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551Y1 -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551Y1
KR200446551Y1 KR2020080002548U KR20080002548U KR200446551Y1 KR 200446551 Y1 KR200446551 Y1 KR 200446551Y1 KR 2020080002548 U KR2020080002548 U KR 2020080002548U KR 20080002548 U KR20080002548 U KR 20080002548U KR 200446551 Y1 KR200446551 Y1 KR 200446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support link
banner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742U (ko
Inventor
유인술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드림테크
Priority to KR2020080002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현수막이 다단으로 펼쳐져서 게시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10)과, 가이드 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20)에 각각 구비되는 피봇축(21)과, 길이방향으로 현수막지지대(34)가 설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21)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며, 상기 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링크(30)와, 상기 지지링크(30)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21)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되, 상단은 상측에 배치된 지지링크(30)의 하단에 링크연결되고, 하단은 하측에 배치된 지지링크(30)의 상단에 링크연결되는 복수의 연동링크(40)와, 코일부(51)가 상기 피봇축(21)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코일부(5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단(52)이 상기 지지링크(30)에 지지되며, 상기 코일부(5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2 지지단(53)이 상기 연동링크(40)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링크(30)가 직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50)을 포함한다.
현수막, 게시, 링크,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현수막 게시장치 { A device for hanging placards }
본 고안은 현수막이 게시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현수막이 다단으로 펼쳐져서 게시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띠형식의 천에 공공광고, 상업광고, 홍보문구 등을 인쇄하여, 게시하는 홍보물의 일종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제작비가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다양한 홍보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현수막은 쉽게 제작하여 게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장소에 별도의 게시대를 만들어 현수막이 무분별하게 게시되지 못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두 개의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에 각각 현수막의 양단을 고정함으로써, 현수막이 다단으로 게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의 양단을 줄을 이용하여 결속시키기 때문에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에서는 현수막을 결속시키는데 사용된 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수막 게시대의 상부에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현수막 게시대의 상부로 올라가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중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격되게 한 쌍의 기둥을 배치하고, 상기 기둥을 따라 배치되고 현수막의 단부가 장착되는 일군(一群)의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지그재그식으로 링크연결되는 일군의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둥상에서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가 서로 연동되어 기둥상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둥의 내부에 내장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순환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부재가 완전히 펼쳐지도록 일일이 수동으로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체인이 순환되도록 하여,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가 펼쳐주어 현수막이 직립되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체인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둥에 체결되는 탄성부재가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로 복수의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를 직립시키기 위해서 탄성부재의 스프링상수가 커야하고, 상기 기둥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둥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현수막을 장착하여 게시할 때, 탄성력에 의해서 다단으로 배치되는 현수막이 직립되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과, 가이드 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에 각각 구비되는 피봇축과, 길이방향으로 현수막지지대가 설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며,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되, 상단은 상측에 배치된 지지링크의 하단에 링크연결되고, 하단은 하측에 배치된 지지링크의 상단에 링크연결되는 복수의 연동링크와, 코일부가 상기 피봇축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코일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단이 상기 지지링크에 지지되며, 상기 코일부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2 지지단이 상기 연동링크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링크가 직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복수로 구비되는 피봇축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봇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크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크의 내부에 피봇축이 관통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지지링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단은 상기 지지링크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연동링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링크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지지링크가 직립상태를 넘어가지 않도록 인접한 지지링크의 하단과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편리하고 안전하게 현수막을 장착, 교환 또는 탈거할 수 있고, 상기 현수막에 장착되는 지지링크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현수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풍압이 작용하여도 상기 현수막이 장착된 지지링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현수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토션스프링이 기둥에 설치되지 않고 지지링크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기둥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미관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현수막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지지브라켓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B"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10)과, 상기 가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20)와, 현수막의 양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20)에 체결된 피봇축(21)에 중앙부분이 피봇연결되며 상기 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링크(30)와, 상기 피봇축(21)에 중간부분이 피봇연결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측와 하측에 인접한 지지링크에 각각 링크연결되며 상기 지지링크(30)와 동수로 배치되는 연동링크(40)와, 상기 지지링크(30)가 직립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링크(30)를 연동링크(40)에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피봇축(21)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50)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1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지면에 정해진 거리, 즉 현수막(P)의 길이보다 넓게 배치된다. 상기 기둥(10)은 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둥(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11)은 한 쌍의 기둥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홈(11)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둥(10)의 내부에는 기둥(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된 스프로켓(미도시)을 순환하는 체인(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10)의 일측에는 스프로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1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기둥(10)이 동시에 작동 되도록 양단이 각각의 기둥(10)에 구비된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연동축(13)이 구비된다.
가이드(20)는 상기 가이드홈(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가이드홈(11)을 내부에 위치하여 후술되는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기둥(10)을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20) 중에서 최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20)는 상기한 체인-스프로켓과 같은 가이드 이동수단의 일측에 체결된다. 즉, 상기 체인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20)를 체결함으로써, 체인과 함께 가이드(20)가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가이드(20)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가이드(20)는 상기 기둥(10)에 고정시킴으로써, 최하단에 배치된 가이드(20)를 중심으로 후술되는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20)에는 후술되는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를 피봇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피봇축(21)이 구비된다. 피봇축(21)은 상기 가이드(20)에서 마주보고 있는 기둥(10)을 향하도록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링크(30)는 현수막(P)의 단부가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현수막(P)은 양단에 현수막(P)이 팽팽해지도록 하는 현수막 지지대(34)가 구비되는데, 상기 현수막 지지대(34)가 상기 지지링크(30)에 장착됨으로써, 현수막(P)이 현수막 게시장치에 게시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지지링크(30)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부분에 고리형태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현수막 지지대(34)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현수막 고정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현수막 고정부(33)에 현수 막 지지대(34)를 삽입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현수막(P)을 지지링크(30)에 장착하거나 탈거하게 된다.
상기 지지링크(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20)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된다. 상기 피봇축(21)이 지지링크(30)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링크(30)의 중간부분이 상기 가이드(20)에 피봇연결되어 상기 지지링크(30)는 상기 피봇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링크(30)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크(30)가 파이프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링크(30)의 내부에 후술되는 탄성부재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링크(30)는 피봇연결시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현수막(P)이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사각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링크(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지지링크(30)들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크(30)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되도록 지지브라켓(3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링크(30)들이 직립하면 상기 지지브라켓(31)에 인접한 다른 지지링크(30)의 단부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동링크(40)는 상기 지지링크(30)들과 링크연결되어 지지링크(30)들이 연동되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연결시킨다.
상기 연동링크(40)도 상기 지지링크(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링크(30)의 중간부분이 상기 가이드(20)에 체결된 피봇축(21)에 피봇연결되어 상기 피봇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동링크(40)가 지지링크(30)와 동수로 마련되므로, 상기 가이드(20)에 체결된 피봇축(21)에는 각각 하나의 지지링크(30)와 하나의 연동링크(40)가 피봇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동링크(40)는 양단이 각각 인접한 상측과 하측의 지지링크(30)와 링크연결된다. 즉, 상기 연동링크(40)의 상단은 상측에 인접한 지지링크(30)의 하단에 링크연결되고, 하단은 하측에 인접한 지지링크(30)의 상단에 링크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하나의 기둥(10)에 피봇연결된 지지링크(30)들과 연동링크(40)은 모두 서로 교차되도록 링크연결되므로, 각각의 지지링크(30)은 피봇축(21)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각도를 갖고, 각각의 연동링크(40)는 상기 지지링크(30)에 대칭되는 회전각도를 갖도록 동시에 서로 연동한다. 상기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연결되므로, 어느 하나의 지지링크(30) 또는 연동링크(40)를 회전시키면 나머지 지지링크(30) 또는 연동링크(40)도 연동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동되는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현수막(P)을 장착하거나 탈거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동링크(40) 중에서 최상측에 마련된 연동링크의 상단은 지지링크(30)와 링크연결되지 않으므로, 가이드(20)에 피봇연결될 수 있는 길이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마찬가지로 최하측에 마련된 연동링크도 다른 연동링크(4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상기 가이드(20)에 체결시킬 때에는, 가이드(20)에 형성된 피봇축(21)에 먼저 연동링크(40)를 피봇연결하여 연동링크(40)가 가이드(20)에 인접하도록 하고, 나중에 지지링크(30)를 피봇축에 피봇연결되도록 하여 연동링크(40)가 지지링크(30)와 가이드(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기둥(10)상에서 상기 지지링크(3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과 상관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막 지지대(34)가 지지링크(3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동되도록 링크연결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기 위해서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피봇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동링크에 대하여 지지링크(3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링크(30)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가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피봇축(21)상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50)을 들 수 있다. 코일부(51)를 중심으로 상기 코일부(5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단(52)과 상기 코일부(5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지지단(53)이 정해진 각도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토션스프링(50)을 상기 피봇축(21)상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함으써,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양단이 각각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를 탄성지지하여 지지링크(30)가 직립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5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링크(30)의 내부에 설 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코일부(51)는 상기 지지링크(30)를 관통하고 있는 피봇축(21)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예컨대, 상기 토션스프링(50)을 상기 지지링크(30)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코일부(51)가 피봇축(21)을 관통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지지단(52)은 상기 지지링크(30)의 내측벽에 탄성지지되도록 하고 제2 지지단(53)은 상기 연동링크(4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50)은 복수로 설치된 피봇축(21)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피봇축(21)에 설치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각 피봇축(21)에서 상기 지지링크(30)가 연동링크(40)에 대하여 직립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각 피봇축(21)마다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링크(3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50)을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제공되는 바, 상기 토션스프링(50)을 설치한 후 상기 제2 지지단(53)이 작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커버(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토션스프링(5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링크(30)가 사각파이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50)이 지지링크(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상기 기둥(10)의 부피가 커지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최하측의 피봇축(21)은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50)이 설치되는 방향이 나머지 피봇축(21), 특히 최상측의 피봇축(21)과는 대칭되게 설치된다. 즉, 연동링크(40)중에서 최하단의 연동링크(40)는 피봇축(21)에 연결되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므로 상기 토션스프링(50)의 단부가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므로, 토션스프링(50)이 설치되는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토션스프링(50)의 양단이 각각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토션스프링(50)은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의 중간부분에 설치됨으로써, 토션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를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한다. 예컨대, 상기 토션스프링(50)을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의 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의 무게중심과 작용점에 차이가 있어서, 토션스프링(50)이 지지링크(30)이 연동링크(4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스프링상수가 큰 스프링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의 무게중심인 중간부분에서 가이드(20)와 피봇연결 함으로써, 적은 스프링상수를 가진 탄성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연동링크(40)에 대하여 지지링크(30)가 직립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첩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 한다.
현수막(P)을 새로이 게시하기 위해 장착하거나, 게시되어 있는 현수막(P)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서로 링크연결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를 펼쳐진 상태에서 접히도록 한다.
상기 기둥(10)에 구비된 손잡이(12)를 회전시켜 체인을 순환시키면, 상기 체인을 따라 최상측에 구비된 가이드(20)를 하강시킨다. 순환하는 체인을 따라 하강 되는 가이드(20)를 따라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회전하여 접힌다.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한 가이드(20)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는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최상측의 가이드(20)가 아래로 이동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들은 서로 연동되어 접히게 된다. 이때,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기둥(10)은 연동축(13)으로 서로 연동되게 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기둥(10)에 구비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동시에 접힌다.
서로 링크연결된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혀서, 모든 지지링크(3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든 지지링크(30)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링크(30)에 현수막 지지대(34)를 장착함으로써, 현수막(P)이 지지링크(30)에 장착되도록 한다. 현수막(P)의 양단에 구비된 현수막 지지대(34)를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기둥(10)의 지지링크(30)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현수막 게시장치에 현수막(P)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현수막(P)은 상기 지지링크(30)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현수막(P)을 장착, 교환 또는 탈거하기 위해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히도록 한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12)의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를 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힌 상태에서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지지링크(30)과 연동링크는 펴지려고 하 므로, 이를 방지하여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2)의 일측을 고정시킨다.
한편, 장착된 현수막(P)은 인쇄된 내용이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직립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링크(30)가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고정되어 있던 상기 손잡이(12)의 구속을 해제하면,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각 가이드(20)의 피봇축(21)에 구비된 토션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서 각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들은 직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외력이 제거되면 각 피봇축(21)에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는 직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50)에 의해서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어느 정도 직립되면, 상기 손잡이(12)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완전하게 직립되도록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보다 상기 지지링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완전하게 직립되면, 상기 지지링크(30)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브라켓(31)에 인접한 다른 지지링크(30)의 단부가 접촉하여 더 이상 지지링크(3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링크(3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구속수단으로 상기 손잡이(12)를 구속하면, 현수막(P)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지지링크(30)와 연동링크(40)가 가이드(20)에 피봇연결된 중간부분에서 탄력 지지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지지링크(30)과 연동링크(40)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현수막(P)이 게시된 상태에서 풍압이 현수막(P)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현수막(P)은 토션스프링(50)과 지지브라켓(31)에 의해서 직립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된다. 즉, 풍압에 의해서 현수막(P)을 회전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토션스프링(50)이 다시 지지링크(30)가 직립되도록 하거나, 지지브라켓(31)에 의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현수막(P)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에 현수막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내지 도 6은 도 2의 "A"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지지브라켓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도 2의 "B"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P : 현수막 10 : 기둥
11 : 가이드홈 12 : 손잡이
13 : 연동축 20 : 가이드
21 : 피봇축 30 : 지지링크
31 : 지지브라켓 32 : 커버
33 : 현수막 고정부 34 : 현수막 지지대
40 : 연동링크 50 : 토션스프링
51 : 코일부 52 : 제1 지지단
53 : 제2 지지단

Claims (4)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기둥(10)과, 가이드 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20)에 각각 구비되는 피봇축(21)과, 길이방향으로 현수막지지대(34)가 설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21)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며, 상기 기둥(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피봇축(21)이 관통되며, 일부가 절개된 복수의 지지링크(30)와, 상기 지지링크(30)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중간부분이 상기 피봇축(21)에 회전가능하게 피봇연결되되, 상단은 상측에 배치된 지지링크(30)의 하단에 링크연결되고, 하단은 하측에 배치된 지지링크(30)의 상단에 링크연결되는 복수의 연동링크(40)와, 상기 지지링크(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의 지지링크(30)가 직립상태를 넘어가지 않도록 인접한 지지링크의 하단과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31)을 포함한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30)는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봇축(21)으로 피봇연결된 지지링크(30)와 상기 연동링크(40)를 동시에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토션스프링(50)은 코일부(51)가 상기 피봇축(21)상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코일부(5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지지단(52)은 상기 지지링크(30)에 지지되며, 상기 코일부(5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2 지지단(53)은 상기 지지링크(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연동링크(4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80002548U 2008-02-26 2008-02-26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46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48U KR200446551Y1 (ko) 2008-02-26 2008-02-26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48U KR200446551Y1 (ko) 2008-02-26 2008-02-26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2U KR20090008742U (ko) 2009-08-31
KR200446551Y1 true KR200446551Y1 (ko) 2009-11-10

Family

ID=4130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48U KR200446551Y1 (ko) 2008-02-26 2008-02-26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72Y1 (ko) * 2003-08-29 2003-11-19 구윤두 현수막 게시대
KR200400533Y1 (ko) * 2005-08-29 2005-11-08 유인술 현수막 게시장치
KR100558469B1 (ko) * 2005-09-08 2006-03-10 (주)한석엔지니어링 압축형 압착 앵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72Y1 (ko) * 2003-08-29 2003-11-19 구윤두 현수막 게시대
KR200400533Y1 (ko) * 2005-08-29 2005-11-08 유인술 현수막 게시장치
KR100558469B1 (ko) * 2005-09-08 2006-03-10 (주)한석엔지니어링 압축형 압착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2U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92B1 (en) Collapsible sign frame for displaying a sign panel
JP4070774B2 (ja) 懸垂幕掲示装置
CN107435495B (zh) 旋转门
CN101964163A (zh) 显示屏
KR200446551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06027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05056B1 (ko) 회전식 현수막 게시장치
KR101173408B1 (ko)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100924175B1 (ko) 자동 현수막 게시장치
KR101250500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929392B1 (ko) 회전형 광고판
KR100855906B1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476785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CN112336155B (zh) 一种雨伞放置架及其操作方法
KR101814705B1 (ko) 회전형 현수막 거치대
KR200304727Y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100971656B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185750Y1 (ko) 현수막 게시대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349346Y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103986B1 (ko)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KR200333972Y1 (ko) 현수막 게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27

Effective date: 200909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