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679B1 -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679B1
KR101450679B1 KR1020137003968A KR20137003968A KR101450679B1 KR 101450679 B1 KR101450679 B1 KR 101450679B1 KR 1020137003968 A KR1020137003968 A KR 1020137003968A KR 20137003968 A KR20137003968 A KR 20137003968A KR 101450679 B1 KR101450679 B1 KR 10145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uel consumption
fuel
display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732A (ko
Inventor
지로 후루카와
켄타로 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6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함께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한 자주식의 건설 기계에 탑재되고,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부터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멀티 모니터(표시 장치)(53)로서, 하부 주행체를 동작시킬 때의 스트리트 모드시의 연비, 및 작업기를 동작시킬 때의 작업 모드시의 연비를 표시시키는 1개의 에코 게이지(연비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112)와, 각 모드에서의 각 목표연비에 의거하여 에코 게이지의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과,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에 의해 산출된 100%시 연비에 대한 순간연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12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DISPLAY UNIT OF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MOUNTED WIT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에 관계되고, 예를 들면 공도를 주행 가능한 자주식의 건설 기계나 산업 차량 등의 작업 기계, 및 그러한 건설 기계나 산업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 기계의 일종인 건설 기계로서 공도를 자주(自走)로 주행 가능한 휠식의 유압 셔블(이하,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유압 셔블은 엔진(예를 들면 디젤엔진)을 동력원으로 해서 주행 기구를 구동시켜 이동 주행함과 아울러 작업기를 동작시켜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압 셔블의 연비에 대해서 생각할 경우에는 유압 셔블의 차체에 장착된 작업기에 의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상태(이하, 작업 모드)에서의 연비와, 유압 셔블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자주로 주행을 행하고 있는 상태(이하,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연비로 나누어서 취급하는 것이 요구되고, 그 연비의 차가 크기 때문에 연비의 양부(良否) 평가에 있어서는 각 동작 모드의 연비를 각각 평가할 필요가 있다. 즉, 엔진에 걸리는 부하, 즉 엔진 출력의 사용 영역이 작업 모드와 주행 모드에서는 다르기 때문에 각 동작 모드에서 엔진이 소비하는 연료량(평균연비)이 다른 것이다.
최근, 작업 기계의 연비 절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 기계의 운전실 내(오퍼레이터 캡)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연비의 과거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래픽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건설 기계를 볼 수 있다. 한편, 그러한 표시 장치의 연비 표시부에 연비를 그래픽 표시시키는 것을 생각했을 경우에 있어서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 내인지, 또는 목표연비를 초과하고 있는지를 작업 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 목표연비에 상당하는 경계를 나타내는 목표연비 라인을 연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있다. 그러한 표시 형태로 연비의 상태를 연비 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실제 연비와 목표연비 라인을 시인(視認)하고, 목표연비 라인 내에서의 연비를 유지하는 운전 조작(작업을 위한 조작 또는 주행을 위한 조작)을 행하도록 의식하게 된다. 표시 장치에 목표연비 라인이 표시됨으로써 경제적인 작업이나 주행을 하기 위한 운전 조작을 오퍼레이터가 주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스트리트 모드와 작업 모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균연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각 동작 모드에서의 목표연비도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연비가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연비 표시부로서는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한 각각의 목표연비 라인을 형성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연비 표시부를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해서 각각 형성하려고 해도 표시 장치에 차지하는 연비 표시부의 허용 영역에는 한계가 있다. 작업 기계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는 연비의 표시뿐만 아니라 작업 기계의 엔진의 냉각 수온, 작업 기계의 주행 기구나 작업기 등을 유압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의 작동유 온도, 연료 잔량, 서비스 미터라고 불리는 작업 기계의 누적 가동 시간, 각종 이상 정보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오퍼레이터나 서비스맨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작업 기계의 오퍼레이터는 운전실 밖의 작업 현장을 보면서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운전실 내에 탑재된 표시 장치가 오퍼레이터의 시계를 가로막는 크기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표시 장치의 연비 표시부를 각 모드에 대하여 각각 형성하면 상기 여러 가지 정보의 표시 영역이 작아져서 시인성이 악화된다.
또한, 각 동작 모드에서의 연비의 표시를 1개의 연비 표시부에서 표시시키려고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동작 모드에서의 목표연비가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작업 모드에서의 평균연비는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평균연비보다 작기(작업 모드의 쪽이 단위 시간당 연료의 소비량이 적기) 때문에, 작업 모드에서의 목표연비도 스트리트 모드의 목표연비보다 작아지기 때문이다.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목표연비나 목표연비 라인이 작업 모드를 주로 해서 고려되어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주행 중에 있어서는 작업 모드시보다 항상 큰 연비가 표시되게 되고, 주행 상태에 따라서는 목표연비를 상회하는 연비의 표시를 오퍼레이터는 오래 계속해서 보게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보고 있는 오퍼레이터는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적정한 목표연비에 대한 실제 연비의 표시를 받아서 경제적인 주행을 행하기 위한 운전 조작을 할 수 없다.
한편, 목표연비나 목표연비 라인이 스트리트 모드를 주로 해서 고려되어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작업 모드에서의 작업 중에 있어서는 스트리트 모드시보다 항상 조금 작은 연비가 표시되게 되고, 작업 상태에 따라서는 목표연비를 하회하는 연비의 표시를 오퍼레이터는 오래 계속해서 보게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보고 있는 오퍼레이터는 좀더 연비를 크게 해도 목표연비 내에서의 작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작업 모드에서의 본래의 목표연비를 초과하는 조작을 행해서 작업하게 되어 경제적인 작업을 행하기 위한 운전 조작을 할 수 없다.
그래서, 1개의 연비 표시부(에코 게이지)에서 목표연비의 설정 변경을 임의로 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 표시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표시 조작을 행해서 표시 화면을 전환함으로써 목표 설정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화면으로부터 목표연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2008-6279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작업 차량에 의한 작업시에 있어서 작업 환경이나 작업 부하가 다른 여러 가지 작업 내용에 따라 목표연비를 변경하는 기술이며, 자주식 유압 셔블과 같은 작업 기계에 있어서의 스트리트 모드와 작업 모드에서 목표연비를 변경하는 것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에서는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러한 유압 셔블에서는 작업 현장에서의 주행 빈도가 매우 작아서 주행시의 연비와 작업시의 연비를 개별적으로 채택하는 경우는 없는 것이다. 또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의 경우, 작업 현장의 이동은 트레일러에 적재되어서 행해지고, 자주하는 경우에는 단거리의 이동으로 한정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는 목표연비의 변경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변경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리트 모드와 작업 모드에 대응한 목표연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동작 모드에서의 연비를 1개의 연비 표시부에 의해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각각이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한 자주식 작업 기계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로부터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하부 주행체를 동작시킬 때의 스트리트 모드시의 연비, 및 상기 작업기를 동작시킬 때의 작업 모드시의 연비를 표시시키는 1개의 연비 표시부와,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작업 모드에서의 각 목표연비에 의거하여 상기 연비 표시부의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과,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풀 스케일시의 연비에 대한 순간연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한 목표연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산출하고, 이 게이지 100%(풀 스케일)시의 연비값에 대한 순간연비값의 비율을 산출하고, 그 비율에 의거하여 연비를 자동적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 내에 들어 있을 때의 연비 표시부에서의 표시시키는 방법이나 목표연비를 초과했을 때의 표시시키는 방법을 각 동작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할 수 있고, 1개의 연비 표시부를 이용하여 각 모드에서의 연비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상기 작업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를 다른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로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가 설정된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지 100%(풀 스케일)시의 연비값을 산출할 때에는 각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를 사용한 연산을 행할 필요가 없어 연비를 산출할 때의 메모리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 작업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정부는, (1)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회 위치 검출 수단이 상기 상부 선회체가 소정의 위치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것, (2)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작업기의 동작을 록킹하기 위한 작업기 록킹 수단이 상기 작업기를 록킹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3)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하부 주행체의 서스펜션 실린더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서스펜션 실린더 록킹 수단이 상기 서스펜션 실린더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스트리트 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은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로부터 상기 스트리트 모드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판독해서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1개의 연비 표시부는 표시부의 단부에 목표연비 라인과 함께 현재의 순간연비를 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는 각각이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자주식 작업 기계로서,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로부터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주행체를 동작시킬 때의 스트리트 모드시의 연비, 및 상기 작업기를 동작시킬 때의 작업 모드시의 연비를 표시시키는 1개의 연비 표시부와,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작업 모드에서의 각 목표연비에 의거하여 상기 연비 표시부의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과,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풀 스케일시의 연비에 대한 순간 연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상기 작업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의 목표연비를 다른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로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가 설정된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 작업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정부는, (1)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회 위치 검출 수단이 상기 상부 선회체가 소정의 위치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것, (2)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작업기의 동작을 록킹하기 위한 작업기 록킹 수단이 상기 작업기를 록킹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3)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하부 주행체의 서스펜션 실린더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서스펜션 실린더 록킹 수단이 상기 서스펜션 실린더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스트리트 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은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로부터 상기 스트리트 모드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판독해서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 의한 작업 기계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1개의 연비 표시부는 표시부의 단부에 목표연비 라인과 함께 현재의 순간연비를 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에 의하면, 스트리트 모드와 작업 모드에 대응한 목표연비를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해서 각 동작 모드에서의 연비를 1개의 연비 표시부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또한 연비 표시부에 표시되는 목표연비 라인의 위치가 동작 모드가 전환되어도 바뀌지 않고 표시되어 연비의 상태가 표시 장치에 적절하게 표시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작업 기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작업 기계에 탑재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이 지시되었을 경우의 상기 작업 기계에 탑재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표시 장치의 조작에 제공하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표시 화면 중에 표시되는 연비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연비 표시부에 있어서 연비가 목표연비 내인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연비 표시부에 있어서 연비가 목표연비를 초과한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작업 기계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상기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상기 표시 장치에서 행해지는 제어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제 1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행해지는 제어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상기 표시 장치에서 행해지는 제어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제 2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에 대해서 다른 형태의 작업 기계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일종으로서의 건설 기계인 휠식 유압 셔블(1)[이하, 유압 셔블(1)]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압 셔블(1)은 차량의 전후 좌우에 타이어(21)를 가진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스윙 서클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된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유압 셔블(1)은 자주로 이동 가능한 건설 기계이다.
하부 주행체(2)에는 유압 모터(22)가 부착되어 있고, 엔진(33)의 구동에 의해 유압 펌프(34)가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유압 펌프(34)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주행 모터(22)로 공급되어 주행 모터(22)가 회전 구동한다. 주행 모터(22)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전달됨으로써 각 타이어(21)가 회전 구동된다(도 2를 참조). 또한, 하부 주행체(2)에는 유압 셔블(1)에 의한 굴삭 등의 작업시에 차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나, 토사를 밀어내거나 고르게 하거나 하기 위한 블레이드 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차량 전방 부근에는 오퍼레이터 캡(운전석)(31)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 캡(31) 내에는 오퍼레이터의 운전석이나 후술하는 멀티 모니터(표시 장치)(53), 작업기(4)의 동작이나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 또는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동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레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 캡(31)의 후방에는 엔진(33)이나 유압 펌프(34) 등이 수용된 기계실이 탑재되어 있다. 오퍼레이터 캡(31)의 측방에는 엔진(33)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가 넣어진 연료 탱크나 작업기(4)의 유압 실린더(44)나 유압 펌프(34) 또는 주행 모터(22)를 유압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가 넣어진 작동유 탱크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의 후방에는 작업기(4)에 의한 굴삭 작업 등을 할 때에 차체의 거동을 밸런싱하기 위한 추(錘)가 되는 카운터 웨이트(32)가 부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 붐(41), 암(42), 및 버킷(43)과, 이것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44)로 구성된다.
도 2는 유압 셔블(1)의 블록도를 나타내지만, 이 블록도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엔진(33)의 출력축은 유압 펌프(34)의 입력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엔진(33)의 구동에 의해 유압 펌프(34)가 회전 구동한다. 유압 펌프(34)로부터의 토출된 작동유는 메인 밸브(35)에 의해 스위칭되어서 이하에 설명하는 주행계, 선회계, 및 작업기계의 각 유압 기기로 공급된다.
우선, 주행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밸브(35)를 경유한 작동유는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주행 모터(22)에 공급된다. 주행 모터(22)의 구동력은 트랜스미션(23)으로부터 PTO(Power Take Off)(24)로 전달되고, 또한 액슬(25)을 통해서 타이어(21)에 전달된다. PTO(24)는 각종 복수의 기어나 클러치로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리어측 2휠 드라이브 형식을 도시하고 있지만, 트랜스미션(23)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전후로 분배하고,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하여 전후의 액슬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전후의 액슬을 통해서 4개의 타이어(21)를 구동시키는 4휠 드라이브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주행계에 있어서는 전방측의 각 타이어(21)의 서스펜션 부분에 서스펜션 실린더(26)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서스펜션 실린더(26)로 공급되는 작동유도 메인 밸브(35)로부터 서스펜션 록킹 밸브(27)를 통해서 공급된다. 서스펜션 실린더(26)는 작업기(4)를 사용한 작업시에 있어서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상하의 신축 동작을 제한(서스펜션 록킹)함으로써 유압 셔블(1)의 차체가 요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굴삭 작업시의 작업성이 확보된다. 한편, 유압 셔블(1)을 주행시킬 때에는 주행 중의 승차감을 확보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소정의 전기 신호를 받아서 서스펜션 록킹은 해제(서스펜션 프리)되고, 노면의 요철에 따라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상하의 신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는 서스펜션 실린더(26)를 전륜에만 구비한 생략된 도면으로 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에는 전후륜의 각 타이어(21)에 서스펜션 실린더(26)(합계 4개)가 설치되고, 전륜과 후륜 모두 서스펜션 실린더(26)를 동시에 서스펜션 록킹 또는 서스펜션 프리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선회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회계에서는 메인 밸브(35)를 경유한 작동유가 상부 선회체(3)에 설치된 선회 모터(36)에 공급되고, 선회 모터(36)는 회전 구동한다. 이 선회 모터(36)의 출력축은 도시하지 않은 스윙 머시너리(선회 감속기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스윙 머시너리의 출력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도시하지 않은 윤상(輪狀) 형상의 스윙 서클(선회 베어링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의 이너 레이스 부재에 형성된 내치(內齒)와 맞물려 있다. 스윙 서클은 아우터 레이스 부재와 이너 레이스 부재로 구성된다. 아우터 레이스 부재는 상부 선회체(3)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내치가 형성된 이너 레이스 부재는 하부 주행체(2)의 프레임 상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 머시너리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한다.
선회 모터(36)에는 선회 브레이크(37)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유압 회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선회 브레이크(37)로 공급되는 작동유도 메인 밸브(35)를 경유해서 공급된다. 선회 브레이크(37)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선회 브레이크(37)가 작동함으로써 선회 모터(36)의 회전 구동이 제한되어 상부 선회체(3)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이어서, 작업기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세한 유압 회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메인 밸브(35)에 의해 유량 제어된 작동유가 PPC(Pressure Proportional Control) 록킹 밸브(38)를 경유하여 도시하지 않은 조작 레버에 설치된 PPC 밸브로 파일롯 유압으로서 공급된다. 작업 모드에서의 작업시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파일롯 유압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밸브에 공급되어 작업기(4)의 각 유압 실린더(44)가 동작한다.
이하에, 유압 셔블(1)의 전자 기기에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수치 연산 프로세서나 기억 장치(CPU나 ROM, RAM 등의 메모리) 등의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는 메인 컨트롤러(51) 및 엔진 컨트롤러(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컨트롤러(51, 52)에 의해 실행되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는 각 컨트롤러(51, 52)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1)에는 표시 장치로서의 멀티 모니터(53)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각 전자 기기가 차내 네트워크(NW)(CAN: Controller Area Network)를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51)는 PPC 록킹 솔레노이드(54) 및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여 각 솔레노이드를 소자 또는 여자시킨다. 멀티 모니터(53)의 조작부(114)(도 5)의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면, 그 조작 신호(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51)로 송신된다. 즉, 유압 셔블(1)이 주행을 개시할 경우, 메인 컨트롤러(51)는 통신 제어부(101)(도 9)를 통해서 멀티 모니터(53)로부터 조작 신호(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PPC 록킹 솔레노이드(54)로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받아서 PPC 록킹 솔레노이드(54)가 소자 또는 여자되는 것에 연동해서 PPC 록킹 밸브(38)가 동작하고, 그 결과 PPC 록킹 밸브(38)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PPC 밸브로 연통하고 있는 유로(油路)가 차단된다. PPC 록킹 밸브(38)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PPC 밸브에 연통하고 있는 유로가 차단됨으로써, 작업기(4)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가 조작되어도 파일롯 유압이 도시하지 않은 PPC 밸브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작업기(4)가 동작하지 않는 동작 제한(작업기 록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PPC 록킹 솔레노이드(54)로 송신되는 신호가 소자 신호일 경우에 작업기 록킹이나 작업기 프리 중 어느 것이 기능할 것인지는 미리 설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멀티 모니터(53)의 조작부(114)(도 5)의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면, 그 조작 신호[서스펜션 실린더(26)의 신축 동작을 제한(서스펜션 록킹)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서스펜션 프리) 상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51)로 송신된다. 즉, 유압 셔블(1)이 주행을 개시할 경우, 메인 컨트롤러(51)는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로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받아서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가 소자 또는 여자되는 것에 연동해서 서스펜션 록킹 밸브(27)가 동작한다. 서스펜션 록킹 밸브(27)는 각 서스펜션 실린더(26)와 유압 회로에서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어큐뮬레이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 셔블(1)의 주행시에는 서스펜션 록킹 밸브(27)가 개방되어 있고, 각 서스펜션 실린더(26)와 어큐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유압 회로는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신축 동작에 따라 서스펜션 실린더(26)의 내부에 있는 유실(油室)의 압력 변동이 어큐뮬레이터에 전달되고, 어큐뮬레이터 내의 가스실이 압축 또는 팽창됨으로써 유압 셔블(1)의 주행시의 상하 동작이 흡수된다.
한편,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해서 그 조작 신호[서스펜션 실린더(26)의 신축 동작을 해제(서스펜션 프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한(서스펜션 록킹) 상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51)로 송신되면, 메인 컨트롤러(51)는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로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받아서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가 소자 또는 여자되는 것에 연동해서 서스펜션 록킹 밸브(27)는 폐쇄되고, 각 서스펜션 실린더(26)와 어큐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유압 회로는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신축 동작이 제한(서스펜션 록킹)되어 유압 셔블(1)의 작업기(4)를 사용한 굴삭 작업시에 차체의 요동이 억제된다. 또한,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로 송신되는 신호가 소자 신호일 경우에 서스펜션 프리나 서스펜션 록킹 중 어느 것이 기능할 것인지는 미리 설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1)는 소정의 신호를 받아서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선회 브레이크(37)에 의해 선회 모터(36)에 브레이크를 걸리게 해서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선회 록킹). 한편, 메인 컨트롤러(51)는 소정의 신호를 받아서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선회 모터(36)의 브레이크를 해제(선회 프리)해서 선회용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한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신호란 도시하지 않은 각 조작 레버가 중립이며 아무것도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경과했을 경우에 생성되는 신호(제 1 방법의 선회 록킹)나, 오퍼레이터 캡(3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선회 브레이크 스위치를 오퍼레이터가 선회 브레이크(선회 록킹)를 지시하도록 눌러서 조작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이다(제 2 방법의 선회 록킹). 선회 브레이크 스위치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식의 스위치로서 조작부(114)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단독으로 운전석 근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것들 어느 하나의 신호(이하, 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가 생성되면 메인 컨트롤러(51)는 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 레버가 중립이며 아무것도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경과했을 경우에도 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가 생성된다. 이 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는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나 파일롯 압(pilot pressure)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의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51)가 수신했을 경우이며, 카운터의 계시(計時)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를 생성하는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생성된다. 또한, 선회 록킹의 상태에서, 즉 제 1 방법의 선회 록킹이 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 중 어느 하나를 조작했을 경우, 또는 제 2 방법의 선회 록킹이 된 상태에서 선회 브레이크 스위치를 브레이크 해제(선회 프리)를 지시하도록 조작했을 경우, 선회 브레이크 해제 지령 신호가 생성되어 메인 컨트롤러(51)는 선회 브레이크 해제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한다.
선회 브레이크(37)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회 브레이크(37)는 메커니컬 브레이크로서,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가 소자(또는 여자)되면 선회 브레이크(37)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피스톤으로의 작동유의 유로를 차단 또는 연통하는 선회 브레이크 밸브가 동작한다.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가 소자 신호를 받아서 선회 브레이크 밸브를 연동시킴으로써 유로를 차단하여 브레이크 피스톤을 구동하고, 브레이크 피스톤에 연접한 디스크 등이 선회 모터(36)의 회전부를 압박해서 선회 모터(36)의 동작을 제한(선회 록킹)시킨다. 또한,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송신되는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와, 선회 모터(36)의 선회 록킹 또는 제한 해제(선회 프리)의 관계는 상기 경우와 달리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가 여자 신호를 받아서 선회 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라도 좋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1)에는 스윙 서클의 근방에 부착된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는 예를 들면 접점식의 리밋 스위치로 구성되고, 스윙 서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소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선회체(3)의 전후 방향의 방향이 하부 주행체(2)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즉,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에 의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검지한다. 또한,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는 접촉식의 리밋 스위치 대신에 광학식의 위치 검출 센서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검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부착 위치는 스윙 서클의 근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51)에는 트랜스미션(23)의 출력측에 설치된 차속 센서(58)가 검출하는 유압 셔블(1)의 현재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차속 센서(58)는 유압 셔블(1)의 현재 주행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트랜스미션(23)의 출력측이 아닌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트랜스미션(23)과 액슬(25)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샤프트의 근방에 설치하고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검출해서 주행 속도를 얻도록 해도 좋다.
엔진 컨트롤러(52)는 커먼 레일 및 인젝터 등으로 구성되는 연료 분사 장치(59)에 연료 분사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 연료 분사 장치(59)를 전자 제어함으로써 엔진(33)에 공급되는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여 작업시나 주행시에 부하에 따른 적절한 엔진 출력이 나오도록 한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엔진 컨트롤러(52)의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는 연료 분사량의 제어 맵으로서 작업시의 작업 모드용 맵과 주행시의 스트리트 모드용 맵이 각각 격납되어 있고, 각 동작 모드의 맵에 의거하여 연료 분사 장치(59)에 대한 연료 분사 지령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52)는 연료 분사 장치(59)로의 연료 분사 지령 신호에 의거하여 엔진(33)의 순간연비를 연산한다.
멀티 모니터(53)는 오퍼레이터 캡(31) 내의 운전석의 전방에 탑재되어 있다. 멀티 모니터(53)는 액정 모니터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112)를 갖고, 이 표시부(112)에 유압 셔블(1)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멀티 모니터(53)의 표시부(112)의 하방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가 배치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작부(114)가 표시부(112)와 케이싱 내에 일체로 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멀티 모니터(53)는 표시부(112)와 조작부(114)를 분리하고 표시부(112)를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의 전방 위치에 배치해서 시인성을 확보하고, 조작부(114)를 운전석의 좌우 어느 하나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배치해서 조작성을 확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부(112) 및 조작부(114)를 터치패널로 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도 3에는 멀티 모니터(53)의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표시 화면에는 엔진(33)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냉각수 온도 미터(61), 유압 펌프(34)나 유압 모터(22, 36)[주행 모터(22), 선회 모터(36)] 또는 유압 실린더(44) 등의 유압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작동유 온도 미터(62),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량 미터(63)가 화면 중앙에 크게 병렬해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각 미터(61, 62, 63)의 주위, 즉 표시 화면의 상부에는 스트리트 모드 인디케이터(64), 서스펜션 록킹 모드 인디케이터(65), 파킹 브레이크 인디케이터(66), 서비스 미터(67), 속도단 인디케이터(68), 오토 디셀러레이션(auto-deceleration) 인디케이터(69), 작업 모드 인디케이터(71), 주행 모드 인디케이터(72)가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미터(61, 62, 63)의 주위, 즉 표시 화면의 좌측 단부에는 선회 위치 직선 인디케이터(73), 선회 록킹 인디케이터(79)가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표시 화면의 우측 단부에는 실제 연비의 상태와 목표연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에코 게이지(연비 표시부)(74), 및 단위 시간당 연비의 소비량(평균연비)을 수치로 표시하는 수치 표시부(75)가 표시되어 있다. 에코 게이지(74)에 대해서는 상세한 것을 후술한다.
수치 표시부(75)에서 표시되는 수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연료 분사 지령 신호가 나타내는 연료량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엔진(33)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 멀티 모니터(53) 내의 카운터가 엔진 가동 시간을 계측하고, 연산부(116) 내의 도시하지 않은 연비 수치 연산 수단에 의해 누적된 연료량을 엔진 가동 시간으로 나눈 값(l/h)이 구해지고, 구해진 수치(평균연비)는 표시 제어부(113)를 통해서 송신되고, 표시부(112)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평균연비가 표시 갱신된다. 즉, 수치 표시부(75)는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어느 모드인지에 상관없이 구해진 평균연비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하루의 작업(주행을 포함하는 작업)을 끝낼 때에 수치 표시부(75)에 표시되는 수치는 그 하루의 평균연비가 나타내어져 있는 것이 되고, 엔진(33)을 정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날이 바뀌었다고 판정되면 그 수치는 리셋된다.
도 4는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이 지시되었을 경우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된 멀티 모니터(53)의 표시부(112)를 나타낸다.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작업 모드일 때에 도 3에 나타낸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되었을 경우, 조작부(114)로부터 조작 신호가 조작 제어부(115)로 송신된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내는 스트리트 모드 아이콘(64L)이 표시부(112)의 중앙부에 크게 표시된다. 또한,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상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행시에 적절한 유압 셔블(1)의 상태 조건(선회 록킹인지 선회 프리인지의 선회 록킹 조건, 서스펜션 록킹인지 서스펜션 프리인지의 서스펜션 록킹 조건, 작업기 록킹인지 작업기 프리인지의 작업기 록킹 조건, 또는 주행 정지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부(112)에 스트리트 모드 아이콘(64L)을 표시하지 않고 다른 아이콘이나 메시지를 표시시켜서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스트리트 모드로 전환해도 곧바로 주행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을 알리도록 해도 좋다. 즉, 오퍼레이터에게 그러한 스트리트 모드의 전환 가부(可否)에 관한 통지를 행하는 이유는 상부 선회체(3)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이며,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상하의 신축 동작이 가능(서스펜션 프리)하며, 또한 작업기(4)의 동작 및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이 제한(작업기 록킹, 선회 록킹)이 아니면 주행시에 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트리트 모드 아이콘(64L)은 예를 들면 2초간 점등한 후에 소멸하고, 스트리트 모드 인디케이터(64)의 표시색이 바뀐다. 이들 표시는 조작 제어부(115)나 메인 컨트롤러(51)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서 표시 제어부(113)가 표시부(112)의 표시 형태를 변경 처리하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스트리트 모드 인디케이터(64)의 표시색을 봄으로써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로 변경된 것인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조작부(114)의 각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112)에 표시되고 있는 서스펜션 록킹 모드 인디케이터(65), 선회 위치 직선 인디케이터(73), 선회 록킹 인디케이터(79)의 각 아이콘의 표시색의 표시색은 스위칭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서스펜션 록킹 모드 인디케이터(65)를 시인함으로써 서스펜션 실린더(26)가 서스펜션 록킹할 수 있었는지 또는 서스펜션 프리할 수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선회 록킹 인디케이터(79)를 시인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위치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인디케이터의 표시 형태를 시인함으로써,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을 위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오퍼레이터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확실을 기하기 위해서 스트리트 모드 인디케이터(64)가 스트리트 모드를 나타내는 형태로 표시되어 있어도 선회 록킹을 할 수 없는 상태[상부 선회체(3)의 선회 위치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이 아님]이면 경고(문자나 마크의 표시)를 표시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선회 동작을 시킬 것을 촉구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조작부(114)에는 각 인디케이터 등의 표시에 연동하는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 오토 디셀러레이션 전환 지시 스위치(133), 작업 모드 전환 지시 스위치(134), 주행 모드 전환 스위치(135), 버저 캔슬 스위치(136), 기타, 상세한 것은 설명하지 않지만 에어컨 조작을 위한 각종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의 표시색이나 표시 내용이 변경된다.
상기 각 미터(61, 62, 63)의 주위, 즉 표시 화면의 하부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고,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의 표시 위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장소에 각각의 가이던스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펑션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12)와 조작부(114)를 분리하여 표시부(112)를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 전방의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고, 조작부(114)를 운전석의 좌우 어느 하나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표시부(112)에 표시된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과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펑션 스위치는 표시부(112)측에 설치되어도 좋고, 조작부(114)측에 설치되어도 좋으며, 조작부(114)측에 설치되는 경우에서는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과 펑션 스위치가 당연히 공간적으로 떨어진 위치 관계에서 서로 대응하게 된다.
이어서,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각종 가이던스 아이콘에 관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1)의 후방 시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카운터 웨이트의 상부의 위치 등에 1대 또는 복수대의 CCD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 차량 탑재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그 차량 탑재 카메라가 촬영하는 유압 셔블(1)의 후방 화상을 표시부(112)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후방 화상과 도 3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을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서 화상 스위칭 아이콘(76)이 가이던스 아이콘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미터(67)와 시계 표시를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표시 스위칭 아이콘(77), 도 3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각종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표시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유저 모드 아이콘(78) 등이 가이던스 아이콘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하, 에코 게이지(74)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연비의 상태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에코 게이지(74)를 나타낸다. 에코 게이지(74)는 연비를 리얼타임으로 바 표시하는 것이며, 바의 길이로 연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바 표시는 표시부(112)의 우단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제 1 블록(81)부터 제 10 블록(90)까지의 10개의 블록(81∼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연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연비의 크기의 표시 범위를 10단계로 나누어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0단계의 블록(81∼90)을 나타내고 있지만, 보다 미세한 연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블록의 수를 늘린 것이라도 좋다.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는 블록(81∼90)의 수가 많을수록 바의 길이가 길어져서 연비가 큰(연료 소비량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연비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 표시의 블록(81∼90)의 표시 형태는 상시 점등하는 것이라도 좋고,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이라도 좋다. 오퍼레이터 또는 서비스맨이 조작부(114)의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점등인지 점멸인지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 내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오퍼레이터가 시인할 수 있도록 에코 게이지(74)에는 목표연비에 상당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목표연비 라인(91)이 표시되어 있다. 바 표시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이나 목표연비 라인(91)의 결정 방법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것을 후술한다.
그리고, 단위 시간당 연료 소비량이 많아서 연비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 표시의 바의 길이가 목표연비에 상당하는 위치를 초과한 길이로서 표시시킬 경우에는 목표연비 이상의 부분을 목표연비 미만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점멸 표시 또는 점등 표시한다. 에코 게이지(74)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블록(81)부터 상방에 이르는 제 8 블록(88)까지가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등 표시 또는 점멸 표시되고, 제 9 블록(89)과 제 10 블록(90)은 다른 8개의 블록(81∼88)과는 다른 색, 예를 들면 오렌지색으로 점등 표시 또는 점멸 표시된다. 즉, 목표연비 라인(91)을 경계로 해서 블록의 표시 형태를 바꾸도록 하고 있다. 또한, 목표연비 라인(91)을 초과한 블록[도 6의 경우, 블록(89) 및 블록(90)]을 표시하는 것에 있어서는 점등 표시라도 좋고 점멸 표시라도 좋지만,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연비가 나쁜 것을 적확하게 통지하는 효과라는 점에서 점멸 표시를 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도 7에 제 1 블록(81)부터 제 6 블록(86)의 도중까지가 녹색으로 점등 표시 또는 점멸 표시된 에코 게이지(74)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이 에코 게이지(74)의 표시 상태는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 내인 것을 의미한다. 이 표시 상태로부터 단위 시간당 연료 소비량이 늘어나 연비가 커지면 점등 표시 또는 점멸 표시되는 블록의 수가 늘어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코 게이지(74)의 밑에서 9번째의 제 9 블록(89)에 이러한 부분이 오렌지색으로 점멸 표시되면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를 초과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된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연비가 목표연비 내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오퍼레이터가 시인할 수 있도록 에코 게이지(74)에는 목표연비에 상당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목표연비 라인(91)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블록(81∼90)의 각각은 표시부(112)가 액정 모니터이기 때문에 다수의 도트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성립되어 있다. 복수의 도트행의 적층에 의해 게이지 표시 내에서의 세로 표시폭이 정해진다. 즉, 후술하는 연비의 상태에 따라 적층되는 도트행수가 변화되어 바 표시의 세로 표시폭이 상하로 신축한다. 각 블록(81∼90)에서 표시 가능한 세로 표시폭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표시폭(H1)이다. 또한, 복수의 도트열에 의해 블록의 가로 표시폭(W)이 구성되어서 블록(81∼90)이 표시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에코 게이지(74)에서는 1행의 도트를 최소 단위로 해서 연비의 상태를 바 표시라는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연비의 상태에 따라 바 표시를 상하로 신축시키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세로 표시폭(H2)에서의 표시와 같이, 제 6 블록(86)의 도중까지를 표시 가능한 이유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것이다.
또한, 목표연비의 값은 작업기(4)에 의해 작업을 행하는 작업 모드와,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주행을 행하는 스트리트 모드에서는 다른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값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작업 모드의 목표연비는 18리터/시간(18l/h)이며, 스트리트 모드의 목표연비는 23리터/시간(23l/h)이라고 미리 설정해둔다. 이러한 목표연비는 실험 등에 의해 얻어진 각 동작 모드에서의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80%의 값이다. 또는 목표연비의 값은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 가장 연비 효율이 좋게 작업 또는 주행할 수 있는 최대의 연비로서 정의하여 설정해둘 수도 있다.
이어서, 도 9, 도 10, 또한 도 11에 의거하여 에코 게이지(74)의 표시에 관계되는 메인 컨트롤러(51) 및 멀티 모니터(53)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그들 메인 컨트롤러(51)나 멀티 모니터(53)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메인 컨트롤러(51)는 통신 제어부(101), 상태 취득부(102), 모드 판정부(103),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제어부(101)는 메인 컨트롤러(5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나 데이터를 차내 네트워크(NW)에 송신하거나, 엔진 컨트롤러(52)나 멀티 모니터(53)가 송신한 정보나 데이터를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수신하거나 하기 위해서 기능한다.
상태 취득부(102)는 스윙 서클의 근방에 설치된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 상부 선회체(3)의 하부 주행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선회 위치)를 검지함과 아울러 차속 센서(58)가 검출하는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상태 취득부(102)는 멀티 모니터(53)의 조작부(114)에 설치된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함과 아울러, 조작부(114)에 설치된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작업기(4)의 록킹 상태나 서스펜션의 록킹 상태에 관계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정보를 취득한다.
모드 판정부(103)는 상태 취득부(102)가 취득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 작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53)로부터 조작 신호(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PPC 록킹 솔레노이드(54)에 전기 신호(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여 PPC 록킹 밸브(38)를 동작시킨다.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작업 모드일 경우에는 오퍼레이터 캡(31) 내에 설치된 작업기(4)를 조작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따른 파일롯 유압이 발생하고, 파일롯 유압을 받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밸브에서 작동유의 유량 제어가 행해져서 유압 실린더(44)가 동작한다. 메인 컨트롤러(51)가 멀티 모니터(53)로부터 조작 신호(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컨트롤러(51)는 조작 레버를 조작해도 작업기(4)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작업기 록킹을 지시하는 신호(작업기 록킹 지시 신호)를 생성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작업기 록킹 지시 신호를 받고, PPC 록킹 솔레노이드(54)에 전기 신호(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한다. PPC 록킹 솔레노이드(54)는 PPC 록킹 밸브(38)를 동작시켜서 유압 펌프(34)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PPC 밸브로의 작동유(파일롯 유압)의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작업기(4)가 작업기 록킹되면 조작 레버를 조작해도 작업기(4)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 레버가 조작되지 않고 중립의 상태를 소정 시간 검지하면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전기 신호(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하고, 선회 브레이크(37)를 브레이크 동작시켜서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지 않도록 선회 브레이크(선회 록킹)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상부 선회체(3)를 선회 록킹하는 취지의 신호(선회 브레이크 지령 신호)를 통신 제어부(101)에 송신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의 조작 신호에 따라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에 전기 신호(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한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가 조작되면 조작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51)에 송신된다. 그 조작 신호가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상하 동작을 제한하는 서스펜션 록킹 상태로 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일 경우, 그 조작 신호는 통신 제어부(101)를 통해서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로 송신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제어부(104)는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로 전기 신호(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를 송신한다. 서스펜션 록킹 솔레노이드(55)는 서스펜션 록킹 밸브(27)를 동작시켜서 서스펜션 실린더(26)로의 작동유의 유출입(流出入)을 제한하여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상하의 신축 동작을 제한(서스펜션 록킹)한다.
도 10에 표시 장치인 멀티 모니터(5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멀티 모니터(53)는 통신 제어부(111), 표시부(112), 표시 제어부(113), 조작부(114), 조작 제어부(115), 연산부(116), 및 메모리(117)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부(116)는 스케일 선택 수단(121),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123), 및 게이지 표시폭 산출 수단(124)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제어부(111)는 멀티 모니터(53)에서 기억되어 있는 정보나 데이터, 또는 멀티 모니터(53)에서 설정된 정보나 데이터를 차내 네트워크(NW)에 송신하거나, 메인 컨트롤러(51)나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출력된 정보나 데이터를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수신하거나 하기 위해서 기능한다.
표시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모니터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 제어부(113)는 액정 모니터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액정 드라이버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부(116)에 의해 산출된 게이지 표시폭인 도트행수에 의거하여 에코 게이지(74)의 표시 형태를 표시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3)는 조작부(114)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를 조작 제어부(115)를 통해서 수신하고, 도 3에 나타낸 각 인디케이터[스트리트 모드 인디케이터(64), 서스펜션 록킹 모드 인디케이터(65), 파킹 브레이크 인디케이터(66), 서비스 미터(67), 속도단 인디케이터(68), 오토 디셀러레이션 인디케이터(69), 작업 모드 인디케이터(71), 주행 모드 인디케이터(72)]의 표시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엔진(33)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작동유온 센서, 연료 탱크에 있는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연료계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각 미터[냉각수 온도 미터(61), 작동유 온도 미터(62), 연료량 미터(63)]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조작부(11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 서스펜션 록킹 모드 전환 스위치(132), 오토 디셀러레이션 전환 지시 스위치(133), 작업 모드 전환 지시 스위치(134), 주행 모드 전환 지시 스위치(135), 버저 캔슬 스위치(136), 작업기 록킹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 제어부(1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부(114)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를 표시 제어부(113) 또는 통신 제어부(111)에 송신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의 ON, OFF를 나타내는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51)에 출력한다.
이하, 멀티 모니터(53)의 연산부(11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산부(116)의 스케일 선택 수단(121)은 후술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1.0」 또는 「0.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스트리트 모드에서는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1.0」이 선택되고, 작업 모드에서는 「0.8」이 선택된다. 작업 모드에서의 스케일 변환 계수의 「0.8」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작업 모드의 스케일 변환 계수는 작업 모드에서의 목표연비 18(l/h)을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목표연비 23(l/h)으로 나눈 값(18/23≒0.8)이다. 그들 각 동작 모드에서의 스케일 변환 계수는 에코 게이지(74)가 연비의 크기를 최대(풀 스케일이며 게이지 100%)로 나타낼 때의 연비(l/h)를 산출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각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 또는 스케일 변환 계수의 수치는 미리 메모리(117)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지만, 조작부(114)의 소정의 스위치를 오퍼레이터 또는 서비스맨이 조작함으로써 그 수치의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유압 셔블(1)이 작업 현장의 존재 위치에 따라서는 빈번히 발진 정지를 반복하는 시가지 도로만을 주행할 경우와 발진 정지가 적은 교외 도로만을 주행할 경우가 고려되고, 에코 게이지(74)의 게이지 표시에 영향을 주는 목표연비나 스케일 변환 계수의 수치의 설정 변경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연산부(116)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은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목표연비 23(l/h)을 베이스로 해서 각 동작 모드에서의 에코 게이지(74)의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에 상당하는 연비를 이하의 (1)식으로 산출하는 것이다.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은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으로서, 에코 게이지(74)의 블록(81∼90)의 도트가 모두 점등 표시 또는 점멸 표시되는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퍼센트(%)라는 백분율을 사용해서 설명하지만, 풀 스케일을 100으로 하고 하기에 나타내는 (2)식 내지 (3)식 내에서 사용되는 각 퍼센트로 나타내는 수치는 그 100에 대한 비율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스케일 변환 계수×스트리트 모드 80% 연비)×(100/80) ···(1)
여기에서, 스트리트 모드 80% 연비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을 스트리트 모드에서 실험적으로 주행시켜서 얻어진 연비를 기초로 구한 실제 최대 연비에 대한 80%의 값이다. 또는 스트리트 모드 80% 연비란 스트리트 모드에 있어서 가장 연비 효율이 좋게 작업 또는 주행할 수 있는 최대의 연비로서 정의하여 설정해둘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트 모드 80% 연비는 23(l/h)이며 메모리(117) 등에 기억되어 있지만, 이 스트리트 모드 80% 연비의 값도 조작부(114)의 소정의 스위치를 오퍼레이터 또는 서비스맨이 조작함으로써 그 수치의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산출할 때에는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목표연비[23(l/h)]를 베이스로 하고, 또한 스케일 변환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각 동작 모드에서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상기에 나타낸 1개의 식[(1)식]으로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한 각각의 식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연산 처리에 필요한 기억 장치의 메모리 용량 등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산부(116)의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123)은 이하의 (2)식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취득한 순간연비에 의거하여 현재 연비가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에 대하여 몇%에 상당하는지를 산출한다. 또한, (2)식에서 사용하는 현재의 순간연비는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10msec)로 순간 연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초간) 동안 시시각각 변화되는 순간연비를 나타내는 데이터군을 메모리(117)의 기억부에 축적해 둔다. 그리고, 연산부(116)의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123)은 소정의 시간(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과거의 3초간)에 축적된 순간연비를 나타내는 데이터군을 사용하여 소정의 시간(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과거의 3초간)의 평균연비를 구하고, 구해진 값[연산부(116)가 계산한 순간연비]을 현재의 순간연비[연산부(116)가 계산한 순간연비]로 해서 (2)식에 대입하여 게이지 표시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게이지 표시값 산출(백분율 계산)={현재의 순간연비[연산부(116)가 계산한 순간연비]/게이지 100%시의 연비값}×100···(2)
또한, 게이지 표시값 산출은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50msec)로 실행된다. 따라서, 에코 게이지(74)에 표시되는 순간연비를 나타내는 게이지 표시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50msec)로 갱신되게 된다. 당연히 소정의 주기가 짧은 설정으로 될수록 에코 게이지(74)의 표시의 리얼타임성은 높아진다. 따라서, 액정 드라이버나 각 수치 연산 프로세서(CPU) 등의 처리 속도나 데이터 통신의 통신 속도의 제약을 받은 범위에서 조작부(114)를 조작하여 소정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코 게이지(74)의 표시의 리얼타임성을 조정할 수 있다.
연산부(116)의 게이지 표시폭 산출 수단(124)은 이하의 (3)식에 의해, 상기 (2)식에 의해 구해진 게이지 표시값이 에코 게이지(74)를 사용해서 표시되는 도트행수로서 몇개의 도트행수에 상당하는지를 산출한다. 또한, 단위 퍼센트(%)에 대한 도트폭의 수치는 미리 메모리(117)에 기억되어 있다.
게이지 표시폭(도트) 산출=게이지 표시값(%)×단위 퍼센트(%)에 대한 도트폭 ···(3)
메모리(117)는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125)을 갖고 있고, 이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125) 내에 스케일 변환 계수인 「1.0」 및 「0.8」의 값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17)에는 연산부(116)에 구비된 각 수단(121∼124)을 기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가 격납되고, 이 소프트웨어가 필요에 따라 연산부(116)에 호출되어서 실행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각 동작 모드에서의 목표연비인 「23l/h」나 「18l/h」의 값 등은 계산할 때마다 메모리(117)로부터 판독하는 것은 아니고,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을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에 미리 파라미터로서 도입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에, 에코 게이지(74)에 표시되는 연비의 표시 처리의 순서를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우선 멀티 모니터(53)의 조작 제어부(115)는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가 OFF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확인한다(스텝1: 이하, 스텝을 「S」라고 약기한다). 스트리트 모드 요구 변경 플래그란 조작부(114)의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플래그(상태 변수에서 0이나 1을 나타내는 것)를 나타내고,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의 조작 상태를 확인한다(S2). 이어서,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또한, 플래그란 상태 변수에서 0이나 1을 나타내는 것이며, ON(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 요구)을 1로 하고, OFF(스트리트 모드에서 작업 모드로의 변경 요구)를 0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ON에 대하여 0, OFF에 대하여 1로 하는 설정이 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부(114)의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되어 조작 신호가 조작 제어부(115)에 송신되었을 경우(S3의 판단: YES)에 조작 제어부(115)는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를 ON으로 전환한다(S4). 그 후에 스트리트 모드 요구 변경 플래그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제어부(111)를 통해서 차내 네트워크(NW) 경유로 메인 컨트롤러(51)에 송신한다(S5). S3에 있어서 조작부(114)로부터 조작 제어부(115)에 조작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고,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S3의 판단: NO)에 조작 제어부(115)는 S5로 진행해서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제어부(111)를 통해서 차내 네트워크(NW) 경유로 메인 컨트롤러(51)에 송신한다(S5).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51)의 상태 취득부(102)가 선회 위치 검출 센서(5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S6). 또한, 솔레노이드 제어부(104)가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작업기(4)의 록킹 상태[작업기(4)의 동작이 작업기 록킹인 상태나 작업기 프리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서스펜션 록킹 상태[서스펜션 실린더(26)가 서스펜션 록킹된 상태나 서스펜션 프리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S7, S8). 또한, 차속 센서(58)로부터 유압 셔블(1)의 현재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S9). 그리고, 멀티 모니터(53)로부터 차내 네트워크(NW) 및 통신 제어부(101)를 통해서 수신한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ON이나 OFF)를 취득한다(S10). 또한, S6부터 S10까지는 도 12에 나타내는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순서로 각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모드 판정부(103)는 S6에서 얻어진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위치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 S11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전후 방향의 방향이 하부 주행체(2)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상부 선회체(3)의 전방향[작업기(4)가 지승되어 있는 쪽이 전방향]과 하부 주행체(2)가 전진 주행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를 상부 선회체(3)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S11: YES)이라고 판단한다. 바꿔 말하면, 상부 선회체(3)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S11: YES)이라는 것은 유압 셔블(1)의 전진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전진 방향을 향하고 있고, 유압 셔블(1)을 주행 이동시키기 위해서 주행 조작상 또는 안전상의 지장이 없는 위치에 상부 선회체(3)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S7에서 얻어진 작업기(4)의 동작이 록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작업기(4)가 작업기 록킹의 상태인지 작업기 프리의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그 정보가 작업기 록킹을 나타내는 경우(S12: YES)이면 S13으로 진행한다. 작업기 록킹을 나타내는 경우(S12: YES)란 유압 셔블(1)을 주행 이동시키기 위해서 주행 조작상 또는 안전상의 지장이 없도록, 오퍼레이터가 작업기(4)를 조작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 레버를 조작해도 작업기(4)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S8에서 얻어진 서스펜션 실린더(26)의 동작이 록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서스펜션 실린더(26)가 서스펜션 록킹의 상태인지 서스펜션 프리의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3). 그 정보가 서스펜션 프리를 나타내는 경우(S13: YES)이면 S14로 진행한다. 서스펜션 프리를 나타내는 경우(S13: YES)란 유압 셔블(1)이 주행 중에 오퍼레이터의 승차감에 지장이 없도록, 서스펜션 실린더(26)의 신축 동작이 제한(록킹)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S9에서 얻어진 유압 셔블(1)의 현재의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현재 유압 셔블(1)의 주행 속도는 정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행 속도인지의 여부(소정의 주행 속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 그 정보가 유압 셔블(1)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행 속도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S14: YES)이면 S15로 진행한다. 유압 셔블(1)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주행 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가 실행되는 이유는 스트리트 모드와 작업 모드의 스위칭을 유압 셔블(1)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만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안전 확인을 확실하게 행하여 동작 모드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51)가 소정의 신호를 받아서 선회 브레이크 솔레노이드(56)에 대하여 소자 신호 또는 여자 신호 중 어느 것을 생성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상태 취득부(102)는 취득하고, 선회 록킹의 상태인지 선회 프리의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5). 그 정보가 선회 록킹을 나타내는 경우(S15: YES)이면 S16으로 진행한다. 선회 록킹을 나타내는 경우(S15: YES)란 유압 셔블(1)을 주행 이동시키기 위해서 주행 조작상 또는 안전상의 지장이 없도록 상부 선회체(3)가 선회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스트리트 모드에서 유압 셔블(1)이 주행을 개시하여 주행 중에는 선회 록킹이 유지되고, 주행 정지 후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조작되어 작업 모드로의 변경 요구가 되지 않는 한 선회 록킹은 유지된다.
S10에서 얻어진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를 나타내는 정보(ON이나 OFF)로부터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어 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 요구가 지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 그 정보가 스트리트 모드 변경 요구 플래그가 ON인 것을 나타내고, 스트리트 모드 전환 스위치(131)의 조작에 의해 작업 모드에서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 요구가 지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S16: YES)이면 S17로 진행한다.
이상, S11∼S16에서 행해지는 판단이 모두 YES이면 유압 셔블(1)이 주행하기 위한 조건이 갖추어지고,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를 스트리트 모드로 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하여 동작 모드는 스트리트 모드라고 하는 설정이 이루어진다(S17). 한편, S11∼S16에서 행해지는 판단 중 어느 하나의 판단이라도 NO가 있으면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를 스트리트 모드로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하여 동작 모드는 스트리트 모드가 아니라고 하는 설정이 이루어진다(S18). 여기에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11부터 S16까지 행해지는 처리의 순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순서에 한하지 않고 다른 순서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S17 또는 S18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는 메인 컨트롤러(51)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격납된다.
그 후에 모드 판정부(103)는 기억 장치로부터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고, 통신 제어부(101) 및 차내 네트워크(NW)를 통해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멀티 모니터(53)로 송신한다(S19).
이어서, 표시 장치인 멀티 모니터(53)에서 행해지는 제어를 도 13의 제어 플로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멀티 모니터(53)의 연산부(116)는 메인 컨트롤러(51)로부터 차내 네트워크(NW) 및 통신 제어부(111)를 통해서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S20). 또한, 엔진 컨트롤러(52)로부터 현재의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취득한다(S21). 그리고, S20에서 얻어진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현재 유압 셔블(1)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는 스트리트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S2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는 스트리트 모드라고 판단(S22: YES)되면 S24로 진행하고, 연산부(116)의 스케일 선택 수단(121)은 메모리(117) 내의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125)로부터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1.0」을 판독한다(S24). 한편, S2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는 스트리트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S22: NO)되면 S23으로 진행하고, 연산부(116)의 스케일 선택 수단(121)은 메모리(117) 내의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125)로부터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0.8」을 판독한다(S23).
이어서, 연산부(116)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122)은 상기 (1)식에 의거하여 스트리트 모드 80% 연비와 각 모드에서의 스케일 변환 계수로부터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구한다. 여기에서, 스트리트 변환 계수는 S22에서 판단된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S23 또는 S24에서 판독된 각 동작 모드의 스케일 변환 계수가 사용된다(S25).
이어서,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123)은 S25에서 구해진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사용하고, 상기 (2)식에 의거하여 게이지 표시값, 즉 S21에서 취득한 소정의 시간 동안에 축적한 순간연비를 나타내는 데이터군으로부터 구한 평균연비를 현재의 순간연비로서 구하고, 현재의 순간연비[연산부(116)가 계산한 순간연비]가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의 몇%에 상당하는지를 산출한다(S26).
이어서, 게이지 표시폭 산출 수단(124)은 상기 (3)식에 의거하여 S26에서 얻어진 게이지 표시값(%)이 에코 게이지(74)에서 연비의 상태로서 표시함에 있어서 몇개의 도트행수(게이지 표시폭)에 상당하는지를 산출한다(S27). 여기에서 사용되는 퍼센트(%)에 대한 도트폭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단위 퍼센트당 도트폭의 수치로서 메모리(117)에 기억되어 있고, S27의 처리가 행해질 때에 판독되는 수치이다. 또한, 서비스맨이 멀티 모니터(53)의 조작부(114)를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이 단위 퍼센트당 도트폭의 수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단위 퍼센트당 도트폭의 수치를 바꿈으로써 에코 게이지(74)에 표시되는 게이지가 연비의 변화에 따라 크게 상하로 변화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연비가 변화되어도 민감하게 게이지가 상하로 변화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도 있고, 연비에 대한 게이지의 표시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최후에 표시 제어부(113)는 구해진 게이지 표시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게이지 표시폭 산출 수단(124)으로부터 수신하고, 상당하는 도트행수에 의거하여 멀티 모니터(53)의 표시부(112)의 에코 게이지(74)에 연비의 상태를 색채 표시시킨다(S2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 에코 게이지(74)에 표시되는 목표연비 라인(91)의 위치는 모드가 바뀌어도 같은 위치에 표시된다. 스트리트 모드시에 「1.0」의 스케일 변환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에코 게이지(74)에서는 거기에 적힌 목표연비 라인(91)을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목표연비인 23(l/h)으로서 대응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 모드시에 「0.8」의 스케일 변환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스트리트 모드에서의 목표연비를 작업 모드에서의 목표연비로 변환하여 목표연비 라인(91)을 작업 모드에서의 목표연비인 18(l/h)로서 대응시킬 수 있다.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한 목표연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모드에서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산출하고, 이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에 대한 현재의 순간연비의 비율을 구하고, 그 비율에 의거하여 연비를 표시시키기 위해서 현재 연비가 목표연비 라인(91)의 위치나 목표연비 미만에 있을 때에는 제 1 블록(81)∼제 8 블록(88)을 사용해서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현재의 연비가 목표연비를 초과했을 때에는 제 9 블록(89), 제 10 블록(90)을 사용해서 점멸시키거나 하는 것과 같은 표시 형태를 각 동작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할 수 있고,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1개의 에코 게이지(74)를 사용해서 각 동작 모드에서의 연비의 상태를 알기 쉽고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스트리트 모드에서 주행 중이거나 작업 모드에 의해 작업 중이라도 자신의 조작에 의한 연비의 상태의 양부를 일종의 표시 형태로 나타내어지는 에코 게이지(74)를 보고 판별할 수 있고, 현재 연비가 목표연비 라인(91)을 초과하고 있으면 연비 절약 운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액셀레이터의 필요 이상의 밟음이나 작업 내용에 걸맞지 않는 작업기(4)의 조작을 회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리트 모드시의 80% 연비를 베이스로하여 각 동작 모드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산출하고 있었지만, 작업 모드시의 80% 연비를 베이스로 하여 각 동작 모드의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을 산출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 모드시의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1.0」을 설정하고, 스트리트 모드시의 스케일 변환 계수로서 「1.25=1.0/0.8」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스케일 변환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각 동작 모드에서의 100%시의 연비값을 각각의 80% 연비에 의거하여 각각 산출해도 좋다. 단, 이러한 경우에는 산출식이 늘어나는 등 연산 처리가 번잡해짐과 아울러 메모리 용량이 많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 또는 상기 변형예와 같이 어느 한쪽의 모드의 80% 연비와, 각 동작 모드로 설정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컨트롤러(51)는 차속 센서(58)로부터 유압 셔블(1)의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유압 셔블(1)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의 여부의 판단에 사용하고 있었지만, 차속 센서(58)로부터의 데이터는 모드 판정에 필수적인 데이터가 아니라서 생략 가능하다. 즉, 매우 저속에서의 주행을 수반하는 작업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주행의 연장으로서 주행 동작으로 이행하는 경우도 고려되고, 동작 모드를 판단한 뒤에는 반드시 주행 속도가 정지를 나타내는 주행 속도일 필요는 없다. 단, 스트리트 모드로의 변경이 지시되고, 그때 유압 셔블(1)이 소정의 속도 이하이지만 정지는 아닐 경우, 또는 소정의 속도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 표시부(112)에 소정의 경고(문자나 마크의 표시)를 표시한다.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유압 셔블(1)을 안전하게 정지시켜서 각종 조작을 행하게 하고, 보다 안전을 기하는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나 감탄부의 마크를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코 게이지(74)의 표시 형태로서는 액정 모니터인 표시부(112)에 복수의 블록(81∼90)을 사용해서 바 표시시키고 있었지만, 도 14에 제 1 변형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코 게이지(74)를 복수의 LED를 사용한 표시 형태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목표연비 라인(91)도 LED 점등시키고, 현재 연비의 크기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LED의 수를 증감시키고, 목표연비 라인(91)을 초과하는 연비의 경우에는 그 초과한 연비를 나타내는 LED를 다른 LED와는 발색하는 색을 다르게 해둔다. 또한, 그 초과한 연비를 나타내는 LED만을 점멸시켜서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연비가 나쁜 것을 알기 쉽게 표시해도 좋다. 또한, 도 15에 제 2 변형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코 게이지(74)를 부채 형상의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표시 형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액정 모니터인 표시부(112)에 부채를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연비의 크기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는 블록의 수가 변화되는 것이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표연비 라인(91)을 표시함과 아울러 중심(O)[중심(O) 그 자체는 표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블록이 점등 또는 점멸될수록 연비가 큰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목표연비 라인(91)을 초과하는 연비의 경우에는 그 초과한 연비를 나타내는 블록을 다른 블록과는 다른 색채로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셔블(1)은 1개의 붐(41)으로 이루어지는 모노 붐 구조의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피스 붐 구조의 붐(41)을 구비한 작업기(4)라도 좋다. 이러한 붐(41)은 상부 선회체(3)에 지지된 제 1 붐(45)과, 제 1 붐(45)의 선단에 연결된 제 2 붐(46)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업기(4)를 콤팩트하게 수축한 자세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휠식 유압 셔블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자주식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버킷 등으로 구성되는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건설 기계의 일종인 휠 로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포크 등으로 구성되는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산업 차량으로서의 포크리프트나, 붐 등의 하역 기구로 구성되는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작업 기계의 일종인 러프 터레인 크레인(rough terrain crane)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당연히 휠식 유압 셔블과 휠 로더, 포크리프트,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자주식 차량으로서 작업기와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다고 하는 점에서 공통되고, 작업기에 의한 작업시의 연비와 주행 기구에 의한 주행시의 연비는 개별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S11부터 S13 또는 S15에서 행해지는 동작 모드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각 자주식 차량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 자주식에 따라 조건이 다르다. 예를 들면, 휠 로더나 포크리프트에는 상부 선회체라는 구성은 없지만,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는 상부 선회체라는 구성이 있기 때문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휠식 유압 셔블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버킷 등으로 구성되는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건설 기계의 일종인 휠 로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포크 등으로 구성되는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산업 차량으로서의 포크리프트나, 하역 기구 등의 작업기와 타이어나 트랜스미션 등으로 구성되는 주행 기구의 양자를 구비한 작업 기계의 일종인 러프 터레인 크레인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 작업 기계인 유압 셔블 2 : 하부 주행체
4 : 작업기 33 : 엔진
52 : 엔진 컨트롤러 53 : 표시 장치인 멀티 모니터
74 : 연비 표시부인 에코 게이지
122 : 게이지 100%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
123 :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 125 :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

Claims (8)

  1. 각각이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한 자주식 작업 기계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로부터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하부 주행체를 동작시킬 때의 스트리트 모드 시의 연비, 및 상기 작업기를 동작시킬 때의 작업 모드 시의 연비를 표시시키는 1개의 연비 표시부와,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상기 작업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를 다른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로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비 표시부의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과,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풀 스케일시의 연비에 대한 순간 연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가 설정된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는, 이 자주식 작업 기계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 작업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정부는,
    (1)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회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상부 선회체가 소정의 위치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것,
    (2)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작업기의 동작을 록킹하기 위한 작업기 록킹 수단은 상기 작업기를 록킹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3)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하부 주행체의 서스펜션 실린더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서스펜션 실린더 록킹 수단은 상기 서스펜션 실린더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스트리트 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은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로부터 상기 스트리트 모드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판독해서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연비 표시부는 표시부의 단부에 목표연비 라인과 함께 현재의 순간연비를 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5. 각각이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자주식 작업 기계로서,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로부터 순간연비의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주행체를 동작시킬 때의 스트리트 모드 시의 연비, 및 상기 작업기를 동작시킬 때의 작업 모드 시의 연비를 표시시키는 1개의 연비 표시부와,
    상기 스트리트 모드 및 상기 작업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를 다른쪽의 동작 모드의 목표연비로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비 표시부의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과,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풀 스케일시의 연비에 대한 순간연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게이지 표시값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가 설정된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는, 이 자주식 작업 기계의 동작 모드가 스트리트 모드인지 작업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정부는,
    (1)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회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상부 선회체가 소정의 위치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것,
    (2)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작업기의 동작을 록킹하기 위한 작업기 록킹 수단은 상기 작업기를 록킹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3)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에 구비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의 상기 하부 주행체의 서스펜션 실린더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서스펜션 실린더 록킹 수단은 상기 서스펜션 실린더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것,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스트리트 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풀 스케일시의 연비값 산출 수단은 상기 스트리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스케일 변환 계수 설정 테이블로부터 상기 스트리트 모드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환 계수를 판독해서 풀 스케일에서의 연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1개의 연비 표시부는 표시부의 단부에 목표연비 라인과 함께 현재의 순간연비를 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KR1020137003968A 2011-09-29 2012-08-16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KR101450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5160 2011-09-29
JP2011215160A JP5337220B2 (ja) 2011-09-29 2011-09-29 作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搭載した作業機械
PCT/JP2012/070855 WO2013046988A1 (ja) 2011-09-29 2012-08-16 作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搭載した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32A KR20130069732A (ko) 2013-06-26
KR101450679B1 true KR101450679B1 (ko) 2014-10-14

Family

ID=4799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68A KR101450679B1 (ko) 2011-09-29 2012-08-16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6317B2 (ko)
JP (1) JP5337220B2 (ko)
KR (1) KR101450679B1 (ko)
CN (1) CN103124655B (ko)
DE (1) DE112012004077B4 (ko)
WO (1) WO2013046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156B2 (en) 2009-05-13 2014-06-24 Nike, Inc. Golf club assembly and golf club with aerodynamic features
US8366565B2 (en) 2009-05-13 2013-02-05 Nike, Inc. Golf club assembly and golf club with aerodynamic features
US9822510B2 (en) * 2013-03-06 2017-11-2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6034773B2 (ja) * 2013-11-13 2016-11-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04885132B (zh) * 2013-12-11 2016-12-2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机械、作业机械的管理系统及作业机械的管理方法
JP6466080B2 (ja) * 2014-04-25 2019-02-06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366989B2 (ja) * 2014-04-25 2018-08-0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102014107588A1 (de) * 2014-05-16 2015-11-19 Still Gmbh Verfahren zur Leistungsanzeige bei einem Flurförderzeug
DE102014106984A1 (de) * 2014-05-16 2015-11-19 Still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Restlaufzeit eines Flurförderzeugs
DE102014212613A1 (de) * 2014-06-30 2015-12-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obilen Arbeitsmaschine
EP3199713A4 (en) * 2014-09-24 2018-05-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ing machine display device
JP6698281B2 (ja) 2014-10-16 2020-05-2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6103854B (zh) * 2014-12-26 2019-03-0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机械的状态信息显示装置、作业机械的警告显示方法以及作业机械的警告显示程序
USD801994S1 (en) 2015-01-29 2017-11-07 Caterpillar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165970A1 (en) * 2015-02-27 2015-06-18 Caterpillar Inc. Reductant tank fill notification system
EP3276089B1 (en) * 2015-03-27 2024-03-13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US9619948B2 (en) * 2015-08-06 2017-04-11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arth-moving operation of a machine
JP6480830B2 (ja) * 2015-08-24 2019-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の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の制御方法
US10140741B2 (en) * 2015-12-14 2018-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llection and validation of data from visual displays
JP2017109705A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DE112016000019T5 (de) * 2016-03-01 2016-12-01 Komatsu Ltd. Bewertungsvorrichtung und Bewertungsverfahren
JP6577433B2 (ja) * 2016-09-15 2019-09-18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油圧ショベル
US10187288B2 (en) 2017-03-09 2019-01-22 Caterpillar Inc. Communicating data link information using a light source
JP6605524B2 (ja) * 2017-03-27 2019-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稼働状態表示システム
JP6963007B2 (ja) * 2017-03-31 2021-11-05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の表示装置及びショベルにおける画像の表示方法
KR20200002867A (ko) * 2017-04-26 2020-01-08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쇼벨관리장치, 및 쇼벨관리지원장치
JP1603245S (ko) * 2017-05-31 2018-05-07
JP6959516B2 (ja) * 2017-10-23 2021-11-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産業車両用遠隔操作プログラム、産業車両用遠隔操作方法及び産業車両
JP6985959B2 (ja) * 2018-03-05 2021-12-22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JP1622939S (ko) * 2018-04-06 2020-04-13
AU2019260740B2 (en) 2018-04-27 2022-05-19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Multi-mod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EP3904140A4 (en) * 2018-12-28 2022-09-07 Kubota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WORKING MACHINE, PROGRAM AND RECORDING MEDIA
JP7012037B2 (ja) * 2019-01-25 2022-01-27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DE102019113495A1 (de) * 2019-05-21 2020-11-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Anzeige eines Betriebsmittelverbrauchs
CN111980104B (zh) * 2020-08-20 2022-02-11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油位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220395690A1 (en) 2021-06-15 2022-12-15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neural activation by stimulation using a stimul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243A (ko) * 2005-10-07 2007-04-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가동가능시간 산출장치 및 방법
JP2008062791A (ja) * 2006-09-07 2008-03-21 Komatsu Ltd 燃費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685B2 (ja) * 1993-10-0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車両用画像データ演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205925A (ja) 1999-01-07 2000-07-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費表示装置
JP5162782B2 (ja) * 2000-08-0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4629377B2 (ja) 2003-09-02 2011-02-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US7116216B2 (en) * 2004-07-22 2006-10-03 Keith Andreasen Serial data gauge
JP2008056058A (ja) * 2006-08-30 2008-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荷役車両の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式荷役車両
JP4508182B2 (ja) * 2006-10-27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費表示装置
JP2008197076A (ja) * 2007-02-09 2008-08-28 Masaji Sasaki 燃費表示の方法及び装置
JP5381106B2 (ja) 2009-01-07 2014-01-08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の運転評価装置
US8082774B2 (en) * 2009-02-16 2011-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vehicle fuel display
WO2011074672A1 (ja) * 2009-12-18 2011-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モニタ装置
US8228180B2 (en) * 2010-04-02 2012-07-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uel efficiency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243A (ko) * 2005-10-07 2007-04-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가동가능시간 산출장치 및 방법
JP2008062791A (ja) * 2006-09-07 2008-03-21 Komatsu Ltd 燃費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6988A1 (ja) 2013-04-04
CN103124655B (zh) 2016-03-23
KR20130069732A (ko) 2013-06-26
CN103124655A (zh) 2013-05-29
JP5337220B2 (ja) 2013-11-06
US9026317B2 (en) 2015-05-05
US20140058635A1 (en) 2014-02-27
DE112012004077T5 (de) 2014-07-03
DE112012004077B4 (de) 2022-10-20
JP2013075551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679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CA2805370C (en) Load display device for dump truck
JP5878777B2 (ja) 路面管理システム
KR101691317B1 (ko) 작업 차량의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7984574B2 (en) Construction vehicle with rear object detection
US9702121B2 (en) State information display for work machine, caution-sign displaying method for work machine, and caution-sign displaying program for work machine
US20140190046A1 (en) Work vehicle, work vehicl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work vehicle display device, backhoe loader, backhoe load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ckhoe loader display device
US20160224227A1 (en) Indication Display System
KR101747274B1 (ko) 휠식 작업 기계
WO2020065996A1 (ja) 電動式建設機械
US10026242B2 (en) Status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wheeled work vehicle, maintenance-screen display method for wheeled work vehicle, and maintenance-screen display program for wheeled work vehicle
JP2011157751A (ja) 油圧作業機
JP201506810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5121161A (ja) 作業機械の省エネ運転支援装置
JP2016217300A (ja) 作業車両
JP2003002075A (ja) 農業用作業車
JP2006111056A (ja) 作業車両の燃料表示装置
JP2016037112A (ja) 作業車両、及び運転可能時間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