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039B1 -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Google Patents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3039B1 KR102583039B1 KR1020230018007A KR20230018007A KR102583039B1 KR 102583039 B1 KR102583039 B1 KR 102583039B1 KR 1020230018007 A KR1020230018007 A KR 1020230018007A KR 20230018007 A KR20230018007 A KR 20230018007A KR 102583039 B1 KR102583039 B1 KR 102583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body
- piece
- banner
- gear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조작의 적극적인 개선에 기인하여 장력 제어의 정밀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양 방향 조작 방식으로 조작성이 우수하여 현수막의 교체 내지 설치, 철거 등의 작업 능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설정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입설봉체(10);와, 입설봉체로부터 등 간격 배치되는 선회봉체(20);와,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설정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브라켓(30);과,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보장하는 기어부(40);와, 기어부 내에서 양방향 위치 가변에 의한 치합 여부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편(50);과, 선회봉체와 힌지 결합하여 동반 선회하고, 힌지를 기점으로 상단이 설정 각도로 개구되어 현수막의 상방 결부를 허용하는 끼움봉체(60);와, 끼움봉체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선회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속편(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막의 게첩 상태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현수막 걸이대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 조작의 적극적인 개선에 기인하여 장력 제어의 정밀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양 방향 조작 방식으로 조작성이 우수하여 현수막의 교체 내지 설치, 철거 등의 작업 능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수막은 긴 천에 광고 내지 홍보문구를 기재하고, 양쪽에 구비된 각목과 같은 지지대를 끈으로 묶어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현수막을 고정하기 위한 끈은 주로 고층건물이나 가로수, 전봇대에 묶는 방식으로 무분별하게 설치되면서 주변의 경관을 크게 해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무분별한 현수막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현수막 게시장치를 지정된 장소에 배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한 쌍의 기둥을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고, 이 기둥에 현수막 끈을 묶음으로써 현수막의 게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묶였던 끈이 풀리거나 느슨해지면서 현수막의 장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고, 현수막을 제거한 후 잔류한 끈으로 인해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두 개의 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에 각각 현수막의 양단을 고정함으로써 현수막이 다단으로 게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의 양단에 줄을 이용하여 결속시키기 때문에 현수막을 게시하거나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현수막이 게시된 상태에서는 현수막을 결속시키는데 사용된 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경향이 있다.
근래 들어 전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각종 구조의 현수막 게시대 혹은 걸이대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단순히 현수막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고, 나아가 현수막의 시공 이점을 위해 회전형으로 제공되는 게시대 혹은 걸이대의 경우에도 그 기능이나 작동 구조가 극히 제한적이어서 보다 광범위하고 사용 가치가 높으며 사용자 니즈에 충족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대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기적인 조립성 및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를 기반으로 자체 회전력이 부여되는 현수막 걸이대를 제공하되, 특히 다양한 위치에서도 현수막 걸이대의 회전 동작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을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첩된 현수막의 장력을 적극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 제공은 물론, 기본적으로 현수막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고정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현수막의 양단을 구속하여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설정 시설물에 게첩되게 하는 한 쌍의 현수막 걸이대로써, 특히 설정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입설봉체(10);와, 입설봉체로부터 등 간격 배치되는 선회봉체(20);와,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설정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브라켓(30);과,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보장하는 기어부(40);와, 기어부 내에서 양방향 위치 가변에 의한 치합 여부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편(50);과, 선회봉체와 힌지 결합하여 동반 선회하고, 힌지를 기점으로 상단이 설정 각도로 개구되어 현수막의 상방 결부를 허용하는 끼움봉체(60);와, 끼움봉체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선회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속편(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회봉체(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현수막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핀(21)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봉체(60)는 선회봉체(20)의 위치결정핀(21)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 형성된 수용홈(6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속편(70)은 선회봉체(20)와 축 결합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편(71);과, 회동편으로부터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반 선회됨에 따라 끼움봉체(60)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고, 인·입출 동작에 기인하여 끼움봉체의 조임 여부가 결정되는 조임편(7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편(71)은 조임편(72)의 중첩 부위에 요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편(72)은 회동편의 요홈과 대응하는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걸림되고, 걸림된 위치에 따라 조임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40)는 입설봉체(10)와 선회봉체(20)의 상단에서 횡단 배치되는 프레임(41);과,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입설봉체의 상단을 인입 수용하는 수용홈(42);과,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선회봉체와 동심원에 배치되는 관통홈(43);과, 프레임 상에서 관통홈을 통해 선회봉체와 결합하며 조작편(50)과의 치합 여부에 따라 회전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되면서 선회봉체와 끼움봉체의 움직임을 설정하는 기어체(44);와, 프레임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체(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편(50)은 기어부(40)의 수용홈(42) 상에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기어부의 기어체(45)에 치합되면서 선회봉체(20)의 선회 동작을 제어하는 손잡이부(51);와, 손잡이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손잡이부의 회전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스토퍼(52);와, 기어부의 프레임(41)과 스토퍼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1)는 선회봉체(20)와 결부되는 결합면(51-1);과,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51-2);와,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51-3);와, 결합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토퍼(53)의 걸림을 유도하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홈(51-4);과,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5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51-4)은 제1걸림부(51-2)와 기어체(44)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1걸림면(51-4a);과,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51-3)가 모두 기어체와 치합되지 않은 중립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2걸림면(51-4b);과, 제2걸림부와 기어체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3걸림면(51-4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52)는 기어부(40)의 프레임(41)과 손잡이부(51) 사이에 개재되며, 반원의 슬롯(Slot)을 매개로 선회봉체(20)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부되는 체결면(52-1);과, 체결면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설정의 폭으로 이루어져 걸림홈(51-4)에 거치되는 걸림돌기(52-2);와, 체결면의 타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조작편(50)의 스프링(54)과 연결되는 연장면(52-3);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끈으로 묶어 고정하던 단순한 게첩 방식이 아닌, 다수의 봉체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정밀한 회전력이 부여됨에 따라 현수막의 장력 조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능률과 효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회전력이 부여되면서도 안정적인 위치 제어가 가능한 기어부 등의 구조적 특성으로 현수막의 교체 내지 설치, 철거 등의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안정감 있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시공 설치의 용이함과 실시 형태의 다양한 가변을 부여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봉체에 구비된 위치결정핀과 구속편의 조임 기능에 기인하여 현수막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 및 설치 상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게첩 후에도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현수막 걸이대에 현수막의 게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결정핀과 수용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구속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조임 형태를 순차 나타낸 평면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부와 조작편의 상호 조합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구동 형태를 예시 별로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결정핀과 수용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구속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조임 형태를 순차 나타낸 평면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부와 조작편의 상호 조합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구동 형태를 예시 별로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현수막의 게첩 상태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가동 조작의 적극적인 개선에 기인하여 장력 제어의 정밀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양 방향 조작 방식으로 조작성이 우수하여 현수막의 교체 내지 설치, 철거 등의 작업 능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현수막 걸이대에 현수막의 게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결정핀과 수용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구속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의 조임 형태를 순차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부와 조작편의 상호 조합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구동 형태를 예시 별로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걸이대는 현수막의 우측단을 구속한 상태로 설정 시설물의 우측 기둥에 설치되는 1개소와, 현수막의 좌측단을 구속한 상태로 동일 시설물의 좌측 기둥에 설치되는 1개소 즉, 2개 1조로 구성되며, 제반 개선에 기인하여 기존과 다른 형태의 회전 효율성과 이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로 가변됨에 따라 실시 가능한 각종 양태를 더 수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현수막 걸이대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따르면, 설정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입설봉체(10);와, 입설봉체로부터 등 간격 배치되는 선회봉체(20);와,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설정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브라켓(30);과,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보장하는 기어부(40);와, 기어부 내에서 양방향 위치 가변에 의한 치합 여부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편(50);과, 선회봉체와 힌지 결합하여 동반 선회하고, 힌지를 기점으로 상단이 설정 각도로 개구되어 현수막의 상방 결부를 허용하는 끼움봉체(60);와, 끼움봉체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선회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속편(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설봉체(10)는 현수막 걸이대의 기초 골조가 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인 현수막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봉체(20)는 입설봉체(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입설봉체(10)로부터 설정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입설봉체를 기준으로 좌우 양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는 아래 후술할 브라켓(30)과 기어부(40) 및 조작편(50)의 조합 및 조작에 기인하여 그 목적이 달성되며, 선회 동작으로 하여금 현수막 걸이대에 게첩된 현수막의 장력이 정교하게 조절된다.
상기 브라켓(30)은 입설봉체(10)와 선회봉체(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면(31);과, 연결면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어 설정 시설물에 고정 내지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설치면(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32)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시설물이나 대상체에 밀착시킨 후 볼팅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롤러 등의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시설물 내에서 수직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운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설봉체(10)는 연결면(31) 상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선회봉체(20)는 연결면과 용접에 의해 고정된 형태로 결부됨에 따라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선회봉체는 입설봉체를 기준으로 좌우 양 방향으로 선회가 허용된다.
상기 기어부(40)는 입설봉체(10)와 선회봉체(20)의 상단을 연결하며, 입설봉체를 기준으로 선회봉체를 좌 방향 또는 우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어부(40)는 입설봉체(10)와 선회봉체(20)의 상단에서 횡단 배치되는 프레임(41);과,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입설봉체의 상단을 인입 수용하는 수용홈(42);과,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선회봉체와 동심원에 배치되는 관통홈(43);과, 프레임 상에서 관통홈을 통해 선회봉체와 결합하며 조작편(50)과의 치합 여부에 따라 회전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되면서 선회봉체와 끼움봉체의 움직임을 설정하는 기어체(44);와, 프레임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체(45);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41)과 커버체(45)는 기어부(40)를 구성하는 제반 요소들의 유기적인 조합이 가능하도록 설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공간 내에서 소정의 기어체(44)와 손잡이부(51), 스토퍼(52), 스프링(54) 등이 순차적으로 위치 배열되어 제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수용홈(42)은 입설봉체(10)의 상부 영역을 끼움하기 위하여 천공되고, 상기 관통홈(43)은 선회봉체(20)의 상부 영역을 끼움하기 위하여 천공된다.
상기 기어체(44)는 관통홈(43)에 배치되어 선회봉체(20)와 연결됨에 따라 선회봉체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동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체(44)는 선회봉체(20)와 동반 회전할 뿐만 아니라 피치를 조작편(50)의 제1걸림부(51-2) 내지 제2걸림부(51-3)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긴밀한 작용을 유도한다. 즉 조작편(5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51-2) 내지 제2걸림부(51-3)는 기어의 이빨과 이빨 사이에 정확히 안착하여 해당 기어체(44)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조작편(50)은 기어부(40)의 프레임(41) 내에 설치되고,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조작편의 일부가 기어체(44)의 이빨과 이빨 사이에 걸림이 이루어져 회전된 위치를 결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작편(50)은 기어부(40)의 수용홈(42) 상에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기어부의 기어체(45)에 치합되면서 선회봉체(20)의 선회 동작을 제어하는 손잡이부(51);와, 손잡이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손잡이부의 회전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스토퍼(52);와, 기어부의 프레임(41)과 스토퍼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4);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1)는 얇은 두께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선회봉체(20)와 결부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어체(44)와의 치합 여부가 결정되어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손잡이부(51)는 선회봉체(20)와 결부되는 결합면(51-1);과,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51-2);와,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51-3);와, 결합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토퍼(53)의 걸림을 유도하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홈(51-4);과,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51-5);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51)는 결합면(51-1)을 기준으로 우측에 제1걸림부(51-2)가 연장 형성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기어체(44)와 치합이 이루어져 회전 제어가 가능하고, 결합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2걸림부(51-3)가 연장 형성되어 좌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기어체와 치합이 이루어져 회전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51)는 제1걸림부(51-2)와 제2걸림부(51-3)를 매개로 기어체(44)의 우측과 좌측 이빨에 치합이 가능하여 양 방향 조작이 가능케 된다.
특히, 조작편(50)의 양 방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는 스토퍼(52)가 큰 기여를 한다. 상기 스토퍼(52)는 기어부(40)의 프레임(41)과 손잡이부(51) 사이에 개재되어 설정의 동작에 기인한 위치가 가변되면서 손잡이부를 구속하여 기어체(44)와 치합된 상태 또는 치합되지 않은 중립의 상태를 임의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스토퍼(52)는 기어부(40)의 프레임(41)과 손잡이부(51) 사이에 개재되며, 반원의 슬롯(Slot)을 매개로 선회봉체(20)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부되는 체결면(52-1);과, 체결면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설정의 폭으로 이루어져 걸림홈(51-4)에 거치되는 걸림돌기(52-2);와, 체결면의 타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조작편(50)의 스프링(54)과 연결되는 연장면(52-3);으로 구분 구성된다.
도 11과 같이 기어부(40)에는 관통홈(43)에 기어체(44)가 설치되고, 수용홈(42)에는 스토퍼(52)와 손잡이부(51)가 언급한 순서대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51)는 기어체(44)가 설치된 방향으로 제1걸림부(51-2)와 제2걸림부(51-3)가 배치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조작부(51-5)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52)는 도면 기준 좌측 방향으로 연장면(52-3)이 배치되고, 우측 방향으로 걸림돌기(52-2)가 배치되어 손잡이부(51)의 걸림홈(51-4)에 거치된다.
상기 연장면(52-3)은 프레임(41)에 고정된 스프링(54)과 연결되며,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인해 좌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52)의 걸림돌기(52-2)가 손잡이부(51)의 걸림홈(51-4)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고, 스프링(54)의 인장력이 손잡이부까지 전달되어 조작된 위치가 임의적으로 고수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51-4)은 제1걸림부(51-2)와 기어체(44)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1걸림면(51-4a);과,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51-3)가 모두 기어체와 치합되지 않은 중립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2걸림면(51-4b);과, 제2걸림부와 기어체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3걸림면(51-4c);으로 구분 구성된다.
예컨대 도 11은 손잡이부(51)를 좌측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51)는 좌측 방향으로 움직임이 이루어져 제2걸림부(51-3)가 기어체(44)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이빨과 이빨 사이에 치합되고, 스토퍼(52)의 걸림돌기(52-2)는 걸림홈(51-4)의 제3걸림면(51-4c)에 거치되게 된다.
도 12는 손잡이부(51)를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조작하여 중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51)는 프레임(41)의 중심부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부(51-2)와 제2걸림부(51-3)가 기어체(44)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치합이 배재된다. 이 때 스토퍼(52)의 걸림돌기(52-2)는 걸림홈(51-4)의 제2걸림면(51-4b)에 위치하게 된다.
도 13은 손잡이부(51)를 우측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51)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임이 이루어져 제1걸림부(51-2)가 기어체(44)의 우측 영역에 위치한 이빨과 이빨 사이에 치합되고, 스토퍼(52)의 걸림돌기(52-2)는 걸림홈(51-4)의 제1걸림면(51-4a)에 거치되게 된다.
상기 끼움봉체(60)는 입설봉체(10) 및 선회봉체(2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선회봉체(20)와는 다소 밀접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끼움봉체(60)는 선회봉체(20)와 일체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회전 운동의 확보와 함께 설정 방향으로 하향 개구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현수막의 취급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끼움봉체(60)는 선회봉체(20) 상에서 상하 방향에 대해 힌지 회동하는 구속편(70)을 수단으로 위치 고수되거나 또는 자유로운 각도로 개구될 수 있는바, 가령 구속편(70)을 상측으로 젖혀 올리게 되면 선회봉체로부터 간섭이 해제됨에 따라 끼움봉체가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타입으로 개구되면서 현수막의 개입을 허용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속편(70)의 다른 실시 예로써, 끼움봉체(60)의 개구를 단속하는 역할 외에도 끼움봉체를 선회봉체(20)로 잡아당겨 현수막의 설치가 견고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도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속편(70)은 선회봉체(20)와 축 결합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편(71);과, 회동편으로부터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반 선회됨에 따라 끼움봉체(60)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고, 인·입출 동작에 기인하여 끼움봉체의 조임 여부가 결정되는 조임편(72);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편(71)은 조임편(72)의 중첩 부위에 요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편(72)은 회동편의 요홈과 대응하는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걸림되고, 걸림된 위치에 따라 조임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과 같이 선회봉체(20)에 끼움봉체(60)를 위치시킨 후 구속편(70)으로 끼움봉체를 포위하여 개구 동작을 단속한다. 이후 조임편(72)을 회동편(71)으로 밀어넣어 선회봉체(20)와 끼움봉체(60)의 간격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끼움봉체에 설치된 현수막의 단부를 압박한다.
도 3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선회봉체(20)에는 끼움봉체(60)와 마주하는 외면에 위치결정핀(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끼움봉체에도 위치결정핀과 대응하는 수용홈(61)이 더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현수막은 끼움봉체(60)에 설치된 상태에서 끼움봉체가 선회봉체(20)에 접촉할 시 위치결정핀(21)에 관통되어 소정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결정핀(21)을 선회봉체(20)의 상단부에 배치하였으나 위치는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위치결정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핀(21)과 수용홈(21)의 갯수 또한 단일 또는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현수막 걸이대는 설정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입설봉체(10);와, 입설봉체로부터 등 간격 배치되는 선회봉체(20);와,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설정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브라켓(30);과,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보장하는 기어부(40);와, 기어부 내에서 양방향 위치 가변에 의한 치합 여부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편(50);과, 선회봉체와 힌지 결합하여 동반 선회하고, 힌지를 기점으로 상단이 설정 각도로 개구되어 현수막의 상방 결부를 허용하는 끼움봉체(60);와, 끼움봉체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선회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속편(70);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봉체(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현수막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핀(21)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봉체(60)는 선회봉체(20)의 위치결정핀(21)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 형성된 수용홈(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편(70)은 선회봉체(20)와 축 결합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편(71);과, 회동편으로부터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반 선회됨에 따라 끼움봉체(60)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고, 인·입출 동작에 기인하여 끼움봉체의 조임 여부가 결정되는 조임편(72);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편(71)은 조임편(72)의 중첩 부위에 요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편(72)은 회동편의 요홈과 대응하는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걸림되고, 걸림된 위치에 따라 조임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편(71)과 조임편(72)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제1치형부(71-1)와 제2치형부(72-1)가 더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끈으로 묶어 고정하던 단순한 게첩 방식이 아닌, 다수의 봉체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정밀한 회전력이 부여됨에 따라 현수막의 장력 조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능률과 효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회전력이 부여되면서도 안정적인 위치 제어가 가능한 기어부 등의 구조적 특성으로 현수막의 교체 내지 설치, 철거 등의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안정감 있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시공 설치의 용이함과 실시 형태의 다양한 가변을 부여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봉체에 구비된 위치결정핀과 구속편의 조임 기능에 기인하여 현수막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 및 설치 상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게첩 후에도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입설봉체 20. 선회봉체
30. 브라켓 40. 기어부
50. 조작편 60. 끼움봉체
70. 구속편
30. 브라켓 40. 기어부
50. 조작편 60. 끼움봉체
70. 구속편
Claims (9)
- 설정 길이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발휘되는 입설봉체(10);와, 입설봉체로부터 등 간격 배치되는 선회봉체(20);와,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하단을 연결하며, 설정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브라켓(30);과, 입설봉체와 선회봉체의 각 상단을 연결하며, 선회봉체의 선회 동작을 보장하는 기어부(40);와, 기어부 내에서 양방향 위치 가변에 의한 치합 여부에 기인하여 선회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편(50);과, 선회봉체와 힌지 결합하여 동반 선회하고, 힌지를 기점으로 상단이 설정 각도로 개구되어 현수막의 상방 결부를 허용하는 끼움봉체(60);와, 끼움봉체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기 위하여 선회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구속편(70);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봉체(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현수막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핀(21)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봉체(60)는 선회봉체(20)의 위치결정핀(21)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천공 형성된 수용홈(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편(70)은 선회봉체(20)와 축 결합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편(71);과, 회동편으로부터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반 선회됨에 따라 끼움봉체(60)의 개구 여부를 단속하고, 인·입출 동작에 기인하여 끼움봉체의 조임 여부가 결정되는 조임편(72);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편(71)은 조임편(72)의 중첩 부위에 요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편(72)은 회동편의 요홈과 대응하는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호 걸림되고, 걸림된 위치에 따라 조임 정도가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편(71)과 조임편(72)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제1치형부(71-1)와 제2치형부(72-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40)는,
입설봉체(10)와 선회봉체(20)의 상단에서 횡단 배치되는 프레임(41);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입설봉체의 상단을 인입 수용하는 수용홈(42);
프레임 상에 상하 관통되어 선회봉체와 동심원에 배치되는 관통홈(43);
프레임 상에서 관통홈을 통해 선회봉체와 결합하며 조작편(50)과의 치합 여부에 따라 회전 및 회전 방향이 제어되면서 선회봉체와 끼움봉체의 움직임을 설정하는 기어체(44);
프레임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체(45);
를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편(50)은,
기어부(40)의 수용홈(42) 상에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기어부의 기어체(44)에 치합되면서 선회봉체(20)의 선회 동작을 제어하는 손잡이부(51);
손잡이부의 일측에 걸림되어 손잡이부의 회전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스토퍼(52);
기어부의 프레임(41)과 스토퍼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4);
을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1)는,
선회봉체(20)와 결부되는 결합면(51-1);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51-2);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45)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51-3);
결합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토퍼(52)의 걸림을 유도하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홈(51-4);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51-5);
를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51-4)은,
제1걸림부(51-2)와 기어체(44)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1걸림면(51-4a);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51-3)가 모두 기어체와 치합되지 않은 중립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2걸림면(51-4b);
제2걸림부와 기어체의 치합된 위치를 임의 고수되게 하는 제3걸림면(51-4c);
을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2)는,
기어부(40)의 프레임(41)과 손잡이부(51) 사이에 개재되며, 반원의 슬롯(Slot)을 매개로 선회봉체(20)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부되는 체결면(52-1);
체결면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설정의 폭으로 이루어져 걸림홈(51-4)에 거치되는 걸림돌기(52-2);
체결면의 타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조작편(50)의 스프링(54)과 연결되는 연장면(52-3);
을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8007A KR102583039B1 (ko) | 2023-02-10 | 2023-02-10 |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8007A KR102583039B1 (ko) | 2023-02-10 | 2023-02-10 |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3039B1 true KR102583039B1 (ko) | 2023-09-26 |
Family
ID=8819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8007A KR102583039B1 (ko) | 2023-02-10 | 2023-02-10 |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30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8799B1 (ko) * | 2023-11-06 | 2024-03-18 | 전정숭 |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
KR102673443B1 (ko) * | 2024-01-24 | 2024-06-10 | 전정숭 | 권취구조 개선에 기인한 장력 간편조절형 현수막 게시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282Y1 (ko) * | 2004-04-14 | 2004-07-05 | 강민수 | 현수막 게시대 |
KR100964632B1 (ko) * | 2009-09-14 | 2010-06-21 | 이석신 | 현수막 게시봉 |
KR101136813B1 (ko) | 2011-09-30 | 2012-04-19 | 주식회사 자우버 | 현수막 게시대 |
KR101250500B1 (ko) | 2011-04-06 | 2013-04-03 | 김낙찬 | 현수막 게시대 |
KR20180014611A (ko) * | 2016-08-01 | 2018-02-09 | (주)상상오디자인 | 현수막 게시장치 |
KR102207090B1 (ko) * | 2020-07-13 | 2021-01-25 | 전정숭 |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
-
2023
- 2023-02-10 KR KR1020230018007A patent/KR102583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282Y1 (ko) * | 2004-04-14 | 2004-07-05 | 강민수 | 현수막 게시대 |
KR100964632B1 (ko) * | 2009-09-14 | 2010-06-21 | 이석신 | 현수막 게시봉 |
KR101250500B1 (ko) | 2011-04-06 | 2013-04-03 | 김낙찬 | 현수막 게시대 |
KR101136813B1 (ko) | 2011-09-30 | 2012-04-19 | 주식회사 자우버 | 현수막 게시대 |
KR20180014611A (ko) * | 2016-08-01 | 2018-02-09 | (주)상상오디자인 | 현수막 게시장치 |
KR102207090B1 (ko) * | 2020-07-13 | 2021-01-25 | 전정숭 |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8799B1 (ko) * | 2023-11-06 | 2024-03-18 | 전정숭 |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
KR102673443B1 (ko) * | 2024-01-24 | 2024-06-10 | 전정숭 | 권취구조 개선에 기인한 장력 간편조절형 현수막 게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3039B1 (ko) |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장력 조절형 현수막 걸이대 | |
CN102859099B (zh) | 雨伞式自动帐篷支架结构 | |
KR20200139589A (ko) | 현수막 게시장치 | |
CN216530279U (zh) | 一种建筑工程用电缆支架 | |
CN105226555A (zh) | 一种电力架线跨线器 | |
KR102207090B1 (ko) | 승강 이동과 회전 제어가 가능한 현수막 게시대 | |
KR101173408B1 (ko) | 벽면 고정형 현수막 게시대 | |
CN208658191U (zh) | 一种建筑设计绘图多功能展架 | |
KR20120116664A (ko) | 연장차양이 구비된 차양 | |
KR101753666B1 (ko) | 인삼밭의 차광막 개폐장치 | |
CN218206130U (zh) | 一种立式围栏 | |
CN111270901A (zh) | 一种路灯杆安装用直立扶持装置 | |
CN213150086U (zh) | 一种教育教学用展示装置 | |
KR100883498B1 (ko) | 게시각도 조절 현수막 걸이대 | |
KR102180589B1 (ko) | 선택적 방향 제어가 가능한 회전형 현수막 걸이대 | |
CN108364565B (zh) | 一种园林用指路牌 | |
KR200472777Y1 (ko) | 절첩식 천막 | |
CN112647754A (zh) | 一种轻质高强度帐篷支架 | |
KR100757301B1 (ko) |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 |
JP2021085266A (ja) | 日除け装置 | |
CN216960949U (zh) | 一种树木的支撑装置 | |
CN216341380U (zh) | 一种园林绿化用可调式景观护栏 | |
CN211143867U (zh) | 弧形文化长廊 | |
CN215631624U (zh) | 一种建筑工程用大截面斜柱模板施工结构 | |
CN214257415U (zh) | 一种园林用植被支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