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7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70B1
KR101449970B1 KR1020070138424A KR20070138424A KR101449970B1 KR 101449970 B1 KR101449970 B1 KR 101449970B1 KR 1020070138424 A KR1020070138424 A KR 1020070138424A KR 20070138424 A KR20070138424 A KR 20070138424A KR 101449970 B1 KR101449970 B1 KR 10144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charging
control circuit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141A (ko
Inventor
료 아라사와
히로유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8006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7Static memory circuit, e.g. flip-fl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FPC 등의 유선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고, 그 표시화상이 무선통신장치와의 통신범위 밖이어도 유지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신호를 유지하는 것으로 표시화상을 일정기간 동안 계속 유지한다.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회로를 갖는 화소회로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안테나회로와, 복호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와,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와,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와, 충전 제어회로와, 전압공급 제어회로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를 적어도 갖는 표시 장치로 한다.
Figure R1020070138424
유선케이블, 표시 장치, 화소회로, 충전 제어회로, 전압공급 제어회로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 범위 밖에 있어서도 표시 화상을 일정 시간 유지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계 또는 전파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체식별 기술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갱신하는 반도체장치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택을 이용한 개체식별 기술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RFID 택(이하, 간단히 RFID라고 함)은 IC(Integrated Circuit) 택, IC칩, RF 택, 무선 택, 전자 택이라고도 불린다. RFID를 사용한 개체식별 기술은 개개의 대상물의 생산, 관리 등에 유용하게 쓰이는 것을 비롯하여, 개체인증으로의 응용도 검토되고 있다.
RFID에는 정보를 포함한 전파 또는 전자파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외부로부터의 전파 또는 전자파(반송파)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패시브 타입(수동 타입)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패시브 타입에 있어서는 RFID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의 전파 또는 전자파(반송파)의 전력을 이용하여 만들어내어, 전지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대형 표시 장치의 증가로부터,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또한, 패시브 타입의 RFID의 응용으로서, 무선통신에 의해서 화상 신호를 직접 송신하는 표시 장치도 주목을 모으고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표시 장치는 무선통신 장치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있는 것이 전제이며, 무선통신 장치와의 통신 거리에 따라서는 전력을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항상 통신 가능한 거리를 유지한다는 제한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03376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18132호
RFID 택은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또는 전자파(반송파)를 수신하는 거리가 멀수록 공급되는 전파가 감쇠하여, 생성할 수 있는 전력이 적어진다. 또한, 통신 범위 밖에서는 전파 그 자체가 공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전력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RFID 택과 무선통신 장치의 통신 거리가 장거리인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고, 장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의 수신 전력 문제를 무시할 수 없다.
한편, 표시 장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서 형성된 구동회로나 컨트롤러 IC 등에 의해서, FPC 등을 통하여 비로소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FPC 등의 유선 케이블의 형상에 따라서, 그 자유도가 제한된다.
표시 장치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화상 신호의 수신 및, 전력 생성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표시 화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통신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표시 장치를 무선통신 장치와의 통신 범위 밖의 거리까지 이동시키면, 전력 공급이 끊어져, 표시 화상이 없어져 버린다.
본 발명은 FPC 등의 유선 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고, 그 표시 화상이 무선통신 장치와의 통신 범위 밖이어도 유지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신호를 유지함으로써 표시 화상을 일정 기간 동안 계속 유지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하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회로를 갖는 화소회로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안테나회로와,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와,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와,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와, 충전 제어회로와, 전압공급 제어회로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를 적어도 갖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하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화소회로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안테나회로와,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와,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로 제 2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 제어회로와, 전압공급 제어회로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를 갖고, 상기 화소회로에는 유지용량으로서 SRAM 회로를 갖고,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에 제 2 전압을 공급하는 표시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화소회로에는 SRAM회로, 선택 TFT, 구동 TFT, 주사선, 신호선, 전원선, 그라운드선(GND선이라고도 부름), SRAM 전원선, 표시 소자, 및 대향 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선택 TFT의 한쪽의 전극에는 상기 SRAM 회로의 제 1 TFT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TFT의 드레인 전극 및, 상기 구동 TFT의 게이트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선택 TFT의 다른 한쪽의 전극에는 상기 신호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구동 TFT의 한쪽의 전극에는 상기 표시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구동 TFT의 다른 한쪽의 전극에는 상기 전원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SRAM 회로의 제 1 TFT의 소스 전극에는 상기 SRAM 전원선이 접속되고, 상기 SRAM 회로의 제 2 TFT의 소스 전극에는 상기 그라운드선이 접속되고, 상기 SRAM 회로에서 상기 신호선의 화상 신호를 유지한다.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는 상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의 양쪽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는 제 1 복조회로와 제 2 복조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조회로에서 생성한 복조신호를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복조회로에서 생성한 복조신호를 상기 충전 제어회로로 공급한다. 이러한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안테나회로를 1개 형성하는 것만으로,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를 제어하는 신호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 및,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및,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에서 선택된 전압을,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 공급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에 유지용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에서 선택된 전압을,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 공급할 때에 생기는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전압 무공급 기간의 전압 공급을 보충한다.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에 유지용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의 구동이 정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는 전압 비교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회로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그라운드 전압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전압치와 비교하여, 충전회로의 충전 중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전압 공급의 정지, 또는,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전압 공급중은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는 충전회로에 대한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는 카운터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전압 공급 개시로부터 일정 기 간 경과한 후에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전압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는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의 불필요한 전압 공급을 피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 복수의 안테나를 형성하여도 좋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하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는 화소회로와,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제 1 안테나회로와, 제 2 안테나회로와,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와,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와,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와,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에서 생성된 전압으로부터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로 제 2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 제어회로와, 전압공급 제어회로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화소회로에는 유지용량으로서 SRAM 회로를 갖고,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는 제 2 전압을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회로로 공급하는 표시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회로는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와 다른 형상으로, 제 1 안테나회로와는 독립적으로 수신하는 무선신호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로 충전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안테나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안테나회로가 무선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있어도, 충전회로로의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로부터 생성된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회로로부터 생성된 전압은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로 공급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SRAM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한번 화상 신호를 수신해 두면,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력이 없어질 때까지, 화상 신호에 대응한 표시 화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무선 충전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충전회로로의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한 경우, 무선 충전회로는 표시 장치로의 전압 공급에 의해 전원으로서 작동하여, 표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반드시 항상 표시 장 치와 무선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SRAM 회로와 무선 충전회로를 가짐으로써,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신호를 SRAM 회로에서 유지하고, 동시에 무선 충전회로를 충전하고, 충전된 무선 충전회로는 표시 장치로의 전압 공급에 의해 전원으로서 작동하여, 표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를 구동시킬 때, 반드시 항상 표시 장치와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할 필요는 없고, 한번 충전하면, 표시 장치가 무선통신 장치와의 통신범위 밖이어도, SRAM 회로에서 유지하고 있는 화상 신호와, 무선 충전회로로부터의 전압 공급에 의해서, 어떤 일정 기간 동안 독립적으로 표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를 형성하고, 충전 제어회로를 제어하고, 충전회로로 충전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 충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내에 카운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충전회로에 충전된 전압을, 일정 시간 전압 공급한 후 자동으로 전압 공급을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압 공급을 억제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상이 다른 안테나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표시 장치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이어도, 충전만을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 형태 및 상세를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안테나와 리더/라이터 간에서 송수신되는 반송파의 주파수는 125kHz, 13.56MHz, 915MHz, 2.45GHz 등이 있고, 각각 ISO 규격 등으로 설정된다. 물론, 안테나와 리더/라이터 간에서 송수신되는 반송파의 주파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서브밀리파인 300GHz 내지 3THz, 밀리파인 30GHz 내지 300GHz, 마이크로파인 3GHz 내지 30GHz, 극초단파인 300MHz 내지 3GHz, 초단파인 30MHz 내지 300MHz, 단파인 3MHz 내지 30MHz, 중파인 300kHz 내지 3MHz, 장파인 30kHz 내지 300kHz, 및 초장파인 3kHz 내지 30kHz의 어느 주파수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의 변조 방식은 아날로그 변조나 디지털 변조이어도 좋고, 진폭 변조, 위상 변조, 주파수 변조, 및 스펙트럼 확산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송 방식은 전자 결합 방식, 전자 유도 방식 또는 전파 방식, 광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송 방식은 실시자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고, 전송 방식에 따라 적합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안테나를 형성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신호의 전송 방식으로서, 전파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파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송 방식으로서 전자 결합 방식 또는 전자 유도 방식(예를 들면, 13.56MHz대)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계 밀도의 변화에 의한 전자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도전막을 고리형(예를 들면, 루프 안테나) 또는 나선형(예를 들면, 스파이럴 안테나)으로 형성한다. 전송 방식으로서 전파 방식의 일종인 마이크로파 방식(예를 들면, UHF대(860 내지 960MHz대) 또는 2.45CHz대 등)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을 고려하여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도전막의 길이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도전막을 예를 들면, 선형(예를 들면, 다이폴 안테나), 평탄한 형상(예를 들면, 패치 안테나)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도전막의 형상은 선형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파의 파장을 고려하여 곡선형상이나 꾸불꾸불한(蛇行) 형상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TFT의 소스 및 드레인은 TFT의 구성상, 게이트 이외의 전극을 편의상 구별하기 위해서 채용되어 있는 명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TFT의 극성에 한정되지 않는 구성인 경우, 그 극성을 고려하면, 소스 및 드레인의 명칭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소스 또는 드레인을 한쪽의 전극 및 다른 한쪽의 전극의 어느 하나로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
도 1에 본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는 무선통신 장치인 리더/라이터(101)와, 표시 장치(110)에 의해서 구성된다.
표시 장치(110)는 표시부(102),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 안테나회로(105), 신호처리회로(119), 전원 생성부(108)에 의해서 구성된다.
신호처리회로(119)는 복조회로(107), 정류회로(106), 제어부(109)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전원 생성부(108)는 정전압회로(112), 복조회로(113), 충전 제어회로(115), 전압공급 제어회로(116),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 충전회로(111), 전압 선택회로(118)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전압 선택회로(118)는 유지용량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정류회로(106)를 공유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변조된 반송파(이하, 무선신호라고도 함)를 안테나회로(105)가 수신한다. 통상, 무선통신신호는 13.56MHz, 915MHz 등의 캐리어에 진폭 변조, 위상 변조 등의 처리를 하여 보내진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신호를 13.56MHz로 하는 경우는 충전회로(111)를 충전하기 위한 리더/라이터(101)로부터의 전자파의 주파수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충전을 위한 신호와, 통신을 위한 신호를 동일한 주파수대로 함으로써 안테나회로(105)를 공유로 할 수 있다. 안테나회로(105)를 공유화함으로써, 표시 장치(11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안테나회로(105)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정전압회로(112)를 거쳐서 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압은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된다.
전압 선택회로(118)에서 선택한 전압은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된다.
안테나회로(105)에서 수신한 변조된 다른 한쪽의 무선신호는 복조회로(107)에 의해 복조되고, 제어부(109)에 공급된다.
제어부(109)에서는 제어신호(클록, 스타트 펄스, 화상신호 등)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되어, 표시부(102)에는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복조회로(113)를 거쳐서, 충전회로(111)에도 공급된다. 충전회로(111)의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한 경우, 충전 전압은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된다.
전압 선택회로(118)는 리더/라이터(101)와 표시 장치(110)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 또는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는 경우와, 또는 리더/라이터(101)와 표시 장치(110)가 통신 범위 밖에 있고, 또 충전회로(111)의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와, 또는 충전회로(111)의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등에,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어느 한쪽의 전압을 선택한다.
또한,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된 경우는 공급된 전압을 그대로 선택한다.
전압 선택회로(118)가 전압을 선택하는 순간, 전압 선택회로(118)로부터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이 생기지만, 이 기간은 표시부(102)중의 유지용량이 유지되고 있는 전압으로 표시부(102)의 구동을 보충하고 있다.
전압 선택회로(118)는 처음에 표시부(102)를 제어하기 위해서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압 선택회로(118)가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선택하는 것은 이미 표시부(102)의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고, SRAM 회로에 의해 화상 신호의 유지상태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시부(102)의 제어에는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SRAM 회로에 의해서 화상 신호를 유지하기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어, 더욱 긴 시간 표시 화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 내에 카운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일정 기간 전압을 공급한 후 자동으로 전압 공급을 정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을 억제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2에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표시부(102)를 제어하는 경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 도면중의 점선 화살표는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 선택회로(118)로의 전압 공급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변조된 반송파(이하, 무선신호라고도 함)를 안테나회로(105)가 수신한다. 안테나회로(105)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정전압회로(112)를 거쳐서 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압은 전압 선택회 로(118)에 공급된다.
한편,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복조회로(113)를 거쳐서, 충전회로(111)에도 공급된다. 충전회로(111)의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한 경우,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 의해서, 충전 전압을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하지 않도록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를 제어한다.
전압 선택회로(118)는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한다.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제어부(109)에서는 제어신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되어, 표시부(102)에는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3에 충전회로(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표시부(102)의 표시를 유지하는 경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충전회로(111)의 충전이 완료한 후에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전자파의 송신이 정지된 경우, 또는 리더/라이터(101)와 표시 장치 (110)가 무선통신 범위 밖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표시 장치(110)의 ×표시가 붙은 화살표는 전력 및 전압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변조된 반송파(이하, 무선신호라고도 함)를 안테나회로(105)가 수신한다. 안테나회로(105)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정전압회로(112)를 거쳐서 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압은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된다.
전압 선택회로(118)에서 선택한 전압은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된다. 안테나회로(105)에서 수신한 변조된 다른 한쪽의 무선신호는 복조회로(107)에 의해 복조되고, 제어부(109)에 공급된다.
제어부(109)에서는 제어신호(클록, 스타트 펄스, 화상 신호 등)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되어, 표시부(102)에는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정류회로(106), 복조회로(113)를 거쳐서, 충전회로(111)에도 공급된다. 충전회로(111)의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한 경우, 충전 전압은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된다.
전압 선택회로(118)가 전압을 선택하는 순간, 신호처리회로(119)에 형성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기간이 생기지만, 이 기간은 표시부(102)의 유지용량이 유지하고 있는 전압으로 표시부(102)의 구동을 보충하고 있다.
또한,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 내에 카운터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일정 기간 전압 공급한 후 자동으로 전압 공급을 정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을 억제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와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 의해서 제어되고,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 실시형태 3의 어느 하나의 구동이 행하여진다.
(실시형태 4)
도 4에 제 1 안테나회로(105)와 제 2 안테나회로(401)를 갖는 경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2 안테나회로(401)는 외부에 무작위로 발생하는 전자파를 수신하고, 제 1 안테나회로(105)는 리더/라이터(101)로부터 발신된 특정한 파장을 갖는 전자파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제 1 안테나회로(105)와 다른 전자파를 수신하기 위해서, 제 2 안테나회로(401)는 제 1 안테나회로(105)와 다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안테나회로(401)는 외부에 무작위로 발생하는 미약한 전자파를 수신하고, 정류회로(402)를 통하여 충전회로(111)에 일정한 시간을 들여 조금씩 충전한다. 또,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는 충전회로(111)의 충전상황을 감시하여, 충전 제어회로(115),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형성된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충전회로(111)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충전회로(111)에 충전된 전압은 전압 선택회로(118)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리더/라이터(101)로부터 발신된 특정한 파장을 갖는 전자파를 제 1 안테나회로(105)가 수신한다. 또, 신호처리회로(119)에 정류회로(106), 전원 생성부(108)에 정전압회로(112)를 형성함으로써, 제어부(109)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충전회로(111)를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10)에 형성된 무선 충전회로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을 들여 전자파를 수신하여 충전회로(111)를 충전하고, 축전(蓄電)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충전회로(111)의 충전에 이용하는 전자파가 미약한 경우라도, 충전회로(111)로부터 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외부에 무작위로 발생하고 있는 미약한 전자파를 제 2 안테나회로(401)에서 수신하여 충전회로(111)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제시한 표시 장치(110)는 매우 유효하게 된다.
(실시형태 5)
도 5a에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는 복조신호(503)와 정류후 전압(504)이 입력된다. 또한, 전압 비교회로(501)가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입력에는 기준전압(505)이, 또 한쪽의 입력에는 충전회로(111)의 전압이 공급된다.
충전전압이 기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는 충전 제어회로(115)이, 충전전압이 기준전압에 도달하고 나서는 전압공급 제어회로(116)가 제어되도록, 전압 비교회로(501)로부터 충전 제어회로(115)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제어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는 카운터회로(502)도 설치되어 있고, 충전 제어회로(115)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이 공급된다. 카운터회로(502)는 있는 일정수의 카운트 후,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제어 전압을 공급한다. 카운터회로(502)로부터 공급된 제어 전압에 의해,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의 전압 공급을 정지시킨다.
(실시형태 6)
도 5b에 전압 선택회로(118)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압 선택회로(118)에는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전압 대소 비교회로(506)가 설치되어 있고, 전압 대소 비교회로(506)의 한쪽의 입력에는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이, 또 한쪽의 입력에는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압이 공급된다.
입력된 정전압 및, 충전 전압은 전압 대소 비교회로(506)에 의해서 비교되어, 큰 전압이 선택후 전압(507)으로서 신호처리회로(119)에 설치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된다.
또한,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그 입력이 그라운드 전압(GND 전압이라고도 부름)이 되도록 스위치 등 을 설치하여 두면, 전압 선택회로(118)에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어느 한쪽의 전압밖에 공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공급된 전압과 GND 전압의 대소 비교를 하기 위해서, 공급된 전압을 그대로 선택후 전압(507)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도 6에 안테나회로(105)가 리더/라이터(101)로부터의 전자파를 수신하고, 충전회로(111)에 대한 충전 동작을 하여, 표시부(102)를 제어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 여기에서는 또한, 충전 제어회로(115)에 제 1 스위치가 설치되고,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제 2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충전회로(111)의 충전이 완료할 때까지의 기간은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으로 표시부(102)의 제어를 하고 있다.
우선,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전자파가 송신되면(601), 안테나회로(105)가 리더/라이터(101)로부터 송신된 전자파의 수신을 개시한다(602). 다음에,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는 충전회로(111)의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소정의 전압치(예를 들면, Vx) 이상인지 미만인지를 전압 비교회로(501) 등으로 확인한다(603). 그리고, 충전회로(111)의 전압이 Vx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전회로(111)의 전력을 다른 회로에 공급하지 않도록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에 설치된 제 2 스위치를 오프로 한다(604).
다음에, 제 1 스위치가 ON되어(605), 충전회로(111)의 충전이 개시된다(606). 충전 중에는 충전회로(111)의 충전 상황을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 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117)에 의해 감시하여, 충전회로(111)의 전압치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충전회로(111)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치 이상이 된 경우에, 충전 제어회로(115)에 설치된 제 1 스위치를 OFF하여(607), 충전을 정지한다(608).
다음에, 제 1 스위치의 OFF와 동시에 제 2 스위치를 ON하여(609),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를 통해서 전압 선택회로(118)에 전압을 공급한다.
전압 선택회로(118)에 정전압회로(112)와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어 있는지를 전압 선택회로(118)에서 판정하고(610), 그 직후에 전압 선택을 한다.
전압 선택회로(118)에 정전압회로(112)와 전압공급 제어회로(116)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 공급되어 있는 전압을 전압 대소 비교회로에서 비교하여, 큰 쪽의 전압을 선택한다(611). 충전전압이 소정의 전압을 초과한 경우, 정전압회로(112)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전압이 정전압이기 때문에, 거의 충전전압이 선택되지만, 충전전압이 정전압 미만이 된 경우에는 대소관계가 역전하여, 정전압이 선택된다.
또한, 전압 선택회로(118)에 정전압회로(112)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116)의 어느 한쪽의 전압밖에 공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그대로 공급된 전압을 선택한다(612).
전압 선택회로(118)에서 선택한 전압은 신호처리회로(119)에 설치된 회로 및, 주사선 제어회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 공급된다(613).
전압을 공급된 신호처리회로(119)에 설치된 제어부(109) 및, 주사선 제어회 로(103), 신호선 제어회로(104)에서 제어 신호 등을 생성하여, 표시부(102)의 제어를 한다(614).
도 7에 리더/라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리더/라이터(701)는 수신부(702), 송신부(703), 제어부(704), 인터페이스부(705), 안테나회로(70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704)는 인터페이스부(705)를 통한 리더/라이터 제어장치(707)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처리 명령, 데이터 처리 결과에 관해서, 수신부(702), 송신부(703)를 제어한다. 송신부(703)는 표시 장치(110)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명령을 변조하여, 안테나회로(706)로부터 전자파로서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702)는 안테나회로(706)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 처리 결과로서 제어부(704)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리더/라이터(701)의 안테나회로(706)는 수신부(702) 및 송신부(703)에 접속되고, LC 병렬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안테나(709) 및 공진용량(710)을 갖는다. 안테나회로(706)는 수신시에, 표시 장치(110)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서 안테나회로(706)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전기적 신호로서 수신한다. 또한, 송신시에는 안테나회로(706)에 유도전류를 공급하여, 안테나회로(706)로부터 표시 장치(110)에 신호를 송신한다.
(실시형태 8)
표시부에는 표시 소자, 및 표시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회로를 구비한 화소가 복수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소회로는 TFT 등으로 구성되는 회로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SRAM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표시 소자를 EL 소자로 하여 구체적인 예를 실시형태에서 설명하지만, 표시 소자는 EL 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표시부(102)에는 신호선(801), 주사선(802), 전원선(803), SRAM 전원선(804), CND선(805), 선택 TFT(806), 구동 TFT(807), EL 소자(808), 대향 전극(809)이 설치되어 있고, EL 소자(808), 및 EL 소자(8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회로를 구비한 화소가 복수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회로는 SRAM 회로(810)를 구비하고 있고, 그 회로 내에는 제 1 TFT(813)로 구성되는 제 1 인버터(811)와 제 2 TFT(814)로 구성되는 제 2 인버터(812)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 TFT(806)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802)에 접속되고, 한쪽의 전극은 신호선(801), 또 한쪽의 전극은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 및, 제 1 인버터(811)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인버터(812)의 공유된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인버터(811) 및, 제 2 인버터(812)의 공유하지 않은 전극의 한쪽은 SRAM 전원선(804), 또 한쪽의 전극은 GND선(805)에 접속된다.
또한, 구동 TFT(807)의 한쪽의 전극은 전원선(803), 또 한쪽의 전극은 EL 소자(808)를 통해서 대향 전극(809)에 접속된다.
도 9에서, SRAM 회로(810)가 화상 신호를 유지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의 High는 정전위(여기에서는 5V), Low는 부전위(여기에서는 0V)를 나타내고 있고, 펄스 신호(901)는 0V/5V의 펄스로 하고 있지만, 물론 임의의 전위에서의 구동도 가능하며, 도면 중의 전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선(803), SRAM 전원선(804)에는 High가 입력되고, 신호선(801), GND선(805), 대향 전극(809)에는 Low가 입력되어 있다. 주사선(802)에 펄스 신호(901)가 입력된 경우, 선택 TFT(806)가 온되고, SRAM 회로(810)에는 Low가 입력된다. SRAM 회로(810) 내에는 제 1 TFT(813)로 구성된 제 1 인버터(811)와 제 2 TFT(814)로 구성된 제 2 인버터(81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인버터(811)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된 Low는 반전한 High를 출력하고, 제 2 인버터(81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된다. 또한, 제 2 인버터(81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된 High는 반전한 Low를 출력하고, 한쪽은 다시 제 1 인버터(811)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고, 또 한쪽은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된다.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에 Low가 입력되면, 구동 TFT(807)가 온되고, 전원선(803)은 EL 소자(808)를 통해서 대향 전극(809)과 접속되기 때문에, 전원선(803; High)과 대향 전극(809; Low)에는 전위차가 생겨, 전원선(803)으로부터 대향 전극(809)을 향해서 전류가 흘러, EL 소자(808)를 발광시킨다.
다음에, 펄스 신호(901)가 통과한 후(주사선(802)에 Low가 입력되는 것과 동의)의 상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전위상태로, 선택 TFT(806)의 게이트 전극에 Low가 입력되면, 선택 TFT(806)는 오프된다. 선택 TFT(806)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선(801)의 Low는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 및, SRAM 회로(810) 내의 제 1 인버터(811)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지 않게 되지만, SRAM 회로(810) 내의 제 1 인버터(811)와 제 2 인버터(812)가 서로 입출력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과 SRAM 회로(810) 내의 제 1 인버터(811)의 게이트 전극에 는 제 2 인버터(812)의 출력인 Low가 입력된다.
구동 TFT(807)의 게이트 전극에 Low가 입력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선(803)으로부터 대향 전극(809)을 향해서 전류가 흘러, EL 소자(808)를 발광시킨다.
이와 같이, 가령 선택 TFT(806)가 오프되어 있어도, 한번 신호선(801)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는, 다음에 선택 TFT(806)가 온되어, 새로운 화상 신호가 입력되거나, 전원이 끊어져 구동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801)에 Low가 입력된 경우에, 구동 TFT(807)가 온되어, EL 소자(808)가 발광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신호선(801)에 High가 입력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지만, 구동 TFT는 오프되어, EL 소자(808)는 비발광이 된다.
이상과 같이, SRAM 회로에 의해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SRAM 회로의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SRAM 회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인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발광 소자를 갖는 장치인 발광장치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의 소자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 표시 장치, 발광 소자 또는 발광장치에서는 EL 소자(유기물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EL 소자,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전자방출 소자, 액정 소자, 전자잉크, 전기영동 소자,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카본나노튜브 등, 전기자기적 작용에 의해, 콘트라스트, 휘도, 반사율, 투과율 등이 변화하는 표시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EL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로서는 EL 디스플레이, 전자방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로서는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나 SED 방식 평면형 디스플레이(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 액정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직시형 액정 디스플레이,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도 10과 같은 유원지나 테마파크 등의 어뮤즈먼트(amusement) 시설에서, 예를 들면 휴대 가능한 표시 장치로서 입장시에 대출되어, 주로 현재위치나 현재시각 표시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트랙션(attraction)의 설명이나 대기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리더/라이터(1001)는 각 에어리어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1005)는 현재위치를 알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임의의 리더/라이터(1001)로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지도 등을 펴는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리더/라이터(1001)가 어트랙션(1002) 부근에 있는 것은 어트랙션의 설명이나 대기시간 정보 등을, 레스토랑 또는 숍(1003) 부근에 있는 것은 메뉴표나 상품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1005)가 예정을 세우기 쉽기 때문에 유효하 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리더/라이터 1대로 동시에 복수인이 무선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충전과 같이 코드를 접속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1005)가 정보를 취득하면 일정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리더/라이터(1001)를 멀리 할 수 있어, 정보 취득 대기로 혼잡해지지 않는다.
또한, 각 에어리어 내에는 수납상자(1004)가 복수 설치되어 있어, 표시 장치가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임의의 수납상자(1004)에 방치하여도 좋고, 필요해진 경우에는 임의의 수납상자(1004)로부터 꺼내어도 좋다.
또한, 수납상자(1004)에는 무선 충전회로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파 또는 전자파를 송신하기 위한 리더/라이터(1001)가 설치되어 있고, 수납상자(1004) 내에 있는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충전회로의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대출된 표시 장치를 가지고 돌아갈 수 있다. 가지고 돌아가는 경우는 표시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있지만, 재방문시 또는 같은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어뮤즈먼트시설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표시 장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 2의 표시 장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 3의 표시 장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형태 4의 표시 장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5, 6의 전압 제어회로 및, 전압 선택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7의 플로차트도.
도 7은 리더/라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8의 SRAM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형태 8의 SRAM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리더/라이터 102 : 표시부
103 : 주사선 제어회로 104 : 신호선 제어회로
105 : 안테나회로 106 : 정류회로
107 : 복조회로 108 : 전원 생성부
109 : 제어부 110 : 표시 장치
111 : 충전회로 112 : 정전압회로
113 : 복조회로 115 : 충전 제어회로
116 : 전압공급 제어회로
117 : 충전 제어회로 및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118 : 전압 선택회로 119 : 신호처리회로
414 : 정류회로 420 : 안테나회로
501 : 전압 비교회로 502 : 카운터회로
505 : 기준전압 506 : 전압 대소 비교회로
507 : 선택후 전압 701 : 리더/라이터
702 : 수신부 703 : 송신부
704 : 제어부 705 : 인터페이스부
706 : 안테나회로 707 : 리더/라이터 제어장치
709 : 안테나 710 : 공진용량
801 : 신호선 802 : 주사선
803 : 전원선 804 : SRAM 전원선
805 : GND선 806 : 선택 TFT
807 : 구동 TFT 808 : EL 소자
809 : 대향 전극 810 : SRAM 회로
811 : 인버터 812 : 인버터
813 : TFT 814 : TFT
913 : 펄스 신호 1001 : 리더/라이터
1002 : 어트랙션 1003 : 숍
1004 : 수납상자 1005 : 이용자

Claims (18)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표시부 내의 화소회로로서, SRAM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화소회로;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제 1 회로;
    안테나회로;
    상기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
    상기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제 3 회로;
    상기 제 3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제 4 회로;
    상기 제 3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의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대한 상기 제 2 전압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회로;
    전압공급 제어회로;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제 5 회로; 및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 6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는 상기 제 6 회로에 상기 제 2 전압을 공급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는 상기 제 4 회로 및 상기 제 5 회로의 양쪽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제 1 복조회로와 제 2 복조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조회로는 상기 제1 복조회로에서 생성된 복조신호를 상기 제 1 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제 2 복조회로는 상기 제 2 복조회로에서 생성된 복조신호를 상기 충전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회로에서 선택된 전압은 상기 제 1 회로에 공급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회로는 전압 비교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회로는 카운터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표시부 내의 화소회로로서, SRAM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화소회로;
    상기 화소회로를 제어하는 제 1 회로;
    제 1 안테나회로;
    제 2 안테나회로;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제 3 회로;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제 4 회로;
    상기 제 3 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제 5 회로;
    상기 제 2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복조신호를 생성하는 제 6 회로;
    상기 제 4 회로에서 생성된 전압으로부터의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대한 상기 제 2 전압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회로;
    전압공급 제어회로;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제 7 회로; 및
    상기 제 1 전압과 상기 제 2 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 8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는 상기 제 8 회로에 상기 제 2 전압을 공급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회로는 상기 제 1 안테나회로와 다른 형상을 가진,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압은 상기 제 5 회로에 공급되고,
    상기 제 4 회로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압은 상기 제 7 회로에 공급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회로는 전압 비교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회로는 카운터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표시 장치에 있어서,
    기판 위에 형성되는 SRAM 회로를 갖는 화소회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는 안테나회로;
    정류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판 위의 신호처리회로로서, 상기 정류 회로는 상기 안테나 회로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정류하는, 상기 신호처리회로;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전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회로;
    상기 정류회로의 상기 출력으로부터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대한 상기 제 2 전압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접속된 전압공급 제어회로;
    상기 충전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및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이 공급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의 레벨들을 서로 비교하고,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된 전압으로서 선택하는 전압 선택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제 1 복조회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제 2 복조회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표시 장치에 있어서,
    SRAM 회로를 포함하는 화소회로;
    신호선 제어회로;
    주사선 제어회로;
    안테나회로;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신호처리회로로서, 상기 정류회로는 상기 안테나회로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정류하는, 상기 신호처리회로; 및
    전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회로;
    상기 정류회로의 상기 출력으로부터 제 2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대한 상기 제 2 전압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회로;
    상기 충전회로 및 상기 충전 제어회로에 접속된 전압공급 제어회로;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 및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이 공급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의 레벨들을 서로 비교하고, 상기 신호선 제어회로 및 상기 주사선 제어회로에 공급될 선택된 전압으로서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 중 높은 전압을 선택하는 전압 선택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제 1 복조회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제 2 복조회로, 충전 제어회로, 전압공급 제어회로, 및 상기 충전 제어회로 및 상기 전압공급 제어회로를 제어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138424A 2006-12-27 2007-12-27 표시 장치 KR101449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53029 2006-12-27
JP2006353029 200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141A KR20080063141A (ko) 2008-07-03
KR101449970B1 true KR101449970B1 (ko) 2014-10-14

Family

ID=3930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424A KR101449970B1 (ko) 2006-12-27 2007-12-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43635B2 (ko)
EP (1) EP1939841A3 (ko)
JP (1) JP5178181B2 (ko)
KR (1) KR101449970B1 (ko)
CN (1) CN101211550B (ko)
TW (1) TWI455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355B2 (ja) * 2006-12-22 2012-1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温度制御装置
JP5312810B2 (ja) * 2007-01-19 2013-10-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充電装置
US20080204197A1 (en) * 2007-02-23 2008-08-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mory carri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9087928A (ja) * 2007-09-13 2009-04-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8928641B2 (en) * 2009-12-02 2015-01-06 Sipix Technology Inc. Multiplex electrophoretic display driver circuit
KR102248998B1 (ko) * 2010-01-20 2021-05-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KR20120112803A (ko) 2010-01-29 2012-10-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110134196A (ko) 2010-06-08 201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구동모듈, 무선이동통신시스템 및 rfid 리더 시스템.
KR101793284B1 (ko) * 2011-06-30 2017-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3208843A (zh) * 2013-04-08 2013-07-1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充电装置、接收装置、无线充电系统及其无线充电方法
US20150097655A1 (en) * 2013-10-09 2015-04-09 Tai-Hwa Liu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isplay device
JP6220239B2 (ja) * 2013-11-13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磁波検出・発生装置
KR102518430B1 (ko) * 2016-07-1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전자장치
TWI667642B (zh) * 2018-04-30 2019-08-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0264975B (zh) * 2018-07-10 2021-05-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292A (ja) * 1998-06-02 1999-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icカード
JP2005156618A (ja) 2003-11-20 2005-06-1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非接触通信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067A (ja) 1993-08-18 1995-03-03 Toshiba Corp 無線式情報媒体および無線式情報媒体システム
US5798746A (en) 1993-12-27 1998-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869513A (ja) 1994-08-30 1996-03-12 Mitsubishi Denki Semiconductor Software Kk 非接触icカード
JP3630489B2 (ja) 1995-02-16 2005-03-16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US5945972A (en) 1995-11-30 1999-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JPH10307898A (ja) 1997-05-09 1998-11-17 Toppan Printing Co Ltd 充電式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
JP2000115038A (ja) * 1998-10-05 2000-04-21 Toshiba Corp 無線カード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0123135A (ja) * 1998-10-15 2000-04-28 Sharp Corp 表示装置付き情報カード
TW484117B (en) 1999-11-08 2002-04-2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nic device
JP2002057617A (ja) 2000-08-09 2002-02-22 Toshiba Tec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端末装置の初期設定方法
KR100823047B1 (ko) * 2000-10-02 2008-04-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자기발광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015592B2 (en) 2002-03-28 2011-09-06 Innovation Connection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ansactions using a biometrically enabled programmable magnetic stripe
JP2002151698A (ja) * 2000-11-14 2002-05-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3070187A (ja) 2001-08-27 2003-03-07 Toshiba Eng Co Ltd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装置並びに内蔵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4275336B2 (ja) * 2001-11-16 2009-06-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TWI273539B (en) 2001-11-29 2007-02-1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3815337B2 (ja) * 2002-01-28 2006-08-3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非接触式icカード
JP2003259570A (ja) * 2002-03-06 2003-09-1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エネルギー供給方法、動作ユニットの駆動方法、その駆動方法を用いた装置、動作ユニットの駆動回路、表示ユニットの駆動方法、その駆動方法を用いた装置、表示ユニットの駆動回路及び電子機器
WO2003084124A1 (en) * 2002-03-28 2003-10-09 Innovation Connecti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actions security using biometric identity validation and contactless smartcard.
JP2004062161A (ja) 2002-06-07 2004-02-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走査線選択方法及び電子機器
EP1559278B1 (en) 2002-10-18 2013-05-15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unwanted re-negotiation of a passive rfid tag
JP2005094862A (ja) * 2003-09-12 2005-04-07 Tsubakimoto Chain Co 非接触給電方法及び非接触給電装置
JP2005148453A (ja) * 2003-11-17 2005-06-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7405665B2 (en) 2003-12-19 2008-07-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RFID tag and label-like object
JP4689260B2 (ja) 2003-12-19 2011-05-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ラベル又はタグ
US7282380B2 (en) 2004-03-25 2007-10-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5316672A (ja) 2004-04-28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ペーパー表示システム装置
US20060017659A1 (en) 2004-04-28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paper display system
JP2005321911A (ja) * 2004-05-07 2005-1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発光素子付き透明icカード
JP4611093B2 (ja) 2004-05-12 2011-01-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波発電回路
JP2006004015A (ja) 2004-06-15 2006-01-05 Ts Photon:Kk バッテリーレス型プログラム制御可能な論理回路付きrfid応答器
JP2006018132A (ja) 2004-07-05 2006-01-19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
JP2006127363A (ja) * 2004-11-01 2006-05-18 Advance Design Corp 非接触ic媒体
JP2006172121A (ja) * 2004-12-15 2006-06-29 Toshiba Corp カード状記憶装置とそのアダプタ及びホスト機器
US7659892B2 (en) 2005-03-17 2010-02-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20060267769A1 (en) 2005-05-30 2006-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8047889B2 (en) 2005-12-22 2011-1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Block set and managing method thereof
WO2007105607A1 (en) 2006-03-10 2007-09-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292A (ja) * 1998-06-02 1999-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icカード
JP2005156618A (ja) 2003-11-20 2005-06-1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非接触通信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6034A1 (en) 2014-05-29
JP5178181B2 (ja) 2013-04-10
TW200847100A (en) 2008-12-01
TWI455086B (zh) 2014-10-01
KR20080063141A (ko) 2008-07-03
US9548039B2 (en) 2017-01-17
CN101211550B (zh) 2014-01-29
EP1939841A3 (en) 2010-03-31
CN101211550A (zh) 2008-07-02
US20080211800A1 (en) 2008-09-04
JP2008181110A (ja) 2008-08-07
EP1939841A2 (en) 2008-07-02
US8643635B2 (en)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970B1 (ko) 표시 장치
US990482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instrument
US9166654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EP1895450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CN101669265B (zh) 充电显示系统
US20100079416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isplay pixel, an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RFID display pixel
US2013024978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phoretic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US9041515B2 (en)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KR20060052306A (ko)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
US20120193994A1 (en)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KR102423070B1 (ko)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30203355A1 (e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6296187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0728825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146082A (ja) 表示機能付き電子デバイス及びカバン物品
EP1887457B1 (en) Display system of a vehicle electronic system
JP2008185653A (ja) 表示装置
CN112529133A (zh) 无源无线系统
JP2009094883A (ja) 携帯電話機の補助電源システム
KR101883822B1 (ko) 자체 전원공급모듈을 설치한 전자 신분증
JP2015031988A (ja) 非接触情報表示媒体
KR20100011360A (ko) 정보 표시용 전자카드 및 표시방법
JP2006054757A (ja) サブ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rfidタグによる情報通信システム
KR20210058508A (ko) 전자가격 표시기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00011361A (ko) 정보 표시용 전자카드 및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