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05B1 - 스테이터용 부재 - Google Patents

스테이터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005B1
KR101451005B1 KR1020130021230A KR20130021230A KR101451005B1 KR 101451005 B1 KR101451005 B1 KR 101451005B1 KR 1020130021230 A KR1020130021230 A KR 1020130021230A KR 20130021230 A KR20130021230 A KR 20130021230A KR 101451005 B1 KR101451005 B1 KR 10145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ions
core member
coil wir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890A (ko
Inventor
요시히코 혼다
히로아키 아리타
요이치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Abstract

(과제) 터미널 부재가 코어 부재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테이터 (60) 는, 각각에 코일선이 감겨진 복수 개의 코어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코어 부재 (90) 와, 코어 부재 (90) 의 일방의 단에 장착되는 터미널 부재 (70) 를 구비한다. 터미널 부재 (70) 는, U, V 및 W 상의 단자에 사용되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에 사용되는 코먼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터미널 부분과, 터미널 부분으로부터 코어 부재 (90)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코어 부재 (90) 의 일방의 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삽입홈 (98) 에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 개의 끼워 맞춤부 (84)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테이터용 부재 {ELEMENT FOR STATOR}
본 명세서에서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용 부재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에는, 스테이터 조립체를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스테이터 조립체는, 스테이터 본체와 터미널을 구비한다. 터미널은, 터미널의 복수 개의 오목부가, 스테이터의 터미널 장착부에 걸림으로써, 스테이터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54701 호
터미널의 오목부가, 단순히 스테이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걸리는 구성에서는, 오목부가 터미널 장착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면, 터미널은 스테이터 본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각 단자를 구성하는 터미널 부재가, 스테이터의 코어를 구성하는 코어 부재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용 부재이다. 스테이터용 부재는, 코어 부재와 터미널 부재를 구비한다. 코어 부재는, 각각에 코일선이 감겨진 복수 개의 코어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터미널 부재는, 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에 장착된다. 터미널 부재는, 터미널 부분과 끼워 맞춤 부분을 구비한다. 터미널 부분은, U, V 및 W 상의 단자에 사용되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에 사용되는 코먼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끼워 맞춤 부분은, 터미널 부분으로부터 코어 부재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에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이 구성에서는, 터미널 부재는, 복수 개의 끼워 맞춤 부분이 코어 부재의 오목부에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끼워 맞춤으로써, 코어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끼워 맞춤 부분은, 오목부에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에 의해 적절히 고정된다. 이 결과, 터미널 부재는, 코어 부재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는, 코어 부재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 은 연료 펌프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코어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의 중간 부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의 중간 부품을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7 은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의 중간 부품에 연결부를 성형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제 1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9 는 제 2 실시예의 스테이터용 부재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 은 제 2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 은 제 2 실시예의 코어 부재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 는 제 2 실시예의 코어 부재를 티스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 은 제 2 실시예의 스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4 는 제 3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 는 제 3 실시예의 터미널 부재의 중간 부품을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6 은 변형예의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나열하여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적인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특징 1)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의 각각은, 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터미널 부재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코일선의 접착 부분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를, 적절히 코일선에 접속할 수 있다.
(특징 2) 각 외부 단자부는, 기부와 커넥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기부는, 인접하는 외부 단자부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부는, 기부로부터 코어 부재와 반대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외부 전원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부는, 기부로부터 코어 부재와 반대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가 고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부보다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코어가 고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착부와 코일선과 접착할 때에, 커넥터부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접착부와 코일선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특징 3) 접착부는, 코일선의 접착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코일선의 접착 부분보다 코어 부재의 반대측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를 코어 부재에 설치할 때에, 코일선을 접착부의 간극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특징 4) 각 코어는, 터미널 부재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코일선의 접착 부분의 양 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를 코어 부재에 설치할 때에, 코일선의 접착 부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징 5) 각 코일선은, 당해 코일선이 감겨져 있는 코어의 터미널 부재측의 단으로부터 터미널 부재측으로 신장되어 있어도 된다. 터미널 부재는, 터미널 부재측의 단으로부터 신장되는 코일선이, 복수 개의 코어가 고리형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복수 개의 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비도전성의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선이, 코어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스테이터 본체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비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일선이,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도전성 재료의 부재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 모터의 하우징) 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6) 스테이터용 부재는, 전동 펌프에 설치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에 이용되어도 된다. 스테이터용 부재는,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지제의 외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외벽은, 전동 펌프로 승압된 유체를, 전동 펌프 밖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코어를 보호하는 구성과 토출구를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전동 펌프의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특징 7) 터미널 부재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를 연결하는 비도전성의 연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에 의해,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용 부재를 이용하여 스테이터를 제조할 때에, 연결부를 절단하지 않아도 된다.
(특징 8) 터미널 부재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연결부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어 있어도 된다. 연결부는, 코일선에 통전하기 전에 절단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를, 3 개의 외부 단자부 및 코먼 단자부와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터미널 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 (60) 는, 연료 펌프 (10) 에 사용된다. 연료 펌프 (10) 는, 연료 탱크 (도시 생략) 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엔진 (도시 생략) 에 연료 (예를 들어 가솔린 등) 를 공급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 (10) 는, 모터부 (50) 와 펌프부 (30) 를 구비한다. 모터부 (50) 와 펌프부 (30) 는, 하우징 (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2) 은, 양 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펌프부 (30) 는, 케이싱 (32) 과 임펠러 (34) 를 구비한다. 케이싱 (32) 은, 하우징 (2) 의 하단의 개구를 폐색한다. 케이싱 (32) 의 하단에는, 흡입구 (38)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32) 의 상단에는, 케이싱 (32) 내와 모터부 (50) 를 연통하는 연통공 (連通孔)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32) 내에는, 임펠러 (34) 가 수용되어 있다.
모터부 (50) 는, 펌프부 (30) 의 상방에 위치한다. 모터부 (50) 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모터부 (50) 는, 삼상 모터이다. 모터부 (50) 는, 로터 (54) 와 스테이터 (60) 를 구비한다. 로터 (54) 는, 영구 자석을 구비한다. 로터 (54) 의 중심에는, 샤프트 (52) 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 (52) 의 하단은, 임펠러 (34) 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관통하고 있다. 로터 (54) 는, 샤프트 (52) 의 양 단부에 배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 R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도 1 상태에서 상하를 규정한다. 즉, 모터부 (50) 에서 보아 펌프부 (30) 는 「아래」에 위치하고, 펌프부 (30) 에서 보아 모터부 (50) 는 「위」에 위치한다.
스테이터 (60) 는, 코어 부재 (90) 와 터미널 부재 (70) 와 외벽 (66) 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60) 는, 하우징 (2) 에 압입된다. 외벽 (66) 은, 코어 부재 (90) 의 표면 중, 하단면과, 상단면과, 로터 (54) 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주면을 덮는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외벽 (66) 은, 코어 부재 (90) 의 표면 중, 하단면 및 상단면을 덮고 있고, 로터 (54) 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주면을 덮지 않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외벽 (66) 은, 코어 부재 (90) 의 표면 중, 적어도 코어 부재 (90) 의 상하 단면을 덮는다. 또한 외벽 (66) 은, 터미널 부재 (70) 의 일부를 덮는다.
외벽 (66) 은, 하우징 (2) 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한다. 외벽 (66) 의 상단에는, 토출구 (11)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11) 는, 모터부 (50) 와 연료 펌프 (10) 이외의 연료 경로를 연통한다. 토출구 (11) 는, 펌프부 (30) 로 승압된 연료를, 연료 경로로 토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외벽 (66) 에서는, 코어 부재 (90) 를 덮는 부분과 토출구 (11) 가,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코어 부재 (90) 를 덮는 부분과 토출구 (11) 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부재 (90) 는, 터미널 부재 (70) 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코어 부재 (90) 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도 3 참조). 코어 부재 (90) 의 중심부에는, 로터 (54) 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 부재 (90) 는,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62) 와 절연재 (64) 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62) 는 적층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2) 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절연재 (64) 는,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62) 를 덮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62) 와 절연재 (64) 에 의해, 6 개 (복수 개) 의 코어 (90a ∼ 90f) 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 (90a, 90d) 가 U 상이고, 코어 (90b, 90c) 가 V 상이며, 코어 (90c, 90f) 가 W 상이다.
각 코어 (90a ∼ 90f) 는, 고리형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코어 (90a ∼ 90f) 는, 티스 (94) 와 코일선 (96) 을 구비한다. 또한, 도 3 에서는, 코어 (90b) 의 티스 (94) 와 코일선 (96) 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지만, 다른 코어 (90a ∼ 90f) 는, 코어 (90b) 와 마찬가지로, 티스 (94) 와 코일선 (96) 을 구비한다. 각 코어 (90a ∼ 90f) 의 티스 (94) 는, 로터 (54) 의 외주면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각 티스 (94) 는, 코어 부재 (90) 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 (즉 로터 (54) 측) 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각 티스 (94) 의 내주측의 단부는, 로터 (54) 의 외주면을 모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티스 (94) 의 내주측의 단부와 외주측의 단부의 중간 부분에는, 코일선 (96) 이 감겨져 있다. 또한, 코어 (90a, 90d) 의 티스 (94) 의 각각에 감겨지는 코일선 (96) 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 (90b, 90e) 의 코일선 (96) 과, 코어 (90c, 90f) 의 코일선 (96) 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코어 (90a ∼ 90f) 는, 1 쌍의 삽입홈 (98, 98) 과 1 쌍의 지지부 (99, 99) 를 구비한다. 1 쌍의 삽입홈 (98, 98) 과 1 쌍의 지지부 (99, 99) 는, 각 코어 (90a ∼ 90f) 의 절연재 (64)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코어 (90c) 의 삽입홈 (98) 과 지지부 (99) 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지만, 다른 코어 (90a ∼ 90f) 는, 코어 (90e) 와 마찬가지로, 1 쌍의 삽입홈 (98, 98) 과 1 쌍의 지지부 (99, 99) 를 구비한다. 1 쌍의 삽입홈 (98, 98) 은, 코어 부재 (90) 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삽입홈 (98) 은, 티스 (94) 보다 외주측으로서, 코어 (90a) 등의 상단부 (즉 터미널 부재 (70) 측의 단부) 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 (98) 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삽입홈 (98) 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한편, 하단은 폐색되어 있다. 1 쌍의 삽입홈 (98, 98) 의 일방의 삽입홈 (98) 은, 타방의 삽입홈 (98) 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일방의 삽입홈 (98) 의 저면은, 타방의 삽입홈 (98) 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지지부 (99, 99) 는, 코어 부재 (90) 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지지부 (99, 99) 의 간격은, 1 쌍의 삽입홈 (98, 98) 의 간격보다 크다. 지지부 (99) 는, 삽입홈 (98) 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지지부 (99) 는, 코어 (90a) 등의 상단부로서, 삽입홈 (98) 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각 코어 (90a) 등의 지지부 (99) 는, 당해 코어 (90a) 등에 감겨져 있는 코일선 (96) 의 단부를 협지한다. 즉, 1 쌍의 지지부 (99, 99) 사이에는, 코일선 (96) 이 가설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 (70) 는, 코어 부재 (90) 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 (70) 는, 터미널 부분 (71) 과, 복수 개 (6 개) 의 끼워 맞춤부 (84) 를 구비한다. 터미널 부분 (71) 은, 3 개의 외부 단자부 (72, 74, 76) 와, 코먼 단자부 (78) 를 구비한다. 3 개의 외부 단자부 (72, 74, 76) 와 코먼 단자부 (78) 는 일체로 제조되어 있다. 3 개의 외부 단자부 (72, 74, 76) 와 코먼 단자부 (78) 는, 고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외부 단자부 (72 ∼ 76) 는, 각 기부 (72c, 74c, 76c) (도 5 참조) 와, 각 커넥터부 (72b, 74b, 76b) 와, 각 접착부 (72a, 74a, 76a) 를 구비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기부 (72c ∼ 76c) 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커넥터부 (72b) 는, 기부 (72c) 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부 (72b) 는, 기부 (72c) 로부터 상방 (즉 코어 부재 (90) 와 반대 방향) 에 수직으로 신장되어 있다. 커넥터부 (74b) 와 기부 (74c) 의 구성, 및 커넥터부 (76b) 와 기부 (76c) 의 구성은, 커넥터부 (72b) 와 기부 (72c) 의 구성과 동일하다. 커넥터부 (72b ∼ 76b) 는, 삼상 교류 전원을 위한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된다. 즉, 외부 단자부 (72 ∼ 76) 는, 각각 U, V 및 W 상의 단자로서 사용된다. 커넥터부 (72b ∼ 76b) 는, 평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동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접착부 (72a) 는, 기부 (72c) 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 (72a) 는, 기부 (72c) 로부터 상방 (즉 코어 부재 (90) 와 반대 방향) 에 수직으로 신장되어 있다. 접속부 (74a) 와 기부 (74c) 의 구성, 및 접속부 (76a) 와 기부 (76c) 의 구성은, 접속부 (72a) 와 기부 (72c) 의 구성과 동일하다. 각 접착부 (72a ∼ 76a) 는, 커넥터부 (72b ∼ 76b) 보다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접착부 (72a ∼ 76a) 는, 그 상단부로부터, 외주측 또한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후크부 (86) (접착부 (72a) 에만 부호를 부여) 를 구비한다.
각 접착부 (72a ∼ 76a) 의 하방에는, 끼워 맞춤부 (84) (접착부 (72a) 의 하방에만 부호를 부여) 가 배치되어 있다. 접착부 (72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부 (84) 는, 기부 (72c) 로부터 하방 (즉 코어 부재 (90) 측) 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 (84) 는, 1 쌍의 삽입부 (84a, 84a) 를 구비한다. 1 쌍의 삽입부 (84a, 84a) 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부 (84a) 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진다. 이 결과, 끼워 맞춤부 (84) 의 폭은, 하방을 향해 작아진다. 또한, 끼워 맞춤부 (84) 의 최대의 폭은, 1 쌍의 삽입홈 (98) 의 저면간의 폭보다 크다. 접착부 (74a, 76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부 (84) 는, 접착부 (72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부 (84)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코먼 단자부 (78) 는, 코먼 단자로서 사용된다. 코먼 단자부 (78) 는, 기부 (78c) 와, 3 개의 접착부 (78a) 를 구비한다. 기부 (78c) 는, 3 개의 기부 (72c ∼ 76c) 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각 접착부 (78a) 는, 기부 (78c) 에 연결되어 있다. 각 접착부 (78a) 는, 기부 (78c) 로부터 상방 (즉 코어 부재 (90) 와 반대 방향) 에 수직으로 신장되어 있다. 각 접찹부 (78a) 는, 접착부 (72a ∼ 76a) 와 동일한 후크부 (86) (1 개의 접착부 (78a) 에만 부호를 부여) 를 구비한다.
접착부 (78a) 의 하방에는, 접착부 (72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부 (84) 와 동일한 끼워 맞춤부 (84) (1 개의 접착부 (78a) 의 하방에만 부호를 부여) 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 (84) 는, 기부 (78c) 로부터 하방 (즉 코어 부재 (90) 측) 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코어 부재 (90) 는, 6 세트의 접착부 (72a ∼ 78a) 와 끼워 맞춤부 (84) 를 구비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외부 단자부 (72 ∼ 76) 와 코먼 단자부 (78) 는, 연결부 (80)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연결부 (80) 는, 수지로 제조되어 있다. 연결부 (80) 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기부 (72c ∼ 78c)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 (80) 는, 커넥터부 (72b ∼ 76b) 의 하단부를 덮는다. 연결부 (80) 에는, 6 개의 수지제의 돌기부 (80a) (3 개의 돌기부 (80a) 에만 부호를 부여)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 (80a) 는, 수지 이외의 비도전성의 재료로 제조되어 있어도 된다. 각 돌기부 (80a) 는, 각 접착부 (72a ∼ 78a) 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기부 (80a) 는, 연결부 (80) 의 고리형 부분에서 외측 및 상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각 돌기부 (80a) 는, 연결부 (80) 의 고리형 부분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도 5,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외부 단자부 (72, 74, 76) 와 코먼 단자부 (78) 는, 1 장의 평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성형된다. 프레스 가공 후, 각 단자부 (72 ∼ 78) 는, 연결 대들보 (82) 에 의해, 고리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프레스 가공 후의 각 단자부 (72 ∼ 78) 를, 성형 몰드에 배치하여, 연결부 (80) 를 성형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80) 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연결 대들보 (82) 를 절단함으로써, 터미널 부재 (70) 가 제조된다. 연결 대들보 (82) 를 절단함으로써, 각 단자부 (72 ∼ 78) 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 (70) 는, 코어 부재 (90) 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착부 (72a) 와 그 하방의 끼워 맞춤부 (84) 는, 코어 (90a) 의 1 쌍의 삽입홈 (98) 사이에 위치하고, 접착부 (74a) 와 그 하방의 끼워 맞춤부 (84) 는, 코어 (90b) 의 1 쌍의 삽입홈 (98) 사이에 위치하고, 접착부 (76a) 와 그 하방의 끼워 맞춤부 (84) 는, 코어 (90c) 의 1 쌍의 삽입홈 (98) 사이에 위치한다. 또, 3 세트의 접착부 (78a) 와 끼워 맞춤부 (84) 의 각각은, 코어 (90d ∼ 90f) 의 3 세트의 삽입홈 (98) 의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다. 끼워 맞춤부 (84) 는, 1 쌍의 삽입홈 (98) 사이에 삽입된다. 끼워 맞춤부 (84) 의 최대 폭은, 1 쌍의 삽입홈 (98) 의 폭보다 크다. 이 때문에, 끼워 맞춤부 (84) 는, 삽입홈 (98) 에 삽입되면, 1 쌍의 삽입부 (84a, 84a) 가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 끼워 맞춤부 (84) 는, 1 쌍의 삽입홈 (98) 에 끼워 맞춰진다. 터미널 부재 (70) 는, 끼워 맞춤부 (84) 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1 쌍의 삽입홈 (98) 에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코어 부재 (90)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끼워 맞춤부 (84) 가 삽입홈 (98) 에 대해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터미널 부재 (70) 는, 코어 부재 (90) 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어 부재 (90) (즉 스테이터 (60) 의 스테이터 본체) 는, 터미널 부재 (70) (즉 스테이터 (60) 의 터미널) 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부 (72b ∼ 76b) 의 위치 및 코일선 (96) 과 접착부 (72a ∼ 78a) 의 용접 위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터미널 부재 (70) 의 끼워 맞춤부 (84) 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끼워 맞춤부 (84) 의 위치 정밀도는, 비교적 높다. 한편, 삽입홈 (98) 은, 절연재 (64) 를 수지 성형할 때에 형성된다. 또, 코어 부재 (90) 는, 직선상으로 나열되는 6 개의 코어를 원통 형상으로 나열하도록 변형시켜 제조된다. 이 때문에, 삽입홈 (98) 의 위치 정밀도는, 비교적 낮다. 이 결과, 1 개의 끼워 맞춤부 (84) 와 1 쌍의 삽입홈 (98, 98) 을 위치 맞춤하면, 다른 끼워 맞춤부 (84) 와 삽입홈 (98) 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터미널 부재 (70) 에서는, 끼워 맞춤부 (84)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끼워 맞춤부 (84) 와 삽입홈 (98) 의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 개의 끼워 맞춤부 (84) 의 각각을, 삽입홈 (98) 에 적절히 끼워 맞출 수 있다.
또, 끼워 맞춤부 (84) 는, 1 쌍의 삽입부 (84a, 84a)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끼워 맞춤부 (84) 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됨으로써, 끼워 맞춤부 (84) 와 삽입홈 (98) 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쉽다.
끼워 맞춤부 (84) 가 삽입홈 (98) 에 삽입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각 접착부 (72a ∼ 78a) 는, 1 쌍의 지지부 (99, 99) 간의 상방에 위치한다. 터미널 부재 (70) 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끼워 맞춤부 (84) 가 삽입홈 (98) 에 삽입되면, 1 쌍의 지지부 (99, 99) 에서 지지되어 있는 코일선 (96) 은, 각 접착부 (72a ∼ 78a) 의 후크부 (86) 에 의해, 각 접착부 (72a ∼ 78a) 에 협지된다. 이어서, 각 접착부 (72a ∼ 78a) 와 코일선 (96) 은, 용접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접착부 (72a ∼ 78a) 의 후크부 (86) 의 하단부는, 내주측으로 변형되어, 후크부 (86) 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접착부 (72a ∼ 78a) 에 맞닿는다. 이어서, 맞닿음면이 용접됨으로써, 각 접착부 (72a ∼ 78a) 와 코일선 (96) 이 접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단자부 (72 ~ 78) 와 코일선 (96) 을, 적절히 접착할 수 있다.
후크부 (86) 는, 접착부 (72a ∼ 78a) 의 상단부로부터 터미널 부재 (70) 의 외주 또한 하방을 향해 신장된다. 터미널 부재 (70) 가 코어 부재 (90) 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각 접착부 (72a ∼ 78a) 는, 코일선 (96) 의 접착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코일선 (96) 의 접착 부분보다 상방 (즉 코어 부재 (90) 의 반대측) 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 (70) 를 코어 부재 (90) 에 장착할 때에, 코일선 (96) 을 각 접착부 (72a ∼ 78a) 의 간극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코일선 (96) 의 접착 부분의 양 측은, 1 쌍의 지지부 (99, 99)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터미널 부재 (70) 를 코어 부재 (90) 에 장착할 때에, 코일선 (96) 의 접착 부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외부 단자부 (72 ∼ 76) 의 접착부 (72a ∼ 76a) 는, 커넥터부 (72b ∼ 76b) 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착부 (72a ∼ 76a) 와 코일선 (96) 과 용접할 때에, 커넥터부 (72b ∼ 76b) 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접찹부 (72a ∼ 76a) 와 코일선 (96) 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접착부 (72a ∼ 76a) 는, 코일선 (96) 이 감겨지는 티스 (94) 보다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시에 코일선 (96) 에 스퍼터가 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어 (90a ∼ 90f) 에 감겨진 코일선 (96) 은, 각 코어 (90a ∼ 90f) 의 상방 (즉 터미널 부재 (70) 측) 으로 신장되어 있다. 각 코어 (90a ∼ 90f) 의 상방으로 신장되는 코일선 (96) 의 연신 부분은, 1 쌍의 지지부 (99, 99) 에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지지부 (99, 99) 에 지지된 코일선 (96) 의 연신 부분은, 코어 부재 (90) 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연결부 (80) 의 각 돌기부 (80a) 는, 코일선 (96) 의 만곡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 (80a) 는, 코일선 (96) 의 만곡 부분의 형상을 따라 굴곡되어 있다.
터미널 부재 (70) 가 코어 부재 (90) 에 장착되면, 복수 개의 코어 (90a ∼ 90f) 를 보호하는 외벽 (66) 을 성형한다. 구체적으로는, 터미널 부재 (70) 와 코어 부재 (90) 를 성형 몰드에 배치하여, 외벽 (66) 을 수지로 성형한다. 외벽 (66) 의 성형시에, 코일선 (96) 의 만곡 부분은, 성형 몰드 내에 흐르는 수지에 의해, 코어 부재 (90) 의 외주측으로 가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코일선 (96) 은, 돌기부 (80a) 에 의해, 코어 부재 (90) 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비져나오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코일선 (96) 이, 하우징 (2) (도전성) 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돌기부 (80a) 는, 터미널 부재 (70)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 (80a) 에 의해, 성형 몰드 내의 수지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외벽 (66) 의 성형시에, 토출구 (11) 가 성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코어 (90a ∼ 90f) 를 보호하는 외벽 (66) 과 토출구 (11) 를,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연료 펌프 (10) 의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대응 관계)
스테이터 (60) 가 「스테이터용 부재」의 일례이다. 6 쌍의 삽입홈 (98) 이 「복수 개의 오목부」의 일례이다. 돌기부 (80a) 가 「규제부」의 일례이다.
(제 2 실시예)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용 부재 (160) 는, 터미널 부재 (170) 와 코어 부재 (190) 를 구비한다. 코어 부재 (190) 는,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복수 개의 코어 (90a ∼ 90f) 와 동일하다. 즉,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어 (190a ∼ 190f) 는, 각 코어 (90a ∼ 90f) 와 마찬가지로, 티스 (194) 와, 코일선 (196) 과, 1 쌍의 삽입홈 (198, 198) 과, 1 쌍의 지지부 (199, 199) 를 구비한다 (코어 (190c) 에만 부호를 부여).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는,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는, 인접하는 코어끼리가 연결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는,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16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 (170) 는, 외부 단자부 (172, 174, 176) 와 코먼 단자부 (178) 를 구비한다. 상방에서 보았을 때, 각 단자부 (172 ∼ 178) 는,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단자부 (172 ∼ 176) 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외부 단자부 (72 ∼ 76) 와 동일하다. 외부 단자부 (172 ∼ 176) 는, 외부 단자부 (72 ∼ 76) 와 마찬가지로, 끼워 맞춤부 (184) 와, 접착부 (172a ∼ 176a) 와, 커넥터부 (172b ∼ 176b) 와, 기부 (172c ∼ 176c) 를 구비한다.
외부 단자부 (174) 는, 연결부 (180) 에 의해, 외부 단자부 (172, 176) 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180) 는, 외부 단자부 (172) 등과 동일한 재료, 즉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금속) 로 제조되어 있다. 연결부 (180) 는, 터미널 부재 (170) 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때에 성형된다. 연결부 (180) 의 중간부에는, 절단부 (180a) 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 (180a) 의 판 두께는, 연결부 (180) 의 다른 부분의 판 두께보다 얇다. 즉, 절단부 (180a) 는, 연결부 (180) 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다. 또, 외부 단자부 (176) 는, 연결부 (180) 에 의해, 코먼 단자부 (178) 에 연결되어 있다.
코먼 단자부 (178) 는, 3 개의 접착부 (178a) 와 3 개의 기부 (178c) 와 3 개의 끼워 맞춤부 (184) 를 구비한다. 접착부 (178a) 와 끼워 맞춤부 (184) 는, 각각 제 1 실시예의 접착부 (78a) 와 끼워 맞춤부 (84)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0 에서는, 1 개의 접찹부 (178a) 에 대하여, 끼워 맞춤부 (184) 와 후크부 (186) 에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3 개의 기부 (178c) 는, 3 개의 기부 (172c ∼ 176c) 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각 접착부 (178a) 는, 각 기부 (178c) 에 연결되어 있다. 각 기부 (178c) 는, 연결부 (181) 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기부 (178c) 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181) 는, 코먼 단자부 (178) 등과 동일한 재료, 즉 도전성의 금속으로 제조되어 있다. 연결부 (181) 는, 터미널 부재 (170) 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때에 성형된다. 연결부 (181) 의 중간부에는, 변형부 (181a) 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부 (181a) 의 판 두께는, 연결부 (181) 의 다른 부분의 판 두께보다 얇다. 즉, 변형부 (181a) 는, 연결부 (181) 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용 부재 (160) 는, 고리형으로 변형된다. 또한, 절단부 (180a) 가 절단됨으로써, 스테이터 (161) 가 제조된다. 코어 부재 (190) 에서는,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 (162) 가 변형됨으로써, 복수 개의 코어 (190a ∼ 190f) 가 고리형으로 배치된다. 또, 터미널 부재 (170) 에서는, 연결부 (180) 의 절단부 (180a) 와 연결부 (181) 의 변형부 (181a) 가 변형됨으로써, 외부 단자부 (172 ∼ 176) 와 3 개의 코먼 단자부 (178) 가 고리형으로 배치된다. 절단부 (180a) 와 변형부 (181a) 는, 연결부 (180, 181) 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다. 이 때문에, 절단부 (180a) 와 변형부 (181a) 가 변형될 때에, 연결부 (180, 181) 의 다른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코어 부재 (190) 는,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코어 부재 (190) 의 삽입홈 (198) 의 위치 정밀도는, 고리형의 코어 부재의 삽입홈의 위치 정밀도와 비교하여 높다. 이 때문에, 1 개의 끼워 맞춤부 (184) 와 1 쌍의 삽입홈 (198, 198) 을 위치 맞춤하면, 다른 끼워 맞춤부 (184) 와 삽입홈 (198) 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끼워 맞춤부 (184) 와 삽입홈 (198) 의 위치를 맞추기 쉽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터미널 부재 (170) 는, 끼워 맞춤부 (184) 가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1 쌍의 삽입홈 (198) 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코어 부재 (190) 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 (170) 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161) 를 제조하는 경우에, 터미널 부재 (170) (즉 스테이터 (161) 의 터미널) 는, 코어 부재 (190) (즉 스테이터 (161) 의 코어) 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터미널 부재 (170) 를 코어 부재 (190) 에 장착할 때에, 코일선 (196) 을 각 접착부 (172a ∼ 178a) 의 간극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1 쌍의 지지부 (199, 199) 에 의해, 코일선 (196) 의 접착 부분은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터미널 부재 (170) 를 코어 부재 (190) 에 장착할 때에, 코일선 (196) 의 접착 부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터미널 부재 (170) 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부재 (17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터미널 부재 (170) 와 코어 부재 (190) 를 개별적으로 고리형으로 형성한 다음에, 터미널 부재 (170) 에 코어 부재 (190) 를 장착해도 된다. 그리고, 절단부 (180a) 를 절단해도 된다.
(제 3 실시예)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 (270) 의 구성이, 터미널 부재 (170) 의 구성과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터미널 부재 (270) 는, 외부 단자부 (272, 274, 276) 와, 코먼 단자부 (278) 와, 연결부 (280) 를 구비한다. 코먼 단자부 (278) 는, 코먼 단자부 (178)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각 외부 단자부 (272, 274, 276) 는, 외부 단자부 (172, 174, 176)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외부 단자부 (274) 는, 연결부 (280) 에 의해, 외부 단자부 (272, 276) 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280) 는, 수지제이다. 또한, 연결부 (280) 는, 고무 등의 비도전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연결부 (280) 의 중간부에는, 변형부 (280a) 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부 (280a) 의 판 두께는, 연결부 (280) 의 다른 부분의 판 두께보다 얇다. 즉, 변형부 (280a) 는, 연결부 (280) 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다.
터미널 부재 (270) 는, 도 15 의 부품 (300) 으로부터 제조된다. 부품 (300) 에서는, 외부 단자부 (272, 274, 276) 와 코먼 단자부 (278) 가, 절락부 (28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부품 (300) 을 성형한다. 이어서, 부품 (300) 을 수지 성형 몰드에 배치하여, 연결부 (280) 를 성형한다. 그리고, 1 개의 연결부 (280) 사이에 위치하는 절락부 (283) 가 절단됨으로써, 터미널 부재 (270) 가 제조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연결부 (280) 는 수지제이기 때문에, 각 단자부 (272 ∼ 278) 는, 절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용 부재를 이용하여 스테이터를 제조할 때에, 연결부 (280) 를 절단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으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터미널 부재 (70) 등은, 6 개의 코어 (90a) 등에 대응하는 6 개의 끼워 맞춤부 (84) 등을 구비한다. 그러나, 터미널 부재 (70) 등은, 적어도 2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 개 이상의 끼워 맞춤부 (84)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코어 부재 (90) 등은, 끼워 맞춤부 (84)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1 쌍의 삽입홈 (98)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2)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춤부 (84) 등은, 1 쌍의 삽입홈 (98) 등 사이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러나, 코어 부재 (90) 등은, 1 쌍의 삽입홈 (98) 등 대신에, 끼워 맞춤부 (84) 가 끼워 맞추는 삽입공 (揷入孔)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삽입공이 「오목부」의 일례이다.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춤부 (84) 등은, 1 쌍의 삽입부 (84a, 84a) 를 구비한다. 그러나, 끼워 맞춤부 (84) 등은, 1 개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 개 이상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끼워 맞춤부 (84) 는, 코어 부재 (90) 등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4) 코일선 (96) 의 단부가, 코어 부재 (90) 의 외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의 구성은, 상기 돌기부 (80a) 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80a) 대신에, 돌기부 (180a)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돌기부 (180a) 는, 연결부 (80) 의 고리형 부분으로부터 코어 부재 (90) 의 외주를 향해 신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 (180a) 는, 지지부 (99) 에 지지된 코일선 (96) 의 연신 부분보다, 코어 부재 (90) 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각 실시예로 제조되는 스테이터 (60), 스테이터용 부재 (160) 는, 연료 펌프 (10) 의 모터부 (50) 이외에, 냉각수 펌프 등의 전동 펌프나, 다른 장치에 설치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지,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그 중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연료 펌프
11:토출구
30:펌프부
50:모터부
60:스테이터
66:외벽
70:터미널 부재
72, 74, 76:외부 단자부
72a, 74a, 76a, 78a:접착부
72b, 74b, 76b:커넥터부
72c, 74c, 76c, 78c:기부
78:코먼 단자부
80:연결부
80a:돌기부
84:끼워 맞춤부
86:후크부
90:코어 부재
90a ∼ 90f:코어
96:코일선
98:삽입홈
99:지지부

Claims (9)

  1.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용 부재로서,
    각각에 코일선이 감겨진 복수 개의 코어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코어 부재와,
    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에 장착되는 터미널 부재를 구비하고,
    터미널 부재는,
    U, V 및 W 상의 단자에 사용되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에 사용되는 코먼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터미널 부분과,
    터미널 부분으로부터 코어 부재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에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끼워 맞춰지는 복수 개의 끼워 맞춤 부분을 구비하고,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의 각각은,코어 부재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터미널 부재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코일선의 접착 부분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외부 단자부는,
    인접하는 외부 단자부에 연결되는 기부와,
    기부로부터 코어 부재와 반대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외부 전원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접착부는, 기부로부터 코어 부재와 반대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가 고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부보다 외주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용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접착부는,
    코일선의 접착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코일선의 접착 부분보다 코어 부재의 반대측에서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터용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코어는, 터미널 부재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코일선의 접착 부분의 양 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 코일선은, 당해 코일선이 감겨져 있는 코어의 터미널 부재측의 단으로부터 터미널 부재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터미널 부재는, 터미널 부재측의 단으로부터 신장되는 코일선이, 복수 개의 코어가 고리형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복수 개의 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비도전성의 규제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스테이터용 부재는,
    전동 펌프에 설치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스테이터에 사용되고,
    터미널 부재와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지제의 외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외벽은, 전동 펌프로 승압된 유체를, 전동 펌프 밖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터미널 부재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를 연결하는 비도전성의 연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터미널 부재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연결부는,
    3 개의 외부 단자부와 코먼 단자부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코일선에 통전하기 전에 절단되는 절단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용 부재.
KR1020130021230A 2012-06-19 2013-02-27 스테이터용 부재 KR101451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7641 2012-06-19
JP2012137641A JP5889728B2 (ja) 2012-06-19 2012-06-19 ステータ用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90A KR20130142890A (ko) 2013-12-30
KR101451005B1 true KR101451005B1 (ko) 2014-10-17

Family

ID=4966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30A KR101451005B1 (ko) 2012-06-19 2013-02-27 스테이터용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85571B2 (ko)
JP (1) JP5889728B2 (ko)
KR (1) KR101451005B1 (ko)
CN (1) CN103516065B (ko)
DE (1) DE10201300995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120A1 (ja) * 2011-03-09 2012-09-13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組成物及び有害生物の防除方法
JP6125385B2 (ja) 2013-09-17 2017-05-10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用端子
JP6239393B2 (ja) * 2014-01-27 2017-11-29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
EP3176912B1 (en) * 2014-07-31 2019-02-27 Top Co., Ltd. Stator and rotating machine
JP6339041B2 (ja) * 2015-03-23 2018-06-06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用固定子、モータ、及びモータ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3200359U (ja) * 2015-07-29 2015-10-15 正峰新能源股▲ふん▼有限公司 モーター固定子構造
DE102016213710A1 (de) * 2016-07-26 2018-02-01 Robert Bosch Gmbh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102016121119A1 (de) * 2016-11-04 2018-05-09 Nidec Corporation Sammelschieneneinheit für einen Elektromotor
DE102016226264A1 (de) * 2016-12-28 2018-06-28 Robert Bosch Gmbh Sta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S10312770B2 (en) * 2017-02-25 2019-06-04 Applied Motion Products, Inc. Motor with integrated connector enclosure
DE102017208353A1 (de) * 2017-05-18 2018-11-22 Robert Bosch Gmbh Kontaktierung von Wickeldraht
EP3410577A1 (de) * 2017-06-02 2018-12-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ungsdurchführung
KR102241110B1 (ko) * 2019-12-05 2021-04-19 주식회사 코아비스 모터 및 이를 포함한 전동식 펌프
EP4037150A3 (en) 2021-02-02 2022-09-14 Black & Decker, Inc. Compact brushless motor including in-line terminals
DE102022109648A1 (de) 2022-04-21 2023-10-26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Elektromotor und elektrische Pum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701A (ja) * 2008-12-26 2010-07-08 Showa Corp 回転電機用ターミナル
JP2011030328A (ja) * 2009-07-23 2011-02-10 Aisan Industry Co Ltd 回転電動機の固定子及び燃料ポンプ
US20110080072A1 (en) * 2009-10-01 2011-04-07 Stroebel Othmar Stator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oto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954A (ja) * 1982-09-10 1984-03-17 Honda Motor Co Ltd フライホイール式磁石発電機の製造方法
JPS59189455U (ja) * 1983-06-01 1984-12-15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S6392239A (ja) * 1986-10-06 1988-04-22 Nippon Denso Co Ltd 発電機における端子接続機構
JP2001103700A (ja) 1999-09-30 2001-04-13 Toyota Motor Corp 電動機のステーター
JP4108257B2 (ja) * 2000-07-24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発電機
US6856055B2 (en) * 2002-07-11 2005-02-15 Emerson Electric Co. Interconnecting ring and wire guide
JP4350972B2 (ja) * 2003-05-08 2009-10-28 ヤマハモーター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機子
DE50313509D1 (de) * 2003-10-22 2011-04-14 Brose Fahrzeugteile Verschaltungseinheit für einen Stator eines Elektromotors
JP4496010B2 (ja) * 2004-05-20 2010-07-07 株式会社東芝 モータ
JP4483480B2 (ja) 2004-08-27 2010-06-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固定子及びモータ
JP2007318885A (ja) 2006-05-25 2007-12-06 Mabuchi Motor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8167604A (ja) 2006-12-28 2008-07-17 Ichinomiya Denki:Kk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ルド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
WO2009060600A1 (ja) 2007-11-09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00124A1 (de) 2008-01-22 2009-07-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Kompressor, insbesondere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r Kompressor
JP5417721B2 (ja) 2008-03-13 2014-02-19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WO2009139067A1 (ja) * 2008-05-16 2009-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0130803A (ja) * 2008-11-28 2010-06-10 Jtekt Corp 多相交流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78436A (ja) 2009-01-27 2010-08-12 Nippon Densan Corp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及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83660A (ja) * 2009-02-03 2010-08-19 Ichinomiya Denki:Kk ステ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0200575A (ja) * 2009-02-27 2010-09-09 Denso Corp 電動モータ
IT1397784B1 (it) 2010-01-15 2013-01-24 Gate Srl Collettore per lo statore di un motore brushless in corrente continua a magneti permanenti
JP5740930B2 (ja)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5740931B2 (ja)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分割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2012031808A (ja) 2010-08-02 2012-02-16 Denso Corp 燃料ポンプ
JP5672984B2 (ja) * 2010-11-04 2015-02-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US8816550B2 (en) 2010-11-05 2014-08-26 Lg Innotek Co., Ltd. Bus bar and EPS mo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701A (ja) * 2008-12-26 2010-07-08 Showa Corp 回転電機用ターミナル
JP2011030328A (ja) * 2009-07-23 2011-02-10 Aisan Industry Co Ltd 回転電動機の固定子及び燃料ポンプ
US20110080072A1 (en) * 2009-10-01 2011-04-07 Stroebel Othmar Stator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5571B2 (en) 2016-07-05
US20130336817A1 (en) 2013-12-19
JP2014003809A (ja) 2014-01-09
CN103516065A (zh) 2014-01-15
JP5889728B2 (ja) 2016-03-22
DE102013009954B4 (de) 2018-08-16
CN103516065B (zh) 2016-12-28
DE102013009954A1 (de) 2013-12-19
KR20130142890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005B1 (ko) 스테이터용 부재
JP5801216B2 (ja) モータ及び電動ポンプ
JP6239393B2 (ja) 燃料ポンプ
JP6125385B2 (ja) ステータ用端子
US20180245597A1 (en) Electric fluid pump
JP2018502547A (ja) 電子式自動車用補助アセンブリ
US20150167694A1 (en) Pump fixing structure and pump
JP5896333B2 (ja) モータ
JP2014150686A (ja) ステータ及び電動ポンプ
JP5902061B2 (ja) 燃料ポンプ
JP2014093807A (ja) ステータ用端子
JP2017025854A (ja) ポンプ装置
CN110242582B (zh) 泵装置
CN110402529B (zh) 电机
CN111810413B (zh) 泵装置
US11936275B2 (en) Pump unit comprising a connector with sintered filter for pressure compensation
JP2014057446A (ja) 燃料ポンプ
CN110036703B (zh) 保护带,电子功率模块和由这种电子功率模块操控的电动增压器
EP4063656A1 (en) Pump
CN114696506B (zh) 电动机及泵装置
EP4063655A1 (en) Pump
CN114320937B (zh) 泵装置
JP2021114860A (ja) 燃料ポンプ
US20220412351A1 (en) Pump
CN108768002B (zh) 塑封定子和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