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77Y1 - 절첩식 천막 - Google Patents

절첩식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77Y1
KR200472777Y1 KR2020120003645U KR20120003645U KR200472777Y1 KR 200472777 Y1 KR200472777 Y1 KR 200472777Y1 KR 2020120003645 U KR2020120003645 U KR 2020120003645U KR 20120003645 U KR20120003645 U KR 20120003645U KR 200472777 Y1 KR200472777 Y1 KR 200472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lider
fitted
she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509U (ko
Inventor
정운성
Original Assignee
정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성 filed Critical 정운성
Priority to KR2020120003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7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측면시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그늘 공간을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천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기둥(21)과 절첩부재(22)로 이루어진 천막골조(20), 천막골조(20)의 상부에 씌워져 측면시트(31)를 구비하는 천막시트(30)로 이루어진 천막(10)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31)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31a)내로 끼워지는 지지봉(40); 상기 천막골조(20)의 상측 코너부에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봉(40)에 끼워지는 연결봉(51)을 구비하는 상부레버(50); 상기 기둥(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60); 상기 상부레버(50)의 중앙부와 슬라이더(60)에 그 양단이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레버(70); 상기 기둥(21)의 상측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핀공(21a); 상기 슬라이더(60)에 스프링(81)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핀공(21a)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천막{Foldable tent}
본 고안은 이동과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하는 절첩식 천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측면시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그늘 공간을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천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은 공원이나 운동장 또는 놀이시설,유원지 및 관람시설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는 이용객이 그 천막 내에서 쉬거나 앉아 있을 수 있게 하는 것인데, 햇빛을 차단하는 그늘막의 역할은 물론 비 또는 눈으로부터 안전한 야외활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차양 등을 목적으로 하는 천막은 여러 종류의 것이 있으나, 최근에는 이동과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간편하게 접었다 폈다하는 절첩식 천막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a,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천막(1)은 다수의 기둥(2a)과 절첩부재(2b)로 이루어진 천막골조(2), 상기 천막골조(2)의 상부에 씌워져 측면시트(3a)를 구비하는 천막시트(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절첩식 천막(1)은 측면시트(3a)를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기둥(2a)에 연결끈(3b)으로 고정한 수직상태로만 사용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측면시트(3a)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필요 시 그늘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없으며 또한 측면시트(3a)에 시야가 가리므로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절첩식 천막(1)에 있어서는 천막시트(2)가 바람을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천막(1)의 내부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 시 답답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측면시트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그늘 공간을 한층 더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천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천막의 내부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한층 더 쾌적하고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천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기둥과 절첩부재로 이루어진 천막골조, 상기 천막골조의 상부에 씌워져 측면시트를 구비하는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절첩식 천막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내로 지지봉을 끼워 조립하고, 상기 천막골조의 상측 코너부에 지지봉내로 끼워지는 연결봉이 구비된 상부레버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며, 상기 기둥에 슬라이더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 조립하고, 상기 상부레버의 중앙부와 슬라이더에 하부레버의 양단이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기둥의 상측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공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기둥의 핀공으로 끼워지는 고정핀을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첩식 천막에 따르면 필요 시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측면시트의 펼쳐지는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그늘 공간을 한층 더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천막의 내부로 통풍이 이루어지므로 한층 더 쾌적하고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종래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a,4b,4c,4d,4e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a,5b,5c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시트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a,2b 내지 도 5a,5b,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기둥(21)과 절첩부재(22)로 이루어진 천막골조(20), 천막골조(20)의 상부에 씌워져 측면시트(31)를 구비하는 천막시트(30)로 이루어진 절첩식 천막(10)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31)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31a)내로 끼워지는 지지봉(40); 상기 천막골조(20)의 상측 코너부에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봉(40)에 끼워지는 연결봉(51)을 구비하는 상부레버(50); 상기 기둥(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60); 상기 상부레버(50)의 중앙부와 슬라이더(60)에 그 양단이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레버(70); 상기 기둥(21)의 상측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핀공(21a); 상기 슬라이더(60)에 스프링(81)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핀공(21a)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절첩식 천막(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과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었다 폈다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천막(10)에 따르면 측면시트(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봉(40),상부레버(50),슬라이더(60),하부레버(70) 및 고정핀(80)이 더 구비된다. 이때, 본 고안의 천막(10)은 천막골조(20),천막시트(30),지지봉(40),상부레버(50),슬라이더(60),하부레버(70) 및 고정핀(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막골조(20)는 천막(10)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천막골조(20)는 다수의 기둥(21)과 절첩부재(22)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천막골조(20)의 상측 코너부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상부레버(50)의 축(S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2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기둥(21)의 상측에는 고정핀(80)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핀공(21a)이 적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천막시트(30)는 천막골조(20)의 상부에 씌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천막시트(30)의 하부에는 측면시트(31)가 구비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천막시트(30)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는 통풍구(3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시트(31)의 하부에는 지지봉(40)이 끼워지도록 연결부(31a)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시트(31)의 양측 상,하부에는 상부레버(50)에 똑딱단추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띠(31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봉(40)은 측면시트(31)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31a)내로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봉(40)은 도 4d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삽입부(41)와 탄성와이어(42)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40)의 사용 시에는 도 4e에서와 같이 다수개를 수평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상기 지지봉(40)의 보관 시에는 도 4d에서와 같이 다수개를 접어서 보관한다.
상기 상부레버(50)는 천막골조(20)의 상측 코너부에 구비된 브래킷(23)에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레버(50)의 하부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지지봉(4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봉(51)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60)는 기둥(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슬라이더(60)에는 하부레버(70)의 축(S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6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하부레버(70)는 상부레버(50)와 슬라이더(6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레버(70)의 상단은 상부레버(50)의 중앙부에 축(S2)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레버(70)의 하단은 슬라이더(60)의 브래킷(61)에 축(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핀(80)은 슬라이더(60)에 스프링(81)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핀(80)은 측면시트(31)의 각도 조절시 기둥(21)의 상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핀공(21a)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고정핀(80)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고리(8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a,3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기둥(21)에 설치된 슬라이더(6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 슬라이더(60)에 축(S3)으로 연결된 하부레버(70)가 동시에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하부레버(70)에 축(S2)으로 연결된 상부레버(50)가 축(S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벌어지고, 또한 상부레버(50)의 연결봉(51)에 연결된 지지봉(40)이 동시에 외측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측면시트(31)는 도 5a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펼쳐진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60)를 상부로 올리는 상태에서 슬라이더(60)에 스프링(81)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된 고정핀(80)이 기둥(21)에 다단으로 형성된 핀공(21a)들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핀공(21a)까지 이동하게 되면, 고정핀(80)은 스프링(81)의 탄력을 받으면서 해당 핀공(21a)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이와 같이 고정핀(80)이 핀공(21a)으로 끼워져 고정되면 슬라이더(60)는 현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측면시트(31)는 도 5a에서와 같이 일차적으로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고리(82)를 당기면 스프링(81)을 압축하면서 고정핀(80)이 해당 핀공(21a)에서 빠지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60)를 상부로 더 밀어 올리면 도 5b,5c에서와 같이 측면시트(31)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한편 고리(82)를 당긴 상태에서 슬라이더(60)를 하부로 하강시키면 도 2a,3a에서와 같이 측면시트(31)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슬라이더(60)와 상,하부레버(50)(70) 및 고정핀(80)과 지지봉(40)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측면시트(31)의 각도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천막(10)의 그늘 공간을 한층 더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천막시트(30)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통풍구(32)가 형성되고, 이 통풍구(32)를 통해 천막(10)의 내부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천막(10)을 한층 더 쾌적하고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천막 20 : 천막골조
21 : 기둥 21a : 핀공
22 : 절첩부재 30 : 천막시트
31 : 측면시트 31a : 연결부
40 : 지지봉 50 : 상부레버
51 : 연결봉 60 : 슬라이더
70 : 하부레버 80 : 고정핀
81 : 스프링

Claims (6)

  1. 다수의 기둥(21)과 절첩부재(22)로 이루어진 천막골조(20), 천막골조(20)의 상부에 씌워져 측면시트(31)를 구비하는 천막시트(30)로 이루어진 천막(10)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31)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부(31a)내로 끼워지는 지지봉(40); 상기 천막골조(20)의 상측 코너부에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봉(40)에 끼워지는 연결봉(51)을 구비하는 상부레버(50); 상기 기둥(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60); 상기 상부레버(50)의 중앙부와 슬라이더(60)에 그 양단이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레버(70); 상기 기둥(21)의 상측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핀공(21a); 상기 슬라이더(60)에 스프링(81)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핀공(21a)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0)을 포함하고,
    상기 천막골조(20)와 슬라이더(60)에는 상,하부레버(50)(70)의 축(S1)(S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23)(61)이 각각 구비된 절첩식 천막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31)의 양측 상,하부에는 상부레버(50)에 똑딱단추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띠(31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절첩식 천막.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0)은 다수개가 삽입부(41)와 탄성와이어(42)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80)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고리(8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시트(30)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는 통풍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
KR2020120003645U 2012-05-03 2012-05-03 절첩식 천막 KR200472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45U KR200472777Y1 (ko) 2012-05-03 2012-05-03 절첩식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45U KR200472777Y1 (ko) 2012-05-03 2012-05-03 절첩식 천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09U KR20130006509U (ko) 2013-11-13
KR200472777Y1 true KR200472777Y1 (ko) 2014-05-22

Family

ID=5149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45U KR200472777Y1 (ko) 2012-05-03 2012-05-03 절첩식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126B1 (ko) * 2017-10-26 2018-01-18 태양정보시스템(주) 공간영상 도화이미지의 실시간보정을 통한 오차범위 조정용 도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1436B (zh) * 2018-04-17 2023-12-05 振立(漳州)工贸有限公司 一种可多人使用的户外用双层帐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697A (ja) * 2005-07-20 2007-02-01 Newtec Japan Co Ltd 庇構造及びこの庇構造を有する庇付テ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697A (ja) * 2005-07-20 2007-02-01 Newtec Japan Co Ltd 庇構造及びこの庇構造を有する庇付テ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126B1 (ko) * 2017-10-26 2018-01-18 태양정보시스템(주) 공간영상 도화이미지의 실시간보정을 통한 오차범위 조정용 도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09U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9334B2 (en)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US9057206B2 (en) Portable combination umbrella and tent
AU2015203631A1 (en) High-Ceiling Tent Frame
US9936811B2 (en) Portable seat awning
US10422152B2 (en) Wind-resistant portable shade shelter
KR200472777Y1 (ko) 절첩식 천막
US20220341201A1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WO2021012688A1 (zh) 一种帐篷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KR100777325B1 (ko) 접이식 차양
KR20160000063U (ko) 폴딩 텐트 프레임
JP2011179276A (ja) テントとそのテントを立てる方法
KR101251579B1 (ko) 파라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WO2014107992A1 (zh) 一种自动高顶帐篷支架
KR101348809B1 (ko) 국기 게양대
CN104521622A (zh) 一种遮阳式育苗大棚系统
KR200494197Y1 (ko) 이동식 평상
KR101153274B1 (ko) 접철식 천막
KR20160131662A (ko) 인삼밭의 차광막 개폐장치
JP3183629U (ja) 可動体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JP2016211276A (ja) 折り畳み自在なキャノピー構造体
JP3137371U (ja) 日よけ装置
CN207469881U (zh) 一种带屋檐的折叠凉篷
CN219219967U (zh) 一种休闲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