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76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764A
KR20070004764A KR1020067019593A KR20067019593A KR20070004764A KR 20070004764 A KR20070004764 A KR 20070004764A KR 1020067019593 A KR1020067019593 A KR 1020067019593A KR 20067019593 A KR20067019593 A KR 20067019593A KR 20070004764 A KR20070004764 A KR 2007000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connection object
connector
temporary holding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요시 요시카이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삽입조작시의 감촉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대상물의 임시유지작업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각 걸림부(15)는 비(非)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는,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변형하고, 케이블(A)의 절결부(A2)가 걸림부(15)에 끼움결합하면, 케이블(A)을 하방으로 가세하면서 복원하는 임시유지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가 각 걸림부(15)에 끼움결합했을 때에는,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가세된 케이블(A)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각 걸림부(15)에 끼움결합하는 감촉이 케이블(A)을 통해 얻어진다. 따라서, 케이블(A)이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트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에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을 각 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접속대상물에 설치된 도전부와 단자 간의 접점부에서 접속대상물을 임시로 유지하기 위한 임시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이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진다거나, 위치 어긋남으로 인해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임시유지부재에 의해 접속대상물이 임시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각 단자에 접속대상물의 도전부가 접촉하여 통전(通電)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접속대상물이 가압부재에 의해 단자 측으로 가압되기 전에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접속대상물과 각 단자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접촉불량이나 접속대상물의 도전부에 가는 선(條線)이 생기는 등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커넥터 본체 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접속대상물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탄성지지편(片)을 설치함으로써,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切缺)부가 탄성지지편에 끼움결합되어, 탄성지지편과의 걸림고정에 의해 접속대상물의 반(反)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접속대상물을 임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접속대상물이 탄성지지편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임시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접속대상물이 반(反)삽입방향으로 인출되면, 탄성지지편이 탄성변형하여 접속대상물과의 끼움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접속대상물이 불충분한 상태로 임시로 유지되게 되므로,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접속대상물의 도전부에 가는 선이 생기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10037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접속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대상물을 확실하게 임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접속대상물을 각 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걸림부를 돌출설치하고,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면, 접속대상물의 선단 측이 걸림부를 타넘는 동시에 접속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걸림부에 끼움결합하여 반(反)삽입방향으로 걸리도록 한 커넥터로서, 상기 걸림부를 비탄성부재로 형성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소정의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며, 접속대상물의 절결부가 걸림부에 끼움결합되면 접속대상물을 걸림부와의 결합방향으로 가세하면서 복원하는 임시유지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즉, 접속대상물의 절결부가 걸림부에 끼움결합되었을 때에는, 임시유지부재에 의해 가세된 접속대상물이 걸림부와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끼움결합되는 감촉이 접속대상물을 통해 얻어진다. 또한, 접속대상물은 반(反)삽입방향으로 걸려 있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반(反)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접속대상물을 각 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복원하면서 끼움결합하는 임시유지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즉,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는, 임시유지부재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면서 접속대상물의 절결부에 끼움결합하는 감촉이 접속대상물을 통해 얻어진다. 또한, 접속대상물의 절결부는 임시유지부재에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반(反)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되는 일이 없으며, 더욱이 접속대상물을 반(反)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지거나, 접촉불량이나 접속대상물의 도전부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0 : 커넥터 본체 20 : 단자
30 : 가압부재 40 : 임시유지부재
41a : 돌출편 42 : 접속부
A : 플렉시블 케이블 A2 : 절결부
A2a : 전단(前端)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단면도, 도 4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 도 8은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다.
상기 커넥터에는, 접속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케이블(A)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20)와, 플렉시블 케이블(A)을 각 단자(2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30)와,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A)을 임시로 유지하는 임시유지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A)은, 이른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라 일컬어지는 것으로서, 그 선단 측의 상방 및 하방의 양면에는 복수의 도전부(A1)가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케이블(A)의 양측 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절결부(A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절결부(A2)의 전면(前面), 즉, 각 임시유지부재(40)가 걸리는 면은, 하방을 향해 평면을 이루는 전단면(A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대상물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 등일 수도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비탄성부재(가령,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전면(前面) 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배면부(12), 측면부(13) 및 저면부(14)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 개구부로부터 플렉시블 케이블(A)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배면부(12)에는, 복수의 단자구멍(12a)이 서로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단자구멍(12a)에는 각 단 자(2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구멍(12a)의 배열방향 양단 측에는, 한 쌍의 임시유지구멍(12b)이 형성되며, 각 임시유지구멍(12b)에는 각 임시유지부재(4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측면부(13)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13a)이 형성되며, 각각의 긴 구멍(13a)에는 가압부재(30)를 걸림결합하는 동시에, 각각의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에 가압부재(30)를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12a)의 배열방향 양단 측에는 커넥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걸림부(15)가 상방을 향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각 걸림부(15)에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를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부(15)는, 각 단자(20)가 플렉시블 케이블(A)과의 접촉방향, 즉 상방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는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커넥터 본체(10)의 각 단자구멍(12a)에 각각 유지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21) 및 탄성편부(22)를 가지며, 그 후단에는 기판(도시생략)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3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커넥터 본체(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작부(31)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배치되는 가압편(32)과,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되는 좌우 한 쌍의 아암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31)는 가압부재(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양단에는 파지(把持)부(31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31)의 하면 중앙에는 플렉시블 케이블(A)이 삽입 통과될 수 있는 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32)은 조작부(3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각 단자(20)의 고정편부(2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압편(32)의 두께 치수는 선단 측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33)는 조작부(31)의 배면 양단 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각각의 긴 구멍(13a) 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 각 아암부(33)의 선단에는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에 걸리는 걸림편(33a)이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걸림편(33a)의 전면(前面), 즉, 각각의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에 걸리는 면은,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3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부(33)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산 형상의 돌기부(33c)가 설치되며, 아암부(3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아암부(33)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돌기부(33c)가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를 강제적으로 타고 넘도록 되어 있다.
각 임시유지부재(4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커넥터 본체(10)의 각 임시유지구멍(12b)에 각각 유지되어 있다. 각 임시유지부재(40)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탄성편(41)이 설치되어 있으며, 더욱이 탄성편(41)의 선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편(41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임시유지부재(40)의 후단에는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서는, 각 단자(20)의 기판 접속부(23) 및 각 임시유지부재(40)의 접속부(42)를 기판에 납땜함으로써, 각 단자(20) 및 각 임시유지 부재(40)가 기판에 접속된다. 또,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에 접속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재(30)를 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A)이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가압부재(30)의 가압편(32)의 두께 치수는, 선단 측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저면부(14)와 가압편(32)의 간격이 벌어져 플렉시블 케이블(A)이 저면부(14)와 가압편(3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 가압부재(30)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각 아암부(33)의 돌기부(33c)가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를 타고 넘는 동시에,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에 아암부(33)의 걸림편(33a)이 걸림에 따라 가압부재(30)가 인출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걸림편(33a)의 경사면(33b)이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에 맞닿고, 돌기부(33c)에 의한 가압부재(30)의 전방위치에 대한 유지력에 의해 경사면(33b)이 긴 구멍(13a)의 전단부(13b)를 따라 수직이 되려고 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재(30)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그 전단 측이 상승하여 플렉시블 케이블(A)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의 폭 방향 양단 측이 각 걸림부(15)의 전단부에 맞닿은 다음, 각 걸림부(15)의 전단 측의 경사면으로 안내되면서 각 걸림부(15)의 상면으로 얹혀진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의 폭 방향 양단측이 각 임시유지부재(40)에 접촉한 후, 각 임시유지부재(40)의 탄성편(41)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더욱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삽입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이 각 걸림부(15)를 타고 넘는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A
)의 각 절결부(A2)와 커넥터 본체(10)의 각 걸림부(15)가 끼움결합하여, 플렉시블 케이블(A)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탄성 변형한 각 임시유지부재(40)의 탄성편(41)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하방으로 가세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케이블(A)이 각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가압되면서 각 걸림부(15)에 끼움결합되는 감촉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또,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가 각 걸림부(15)에 끼움결합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도전부(A1)와 각 단자(20)의 탄성편부(22)가 접촉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가 각 걸림부(15)에 걸림고정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A)은 각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커넥터(10) 내에 임시로 유지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A)은 비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각 걸림부(15)에 의해 반(反)삽입방향, 즉, 커넥터 본체(10)의 전방에 걸려있기 때문에, 각 걸림부(15)의 변형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는 것으로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빠져나오거나, 각 단자(20)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임시유지부재(40)는 접속부(42)를 통해 기판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과 함께 커넥터 본체(10)의 전방으로 뽑혀 나오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비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를 끼움결합시켜 플렉시블 케이블(A)을 반(反)삽입방향으로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15)를 커넥터 본체(10)의 각 단자(20)의 배 열방향 양단 측에 구비하고, 임시유지부재(40)는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변형하며,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가 걸림부(15)에 끼움결합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하방으로 가세하면서 복원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이 커넥터 본체(1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는, 즉,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가 각 걸림부(5)에 끼움결합되었을 때에는,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가압된 플렉시블 케이블(A)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각 걸림부(15)에 끼움결합하는 감촉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통해 얻어진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의 전방으로 빼낼 수가 없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A)이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케이블(A)이 커넥터 본체(10)에서 빠지거나, 플렉시블 케이블(A)의 도전부(A1)와 각 단자(20)의 탄성편부(22) 간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접촉이 불량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각 걸림부(15)를 커넥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과 접촉함에 따라 각 걸림부(15)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와 각 걸림부(15)가 끼움결합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케이블(A)을 완전히 삽입했을 때에는,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절결부(A2)와 각 걸림부(15)를 확실히 끼움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각 걸림부(15)의 전단부를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의 폭 방향 양단 측이 각 걸림부(15)의 전단부에 맞닿은 후, 각 걸림부(15)의 전단부의 경사면으로 안내 되면서 각 걸림부(15)의 상면에 얹혀짐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이 각 걸림부(15)의 전단부에 맞닿음에 따라 삽입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각 걸림부(15)를, 각 단자(20)가 플렉시블 케이블(A)과의 접촉방향, 즉, 상방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도전부(A1)가 각 단자(20)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단자(20)와의 접촉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A)의 각 도전부(A1)에 가는 선이 생기는 등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 걸림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B-B 단면도, 도 12는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C-C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에는 각 걸림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A)은 커넥터 본체(10)의 저면부 상면을 따라 삽입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의 폭 방향 양단측이 각 임시유지부재(40)에 접촉한 후, 각 임시유지부재(40)의 탄성편(41)이 플 렉시블 케이블(A)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더욱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삽입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선단이 각 단자구멍(12a)의 전면(前面)에 맞닿고, 맞닿은 위치에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때, 탄성 변형한 각 임시유지부재(40)의 탄성편(41)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에 끼움결합하고, 더욱이 탄성편(41)의 돌출편(41a)이 절결부(A2)의 전단면(A2a)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A)은 각 임시유지부(40)에 의해 커넥터(10) 내에 임시로 유지된다. 이 경우, 각 임시유지부재(40)가 플렉시블 케이블(A)에 끼움결합하였을 때, 플렉시블 케이블(A)이 각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감촉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또, 플렉시블 케이블(A)은 단자구멍(12a) 및 임시유지부(4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걸려있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빠져나오거나, 각 단자(20)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더욱이, 각 임시유지부재(40)는 접속부(42)를 통해 기판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A)과 함께 커넥터 본체(10)의 전방으로 뽑혀 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재(30)의 가압편(32)을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삽입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통해 가압편(32)과 저면부(14)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져, 가압편(32)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A)이 저면도(14)측으로 가압된다. 이때, 플렉시블 케이블(A)과 각 단자(20)의 탄성편부(22)가 서로 가압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10)의 각 단자(20) 배열방향 양단 측에,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변형하고, 플렉시블 케이블(A)을 커넥터 본체(10)의 각 단자구멍(12a)의 전면(前面)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하면,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에 복원되면서 끼움결합하는 임시유지부재(4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임시유지부재(40)가 절결부(A2)에 끼움결합했을 때에는, 각 임시유지부재(4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면서 플렉시블 케이블(A)의 절결부(A2)에 끼움결합하는 감촉이 플렉시블 케이블(A)을 통해 얻어진다. 또, 플렉시블 케이블(A)은 단자구멍(12a) 및 임시유지부재(40)에 의해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걸린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A)이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플렉시블 케이블(A)이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빠지거나, 플렉시블 케이블(A)의 도전부(A1)와 각 단자(20)의 탄성편부(22)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접촉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각 임시유지부재(40)가 플렉시블 케이블(A)을 일시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감촉이 얻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비(非)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임시유지부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되는 일이 없으며, 더욱이 접속대상물을 반(反)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지거나, 접촉불량이나 접속대상물의 도전부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접속대상물을 각 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걸림부를 돌출설치하고, 접속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하면, 접속대상물의 선단 측이 걸림부를 타고 넘는 동시에 접속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걸림부에 끼움결합하여 반(反)삽입방향으로 걸리도록 한 커넥터로서,
    상기 걸림부를 비탄성부재로 형성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소정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며, 접속대상물의 절결부가 걸림부에 끼움결합되면 접속대상물을 걸림부와의 결합방향으로 가세하면서 복원하는 임시유지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커넥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가 커넥터 본체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각 단자가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커넥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각 단자가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각 단자가 접속대상물과의 접촉방향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접속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 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접속대상물을 각 단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접속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대상물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복원하면서 끼움결합하는 임시유지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단자배열방향 양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유지부재에는, 커넥터 본체가 접속되는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7019593A 2005-03-24 2005-06-30 커넥터 KR20070004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6397A JP4044939B2 (ja) 2005-03-24 2005-03-24 コネクタ
JPJP-P-2005-00086397 2005-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764A true KR20070004764A (ko) 2007-01-09

Family

ID=3702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593A KR20070004764A (ko) 2005-03-24 2005-06-30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94375B2 (ko)
EP (1) EP1798824B1 (ko)
JP (1) JP4044939B2 (ko)
KR (1) KR20070004764A (ko)
CN (1) CN100461539C (ko)
PT (1) PT1798824E (ko)
TW (1) TWI289375B (ko)
WO (1) WO2006100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7B1 (ko) * 2011-01-12 2014-10-14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321B2 (ja) * 2006-12-07 2012-06-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44312B2 (ja) * 2007-07-10 2012-10-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70767B2 (ja) * 2009-11-10 2013-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195863B2 (ja) * 2010-10-12 2013-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3038039A (ja) * 2011-08-11 2013-02-21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6568B2 (ja) * 2011-09-02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3939B2 (ja) * 2012-03-05 2014-12-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の固定方法
CN102629723B (zh) * 2012-04-24 2014-10-22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
US9236687B2 (en) 2013-08-23 2016-01-12 Globalfoundries Inc. Cable connector
CN109411971B (zh) * 2018-11-13 2020-08-11 敦谱电子有限公司 一种可转接fpc的转接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940A (ja) * 1994-12-22 1996-07-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H1174043A (ja) * 1997-08-29 1999-03-16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におけるロック構造
JP2000182697A (ja) * 1998-12-17 2000-06-30 Aipekkusu:Kk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CN2439730Y (zh) * 2000-07-25 2001-07-18 莫列斯公司 堆叠式电连接器
US6296521B1 (en) * 2001-01-26 2001-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contacts positioned at lateral ends without increasing dimension thereof
JP3605586B2 (ja)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925919B2 (ja) 2002-11-14 2007-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CN2682624Y (zh) * 2003-11-28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61589B2 (en) * 2005-11-04 2007-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37B1 (ko) * 2011-01-12 2014-10-14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8824B1 (en) 2014-09-10
CN1934754A (zh) 2007-03-21
TW200635139A (en) 2006-10-01
EP1798824A1 (en) 2007-06-20
EP1798824A4 (en) 2007-08-01
US7494375B2 (en) 2009-02-24
JP4044939B2 (ja) 2008-02-06
TWI289375B (en) 2007-11-01
US20070224882A1 (en) 2007-09-27
JP2006269272A (ja) 2006-10-05
WO2006100789A1 (ja) 2006-09-28
CN100461539C (zh) 2009-02-11
PT1798824E (pt)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764A (ko) 커넥터
KR101161852B1 (ko) 커넥터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20080101871A (ko) 커넥터
US6676433B1 (en) Connector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10197753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07134672B (zh) 连接器
CN106981754B (zh) 连接器
JP2008146935A (ja) コネクタ
JP5806607B2 (ja) コネクタ
JP5198990B2 (ja) コネクタ
JP4397736B2 (ja) コネクタ
JP4368342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4425965B2 (ja) コネクタ
JP726646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074164B2 (ja) コネクタ
JP597155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2185269A (ja) コネクタ
JP2014096286A (ja) コネクタ
JP2004158323A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2013214395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31

Effective date: 200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