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172B1 -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172B1
KR101440172B1 KR1020097022723A KR20097022723A KR101440172B1 KR 101440172 B1 KR101440172 B1 KR 101440172B1 KR 1020097022723 A KR1020097022723 A KR 1020097022723A KR 20097022723 A KR20097022723 A KR 20097022723A KR 101440172 B1 KR101440172 B1 KR 10144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rticle
noncont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574A (ko
Inventor
마사히코 안도
Original Assignee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58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deriving the velocity value from the rang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 G01S13/751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RFID 태그의 배열순서와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리터/라이터를 제공한다. 이 리더/라이터(50)는, VCO(2)의 출력신호의 위상을 기준이 되는 입력신호의 위상에 동기화하는 PLL회로(1)와, PLL회로(1)의 제어전압에 근거해서 소정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VCO(2)와, VCO(2)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마이크로파에 변조하는 변조기(3)와, 마이크로파의 방향에 의해 방향을 결정하는 서큘레이터(5)와, 마이크로파를 발신해서 태그(7)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사인파를 복조하는 믹서(9)와, 코사인파를 복조하는 믹서(11)와, 믹서(9)의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성분만을 통과시키는 BPF(12)와, 믹서(11)의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성분만을 통과시키는 PBF(13), 및 A/D컨버터(14)와 A/D컨버터(16)로부터 위상을 연산하는 연산기(15)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RFID, 리더/라이터, 물품분류시스템

Description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READER/WRITER, AND ARTICLE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파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리더/라이터에 관한 것과, 이동하는 복수의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정보를 일괄해서 읽어들이는 때의 정보식별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파를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전원을 갖고 있지 않은 패시브(passive)형 비접촉 IC 태그에 대해서도 수십 cm 내지 수 m라는 긴 통신가능거리를 가진다. 그러나, 비접촉 IC 태그와의 통신가능거리는, 비접촉 IC 태그에 탑재된 안테나의 방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쉽게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고, 또한, 전파의 반사 등의 영향에 의해 비연속적인 분포(정보를 읽을 수 있는 부분과 읽을 수 없는 부분)를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실제의 통신가능영역도, 넓게 전개되면서도 경계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서 애매한 것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 통신가능영역의 애매함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 상에서 물건(荷 物)에 부착된 태그를 순서대로 읽어들이는 것과 같이 태그의 순서나 이동상태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대상 외의 태그와 통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태그 간격의 제한, 안테나 출력의 제한, 전파의 물리적 차폐(읽어들이는 물품마다 전파차폐 커튼에 의해 둘러싸임) 등 많은 제한·대책이 필요하게 되어 운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지향성이 강한 적은 수의 안테나로서,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부분이 없이 넓은 통신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태그통신용 안테나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A) 2006-20083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에서는, RFID 리더/라이터에서 이용되는 태그통신용 안테나는, 송신되는 전파의 빔을 스캔할 수 있는 빔스캔 안테나일 것, 빔은 스캔방향으로 지향성이 강한 빔일 것, 빔의 스캔은 스캔방향을 포함하는 면이 가장 강한 반사파를 생성하는 반사면인 바닥면과 교차하듯이 실시될 것 등의 제약조건이 많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서는, 안테나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한 것으로서, 리더/라이터로부터 발신된 전파와 RFID 태그로부터 반사된 전파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해서, 각 RDID 태그와 안테나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RFID 태그의 배열순서와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리더/라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태그가 안테나 정면을 통과한 것을 지연 없이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과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RFID 태그의 읽어들이기를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은, 전파를 이용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전파의 일부를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변조한 반사파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반사파의 지연시간을 구하는 연산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 통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리더/라이터이고, 리더/라이터로부터 송신한 전파(마이크로파)는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의해 변조되어 반사파로서 리더/라이터에 의해 수신된다. 이때, 발신한 전파와 반사파와의 사이에는 거리에 상응한 지연시간이 생긴다. 본 발명은 이 지연시간을 연산해서 구하는 것에 의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 안테나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이동하는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거리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이동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읽어들이는 영역 내의 복수의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이동상태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는,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전파의 일부를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변조한 반사파를 복조하는 직교복조기 등의 위상변조의 복조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연산해서 상기 반사파의 지연시간을 구하는 연산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교복조기에 의해 얻은 IQ신호를 연산하는 것에 의해서,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지연시간의 차분을 얻는다.
청구항 3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가 고정되고,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일정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거리와 시간과의 관계는 2차 함수로 된다. 즉, 하나의 이동하는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주목한 경우, 소정방향으로부터 안테나에 가까워져서, 가장 안테나에 가까워진 위치로부터 멀어져 간다. 즉,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벡터의 방향과 크기로부터 이동방향과 속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안테나로부터의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타이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타이밍은, 그 벡터의 방향이 변화하기 직전이다. 즉, 거리와 시간과의 관계로부터 유도된 2차 함수의 극소점이,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때이다. 이것에 의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안테나를 통과한 시간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6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타이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테나로부터 먼 장소에서는 상대속도가 실제속도에 가깝지만, 안테나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속도는 저하되고, 안테나정면에서 0으로 되는 동시에 이동방향의 부호가 반대로 된다. 이 상대속도의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통과의 검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안테나정면에 왔다는 것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상대속도가 0인 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지만, 태그가 정지한 경우 등에도 상대속도가 0으로 되는 것이 있어, 잘못 검출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검출부에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줘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 안테나의 상대속도가 0이고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정지해 있지 않다(절대속도>0)라는 조건을 판정에 이용함으로써, 확실하고 신속하게 안테나정면을 태그가 통과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8은,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안테나를 시분할해서 절환하면서 통신을 수행한다면, 하나의 안테나 당 통신기회가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서, 통과시간측정의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와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상대속도 v(t)는 일치하지 않지만, v(t)=0으로 되는 t, 또 v(t)의 부호는 동일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 안테나와의 상대속도를 취득하고, v(t)의 부호 또는 v(t)=0으로 되는 점을 이용해서 통과식별을 함으로써, 어느 안테나에서 취득한 값인지를 의식하지 않고 통과의 식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는,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하는 물품을 식별해서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리더/라이터를 구비하고,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의 근방에 안테나를 배치해서, 물품에 부착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정보의 주고받기를 수행하고, 그 정보로부터 물품의 배열순서와 안테나로부터의 이동방향을 식별한다. 또한, 이 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물품이 통과하였다는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실제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PC 등으로 구성된 제어수단은, 배열순서와 이동방향을 기억해 두고, 검지수단이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배열순서에서 가장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해당 물품에 관한 분류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읽어들이는 영역 내의 물품이 이동하더라도 정확히 그 배열순서를 파악해서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4는,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혹은 비접촉 IC 태그, 또는 양쪽 모두가 이동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비접촉 IC 태그와 안테나 사이의 거리의 변화방향과 그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 혹은 비접촉 IC 태그, 또는 양쪽 모두가 이동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가능영역 내에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순서·이동상태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 져서, 읽어들인 ID와 비접촉 IC 태그를 정확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변화방향·변화량으로부터, 비접촉 IC 태그와 안테나가 가장 근접한 타이밍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서, 비접촉 IC 태그의 위치의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안테나와 비접촉 IC 태그와의 거리의 변화방향 및 그 변화량 등의 정보로부터 태그를 필터링함으로써, 여러 가지 용도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태그가 이동한 경우의 안테나와 태그의 거리와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분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류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류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PC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 물품의 배열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태그(7)와 안테나(6)의 거리와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태그(7)와 안테나(6)와의 상대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태그의 이동벡터와 각 안테나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PLL회로
2: VCO
3: 변조기
4, 8: 증폭기
5: 서큘레이터
6: 안테나
7: 태그
9, 11: 믹서
12, 13: BPF
14, 16: A/D컨버터
15: 연산기
50: 리더/라이터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를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요소, 종류, 조합,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아닌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만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더/라이터의 블록도이다. 이 리더/ 라이터(50)는, VCO(2)의 출력신호의 위상을 기준이 되는 입력신호의 위상에 동기화하는 PLL회로(1)와, PLL회로(1)의 제어전압에 근거해서 소정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VCO(2)와, VCO(2)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마이크로파(전파)에 변조하는 변조기(3)와, 마이크로파를 증폭하는 증폭기(4)와, 마이크로파의 방향에 의해 방향을 결정하는 서큘레이터(5)와, 마이크로파를 발신해서 비접촉 IC 태그(이하, 단순히 태그라고 함)(7)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는 안테나(6)와, 서큘레이터(5)에 의해 합성된 합성파를 증폭하는 증폭기(8)와, VCO(2)의 신호와 증폭기(8)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가산중첩(add and superimpose)해서 사인(sin)파를 복조하는 믹서(9)와, VCO(2)의 신호를 90°위상천이기(10)에 의해 위상천이한 신호와 증폭기(8)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가산중첩해서 코사인(cos)파를 복조하는 믹서(11)와, 믹서(9)의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BPF(12)와, 믹서(11)의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BPF(13)와, BPF(12)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4)와, BPF(13)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6)와, 및 A/D컨버터(14)와 A/D컨버터(16)로부터의 위상을 연산하는 연산기(15)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전파를 이용한 RFID 시스템에서는, 태그(7)에 준 전파(CW 파)의 일부를 태그(7)가 변조를 가해서 반환(진폭·위상을 변화시켜서 반사시킴)하는 것에 의해, 태그(7)로부터 리더/라이터(50)로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리더/라이터(50)에는 "스스로 발신한 전파의 반사파(후방산란파, Backscattering Wave)"가 반환되는 것이 되지만, 그 후방산란파는 태그(7)와 안테 나(6)와의 사이를 왕복한 파(波)이므로, 스스로 발신한 전파에 대해서 태그(7)와 안테나(6)의 거리의 배에 비례하는 지연을 가지는 파라고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후방산란파의 지연시간의 차분(差分)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안테나(6)와 태그(7)와의 거리 변화의 인식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더/라이터(50)에 접속된 안테나(6)로부터 송신된 CW파를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1
… (식 1)
라고 할 때(A와 θc는 회로에 의해서 정해지는 일정값), 동일한 안테나(6)에 수신되는 태그(7)로부터의 후방산란파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2
… (식 2)
l[m]는 태그-안테나 간의 거리, c는 전파의 속도[m/s], B는 공간과 태그에서의 감쇠를 나타내는 계수, θT는 태그에서의 반사시의 위상변화이다. 전파를 이용하는 RFID에 있어서는, 태그(7)로부터 리더/라이터(50)로의 통신을 수행하는 때, 태그(7)에서 가해지는 변조에 의해서, 그 B와 θT가 변화한다.
여기서, 태그로부터 리더/라이터로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이 ASK변조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는 1을 나타내는 심벌에 동기화해서 지연시간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면, θT를 태그 고유의 어떤 일정한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BPSK 변조의 경우에는 1 또는 0을 나타내는 심벌에 동기화해서 지연시 간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면, θT를 태그 고유의 어떤 일정값 θT1 또는 θT2(=θT1+π)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하게, 그 밖의 위상변조에 있어서도, 어떤 심벌에 동기화해서 지연시간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θT를 태그 고유의 어떤 일정한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으로, 태그(7)와 통신을 수행하는 때에, 그 심벌과 동기화해서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태그(7)에서 반사되는 때의 위상이 안정하고, θT를 정수값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조가 된 후방산란파를 대상으로 해서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변화를 가지지 않는 후방산란파(반사파)를, BPF(12, 13)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주위의 금속물이나 통신상태가 아닌 태그로부터의 반사 등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태그(7)로부터 리더/라이터(50)로의 통신을 수행하는 때에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충돌방지(anti-collision)기능을 가지는 프로토콜 하에서는 통신상대가 되는 태그를 하나로 한정하였다는 조건하에서 지연시간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서, 복수의 태그가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도, 특정 태그의 후방산란파만을 선택해서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것과, 그 통신에서 얻은 데이터(ID)와 지연시간을 관련시켜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후방산란파의 지연시간의 측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CW파와 공통된 신호원으로부터 생성된 로컬신호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3
… (식 3)
를 사용해서, 직교검파(quadrature detection)를 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하의 IQ 신호가 얻어진다.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4
… (식 4)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5
… (식 5)
여기서, C와 θR은 직교검파의 조작에 의해서 부가되는 변수이지만, C는 회로에 의해서 결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일정값으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신호와 CW파는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이기 때문에 그 위상차를 회로에 의해서 결정되는 일정값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해서, 이것에 의해, θR도 회로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값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IQ 신호를 A/D컨버터(14, 16)에 의해서 취하고, 연산기(15)에 의해서 위상 θr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6
… (식 6)
을 얻는다.
여기서, θc·θT·θR은 모두 정수값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l을 t의 함수라고 하면, θr은 이하와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7
… (식 7)
여기서, 거리의 변화 Δl가 λc/4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시 θr의 취득을 수행함으써, 그 θr로부터 지연시간의 차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8
… (식 8)
이면, 그 통신에서 얻어진 ID를 지닌 태그는 안테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또한,
Figure 112009066559093-pct00009
… (식 9)
이면, 그 통신에서 얻어진 ID를 지닌 태그와 안테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7) 혹은 안테나(6), 또는 양쪽 모두가 이동하고, 또한, 그 이동방향·속도가 일정한 시스템이라면 거리l(t)는 2차 함수에 의해서 나타내지고, dl/dt=0으로 되는 때는 양자의 거리가 극소로 되는 점이기 때문에(태그와 안테나의 이동방향·속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dl/dt=0으로 되는 점, 즉 dθ/dt=0으로 되 는 점은 태그와 안테나의 거리가 최단거리로 되는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dθ/dt를 얻는 것에 의해서 태그(7)와 안테나(6)가 가장 접근한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여기서, 이동방향·속도가 동일한 한편 동일한 선상을 이동하는 태그들에 대해서는, 그 dθ/dt의 대소비교에 의해서 태그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도 8은 태그(7)와 안테나(6)와의 거리와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태그(7)와 안테나(6)와의 상대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태그(7)의 이동속도를 1(cm/s), 안테나(6) 정면에서의 거리가 50(cm)인 경우를 도시한다.
안테나(6) 정면에서 상대속도가 반전하는 것을 이용한 통과검출에서는, 태그(7)가 검지영역 내에서 정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확실히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진입해 온 경우와는 반대되는 상대속도를 가진 것을 확인하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검출시에는 그 태그(7)는 안테나(6)로부터 이미 멀어져 가고 있고, 통과를 검출한 태그에 대한 조작을 하는 것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태그의 통과검출」에 있어서, 통과검출부에 태그의 이동, 혹은, 태그가 붙어 있는 운송물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주고, 「태그가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안테나와의 상대속도가 0이다」라는 조건에 의해서 통과의 검출을 수행한다.
다만, a는 태그의 속도[m/s], l은 안테나 정면에서의 거리[m], Ta는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는 타이밍[s]으로 한다。
또한, 태그(7)의 이동방향·속도가 일정하다고 할 수 없는 시스템이라면, 양자의 거리가 극소로 되는 점에서뿐만 아니라, 태그의 이동이 정지한 경우에도 dl/dt=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검출부에 태그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주고, 태그가 정지해 있지 않다(절대속도>0)는 조건을 판정에 보탬으로써, dl/dt=0으로 되는 점, 즉 dθ/dt=0으로 되는 점은, 태그와 안테나의 거리가 최단거리로 되는 위치로 한다. 또한, 안테나(6)가 이동하고, 그 이동방향·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안테나가 정지해 있지 않다(절대속도>0)는 조건을 판정에 보탠다.
나아가, 태그의 이동정보를 검출부에 주는 것으로는, 벨트 컨베이어 등의 운송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기기의 제어 정보; 외부 센서를 이용해서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물체의 이동, 속도, 위치, 또는 거리를 감시하는 정보; 동기화하는 운송라인 상에 있는 물건의 이동을 적외선 센서 등으로 검출한 정보; 또는 리더 자신에 태그의 이동을 검출하는 기능을 편입시켜서, 리더 단위로 태그의 이동을 판단해서 검출을 수행한다.
즉, 리더/라이터(50)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해서 태그(7)와 통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리더/라이터이다. 따라서, 리더/라이터(50)로부터 송신한 전파(마이크로파)는 태그(7)에 의해 변조되어 반사파로서 리더/라이터(50)에 의해 수신된다. 이때, 발신한 전파와 반사파의 사이에는 그들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이 생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지연시간을 연산해서 구하는 것에 의해서, 태그(7)와 안테나(6)의 거리변화를 구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이동하는 태 그(7)의 거리변화를 파악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하는 시스템에서, 읽어들이는 영역 내의 복수의 태그의 배열순서와 이동상태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직교변조에서는, 사인파와 코사인파를 90도 위상차를 만들어서(직교시켜) 가산중첩하는 것에 의해서, 합성파의 진폭은, 사인파의 진폭이 0이 되는 위상일 때에 코사인파의 최대진폭이 되고, 코사인파의 진폭이 0이 되는 위상일 때에 사인파의 최대진폭이 되도록 합성진폭이 생성된다. 즉, 두 개의 신호를 하나의 합성파로 합쳐서 변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원리에 의해 변조된 합성파로부터 직교복조하는 것에 의해서 사인파(발신한 전파)와 코사인파(반사파)를 복조한다.
도 2는 태그가 이동한 경우의 안테나와 태그의 거리와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태그(7)를 부착한 물품 a, 물품 b, 물품 c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해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안테나(6)와 물품 a의 거리는 la, 안테나(6)와 물품 b의 거리는 lb, 안테나(6)와 물품 c의 거리는 lc로 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6)는 고정되고 태그(7)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거리와 시간과의 관계는 2차 함수로 된다. 즉, 하나의 이동하는 태그에 주목한 경우, 소정방향(화살표 A의 상류측)으로부터 안테나(6)에 가까워져서, 가장 안테나(6)에 가까웠던 위치로부터 멀어져 간다. 즉, 태그의 벡터의 방향과 크기로부터 이동방향과 속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물품 a, b, c의 배열순서와 안테나(6)로부터의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로축에 안테나(6)(원점)와 물품 a, b, c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가로축에 통과시간을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물품 a에 있어서, 안테나(6)까지의 거리가 la일 때, 벡터의 방향과 크기는 화살표La로 되고, 안테나(6)에 대해 거리는 2차 함수(17)에 따라서 감소해 간다(가까워진다). 또한, 물품 b에 있어서, 안테나(6)까지의 거리가 lb일 때, 벡터의 방향과 크기는 화살표Lb로 되고, 안테나(6)에 대해 거리는 2차 함수(17)의 극소점(가장 근접)에 있다. 또한, 물품 c에 있어서, 안테나(6)까지의 거리가 lc일 때, 벡터의 방향과 크기는 화살표 Lc로 되고, 안테나(6)에 대해 거리는 2차 함수(17)에 따라서 증가해 간다(멀어진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물품에 대해서, 상기 식 1 내지 7을 연산하는 것에 의해서, 안테나(6) 혹은 태그(7), 또는 양쪽 모두가 이동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태그(7)와 안테나(6)의 거리의 변화방향과 그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안테나(6) 혹은 태그(7), 또는 양쪽 모두가 이동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가능영역 내에 복수의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순서·이동상태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읽어들인 ID와 태그를 정확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변화방향·변화량으로부터, 태그(7)와 안테나(6)가 가장 근접한 타이밍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서, 태그의 위치의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그 밖에도, 안테나와 태그와의 거리의 변화방향, 또는 그 변화량 등의 정보로부터 태그를 필터링함으로써, 여러 가지 용도에 응용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분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물품분류 시스템(100)은 도 1에 기재된, 리더/라이터(50)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6)와, 도시하지 않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센서(검지수단)(21)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기(분류수단)(22)와, PC(제어수단)(20)을 구비하고, PC(20)는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6)와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해서, 물품의 배열순서와 안테나(6)로부터의 이동방향을 식별하고, 센서(21)가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배열순서에서 가장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해당 물품에 대한 분류를 실행한다.
즉, 본 실시형태는 이동하는 물품을 식별해서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분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즉, 도 1의 리더/라이터(50)를 구비하고,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의 근방에 안테나(6)를 배치해서, 물품에 부착된 태그(7)와 정보의 주고받기를 수행하고, 그 정보로부터 물품의 배열순서와 안테나(6)로부터의 이동방향을 식별한다. 또한, 이 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물품이 통과한 것을 검지하는 센서(21)와 실제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기(22)를 구비한다. 그리고, PC(20)은 배열순서와 이동방향을 기억해 두고, 센서(21)가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배열순서에서 가장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해당 물품에 대한 분류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읽어들이는 영역 내의 물품이 이동하더라도, 정확히 그 배열순서를 파악해서,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류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도 1 및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벨트 컨베이어(23) 상에는, 물품 a ~ d가 놓여지고, 각각에 해당 물품에 관한 정보(태그 ID, 경로정보 등)를 기억하는 태그(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물품의 배열순서는 선두부터 a, b, c, d로 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23)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안테나(6)가 읽어 들일 수 있는 영역은 6a로 한다.
도 6은 도 5의 분류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리더/라이터(50)는 읽어 들일 수 있는 영역(6a)에 있는 물품 a, b, c의 태그(7)의 정보를 일괄해서 읽어들인이다(S1). PC(20)는 리더/라이터(50)가 읽어들인 정보로부터 각 태그의 지연시간을 연산한다(S2). 또한, PC(20)는 지연시간의 차분으로부터 각 물품 a, b, c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구한다(S3). 이 도면에서는 물품 a는 안테나(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물품 b는 안테나(6)에 가장 근접해 있고, 물품 c는 안테나(6)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래서, 이들의 연산결과로부터 물품의 배열순서가 선두로부터 a, b, c인 것을 인식한다(S4). 이 정보는 PC(20)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다(S5)(도 7a 및 7b참조). 여기서, 센서(21)는 물품을 검출하였는지를 체크한다(S6). 이 체크는 언제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인터럽트 프로세스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6에서 센서(21)가 OFF(S6에서 NO)인 경우에는, 단계 S1로 돌아가서 되풀이한다. 단계 S6에서 센서(21)가 ON(S6에서 YES)인 경우에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선두의 물품 명 a로부터 대상경로(target route)를 식별한다(S7). 이 예에서는, 물품 a의 대상경로는 B이기 때문에, 분류기(22)는 물품 a를 경로 B에 있도록 분류조작을 수행한다(S8)(도 7a 참조). 그리고 나서, 분류가 완료된 물품 a의 데이터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거하고, 도 7b에서와 같이 다음 물품 b를 선두로 끌어올려서 S1으로 돌아가서 되풀이한다(S9).
도 7은 PC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 물품의 배열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메모리에는 예컨대, 도 5의 경우의 기억내용이 존재한다. 도 7a에서, 메모리의 선두의 어드레스(AA)에는 물품명(24)이 물품명(24)이「a」, 대상경로(25)가「B」로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BB)에는 물품명(24)이「b」, 대상경로(25)가「A」로 기억되어 있다. 어드레스(CC)에는 물품명(24)이「c」, 대상경로(25)가「C」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물품 a의 분류가 완료되면, 도 7b에서와 같이, 어드레스(AA)에 기억되어 있는 물품 a가 소거되어서, 어드레스 「BB」에 기억되어 있는 물품 b를 어드레스「AA」에 끌어올려서 기억한다. 이하, 순차적으로 끌어올려서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 새롭게 물품 b가 선두에 있는 물품으로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로부터 먼 장소에서는 상대속도가 실제속도에 가깝지만, 안테나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속도는 저하되어서, 안테나의 정면에서 0으로 되는 것과 동시에 이동방향의 부호가 반대로 된다. 이 상대속도의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태그의 통과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검출부에 태그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줘서, 태그와 안테나의 상대속도가 0이고 태그가 정지해 있지 않다(절대속도>0)라는 조건을 판정 에 이용함으로써, 확실하고 신속하게 안테나정면을 태그가 통과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태그가 안테나에 가까워지는 때의 상대속도를 양(+)으로 한 경우, 안테나와 태그와의 상대속도가 0으로 되든지, 또는 안테나와 태그와의 상대속도가 음(-)으로 변해서 상대속도가 0인 점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 그리고 태그가 이동 중(절대속도>0)이라고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정면에 태그가 왔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태그가 안테나 정면에 온 것을 지연 없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검출을 수행한 안테나에 있어서, 계속되는 태그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태그의 정보에 기초해서, 그 후의 동작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태그를 지닌 사람이 왔다는 것을 검출해서, 온 순서나 시간과 같은 정보를 태그에 기입한다. 또한, 태그를 지닌 사람이 왔다는 것을 검출해서, 태그의 정보를 바탕으로 문을 여닫는 것과 같은 조작을 수행한다. 또한, 태그를 지닌 사람이 왔다는 것을 검출해서, 그 자리에서 태그의 정보를 바탕으로 표시나 지시를 내놓는다. 또한,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 왔다는 것을 검출해서, 그 자리에서 표시함으로써 시각에 의한 체크와 연동시킨다.
도 10은 태그의 이동벡터와 각 안테나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방향과 위치가 일정하지 않은 태그의 읽어들이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태그가 어느 방향으로 지향성의 널 포인트(null point)를 가지는지, 또는 어느 방향으 로부터라면 통신이 성공하는지를 사전에 알 수 없기 때문에, 태그에 대해서 각각 다른 각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미리 복수로(ANT1~3) 준비해서, 이것들을 절환(switching)하면서 읽어들이기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태그가 안테나정면을 통과한 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복수의 안테나에서 동시에 통과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복수의 안테나를 시분할해서 절환하면서 통신을 수행하면, 하나의 안테나 당 통신기회가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서, 통과시간측정의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테나들에 의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된 경우에, 어느 안테나를 신뢰하면 좋은가라는 판별을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복수의 안테나를 지극히 짧은 시간에 절환하면서 읽어들이기를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리더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각도로부터 읽어들이기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어느 방향으로 지향성의 널 포인트(null point)를 가지는지를 알 수 없는 태그에 대해서도, 확실한 읽어들이기를 기대할 수 있지만, 여기서, 수신강도·수신성공횟수 등의 경향으로부터 태그의 통과를 구한다고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즉, 안테나마다 전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또한, n개의 안테나를 설치한다고 하면 통신기회가 1/n 이하로 된다. 우선, 전자의 문제는 태그의 안테나에 지향성이 있기 때문에 피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안테나마다 검출하게 되어, 어느 안테나로부터의 정보를 신뢰하면 좋은가라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그 뿐만 아니라 후자의 영향으로 정확도가 저하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절환단위시간 m[ms]마다 n개의 안테나를 절환한다고 하면, 각 안테나에 있어서, m×(n-1)[ms]의 데이터 공백기간이 존재하는 것이 되어, 안테나 1개의 경우에 비해서, 시간검출정확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모든 안테나로부터의 정보를 동등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하나의 경우와 동등한 정도의 통과검출을 실현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안테나는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 안테나의 배치면은 태그의 이동벡터와 수직 관계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태그의 이동벡터가 (α, 0, 0)로 나타내어지는 때에는, 각 안테나는 yz면에 배치된다. 이때, 태그의 위치가 어떠한 위치를 가지더라도, 모든 안테나에 대해서 태그의 최단거리로 되는 점은 yz면(안테나 배치면) 상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모든 안테나에 있어서, 태그와의 거리가 최단으로 되는 점은 동일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와 태그와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상대속도 v(t)는 일치하지 않지만, v(t)=0로 되는 t, 또 v(t)의 부호는 동일하게 된다.
그래서, 태그와 안테나와의 상대속도를 취득해서, v(t)의 부호 또는 v(t)=0으로 되는 점을 이용한 통과식별을 함으로써, 어느 안테나에서 취득한 값인지를 의식하지 않고 통과의 식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항상 상대속도의 측정이 성공한다면, 몇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든지, 어느 정도의 시간마다 안테나를 절환하는지와 같은 것에 관계없이, 하나의 안테나로 측정한 경우와 마찬가지인 시간간격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서, 동등한 정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n개 중 1개의 안테나에서 태그의 상대속도의 측정이 전혀 성공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 영향에 의한 공백기간은 안테나절환단위시간 m[ms]만큼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서 정확도에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모든 안테나를 동일 면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면과 평행한 임의의 면 A 상에 설치해서, 태그의 이동속도와 면 사이의 거리로부터 t의 보정을 수행한 뒤에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부터 태그의 읽어들이기를 수행하는 때의 통과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전파를 이용해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전파의 일부를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변조한 반사파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반사파의 지연시간을 구하는 연산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에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전파의 일부를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변조한 반사파를 복조하는 직교복조기 등의 위상변조의 복조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연산해서 상기 반사파의 지연시간을 구하는 연산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배열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타이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에 가장 접근한 타이밍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인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의 이동벡터와 수직관계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연산부에 의해 상기 각 안테나와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와의 상대속도가 0이든지, 또는 상기 상대속도의 부호가 동일하다는 것을 연산한 때에 상기 비접촉 정보기록매체가 상기 안테나의 정면을 통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라이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 시스템.
  14.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 시스템.
  15.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리더/라이터와, 전파의 송수신을 중개하는 안테나와,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정보기록매체를 부착한 물품과, 상기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오는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물품을 분류수단과,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지연시간의 차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물품과의 거리의 변화를 구하여, 상기 물품의 운송순서와 상기 안테나에 대한 이동방향을 식별해서, 상기 검지수단과 상기 물품의 통과를 검지하면, 선두의 물품이 통과하였다고 판단해서, 상기 물품에 관련된 분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 시스템.
KR1020097022723A 2007-06-28 2008-06-25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 KR101440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1229 2007-06-28
JP2007171229 2007-06-28
JPJP-P-2008-146568 2008-06-04
JP2008146568A JP5355936B2 (ja) 2007-06-28 2008-06-04 リーダライタ、及び物品仕分システム
PCT/JP2008/061574 WO2009001870A1 (ja) 2007-06-28 2008-06-25 リーダライタ、及び物品仕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74A KR20100037574A (ko) 2010-04-09
KR101440172B1 true KR101440172B1 (ko) 2014-09-12

Family

ID=4018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723A KR101440172B1 (ko) 2007-06-28 2008-06-25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81689B2 (ko)
EP (1) EP2169593B1 (ko)
JP (1) JP5355936B2 (ko)
KR (1) KR101440172B1 (ko)
CN (1) CN101689247B (ko)
CA (1) CA2690961C (ko)
HK (1) HK1141118A1 (ko)
WO (1) WO2009001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2965B2 (ja) * 2008-07-01 2014-03-19 日本信号株式会社 物品位置検出システム
JP5217982B2 (ja) * 2008-12-04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013439A (ja) * 2010-06-29 2012-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物体移動検出方法、物体移動検出システム、輸送物移動検出システム、開閉検出システム、コネクタ接続検出システム
JP5712680B2 (ja) * 2011-03-04 2015-05-07 オムロン株式会社 交信処理装置および交信処理装置における距離計測方法
DE102012100731A1 (de) * 2012-01-30 2013-08-01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dentifizieren eines Zugriffs auf Fächer eines Lagersystems
CN107545204B (zh) * 2016-06-29 2020-06-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物品顺序确定方法及装置
JP6825427B2 (ja) * 2017-03-07 2021-02-0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タグリーダ
JP6957286B2 (ja) * 2017-09-15 2021-11-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及び読取方法
EP3462260A1 (de) * 2017-09-29 2019-04-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des zustands einer produktionseinrichtung
JP7267711B2 (ja) * 2018-10-19 2023-05-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タグ読取装置及び無線タグ読取方法
US20200143126A1 (en) * 2018-11-06 2020-05-0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rfid tag by the same
JP7205416B2 (ja) * 2019-08-20 2023-01-1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タグリーダ
JP7362374B2 (ja) * 2019-09-06 2023-10-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タグ読取システム
JP7205429B2 (ja) * 2019-09-18 2023-01-17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タグリーダ
JP2021163130A (ja) * 2020-03-31 2021-10-11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範囲制御装置、通信範囲制御方法
JP2023082574A (ja) * 2021-12-02 2023-06-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選択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127A (ja) * 1995-03-10 1996-09-27 Yokowo Co Ltd 通信装置
JPH09230037A (ja) * 1997-02-10 1997-09-05 Sony Corp 反射型送信装置
WO2006095828A1 (ja) 2005-03-09 2006-09-14 Omron Corporation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1301A (en) * 1956-07-06 1960-01-12 Parsons Co Ralph M Distance measuring system
US2910683A (en) * 1957-01-24 1959-10-27 Todd William Radio transmission system
US3223998A (en) * 1962-04-06 1965-12-14 Cubic Corp Electronic tracking system employing slant range measurements
US3931622A (en) * 1970-08-19 1976-01-06 Raytheon Company Voice-modulated transponder system
US4058217A (en) * 1973-05-01 1977-11-15 Unisearch Limited Automatic article sorting system
AR204189A1 (es) * 1974-01-14 1975-11-28 Siemens Ag Disposicion de transmision de informacion por satelite
DE2628997C3 (de) * 1976-06-28 1978-11-3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ystem zum Empfang frequenzmodulierter digitaler Nachrichtensignale
DE2905471B1 (de) * 1979-02-13 1980-02-21 Siemens Ag System zum Empfang frequenzmodulierter digitaler Nachrichtensignale
US5335077A (en) * 1991-07-03 1994-08-02 Shinichi Yamashita Time base correcting device
JPH0830749A (ja) * 1994-07-13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非接触icカード
US6223990B1 (en) * 1995-06-16 2001-05-01 Rohm Co., Lt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dual passive antenna configuration
US5933079A (en) * 1995-09-01 1999-08-03 Remote Data Systems, Inc. Signal discriminator and positioning system
US5952935A (en) * 1996-05-03 1999-09-14 Destron-Fearing Corporation Programmable channel search reader
KR100489716B1 (ko) * 1996-11-05 2005-09-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동기식복조기를갖는비접촉식데이터송수신장치
US6008640A (en) * 1997-04-28 1999-12-28 Seagate Technology, Inc.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head disc interference using read back signal (without acoustic emission sensor or laser doppler vibrometer)
JP3377035B2 (ja) * 1998-12-04 2003-02-17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推定器を用いた位相同期ループ回路
EP1069526A3 (en) * 1999-07-12 2005-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body discrimination apparatus for rapidly acquiring respective data sets transmitted through modulation of reflected radio waves by transponders which are within a communication region of an interrogator apparatus
DE60035559T2 (de) * 1999-09-28 2008-08-14 Nxp B.V. Verfahren zum Vergleichen der Amplituden von zwei elektrischen Signalen
JP4341127B2 (ja) * 1999-12-20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icカード及びリーダライタ
US6512478B1 (en) * 1999-12-22 2003-01-28 Rockwell Technologies, Llc Location position system for relay assisted tracking
US6868073B1 (en) * 2000-06-06 2005-03-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K1-53 Distance/ranging by determination of RF phase delta
US7580378B2 (en) * 2000-06-06 2009-08-25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Distance/ranging determination using relative phase data
US6883710B2 (en) * 2000-10-11 2005-04-26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Artic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EP1377946A1 (en) * 2001-03-12 2004-01-07 Eureka Technologies Partners, LLc Article locator system
JP2003028952A (ja) * 2001-07-12 2003-01-29 Nec Eng Ltd 受信機
US6756880B2 (en) * 2002-03-21 2004-06-29 Rf Saw Component Incorporated Reader and response control system for discrimination between multiple surface acoustic wave identification tag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03098528A2 (en) * 2002-05-16 2003-11-27 Ruth Raphaeli Method and system for distance determination of rf tags
JP4041696B2 (ja) * 2002-05-23 2008-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受信端末、無線通信方法
US7697946B2 (en) 2002-06-04 2010-04-13 Forster Ian J Reflective communication using radio-frequency devices
FR2840742A1 (fr) * 2002-06-06 2003-12-12 St Microelectronics Sa Lecteur de transpondeur electromagnetique
US6768445B1 (en) * 2002-12-18 2004-07-27 Garmin International, Inc. Device and method for SPR detection in a mode-s transponder
DE602004029113D1 (de) * 2003-02-25 2010-10-28 Canon K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walten von Artikeln
US7248166B2 (en) * 2003-09-29 2007-07-24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device, information storage server, article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100679244B1 (ko) * 2004-12-02 2007-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호 재생기
JP4517674B2 (ja) * 2004-02-25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媒体処理装置
JP4328705B2 (ja) * 2004-02-27 2009-09-09 均 北吉 Rfidタグ装置
EP1738195A1 (en) * 2004-04-22 2007-0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actless reader/writer
JP4572091B2 (ja) * 2004-06-14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複数送り検知装置及び区分機
JP2006020083A (ja) 2004-07-01 2006-01-19 Omron Corp タグ通信用アンテナ、タグ通信装置、タグ通信システム、タグ通信装置のスキャン調整方法、およびスキャン調整プログラム
JP2006106897A (ja) * 2004-09-30 2006-04-20 Fujitsu Ltd リーダライタおよびrfidシステム
US7623036B2 (en) * 2004-10-29 2009-1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djusting data tag readers with feed-forward data
KR100713752B1 (ko) * 2005-02-28 2007-05-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비접촉식 ic 카드리더 라이터 장치
DE102005009579B4 (de) * 2005-02-28 2010-04-22 ASTRA Gesellschaft für Asset Management mbH & Co. KG Verfahren zur Lokalisierung eines Detektierplättchens
US7265675B1 (en) * 2005-03-01 2007-09-04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Multistatic antenna configuration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JP4239988B2 (ja) * 2005-03-07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有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5440893B2 (ja) * 2005-03-09 2014-03-12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反射体、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1142758B (zh) * 2005-03-09 2011-04-27 欧姆龙株式会社 距离测量装置、距离测量方法及通信系统
JP4821375B2 (ja) * 2005-03-29 2011-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342099B2 (ja) * 2005-04-18 2013-1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測距・通信複合システム
US20060284727A1 (en) * 2005-06-16 2006-12-21 Psc Scanning, Inc. Method and system with functionality for finding range between an electronic tag reader and tag
US7405662B2 (en) * 2005-06-14 2008-07-29 Datalogic Mobile, Inc. Wireless tag ranging
KR100633774B1 (ko) * 2005-08-24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넓은 위상 여유를 가지는 클럭 및 데이터 리커버리 회로
JP4557859B2 (ja) * 2005-09-29 2010-10-06 富士通株式会社 周波数分割多重送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EP1946504A2 (en) * 2005-11-09 2008-07-23 Sandlinks Systems Ltd. Virtual group maintenance and security
JP2007221329A (ja) * 2006-02-15 2007-08-30 Fujitsu Ltd 周波数分割多重送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4707577B2 (ja) * 2006-02-15 2011-06-22 富士通株式会社 周波数分割多重送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5041715B2 (ja) * 2006-03-15 2012-10-03 富士通株式会社 周波数分割多重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90273465A1 (en) * 2008-05-02 2009-11-05 Adi Shamir Room separation in a wlan based rtls and method therefor
US8446254B2 (en) * 2008-11-03 2013-05-21 Thingmagic,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FID tag range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127A (ja) * 1995-03-10 1996-09-27 Yokowo Co Ltd 通信装置
JPH09230037A (ja) * 1997-02-10 1997-09-05 Sony Corp 反射型送信装置
WO2006095828A1 (ja) 2005-03-09 2006-09-14 Omron Corporation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2133A1 (en) 2010-07-22
HK1141118A1 (en) 2010-10-29
EP2169593A1 (en) 2010-03-31
EP2169593A4 (en) 2011-05-25
CA2690961A1 (en) 2008-12-31
JP5355936B2 (ja) 2013-11-27
CN101689247A (zh) 2010-03-31
CN101689247B (zh) 2013-05-15
CA2690961C (en) 2016-03-22
US9581689B2 (en) 2017-02-28
KR20100037574A (ko) 2010-04-09
JP2009031267A (ja) 2009-02-12
WO2009001870A1 (ja) 2008-12-31
EP2169593B1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172B1 (ko) 리더/라이터 및 물품분류 시스템
US81889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distance to a tag by a modulated backscatter RFID reader
US1000699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relative position detection of stations by means of radio location
US98482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724176B1 (en) Location of a transponder center point
CN102456120B (zh) Rfid读取装置以及读取和关联方法
JP2005503531A (ja) 被変調後方散乱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ンスポンダの方向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121035B2 (en) Method of identification of a tag on a moving item
CN110276422B (zh) 标签移动检测装置及无线标签读取器
JP5611511B2 (ja) リーダライタ、及び物品仕分システム
Buffi et al. The SARFID technique for discriminating tagged items moving through a UHF-RFID gate
CN102077115A (zh) 用于读取从应答器发送的信息的系统
Görtschacher et al. SDR based RFID reader for passive tag localization using phase difference of arrival techniques
CN112364672B (zh) 基于rfid的倾斜货物的检测方法
CN105844191A (zh) 基于射频识别的电子标签运动方向判断方法和系统
JP5442965B2 (ja) 物品位置検出システム
JP5518320B2 (ja) リーダライタシステム、及び物品仕分システム
EP2195763B1 (en) A method for classifying a transponder and/or signals originating from a transponder and reader
JP5762821B2 (ja) 通行管理装置
JP7155549B2 (ja) 無線タグ移動検知装置
JP5474330B2 (ja) リーダライタシステム
US86698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 tag based on the orientation of fibers
Karhu 3-D Positioning in Large Warehouses us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