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500B1 -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500B1
KR101250500B1 KR1020110031652A KR20110031652A KR101250500B1 KR 101250500 B1 KR101250500 B1 KR 101250500B1 KR 1020110031652 A KR1020110031652 A KR 1020110031652A KR 20110031652 A KR20110031652 A KR 20110031652A KR 101250500 B1 KR101250500 B1 KR 10125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s
moving
right vertical
ba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952A (ko
Inventor
김낙찬
Original Assignee
김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찬 filed Critical 김낙찬
Priority to KR102011003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0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수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 하부 및 상부 구동축과,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의 각 단부에 각각 인접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측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수직축과,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및 제4베벨기어유닛과, 상기 하부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부 구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제공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제1이동관과, 상기 제1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하는 제2,제3,제4,제5이동관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관과, 상기 제5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복수의 이동관 및 고정관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복수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지지축과 회전날개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날개와 함께 자바라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현수막 게시대는 양측의 수직축이 동일하게 회전 하여 현수막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현수막은 일 측으로 기우는 일이 없이 항상 똑바르고 안정된 상태로 승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A placard bulletin stand}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개의 현수막 설치가 가능하며, 사다리 등의 보조수단이 없이도 현수막의 설치가 용이한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현수막이 설치된다. 관공서는 질서 있는 현수막 설치를 위해 일정한 장소에 다수의 현수막을 설치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현수막 게시대는 하나에서부터 복수개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여러 장의 현수막을 편리하게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이 제공되어 왔다. 종래에는 이러한 현수막 장치가 체인과 스프로킷의 구동에 따라 다수의 게첨대가 접철되는 방식의 현수막 게시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수막 장치로는 게첨대와 게첨대를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승 하강 시키는 방식으로, 체인이 다수개의 스프로킷을 연결하고 있어 이동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고, 게첨대가 상부로 올라갈수록 하중이 증가되어 사용자는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또한 무리하게 돌리다 보면 체인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무게 및 바람의 작용 등으로 인해 링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게첨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각 게첨대가 상이한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현수막 설치가 가능하며, 사다리 등의 보조수단이 없이도 현수막 설치가 용이한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 하부 및 상부 구동축과,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의 각 단부에 각각 인접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측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수직축과,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및 제4베벨기어유닛과, 상기 하부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부 구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제공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제1이동관과, 상기 제1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하는 제2,제3,제4,제5이동관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관과, 상기 제5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복수의 이동관 및 고정관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복수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지지축과 회전날개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날개와 함께 자바라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이동관 및 지지축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구름부재와, 상기 구름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름부재 가 이동할 때 접촉 가이드를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일 측면에 현수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회전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현수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양측의 수직축이 동일하게 회전 하여 현수막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현수막은 일 측이 기우는 일이 없이 항상 똑바르고 안정된 상태로 승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둘째, 현수막 게시대는 접철식으로 승 하강되며 사다리 등의 보조수단 없이도 현수막의 설치가 가능하고, 순서에 상관없이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취한 단면도 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취한 단면도 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취한 단면도 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의 작동상태도 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의 작동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현수막 게시대(10)는 하부구동축(110)과 상부구동축(120)과 좌측수직축(130)과 우측수직축(140)과 제1,제2,제3 및 제4베벨기어유닛(150)(160)(170)(180)과 동력제공부(190)와 이동관(210)(220)과 고정관(230)과 회전날개(240)(250)와 연결부재(260)(270)와 가이드유닛(280)(290) 및 고정수단(310)(3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구동축(110) 및 상부 구동축(120)은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구동축(110)의 각 단부(110a,110b)에는 제1베벨기어유닛(150)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구동축(120)의 각 단부(120a,120b)에는 제2베벨기어유닛(160)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베벨기어유닛(150)(160)은,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110)(120)과 함께 회전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은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110)(120)의 각 단부(110a)(110b)(120a)(120b)에 각각 인접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수직축(130)의 각 단부(130a,130b)에는 제3베벨기어유닛(170)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우측 수직축(140)의 각 단부(140a,140b)에는 제4베벨기어 유닛(18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 및 제4베벨기어유닛(170)(180)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동력제공부(190)는 상기 하부 구동축(110)의 일 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제공부(190)는 상기 하부 구동축(110)의 제1베벨기어유닛(150)에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어(191)와 상기 제1기어(191)와 맞물리며 일 측에 손잡이(193)가 구비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2기어(19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2기어(192)는 상기 제1기어(191)와 맞물려 상기 하부 구동축(110)을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2기어(192)의 직경은 상기 제1기어(19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기어(192)는 상기 제1기어(191)보다 회전되는 횟수가 많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힘은 감소가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 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은, 상측 일부분의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나사부(131)(141)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부(131)(141)는 후술할 제1이동관(211a)(221a)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상기 이동관(210)(220)은 제1이동관(211a)(221a)과 제2이동관(211b)(221b)과 제3이동관(211c)(221c)과 제4이동관(211d)(221d) 및 제5이동관(211e,211f)(221e,221f)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관(211a)(221a)은 상기 나사부(131)(141)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승강가능하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관(211b)(221b)과 제3이동관(211c)(221c)과 제4이동관(211d)(221d) 및 제5이동관(211e,221e)은 상기 나사부(131)(141)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며, 후술할 가이드 유닛(280)(290)에 지지되어 상하 이동된다.
상기 고정관(230)은, 상기 제5이동관(211e)(221e)의 하측에서 고정 장치(도면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관(230)은, 상하 이동하지 않으며, 후술할 제1연결부재(250a,260a)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지지축(213)(223)은 상기 이동관(210)(220)들 및 상기 고정관(230)의 각 외측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축(213)(223)은 후술할 상기 회전날개(230)(240) 및 연결부재(250)(26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213)(223)은 후술할 가이드유닛(270)(280)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유닛(270)(280)과 함께 상하 이동된다.
상기 회전날개(230)(240)는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절곡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위에는 제1관통홀(231)(24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230)(240)는 중심부에는 제2관통홀(232)(2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관통홀(232)(242)은 상기 제2이동관(211b)(221b)과 제3이동관(211c)(221c)과 제4이동관(211d)(221d) 및 제5이동관(211e)(221e)의 지지축들(213)(223)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250)(260)는 복수의 제1연결부재(250a)(260a)와 제2연결부재(250b)(26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250a)(260a)는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 측이 상기 제1이동관(211a)(221a)과 제2이동관(211b)(221b)과 제5이동관(211e)(221e) 및 고정관(230)의 지지축(213)(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회전날개(230)(240)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50b)(260b)는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심부는 제3이동관(211c)(221c) 및 제4이동관(211d)(221d)의 지지축들(213)(223)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또한 일 측 및 타 측은 상기 회전날개들(230)(240)들의 일 측 및 타 측의 제1관통홀(231)(241)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유닛(270)(280)은 하우징(271)(281)과 한 쌍의 구름부재(272)(282)및 가이드레일(273)(283)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유닛(270)(280)은 상기 고정관(230)을 제외한 상기 이동관들(210)(220)의 지지축들(213)(223)들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이동관들(210)(220) 및 상기 이동관들(210)(220)들에 고정된 회전날개(230)(240)와 상기 연결부재(250)(260)를 자바라 형성되도록 상하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71)(281)은 상기 지지축들(213)(223)들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구름부재(272)(282)는 상기 하우징(271)(281)의 양 측에서 각각 한 쌍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름부재(272)(282)는 롤러의 형상을 가지며, 상하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73)(283)은 상기 구름부재(272)(282)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271)(281)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71)(281)과 함께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10)(320)은 몸체(311)(321)와 덮개(312)(322) 및 지지프레임(313)(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310)(320)은 상기 회전날개(230)(240)의 일 측면에서 각각 설치되며, 상기 현수막(P)의 양측을 각각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311)(321)는 내부가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311)(3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브(311a)(32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311)(321) 및 슬리브(311a)(321a)는 상기 현수막(P)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고정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덮개(312)(322)는 상기 몸체(311)(321)의 양 단에서 개폐가능하게 결합하어 상기 현수막(P)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13)(323)은 직 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일 측이 상기 몸체(311)(321)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회전날개(230)(240)의 일 측 및 타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관(211)(221)과 상기 회전날개(230)(240)와 연결부재(250)(260) 및 고정수단(310)(320)의 개수는 본 발명에 도면에 도시된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하부 구동축 및 상부 구동축(110)(120)의 제1 및 제2 베벨기어유닛(150)(160)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의 제3 및 제4 베벨기어유닛(170)(180)과 각각 맞물린 상태이다. 또한 상기 이동관(210)(220)들 및 고정관(230)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의 하단에서 높이방향으로 각 단부들이 맞닿도록 하강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이동관(211a)(221a)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에 형성된 상기 나사부(121)(141)의 제일 하단에 나사 걸림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230)(240) 및 연결부재(250)(260)는 모두 접혀진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현수막(P)도 모두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하부 구동축(110)의 일 측에 설치된 상기 동력제공부(19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베벨기어유닛(150)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제3 및 제4 베벨기어유닛(170)(180)과 상기 제2베벨기어유닛(16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베벨기어유닛(170)(180)을 구비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이 함께 회전 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이동관(211a)(221a)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상으로 승강 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관(230)을 제외한 나머지 이동관들(211)(221)은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관들(211)(221)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상으로 모두 승강될 때에는, 상기 이동관들(211)(221)은 상기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관(211a)(221a)을 제외한 상기 제2이동관(211b)(221b)과 제3이동관(211c)(221c)과 제4이동관(211d)(221d) 및 제5이동관(211e)(221e)은 상기 나사부(131)(141)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이동관들(211)(221)은 상기 가이드유닛(270)(280)에 결합되어 상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230)은 상기 나사부(131)(141)하단에서 고정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현수막(P)은 모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190)의 손잡이(193)를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현수막 게시대(10)는 상술한 작동과 역순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현수막 게시대(10)는 접철식으로 승 하강되도록 접혀지므로, 사다리 등의 보조수단 없이도 상기 현수막(P)의 설치가 가능하며, 순서에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수직축(130)(140)이 동일하게 회전 되어 상기 현수막(P)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상기 현수막(P)이 일 측으로 기우는 일이 없이 항상 똑바르고 안정된 상태로 승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현수막 게시대. 110: 하부 구동축
120: 상부 구동축 130: 좌측 수직축
140: 우측 수직축 150: 제1베벨기어유닛
160: 제2베벨기어유닛 170: 제3베벨기어유닛
180: 제4베벨기어유닛 190: 동력제공부
210,220: 이동관 230: 고정부
240,250: 회전날개 260,270: 연결부재
280,290: 가이드유닛 310,320: 고정수단

Claims (5)

  1. 지면에 수평하게 서로 이격 배치된 하부 및 상부 구동축;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의 각 단부에 각각 인접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측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구비된 좌측 및 우측 수직축;
    상기 하부 및 상부 구동축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제2,제3 및 제4베벨기어유닛;
    상기 하부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부 구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제공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 제1이동관과, 상기 제1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하는 제2,제3,제4,제5이동관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관;
    상기 제5이동관의 하부에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축을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관;
    상기 복수의 이동관 및 고정관에서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복수의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회전날개;
    상기 지지축과 회전날개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날개와 함께 자바라 형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이동관 및 지지축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구름부재와,
    상기 구름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름부재 가 이동할 때 접촉 가이드를 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일 측면에 현수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현수막 게시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회전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현수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현수막 게시대.
KR1020110031652A 2011-04-06 2011-04-06 현수막 게시대 KR1012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652A KR101250500B1 (ko) 2011-04-06 2011-04-06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652A KR101250500B1 (ko) 2011-04-06 2011-04-06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952A KR20120113952A (ko) 2012-10-16
KR101250500B1 true KR101250500B1 (ko) 2013-04-03

Family

ID=4728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652A KR101250500B1 (ko) 2011-04-06 2011-04-06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89B1 (ko) 2020-05-20 2020-11-18 전정숭 선택적 방향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현수막 걸이대
KR102207090B1 (ko) 2020-07-13 2021-01-25 전정숭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KR102583039B1 (ko) 2023-02-10 2023-09-26 전정숭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907B (zh) * 2019-05-14 2021-03-12 广东星程智能展示科技有限公司 一种商品智能展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429Y1 (ko) 2000-05-17 2000-12-01 곽기철 현수막 게양용의 프레임어셈블리
KR20070019075A (ko) * 2005-08-11 2007-02-15 김재용 광고의 교체가 용이한 옥외용 광고 게시대
KR20100026160A (ko) * 2008-08-29 2010-03-10 최종만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429Y1 (ko) 2000-05-17 2000-12-01 곽기철 현수막 게양용의 프레임어셈블리
KR20070019075A (ko) * 2005-08-11 2007-02-15 김재용 광고의 교체가 용이한 옥외용 광고 게시대
KR20100026160A (ko) * 2008-08-29 2010-03-10 최종만 현수막 게시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89B1 (ko) 2020-05-20 2020-11-18 전정숭 선택적 방향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현수막 걸이대
KR102207090B1 (ko) 2020-07-13 2021-01-25 전정숭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KR102583039B1 (ko) 2023-02-10 2023-09-26 전정숭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952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500B1 (ko) 현수막 게시대
CN109473273B (zh) 一种变压器线圈起立架
CN112128556A (zh) 一种用于英语教学的多模态英语教学装置
KR101730222B1 (ko) 전광판 승강장치
CN204675220U (zh) 一种翻边多边形交叉片伸缩型辊筒输送机
CN203924021U (zh) 一种悬浮式浮藻汲取机
CN105314457A (zh) 一种电力线卷线装置
KR20100026160A (ko) 현수막 게시대
CN213202240U (zh) 一种消防工程施工用安装支架
CN114484209B (zh) 一种水利工程用生态展示装置
CN210764145U (zh) 应用凸轮连杆结构的顶升装置
CN106966343B (zh) 用于船舶建造的举高作业机构以及多联举高作业机构
CN210457031U (zh) 一种管路收放装置
JP2018141459A (ja) 水力発電装置
CN208535460U (zh) 一种纺织机械用支撑装置
KR20110134991A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130140312A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200446922Y1 (ko) 굴곡형 리프트의 수평유지장치
CN207243341U (zh) 简易便捷式顶升装置
CN104175740A (zh) 一种用于装订机的压纸机构
WO2018155646A1 (ja) 水力発電装置
CN215828296U (zh) 一种升降装置
KR200304727Y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13532479U (zh) 一种电气设备调试维修平台
CN220395346U (zh) 一种光伏遮阳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