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483B1 - 산화 염모제 - Google Patents

산화 염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483B1
KR101460483B1 KR1020147013038A KR20147013038A KR101460483B1 KR 101460483 B1 KR101460483 B1 KR 101460483B1 KR 1020147013038 A KR1020147013038 A KR 1020147013038A KR 20147013038 A KR20147013038 A KR 20147013038A KR 101460483 B1 KR101460483 B1 KR 10146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gent
hair
surfactant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362A (ko
Inventor
유키 수기야마
사토시 야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4006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제를 포함한 제 1제와 산화제를 포함한 제 2제를 혼합하는 산화 염모제에있어서 상기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직후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제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하여손상을 입은 모발(염모제, 파마제 등의 화학적인 손상, 마찰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입은 모발)과 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 모발의 양쪽 모두에 대해 염색성이 양호한 산화 염모제를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산화 염모제{OXIDATION HAIR DYE}
본 발명은 산화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제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 시킴으로서 손상을 받은 모발(염모제, 파마제 등의 화학적 손상, 마찰 등의 물리적 손상을 받은 모발)과 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 모발의 양쪽 모두에 대해 뛰어난 염색성을 가지는 산화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근년 소비자의 의식 변화와 함께 모발을 밝게 하고 싶다는 요망이 높아져 염모제의 시장이 확대하고 있다.
 염모제는 탈색 효과를 수반해 원래의 모발보다 밝은 색조에 염색할 수가 있어 효과가 지속적이라는 면에서 특히 산화 염모제가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산화 염모제는 알칼리제 및 산화 염료를 포함한 제1제와 산화제를 포함한 제2제로부터 되는 2제식의 것이 주류가 되고 있고 이는 시술 시에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해 모발에 도포해 일정시간 방치 후 씻어내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화 염모제의 제1제에는 염모시에 모발 보호를 목적으로 고급 알코올 등의 유성성분이 배합되고 있다. 그리고 그 유성성분을 유화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배합되고 있다. 유화 안정성이 뛰어나 시술 후 모발의 감촉이 뛰어난 염모제를 얻기 위해서 근년 염모제로 이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양 등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장쇄아실설폰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장쇄알킬알코올(=지방족알코올)을 배합해 겔을 형성한 염모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을 참조)나,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염모제(특허문헌 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해 실질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염모제(특허문헌 5)등이 알려져 있다.
 모발의 표면을 덮는 큐티클은 소수성의 물질이 주성분으로 구성되며 모발 내부의 영역을 보호해 모발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모발은 화학적인 영향 예를 들면, 염모처리, 탈색 처리 및 물리적인 영향으로 자외선, 마찰 및 열 등에 의해 손상을 받고 있는 것이 많다. 손상을 받은 모발은 소수성을 가지는 큐티클이 부분적으로 없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큐티클이 없어진 부위에서는 그 주위보다 소수성이 저하하고 있다. 또, 큐티클의 손실은 모발 전체에 균등하게 널리 퍼져 생기는 현상이 아니라 특히 화학적인 영향 및 물리적인 영향을 반복해 받은 모발의 끝 부근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염모제, 파마제 등의 화학적 손상, 마찰 등의 물리적 손상을 받은 모발(손상 모발)은 친수적이다(오일을 밀쳐내기 쉽다). 한편, 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 모발의 모발 표면은 소수적이다(물을 밀쳐내기 쉽다). 따라서, 동일한 염모제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손상 모발인 모발 끝 부근과 정상 모발인 뿌리 부분으로 완성된 머리카락 색이 다르거나 모발 보호를 목적으로 염모제 중에 배합된 수성 또는 유성 트리트먼트 성분이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완성시에 감촉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6에는 유연성 다공질 재료를 이용해 기포상태로 하고, 모발에 균일하게 색을 물들이는 기술에 대해 진술되고 있는데, 이는 거품으로서 모발 전체에 골고루 퍼지기 쉬운 특성을 활용한 것이며 모발의 친수성, 소수성에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들 종래의 기술로는 손상이 복합화해 모발의 뿌리에서 끝까지 여러가지 친수화도가 된 모발을 균일하게 색을 물들이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이란 일반적으로 친수성-소수성 밸런스가 어울린 조건으로 생성해 유수계면장력이 극소가 되어 계면활성제의 회합수가 증가해 무한하게 회합 한 것이며, 결과적으로 물 및 오일의 가용화량이 비약적으로 향상해 물이나 오일도 연속적인 채널을 형성한 특이한 구조를 가지는 가용화계이다.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은 생성 조건을 채우는 화합물의 편성의 탐색이 매우 어려우며 또, 그 생성 범위도 극히 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가용화 되지 않는 과잉의 물 및 오일과 공존한 유상/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수상의 3상 상태로서 관찰되는 경우는 많지만(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이 하나의 상태로서 관찰되는 보고예는 많지 않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에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4 EO), 유분으로서 이소헥사데칸을 이용함으로서, 비특허문헌 3에는 계면활성제로서 디데실디메틸암모늄염, 유분으로서 도데칸을 이용함으로서, 비특허문헌 4에는 계면활성제로서 대두 인지방질,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프로판올, 유분으로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
함으로서, 각각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7에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에칠렌글라이콜모노라우레이트 (12 EO), 계면활성제로서 로릴알코올 및 에탄올, 유분으로서 유동이소파라핀을 이용함으로서, 특허문헌 8에는 계면활성제로서 POE(8)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유분으로서 옥탄산세틸이나 유동파라핀을 이용함으로서, 특허문헌 9에는 계면활성제로서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및 POE 라우릴에테르유산염, 유성성분으로서 모노지방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나 모노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를 이용함으로서, 각각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은 물 및 오일의 양쪽 모두가 연속적인 특이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미셀상과 비교해 다량의 유분이나 유성성분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 역미셀상과 비교해 다량의 물이나 수성 성분을 배합할 수가 있다. 그 물 및 오일의 어느 것에도 친숙해지기 쉬운 성질이나, 계면장력의 낮음을 이용함으로써, 유성 오염 및 수용성 오염 모두에 대해도 세정력이 뛰어나 헹굼성이 양호한 세정제 조성물로서의 실시예(예를 들면, 특허문헌 7~11 참조)는 많다. 그러나 세정 목적 이외의 공업적인 활용은 많지 않았던 것이 현상이다.
 라멜라 액정상은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과 같이 물 및 오일의 양쪽 모두가 연속인 구조를 가지는 액정 회합체의 하나이다.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과는 달리 양친매성 물질의 2분자막이 분자 배열의 규칙성을 가지기 때문에 소각 X선 산란(SAXS) 측정을 실시해, 규칙 구조의 면간격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2장을 직교 시킨 편광판 사이에 시료를 두고 한편의 편광판을 통해 빛을 조사했을 때에 한편의 편광판을 빛이 관통하는 것 즉, 시료의 선광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라멜라 액정상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라멜라 액정의 형성은 옛부터 널리 알려지고 있으며(비특허문헌 5 등), 클렌징용 또는 맛사지용 젤상 화장료 등의 실시예가 있다(특허문헌 12 등).
특개평 05-271041호 공보 특개 2002-205923호 공보 특개 2003-327518호 공보 특개평 07-082123호 공보 특개 2003-171247호 공보 특개 2010-215576호 공보 특개 2004-217640호 공보 특개 2005-194249호 공보 특개 2007-077302호 공보 특허 공보 제 3684144호 특개 2009-196909호 공보 특개 2006-069979호 공보
Langmuir, 1997, 13, 2001-2006 Langmuir, 2004, 20, 6594-6598 Langmuir, 2003, 19, 7196-7200 Langmuir, 1997, 13, 5061-5070 (사) 일본화학회편, 세노오 마나부/쓰지이 카오루저, 「계면활성의 화학과 응용」, 대일본도서(주) 발행, 1995년 1월 30일, p. 82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이나 라멜라 액정상을 활용함으로써 손상을 받은 모발과 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 모발의 양쪽 모두에 대해 뛰어난 염색성을 가지는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알칼리제를 포함한 제 1제와 산화제를 포함한 제 2제를 혼합하는 산화 염모제에 있어 상기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직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 및/또는 제 2제 중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하기 성분(a)~(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a) 이온성 계면활성제
(b) (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8~1.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
(c) 물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 및/또는 제 2제 중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하기 성분(d)~(f)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e) 유분
(f) 물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a)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추가로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성분(a)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질량비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2:8~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b)(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8~1.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이 모노글리세린유도체, 디글리세린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유도체, 부틸렌글리콜유도체, 모노에탄올 아미드유도체, 모노 에탄올 아민유도체, 디에탄올아미드유도체, 디에탄올아민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성분(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5~14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이나 라멜라 액정상을 활용함으로써 손상을 받은 모발과 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 모발의 양쪽 모두에 대해 염색성(염색 효과 및 염색에 의한 색의 물들임)이 현저하게 뛰어나고 염모 후 세정에 의한 탈색의 억제 효과에도 뛰어난 산화 염모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양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를 바꾸었을 때 데케인(そのまま)에 대한 계면장력 측정예이다.
도 2는 염모 후에 샴푸 전후의 명도차 (△ L) 및 색 차 (△ E)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각 필수 성분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a) 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사용하는(a)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전리하여 전하를 가지는 계면활성제이며 그 전하의 종류에 의해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된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관능기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적어도 1개씩 가져, 용액이 산성일 때에는 양이온성, 알칼리성일 때에는 음이온성이 되고 등전점 부근에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기의 종류에 의해, 카르본산형, 황산에스테르형, 설폰산형 및 인산에스테르형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는 카르본산형, 황산에스테르형 및 설폰산형이다. 카르본산형은 아미노산형과 베타인형으로 분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타인형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 N, N-(히드록시에틸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 1-카르복시에틸옥시 2 나트륨염 등);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세틸트리에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등의 제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또, 스테아린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아미노프로 아미드, 팔미틴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의 아미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비누, N-아실글루타민산염, 알킬에테르 초산 등의 카르본산염형, α- 올레핀 설폰산염, 알칸설폰산염, 알킬벤젠설폰산 등의 설폰산형,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등의 황산에스테르염형, 인산에스테르염형 등으로 분류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본산염형, 설폰산형 및 황산에스테르염형이며, 특히 더 바람직한 것은 황산에스테르염형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등), 고급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 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술포숙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직쇄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직쇄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직쇄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지방산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야자유지방산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 올레핀설폰산염, 고급지방산에스테르설폰산염, 2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혼합되었을 경우 오일에 대한 계면장력이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만 이용했을 경우에는 계면장력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고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얻을 수 없거나 혹은, 얻을 수 있었을 경우에도 그 생성 영역이 좁고 실질적으로 사용해서 안정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a)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해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a)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질량비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2:8~8: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제 1제 또는 제 2제 전량에 대해 0. 1~50 질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 3~30 질량%이다.
「(b)(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 8~1. 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본 명세서에 있어서 해당 양친매성 물질을 단지 보조 계면활성제라고 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b) 양친매성 물질이 보조 계면활성제 (co-surfactant)라고도 한다)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친유기와 친수기의 밸런스가 중요하다. 그 지표로서 화합물의 구조로부터 유기성 값, 무기성 값으로서 친유성, 친수성의 밸런스를 수치화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계면활성제로서기능하기 위해서는 (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 8~1. 5의 범위내인 것이 필요하다. 몇개의 화합물을 혼합해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 화합물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를 요구해 그 평균치가 0. 8~1. 5의 범위내인 것이 필요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 9~1. 3의 범위이다.
 이러한(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 8~1. 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보조 계면활성제)은 모노글리세린유도체, 디글리세린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유도체, 부틸렌글리콜유도체 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가 있다.
 덧붙여(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은 IOB치라고도 불리는 주지의 개념이며, 각종 원자 또는 관능기에 응한 「무기성 값」, 「유기성 값」이 설정되어 있어 유기 화합물중의 모든 원자 및 관능기의 「무기성 값」, 「유기성 값」을 적산하는 것에 의해 해당 유기 화합물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IOB치)을 산출할 수가 있다(예를 들어 후지타저, 「화학의 영역」, 제11권, 제10호, 1957년, 제719페이지~ 제725페이지 참조). 이하, 본 명세서에서 (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을 IOB치라고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모노글리세린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모노옥탄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노난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노닐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데칸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운데실렌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운데실레노일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도데칸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라우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도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모노라우릴모노글리세릴에테르), 모노테트라데칸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미리스틴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헥사데칸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팔미틴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올레인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디글리세린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모노옥탄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옥틸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데칸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데실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운데실렌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운데실레노일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도데칸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라우린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도데실디글리세릴에테르(모노라우릴디글리세릴에테르), 모노테트라데칸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미리스틴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헥사데칸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모노팔미틴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올레인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옥탄산프로필렌글리콜, 옥틸프로필렌글리콜, 데칸산프로필렌글리콜, 데실프로필렌글리콜, 도데칸산프로필렌글리콜(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 도데실프로필렌글리콜(라우릴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데칸산프로필렌글리콜(미리스틴산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데실프로필렌글리콜(미리스틸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틸렌글리콜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옥탄산부틸렌글리콜, 옥틸부틸렌글리콜, 데칸산부틸렌글리콜, 데실부틸렌글리콜, 도데칸산부틸렌글리콜(라우린산부틸렌글리콜), 도데실부틸렌글리콜(라우릴부틸렌글리콜), 테트라데칸산부틸렌글리콜(미리스틴산부틸렌글리콜), 테트라데실부틸렌글리콜(미리스틸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미드유도체, 모노에탄올아민유도체, 디에탄올 아미드유도체, 디에탄올아민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운데실렌산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POE) 2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N-메틸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에탄올아민, 야자유지방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의 값이 0. 8~1. 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보조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제 1제 또는 제 2제 전량에 대해 , 0. 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 3~30 질량%이다.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사용하는(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전리해 전하를 가질 일이 없는 계면활성제이다. 소수기로서는 알킬을 이용한 타입 및 디메틸실리콘을 이용한 타입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로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산화에틸렌유도체, 폴리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의 산화에틸렌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피마자유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피마자유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후자로서는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폴리 글리세린변성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수기로서 알킬을 이용한 타입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키올레에이트, 솔비탄트리오레에이트, 펜타 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 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등), 글리세린폴리 글리세린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글리세린, 세스키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α, α' -오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사과산 등),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피마자유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친수성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POE-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그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소첨가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말레인산 등), POE-밀랍·라놀린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5~14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HLB치 5),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HLB치 5), 디이소스테아린산PEG(6)(HLB치 5), 디올레인산PEG(6)(HLB치 5),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3(HLB치 5), 디스테아린산소르비탄(HLB치 5), 트리이소스테아린산PEG-10 글리세릴(HLB치 5), 트리이소스테아린산PEG-15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5), POE(5) 라우릴에테르이소스테아린산에스테르(HLB치 5), POE(2) 세틸에테르(HLB치 5), 이소스테아린산PEG-3글리세릴(HLB치 6), 디이소스테아린산PEG-8(HLB치 6), 트리이소스테아린산POE(20)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6), POE(3) 세틸에테르(HLB치 6), POE(7)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6), 이소스테아린산POE(15)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7), 디이소스테아린산POE(10) 글리세릴(HLB치 7), 디라우린산POE(6)(HLB치 7), 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소르비탄(HLB치 7), 트리이소스테아린산POE(30)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7), 이소스테아린산POE(3)(HLB치 7), 이소스테아린산POE(5) 글리세릴(HLB치 8), 이소스테아린산POE(20)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8), 디이소스테아린산POE(12)(HLB치 8), 트리이소스테아린산POE(20)그리세릴(HLB치 8), POE(5)이소스테아릴에테르(HLB치 8), POE(5)세틸에테르(HLB치 8), 이소 스테아린산PEG-30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9), 이소스테아린산POE(6)(HLB치 9), 수소첨가레시틴(HLB치 9), 이소스테아린산POE(10)글리세릴(HLB치 10), 이소스테아린산POE(8)글리세릴(HLB치 10), 디이소스테아린산POE(20)글리세릴(HLB치 10), 트리이소스테아린산POE(30)글리세릴(HLB치 10), POE(8)스테아릴에테르(HLB치 10), POE(7)세틸에테르(HLB치 10), 모노이소스테아린산POE(8)(HLB치 10), 이소스테아린산POE(40) 수소첨가피마자유(HLB치 11), POE(10)이소스테아릴에테르(HLB치 11), 이소스테아린산POE(10)(HLB치 11), 이소스테아린산POE(15)글리세릴(HLB치 12), POE(15)이소스테아릴에테르(HLB치 12), 이소스테아린산POE(20)글리세릴(HLB치 13), POE(20)이소스테아릴에테르(HLB치 13), POE(60) 경화피마자유(HLB치 14), 이소스테아린산POE(20)(HLB치 14), 이소스테아린산POE(40) 그리세릴(HLB치 15), POE(25)이소 스테아릴 에테르(HLB치 15) 등을 들 수 있다.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제 1제 또는 제 2제 전량에 대해 0. 5~7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이다.
「(e) 유분」
 본 발명에 사용하는(e) 유분은 통상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에 사용되는 탄화수소유, 고급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액체유지, 고체유지, 왁스류 등을 들 수 있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성성분을 이용할 수가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오일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 분기쇄알코올(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알코올)-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예를 들면, 옥탄산옥틸, 노난산노닐,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 옥탄산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초산 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디 2-에틸 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 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피발린산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 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헥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 에스테르, 아디핀산 디 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구연산 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쇄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디페닐 폴리실록산 등), 환상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폴리실록산, 알킬변성 폴리실록산, 불소변성 폴리실록산 등), 아크릴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너츠 오일,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난황유, 참기름, 퍼식 오일, 밀배아유, 사잔카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유, 미강유, 오동나무유, 일본 동유, 호호바 오일, 배아유-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 오일,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 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 핵유, 경화유, 우각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왁스, 면랍, 카나바 왁스, 베이베리납, 백랍, 경랍, 몬탄 왁스, 미강유, 라놀린, 케이폭유, 초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납, 라놀린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 오일, 경질 라놀린, 쉘락 왁스, POE라놀린 알코올 에테르, POE라놀린 알코올 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놀린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e) 유분의 배합량은 제 1제 또는 제 2제 전량에 대해 0. 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 2~40 질량%이다.
「(c) 또는 (f) 물」
 본 발명의 산화염모제에 포함되는 물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가리킨다고 하면 정제수, 이온교환수, 수도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성분(c) 또는 성분(f)의 물 배합량은 제 1제 또는 제 2제 전량에 대해 1~95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80 질량%이다.
 이와 같이 성분(a)~(c)의 필수 성분 편성과 성분(d)~(f)의 필수 성분 편성이 후술 하는 방법에서 혼합함으로써,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필수 성분 편성이 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그 외 필수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알칼리제」
 본 발명에 의한 산화 염모제의 제 1제로 포함되는 알칼리제로서는 암모니아, 탄산수소암모늄, 인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아르기닌, 리신 등의 알칼리성 아미노산, 구아니딘, 2-아미노-2-메틸프로판,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유기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등의 무기알칼리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염과의 편성에 의한 완충 용액(예를 들면, 인산-인산의 나트륨염)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알칼리제로서는 암모니아, 암모늄염, 알칸올아민이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제는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제의 배합량은 소망하는 염색 혹은 탈색 효과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지만 일반적인 배합량으로서는 제 1제의 pH가 8. 0~13. 0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제와 제 2제 혼합시의 조성물 전체에 대해 0. 1~10 질량%, 특히 0. 5~5 질량%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pH가 8보다 작으면 탈색 효과에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13을 넘으면 피부 자극이나 모발 손상이 격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산화염료」
 본 발명에 의한 염모제의 제 1제로 배합되는 산화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p-페닐렌디아민, p-톨루엔디아민, N-메틸-p-페닐렌디아민, N, N-디메틸-p-페닐렌디아민, N, N-디에틸-2-메틸-p-페닐렌디아민, N-에틸-N-(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클로르- p-페닐렌디아민, 2-(2'-히드록시에틸아미노)-5-아미노톨루엔, N, 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메톡시-p-페닐렌디아민, 2, 6-디클로르-p-페닐렌디아민, 2-클로르-6-브롬-p-페닐렌디아민, 2-클로르-6-메틸-p-페닐렌디아민, 6-메톡시-3-메틸-p-페닐렌디아민, 2, 5-디아미노아니솔, N-(2-히드록시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2-메톡시에틸-p-페닐렌디아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NH2-기, NHR-기 또는 NHR 2-기(R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가지는 p-페닐렌디아민류;2, 5-디아미노피리딘유도체;p-아미노페놀, 2-메틸- 4-아미노페놀, 3-메틸- 4-아미노페놀, 2-클로로- 4-아미노페놀, 3-클로로- 4-아미노페놀, 2, 6-디메틸- 4-아미노페놀, 3, 5-디메틸-4-아미노페놀, 2, 3-디메틸- 4-아미노페놀, 2, 5-디메틸- 4-아미노페놀, 2, 4-지아미노페놀, 5-아미노 살리실산 등의 p-아미노페놀류, o-아미노페놀류, o-페닐렌디아민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게다가 커플러를 배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α나프톨, o-크레졸, m-크레졸, 2,6-디메틸페놀, 2, 5-디메틸페놀, 3, 4-디메틸페놀, 3, 5-디메틸페놀, 벤즈카테킨, 피로갈롤, 1, 5-디히드록시나프탈렌, 1, 7-디히드록시나프탈렌, 5-아미노-2-메틸페놀,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4-메톡시페놀, 히드로퀴논, 2, 4-디아미노아니솔, m-톨루엔디아민, 4-아미노페놀, 레조르신, 레조르신모노메틸에테르, m-페닐렌디아민, 1-페닐-3-메틸-5-피라졸론, 1-페닐- 3-아미노- 5-피라졸론, 1-페닐- 3, 5-디케토-피라졸리딘, 1-메틸- 7-디메틸아미노- 4-히드록시- 2-퀴놀론, m-아미노페놀, 4-클로로레조르신, 2-메틸레조르신,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2, 6-디아미노피리딘, 3, 5-디아미노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2, 4-디아미노플루오로벤젠, 3, 5-디아미노플루오로벤젠, 2, 4-디아미노 6-히드록시피리미딘, 2, 4, 6-트리아미노피리미딘, 2-아미노- 4, 6-디히드록시피리미딘, 4-아미노- 2, 6-디히드록시피리미딘, 4, 6-지아미노 2-히드록시피리미딘 등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물질 외에 「의약부외품규격」(약사일보사, 1991년 6월 발행)에 기재된 물질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산성염료, 알칼리성염료, HC염료를 배합할 수도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염료를 배합하지 않는 것은 헤어 탈색으로서 이용된다.
 산화 염료의 배합량은 제 1제전량에 대해 0. 001~5질량%가 바람직하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 01~3 질량%이다.
「산화제」
 제 2제로 배합되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유산염, 과붕산염, 과탄산염, 브롬산염, 과요오드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의 함유량은 제 2제 중 0. 1~12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9 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 1 질량%미만에서는 모발의 탈색 효과에 뒤떨어져 12 질량%를 넘으면 그 이상의 효과가 나오지못하고, 피부 자극이나 모발 손상이 심각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는 제 1제, 제 2제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 이용할 수 있지만, 혼합 질량비는 제1제:제 2제=2:1~1:5인 것이 바람직하며 1:1~1:3때에 염모력 또는 탈색 효과가 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제, 제 2제의 한편 또는 쌍방으로 통상의 화장료에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상기 이외의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실리콘류, 방향족알코올,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미노산류, 컨디셔닝제, 증점제, pH조정제, 보습제, 동물 및 식물 추출물, 비타민류, 색소, 향료, 안료,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봉쇄제, 환원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 본 발명의 배합 가능한 임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알코올류」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수용성 알코올을 배합해도 좋다.
 수용성 알코올은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중합체, 2가알코올 알킬에테르류, 2가 알코올 에테르에스테르, 글리세린 모노알킬에테르, 당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및 그들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저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2가알코올(예를 들면,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 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브텐 1, 4-디올, 헥시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알코올(예를 들면, 디글리세린, 1, 2, 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등 ), 5가알코올(예를 들면, 자일리톨, 트리글리세린 등), 6가알코올(예를 들면, 솔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트리글리세린, 테트라 글리세린, 폴리 글리세린 등), 2가알코올 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펠렌그리콜 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브틸에테르 등), 2가알코올 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 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등), 당알코올(예를 들면, 말토트리오즈,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프룩토오스, 전분분해당, 말토오스, 전분분해당 환원알코올 등), 글리소리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 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3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4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스, D-에리트롤로스, D-트레오스, 에리트리톨 등), 5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L-릭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오스, D-리불로스, D-자일루로스, L-자일루로스 등), 6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스, D-탈로스, D-사이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스, D-타가토스 등), 7탄당(예를 들면, 알도펜토스, 페플로스 등), 8탄당(예를 들면, 옥툴로스 등), 디옥시당(예를 들면, 2-디옥시 D-리보스, 6-디옥시 L-갈락토스, 6-디옥시 L-만노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당, 겐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스, 플란테오스, 이소리코노스류, α , α-트리할로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스류, 움빌리신,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퀸스시드, 전분, 갈락탄, 델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트라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친, 잔탄검,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트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캄 E-10),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캄 P-10)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증점제를 배합해도 된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캐롭검, 퀸스시드(마르멜로), 카세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드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잔탄검, 규산알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칸텐, 퀸스시드(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추출물),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가루), 글리실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해도 좋다.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면, 2, 4-디히드록시 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 4-메톡시 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 벤조페논, 2, 2', 4, 4'-테트라히드록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 벤조페논, 2-에틸헥실-4'-
페닐 벤조페논 2-카르복시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및 그 염, 페닐렌-비스-벤조이미다졸-테트라설폰산 및 그 염 등의 벤조이미다졸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 l-캠퍼-, 3-벤질리덴 d, l-캠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PABA),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 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 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아밀살리실레이트, 살리실산메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사릴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 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 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 -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 시아노β -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 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3, 4, 5-트리메톡시 계피산 3-메틸-4-[메틸비스(트리메틸실옥시) 실릴]부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2-페닐-5-메틸벤족사졸, 2, 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 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옥토크리렌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
 본 발명의 염모제에는 각종 분말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바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가루,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4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산화티탄 등), 무기 보라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로뮴, 수산화크로뮴,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산화티탄 코팅된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 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옥시염화비스머스, 어린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가루, 어린박(漁鱗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등의 유기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등 ), 천연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보습제를 배합해도 좋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콘드로이친황산, 히알루론산, 뮤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유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단쇄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부가물, 이자요이바라(십육야장미)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메리로트 추출물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금속 이온 봉쇄제를 배합해도 좋다.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 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 1-디포스폰산4나트륨염, 에데트산2나트륨, 에데트산3나트륨, 에데트산4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 3초산 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아미노산을 배합해도 좋다.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라이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미노산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치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유기 아민을 배합해도 좋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모르폴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 디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전」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고분자 에멀전을 배합해도 좋다.
 고분자 에멀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에멀전, 폴리아크릴산에틸에멀전, 아크릴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전, 폴리초산비닐수지에멀전, 천연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pH조정제를 배합해도 좋다.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산-유산나트륨, 구연산-구연산나트륨, 숙신산-숙신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비타민류를 배합해도 좋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에는 각종 산화 방지제를 배합해도 좋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 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마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세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4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부제(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 에탄올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실리딘산유도체, 글리실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벽, 황련, 자근, 작약, 쓴풀, 버치, 세이지,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의이인,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소구, 제절초,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왜당귀, 해조 등), 활력제(예를 들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유도체 등), 혈행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라틴, γ -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유황, 치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시오타우린, 하이포타우린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는 상기의 알칼리제, 산화제, 산화염료(단 헤어 탈색의 경우에는 배합되지 않는다), 및,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성분(a)~(c) 또는 성분(d)~(f)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한 제 1제 및 제 2제로부터 되는 산화 염모제이며,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고 진탕 직후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건인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및 라멜라 액정상은 열역학적인 평형 상태이며 필수 배합 성분의 첨가 순서에 상관 없이 생성한다. 따라서 어떠한 첨가 순서에서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가장 신속하게 평형 상태에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물, 계면활성제, 알칼리제 등 수용성의 물질을 혼합하고 계면장력이 충분히 저하한 수용액을 조제한 후, 보조 계면활성제(코서팩턴트)나 유용성물질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포함한 산화 염모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간편히 아래와 같은 단계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를 바꾼 이온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조제하여, 각각 성분(c) 물을 첨가한다.
(2) 계면장력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 범위를 찾아낸다. 이 혼합 범위는, 가장 계면장력이 저하한 혼합비를 중심으로 한 양측±2 정도의 범위이다. 계면장력 측정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양성 계면활성제에 2-알킬- N-카르복시메틸- 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폴리옥시에틸렌(2몰)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을 이용해 데칸에 대한 계면장력을 측정한 것이다. 도 1에서 성분(A)와 성분(B)의 혼합비가 5:5~9:1로 계면장력이 낮은 혼합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3) (2)로 산출한 혼합비의 이온성 계면활성제 혼합 수용액에 대해, 다른 수용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교반·혼합한다.
(4) 비교적 강한 교반력을 더하면서 (3)에 성분(b) 보조 계면활성제(코서팩턴트)를 서서히 첨가한다.
(5) 다른 유용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교반,혼합한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조한 조성물이 바이콘티뉴어스상 및/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포함할지 어떨지는 하기의 스텝에 의해 확인한다.
(6) (5)에서 얻을 수 있던 최종 혼합 조성물을 나사구 시험관(샘플관)에 넣어 격렬하게 진탕하여, 25℃의 항온 수조중에 정치 또는 원심분리한다. 눈으로 조성물 용액이 각각 투명~반투명으로 균일한 상으로 분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첫번째 측정 단계).
(7) 그 후 편광판 2장을 90번의 위상차로 조합한 사이에 조성물을 유지해, 빛의 투과성을 확인한다(두번째 측정 단계).
(8) 그리고 나사구 시험관을 가볍게 흔드는 것으로 이 샘플의 각 상의 점도를 눈으로 확인한다(세번째 측정 단계).
 첫번째 측정 단계로 균일투명 또는 반투명인 상이며 두번째 측정 단계로 빛의 투과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액정상이다고 생각할 수 있다. 라멜라 액정상과 다른 광학 이방상인 액정상과의 구별은 아래와 같은 1~5의 방법이 유효하다.
 한편, 첫번째 측정 단계로 균일투명상이며, 두번째 측정 단계로 빛의 투과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크로에멀전상이고 생각 할 수 있다.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과 다른 광학 등방성인 미셀 수용액, 역미셀유 용액과의 구별에는 아래와 같이 2~5의 방법이 유효하다.
 상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던 조성물이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할지 어떨지는 1. 편광 현미경 관찰 및 X선 구조 해석, 2. 상평형도의 작성, 3. 전기 전도도 측정, 4. NMR에 의한 자기 확산 계수의 측정, 5. 동결할단법을 이용해 조제한 레플리카의 전자현미경 관찰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어느 방법에 의해 결정해도 좋다.
「1. 편광 현미경 관찰 및 X선 구조 해석」
 편광 현미경 관찰 및 X선 구조 해석에 의하면 이방성의 띠무늬가 관찰되어 층 간격에 대응하는 산란 피크가 나오는 경우에는 라멜라 액정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세번째 측정 단계에 있어서저점도 액상이면 플레너 라멜라 액정상, 약간 고점성 액상이면 콘센트릭 크라멜라 액정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방성의 줄무늬가 관찰되어 육방정의 막대기 모양 미셀 간격 주기에 날카로운 산란 피크가 나오는 경우에는 헥사고날 액정상이라고 생가할 수 있다. 편광 현미경 관찰로 암시야이며 큐빅 대칭성의 스포트가 나오는 경우에는 큐빅 액정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상평형도의 작성」
 물/유성성분/계면활성제(유성성분에는 코서팩턴트의 보조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로 구성되는 3성분계의 상평형도를 작성하면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은 등방성 투명저점도 1상영역이고, 물 및 오일 정점의 어느쪽에서도 연속하는 영역이 아니고, 또 라멜라 액정상이 생성하는 농도 범위는 미셀 수용액상이나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과 인접하는 영역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류 가능하지만, 이 특징은 구성되는 계(성분)에 따라 다르다.
「3. 전기 전도도 측정」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의 전도도는 같은 계로 얻을 수 있는 미셀 수용액상의 약 2/3갑으로 알려져 있다. 액정상은 각상의 유동성이나 구조의 연속성, 이방성에 기인하는 특징적인 전기적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하에서 전도도 측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상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NMR에 의한 자기 확산 계수 측정」
 Lindman등에 의해 J. Colloid Interface Sci., 1981, 83, 569등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방법이다.
「5. 동결할단법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
 동결할단법을 이용해 조제한 상 샘플의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은 물 및 오일의 양쪽 모두가 연속이 된 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 라멜라 액정상은 층상 구조의 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이마에(발명자) 들에 의한 문헌 Colloid polym. Sci. , 1994, 272, 604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고 진탕 직후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다. 따라서, 혼합 전 제 1제 및 제 2제는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방법에 따라 최종 조성물(제 1제 및 제 2제 혼합 후)의 조성이 정해지면 각종 성분의 pH안정성 등을 고려해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성분(a)~(c) 또는 성분(d)~(f)의 각 필수 성분을 적절히 제 1제 또는 제2제에 이들배합을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층 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질량%를 나타낸다.
 우선, 각 시험예로 사용한 평가법에 대해 설명한다.
평가(1):회합 상태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염액 10g의 회합 상태를 평가했다. 회합 상태의 판정에는 상술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L3: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포함하고 있다
Lα: 액정상을 포함하고 있다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1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라멜라 액정상의 모두 포함하지 않았다
평가(2):염색 효과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염액 10 g를 무게 3 g, 길이 15 cm의 인 모 모속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0분간 방치해, 그 다음에 충분히 세정한 후에 건조시켜 7명의 전문 피험자에 의해 아래와 같은 기준을 근거로 해평가했다.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2
:매우 양호  (염색 효과가 높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명중 6~7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3
:양호     (염색 효과가 높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명중 4~5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4
:약간 나쁘다 (염색 효과가 높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명중 2~3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5
:나쁘다    (염색 효과가 높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명중 0~1명)
평가(3):염색 후 색 불균일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염액 10 g를 무게 3 g, 길이 15 cm의 인 모 모속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0분간 방치해, 그 다음에 충분히 세정한 후에 건조시켜 7명의 전문 피험자에 의해 아래와 같이 기준을 근거로 해 평가했다.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6
:매우 양호  (염색 후의 색 불균일이 적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 명중 6~7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7
:양호     (염색 후의 색 불균일이 적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 명중 4~5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8
:약간 나쁘다  (염색 후의 색 불균일이 적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 명중 2~3명)
Figure 112014045552392-pct00009
:나쁘다    (염색 후의 색 불균일이 적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수 7 명중 0~1명)
 평가(2) 및 평가(3)에 있어서 인모 모속으로서 하기 3 종류를 이용해 평가했다.
정상 모발:흑발 모속
손상 모발:정상 모발을 실온으로 20분간 탈색 처리한 것
손상이 심한 모발:정상 모발을 실온으로 45분간 탈색 처리한 것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
 하기의 표 1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실시 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상기 평가(1)~(3)에 관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질량%)
1-1 1-2 1-3
<1제>
(a) 2-알킬(C12)-N-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14 6.3
(a) POE(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6 2.7
(b)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 5 5 5
(b)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 5 5 5
옥탄산옥틸 1
암모니아수(28%) 2.67 2.67 2.67
2-아미노- 2-메틸- 1-프로판올 0.17 0.17 0.17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3 0.03 0.03
파라아미노페놀(산화염료) 0.13 0.13 0.13
디티온산나트륨 0.03 0.03 0.03
L-아스코르브산 0.20 0.20 0.20
EDTA-2Na·2H2O 0.07 0.07 0.07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2제>
과산화수소수 30% 12.67 12.67 12.67
인산 0.16 0.16 0.16
인산수소 2Na 0.20 0.20 0.2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EDTA-2 Na·2H2O 0.13 0.13 0.13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양친매성물질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 ※ 0.79 0.79 0.79
평가 1:혼합시의 회합 상태 L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0
평가 2:염색 효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3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6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19
평가 3:색 불균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2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5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8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
※양친매성 물질인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IOB치 1.048) 5질량%와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IOB치 0.53) 5질량%의 평균치
표 1의 결과에서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1-3(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손상 모발, 특히 손상이 심한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험예 1-1(본 발명의 실시예)은 1제 및 2제 혼합시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고, 시험예 1-2(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함유하여,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 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 것이었다.
<염모 후 샴푸에 의한 탈색 평가>
 시험예 1-1, 1-2 및 하기의 비교예 1(비교예 1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유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그 배합량, HLB가 적절히 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및 라멜라 액정상을 포함하지 않는 염모제이다.)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시험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염액 10g를, 무게 3g, 길이 15cm의 인모 모속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0분간 방치해, 그 다음에 충분히 세정한 후에 건조시켰다. 그리고 그 후 2회 샴푸 세정을 실시해 샴푸 전후의 명도차 (△ L) 및 색차 (△ E)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1제:2제 혼합비=1:2)」<1제>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2
탈취세탄올                6
(e) 유동파라핀              2
프로필렌글리콜              5
글리세린                 5
(d)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HLB14)    1
(d)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HLB16)   0. 5
암모니아수(28%)             8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 5
파라페닐렌디아민             0. 4
레조르신레조르신             0. 2
아미노-o-크레졸5-아미노오르토크레졸   0. 2
파라아미노페놀(산화염료)          1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 04
디티온산나트륨           0. 1
L-아스코르브산               0. 6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2 나트륨       0. 2
(f) 정제수 잔여(합계 100 질량%)
<2제>
과산화수소수(30%)              5
인산                      0. 24
인산수소 2 나트륨               0. 3
페녹시에탄올 적당량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2 나트륨 적당량
(f) 정제수 잔여
 염모 후 샴푸 행위에 의해 퇴색이 일어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와 같이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고 진탕 직후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는 시험예 1-1 및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함유하는 시험예 1-2는 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비교해 샴푸 전후의 색차가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고 진탕 직후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나타내는 상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는 염모 후 샴푸에의한 탈색이 적은 뛰어난 기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의 배합」
 하기의 표 2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진시험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평가(1)~(3)에 관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질량%)
2-1 2-2
<1제>
(a) 2-알킬(C12)-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5 5
(a) POE(3)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2.2 2.2
(b) 모노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 5
(b)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 5
암모니아수(28%) 2.67 2.67
2-아미노- 2-메틸- 1-프로판올 0.17 0.17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3 0.03
파라아미노페놀(산화염료) 0.13 0.13
디티온산나트륨 0.03 0.03
L-아스코로브산 0.20 0.20
EDTA- 2Na·2H2O 0.07 0.07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2제>
과산화수소수 30% 12.67 12.67
인산 0.16 0.16
인산수소 2Na 0.20 0.20
페녹시에탄올 0.30 0.30
EDTA-2Na·H2O 0.13 0.13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양친매성 물질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 ※ 0.705
평가 1:혼합시의 회합 상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29
평가 2:염색 효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1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3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5
평가 3:색 불균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7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39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1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
※양친매성 물질인 모노데실모노글리세릴에테르(IOB치 0.88) 5 질량%와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IOB치 0.53) 5 질량%의 평균치
 표 2의 결과에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시험예 2-2(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는 정상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험예 2-1(본 발명의 실시예)은 1제 및 2제 혼합시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고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 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 것이었다.
「음이온성/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비」
 하기의 표 3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시험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평가(1)~(3)에 관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질량%)
3-1 3-2 3-3 3-4 3-5 3-6
<1제>
(a)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10 8 6 4 2
(a) POE(3)미리스틸 에테르황산나트륨 2 4 6 8 10
(b) 모노데실모노그릴세릴에테르 3.8 3.8 3.8 3.8 3.8 3.8
(b) 데칸산프로필렌글리콜 3.8 3.8 3.8 3.8 3.8 3.8
암모니아수(28%) 2.67 2.67 2.67 2.67 2.67 2.67
2-아미노- 2-메틸- 1-프로판올 0.17 0.17 0.17 0.17 0.17 0.17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3 0.03 0.03 0.03 0.03 0.03
파라아미노페놀 0.13 0.13 0.13 0.13 0.13 0.13
디티온산나트륨 0.03 0.03 0.03 0.03 0.03 0.03
L-아스코르브산 0.20 0.20 0.20 0.20 0.20 0.20
EDTA-2Na·2H2O 0.07 0.07 0.07 0.07 0.07 0.07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2제>
과산화수소수 30% 12.67 12.67 12.67 12.67 12.67 12.67
인산 0.16 0.16 0.16 0.16 0.16 0.16
인산수소 2Na 0.20 0.20 0.20 0.20 0.20 0.2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0.30 0.30 0.30
EDTA-2Na·H2O 0.13 0.13 0.13 0.13 0.13 0.13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양친매성 물질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 ※ 0.75 0.75 0.75 0.75 0.75 0.75
평가 1:혼합시의 회합 상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3
평가 2:염색 효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49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5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59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1
평가 3:색 불균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7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69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3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79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
※양친매성 물질인 모노데실모노글릴에테르(IOB치 0.88) 3.8 질량%과 데칸산프로필렌글리콜(IOB치 0.62) 3.8 질량%의 평균치
 표 3의 결과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와의 질량비가 10:0 및 0:10인 시험예 3-1 및 3-6(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은 정상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와의 질량비가 2:8~8:2인 시험예 3-2~5(본 발명의 실시예)는 1제 및 2제 혼합시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고,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 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것이었다.
「계면활성제·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
 하기의 표 4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시험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평가(1)~(3)에 관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질량%)
4-1 4-2 4-3 4-4
<1제>
(a)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6.3 5.7 5.0 3.8
(a) POE(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2.7 2.4 2.2 1.6
(b)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 5 4.5 4 3
(b)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 5 4.5 4 3
암모니아수(28%) 2.67 2.67 2.67 2.67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17 0.17 0.17 0.17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3 0.03 0.03 0.03
파라아미노페놀(산화염료) 0.13 0.13 0.13 0.13
디티온산나트륨 0.03 0.03 0.03 0.03
L-아스코르브산 0.20 0.20 0.20 0.20
EDTA-2Na·H2O 0.07 0.07 0.07 0.07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2제>
과산화수소수 30% 12.67 12.67 12.67 12.67
인산 0.16 0.16 0.16 0.16
인산수소 2Na 0.20 0.20 0.20 0.2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0.30
EDTA-2Na·H2O 0.13 0.13 0.13 0.13
(c)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양친매성 물질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 ※ 0.79 0.79 0.79 0.79
평가 1:혼합시의 회합 상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0
평가 2:염색 효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2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4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6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8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89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0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1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2
평가 3:색 불균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3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4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5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6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7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8
Figure 112014045552392-pct00099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0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1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2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3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4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양친매성 물질인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IOB치 1.048)와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IOB치 0.53)의 평균치
 표 4의 결과에서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가 낮은 시험예 4-4(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는 특히 정상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가 매우 적합한 시험예 4-1~3(본 발명의 실시예)은 1제 및 2제 혼합시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고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에 대해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것이었다.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양친매성 물질인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IOB치 1.048)와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IOB치 0.53)의 평균치
 표 4의 결과에서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가 낮은 시험예 4-4(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는 특히 정상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가 매우 적합한 시험예 4-1~3(본 발명의 실시예)은 1제 및 2제 혼합시에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고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에 대해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것이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
 하기의 표 4에 기재한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험예의 산화 염모제를 제조해, 평가(1)~(5)에 관한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예(질량%)
5-1 5-2 5-3
<1제>
(d)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8EO) 25 45 20
(e) 옥탄산옥틸 22
(e) 이소도데칸 10
암모니아수(28%) 2.67 2.67 2.67
2-아미노- 2-메틸- 1-프로판올 0.17 0.17 0.17
염산 2, 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3 0.03 0.03
파라아미노페놀(산화염료) 0.13 0.13 0.13
디티온산나트륨 0.03 0.03 0.03
L-아스코르브산 0.20 0.20 0.20
EDTA-2Na·H2O 0.07 0.07 0.07
(f)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2제>
과산화수소수 30% 12.67 12.67 12.67
인산 0.16 0.16 0.16
인산수소 2Na 0.20 0.20 0.2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EDTA-2Na·H2O 0.13 0.13 0.13
(f) 이온교환수 잔여 잔여 잔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10 10 10
평가 1:혼합시의 회합 상태 L3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5
평가 2:염색 효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6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7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8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09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0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1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2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3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4
평가 3:색 불균일
정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5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6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7
손상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8
Figure 112014045552392-pct00119
Figure 112014045552392-pct00120
손상이 심한 모발
Figure 112014045552392-pct00121
Figure 112014045552392-pct00122
Figure 112014045552392-pct00123
(1제, 2제의 합계로 100 질량%로 한다. )
 표 5의 결과에서 시험예 5-3(라멜라 액정상도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은 손상 모발, 특히 손상이 심한 모발에 대해 염색 효과 및 머리카락의 감촉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분의 배합에 의해 적절히 계면활성제의 회합 상태가 제어된 시험예 5-1(본 발명의 실시예)은 1제 및 2제 혼합시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을 함유하고, 시험예 5-2(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여 정상 모발, 손상 모발, 손상이 심한 모발의 모두에 대해 에 대해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머리카락의 감촉이 뛰어난 것이었다.
 하기 본 발명의 산화 염모제의 처방예를 든다. 얻을 수 있던 산화 염모제는 모발 염색성이 뛰어나, 안전성, 사용 감촉이 양호하고 높은 기제 안정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실시예:산화 염모제」
<1제>
(a)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18
(a)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토리에탄올아민  6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6
이소프로판올                 9. 5
프로필렌글리콜                10
옥탄산옥틸                  2
강암모니아수(28%)              8. 6
에탄올아민                  2. 4
디티온산나트륨            0. 1
아스코르브산                  0. 3
양이온화 실크단백               0. 1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2 나트륨              0. 2
레조르신                     1
향료 적당량
(c) 정제수 잔여(합계 100 질량%)
<2제>
과산화수소수(30%)                18
(b) 모노옥틸모노그릴세릴에테르          8
(b) 라우린산프로필렌글리콜            7
인산                      0. 2
무수인산1수소나트륨               0. 2
주석산나트륨                  0.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당량
(c) 정제수 잔여(합계 100 질량%)
*1제의 pH=11. 1, 2제의 pH=3. 01
* 양친매성 물질의(무기성 값/유기성 값) 비는 0. 81{양친매성 물질인 모노옥틸모노글리세릴에테르(IOB치 1.048) 8%와 라우린산 프로필렌 글리콜(IOB치 0.53) 7%의 평균치}
「실시예:산화 염모제」
<1제>
1, 3-부틸렌글리콜                 5
(d) 폴리옥시에틸렌(10 EO)세틸에테르    15
(d)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8 EO)  15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아)프로필]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 5
강암모니아수(28%)                15
에탄올아민                   
아스코르브산                   0. 6
DL-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0. 1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4 나트륨        0. 3
레조르신                      0. 15
향료 적당량
(f) 정제수 잔여(합계 100 질량%)
<2제>
(e) 유동파라핀                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
라우릴황산나트륨                 0. 1
과산화수소수(30%)               18
인산                      0. 1
무수인산1수소나트륨              0. 1
주석산나트륨                 0.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당량
(f) 정제수 잔여(합계 100 질량%)
*1제의 pH=11. 02, 2제의 pH=3. 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는 10. 5{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 에틸렌(10EO) 세틸에테르(HLB=11) 15%와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8 EO)(HLB=10) 15%의 평균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제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하여손상을 입은모발(염모제, 파마제 등의 화학적인 손상, 마찰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입은 모발)과 손상을 입지 않은 정상 모발의 양쪽 모두에 대해 염색성이 뛰어난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염모 후 세정에 의한 탈색의 억제 효과에도 뛰어난 산화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제 1제와,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 2제를 혼합하는 산화염모제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직후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로서, 상기 제 1제 또는 제 2제 중에 바이콘티뉴어스 마이크로에멀젼상 또는 라멜라 액정상을 형성하는 하기 성분(a)~(c)을 함유하고, 상기 성분(a)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추가로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성계면활성제 또는 상기 양이온성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제 1제 및 제 2제 전량에 대해서 7.2 질량% 이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성계면활성제 또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2:8~8:2이고,
    성분(b) 무기성 값/유기성 값의 비의 값이 0.8~1.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이 모노글리세린유도체, 디글리세린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유도체, 부틸렌글리콜유도체, 모노에탄올아미드유도체, 모노에탄올아민유도체, 디에탄올아미드유도체, 디에탄올아민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상기 양친매성 물질의 함유량이 제 1제 및 제 2제 전량에 대해서 8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모제.
    (a) 이온성 계면활성제
    (b) 무기성 값/유기성 값의 비의 값이 0.8~1.5의 범위내인 양친매성 물질
    (c) 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7013038A 2011-11-22 2012-09-19 산화 염모제 KR10146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4624 2011-11-22
JP2011254624A JP5327911B2 (ja) 2011-11-22 2011-11-22 酸化染毛剤
PCT/JP2012/073913 WO2013077072A1 (ja) 2011-11-22 2012-09-19 酸化染毛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362A KR20140069362A (ko) 2014-06-09
KR101460483B1 true KR101460483B1 (ko) 2014-11-11

Family

ID=4846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38A KR101460483B1 (ko) 2011-11-22 2012-09-19 산화 염모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327911B2 (ko)
KR (1) KR101460483B1 (ko)
CN (1) CN104093390B (ko)
HK (1) HK1198468A1 (ko)
TW (1) TWI555533B (ko)
WO (1) WO2013077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830A (ko) * 2016-11-21 2018-05-30 김숙희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993B2 (en) 2014-01-24 2016-01-19 Combe Incorporated Gradual haircolo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R099179A1 (es) * 2014-01-24 2016-07-06 Combe Int Ltd Composiciones para la coloración del cabello incluyendo sistemas de emulsión multi-lamelar y métodos para realizar las mismas
JP6636243B2 (ja) * 2014-11-05 2020-01-29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酸化染毛剤
CN106236628A (zh) * 2016-08-13 2016-12-21 黄剑忠 一种生物酵素染发剂
EP3530722B1 (en) * 2016-10-19 2022-11-16 Shiseido Company, Ltd. Detergent composition
KR101932016B1 (ko) * 2016-12-30 2018-12-26 주식회사 세화피앤씨 산화 염모제 조성물
CN108852860A (zh) * 2018-09-13 2018-11-23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层状液晶相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142521A1 (en) * 2018-12-31 2020-07-09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2196631B1 (ko) * 2019-01-24 2020-12-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발 침투성이 증가된 양이온성 고분자 및 치자황색소의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20220117636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파래 강정의 제조방법
KR102640033B1 (ko) * 2023-09-01 2024-02-26 한국콜마주식회사 아민 취 감소에 효과적인 액정 유화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711A (ja) * 1990-08-14 1992-03-31 Yamahatsu Sangyo Kk 染毛剤
JP2007191458A (ja) 2006-01-20 2007-08-02 Number Three:Kk 永久染毛剤組成物
JP2008503502A (ja) 2004-06-24 2008-02-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着色又は脱色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721A (ja) * 1990-08-17 1992-03-31 Asahi Chem Ind Co Ltd ニューモシスチス・カリニ肺炎治療剤
JP2010222324A (ja) * 2009-03-25 2010-10-07 Shiseido Co Ltd 毛髪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9711A (ja) * 1990-08-14 1992-03-31 Yamahatsu Sangyo Kk 染毛剤
JP2008503502A (ja) 2004-06-24 2008-02-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着色又は脱色組成物
JP2007191458A (ja) 2006-01-20 2007-08-02 Number Three:Kk 永久染毛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830A (ko) * 2016-11-21 2018-05-30 김숙희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916539B1 (ko) * 2016-11-21 2018-11-07 김숙희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362A (ko) 2014-06-09
WO2013077072A1 (ja) 2013-05-30
TWI555533B (zh) 2016-11-01
JP2013144645A (ja) 2013-07-25
CN104093390A (zh) 2014-10-08
CN104093390B (zh) 2016-02-17
JP5327911B2 (ja) 2013-10-30
TW201328712A (zh) 2013-07-16
HK1198468A1 (zh)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483B1 (ko) 산화 염모제
JP4834775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KR101462703B1 (ko)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WO2010134562A1 (ja) 化粧料
KR102251072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JP5203735B2 (ja) 毛髪化粧料
KR20180103143A (ko) 리플상 함유 조성물, α겔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 조성물 및 α겔 조성물
JP2010024159A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1615A (ja) 毛髪内部損傷改善剤および頭髪用化粧料
KR101727350B1 (ko) 폴리머솜 및 제조 방법
KR20180117711A (ko) 수중유형 조성물
JP5414064B2 (ja) 化粧料
KR20190084277A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201822758A (zh) 水中油型皮膚外用組成物
TW202031235A (zh) 粉末分散組成物及其分散方法
JP7278553B2 (ja) ルテインのブルーライトカット能増強剤および、化粧品組成物
JP7304749B2 (ja) 水中油型化粧料
WO2024075548A1 (ja) ゲル組成物及び水中油型組成物
JP2003119110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WO2024071313A1 (ja) 化粧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料
WO2019244911A1 (ja) 組成物
EP4176864A1 (en) Cosme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