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87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871A
KR20080101871A KR1020087015607A KR20087015607A KR20080101871A KR 20080101871 A KR20080101871 A KR 20080101871A KR 1020087015607 A KR1020087015607 A KR 1020087015607A KR 20087015607 A KR20087015607 A KR 20087015607A KR 20080101871 A KR20080101871 A KR 2008010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movable housing
movable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우라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2 단자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 1 기판 (100) 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 (30) 와, 제 2 기판 (200) 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끼워맞춤 했을 때에 각 플러그 단자 (30) 의 타단측에 접촉하는 복수의 소켓 단자 (70) 를 구비하였으므로, 플러그 단자 (30)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소켓 단자 (70) 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소켓 단자 (70) 와 제 2 기판 (200) 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등에 장착되고, 복수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 일방의 접속 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고, 가동 하우징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측에 배치되고,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유지됨과 함께, 제 2 고정 하우징이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각 제 1 단자의 타단측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커넥터에서는 제 2 고정 하우징에 유지된 각 제 2 단자가 타방의 접속 대상물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제 1 단자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제 2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제 1 단자의 복원력에 의한 끼워맞춤 방향으로의 부하가 각 제 2 단자에 생기고, 각 제 2 단자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 신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6651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2 단자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방의 접속 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고, 제 1 가동 하우징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고, 제 2 가동 하우징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제 2 가동 하우징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춤했을 때에 각 제 1 단자의 타단측에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따라, 여기에 접촉하는 제 2 단자가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부터,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2 단자에 생기는 부하가 저감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2 단자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단자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자가 탄성 변형하므로, 가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일방의 접속 대상물과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여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플러그의 사시도
도 2 는 플러그의 평면도
도 3 은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
도 4 는 플러그의 측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소켓의 사시도
도 6 은 소켓의 평면도
도 7 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
도 8 은 소켓의 측면 단면도
도 9 는 플러그와 소켓의 끼워맞춤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0 은 플러그와 소켓의 끼워맞춤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제 1 고정 하우징, 14…저면부
16…한 쌍의 돌출부, 20…제 1 가동 하우징
23…플랜지 30…복수의 플러그 단자
50…제 2 고정 하우징 54…저면부
56…한 쌍의 돌출부, 60…제 2 가동 하우징
64…플랜지 70…복수의 소켓 단자,
100…제 1 기판 200…제 2 기판
도 1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은 플러그의 사시도, 도 2 는 플러그의 평면도, 도 3 은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 도 4 는 플러그의 측면 단면도, 도 5 는 소켓의 사시도, 도 6 은 소켓의 평면도, 도 7 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 도 8 은 소켓의 측면 단면도, 도 9 및 도 10 은 플러그와 소켓의 끼워맞춤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플러그 (1) 와 소켓 (2) 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1) 에 접속된 일방의 접속 대상물로서의 제 1 기판 (100) 과, 소켓 (2) 에 접속된 타방의 접속 대상물로서의 제 2 기판 (200) 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플러그 (1) 에는, 제 1 기판 (100) 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과,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하여 폭 방향 (도 중 X 방향), 전후 방향 (도 중 Y 방향) 및 상하 방향 (도 중 Z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일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1 가 동 하우징 (20) 에 유지되고,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한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제 1 단자로서의 복수의 플러그 단자 (30) 와,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제 1 스토퍼 부재 (40) 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 (10) 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제 1 고정 하우징 (10) 은 전면부 (11), 배면부 (12), 폭 방향 양측면부 (13) 및 저면부 (14) 로 이루어지고, 전면부 (11) 및 배면부 (12) 에는, 각 플러그 단자 (30) 를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 (15) 과, 각 단자 구멍 (15) 의 배열 방향 (도 중 X 방향) 양단측에 있어서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 (16) 와, 폭 방향 양단측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17)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측면부 (13) 의 상부에는, 제 1 가동 하우징 (20) 을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 (18)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 (20) 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 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 본체 (21) 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11) 의 폭 방향 측벽부에는, 각 플러그 단자 (30) 를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 (22) 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 본체 (21) 의 저면 (21a) 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 (21) 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외측을 향하여 연출(延出)하는 플랜지 (23) 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21) 의 폭 방향 양측면에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걸어맞춤부 (18) 에 걸어맞춤하는 돌기 (24)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단자 (30) 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1) 의 전후 방향 양측에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 (3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100) 에 접속되는 접속부 (31) 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 (30) 에는 접속부 (31) 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眞直部) (32) 와, 제 1 진직부 (32)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 (33) 와, 굴곡부 (3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 (34) 와, 제 2 진직부 (34)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부 (35) 가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단자 (30) 는 굴곡부 (33) 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스토퍼 부재 (40) 는 금속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전후 방향 (도 중 Y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과 타단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대략 コ 자상으로 형성된 규제부 본체 (41) 와, 규제부 본체 (41) 의 전후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기판 접속부 (42) 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 본체 (41) 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오목부 (17) 에 압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각 기판 접속부 (42) 는 규제부 본체 (41) 가 홈부 (17) 에 압입되면, 제 1 기판 (100)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플러그 단자 (30) 를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 (15) 에 플러그 단자 (30) 를 상방으로부터 압입한다. 이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 (30) 의 제 1 진직부 (32) 의 상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단자 구멍 (15) 에 유지된다. 또한, 각 플러그 단자 (30) 에 대하여 제 1 가동 하우징 (20) 을 상방으로부터 압입하면, 플러그 단자 (30) 의 접촉부 (35) 가 하우징 본체 (21) 의 저면 (21a) 을 관통하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단자 구멍 (22) 에 유지된다. 이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돌기 (24) 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걸어맞춤부 (18) 내에 배치되고, 걸어맞춤부 (18) 에 의해 돌기 (24) 즉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전후 방향 및 하방으로의 이동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또한, 제 1 스토퍼 부재 (40) 가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홈부 (17) 에 압입되면, 걸어맞춤부 (18) 의 상방이 규제부 본체 (41) 에 의해 덮이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폭 방향 및 상방으로의 이동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이 경우,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가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고, 각 돌출부 (16) 가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일단측, 즉 제 1 진직부 (32), 굴곡부 (33) 및 제 2 진직부 (34) 는 상방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플랜지 (23) 에 덮임과 함께, 하방이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저면부 (14) 에 의해 덮인다.
다음으로, 소켓 (2)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켓 (2) 에는 제 2 기판 (200) 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과,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대하여 폭 방향 (도 중 X 방향), 전후 방향 (도 중 Y 방향) 및 상하 방향 (도 중 Z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 일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 (60) 에 유지되고,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대한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제 2 단자로서의 복수의 소켓 단자 (70) 와,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폭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제 2 스토퍼 부재 (80) 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 (50) 은, 제 1 고정 하우징 (10) 과 동일 형상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의 전면부 (11), 배면부 (12), 측면부 (13), 저면부 (14), 각 단자 구멍 (15), 각 돌출부 (16), 각 홈부 (17) 및 걸어맞춤부 (18) 와 동일한 전면부 (51), 배면부 (52), 측면부 (53), 저면부 (54), 각 단자 구멍 (55), 각 돌출부 (56), 각 홈부 (57) 및 걸어맞춤부 (58) 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 (60) 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 본체 (61) 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61) 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함과 함께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하우징 본체 (21) 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끼워맞춤부 (62) 가 설치되어 있고, 끼워맞춤부 (62) 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 소켓 단자 (70) 를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 (63) 이 하우징 본체 (61) 의 저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 (61) 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외측을 향하여 연출하는 플랜지 (64) 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61) 의 폭 방향 양측면에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걸어맞춤부 (58) 에 걸어맞춤하는 돌기 (65)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소켓 단자 (70) 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켓 (2) 의 전후 방향 양측에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소켓 단자 (3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 (200) 에 접속되는 접속부 (71) 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 단자 (70) 에는 접속부 (71) 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 (72) 와, 제 1 진직부 (72) 와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 (73) 와, 굴곡부 (7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 (74) 와, 제 2 진직부 (74) 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진직부 (75) 와, 제 3 진직부 (75) 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4 진직부 (76) 와, 제 4 진직부 (76)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굴곡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77) 가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단자 (30) 는 굴곡부 (73) 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 2 스토퍼 부재 (80) 는 제 1 스토퍼 부재 (40) 와 동일 형상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 2 스토퍼 부재 (80) 에는 제 1 스토퍼 부재 (40) 의 규제부 본체 (41) 및 각 기판 접속부 (42) 와 동일한 규제부 본체 (81) 및 한 쌍의 기판 접속부 (82) 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소켓 단자 (70) 를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 (55) 에 소켓 단자 (70) 를 상방으로부터 압입한다. 이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단자 (70) 의 제 1 진직부 (72) 의 상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단자 구멍 (55) 에 유지된다. 또한, 각 소켓 단자 (70) 에 대하여 제 2 가동 하우징 (60) 을 상방으로부터 압입하면, 소켓 단자 (70) 의 제 3 진직부 (75) 가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단자 구멍 (63) 에 유지된다. 이 경우,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돌기 (65) 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걸어맞춤부 (58) 내에 배치되고, 걸어맞춤부 (58) 에 의해 돌기 (65) 즉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전후 방향 및 하방으로의 이동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또한, 제 2 스토퍼 부재 (80) 가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홈부 (57) 에 압입되면, 걸어맞춤부 (58) 의 상방이 규제부 본체 (81) 에 의해 덮이고,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폭 방향 및 상방으로의 이동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이 경우, 각 소켓 단자 (70) 의 접속부 (71) 가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 돌출부 (56) 가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각 소켓 단자 (70) 의 일단측, 즉 제 1 진직부 (72), 굴곡부 (73) 및 제 2 진직부 (74) 는 상방이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플랜지 (64) 에 덮임과 함께, 하방이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저면부 (54) 에 의해 덮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한 쌍의 기판 (100, 200) 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 (200) 에 접속된 소켓 (2) 의 상방에 제 1 기판 (100) 에 접속된 플러그 (1) 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플러그 (1) 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하우징 본체 (21) 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끼워맞춤부 (62) 에 끼워맞춤시키면, 도 10 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각 소켓 단자 (70) 의 접촉부 (77) 가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촉부 (35) 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제 1 고정 하우징 (10) 과 제 2 고정 하우징 (50) 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폭 방향,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자 (30, 70) 가 탄성 변형하고, 각 고정 하우징 (10, 50) 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제 1 기판 (100) 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과,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일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유지되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 (30) 와, 제 2 기판 (200) 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과,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 일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 (60) 에 유지되고,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끼워맞춤했을 때에 각 플러그 단자 (30) 의 타단측에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소켓 단자 (70) 를 구비하였으므로, 각 단자 (30, 70) 의 일방이 탄성 변형하면 타방도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 (30) 의 탄성 변형에 의해 소켓 단자 (70) 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소켓 단자 (70) 와 제 2 기판 (200) 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단자 (30, 70) 가 탄성 변형하므로, 가 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기판 (100) 과 제 2 기판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여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타단측이 유지된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일단측을 덮도록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의 끼워맞춤 방향 (도 중 Z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도 중 Y 방향) 으로 연출하는 플랜지 (23) 를 설치하였으므로,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일단측이 끼워맞춤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미완전 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각 단자 (30, 70) 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미완전 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플러그 (1) 와 소켓 (2)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겨 접촉 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가동 하우징 (60) 에, 타단측이 유지된 각 소켓 단자 (70) 의 일단측을 덮도록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의 끼워맞춤 방향 (도 중 Z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도 중 Y 방향) 으로 연출하는 플랜지 (64) 를 설치하였으므로, 각 소켓 단자 (70) 의 일단측이 끼워맞춤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미완전 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각 단자 (30, 70) 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미완전 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플러그 (1) 와 소켓 (2)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겨 접촉 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하우징 (10) 및 제 2 고정 하우징 (50) 을 서로 동일 형상의 부품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플러그 (1) 및 소켓 (2) 에 공통의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제조에 있어서 부품의 종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일단측을 제 1 기판 (100) 측으로부터 덮는 저면부 (14) 를 설치하였으므로,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일단측이 제 1 기판 (100) 에 접촉하지 않고, 각 플러그 단자 (30) 가 탄성 변형한 경우에 제 1 기판 (100) 에 단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각 소켓 단자 (70) 의 일단측을 제 2 기판 (200) 측으로부터 덮는 저면부 (54) 를 설치하였으므로, 각 소켓 단자 (70) 의 일단측이 제 2 기판 (200) 에 접촉하지 않고, 각 소켓 단자 (70) 가 탄성 변형한 경우에 제 2 기판 (200) 에 단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각 플러그 단자 (30) 와 제 1 기판 (100) 의 접속부 (31) 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16) 를 설치하였으므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비집고 끼워맞춤한 경우에,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가 제 1 기판 (100) 측에 가압되는 것을 돌출부 (16) 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가압에 의한 각 플러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각 소켓 단자 (70) 와 제 2 기판 (200) 의 접속부 (71) 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56) 를 설치하였으므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제 2 가동 하우징 (60) 이 비집고 끼워맞춤한 경우에, 각 소켓 단자 (70) 의 접속부 (71) 가 제 2 기판 (200) 측에 가압되는 것을 돌출부 (56) 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가압에 의한 각 소켓 단자 (70) 의 접속부 (71)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단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2 단자에 생기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단자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적합하다.

Claims (8)

  1. 일방의 접속 대상물 (100) 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하우징 (10) 과,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
    일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유지되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자 (30) 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 (200) 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하우징 (50) 과,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
    일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유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 (60) 에 유지되고, 제 2 가동 하우징 (60) 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제 2 가동 하우징 (60)이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끼워맞춤했을 때에 각 제 1 단자 (30) 의 타단측에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자 (70)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하우징 (20) 에,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유지된 각 제 1 단자 (30) 의 일단측을 덮도록 제 2 가동 하우징 (60) 과의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 하는 방향으로 연출하는 플랜지 (23)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 하우징 (60) 에,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유지된 각 제 2 단자 (70) 의 일단측을 덮도록 제 1 가동 하우징 (20) 과의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출하는 플랜지 (64)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제 1 단자 (30) 의 일단측을 일방의 접속 대상물 (100) 측으로부터 덮는 저면부 (14)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제 2 단자 (70) 의 일단측을 타방의 접속 대상물 (200) 측으로부터 덮는 저면부 (54)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하우징 (10) 에, 제 1 단자 (30) 와 일방의 접속 대상물 (100) 의 접속부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16)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하우징 (50) 에, 제 2 단자 (70) 와 타방의 접속 대상물 (200) 의 접속부보다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56)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하우징 (10, 50) 을 서로 동일 형상의 부품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7015607A 2006-02-17 2007-01-19 커넥터 KR20080101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1307 2006-02-17
JP2006041307A JP2007220542A (ja) 2006-02-17 2006-02-17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871A true KR20080101871A (ko) 2008-11-21

Family

ID=3837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607A KR20080101871A (ko) 2006-02-17 2007-01-19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96133A1 (ko)
EP (1) EP1986275B1 (ko)
JP (1) JP2007220542A (ko)
KR (1) KR20080101871A (ko)
CN (1) CN101361230A (ko)
PT (1) PT1986275E (ko)
TW (1) TWI320613B (ko)
WO (1) WO20070941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188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위한 규제 금구
KR20180025187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82493A (ko) * 2018-01-02 2019-07-1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유동형 보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7106B2 (ja) * 2008-12-11 2011-11-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03790B2 (ja) * 2011-01-28 2014-10-0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5668983B2 (ja) * 2011-04-05 2015-02-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5763447B2 (ja) * 2011-06-29 2015-08-1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EP2903092B1 (en) * 2012-09-05 2018-02-21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JP2014130710A (ja) * 2012-12-28 2014-07-10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JP6116056B2 (ja) * 2013-08-07 2017-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525920B (zh) * 2013-09-05 2016-03-11 意力速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EP2874238A1 (en) * 2013-11-13 2015-05-20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5568677B1 (ja) 2013-11-13 2014-08-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44235B2 (ja) * 2014-06-20 2017-06-0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WO2016042625A1 (ja) * 2014-09-17 2016-03-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ソケ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6662633B2 (ja)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JP6446392B2 (ja)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部材との接続構造
JP6253718B1 (ja) * 2016-06-28 2017-12-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15609B2 (ja) * 2017-01-11 2018-10-3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2018174022A (ja) * 2017-03-31 2018-11-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5072B2 (ja) * 2017-04-05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41001B2 (ja) * 2017-08-09 2021-09-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3474B2 (ja) * 2018-04-27 2019-10-02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ソケ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110391523B (zh) * 2018-06-29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座、浮动连接器及连接组件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TWI728724B (zh) * 2020-02-24 2021-05-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JP7499714B2 (ja) 2021-02-04 2024-06-14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590A (en) * 1930-04-23 1935-09-24 Ohio Rubber Co Terminal
JP2704300B2 (ja) * 1989-10-06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エッジ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2568142B2 (ja) * 1991-12-30 1996-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H10326651A (ja) 1997-05-27 1998-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DE50002830D1 (de) * 1999-03-02 2003-08-14 Huber & Suhner Ag Herisau Leiterplatten-koaxialverbindung
JP2003317831A (ja) * 2002-04-25 2003-11-07 Tyco Electronics Amp Kk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2004063388A (ja) * 2002-07-31 2004-02-26 Tyco Electronics Amp Kk 可動コンタクト整列部材付きコネクタ
JP2004214092A (ja) * 2003-01-07 2004-07-29 Jst Mfg Co Ltd 可動型コネクタ用補強タ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動型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188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위한 규제 금구
KR20180025187A (ko) * 2016-08-29 2018-03-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82493A (ko) * 2018-01-02 2019-07-1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유동형 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986275E (pt) 2014-08-27
WO2007094149A1 (ja) 2007-08-23
CN101361230A (zh) 2009-02-04
EP1986275B1 (en) 2014-07-16
TWI320613B (en) 2010-02-11
EP1986275A4 (en) 2011-12-21
US20080296133A1 (en) 2008-12-04
EP1986275A1 (en) 2008-10-29
TW200735463A (en) 2007-09-16
JP2007220542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1871A (ko) 커넥터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5606588B1 (ja) コネクタ
US8864524B2 (en) Connector
KR101364231B1 (ko) 커넥터
KR101514373B1 (ko) 커넥터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20150051997A (ko) 커넥터
US10985499B2 (en) Electric connector
JP6123004B1 (ja) コネクタ
JP4044939B2 (ja) コネクタ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6981754B (zh) 连接器
KR101514372B1 (ko) 커넥터
JP5809463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JP7379025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WO2021045090A1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CN110364893B (zh) 具有端子按压构造的连接器装置
JP5261608B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