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51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515A
KR20090108515A KR1020080042638A KR20080042638A KR20090108515A KR 20090108515 A KR20090108515 A KR 20090108515A KR 1020080042638 A KR1020080042638 A KR 1020080042638A KR 20080042638 A KR20080042638 A KR 20080042638A KR 20090108515 A KR20090108515 A KR 20090108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object
fpc
terminal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고바야시
요시유키 오구라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8004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8515A/ko
Publication of KR2009010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접속 대상물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FPC(2) 와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 (17) 를 형성하고, 각 단자 (20) 의 타단측 (제 2 의 접촉부 ; 27) 을 끼워맞춤부 (17) 에 끼워맞춰진 FPC(2) 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FPC(2) 를 끼워맞춤부 (17) 에 끼워맞춤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FPC(2) 와 각 단자 (2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FPC(2) 에 장착할 때에 납땜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FPC(2) 에 대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에 설치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과, 배터리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일단측이 상대방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착탈 자유롭게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측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각 단자를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공보 평9-237660호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 예에서는 각 단자의 타단측이 납땜에 의해 제 2 접속 대상물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를 제 2 접속 대상물에 장착할 때에 미세한 납땜 처리를 실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 2 접속 대상물에 대한 커넥터의 장착 작업이 번잡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접속 대상물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측이 제 1 접속 대상물과 착탈 자유롭게 접속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타단측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상기 각 단자를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과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단자의 타단측을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진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의 일단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플랙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 대상물이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면, 제 2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의 타단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제 2 접속 대상물을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2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접속 대상물을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시킨다는 간단 한 조작으로 제 2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제 2 접속 대상물에 장착할 때에 납땜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 2 접속 대상물에 대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은 커넥터의 전면측 사시도, 도 2 는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3 은 커넥터의 정면도, 도 4 는 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5 는 커넥터의 A-A 단면도, 도 6 은 커넥터의 배면도, 도 7 은 커넥터의 B-B 단면도, 도 8 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9 는 커넥터의 저면도, 도 10 은 FPC 삽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1 은 FPC 삽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C-C 단면도, 도 12 는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3 은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D-D 단면도, 도 14 는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E-E 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에 구비되어 있고, 제 1 접속 대상물로서의 배터리 (1) 와, 제 2 접속 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2)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 (10) 와 복수의 단자 (20) 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자 (20) 의 일단측이 배터리 (1) 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 단자 (1a) 와 착탈 자유롭게 접속하고, 각 단자 (20) 의 타단측이 FPC(2) 에 형성된 복수의 도전부 (2a) 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배터리 (1) 와 FPC(2)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FPC(2) 는 그 선단측이 폭 방향 (도면 중 X 방향) 으로 연장되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의 배면에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전부 (2a) 가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FPC(2) 의 선단측의 상면부에는 절결(切欠)부 (2b) 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 (2b) 의 하방에는 한 쌍의 오목부 (2c) 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FPC(2) 를 제 2 접속 대상물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을 제 2 접속 대상물로서 이용해도 된다.
커넥터 본체 (10) 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 (11), 배면부 (12), 상면부 (13), 저면부 (14) 및 좌우 양측면부 (15) 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부 (11) 에는, 각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단자 유지 구멍 (11a, 11b, 11c) 이 폭 방향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각 단자 유지 구멍 (11a, 11b, 11c) 은, 저면부 (14) 를 통하여 배면부 (12) 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자 유지 구멍 (11b) 의 폭 방향 양단의 상면부 (13) 측에는 커넥터 본체 (10) 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걸어맞춤부 (16) 가 후방 (도면 중 Y 방향)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 걸어맞춤부 (16) 는 FPC(2) 의 절결부 (2b) 와 걸림으로써 FPC(2) 를 상방 (도면 중 Z 방향) 으로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각 걸어맞춤부 (16) 의 하방에는 상방에 개구(開口)된 끼워맞춤부 (17) 가 폭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부 (17) 는 FPC(2) 의 하단측과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 (17) 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2) 의 각 오목부 (2c) 에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춤 가 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규제부 (18) 가 각 걸어맞춤부 (16) 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규제부 (18) 는 FPC(2) 의 각 오목부 (2c) 에 걸리면, FPC(2) 의 삽입 방향 (하방) 과 직교하는 방향, 즉 폭 방향으로의 FPC(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자 (20) 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양단측이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대략 U 자 모양으로 굴곡한 제 1 굴곡부 (21) 를 가짐과 함께, 단자 (20) 의 일단측 즉 제 1 굴곡부 (21) 의 전단측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직진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직진부 (22) 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굴곡하는 제 2 굴곡부 (23) 가 형성되고, 제 2 굴곡부 (23) 의 하단에는 전방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진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2 직진부 (24) 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굴곡하는 제 3 굴곡부 (25) 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굴곡부 (25) 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 제 1 접촉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단자 (20) 의 일단측은 제 2 굴곡부 (23) 및 제 3 굴곡부 (25) 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자 (20) 의 타단측 즉 제 1 굴곡부 (21) 의 후단측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굴곡한 제 2 접촉부 (27) 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접촉부 (27) 는 FPC(2) 의 도전부 (2a) 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자 (20) 의 타단측은 제 1 굴곡부 (21) 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10) 에 있어서, 각 단자 (20) 를 커넥터 본체 (10) 의 각 단자 유지 구멍 (11a, 11b, 11c) 에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각 단자 (20) 가 커넥터 본체 (10) 에 유지된다. 이 때,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6) 가 전면부 (11) 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제 2 접촉부 (27) 가 배면부 (12) 로부터 끼워맞춤부 (17) 내로 돌출한다.
다음으로, FPC(2) 를 커넥터 본체 (10) 에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2) 를 커넥터 본체 (10) 의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하면, FPC(2) 는 그 선단측의 전면이 각 걸어맞춤부 (16) 에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하면서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된다. 또한, 각 단자 (20) 의 제 2 접촉부 (27) 는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된 FPC(2) 의 배면측에 접촉하면서 후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FPC(2) 가 끼워맞춤부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FPC(2) 의 절결부 (2b) 가 각 걸어맞춤부 (16) 에 걸려서 FPC(2) 의 탄성 변형이 복원됨으로써, FPC(2) 의 반(反) 끼워맞춤 방향 즉 상방으로의 이동이 각 걸어맞춤부 (16) 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각 단자 (20) 의 제 2 의 접촉부 (27) 는, FPC(2) 의 각 도전부 (2a) 에 접촉함과 함께, 탄성 변형으로부터의 복원력에 의해 FPC(2) 를 전방 즉 커넥터 본체 (10) 의 전면부 (11) 측에 압압한다. 이로써, FPC(2) 의 각 도전부 (2a) 와 각 단자 (20) 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FPC(2) 가 끼워맞춤부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2) 의 각 오목부 (2c) 가 각 규제부 (18) 에 걸림으로써, FPC(2) 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각 규제부 (18) 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각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6)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1) 의 각 접속 단자 (1a) 에 접촉한다. 이 경우, 각 단자 (20) 의 일단측이 제 2 굴곡부 (23) 및 제 3 굴곡부 (25) 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탄성 변형하고 있고, 제 1 접촉부 (26) 는 탄성 변형으로부터의 복원력에 의해 각 접속 단자 (1a) 를 압압하면서 접촉하고 있다. 이로써, 배터리 (1) 의 각 접속 단자 (1a) 와 각 단자 (20) 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FPC(2) 와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 (17) 를 형성하고, 각 단자 (20) 의 타단측 (제 2 의 접촉부 ; 27) 을 끼워맞춤부 (17) 에 끼워맞춰진 FPC(2) 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FPC(2) 를 끼워맞춤부 (17) 에 끼워맞춤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FPC(2) 와 각 단자 (2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FPC(2) 에 장착할 때에 납땜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FPC(2) 에 대한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 (17) 를 커넥터 본체 (10) 와 각 단자 (20) 의 타단측 (제 2 의 접촉부 ; 27) 사이에 형성하고, 각 단자 (20) 의 타단측을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된 FPC(2) 의 배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하고, FPC(2) 를 커넥터 본체 (10) 측에 압압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제 2 의 접촉부 (27) 를 탄성 변형으로부터의 복원력에 의해 FPC(2) 의 각 도전부 (2a) 에 접촉시킬 수 있어, FPC(2) 의 각 도전부 (2a) 와 각 단자 (20) 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되는 FPC(2) 에 접촉하여 FPC(2) 를 탄성 변형시킴과 함께, FPC(2) 가 끼워맞춤부 (17) 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FPC(2) 의 절결부 (2b) 에 걸림으로써 FPC(2) 를 복원시키고, FPC(2) 를 반 삽입 방향 (상방) 으로 걸어맞추는 한 쌍의 걸어맞춤부 (16) 를 형성하였으므로, FPC(2) 의 반 삽입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접속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끼워맞춤부 (17) 에 삽입된 FPC(2) 의 삽입 방향 (하방) 과 직교하는 방향 (폭 방향) 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 (18) 를 형성하였으므로, FPC(2) 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접속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상기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 (1) 를 제 1 접속 대상물로서 이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커넥터나 케이블을 제 1 접속 대상물로서 이용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면측 사시도, 도 2 는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3 은 커넥터의 정면도, 도 4 는 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5 는 커넥터의 A-A 단면도, 도 6 은 커넥터의 배면도, 도 7 은 커넥터의 B-B 단면도, 도 8 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9 는 커넥터의 저면도, 도 10 은 FPC 삽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1 은 FPC 삽입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C-C 단면도, 도 12 는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13 은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D-D 단면도, 도 14 는 FPC 끼워맞춤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E-E 단면도이다.

Claims (5)

  1. 일단측이 제 1 접속 대상물과 착탈 자유롭게 접속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타단측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상기 각 단자를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과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단자의 타단측을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진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의 일단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를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각 단자의 타단측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각 단자의 타단측을 상기 끼워맞춤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의 상기 일단면에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커넥터 본체측에 압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을 탄성 변형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이 상기 끼워맞춤부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절결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을 복원시켜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을 반 끼워맞춤 방향으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042638A 2008-04-11 2008-05-08 커넥터 KR20090108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638A KR20090108515A (ko) 2008-04-11 2008-05-0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03596 2008-04-11
KR1020080042638A KR20090108515A (ko) 2008-04-11 2008-05-0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515A true KR20090108515A (ko) 2009-10-15

Family

ID=4155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638A KR20090108515A (ko) 2008-04-11 2008-05-0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85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7B1 (ko) * 2011-01-12 2014-10-14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7B1 (ko) * 2011-01-12 2014-10-14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0821430B1 (ko) 전기 커넥터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US8465298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2018190642A (ja) コネクタ
US8864524B2 (en) Connector
CN106981754B (zh) 连接器
JP2016189244A (ja) コネクタ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4044939B2 (ja) コネクタ
TWI652860B (zh) Connector
US865188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4022214A (ja) コネクタ
US2011003405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7473613B2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660432B2 (ja) コネクタ
KR20090108515A (ko) 커넥터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201500209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4425965B2 (ja) コネクタ
JP2015162282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6046003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201409628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