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863Y1 - 게시탑 - Google Patents

게시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863Y1
KR200409863Y1 KR2020050035075U KR20050035075U KR200409863Y1 KR 200409863 Y1 KR200409863 Y1 KR 200409863Y1 KR 2020050035075 U KR2020050035075 U KR 2020050035075U KR 20050035075 U KR20050035075 U KR 20050035075U KR 200409863 Y1 KR200409863 Y1 KR 200409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ame
banner
banners
bullet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호
Original Assignee
남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호 filed Critical 남영호
Priority to KR2020050035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홍보나 선전 또는 그 이외 각종 광고문이 인쇄된 현수막들을 게시대를 이용해 한쌍의 프레임 사이에서 다단식으로 배치하고 설치 및 교체작업시 현수막들을 펼치거나 최저 위치로 접어드리게한 게시탑으로서, 조작핸들의 구동력이 일측으로부터 전달부재들을 통하여 타측으로 전달되어 연동하며, 양 프레임내의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하부 일정구간은 공회전부이고 그 이상 상측은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승강요소들에 자유로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인접측과 일정 길의 견인요소로 상호 연결되고 상측의 것이 상기 승강요소의 나선부를 타고 상승시 하측의 것들이 상기 견인요소에 의해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나선부를 타 상승하게 되고 또는 나선부를 벗어남과 동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가동블록들로 현수막의 게시대들을 안정되게 승강 구동되게 함과 동시에, 프레임에 구비되는 계단형의 안내로를 타고 이동하는 걸이요소에 의해 게시대가 접어지고 가동블록내의 복원요소에 의해 펼침상태로 자동전환시키어 게시대의 펼침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하였으며, 게시대가 가동블록의 축수요소에 나사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수막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게시대에는 현수대에 가해지는 풍압을 흡수처리하는 완화요소를 갖추어 현수막의 설치가 안정 된다.

Description

게시탑{Hosting for hanging banner}
도 1은 본 고안 게시탑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게시탑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게시탑의 요부를 부분 발췌하여 보인 설명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 게시탑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2 :게시대
14 :현수막 16 :조작핸들
18 :승강요소 20 :가동블록
22 :견인요소 24 :축수요소
26a,26b :안내레일 28 :걸이요소
30 :제어요소 32 :복원요소
본 고안은 홍보나 선전 또는 그 이외 각종 광고문이 인쇄된 현수막들이 다단식으로 배치되는 게시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수막의 교체작업을 위한 승강안내 구조는 물론 절첩.전개가 안정되고 풍압을 완화하는 게시탑에 관한 것이다.
다단식의 현수막을 갖는 게시탑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게시탑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양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입설되는 한쌍의 프레임들을 구비하고 있고, 이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프레임내에 구비되는 승강 안내구조를 이용해 상승.하강작동하는 게시대를 이용해 가로 건너 다단계적으로 배치되는 현수막들이 개재되고 있다.
이렇게 한쌍의 프레임들 사이에서 가로 건너 다단계적으로 배치되는 현수막들은 그 교체 또는 해체시 작업이 가능한 최저 높이로 내려 접어 놓고 그 현수막의 교체 및 해체작업을 이루게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되는 게시탑은 현수막들이 승강 안내구조에 의해 승강하는 게시대를 이용해 일정간격으로 펼치어 설치되고 교체 및 해체시에는 현수막들을 프레임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접어드리고 있는데, 여기서, 승강 안내구조는 대략 게시대들을 무한궤도식의 케이블에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활차등을 이용해 가이드레일을 타고 현수막이 승강되게 하고 있으나, 현수막들을 전개하여 게시시 그 간격유지가 균일하지 못하고 변형되어 외관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현수막의 양단부를 파지하여 게시하는 게시대는 현수막을 안정되게 파지하지 못하고 있어 설치상태가 불안정하며, 현수막의 절첩 및 전개시 수공적으로 조작하여 하부측으로 접어드리는등 그 현수막의 교체작업 역시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게시대에 풍압을 흡수하는 완충구조가 없어 현수막이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고 심한 경우에는 게시대로부터 현수막이 이탈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현수막을 파지하는 게시대들의 사이를 일정 길이의 견인요소로 인접측과 상호 연결시키고, 이들 게시대들을 프레임내 높이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나선봉의 안내요소를 타고 승강작용을 이루게 함으로써, 현수막의 승강이 안정되고 그 설치 간격이 균일하고도 안정된 게시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게시대가 프레임의 내향벽에 구비되는 계단형 안내레일과 복원요소에 의해 자동적으로 절첩.전개되게한 게시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현수막을 파지하는 게시대를 프레임으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히 이룰 수 있는 게시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게시대내에 현수막에 가해지는 풍압을 흡수 처리하는 완충요소를 갖추므로써, 현수막의 훼손을 예방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게시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홍보나 선전 또는 그 이외 각종 광고문이 인쇄된 현수막들이 다단식으로 배치되는 게시탑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게시탑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양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입설되는 한쌍의 프레임들을 가지며, 이 양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그 프레임내의 승강 안내구조를 따라 승강하는 게시대를 이용해 가로 건너 다단계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들을 상기 프레임에 펼치거나 상기 프레임의 최저 위치로 내려 접어드리면서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이루게한 게시탑으로서, 조작핸들의 구동력이 일측으로부터 전달부재들을 통하여 타측으로 전달되어 연동하며, 상기 양 프레임내의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하부 일정구간은 공회전부이고 그 이상은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승강요소들과, 이 승강요소들에 자유로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인접측과 일정 길의 견인요소로 상호 연결되고 상측의 것이 상기 승강요소의 나선부를 타고 상승시 하측의 것들이 상기 견인요소에 의해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되어며 상기 나선부를 타게 되고 또는 상기 나선부를 벗어남과 동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가동블록들과, 상기 가동블록들에는 상기 프레임의 내향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게시대의 접음 상태를 펼침상태로 자동전환시키는 복원요소가 내장되는 축수요소 및 상기 축수요소에 나사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설치되어 상기 복원요소와 클러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게시대를 갖추어서, 현수막의 승강안내 구조가 안정되고 교체작업이 간편 용이함과 동시에 풍압을 완화시키어 현수막의 훼손을 예방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게시탑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게시탑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양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입설되는 한쌍의 프레임들(10)을 가지며, 이 양 프레임들(10)의 사이에 그 프레임들(10)에 각기 구비되는 승강 안내구조를 이용해 승강하는 게시대들(12)을 이용해 가로 건너 다단계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들(14)을 설치시키고, 프레임에 펼치거나 상기 프레임의 최저 위치로 내려 접어드리면서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이루게한 게시탑으로서, 본 발명은 양 프레임(10) 중 그 어느 하나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정.역으로 조작되는 핸들(16)의 구동력이 일측으로 부터 전달부재들(17)을 통하여 타측으로 전달되어 연동하며, 양 프레임(10)내의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봉형상의 승강요소들(18)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승강요소들(18)은 하부 일정구간은 공회전부(18a)이고 그 이상 상측은 나선부(18b)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승강요소들(18)에는 승강요소(18)의 정.역회전력을 받아 상하 승강운동으로 전환되어 그 승강요소들(18)을 타고 자유로이 승강구동하는 가동블록들(20)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동블록들(20)은 승강요소(18)의 일측에 인접되어 병행하게 설치되는 안내요소(19)에 의해 승강구동이 안내될 것이다.
또 가동블록들(20)은 상.하 인접측과 일정 길의 견인요소(22)로 상호 연결되고 상측의 가동블록(20)이 승강요소(18)의 나선부(18b)를 타고 상승시 하측의 가동 블록들(20), 즉 승강요소(18)의 공회전부(18a)에 위치되어 있던 가동블록들(20)이 견인요소(22)에 의해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일정 위치에서 제시되는 나선부(18b)를 타게 되고 또는 나선부(18b)를 벗어나는 하측의 가동블록들(20)은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내려앉아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상측의 가동블록(20)은 현수막(14)을 펼치거나 접어드린상태에서 상시 승강요소(18)의 나선부(18b)에 위치되어 있으며, 견인요소(22)는 플렉시블한 케이블 또는 체인, 그 이외 봉형상의 막대나 안테나방식으로 절첩.전개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동블록들(2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프레임들(10)의 내향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수요소(24)를 갖추고 있고, 이 축수요소(24)에 게시대(12)가 그 축수요소(24)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되고 나사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들(10)의 내향벽에는 그 프레임(10)의 전장길이에 걸쳐지거나, 프레임(10)의 하측 일정구간에서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계단형의 제1 및 제2안내레일(26a,26b)을 갖추고 있고, 게시대들(12)에는 안내레일(26a,26b)을 타고 활주되는 걸이요소(28)를 갖추어서 게시대들(12)이 안내레일(26a,26b)의 소정위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안내레일(26a,26b)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음 또는 펼침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1안내레일(26a)은 상측의 게시대들(12)이 이용되고 제2안내레일(26b)은 최하측의 게시대(12)가 이용될 것이다.
이를 다시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현수막(10)의 게시시에는 게시대들(12)이 프레임(10)의 상하 전장길이에 걸쳐 등간격으로 펼쳐져 설치되고 현수막(10)의 교체 또는 해체시에는 게시대들(12)이 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접어내려오는 과정에서 안내레일(26a,26b)에 의해서 접힘 작용을 이루게 한 것이다.
또 프레임들(10)의 하부에는 승강요소들(18)의 나선부(18b)를 벗어나 공회전부(18a) 구간에서 자중으로 낙하되는 가동블록들(20)을 일시적으로 낙하를 억제하는 제어요소(3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어요소(30)는 가동블럭들(20)의 낙하길이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제동턱을 갖추고 가동블록들(20)측의 탄성요소(20a)가 제어요소(30)의 주면을 타고 활주케하여 급격한 낙하를 억제하게 되는데, 여기서, 가동블록들(2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인접되는 가동블록(20)과 절첩시 간격유지와 가동블록(20)을 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접어내리는 과정에서 승강요소(18)의 하강력을 하측의 가동블록(20)측으로 인가하는 간격유지요소(21)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게시대들(12)에는 현수막(14)의 양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현수막(14)의 길이방향 내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양측의 완충요소(13)를 이용해 풍압의 흡수작용 또는 복원을 이루게하는 파지요소(15)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축수요소(24)에는 게시대(12)와 클러치방식으로 결합되고, 게시대(12)의 접음 상태를 펼침 상태로 자동전환시키는 복원요소(32)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복원요소(32)는 축수요소(24)내에서 양분되어 일측은 가동블록(20)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자(32a)와, 타측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게시대(12)측과 클러치방식으로 결합되는 회전자(32b), 그리고 이들의 사이에 토션스프링(32c)을 개재하여서 그 토션스프링(32c)의 복원력에 의해 게시대(12)의 복귀는 물론이고 그 전개상태를 토션스프링(32c)의 탄성 복원력으로 긴장시킨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 게시탑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도 5a는 현수막들(14)이 펼쳐져 게시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5b는 현수막들(14)을 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접어내리어 교체 및 해체작업을 이루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프레임(1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조작핸들(16)을 조작시키면 양 프레임들(10)의 승강요소들(18)이 자전하게되고, 이와동시 현수막들(14)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게시대들(12)은 승강요소(18)를 타고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게시대들(12)이 제1안내레일(26a)의 소정 구간에 도달하면 현수막(14)의 펼침상태가 물리적으로 접어짐과 동시에, 게시대들(12)의 의지물인 가동블록들(20)을 승강요소들(18)의 나선부(18b)를 벗어나 공회전부(18a)에서 자중과 간격유지요소(21)의 밀어내리는힘에 의해 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순차적으로 하강시키어 접어내린다.
이와같이 게시대들(12)을 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접어내린상태에서 현수막(14)의 교체 및 해체작업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현수막(14)의 게시시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조작핸들(16)을 조작시키어 상기와는 역순으로 동작을 이룰 것이다.
본 고안 게시탑의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현수막을 파지하는 게시대들의 사이를 일정 길이의 견인요소로 인접측과 상호 연결시키고, 프레임내 높이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나선봉의 안내요소를 타고 승강작용을 이루게 함으로써, 게시대의 승강 구동이 안정되고 그 설치 간격이 균일하고도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가가 있다.
또 본 고안은 게시대가 프레임의 내향벽에서 구비되는 계단형 안내레일과 복원요소에 의해 절첩.전개되게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게시대의 복귀작용은 물론이고 펼침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현수막을 파지하는 게시대를 프레임으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수막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히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게시대내에 현수막에 가해지는 풍압을 흡수 처리하는 완충요소를 갖추므로써, 현수막의 훼손을 예방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양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입설되는 한쌍의 프레임들을 가지며, 이 양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그 프레임내의 승강 안내구조를 따라 승강하는 게시대를 이용해 가로 건너 다단계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들을 상기 프레임에 펼치거나 상기 프레임의 최저 위치로 내려 접어드리면서 현수막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이루게한 게시탑으로서,
    조작핸들의 구동력이 일측으로부터 전달부재들을 통하여 타측으로 전달되어 연동하며, 상기 양 프레임내의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하부 일정구간은 공회전부이고 그 이상 상측은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승강요소들;
    상기 승강요소들에 자유로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하 인접측과 일정 길의 견인요소로 상호 연결되고 상측의 것이 상기 승강요소의 나선부를 타고 상승시 하측의 것들이 상기 견인요소에 의해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나선부를 타게 되고 또는 상기 나선부를 벗어남과 동시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가동블록들;
    상기 가동블록들에는 상기 프레임의 내향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수요소; 및
    상기 축수요소에 그 축수요소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되고 나사조립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시대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향벽 전장길이에 걸쳐 소정의 위치에서 변환되는 계단형의 안내레일을 갖추고, 상기 게시대에는 상기 안내레일을 타고 활주되는 걸이요소를 갖추어서 상기 게시대가 상기 소정위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안내레일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음 또는 펼침되게한 게시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승강요소의 나선부를 벗어나 공회전부 구간에서 자중으로 낙하되는 상기 가동블록들을 일시적으로 낙하를 억제하는 제어요소를 갖춘 게시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대에는 상기 현수막의 양단이 지지되며, 상기 현수막의 길이방향내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양측의 완충요소를 이용해 풍압의 흡수작용 또는 복원을 이루게하는 파지요소를 갖는 게시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요소에는 상기 게시대와 클러치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게시대의 접음 상태를 펼침 상태로 자동전환시킴과 동시에 그 펼침상태를 긴장시키는 복원요 소가 내장된 게시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요소는 상기 축수요소내에서 양분되어 일측은 상기 가동블록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자와, 타측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상기 게시대측과 클러치방식으로 결합되는 회전자, 그리고 이들의 사이에 토션스프링을 개재하여서된 게시탑.
KR2020050035075U 2005-12-13 2005-12-13 게시탑 KR200409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75U KR200409863Y1 (ko) 2005-12-13 2005-12-13 게시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75U KR200409863Y1 (ko) 2005-12-13 2005-12-13 게시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863Y1 true KR200409863Y1 (ko) 2006-03-03

Family

ID=4176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75U KR200409863Y1 (ko) 2005-12-13 2005-12-13 게시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8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04B1 (ko) * 2010-03-10 2012-10-24 최상룡 현수막 게시장치
KR101757236B1 (ko) 2015-06-11 2017-07-13 주식회사 두승이엔지 방향전환 기능을 갖는 광고게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04B1 (ko) * 2010-03-10 2012-10-24 최상룡 현수막 게시장치
KR101757236B1 (ko) 2015-06-11 2017-07-13 주식회사 두승이엔지 방향전환 기능을 갖는 광고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4340B (zh) 一种市政工程建筑施工围板
CN102231250A (zh) 广告条、板、旗帜或条幅的支承杆
KR200409863Y1 (ko) 게시탑
CN204738226U (zh) 一种拱桥主拱底部平轨式检修车
KR20041011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107435495B (zh) 旋转门
KR100806027B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105263658B (zh) 用于将石材块切割成平板的多线框架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KR101722096B1 (ko) 현수막 거치대
CN108096859B (zh) 一种舞台用升降式道具桥
CN112669733A (zh) 自适应型折叠抗风广告牌
CN208039781U (zh) 一种建筑工程用脚手架
KR100869689B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220485265U (zh) 一种高压输电铁塔维修用攀登装置
CN219158880U (zh) 一种作业攀爬装置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CN210288180U (zh) 一种市政道路指示牌
KR200359815Y1 (ko) 게첨기 조작 부담을 개선한 현수막 게시대 장치
KR20150076462A (ko)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승강 장치
KR200446551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11798B1 (ko) 상하 구동식 현수막 게시대
CN203669447U (zh) 悬臂式停车设备的防坠装置
CN219485963U (zh) 一种便于调节多功能木材切割升降装置的支撑杆结构
CN214449787U (zh) 一种高校思想政治网络教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