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560A - 접이식 텐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접이식 텐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560A
KR20200063560A KR1020180149394A KR20180149394A KR20200063560A KR 20200063560 A KR20200063560 A KR 20200063560A KR 1020180149394 A KR1020180149394 A KR 1020180149394A KR 20180149394 A KR20180149394 A KR 20180149394A KR 20200063560 A KR20200063560 A KR 2020006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frame
tent structure
leg
folding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의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Priority to KR102018014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560A/ko
Publication of KR2020006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은 사각 틀체로 형성되는 제1 다리프레임 및 제2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1 다리프레임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텐트 구조물{FOLDABLE TENT STRUCTURE}
본 발명은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의 이동 방향에 따라 텐트 구조물을 신속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고, 텐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텐트 구조물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보다 편리한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낚시나 캠핑 등 야외에서의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의 레저 활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텐트가 이용되고 있다.
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 프레임은 대체로 루프 지지부(roof support)를 형성하는 루프바(roof bar)와 결합되는 다수의 수직 폴(vertical pole)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종래 텐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폴 세트를 필요로 하므로, 따라서 제조 비용이 비싸고,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텐트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이루는 다수 개의 폴을 조립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폴 조립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각 부위별 폴의 두께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텐트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각 두께 별 폴의 개수가 누락되는 현상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텐트 프레임의 구조는 텐트 또는 차양막과 함께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텐트 구조물이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또는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텐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텐트 구조물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의 이동 방향에 따라 텐트 구조물을 신속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고, 텐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텐트 구조물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보다 편리한 접이식 텐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개된 다리 프레임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텐트 구조물이 넘어지거나 또는 무너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다 안정적인 접이식 텐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와 기상 상태 등에 따라 수평 프레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햇빛과 비 등으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텐트 구조물을 상하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 및 결합하여 텐트 내부의 활동 가능한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보다 쾌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은 사각 틀체로 형성되는 제1 다리프레임 및 제2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1 다리프레임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영역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홈 각각에는 지지프레임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봉; 및 상기 제1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의 일 단이 상기 각도 조절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 상기 제2 다리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을 커버하는 차양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의 이동 방향에 따라 텐트 구조물을 신속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고, 텐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텐트 구조물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전개된 다리 프레임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텐트 구조물이 넘어지거나 또는 무너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태양의 고도와 기상 상태 등에 따라 수평 프레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햇빛과 비 등으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복수의 텐트 구조물을 상하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 및 결합하여 텐트 내부의 활동 가능한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보다 쾌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제1 다리프레임(110), 제2 다리프레임(120) 및 회전축(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금속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복수 개(예를 들어, 4개 등)의 파이프 또는 막대가 사각형의 틀체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리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이 제1 다리프레임(1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1 다리프레임(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다리프레임(120)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회전 각도에 따라 'I' 자 형상으로 접히거나, 또는 'X' 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예를 들어, 도 1),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내부는 각각의 회전 자유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3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다리프레임(110)의 길이와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 각각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서로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I' 자 형상으로 접히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X' 자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을 'I' 자 형상으로 접어서 보관하거나, 또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햇빛의 위치에 따라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을 'X' 자 형상으로 간단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복수의 홈(111)이 부가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복수의 홈(111)과 지지프레임(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을 접어서 보관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이 전개된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홈(111)과 지지프레임(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홈(111)은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영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홈(111)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상호 마주하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예를 들어, 3개 등)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전개된 상태에서 복수의 홈(111) 각각에 지지프레임(140)이 끼움 결합되어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111)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비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보다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11) 각각의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홈(111)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구현하는 등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4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홈(111)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40)은 막대를 포함하는 스틱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양 단이 제1 다리프레임(110)의 하단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단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40)은 일 단이 제1 다리프레임(110)의 복수의 홈(111)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움 결합되고, 타 단이 제2 다리프레임(120)의 복수의 홈(111)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140)이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4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에 맞게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길이 조절 부재(미도시)에 의해 총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40)의 양 단은 제1 다리프레임(11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홈(111)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홈(111)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제1 다리프레임(110)의 폭 또는 길이와 제2 다리프레임(120)의 폭 또는 길이가 각각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프레임(110)의 폭 또는 길이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폭 또는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다리프레임(110)의 내측에 제2 다리프레임(120)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을 'I' 자 형상으로 접어서 예를 들어, 제2 다리프레임(120)을 제1 다리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접어서 보관하거나, 또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을 펼쳐서 전개된 상태의 단면이 비대칭적인 'X' 자 형상으로 구현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이 전개된 상태의 경우에는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의 위치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을 커버하는 차양막(200)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 방향으로 차양막(200)이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차양막(200)의 상부면에 잔존하는 빗물 등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려 보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제1 다리프레임(110)이 제2 다리프레임(120) 보다 폭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2 다리프레임(120)이 제1 다리프레임(110) 보다 폭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한 길이로 구현하는 등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제2 다리프레임(120)의 일 단에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마감 처리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예를 들어, 고무 재질 등)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지면 고정력 또는 지면 지지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하단에는 고무 재질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 재질 등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X' 자 형상으로 펼쳐지면, 제1 다리프레임(110)의 하단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이 지면에 접촉하여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므로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차양막(200)이 부가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차양막(2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차양막(20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일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막(200)은 아크릴계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의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차양막(20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과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함으로써, 햇빛과 바람 등을 가릴 수 있는 텐트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양막(200)의 외측면은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 재질이 코팅 처리되어 햇빛을 가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내측 공간으로 빗물,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차양막(200)은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차양막(200)의 상부면에 잔존 가능한 빗물, 눈 등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려 보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다리프레임(110)의 길이 또는 폭은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 또는 폭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이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상단을 커버하는 차양막(200)은 제1 다리프레임(110)의 상단으로부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양막(200)의 상부에 존재하는 빗물, 눈 등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려 보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제1 다리프레임(110'), 제2 다리프레임(120'), 회전축(130') 및 수평프레임(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금속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복수 개(예를 들어, 4개 등)의 파이프 또는 막대가 사각형의 틀체 형상으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이 복수 개(예를 들어,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3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각각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회동 각도에 따라 'I' 자 형상으로 접히거나, 또는 '∧' 자 형상으로 간단하게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50)은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150)은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도 조절 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틸팅 수단 등)에 의해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제1 다리프레임(110'), 제2 다리프레임(120'), 수평프레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을 커버하는 차양막(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막(200')은 아크릴계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의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다리프레임(110'), 제2 다리프레임(120'), 수평프레임(15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막(200')은 제1 다리프레임(110'), 제2 다리프레임(120'), 수평프레임(150)의 상단과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함으로써, 햇빛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양막(200')의 외측면에는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 재질이 코팅 처리되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내측 공간으로 빗물,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추가로, 수평프레임(150)의 상단을 커버하는 차양막(20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수평프레임(150)의 경사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차양막(200')의 상부면에 잔존할 수 있는 빗물, 눈 등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려 보낼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150)은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평프레임(150)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에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상단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50)을 상부 방향으로 펼쳐서 사용자의 활동 가능한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야외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전개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홈(111')과 지지프레임(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홈(111')은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영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홈(111')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상호 마주하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홈(111')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예를 들어,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프레임(140')의 양 단이 상기 복수의 홈(111')의 각각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111')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비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보다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11') 각각의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홈(111')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거나 또는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구현하는 등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40')은 막대를 포함하는 스틱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양 단이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40')은 일 단이 제1 다리프레임(110')의 복수의 홈(111')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움 결합되고, 타 단이 제2 다리프레임(120')의 복수의 홈(111')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4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길이 조절 부재(미도시)에 의해 총 길이를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예를 들어, 고무 재질 등)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지면 고정력 또는 지면 지지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하단에 고무 재질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 재질 등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축(130')을 기준으로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이 '∧' 자 형상으로 전개되면 제1 다리프레임(110')의 하단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이 접촉하여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전개된 상태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평프레임(150)의 내측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프레임은 직사각형의 격자(grid)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가로프레임 및/또는 세로프레임은 용접을 통해 수평프레임(150)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내부 즉, 수평프레임(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자 구조의 내측에는 불투명 재질의 차양막(2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보다 견고하고, 미관상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수평프레임(150)은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평프레임(150)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에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평프레임(15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의 상부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의 하부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 각각의 상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50)을 상부 방향으로 펼쳐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부피를 확대하여 사용자의 활동 가능한 공간을 확장하거나, 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50)을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 방향으로 각각 접어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수평프레임(150)의 내부가 직사각형의 격자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수평프레임(150)의 내부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형상에 대응하게 차양막(200')의 형상이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지지봉(151) 및 각도 조절대(152)가 부가된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지지봉(151)과, 그리고 지지봉(151)의 일 단이 결합되는 각도 조절대(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수평프레임(150)은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펼쳐서 사용하거나, 또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의 하부 방향으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평프레임(150)은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150)은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150)의 양 단에는 지지봉(151)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봉(151)의 일 단과 끼움 결합하는 각도 조절대(1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151)은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50)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봉(151)은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과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수평프레임(150)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봉(151)은 수평프레임(150)의 양 단으로부터 하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평프레임(150)으로부터 접힘이 용이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수평프레임(150)을 상부 방향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도 조절대(152)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조절대(152)의 외측면에는 지지봉(151의 일 단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절삭 및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봉(151)의 일 단이 상기 각도 조절대(152)의 절삭된 일 영역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조절대(15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삭된 영역 각각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절삭된 영역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대(15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삭된 영역 각각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를 따라 비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수평프레임(150)의 경사 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지지봉(151)의 일 단을 각도 조절대(15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절삭 영역에 끼워서 결합하면, 수평프레임(150)과 지면이 평행하도록 펼쳐지고, 지지봉(151)의 일 단을 각도 조절대(15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 영역에 끼워서 결합하면, 수평프레임(150)과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각도 조절대(15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절삭된 영역 각각의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길이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절삭된 영역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점점 좁아지도록 구현하는 등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평프레임(150)을 사용하는 경우 햇빛이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수평프레임(150)을 소정의 각도로 펼친 다음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에 구비되는 지지봉(151)의 일 단을 각도 조절대(152)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하여 전개된 상태의 수평프레임(150)을 지지하거나, 또는 수평프레임(1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봉(151)의 일 단을 각도 조절대(152)로부터 이격 및 분리하여 수평프레임(150)의 방향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수평프레임(150')은 제1 다리프레임(110')과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으로부터 각각의 전방과 후방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150')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금속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복수 개(예를 들어, 4개 등)의 파이프 또는 막대가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수평프레임(150')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다리프레임(110') 및/또는 제2 다리프레임(12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150')의 내측에는 아크릴계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 재질의 차양막(200')이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50')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차양막(200')의 상부면에 잔존하는 빛물, 눈 등을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려 보낼 수 있다.
추가로, 차양막(200')의 외측면은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차양막(200')은 햇빛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내측 공간으로 빗물이나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양 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과 다른 하나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결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일 방향으로 나란히 결합 및 조립함에 따라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의 전체 공간과 텐트의 내부 공간을 보다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합 부재는 그 착탈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을 설치하거나 또는 분리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햇빛의 이동 방향에 따라 텐트 구조물을 신속하게 옮기는 것이 가능하고, 텐트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텐트 구조물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전개된 다리 프레임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텐트 구조물이 넘어지거나 또는 무너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태양의 고도와 기상 상태 등에 따라 수평 프레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햇빛과 비 등으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텐트 구조물에 의하면, 복수의 텐트 구조물을 상하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 및 결합하여 텐트 내부의 활동 가능한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보다 쾌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1000': 접이식 텐트 구조물 110, 110': 제1 다리프레임 120, 120': 제2 다리프레임 111, 111': 홈 130, 130': 회전축 140, 140': 지지프레임 150, 150': 수평프레임 151: 지지봉 152: 각도 조절대 200, 200': 차양막

Claims (7)

  1.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로서,
    사각 틀체로 형성되는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제2 다리프레임(120); 및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을 연결하는 회전축(130)을 포함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영역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홈(111, 12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홈(111, 121) 각각에는 지지프레임(140)이 고정되어 결합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50)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50)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봉(151); 및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대(15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151)의 일 단이 상기 각도 조절대(152)의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및 상기 수평프레임(150)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을 커버하는 차양막(200)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프레임(110) 및 상기 제2 다리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마감 처리되는,
    접이식 텐트 구조물(1000).
KR1020180149394A 2018-11-28 2018-11-28 접이식 텐트 구조물 KR20200063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94A KR20200063560A (ko) 2018-11-28 2018-11-28 접이식 텐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94A KR20200063560A (ko) 2018-11-28 2018-11-28 접이식 텐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60A true KR20200063560A (ko) 2020-06-05

Family

ID=7108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394A KR20200063560A (ko) 2018-11-28 2018-11-28 접이식 텐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26A (ko) * 2021-02-10 2022-08-17 오완곤 차량용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26A (ko) * 2021-02-10 2022-08-17 오완곤 차량용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537A (en) Sunshade/windbreak/shelter
US7708339B2 (en) Canopy frame particularly applicable to deck chairs, garden chairs, beach chairs and the like
KR20130096950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US20060283103A1 (en) Gazebo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US20040250846A1 (en) Tent with extendable windows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KR101251579B1 (ko) 파라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KR100990496B1 (ko) 다기능 펜스
KR101315166B1 (ko) 휴대용 차양막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140096884A (ko) 접철장치를 갖춘 낚시 의자용 가리개
KR20220000562U (ko) 차광구조를 가지는 정자
KR101368811B1 (ko) 파라솔
KR101165833B1 (ko) 착탈식 그늘막 베개
KR200221902Y1 (ko) 파라솔지지장치
KR200207091Y1 (ko) 파라솔용 차양막
JP5984034B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KR102430928B1 (ko) 캠핑 의자용 파라솔
KR920002680Y1 (ko) 휴대용 절첩식 차양대
CN219826390U (zh) 一种组合式帐篷
KR20130042166A (ko) 낚시용 파라솔
CN219491902U (zh) 一种具有展开式外帐的帐篷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