 추가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규제면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상기 일방의 맞물림 체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타방의 맞물림 체인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의 중심선을 걸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규제용 어태치 플레이트가 상기 한 쌍의 맞물림 체인을 서로 맞물려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타방의 맞물림 체인에 포함되어 체인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매의 후크형상 외치 플레이트에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KR1020110144840A 2011-01-05 2011-12-28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KR20120079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0574A JP5686607B2 (ja) 2011-01-05 2011-01-05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JP-P-2011-000574 2011-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811A true KR20120079811A (ko) 2012-07-13

Family

ID=4637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840A KR20120079811A (ko) 2011-01-05 2011-12-28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76491B2 (ko)
JP (1) JP5686607B2 (ko)
KR (1) KR20120079811A (ko)
CN (1) CN102588512B (ko)
DE (1) DE102011056958B4 (ko)
TW (1) TWI4876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0B1 (ko) 2015-01-22 2016-06-27 임오배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772B1 (ja) * 2011-01-05 2012-01-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用ストッパ
JP5721613B2 (ja) * 2011-12-14 2015-05-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CN104555803B (zh) * 2013-10-11 2017-04-12 斯毕士舞台设备技术(杭州)有限公司 丝杠螺母传动的推拉链顶升机构
CN106870637B (zh) * 2015-12-11 2019-01-22 张铭勇 一种夹角链杆、夹角牙链、特征链板及夹角链杆机
JP6078672B1 (ja) 2016-02-22 2017-0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及び可動体移動装置
ITUA20161823A1 (it) * 2016-03-18 2017-09-18 I M A Industria Macch Automatiche S P A In Sigla Ima S P A Apparato per caricare e scaricare un liofilizzatore.
DE202017104198U1 (de) 2017-07-13 2017-08-03 Igus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mit Doppelketten-Anordnung
FR3095024B1 (fr) * 2019-04-10 2021-08-06 Serapid France Actionneur multilineaire rigide a brin souple
FR3095468A1 (fr) * 2019-04-24 2020-10-30 Lift'o Dispositif pour actionner une plateforme mobile
CN112537730B (zh) * 2019-09-23 2022-09-16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车辆充电装置的升降机构
CN110406418B (zh) * 2019-09-24 2020-01-10 国创新能源汽车能源与信息创新中心(江苏)有限公司 一种刚度柔性可变的运动机构
KR20210049313A (ko) * 2019-10-25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413355B (zh) * 2021-01-25 2021-04-30 江苏精研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的升降装置
CN117916442A (zh) * 2021-06-28 2024-04-19 亚萨合莱新西兰有限公司 致动器
US20230092086A1 (en) * 2021-09-23 2023-03-23 Jefferson Romais Extendable and retractable suppor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5461A (en) * 1937-03-27 1945-05-08 Bender Karl Compression resistant chain
US2574657A (en) * 1945-10-23 1951-11-13 Harold C Pierce Flexible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IT572444A (ko) * 1957-06-03
US3645146A (en) * 1969-09-29 1972-02-29 Tony Nagin Interlocking chain structure
DE4131762C2 (de) * 1991-09-24 1997-05-22 Winkhaus Fa August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lügel eines Fensters, einer Tür, einer Lüftungsklappe oder dergleichen
US5355643A (en) * 1991-10-04 1994-10-18 Alain Burri Sa Transformable structural element
JP3370928B2 (ja) * 1998-03-30 2003-0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いチェーンを用いた昇降装置
FR2786476B1 (fr) * 1998-11-30 2001-02-23 Serapid France Colonne elevatrice de charges
US6500084B2 (en) * 2001-01-25 2002-12-31 Borgwarner, Inc. Sprocket system for inverted tooth chain
US6575861B2 (en) * 2001-03-30 2003-06-10 Borgwarner, Inc. Sprocket and chain for limiting chordal fall motion
FR2826422B1 (fr) * 2001-06-26 2003-11-14 Serapid France Actionneur lineaire a courroie
JP2004108473A (ja) * 2002-09-18 2004-04-08 Daido Kogyo Co Ltd プッシュチエーン
CN2620795Y (zh) * 2003-01-28 2004-06-16 王存义 推拉链条
DE202004021005U1 (de) * 2004-04-05 2006-07-06 Schmezer, Alexander Drucksteife Antriebskette für eine Stellvorrichtung
CN2837608Y (zh) * 2004-05-12 2006-11-15 Vkr控股公司 推拉链以及致动器
JP2009001377A (ja) * 2007-06-21 2009-01-08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US8069954B2 (en) * 2007-07-26 2011-12-06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Self erecting zipper lift
JP4662499B2 (ja) * 2008-08-2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JP4662500B2 (ja) * 2008-09-0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駆動装置
JP4662504B2 (ja) * 2009-03-0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4662507B1 (ja) * 2009-11-05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0B1 (ko) 2015-01-22 2016-06-27 임오배 체인 맞물림식 승강 작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6958A1 (de) 2012-07-05
CN102588512A (zh) 2012-07-18
DE102011056958B4 (de) 2015-11-05
TWI487656B (zh) 2015-06-11
TW201233620A (en) 2012-08-16
US20120167542A1 (en) 2012-07-05
JP5686607B2 (ja) 2015-03-18
CN102588512B (zh) 2014-08-13
JP2012141035A (ja) 2012-07-26
US8776491B2 (en)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811A (ko) 승강구동용 맞물림 체인유닛
KR101052026B1 (ko) 치합 체인
KR101116367B1 (ko) 치합 체인식 구동 장치
EP2320109B1 (en) Engagement chain
JP4662503B2 (ja) 噛合チェーン
US9482313B2 (en) Engagement chain unit
US8341931B2 (en) Lift-driving engagement chain
KR20130132976A (ko) 맞물림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20100023735A (ko)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KR101381457B1 (ko) 치합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US9255630B2 (en) Advancing/retracting actuation device with meshing chain
JP2012141036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2011241082A (ja) 噛合チェーン式垂直搬送機
JP2013036515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WO2011004817A1 (ja) 高剛性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5822703B2 (ja)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2013147303A (ja) 噛合チェーン式搬送装置
WO2012046491A1 (ja) 噛合チェーン
JP2012188256A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