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3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37B1
KR101450737B1 KR1020137018096A KR20137018096A KR101450737B1 KR 101450737 B1 KR101450737 B1 KR 101450737B1 KR 1020137018096 A KR1020137018096 A KR 1020137018096A KR 20137018096 A KR20137018096 A KR 20137018096A KR 101450737 B1 KR101450737 B1 KR 10145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ontact
substrat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367A (ko
Inventor
다카시 세키네
겐이치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0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deformation of parts or snap action mountings, e.g. usin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단자를 납땜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기판에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단자(13)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3)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컨택트부(13b)와 LED 기판(3)을 도통하는 동시에, 각 걸림부재(14)의 걸림부(14c)를 부착기판(4)의 하면에 걺으로써, 단자(13)의 컨택트부(13b)를 LED 기판(3)의 상면에 압접한 상태로 홀딩하도록 했으므로, 단자(13)를 LED 기판(3)에 납땜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커넥터(10)의 부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LED를 이용한 전구형 램프의 기판에 부착되어 전원용 케이블과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를 이용한 전구형 램프로는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LED를 실장한 기판과, 기판을 덮는 구면형상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커버를 통하여 기판 상의 LED의 빛을 외부로 조사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전구형 램프에서는 종래의 전구와 같이, 본체부에 조명기구의 소켓에 나사 결합하는 꼭지쇠(口金)가 설치되고, 꼭지쇠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통하여 외부의 전력을 LED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기판에는 배선용 케이블과 기판의 도전 패턴을 접속하는 커넥터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전구형 램프에 이용되는 커넥터로는 기판에 설치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홀딩된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의 일단측을 기판의 LED 실장면에 접속하는 동시에, 단자의 타단측에 케이블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개 2010-33959호 공보 일본국 의장등록 제138552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본체를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단자의 일단측을 납땜에 의해 기판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부착시에 단자의 납땜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커넥터의 부착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단자를 납땜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기판에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판 형상의 부착 대상물에 설치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홀딩된 단자를 구비하고, 단자를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접속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맞닿음으로써 부착 대상물과 도통하는 컨택트부와,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고,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림으로써 단자의 컨택트부를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압접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부가 설치된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걸림부재는 컨택트부부터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부착 대상물의 두께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컨택트부와 걸림부에 의해 부착 대상물을 끼워둠(挾持)으로써 커넥터 본체가 부착 대상물에 홀딩되고, 커넥터 본체는 컨택트부부터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걸림부재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컨택트부가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맞닿음으로써, 컨택트부와 부착 대상물이 도통하는 동시에, 걸림부가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림으로써, 단자의 컨택트부가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압접한 상태로 홀딩되기 때문에, 단자를 부착 대상물에 납땜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또, 걸림부재를 컨택트부부터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다른, 다른 종류의 걸림부재로 바꿈으로써, 두께 치수가 다른, 다른 부착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다. 범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를 기판에 납땜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부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두께 치수가 다른, 다른 부착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상면측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하면측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정면도.
도 4는 커넥터의 배면도.
도 5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커넥터의 저면도.
도 7은 커넥터의 측면도.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있어서의 C-C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11은 단자의 사시도.
도 12는 단자의 정면도.
도 13은 단자의 주요부 정면도.
도 14는 케이블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자의 주요부 정면도.
도 15는 커넥터의 상면측 분해 사시도.
도 16은 LED 기판 및 부착기판의 부분 사시도.
도 17은 LED 기판 및 부착기판의 부분 평면도.
도 18은 커넥터의 부착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9는 커넥터의 부착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0은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1은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2는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LED 기판 및 부착기판의 부분 사시도.
도 23은 전구형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25는 커넥터의 부착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6은 커넥터의 부착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7은 커넥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8은 걸림부의 변위 상태를 나타내는 걸림부재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LED를 이용한 전구형 램프의 기판에 부착되고, 접속 대상물로서의 전원용 케이블과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전구형 램프(1)는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본체부(2)와, 상면에 LED를 실장한 LED 기판(3)과, 상면에 LED 기판(3)이 부착된 부착기판(4)과,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의 위쪽을 덮는 구면형상의 커버(5)로 이루어지며, 커버(5)를 통하여 LED의 빛을 외부로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은 판 형상의 부착 대상물을 이룬다.
본체부(2)는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는 조명기구의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하는 꼭지쇠(2a)가 설치되어 있다. 꼭지쇠(2a)는 케이블(6)을 통하여 LED 기판(3)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의 전력이 꼭지쇠(2a)로부터 LED 기판(3)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LED 기판(3)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착기판(4)의 상면에 중첩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LED 기판(3)에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LED(3a)가 실장된다. 또한, 도 16, 도 17 및 도 22에서는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의 일부만을 나타낸다.
부착기판(4)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2)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기판(4)에는 케이블(6)과 LED 기판(3)을 접속하는 커넥터(10)가 부착되고, 커넥터(10)는 부착기판(4)에 설치된 부착구멍(4a)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구멍(4a)은 LED 기판(3)의 양단측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며, 그 폭 방향 한쪽의 내측면이 LED 기판(3)의 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구멍(4a)의 폭 방향 다른쪽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10)의 일부가 걸어 맞춰지는 오목부(4b)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0)는 부착기판(4)의 부착구멍(4a)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1)와,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을 덮는 상면 커버(12)와, 커넥터 본체(11)에 홀딩된 전기 접속용 단자(13)와, 커넥터 본체(11)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재(14)를 구비하고, 단자(13)의 일단측을 LED 기판(3)의 상면(두께 방향 한쪽 면)에 도통시키는 동시에, 단자(13)의 타단측에 케이블(6)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1)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에 비해 작은 세로로 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측에는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연장 돌출부(11a)가 설치되고, 연장 돌출부(11a)의 폭 방향 일단쪽에는 단자(13)의 일단측을 삽입 통과하는 노치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1) 내에는 단자(13)를 수납하는 단자 수납부(11c)가 설치되고,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은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에 개구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11)의 하면의 폭 방향 타단쪽에는 케이블(6)이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구(11d)가 설치되고, 삽입구(11d)는 단자 수납부(11c) 내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 커넥터 본체(11) 내의 폭 방향 양측에는 각 걸림부재(14)를 홀딩하는 홀딩구멍(11e)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홀딩구멍(11e)은 커넥터 본체(11)의 전면(前面)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하고 있고, 그 개구부는 연장 돌출부(11a)를 제외한 커넥터 본체(1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1)의 배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1f)가 돌출 설치되고, 리브(11f)는 커넥터 본체(11)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상면 커버(12)는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넥터 본체(11)에 후방으로부터 장착함으로써,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측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면 커버(12)의 폭 방향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a)가 각각 설치되고, 각 플랜지부(12a)는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 개구부의 후단측에 설치한 폭 방향 한 쌍의 걸림부(11g)에 아래쪽으로부터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상면 커버(12)의 전단(前端)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b)가 설치되고, 돌출부(12b)는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 개구부의 전단측에 설치한 구멍(11h)에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단자(13)는 접어 구부림 가공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1)의 단자 수납부(11c) 내에,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수납되어 있다. 단자(13)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편부(13a)와, 고정편부(13a)의 폭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컨택트부(13b)와, 고정편부(13a)의 폭 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케이블 접속부(13c)로 이루어진다.
고정편부(13a)는 폭 방향 양단을 단자 수납부(11c)의 내면에 압접함으로써 단자 수납부(11c)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컨택트부(13b)는 고정편부(13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위쪽을 향해 굴곡하고, 더욱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부(13b)는 상하 방향(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LED 기판(3)에 맞닿는 접촉부(13d)가 아래쪽을 향해 굴곡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13c)는 고정편부(13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그 폭 방향 양측에는 케이블(6)의 도선(6a)을 끼워두는 폭 방향 한 쌍의 제 1 및 제 2 접촉편(13e, 13f)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편(13e, 13f)은 고정편부(13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13g)(단자 본체의 소정 부분)의 폭 방향 양측을 전방으로 구부려 세움으로써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선단측이 서로 접근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접촉편(13e, 13f)의 선단측은 케이블 접속부(13c)의 폭 방향(각 접촉편(13e, 13f)의 대향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편(13e)의 선단 모서리부에는 케이블(6)의 도선(6a)에 박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3e-1)가 설치되고, 제 1 접촉부(13e-1)는 단면 대략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부로 이루어진다. 제 2 접촉편(13f)의 선단에는 케이블(6)의 도선(6a)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면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3f-1)가 설치되고, 제 2 접촉부(13f-1)는 제 2 접촉편(13f)의 선단 모서리부를 곡면형상으로 모따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13f-1, 13e-1)는 서로 케이블 접속부(13c)의 폭 방향(케이블(6)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걸림부재(14)는 블랭킹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걸림부재(14)는 홀딩구멍(11e) 내의 상단부터 하단에 걸쳐 연장되는 고정편부(14a)와, 고정편부(14a)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탄성편부(14b)와, 탄성편부(14b)의 선단에 설치된 걸림부(14c)로 이루어지고, 걸림부(14c)는 부착기판(4)의 하면(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고정편부(14a)는 상단측의 전후 양단과 하단측의 전후 양단을 각각 홀딩구멍(11e)의 내면에 압접함으로써 홀딩구멍(11e)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편부(14b)는 고정편부(14a)의 전방을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하는 동시에, 그 전방을 위쪽을 향하여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4c)는 탄성편부(14b)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홀딩구멍(11e)의 개구부로부터 커넥터 본체(11)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걸림부(14c)의 상단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10)를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1)를 부착기판(4)의 부착구멍(4a)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때, 커넥터 본체(11)의 리브(11f)가 부착구멍(4a)의 오목부(4b)에 걸어 맞춰진다. 또, 커넥터 본체(11)를 삽입할 때, 각 걸림부재(14)의 걸림부(14c)가 LED 기판(3)의 위쪽 둘레(上緣)에 맞닿으면, 걸림부(14c)의 하단측의 경사에 의해 탄성편부(14b)가 후방으로 탄성변형하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4c)가 부착구멍(4a)의 내면에 접하면서 홀딩구멍(11e) 내의 후방을 향하여 변위한다. 이후, 걸림부(14c)가 부착구멍(4a)의 내면을 넘어가면, 탄성편부(14b)가 복원하여 걸림부(14c)가 전방으로 변위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4c)가 부착기판(4)의 하면에 걸린다. 또, 상기 삽입시, 단자(13)의 컨택트부(13b)의 접촉부(13d)가 LED 기판(3)의 상면에 맞닿는 동시에, 컨택트부(13b)가 위쪽으로 탄성변형하고, 접촉부(13d)가 컨택트부(13b)의 복원력에 의해 LED 기판(3)에 압접한다. 이에 따라,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3)의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과 도통하고, 단자(13)가 LED 기판(3)에 접속된다. 그때, 탄성변형 전의 컨택트부(13b)의 접촉부(13d)로부터 걸림부(14c)까지의 상하 방향의 간격(H1)은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의 두께(t1)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4c)가 부착기판(4)의 하면에 걸리면, 단자(13)의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3)의 상면에 압접한 상태가 되어, 부착구멍(4a) 내의 커넥터 본체(11)가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에 대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홀딩된다. 또, 커넥터 본체(11)의 리브(11f)와 부착구멍(4a)의 오목부(4b)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커넥터(10)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선(6a)을 노출시킨 케이블(6)을 커넥터 본체(11)의 삽입구(11d)에 삽입하고, 케이블(6)을 단자(13)에 접속한다. 그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6)의 도선(6a)이 케이블 접속부(13c)의 각 접촉편(13e, 13f) 사이에 삽입되고, 각 접촉편(13e, 13f)이 도선(6a)에 접촉하면서 밀려 벌어진다. 이에 따라, 각 접촉편(13e, 13f)이 도선(6a)에 압접하고, 케이블(6)이 단자(13)에 접속된다. 그때, 제 1 접촉편(13e)의 제 1 접촉부(13e-1)가 도선(6a)에 박히도록 접촉하기 때문에, 도선(6a)의 반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도선(6a)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 제 2 접촉편(13f)의 제 2 접촉부(13f-1)는 도선(6a)에 박히는 일 없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면 접촉하기 때문에, 제 2 접촉편(13f)과 도선(6a)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접촉부(13e-1, 13f-1)가 서로 도선(6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접촉부(13e-1, 13f-1)로부터의 누름력이 도선(6a)의 축방향 동일 위치에 가해진다.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터(10)가 부착되고, 한쪽의 커넥터(10)에 접속된 케이블(6)은 꼭지쇠(2a)의 플러스 전극에 접속되며, 다른쪽의 커넥터(10)에 접속된 케이블(6)은 꼭지쇠(2a)의 마이너스 전극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에 따르면, 단자(13)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3)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컨택트부(13b)와 LED 기판(3)을 도통하는 동시에, 각 걸림부재(14)의 걸림부(14c)를 부착기판(4)의 하면에 걺으로써, 단자(13)의 컨택트부(13b)를 LED 기판(3)의 상면에 압접한 상태로 홀딩하도록 했으므로, 단자(13)를 LED 기판(3)에 납땜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커넥터(10)의 부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11)를 부착기판(4)의 부착구멍(4a)에 삽입하면, 각 걸림부재(14)의 걸림부(14c)가 부착구멍(4a)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으면서 탄성편부(14b)가 후방으로 탄성변형하고, 걸림부(14c)가 부착구멍(4a)의 가장자리부를 넘어가면, 탄성편부(14b)가 복원하여 걸림부(14c)가 부착기판(4)의 하면에 걸리도록 했으므로, 탄성편부(14b)의 탄성변형에 의해 부착구멍(4a)으로의 삽입 저항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편부(14b)의 복원에 의해 걸림부(14c)를 부착기판(4)의 하면에 확실하게 걸 수 있다.
또, 커넥터 본체(11) 내에, LED 기판(3)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개구부로부터 단자(13)를 수납하는 단자 수납부(11c)를 설치하고, 커넥터 본체(11)에 장착되는 상면 커버(12)에 의해 단자 수납부(11c)의 상면 개구부를 덮도록 했으므로, 단자 수납부(11c)의 내부가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에 노출되는 일이 없고, LED(3a)의 빛을 커넥터 본체(11)의 상면 및 상면 커버(12)에 의해 확실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그때, 커넥터 본체(11)의 상면 및 상면 커버(12)를 반사율이 높은 색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11)의 상면측이 LED 기판(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LED 기판(3)의 상면측이 커넥터 본체(11)에 의해 어두워지는 일이 없고, 조명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자(13)에는 외부로부터 케이블(6)을 접속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13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접속용 단자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단자(13)의 제 1 접촉편(13e)의 선단 모서리부에는 케이블(6)의 도선(6a)에 박힘으로써 도선(6a)의 반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접촉부(13e-1)를 설치하고, 단자(13)의 제 2 접촉편(13f)의 선단에는 도선(6a)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3f-1)를 설치했으므로, 제 1 접촉부(13e-1)에 의해 도선(6a)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 2 접촉부(13f-1)에 의해 도선(6a)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접속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도선(6a)을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접촉부(13f-1)를 제 2 접촉편(13f)의 선단 모서리부를 모따기 함으로써 형성했으므로, 제 2 접촉편(13f)의 선단측을 굽힘 가공하여 곡면형상의 접촉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 2 접촉편(13f)을 간단한 형상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접촉부(13e-1, 13f-1)를 서로 도선(6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했으므로, 각 접촉부(13e-1, 13f-1)로부터의 누름력을 도선(6a)의 축 방향 동일 위치에 부여할 수 있고, 각 접촉부(13e, 13f)에 의해 도선(6a)을 확실하게 끼워둘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접촉편(13e, 13f)을 단자(13)의 연장 돌출부(13g)의 양측을 서로 대향하도록 구부려 세움으로써 형성했으므로, 각 접촉편(13e, 13f)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11)와는 별도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14)에 걸림부(14c)를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부착기판(8)에 걸리는 걸림부를 커넥터 본체에 일체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LED(3a)를 LED 기판(3)에 실장한 것을 나타냈지만, 복수의 칩형 LED를 실장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구형 램프의 LED 기판(3)에 접속되는 커넥터(10)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전구형 램프의 기판용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기의 기판에 접속되는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실시 형태와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제 1 실시 형태보다 두께 치수가 작은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 1 실시 형태의 걸림부재(14)를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의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의 두께 치수에 대응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LED 기판(7)의 상면에는 LED(도시하지 않음)가 실장되고, 부착기판(8)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부착구멍(8a) 및 오목부(8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부재(15)는 블랭킹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걸림부재(15)는 홀딩구멍(11e) 내의 상단부터 하단에 걸쳐 연장되는 고정편부(15a)와, 고정편부(15a)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탄성편부(15b)와, 탄성편부(15b)의 선단에 설치된 걸림부(15c)로 이루어지며, 걸림부(15c)는 부착기판(4)의 하면(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고정편부(15a)는 상단측의 전후 양단과 하단측의 전후 양단을 각각 홀딩구멍(11e)의 내면에 압접함으로써 홀딩구멍(11e)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편부(15b)는 고정편부(15a)의 하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동시에, 위쪽을 향하여 굴곡하고, 그 굴곡부로부터 더욱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5c)는 탄성편부(15b)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홀딩구멍(11e)의 개구부로부터 커넥터 본체(11)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걸림부(15c)의 상단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10)를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1)를 부착기판(8)의 부착구멍(8a)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때, 커넥터 본체(11)의 리브(11f)가 부착구멍(8a)의 오목부(8b)에 걸어 맞춰진다. 또, 커넥터 본체(11)를 삽입할 때, 각 걸림부재(15)의 걸림부(15c)가 LED 기판(7)의 위쪽 둘레에 맞닿으면, 걸림부(15c)의 하단측의 경사에 의해 탄성편부(15b)가 후방으로 탄성변형하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5c)가 부착구멍(8a)의 내면에 접하면서 홀딩구멍(11e) 내의 후방을 향해 변위한다. 이후, 걸림부(15c)가 부착구멍(8a)의 내면을 넘어가면, 탄성편부(15b)가 복원하여 걸림부(15c)가 전방으로 변위하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5c)가 부착기판(8)의 하면에 걸린다. 또, 상기 삽입시, 단자(13)의 컨택트부(13b)의 접촉부(13d)가 LED 기판(7)의 상면에 맞닿는 동시에, 컨택트부(13b)가 위쪽으로 탄성변형하고, 접촉부(13d)가 컨택트부(13b)의 복원력에 의해 LED 기판(7)에 압접한다. 이에 따라,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7)의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과 도통하고, 단자(13)가 LED 기판(7)에 접속된다. 그때, 탄성변형 전의 컨택트부(13b)의 접촉부(13d)로부터 걸림부(15c)까지의 상하 방향의 간격(H2)은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의 두께(t2)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5c)가 부착기판(8)의 하면에 걸리면, 단자(13)의 컨택트부(13b)가 LED 기판(7)의 상면에 압접한 상태가 되고, 부착구멍(8a) 내의 커넥터 본체(11)가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에 대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홀딩된다. 또, 커넥터 본체(11)의 리브(11f)와 부착구멍(8a)의 오목부(8b)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커넥터(10)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상기 부착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1)에 부착구멍(8a)에 대한 반삽입 방향(위쪽)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15)의 걸림부(15c)가 부착기판(8)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반력(反力)(R)을 받는다. 그때, 탄성편부(15b)가 그 하단측의 굴곡부를 지점(P)으로서 탄성변형하지만, 지점(P)은 반력(R)이 가해지는 방향의 연장선(L)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점(P)에는 도면 중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15b)가 전방을 향하여 탄성변형하고, 걸림부(15c)가 부착기판(8)의 하면에 걸리면서 전방(부착구멍(8a)의 반대측)을 향하여 변위하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11)에 반삽입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부착기판(8)에의 걸림부(15c)의 걸림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에 따르면, 제 1 실시 형태의 걸림부재(14)를 대신하여 컨택트부(13b)의 접촉부(13d)로부터 걸림부(15c)까지의 간격이 제 1 실시 형태의 걸림부재(14)와는 다른 걸림부재(15)를 커넥터 본체(11)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걸림부재(14, 15)를 바꾸는 것만으로 제 1 실시 형태의 LED 기판(3) 및 부착기판(4)과는 두께 치수가 다른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에 부착할 수 있어 범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11)의 홀딩구멍(11e)의 개구부는 연장 돌출부(11a)를 제외한 커넥터 본체(1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재(15)의 걸림부(15c)의 높이 위치가 제 1 실시 형태의 걸림부(14c)와 달라도, 본 실시 형태의 걸림부(15c)를 홀딩구멍(11e)의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커넥터 본체(11)에 부착구멍(8a)에 대한 반삽입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걸림부(15c)가 부착기판(8)의 하면에 걸리면서 탄성편부(15b)가 삽입시의 변형 방향(후방)과는 반대 방향(전방)으로 탄성변형하도록 했으므로, 커넥터 본체(11)에 반삽입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부착기판(8)으로의 걸림부(15c)의 걸림이 해제되는 일이 없어 커넥터 본체(11)를 LED 기판(7) 및 부착기판(8)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1: 전구형 램프 3: LED 기판
4: 부착기판 4a: 부착구멍
6: 케이블 7: LED 기판
8: 부착기판 8a: 부착구멍
10: 커넥터 11: 커넥터 본체
11c: 단자 수납부 12: 상면 커버
13: 단자 13b: 컨택트부
13c: 케이블 접속부 13e: 제 1 접촉편
13f: 제 2 접촉편 13e-1: 제 1 접촉부
13f-1: 제 2 접촉부 14: 걸림부재
14b: 탄성편부 14c: 걸림부
15: 걸림부재 15b: 탄성편부
15c: 걸림부

Claims (7)

  1. 판 형상의 부착 대상물에 설치된 부착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홀딩된 단자를 구비하고, 단자를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접속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맞닿음으로써 부착 대상물과 도통하는 컨택트부와,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고,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림으로써 단자의 컨택트부를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압접시킨 상태로 홀딩하는 걸림부가 설치된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걸림부재는 컨택트부부터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부착 대상물의 두께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컨택트부와 걸림부에 의해 부착 대상물을 끼워둠으로써 커넥터 본체가 부착 대상물에 홀딩되며,
    커넥터 본체는 컨택트부부터 걸림부까지의 간격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걸림부재가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를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편부에 설치하고,
    커넥터 본체를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측으로부터 부착구멍에 삽입하면, 걸림부가 부착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으면서 탄성편부가 소정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며, 걸림부가 부착구멍의 가장자리부를 넘어가면 탄성편부가 복원하여 걸림부가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구멍에 대한 반삽입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걸림부가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걸리면서 탄성편부가 상기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설치되고, 부착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측에 위치하는 개구부로부터 단자를 수납하는 단자 수납부와,
    커넥터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단자 수납부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외부로부터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대상물은 LED를 실장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LED를 광원으로 하는 전구형 램프에 이용되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18096A 2011-01-12 2012-01-11 커넥터 KR101450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4053 2011-01-12
JP2011004053 2011-01-12
JPJP-P-2011-156439 2011-07-15
JP2011156439A JP2015038810A (ja) 2011-01-12 2011-07-15 コネクタ
PCT/JP2012/050339 WO2012096288A1 (ja) 2011-01-12 2012-01-1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367A KR20130100367A (ko) 2013-09-10
KR101450737B1 true KR101450737B1 (ko) 2014-10-14

Family

ID=465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096A KR101450737B1 (ko) 2011-01-12 2012-01-11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54453B2 (ko)
EP (1) EP2665133A4 (ko)
JP (1) JP2015038810A (ko)
KR (1) KR101450737B1 (ko)
CN (1) CN103339800A (ko)
TW (1) TW201230505A (ko)
WO (1) WO2012096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877A (ja) * 2011-12-12 2013-06-2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コネクタ
US8851903B2 (en) * 2012-07-17 2014-10-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CN103047625B (zh) * 2012-12-21 2016-03-23 厦门立达信照明有限公司 电连接件及使用该电连接件的led灯
DE202013100981U1 (de) * 2013-03-07 2014-06-12 Zumtobel Lighting Gmbh Steckverbinder und Platine mit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eine Leuchte
JP2014216435A (ja) * 2013-04-24 2014-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の電気接続部材、発光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11149A1 (de) 2013-06-14 2015-01-15 Itz Innovations- Und Technologiezentrum Gmbh Befestigungselement, Befestigungssystem mit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s Leuchtenträgers mit einem elektronischen Modul mittels des Befestigungssystems
DE202013011920U1 (de) 2013-07-09 2014-10-23 Ptr Messtechnik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Gehäusezwischen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Baueinheit
TWI633717B (zh) * 2015-01-26 2018-08-2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or
EP3133332B1 (en) * 2015-07-29 2018-09-12 Tridonic Jennersdorf GmbH Integrated led module with ims substrate
CN105180115B (zh) * 2015-08-10 2018-05-01 漳州立达信光电子科技有限公司 Led灯的电连接件
CN105119071A (zh) * 2015-09-30 2015-12-02 东莞市昶通通讯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装置和组装方法
JP6515900B2 (ja) * 2016-10-28 2019-05-22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102562442B1 (ko) * 2018-02-09 2023-08-03 주성엔지니어링(주) 전극 접속 소자,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1228692A1 (en) * 2020-05-15 2021-11-18 Signify Holding B.V. Edge fastening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764A (ko) * 2005-03-24 2007-01-09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090108515A (ko) * 2008-04-11 2009-10-1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120020033A (ko) * 2010-08-27 2012-03-07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120127510A (ko) * 2010-03-31 2012-11-21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901Y2 (ko) * 1977-02-03 1982-08-20
JPH01142167U (ko) * 1988-03-25 1989-09-28
JPH04133381A (ja) 1990-09-25 1992-05-07 Toshiba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
JPH0733407Y2 (ja) * 1991-02-06 1995-07-31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668318A (ja) 1992-08-20 1994-03-11 Fujitsu Ltd 書替え可能なメモリを有するカード
JPH0668318U (ja) * 1993-02-27 1994-09-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固定ピン
DE29623048U1 (de) * 1996-08-01 1997-12-04 Siemens Ag Halteklammer zur Befestigung mindestens zweier ebener Bauteile aneinander
JPH10302914A (ja) * 1997-04-25 1998-11-13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DE29901007U1 (de) * 1999-01-21 1999-04-15 Stocko Metallwarenfab Henkels Steckverbinder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von einem elektrischen Leiter mit einem elektrischen oder elektronischen Bauelement, insbesondere einer Leiterplatte
DE19962120A1 (de) * 1999-12-21 2001-06-28 Mannesmann Vdo Ag Steckeraufnahme
JP2003249291A (ja) * 2002-02-26 2003-09-05 Hosiden Corp 電子部品用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CN2547024Y (zh) * 2002-04-19 2003-04-23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快速退出连接器
JP2009117182A (ja) * 2007-11-07 2009-05-28 Yazaki Corp 直付けコネクタ
US7704082B2 (en) * 2008-06-23 2010-04-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JP5218751B2 (ja) * 2008-07-30 2013-06-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球型ランプ
CN102175000B (zh) * 2008-07-30 2013-11-06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灯装置及照明器具
JP5201153B2 (ja) * 2010-01-13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088427B2 (ja) * 2011-03-0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764A (ko) * 2005-03-24 2007-01-09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090108515A (ko) * 2008-04-11 2009-10-15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120127510A (ko) * 2010-03-31 2012-11-21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KR20120020033A (ko) * 2010-08-27 2012-03-07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8810A (ja) 2015-02-26
EP2665133A4 (en) 2014-07-16
CN103339800A (zh) 2013-10-02
TW201230505A (en) 2012-07-16
US9054453B2 (en) 2015-06-09
EP2665133A1 (en) 2013-11-20
KR20130100367A (ko) 2013-09-10
US20130288508A1 (en) 2013-10-31
WO2012096288A1 (ja)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737B1 (ko) 커넥터
US9640911B2 (en) Plug connector with capability of dual mating orientation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TWI423540B (zh) 線纜連接器組件
KR101973278B1 (ko) 커넥터
EP2688150B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US82677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intensity contacts
US2010013684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876336B2 (en) LED lamp unit
US7753712B2 (en) Connector plug
US8979572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JP5051796B2 (ja) コネクタ
US7857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members
US8821169B2 (en) Connector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406247B1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11177589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EP2667460B1 (en) Connector
JP4613128B2 (ja) コネクタ
JP4611849B2 (ja) 端子台
CN112740486B (zh) 连接器及基板单元
JP5034791B2 (ja) コネクタ
JP4611850B2 (ja) 端子台
JP2009272130A (ja) 基板用コネクタ
TWM405067U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