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016B1 - 산화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16B1
KR101932016B1 KR1020160183343A KR20160183343A KR101932016B1 KR 101932016 B1 KR101932016 B1 KR 101932016B1 KR 1020160183343 A KR1020160183343 A KR 1020160183343A KR 20160183343 A KR20160183343 A KR 20160183343A KR 101932016 B1 KR101932016 B1 KR 10193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dye
dye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501A (ko
Inventor
이훈구
서동수
정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피앤씨
Priority to KR102016018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력과 컬러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에스테르류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져 라멜라 액정상 또는 바이콘티뉴어스마이크로 에멀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염료의 안정화 및 모발 침투력을 높여 컬러감을 개선하였으며 모발 컬러 지속력이 우수하다. 또한, 염색시 모발 손상을 막아 염색 후에도 부드럽고 윤기있는 모발을 유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산화 염모제 조성물{OXIDATIVE HAIR DYE COMPOSITON}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상 또는 바이콘티뉴어스마이크로 에멀젼상을 이루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산화형 염모제의 1제에 관한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나타내어 염료의 안정화 및 모발 침투력을 개선하고 발색력이 우수하고 색상이 오래 유지되도록 하며 모발 손상을 막아 염색 후에도 부드럽고 윤기나는 모발을 유지하도록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염색약이라고 알고 있는 것은 대부분 영구 염모제 중 산화형 염모제에 속하는 것으로 저 분자의 산화염료(디아민계화합물 : p-페닐렌디아민, 황산톨루엔-2,5-디아민 등)를 모발 내에 침투시켜 동시에 산화제(ex. H2O2) 작용에 의해 산화 중합하고 고 분자체의 색소를 형성하여 염색을 하게 된다.
산화형 염모제는 산화염료에 산화제를 작용시켜 산화중합 시키기 때문에 보통 2제 형식을 취하며 제1제에는 산화염료, 알카리제, 계면활성제 등이 제2제에는 산화제를 배합하여 사용시에 혼합한다. 염료들의 조합, 중합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산화형 염모제 원료로 사용되는 p-페닐렌디아민의 경우 항원성이 강해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두피질환 및 탈모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황산톨루엔-2,5-디아민의 경우 두드러기, 발진, 홍진, 백피, 두피와 머리의 변색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형 상에 이러한 염료들을 잘 포집하여 모발 속으로 잘 침투시켜 모발 안에서 산화 중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제형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멜라 액정 구조는 친수성-소수성 밸런스가 어울린 조건으로 생성해 친수성인 염료들이 제형 안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도와주고 작은 분자 상태로 모발 큐티클층에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도와준다.
산화 염모제는 Precursor라는 산화 염료와 Coupler 염료를 포함한다. 산화 염료는 산화되어 발색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에 1차 염료 중간체 (Primary intermediate) 또는 산화 베이스라고 하기도 한다. 커플러(Coupler)는 산화 염료의 일종으로써 단독으로는 발색물질이 생성되지 않지만 산화염료(Precursor)와 같이 산화되면 발색물질이 생성된다.
커플러는 발색물질의 색상을 짙게 하거나, 색상을 다양하게 조정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염색효과의 지속성도 향상시킨다.
산화염료로는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이 주로 많이 이용되고 커플러로는 m-아미노페놀, 레소르신과 같은 성분이 주로 이용된다.
알카리제는 1제에 첨가되어 2제와 혼합 시 2제의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산화 염료의 산화반응을 촉진시키고 멜라닌 색소의 파괴가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모발 표면의 모소피(큐티클)를 열리게 하여 염모제의 혼합액이 모발 내부로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2제의 주성분인 과산화수소는 알칼리 조건에서 쉽게 분해되어 퍼하이드록시음이온(Perhydroxyanion : HOO-)과 산소를 발생시키는 데, 퍼하이드록시 음이온은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고 산소는 산화염료와 커플러를 산화 중합시킨다.
산화 염료의 산화 중합 과정을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크게 4단계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첫 번째 단계는 산화염료가 산화되어 퀴논디이민(QDI) 생성 전 단계의 중간체 세미퀴논디이민의 라디칼 구조를 형성하고 두 번째 단계로 퀴논디이민(QDI) 구조를 형성한다. 세 번째 단계는 이 퀴논디이민(QDI)과 커플러 염료가 산화 중합 반응으로 발색 전 Leuco 중간체를 이루고 네 번째 단계로 안정적인 이중합체 발색체를 이룬다.
Step 1 :전구체 산화염료가 세미퀴논디이민 라디칼 구조를 이루는 단계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1
Step 2 :퀴논디이민(QDI)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2
Step 3 :퀴논디이민(QDI)과 커플러의 산화 중합 반응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3
Step 4 : 이중합체 발색체 구조를 이루는 단계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4
전체적인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5
각 과정의 반응 과정은 산화력의 세기에 따라 조정되고 반응 속도는 다음과 같다.
k2, k4 > k3 >> k1
이러한 산화 반응은 1제와 2제 혼합 후 5분부터 30분까지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너무 빨리 산화축합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이중합체나 삼중합체가 되면서 분자 크기가 커져 모발 큐티클층을 통해 안으로 깊숙이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모발 안으로 염료가 들어가 그 안에서 산화 축합반응이 일어나도록 조정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산화 반응을 조정하는 기능으로 1제에 산화방지제가 첨가된다.
염색 후에는 큐티클층이 잘 정돈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염모제 1제의 제형으로는 산제, 액제, 로션제, 크림제 등이 시중에 나와있다. 제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염모제가 갖추어야 할 공통적인 기본품질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모발에의 염색성이 우수하여야 함
2) 모발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함
3) 사용시 피부나 모발에 자극성이 적어야 함
4) 염색 후 공기, 햇빛, 샴푸 등에 의해 변색 퇴색이 적어야 함
1세대 염모제로 불리는 산제 염모제로부터 액제/액제, 크림/액제, 크림/크림, 크림/로션 등 다양한 염모제가 시중에 출시되어 있고 제형 안에 사용되는 유화제, 기제, 산화방지제, pH조정제, 계면활성제, 알칼리제 등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염모시 발색력과 모발 손상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384호에는 포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포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인한 다층 라멜라 (Multi-Lamella) 액정 구조의 형성에 의해 발색력을 높이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포스페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제형은 점도가 높아 사용시 불편하고 모발에 고루 도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발로의 물질전달(밀착력)의 능력이 떨어져 발색력이 저하될수 있다.
등록특허 KR 10-1108384 B1, 2012년 01월 13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염모제 제형 연구를 지속하던 중, 산화 염료를 안정하고 물질 전달이 용이하게 모발 큐티클 층을 통해 모피질(Cortex) 깊숙이 침투시켜 발색력을 강화하고 오래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칼리제 및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1제의 제형을 라멜라 액정구조 또는 바이콘티뉴어스마이크로 에멀젼상을 이루도록 하여 내용물들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침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색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에스테르류를 포함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고급 알코올은 직쇄 알코올 1종 이상과 분기쇄 알코올 1종 이상을 동시에 포함하도록 하며, 직쇄 알코올로는 탄소 수 12개~22개를 갖는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을 사용하며, 분기쇄 알코올로는 라놀린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고급지방산으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 에스테르류는 라멜라 액정 구조를 이루기 위한 주요 계면활성제로 작용하며 모노글리세린 유도체, 디글리세린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 부틸렌글리콜 유도체 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에스테르류는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부틸렌글리콜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함유량이 제1제 및 제2제 전량에 대해서 2.00w/w%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에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며 특히 10 이상의 친수성을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 구조를 이루는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염모력 개선과 유지력 강화, 모발 보호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고급알코올로 직쇄 알코올과 분기쇄 알코올을 함께 사용하며 직쇄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직쇄 알코올은 탄소 수가 적을수록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기쇄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고급지방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 에스테르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염모제 조성물에는 산화염색용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즉 산화염료, 알칼리화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제, 점증제, 향료 등의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쇄 알코올, 분기쇄 알코올, 고급지방산, 폴리올 에스테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라멜라(Lamella) 액정 구조의 염모제로서, 염색 효과를 높이고 탈색실험에서 더욱 오래 유지될 뿐만 아니라 모발 큐티클층의 관찰에서도 손상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 구조가 큐티클층의 유분 소실을 막아주고 안정적으로 산화 염료가 모발 속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산화 속도를 조절해주어 염모제의 기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킴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라멜라 액정 구조의 편광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염모력 평가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른 염모제 산화 정도 비교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른 염색 전후 모발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른 모발피스에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위 사진 : 실시예 1, 아래 사진 : 비교예 1).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험예]
1-1. 실험 조성물 제조
<제1제의 제조예>
하기 [표 1] <제1제의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다음과 같이 제1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유상으로 올레인산, 옥틸도데칸올, 라우릴알코올, 올레스-10, 세테스-25, 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를 칭량하여 80℃까지 가온 용해한다. 수상으로는 정제수, 디소듐이디티에이,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염료 등을 넣고 80℃까지 가온 용해한다. 이때,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예에 따라 성분을 달리한다. 유상과 수상이 용해되면 혼합, 유화한 후 50~55℃로 냉각하고 여기에 모노에탄올아민을 넣고 호모처리 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제1제 제조예(중량%)
1-1 1-2 1-3 1-4 1-5 1-6 1-7
올레인산 3.00 3.00 3.00 3.00 3.00 3.00
옥틸도데칸올 3.00 3.00 3.00 3.00 3.00 3.00
라우릴알코올 3.00 3.00 3.00 3.00 3.00 3.00
올레스-10 7.00 7.00 7.00 7.00 7.00 7.00
세테아레스-25 7.00 7.00 7.00 7.00 7.00 7.00
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20 0.20 0.20 0.20 0.20 0.20 0.20
아스코르빅애씨드 0.20 0.20 0.20 0.20 0.20 0.20 0.20
p-페닐렌디아민 0.60 0.60 0.60 0.60 0.60 0.60 0.60
p-아미노페놀 0.70 0.70 0.70 0.70 0.70 0.70 0.70
5-아미노-o-크레솔 0.04 0.04 0.04 0.04 0.04 0.04 0.04
2-메칠레소르시놀 0.12 0.12 0.12 0.12 0.12 0.12 0.12
               
모노에탄올아민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제2제는 기존 자사 산화제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1-2. 효력평가
[ 실험예 1] 염모력 평가
상기 각 제조예에 따른 제1제와 제2제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험용 goat털에 도포하고 통상적인 염모제 방치시간인 30분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샴푸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그리고 자연 건조한 모발을 색차계(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염색 전, 후 색차값을 측정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제조예 조성물의 염모력 측정>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고 색차값 (dE*ab)
1회 2회 3회 평균
제조예 1-1 55.32 55.21 54.97 55.17
제조예 1-2 52.35 49.72 52.59 51.55
제조예 1-3 53.01 53.66 53.69 53.45
제조예 1-4 53.04 53.50 52.04 52.86
제조예 1-5 54.03 54.15 54.70 54.29
제조예 1-6 52.51 51.85 51.73 52.03
제조예 1-7 51.08 49.93 51.97 50.99
이때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색차값이 클수록 발색력(염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회 실험결과에서 유사하게 결과가 나타났으며 폴리올 에스테르가 빠진 것이 착색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제조예 1-1의 고급지방산(올레인산), 고급알코올로서 직쇄 알코올, 분기쇄 알코올을 모두 포함(라우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올레스-10, 세테아레스-25), 폴리올 에스테르(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를 모두 함유한 경우가, 이 중에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제외한 경우에 비해 발색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염색 유지력평가 :샴푸액에 의한 탈색
상기 [실험예 1]에서 염색한 모발을 가지고 샴푸액에 의한 탈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염색된 모발은 샴푸, 자외선, 땀, 헤어케어제품 등 여러 가지 주위환경의 물리 화학적 자극에 의해 탈색이 된다. 이번 실험은 그중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샴푸에 의해 탈색되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액은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00그램
정제수 to 1,000그램
염색한 모발을 위 실험액 100ml에 침전시키고 50℃에서 24시간 방치한다. 실험액에서 모발을 꺼내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자연 건조시킨다. 자연 건조된 모발을 색차계를 이용하여 염색 전 백모와 탈색모의 색차값을 측정하여 모발의 염착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샴푸액에 의한 탈색 후 염모력 측정> 에 나타내었다.
비고 색차값 (dE*ab)
제조예 1-1 46.86
제조예 1-2 43.77
제조예 1-3 44.13
제조예 1-4 45.65
제조예 1-5 43.87
제조예 1-6 42.73
제조예 1-7 42.81
상기 실험값에서 색차값이 클수록 탈색 실험 후 진하게 염색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제조예 1-1이 탈색 후 가장 진하게 염색이 유지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직쇄알코올이 빠진 제조예 1-4, 분기쇄알코올이 빠진 제조예 1-3 순이였다.
상기 실험에서 제조예 1-1의 고급지방산(올레인산), 고급알코올로서 직쇄 알코올, 분기쇄 알코올을 모두 포함(라우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올레스-10, 세테아레스-25), 폴리올 에스테르(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를 모두 함유한 경우가, 이 중에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제외한 경우에 비해 샴푸액에 의한 내구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염색 유지력평가 : 땀 용액에 의한 탈색
상기 [실험예 1]에서 염색한 모발을 가지고 산성 땀액에 의한 탈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땀이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염색된 모발의 물이 잘 빠지게 되어 옷깃 등에 이염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땀 성분과 유사한 용액을 만들어 내구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액은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염화나트륨 10.0그램
락틱애씨드(85%) 1.0그램
인산수소이나트륨 1.0그램
히스티틴에이치씨엘 0.25그램
정제수 to 1,000그램
(락틱애씨드로 pH 3.2로 조정)
염색한 모발을 상기 실험액 100ml에 침전시키고 50℃에서 4시간 방치한다. 상기 실험액에서 모발을 꺼내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자연 건조시켰다. 자연 건조된 모발을 색차계를 이용하여 염색 전 백모와 탈색모의 색차값을 측정하여 모발의 염착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 <땀액에 의한 탈색 후 염모력 측정> 에 나타내었다.
비고 색차값 (dE*ab)
제조예 1-1 50.24
제조예 1-2 47.49
제조예 1-3 48.11
제조예 1-4 48.33
제조예 1-5 49.88
제조예 1-6 49.07
제조예 1-7 47.89
상기 실험값에서 색차값이 클수록 탈색 실험 후 진하게 염색이 유지됨을 의미한다.
상기 [실험예 3]의 샴푸액에 의한 탈색 실험과 마찬가지로 제조예 1-1이 탈색 후 염색이 가장 진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실험예]
2-1. 실험 조성물 제조
<제1제의 제조예>
하기 [표 5] <제1제의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다음과 같이 제1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제1제 제조예 (중량%)
비교예1 실시예1
올레인산 3.00 3.00
옥틸도데칸올 7.00 7.00
라우릴알코올 - 3.00
올레스-10 7.00 7.00
세테아레스-25 7.00 7.00
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 - 2.50
코카마이드 디이에이 7.00 -
스테아트리모늄 염화물 2.00 -
정제수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20 0.20
아스코르빅애씨드 0.20 0.20
p-페닐렌디아민 0.60 0.60
p-아미노페놀 0.70 0.70
5-아미노-o-크레솔 0.04 0.04
2-메칠레소르시놀 0.12 0.12
이소프로필알코올 8.00 -
모노에탄올아민 5.00 5.00
2-2. 비교 평가
[ 실험예 4] 염모제 산화 정도 비교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산화제와 1:1로 혼합한 후 혼합 직후, 5분, 10분, 20분, 30분 경과 상태를 비교하였다.
염모제가 혼합 직후 빠르게 산화되면 모발 속으로 침투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5~10분 이후로 서서히 변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산화 정도는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조정하지만 이 실험에서는 산화방지제의 양을 동일하게 하고 기제 베이스에 따라 산화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3]에 1제/2제 혼합 후 산화 정도를 비교한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혼합 직후~10분 사이에 산화 속도가 천천히 이루어짐으로 해서 염료들이 작은 분자 상태로 모발 큐티클 층 깊숙이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실험예 5] 모발손상 완화 효과
상기 [실험예 4]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각각 산화제와 1:1로 혼합하고 모발 피스에 각각 동일한 양의 염모제 혼합액을 도포하여 30분간 방치 후 미온수로 헹궈내고 건조시켰다.
인모 피스 20개로 반복 실험하여 결과를 산출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전자현미경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한 (비교예 1대비) 모발 손상 완화 효과 평가 결과 모발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Ra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비교예 대비 모발 손상 완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근 5cm 아래 부위의 (비교예 1 대비) 모발 손상 완화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모발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Ra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실시예 1에서 29.83%, 비교예 1에서 63.94%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6
상기 실험 데이터에서 실시예 1은 시험군으로 표시되었고 비교예 1은 대조군으로 표시되었다.
[실험예 6] 모발 컬러감 개선 및 샴푸잉 50회 후 모발 컬러 지속력
상기 [실험예 4]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각각 산화제와 1:1로 혼합하고 모발 피스에 각각 동일한 양의 염모제 혼합액을 도포하여 30분간 방치 후 미온수로 헹궈내고 건조시켰다.
인모 피스 20개로 반복 실험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 염색한 모발을 각각 샴푸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50회 반복하여 모발 컬러 지속력을 확인하였다.
ANTERA 3D를 이용한 실시예 1의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샴푸잉 50회 후의(비교예 1 대비) 모발 컬러감 개선 및 샴푸잉 50회 후 모발 컬러 지속력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7
Figure 112016129513765-pat00008
상기 실험 데이터에서 실시예 1은 시험군으로 표시되었고 비교예 1은 대조군으로 표시되었다.
ANTERA 3D를 이용하여 인모 피스 모근 5cm 아래 부위의 (비교예 1 대비) 모발 컬러감 개선 및 샴푸잉 50회 후 모발 컬러 지속력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염색 컬러 소실률이 1회 사용 직후와 비교하여 샴푸잉 50회 후 실시예 1에서 5.67%, 비교예 1에서 7.32%로 나타났다. 또한, 모발의 밝기를 나타내는 L*value가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실시예 1에서 73.90%, 비교예 1에서 71.70%, 샴푸잉 50회 후 실시예 1에서 69.26%, 비교예 1에서 65.70%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의 1회 사용 직후, 샴푸잉 50회 후 ΔL*valu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p〈.05) 실시예 1이 (비교예 1 대비) 모발 컬러감 개선 및 샴푸잉 50회 후 모발 컬러 지속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피스에 염색한 결과로서 위의 사진이 실시예 1이고 아래 사진이 비교예 1의 결과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하게 구현한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고급지방산으로는 올레인산, 고급알코올로는 옥틸도데칸올 및 라우릴알코올,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올레스-10 및 세테아레스-25, 폴리올 에스테르류로는 프로필렌글리콜라우레이트이고,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5-아미노-o-크레솔 및 2-메칠레소르시놀과 같은 산화 염료, 디소듐이디티에이, 아스코르빅애씨드 또는 그의 염류, 모노에탄올아민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제1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에스테르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2.0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KR1020160183343A 2016-12-30 2016-12-30 산화 염모제 조성물 KR10193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43A KR101932016B1 (ko) 2016-12-30 2016-12-30 산화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43A KR101932016B1 (ko) 2016-12-30 2016-12-30 산화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01A KR20180079501A (ko) 2018-07-11
KR101932016B1 true KR101932016B1 (ko) 2018-12-26

Family

ID=6291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43A KR101932016B1 (ko) 2016-12-30 2016-12-30 산화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19B1 (ko) * 2019-06-24 2020-04-14 주식회사 세화피앤씨 저자극의 중성 모발 염모제 조성물
US11701308B2 (en) * 2020-03-13 2023-07-18 Combe Incorporated Compositions for coloring hair including ultra-efficient high aqueous, multi-lamellar emulsi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0100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Oxidative hair treatment with silicone and bleach
US20140170223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Post oxidative hair treatment agent with silicone
US20140165303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Gentle hair color pretreatment with silicone and oily oxida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7911B2 (ja) * 2011-11-22 2013-10-30 株式会社 資生堂 酸化染毛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0100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Oxidative hair treatment with silicone and bleach
US20140170223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Post oxidative hair treatment agent with silicone
US20140165303A1 (en) 2012-12-19 2014-06-19 Henkel Ag & Co. Kgaa Gentle hair color pretreatment with silicone and oily oxid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01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35413T2 (de) Haarpflegeemulsion
EP0971689B1 (de) Wässrige pflegende haut- und haarbehandlungsmittel
EP1037591B1 (de) Kosmetische mittel enthaltend eine spezielle wirkstoffkombination
JP2007191475A (ja) 繊維処理剤組成物
KR101932016B1 (ko) 산화 염모제 조성물
RU2493814C1 (ru) Состав для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JP2004339179A (ja) 酸化染毛剤組成物、毛髪脱色剤組成物、酸化染毛剤セット
JP2007262001A (ja) 毛髪染毛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WO1991003230A1 (de) Egalisierende oxidationshaarfärbemittel
JP2000264822A (ja) 染毛剤組成物
JPH0463044B2 (ko)
EP3302415B1 (de) Mittel zum blondieren von haaren mit roter oder rot-blonder ausgangshaarfarbe
KR100884894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118048B2 (ko)
JP2021080201A (ja) 多剤式酸化染毛剤用の第1剤及び多剤式酸化染毛剤
US11701308B2 (en) Compositions for coloring hair including ultra-efficient high aqueous, multi-lamellar emulsi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RU2772277C2 (ru)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KR100844228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742709B1 (de) Wirkstoffkomplex für haarbehandlungsmittel
KR100844227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226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229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16724B1 (ko) 피피지키토산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JP2023178567A (ja) 酸性染毛料組成物
DE102015225461A1 (de) Modische Kupfernuancen in nichtionischer B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