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274B1 - 휠식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휠식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274B1
KR101747274B1 KR1020140033393A KR20140033393A KR101747274B1 KR 101747274 B1 KR101747274 B1 KR 101747274B1 KR 1020140033393 A KR1020140033393 A KR 1020140033393A KR 20140033393 A KR20140033393 A KR 20140033393A KR 101747274 B1 KR101747274 B1 KR 10174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veling
section
display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028A (ko
Inventor
유키 고토
게이이치로 나카무라
유타카 와타나베
히데노부 츠카다
긴야 오다기리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E02F5/145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control and 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주행시에 차량의 주변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휠식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휠식 유압 셔블(1)은, 후방 감시 카메라(9)와,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11)와, 차량의 주행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주행 조작부(12)와, 모니터 장치(11)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와, 주행 조작부(12)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주행 조작부(12)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가능 판정부(22)를 구비하고, 모니터 장치(11)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화면(11a)과, 기본 정보 이외의 정보를 제1 표시 화면(11a)의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제2 표시 화면(11b)을 가지고,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조작부(12)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11b)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표시 전환 판정부(25)를 갖는다.

Description

휠식 작업 기계{WHEEL TYPE WORK MACHINE}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를 구비한 휠식 유압 셔블 등의 휠식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식 유압 셔블 등의 휠식 작업 기계는,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주행시키는 주행체와, 차량의 전부(前部)에 설치되어,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는 프론트 작업기와, 이 프론트 작업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작자가 프론트 작업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승차하는 캡과, 이 캡 내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차체 상태의 확인을 촉구하는 서비스 메시지나 작업에 관한 연락을 행하는 알림 메시지 등의 복수의 정보가 있지만, 캡 내의 조작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도록, 종래부터 조작자가 차량의 가동 상황에 따라 모니터 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을 적절히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휠식 작업 기계의 주행체는, 차량의 전부에 설치된 전륜과, 차량의 후부에 설치된 후륜을 가지고 있고, 휠식 작업 기계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행할 뿐만 아니라, 공도(公道)를 주행하여 작업 현장까지 이동할 수 있으므로, 도로교통법 등의 규정이 적용되어,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스피드 미터 등의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캡 내의 모니터 장치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휠식 작업 기계의 주행시에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가 모니터 장치에 표시해야 할 정보로서 선택된다.
이러한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모니터 장치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휠식 작업 기계의 종래 기술의 하나로서, 차량의 주행 방향의 전환 위치로서, 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후퇴 위치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나 차량을 발진시키는 주행 페달 등의 차량의 주행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주행 조작부와, 조작자가 조작하여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을 전환하는 전환부와,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따라,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는, 이 종래 기술의 휠식 작업 기계의 모니터 제어부는,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가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를 나타내는 전진 위치 또는 후퇴 위치로 전환된 후, 주행 페달이 밟아지기 이전에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을 강제적으로 주행시의 표시 화면으로 고정하고, 전환부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 제어부에 의해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이 주행시의 표시 화면으로 고정되므로,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모니터 장치에 확실하게 비출 수 있다.
여기서, 휠식 작업 기계는, 선회체로부터 전방으로 신장되는 프론트 작업기나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방에 배치된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캡 내의 조작자에게 있어서 차량의 주변의 시계가 가로막히기 쉽다. 그 때문에, 차량의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휠식 작업 기계에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 기술의 휠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의 주행시의 표시 화면으로서,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에 더하여,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481261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휠식 작업 기계는,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이 하나밖에 없고, 스피드 미터 등의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 및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포함하는 각 정보의 표시가,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을 전환함으로써 행하여지므로, 이들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와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의 동일 화면상에 동시에 비출 수 없다.
그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가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면, 감시 카메라의 영상은, 이 기본 정보와 마찬가지로 주행시에 모니터 장치에 표시해야 할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지 않게 되므로, 캡 내의 조작자는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운전석으로부터 차량의 주변을 확인하기 어려워져, 조작자의 확인 작업의 부담이 커지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의 휠식 작업 기계는,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모니터 장치의 표시 화면에 비추는 정보에 우선 순위를 매길 수 없어, 모니터 장치가 충분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행시에 차량의 주변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휠식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휠식 작업 기계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와, 이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와, 상기 차량의 주행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주행 조작부와, 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구비한 휠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가능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화면과, 상기 복수의 정보 중 상기 기본 정보 이외의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화면의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제2 표시 화면을 가지고,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우선 표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가 제1 표시 화면과 제2 표시 화면을 가지고, 이들 표시 화면 중 제1 표시 화면에 차량의 주행시에 필요한 스피드 미터 등의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기본 정보를 전환하지 않고, 타방의 제2 표시 화면에 기본 정보 이외의 정보를 동시에 비출 수 있다. 또, 주행 가능 판정부는,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주행 조작부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제어부의 우선 표시부는,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함으로써, 가령 조작자로부터 직접 보이기 어려운 부분이나 사각(死角)이 되는 부분이 있어도, 조작자는 제2 표시 화면에 비추어진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행시에 차량의 주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확인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작부는, 차량을 발진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란,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아짐으로써 상기 차량을 발진시킬 수 있는 상태이며, 상기 우선 표시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통상, 조작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음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개시하지만,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아지기 전단계의 상태에서도, 예를 들면 언덕길을 자주(自走)하는 타성(惰性) 주행과 같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 제어부의 우선 표시부는,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아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조작자는 차량의 주행시에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에도,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지 않으면, 상기 우선 표시부에 의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우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구성한 본 발명은,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지 않으면, 조작자에게 차량을 발진시킬 의사가 없고, 조작자가 차량을 주행시키기 전에 다른 작업을 행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 제어부가 우선 표시부에 의한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우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무효로 함으로써, 모니터 장치의 제2 표시 화면에 감시 카메라의 영상 이외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트랜스미션의 기어와, 이 기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기어 회전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는, 상기 기어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기어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상기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구성하면, 주행 상태 판정부는, 기어 회전수 검출부에 의한 트랜스미션의 기어의 회전수로부터 차륜의 구동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상태의 정확한 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식 작업 기계에 의하면, 모니터 장치의 제1 표시 화면에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한 뒤, 모니터 제어부의 우선 표시부는,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복수의 정보의 중에서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의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제2 표시 화면의 영상으로부터 주행시에 차량의 주변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조작자의 확인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처럼,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를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휠식 작업 기계의 주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든 휠식 유압 셔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에 의한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며, 특히 순서 S1∼순서 S6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에 의한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며, 특히 순서 S7∼순서 S17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휠식 작업 기계의 일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식 유압 셔블(1)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휠식 유압 셔블(1)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주행시키는 주행체(2)와, 이 주행체(2)의 상측에 배치되어, 선회 프레임(3a)을 가지는 선회체(3)와, 이 선회체(3)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는 프론트 작업기(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론트 작업기(5)는, 예를 들면 기단이 선회체(3)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붐(5A)과, 이 붐(5A)의 선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5B)과, 이 아암(5B)의 선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5C)과, 붐(5A)을 회전 운동시키는 붐 실린더(5a)와, 아암(5B)을 회전 운동시키는 아암 실린더(5b)와, 버킷(5C)을 회전 운동시키는 버킷 실린더(5c)로 구성되어 있다.
또, 선회체(3)는, 전부에 배치되어, 조작자가 승차하여 주행체(2)의 조작 및 프론트 작업기(5)의 조작 등이 이루어지는 캡(6)과, 후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카운터 웨이트(7)와, 이들 캡(6)과 카운터 웨이트(7)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시 생략한 엔진을 저장하는 엔진 룸(8)과,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감시 카메라는, 예를 들면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7)의 상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감시 카메라(9)로 이루어져 있다.
주행체(2)는, 선회체(3)의 전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전륜(4a)과, 선회체(3)의 후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륜(4b)과, 엔진의 출력축에 토크 컨버터를 개재하여 장착된 트랜스미션의 기어(4c)와, 이 기어(4c)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기어 회전수 검출부로서의 트랜스미션 센서(1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진의 구동력이 트랜스미션의 기어(4c)를 개재하여 전륜(4a) 및 후륜(4b)에 전달되어, 이들 전륜(4a) 및 후륜(4b)이 회전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하게 되어 있다.
캡(6)은, 조작자가 착좌하는 운전석(도시 생략)과, 운전석에 대향하도록 전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11)를 가지고, 이 모니터 장치(11)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스피드 미터,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 잔량계, 및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작동유 온도계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화면(11a)과, 복수의 정보 중 기본 정보 이외의 정보를 제1 표시 화면(11a)의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제2 표시 화면(11b)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 표시 화면(11a)과 제2 표시 화면(11b)은, 예를 들면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제1 표시 화면(11a)의 하방에 제2 표시 화면(11b)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되는 복수의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후방 감시 카메라(9)에 의해 촬영된 영상, 필터 엘레먼트(도시 생략) 등의 소모품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의 확인을 촉구하는 서비스 메시지, 머플러 필터(도시 생략)의 재생 작업 등을 행하는 취지의 연락을 포함하는 작업에 관한 연락을 행하는 알림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또, 캡(6)은, 모니터 장치(11)의 근방에 설치되고,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하는 정보를 전환하는 지시를 행하는 전환 스위치(11c)와, 차량의 주행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주행 조작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주행 조작부(12)는, 차량을 발진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은, 예를 들면 캡(6) 내의 조작자의 밟음량에 따라, 차량의 주행 속도 및 가속도를 조정하는 주행 페달(12a)로 이루어져 있다.
주행 조작부(12)는, 차량의 주행 방향의 전환 위치로서, 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후퇴 위치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와,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페달(12c)과, 차량을 제동하여 정지 상태로 유지하여, 차량을 주차시키는 브레이크 스위치(12d)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캡(6)에는, 이 외에도 도시 생략하였으나, 프론트 작업기(5)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나 주행 중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차량의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 핸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선회체(3)는, 주행 조작부(12)에 의한 입력에 따라, 모니터 장치(11)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로서의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와, 이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에 접속되어,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컨트롤러(16)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에 접속되어, 주행체(2)의 동작 및 프론트 작업기(5)의 동작 등을 포함하는 차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컨트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는, 상기 서술한 복수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도시 생략)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차체 제어 컨트롤러(17)는, 예를 들면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페달(12a)의 입력에 따라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조작 판정부(21)와, 이 주행 조작 판정부(21)에 접속되어,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 브레이크 페달(12c), 및 브레이크 스위치(12d)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와, 이들 주행 조작 판정부(21) 및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접속되어, 차량이 주행하고 있거나,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상태 판정부(23)를 가지고 있다.
이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예를 들면 트랜스미션 센서(10)에 접속되어, 이 트랜스미션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트랜스미션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주행 조작 판정부(21)는, 예를 들면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부(도시 생략)를 포함하고, 이 타이머부에서 시간을 계측하면서 주행 페달(12a)의 입력을 확인함으로써,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란, 예를 들면 주행 페달(12a)이 밟아짐으로써 차량을 발진시킬 수 있는 상태, 즉 브레이크 스위치(12d)가 해제되어 있는 것(OFF 상태), 브레이크 페달(12c)이 밟아져 있지 않은 것, 및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가 전진 위치 또는 후퇴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것을 모두 충족시키는 상태이다. 한편,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은, 예를 들면, 주행 페달(12a)이 밟아져도 차량을 발진시킬 수 없는 상태, 즉 브레이크 스위치(12d)가 작동하고 있는 것(ON 상태), 브레이크 페달(12c)이 밟아져 있는 것, 및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가 중립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것 중 어느 것을 만족시키는 상태이다.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는,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우선 표시부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우선 표시부는, 예를 들면 후방 감시 카메라(9), 엔진 제어 컨트롤러(16), 및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에 접속되고, 이들 후방 감시 카메라(9), 엔진 제어 컨트롤러(16), 및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해야 할 정보의 우선 순위로서 나타내어지는 우선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우선도가 높은 순서대로 제2 표시 화면(11b)의 표시를 전환하는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11b)에 우선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고,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예를 들면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된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고, 주행 페달(12a)에 의한 입력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지 않으면, 즉 주행 조작 판정부(21)에 의해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지 않다고 판정된 때에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다른 정보보다 낮춤으로써, 표시 전환 판정부(25)에 의한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우선하여 표시하는 기능(이하, 편의적으로 우선 표시 기능이라고 부른다)을 무효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복수의 정보 중 판정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정보를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고, 우선 표시 기능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아졌을 때를 제외하고, 전환 스위치(11c)의 입력에 따라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하는 정보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표시 기능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아져 있을 때에는, 제2 표시 화면(11b)의 표시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1 표시 화면(11a)의 표시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의 제어를 도 3의 플로우 차트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순서 S1∼순서 S6의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캡(6) 내에 승차한 조작자가 모니터 장치(11)를 기동하면,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는, 스피드 미터, 연료 잔량계, 및 작동유 온도계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모니터 장치(11)의 제1 표시 화면(11a)에 표시한다(순서 S1). 다음으로,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가능 판정부(22)는,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 브레이크 페달(12c), 및 브레이크 스위치(12d)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2).
순서 S2에 있어서, 주행 가능 판정부(22)는,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하면(순서 S2에서 Yes),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3).
순서 S3에 있어서,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3에서 Yes),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그 후,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얻어진 판정 결과로부터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여,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4).
한편, 순서 S2에 있어서, 주행 가능 판정부(22)는,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2에서 No),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5).
순서 S5에 있어서,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5에서 Yes),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얻어진 판정 결과로부터 언덕길 등을 주행하는 타성 주행과 같이 조작자의 주행 페달(12a)의 조작을 따르지 않는 주행이 행하여지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여,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4).
한편, 순서 S5에 있어서,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5에서 No),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하고, 후술하는 순서 S7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 순서 S3에 있어서,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3에서 No),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를 개재하여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조작 판정부(21)는, 주행 페달(12a)의 입력에 따라,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6).
순서 S6에 있어서, 주행 조작 판정부(21)는,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순서 S6에서 Yes),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 이때, 얻어진 판정 결과로부터 차량이 정지하고 있어도 조작자에게 차량을 주행시킬 의사가 있고, 차량이 머지않아 발진한다고 생각되므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여,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4).
한편, 순서 S6에 있어서, 주행 조작 판정부(21)는, 차량을 발진시키는 조작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판정 결과의 신호를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로 출력한다(순서 S6에서 No). 이때, 얻어진 판정 결과로부터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조작자에게 차량을 주행시킬 의사가 없다고 생각되므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를 낮춤으로써, 후술하는 순서 S7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순서 S7∼순서 S17의 동작을 도 4의 플로우 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서 S7에서는,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우선도가 가장 높은 정보를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캡(6) 내의 조작자에 의해 전환 스위치(11c)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순서 S8). 이때,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전환 스위치(11c)가 입력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순서 S8에서 No), 순서 S7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순서 S8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전환 스위치(11c)가 입력된 것을 확인하면(순서 S8에서 Yes), 우선 표시 기능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9). 이때,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우선 표시 기능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면(순서 S9에서 Yes), 순서 S7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순서 S9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우선 표시 기능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표시의 우선도가 가장 높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9에서 No), 전환 스위치(11c)에 의해 서비스 메시지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10). 이때,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서비스 메시지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순서 S10에서 Yes), 서비스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11).
순서 S11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서비스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11에서 No), 서비스 메시지의 우선도를 낮추고, 순서 S7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순서 S11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서비스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순서 S11에서 Yes), 서비스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12).
한편, 순서(S10)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서비스 메시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10에서 No), 전환 스위치(11c)에 의해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13). 이때,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순서 S13에서 Yes), 알림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14).
순서 S14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알림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14에서 No), 알림 메시지의 우선도를 낮추고, 순서 S7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순서 S14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알림 메시지가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순서 S14에서 Yes), 알림 메시지를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15).
또, 순서 S13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13에서 No), 전환 스위치(11c)에 의해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순서 S16). 이때,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순서 S16에서 No), 순서 S7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순서 S16에 있어서,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순서 S16에서 Yes),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한다(순서 S17). 이처럼 하여,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에 의한 모니터 장치(11)의 표시 동작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니터 장치(11)가 제1 표시 화면(11a)과 제2 표시 화면(11b)을 가지고, 이들 표시 화면(11a, 11b) 중 제1 표시 화면(11a)에 스피드 미터, 연료 잔량계, 및 작동유 온도계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기본 정보를 제1 표시 화면(11a)에 표시한 상태에서 타방의 제2 표시 화면(11b)에 기본 정보 이외의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 서비스 메시지, 및 알림 메시지 중 어느 것을 동시에 비출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표시 화면(11b)은 제1 표시 화면(11a)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이 제2 표시 화면(11b)의 전체에 비추어지므로, 캡(6) 내의 조작자가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모니터 장치(11)로부터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다. 또, 차체 제어 컨트롤러(17)의 주행 가능 판정부(22)는, 주행 조작부(12)의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12b), 브레이크 페달(12c), 및 브레이크 스위치(12d)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의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11b)에 우선하여 표시함으로써, 가령 조작자로부터 직접 보이기 어려운 부분이나 사각이 되는 부분이 있어도, 조작자는 제2 표시 화면(11b)에 비추어진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행시에 차량의 주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확인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처럼,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모니터 장치(11)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므로, 휠식 유압 셔블(1)의 주행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우수한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표시 전환 판정부(25)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의 우선도를 최상위로 높임으로써,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의 우선도가 가장 높다고 판정하여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제2 표시 화면(11b)에 우선하여 표시함으로써, 언덕길을 자주하는 타성 주행과 같이 주행 페달(12a)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킬 때에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페달(12a)이 밟아져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조작자는 차량의 주행시에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을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휠식 유압 셔블(1)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15)는, 주행 가능 판정부(22)에 의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에도,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어, 주행 페달(12a)에 의한 입력이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지지 않으면, 우선 표시 기능을 무효로 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차량을 주행시킬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 뒤에 제2 표시 화면(11b)에 있어서의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자가 차량을 주행시키기 전에 모니터 장치(11)의 제1 표시 화면(11a)으로부터 연료 부족이나 작동유 온도의 변화 등을 인지한 경우에는, 전환 스위치(11c)에 의해 서비스 메시지나 알림 메시지를 제2 표시 화면(11b)에 비추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처럼, 조작자의 작업 상황에 따라, 모니터 장치(11)의 표시 동작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엔진의 구동력이 트랜스미션의 기어(4c)를 개재하여 전륜(4a) 및 후륜(4b)에 전달되어, 이들 전륜(4a) 및 후륜(4b)이 회전하여 차량이 주행하므로, 트랜스미션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기어(4c)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한 차량의 주행 상태의 판정을 행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의 정확한 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행 상태 판정부(23)에 의한 차량의 주행 상태의 판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어느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 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본 실시 형태는, 캡(6)은, 모니터 장치(11)의 근방에 설치된 전환 스위치(11c)를 가지고, 조작자가 이 전환 스위치(11c)를 조작함으로써, 모니터 장치(11)의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하는 정보를 전환하는 지시를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환 스위치(11c) 대신, 제2 표시 화면(11b)이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조작자가 이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제2 표시 화면(11b)에 표시하는 정보를 전환하는 지시를 행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주행 상태 판정부(23)는, 트랜스미션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표시 화면(11a)에 있어서의 스피드 미터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주행 속도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정해도 되고, 또는 후방 감시 카메라(9)의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1: 휠식 유압 셔블(휠식 작업 기계) 2: 주행체
4a: 전륜 4b: 후륜
4c: 기어 6: 캡
9: 후방 감시 카메라(감시 카메라)
10: 트랜스미션 센서(기어 회전수 검출부)
11: 모니터 장치 11a: 제1 표시 화면
11b: 제2 표시 화면 11c: 전환 스위치
12: 주행 조작부 12a: 주행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
12b: 주행 전후진 전환 스위치 12c: 브레이크 페달
12d: 브레이크 스위치
15: 모니터 제어 컨트롤러(모니터 제어부)
16: 엔진 제어 컨트롤러 17: 차체 제어 컨트롤러
21: 주행 조작 판정부 22: 주행 가능 판정부
23: 주행 상태 판정부 25: 표시 전환 판정부(우선 표시부)

Claims (4)

  1.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와, 이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차량의 동작에 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와, 상기 차량의 주행 조작의 입력을 행하는 주행 조작부와, 이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니터 장치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구비한 휠식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가능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화면과,
    상기 복수의 정보 중 상기 기본 정보 이외의 정보를 상기 제1 표시 화면의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제2 표시 화면을 가지고,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우선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작부는, 차량을 발진시키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란,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아짐으로써 상기 차량을 발진시킬 수 있는 상태이며,
    상기 우선 표시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때에도,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화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 기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가능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정된 때에도,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고, 상기 주행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행하여지지 않으면, 상기 우선 표시부에 의한 상기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우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 기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트랜스미션의 기어와,
    이 기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기어 회전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상태 판정부는,
    상기 기어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기어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상기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식 작업 기계.
KR1020140033393A 2013-03-21 2014-03-21 휠식 작업 기계 KR101747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441A JP5805692B2 (ja) 2013-03-21 2013-03-21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JP-P-2013-058441 2013-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28A KR20140116028A (ko) 2014-10-01
KR101747274B1 true KR101747274B1 (ko) 2017-06-14

Family

ID=5154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93A KR101747274B1 (ko) 2013-03-21 2014-03-21 휠식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5692B2 (ko)
KR (1) KR101747274B1 (ko)
CN (1) CN104060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6655B (zh) 2014-12-26 2017-09-2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轮式作业车辆的状态信息显示装置、维护用画面的显示方法
WO2016038925A1 (ja) 2015-04-22 2016-03-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6608345B2 (ja) * 2016-09-28 2019-11-2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7197342B2 (ja) * 2018-12-13 2022-12-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作業機械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7295785B2 (ja) * 2019-11-21 2023-06-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路面状況監視システム、作業車両、路面状況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751A (ja)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162335A (ja) * 2006-12-27 2008-07-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2011179180A (ja) 2010-02-26 2011-09-15 Komatsu Ltd 作業機を備えた建設車両
JP2011231489A (ja) * 2010-04-26 2011-11-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172U (ko) * 1985-05-24 1986-12-05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6007867A (ja) * 2004-06-23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映像表示装置
US8345926B2 (en) * 2008-08-22 2013-01-01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Three dimensional scanning arrangement including dynamic updating
JP5376223B2 (ja) * 2009-05-18 2013-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751A (ja)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162335A (ja) * 2006-12-27 2008-07-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2011179180A (ja) 2010-02-26 2011-09-15 Komatsu Ltd 作業機を備えた建設車両
JP2011231489A (ja) * 2010-04-26 2011-11-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05692B2 (ja) 2015-11-04
CN104060644A (zh) 2014-09-24
CN104060644B (zh) 2017-10-10
JP2014181543A (ja) 2014-09-29
KR20140116028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274B1 (ko) 휠식 작업 기계
KR101508079B1 (ko)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 장치,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건설 기계의 정보 표시용 컴퓨터 프로그램
JP4332028B2 (ja) 表示器制御システム
US9702121B2 (en) State information display for work machine, caution-sign displaying method for work machine, and caution-sign displaying program for work machine
JP5572770B1 (ja) 作業車両の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20130069732A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탑재한 작업 기계
JPWO2017047654A1 (ja) ショベル
JP453527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7003107B2 (ja) ショベル
JP4569739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23158184A (ja) モータグレーダ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812613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5011150B2 (ja) 作業車両の表示装置
JP2011157751A (ja) 油圧作業機
US10026242B2 (en) Status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wheeled work vehicle, maintenance-screen display method for wheeled work vehicle, and maintenance-screen display program for wheeled work vehicle
JP4958543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12188899A (ja) 建設機械
JP5677672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EP4179159A1 (en) Method for aiding the orientation and adjusting of a work tool and work vehicle for perform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