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031B1 - 위조방지용 인쇄물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031B1
KR101437031B1 KR1020107004703A KR20107004703A KR101437031B1 KR 101437031 B1 KR101437031 B1 KR 101437031B1 KR 1020107004703 A KR1020107004703 A KR 1020107004703A KR 20107004703 A KR20107004703 A KR 20107004703A KR 101437031 B1 KR101437031 B1 KR 10143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austic
harmonic
imag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538A (ko
Inventor
스스무 키우치
카즈야 오시마
카요코 사토
마사토 키우치
Original Assignee
내셔널 프린팅 뷰로우 인코퍼레이티드 어드미니스트레이티브 에이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셔널 프린팅 뷰로우 인코퍼레이티드 어드미니스트레이티브 에이전시 filed Critical 내셔널 프린팅 뷰로우 인코퍼레이티드 어드미니스트레이티브 에이전시
Publication of KR2010005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33Watermar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4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 G03G21/043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by using an original which is not reproducible or only reproducible with a different appearence, e.g. originals with a photochromic layer or a colour back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352Controlling detectability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detection or retrieval of the embedded information, e.g. using 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8Transitory images, i.e. images only visible from certain viewing angles
    • B42D2035/14
    • B42D2035/20
    • B42D2035/34
    • B42D2035/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04N2201/32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which are undetectable to the naked eye, e.g. embedded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선명한 발현이 가능한 불가시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켰을 때 가시화상에 의해 시인성이 저해되지 않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을 가지는 화상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화상요소에서의 제1 화선과 제2 화선, 제3 화선과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으며, 제1 화선 및/또는 제2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제3 화선 및/또는 제4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인쇄물{FORGERY PREVENTION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은행권, 주권, 채권 등의 유가증권, 각종 증명서 및 중요서류 등의 위조방지 또는 복제방지가 필요한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명서류 등의 귀중한 인쇄물에서는 위조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근래 컬러복사기의 고화질화 및 컬러제판 기술의 컴퓨터화에 따라서 증명서류의 위조기술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른 증명서류의 위조방지책도 고도화되어 대응되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위조방지책에 쓰이는 제조비용도 올라가서, 위조방지 효과를 확인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특수한 기계기구로 이루어지는 전용 설비를 도입하는 등 진위 판정에 드는 비용이 비싸지는 경우가 있었다.
저가로 진위 판정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인쇄물 위에 판별구를 겹쳐서 실시하는 기술이 있다. 즉, 불가시화상(不可視畵像) 처리되어 있는 인쇄물에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可視畵像)으로서 발현시키는 것으로, 이 판별구의 주된 형태는 평행선 스크린을 인쇄한 투명시트(이하, '만선(萬線) 필터'라고 함)이거나,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이다. 이 판별구를 이용하여 불가시화상을 발현시키는 기술에는 주로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와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가 있다.
이와 같은 만선 필터로 이루어지는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잠상(潛像)화상이 발현하는 인쇄물과 그 진위판별 방법으로는, 만선(또는 망점(網點)) 화상으로 인쇄한 배경화상부와, 배경화상부와 다른 위상의 만선(또는 망점) 화상으로 인쇄한 잠상화상부를 가지는 인쇄물이 있다. 해당 인쇄물의 배경화상부와 잠상화상부는 구분하여 눈으로 인지하기가 일견 어렵지만, 만선 필터를 인쇄물의 소정의 위치에 겹쳤을 경우, 배경화상부와 잠상화상부를 구분하여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의 일례로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위상변조된 패턴이 형성된 인쇄물과, 해당 인쇄물의 제1 방향과 만선형상 필터의 만선형상 패턴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만선형상 필터를 겹침으로써 형성되는 제1 다계조화상(多階調畵像)과, 만선형상 필터가 겹쳐지는 각도를 인쇄물의 제2 방향과 일치하도록 바꾸면 제2 다계조화상이 형성된 인쇄물 및 화상형성법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보 제4132122호 참조).
또한,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의 일례로, 기재 위에 렌즈 어레이(파리눈 렌즈, 허니캠 렌즈, 렌티큘러 렌즈 등)를 겹침으로써 화상이 나타나는 도트패턴을 구성하는 각각의 도트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스크린선수이고, 또한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스크린 각도의 망점으로 이루어지는 인쇄물에 있어서, 진품이면 도트패턴을 구성하는 각각의 도트의 망점면적율이 같기 때문에 렌즈 어레이를 겹침으로써 불가시화상이 발현되고, 복사물의 경우에는 복사함으로써 스크린선수의 크기 또는 망점 각도에서 재현되는 도트가 깨져서, 도트의 농도가 변함으로써 불가시화상과 다른 화상이 발현되는 인쇄물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보 제4013450호 참조).
또한, 해외의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의 일례로서, 아스트롱 디자인사(네덜란드)의 이소그램(Isogram)이 있다(예를 들어, 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V Vol.4677(by SPIE-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1340 페이지 참조). 이것은, 도 27의 (a)에 도시된 인쇄물과 같이 언뜻보면 균일한 농도를 가지는 평탄한 모양 중에, 확대하면 도 2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세한 망점의 위상에 의해 불가시화상이 처리되고, 인쇄물 위에 전용 시트를 겹치면 도 27의 (c) 또는 도 2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가시화상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균일한 농도를 가지는 평탄한 모양 때문에 화상을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없다.
또한, 본 출원인 등은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를 이용한 인쇄물에 관한 특허출원을 하였다. 이는, 기재 위에 복수개의 같은 색 화소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2개의 잠상모양이 형성된 잠상인쇄물로서, 복수개의 화소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위상을 이동시켜서 배열된 제1 영역에 의한 제1 잠상모양(불가시화상)과, 기능성을 가지는 잉크에 의해 인쇄된 제2 영역에 의한 제2 잠상모양(불가시화상)을 가진다(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제2007-43171호 공보 참조).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의 일례로는, 기재 위에 선부(線部)와 비선부를 가지고 동일한 피치 및 폭으로 이루어지는 만선패턴에 대하여, 만선 위상을 2분의 1 피치 이동시켜서 형성된 잠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잠상 만선패턴이, 각각 다른 각도로 겹쳐져 인쇄된 잠상을 가지는 인쇄물로서, 여러 종류의 잠상 만선패턴이 각각 다른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과, 인쇄물의 만선패턴과 동일한 피치의 필름을 여러 종류의 불가시화상에 겹침으로써 잠상부를 가시화상화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7499a7호 참조).
또한, 해외의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를 이용한 인쇄물에는, 유러사(헝가리)의 HIT(Hidden Image Technology)가 있다(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V Vol.4677(by SPIE-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1341 페이지 참조).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견 균일한 농도를 가지는 평탄한 모양 중에, 확대하면 도 2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세한 만선의 위상에 의해 불가시화상이 처리되고, 인쇄물 위에 전용 시트를 겹치면 도 28의 (c) 또는 도 2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가시화상화된다. 한편, 도 28의 (a)의 인쇄물에서는 통상시에도 불가시화상이 확인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무플라주(camouflage) 모양으로서 만선의 일부 화선(畵線)폭을 변화시켜서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화이트 보이드(White-Void)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을 형성하여도 된다. 단, 이 카무플라주 모양은 전용시트를 겹쳐서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화하였을 때, 카무플라주 모양도 가시화상으로서 동시에 발현되기 때문에, 불가시화상 발현시의 시인성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 또는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에 의해 형성된 모양은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시트 위에, 단위 블록 안을 m열 n행으로 같은 형상으로 분할한 각각의 최소단위 블록(b1, b2, b3, b4, …)을 각각 1단위화소(g1, g2, g3, g4, …)로 하는 각각 잠상화상(G1, G2, G3, G4, …)이 형성되고, 그 단위화소(g1, g2, g3, g4, …)는, 만선 개수 1개분 이상의 만선에 의해 구성되는 만선패턴으로서, 피치(p1, p2, p3, p4, …) 각각의 만선피치(p)와, 각도(θ1, θ2, θ3, θ4, …) 각각의 만선각도(θ)의 만선에 의해 구성되는 서로 다른 각각의 만선패턴 중, 어느 하나의 만선패턴에 의해 구성된 위조방지용 화상인쇄물이며, 1단위화소(g1, g2, g3, g4, …)를 구성하는 만선패턴과, 동일한 만선피치(p) 및 만선각도(θ)의 만선에 의해 구성되는 각각 서로 다른 만선패턴을, 투명시트에 형성한 현상화(顯像化)용 만선시트를 겹침으로써, 잠상화상(G1, G2, G3, G4, …)을 현상화하도록 한 위조방지용 화상인쇄물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15120호 참조).
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15120호에 의한 위조방지용 화상인쇄물은, 각각 단위화소에 있어서 만선패턴의 피치 및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잠상화상을 현상화하는 것인데, 가시화상으로서는 똑같은 배경모양으로 밖에 표현할 수 없고, 더욱이 잠상화상을 현상화하기 위해서는 그 잠상화상을 구성하는 단위화소의 만선패턴에 맞는 피치 및 각도를 요하는 투명시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판별구를 준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인쇄물에서는, 잠상모양이 평탄한 농도를 가지는 인쇄 화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명하게 발현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어떠한 가시화상을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일본특허공보 제4013450호에 기재된 인쇄물과 같이, 단순한 화이트 보이드 화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켰을 때의 시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15120호에 기재된 인쇄물과 같이, 복수개의 판별구를 필요로 하는 것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단일 판별구에 의해 선명한 발현이 가능한 불가시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켰을 때 가시화상에 의해 시인성이 저해되지 않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을 가지는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화선요소에서의 제1 화선과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1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2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며, 각각의 화선요소에서의 제3 화선과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3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4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화선요소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한 변의 길이가 1mm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화선요소는,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제5 화선을 더 가지고, 제5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각각 원형상 또는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각각 반원 형상을 가지고,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화선 및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고,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3 화선 및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각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화선 및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고,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3 화선 및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5 화선이 화선요소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5 화선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제5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제5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6 화선이 화선요소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제6 화선에 의해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및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제5 화선 및/또는 제6 화선 위의 적어도 일부에 제5 화선 및/또는 제6 화선과 각각의 크기가 같거나 혹은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7 화선을 더 구비하고, 제7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및/또는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및/또는 제6 화선 위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사용하여 민인쇄(전면바탕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가 일정한 방향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된 제1 불가시화상 요소와,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가 일정한 방향과 같은 방향이고 일정한 피치와 같은 피치로 규칙적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2 불가시화상 요소가 번갈아 복수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제1 화선요소에서의 제1 화선과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이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제1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2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 화선요소에서의 제3 화선과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이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제3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4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요소의 피치 및 제2 화선요소의 피치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제1 화선과 제2 화선 및 제2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서로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와, 제3 화선과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1 불가시화상 요소 및 제2 불가시화상 요소에 있어서,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제5 화선이 배치되고, 제5 화선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과 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크고, 제5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5 화선의 색 농도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색 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제5 화선이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5 화선이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1 불가시화상 요소 및 제2 불가시화상 요소를 규칙적으로 복수개 배열할 때, 본래 배치되어야 할 일부 화선의 위치에 일부 화선이 배치되지 않고 제5 화선만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일부 화선이 배치된 위에 제5 화선이 겹쳐져 인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1 화선 내지 제4 화선 또는 제1 화선 내지 제5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제1 화선 내지 제4 화선 또는 제1 화선 내지 제5 화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제1 화선 내지 제4 화선 또는 제1 화선 내지 제5 화선과 각각의 크기가 같거나 혹은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6 화선을 더 구비하며, 제6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의 제1 화선 내지 제4 화선 또는 제1 화선 내지 제5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제1 화선 내지 제4 화선 또는 제1 화선 내지 제5 화선 위에서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재에,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빈틈없이)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소정의 영역에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 배치된 각각의 유닛에 있어서, 제1 화선과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제1 화선과 제2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on), 다른 쪽을 오프(off)로 하는 조합에 의해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1 화선 및 제2 화선의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고 대략 같은 색인 제3 화선이, 제1 화선과 제2 화선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유닛끼리의 일정한 피치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1 화선 및/또는 제2 화선이 본래 불가시화상을 형성하는 일부 화선 위치에, 제4 화선이 겹쳐져 인쇄되거나 또는 상기 제4 화선만 배치되고, 제4 화선은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크며, 제4 화선에 의해 불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4 화선의 색 농도는 제1 화선 및 제2 화선의 색 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의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기재에,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제1 방향과 직행하는 제2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을 가지는 유닛이 소정의 영역에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 배치된 각각의 유닛에 있어서, 제1 화선과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또한 제3 화선과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으며,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면적 및 색이 같고, 제1 화선과 제2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 다른 쪽을 오프로 하는 조합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1 화선 및 제2 화선의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5 화선이 유닛끼리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제3 화선과 제4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 다른 쪽을 오프로 하는 조합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6 화선이 유닛끼리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유닛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한 변의 길이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유닛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제7 화선을 더 가지고, 제7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각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은, 각각 반원 형상 또는 이등변 삼각형을 가지고,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반원 형상일 때는 제1 화선과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이 형성되고,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는 제1 화선과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며,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반원 형상일 때는 제3 화선과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이 형성되고,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는 제3 화선과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 또는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7 화선이 유닛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7 화선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제7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제7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더욱이 제8 화선이 유닛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제8 화선에 의해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1 화선과 제2 화선이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래 존재하는 위치, 및 제3 화선과 제4 화선이 제2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래 존재하는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의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9 화선이 유닛의 중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유닛에 있어서, 유닛의 중심에 배치된 제9 화선을 더 가지고, 제9 화선이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또는 제4 화선과 대략 동일한 화선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제6 화선, 제7 화선, 제8 화선 및 제9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제7 화선 및/또는 제8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제7 화선 및/또는 제8 화선과 동일하거나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10 화선을 더 구비하며, 제10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제6 화선, 제7 화선, 제8 화선 및 제9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제1 화선, 제2 화선, 제3 화선, 제4 화선, 제5 화선, 제6 화선, 제7 화선, 제8 화선 및 제9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사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은, 제1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1 화선과, 상기 제1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1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3 화선과, 상기 제3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4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2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5 화선과, 상기 제5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6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3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며,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5 화선과 상기 제6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1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2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5 화선과 상기 제6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3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5 화선에 의해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6 화선에 의해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의 다른 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다른 방향은,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이 배열되는 제1 방향을 0°로 하였을 경우,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이 배열되는 제2 방향이 60°이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배열되는 제3 방향이 1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와,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와,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3 화선요소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제7 화선 및 제8 화선 중 쌍방 또는 어느 하나를 더 가지고, 상기 제7 화선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8 화선에 의해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7 화선 및/또는 상기 제8 화선이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 중 어느 하나의 화선으로 배열된 육각형 배열내 또는 삼각형 배열내의 중심에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은 각각 원형상, 각각 반원형 이하의 형상,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7 화선 및/또는 상기 제8 화선은 각각 원형상,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7 화선 및/또는 상기 제8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상기 제7 화선 및/또는 상기 제8 화선과 동일하거나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9 화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9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따르면, 단일 판별구에 의해 선명한 발현이 가능한 불가시화상이 형성되는 동시에,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켰을 때 가시화상에 의해 시인성이 저해되지 않고, 인쇄재현상의 문제를 해소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과 판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인쇄물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상기 인쇄물에 소정의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인쇄물에 상기 소정의 각도와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 처리된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에 3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종래의 인쇄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인쇄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선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선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선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와, 유색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와,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화선 A 또는 화선 B의 중심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렌즈의 중심을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화선 A' 또는 화선 B'의 중심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렌즈의 중심을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화선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불가시화상 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불가시화상 요소를 복수개 배열한 도면이다.
도 42는 불가시화상 요소를 복수개 배열함으로써, 인쇄물 위에 각 화선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도 4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4는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과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의 크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7은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8은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9는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0은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선 및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제1 화선요소에서의 화선 형상과, 제2 화선요소에서의 화선 형상 그리고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했을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52는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와, 유색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D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인쇄물을,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와,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E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인쇄물을,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쳤을 때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8은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과, 제판공정 또는 인쇄공정에서 인쇄물 품질의 불안정요소가 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과,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0은 육안으로 확인할 때 농도가 불균형해지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선의 삭제와 추가를 실행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 및 화선 E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3은 상기 실시예 9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4는 상기 실시예 9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과,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6은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은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 및 화선 E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8은 상기 실시예 10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9는 상기 실시예 10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에 처리된 모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1은 상기 인쇄물에 소정의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2는 상기 인쇄물에 상기 소정의 각도와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3은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일 화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4는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의 일 화선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5는 육안으로 확인할 때 농도가 불균형해지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선의 삭제와 추가를 실행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6은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 상태와, 도 75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유닛[h, v]의 화선 B'[h, v]가 삭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7은 유닛[h, v]의 화선 A'[h, v] 삭제와, 유닛[h, v]의 화선 B'[h, v] 삭제를 인쇄모양(3)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8은 도 60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 및 화선 E가 추가된 상태와, 도 75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화선 B 또는 화선 B'의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b 및 화선 E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9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E의 추가를 인쇄모양(3)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0은 제1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화선 C와, 제2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화선 D를 배치한 인쇄모양(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1은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2는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A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3은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에 있어서 화선 B 위에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를 놓은 상태, 그리고 그 때 시인되는 화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4는 상기 실시예 11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선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5는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와, 유색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6은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7은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8은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와,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9는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와,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0은 유닛 [h, v]에 있어서 화선 A 또는 화선 A' 및 화선 B 또는 화선 B'가 완전히 빠져 있을 때, 화선 E'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선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인쇄물에 소정의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3은 상기 인쇄물에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120도를 이루는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4는 상기 인쇄물에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60도를 이루는 각도로 판별구를 겹쳤을 때 시인되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3 전부에 관한 육각형 배열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3 전부에 관한 인쇄물 위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7은 상기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3의 불가시화상을 해상할 수 있는 5 종류의 간격 S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8은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도형 영역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a는 상기 실시예 17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b은 도 99a의 모식도에 나타내어지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실시예 17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c은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d는 도 99c의 모식도에 나타내어지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실시예 18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e은 상기 실시예 18에 따른 인쇄물에 처리된 모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9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g는 도 99f의 모식도에 나타내어지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실시예 19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h은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4)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i은 도 99h의 모식도에 나타내어지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예 20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j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5)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k는 도 99j의 모식도에 나타내어지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예 21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l은 광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와, 유색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가 인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9m은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n는 확산곽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와, 정반사 광역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9o은 확산곽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와, 정반사 광역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내이면 그 밖의 여러가지 변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에 판별구(2)를 겹침으로써 쉽게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켜서 진위성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판별구(2)는 투명성을 가지는 필터에 복수개의 직선이 만선형상으로 일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만선 필터 또는 렌티큘러 렌즈 등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통상의 가시조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임의의 도형 및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된다. 그리고,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이것을 0도로 함)로 겹치면,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5)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또한,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겹치면,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6)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도 3의 (a) 또는 도 3의 (b), 그리고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것은, 판별구(2)와 인쇄물(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의 범위내이다.
(1)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본 실시예 1에서의 인쇄물에 대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가로세로의 치수 S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크기이다. 이와 같은 화선이 인쇄물의 표면 위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각 화선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화선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란, 예를 들어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 한 쪽이 유착색일 때는 다른 쪽은 무착색이고, 쌍방 모두 흑 또는 쌍방 모두 백인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화선 A와 화선 A'가 존재함으로써 통상의 가시조건하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화선 A만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이, 화선 A'만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선 B와 화선 B'는 쌍을 이루고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다. 화선 B만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이, 화선 B'만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각각 형성되고 있다.
화선 C는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구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시인상태에서 육안으로 시인되는 임의의 도형 및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을 구성한다.
여기서, 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는 화상이며, 불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없거나 혹은 극히 시인되기 어려운 화상이다.
화선 A와 화선 A', 화선 B와 화선 B'에 관하여, 가로세로의 길이가 S인 사각형 내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원형의 화선 A와 화선 A'를 길이 S의 약 절반 길이로 각각 배치하고, 가로축 방향으로 원형의 화선 B와 화선 B'를 길이 S의 약 절반 길이로 각각 배치하고 있다. 더욱이, 사각형의 네 모퉁이에 화선 C의 중심이 오도록 각각 4분의 1씩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선을 인쇄물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빈틈없이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도 6과 같다. 이 도 6은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선을, 제1 불가시화상, 제2 불가시화상 및 제1 가시화상 각각의 구성을 알 수 있게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인쇄모양(3)에 있어서 화선 A의 총화선면적과 화선 A'의 총화선면적이 같고, 각각 쌍으로 되어 있는 것끼리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음으로써, 제1 불가시화상이 통상의 육안으로는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선 B와 화선 B'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불가시화상이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에서는 길이(S)가 340㎛이고, 인쇄모양(3)이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되어 있다. 하지만, 길이(S), 인쇄물의 기재(基材), 인쇄방법, 인쇄재료, 인쇄장치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육안으로는 가시화상이 시인되는데, 불가시화상은 시인되지 않는다. 판별구를 인쇄모양 위의 소정의 위치에 겹치면, 그때까지 시인되었던 가시화상이 전혀 확인할 수 없게 되고, 역으로 불가시화상이 시인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상의 스위치 효과의 원리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가시화상이 시인되고 불가시화상이 시인되지 않을 때, 그 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화선 C이고, 그 배경 일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A 또는 화선 A' 및 화선 B 또는 화선 B'이다.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는 각각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는 동시에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화상(모양)으로서 확인되지 않는다.
인쇄물 위의 소정의 위치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화선 A의 중심 즉, 도 5에서의 선 L1에 일치하도록 놓는다. 이 경우, 화선 A가 확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화상(모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때, 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던 화선 C 및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화선 B 및 화선 B'는, 확대되어 있는 화선 A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더욱이 화선 B 및 화선 B'는 서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이에 의해, 화상으로서가 아니고, 똑같은 배경으로서 밖에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화상이 스위치되게 된다. 화선 A'가 확대되도록 세로축 방향에 따라서 판별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화선 A에 의해 시인된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되어 시인된다. 또한, 판별구를 90도 회전시키고,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도 5에서의 선 L3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화선 B가 확대되도록 판별구를 놓았을 경우, 더욱이 이 상태에서 가로축 방향을 따라서 화선 B'가 확대되도록 놓았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로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되어 시인된다.
인쇄모양(3)에, 소정의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의 선 L1과 각 렌즈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5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도 8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5에서의 선 L2와 일치하고, 도 9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A와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도 5에서의 선 L2와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도 5에서의 선 L3과 일치하도록 인쇄모양(3)에 90도의 각도로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10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0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5에서의 선 L4와 일치하고, 도 11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결국, 상술한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한편, 판별구를 사용하여 제1, 제2 불가시화상을 판별할 때에 있어서, 화선 C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은 거의 보이지 않거나 보이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 및 제2 불가시화상이 가시화상으로서 발현되었을 때, 이들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판별구(2)는, 렌티큘러 렌즈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만선 필터의 경우, 필터 위의 만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을 은폐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만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가시화상을 완전히 은폐할 수는 없고 약간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간이적으로 판별하는데는 만선 필터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 1에서의 인쇄물(1)의 일 화선의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는 원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도 29에 나타낸 화선과 같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일 화선이 적어도 3개 이상의 화선요소를 가지고, 화선 A와 화선 A'가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1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가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2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더욱이 화선 C가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으로서 시인되는 것이면, 화선의 형상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화선 C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 실시예 2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인쇄물에 대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모양(3)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1 불가시화상을 구성한다. 화선 A와 화선 A'가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선 B와 화선 B'는 도 1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2 불가시화상을 구성한다. 화선 B와 화선 B'가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화선 C는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네 모퉁이에 화선 C의 중심이 위치하고 4분의 1씩 분할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화선 C가 제1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구성한다.
도 13에 화선 A 및 화선 A'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화선 B 및 화선 B'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이 형성되며, 화선 C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간이적으로 모식도로서 나타낸다.
통상의 육안상태에서는 화선 A의 총화선면적과 화선 A'의 총화선면적이 동일함으로써 제1 불가시화상이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화선 B의 총화선면적과 화선 B'의 총화선면적이 동일함으로써 제2 불가시화상이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의 소정의 위치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제1 또는 제2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2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길이(S)를 340㎛로 하고, 인쇄모양(3)은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하였는데, 길이(S), 인쇄방법, 인쇄재료 및 인쇄장치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2에서의 선 L11과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15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5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 위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화선 A가 보다 팽창되어 크게 보인다. 그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적이 큰 화선 A와 상대적으로 작은 화선 B, 화선 B'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B와 화선 B'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화선 A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이 가시화상으로서 시인되게 된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2에서의 선 L12와 일치하고, 도 16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가 팽창되어 크게 보인다. 특히, 면적이 큰 A'가 보다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화선 B와 화선 B'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이 가시화상으로서 시인된다. 결국,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인쇄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2에서의 선 L13과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17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7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보다 팽창되어 보이고, 또한 화선 A 및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12의 선 L14와 일치하고, 도 18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또한 화선 A 및 화선 A'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여서, 육안으로는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결국, 상술한 도 4의 (a)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낸 제2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별구(2)는 렌티큘러 렌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판별구(2)를 이용한 관찰시에 화선 C는 시인이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과 제2 불가시화상이 가시화상으로서 발현하였을 때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2에서의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의 화선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형의 화선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3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화선형상이어도 된다. 즉, 인쇄모양(3)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고, 각각의 화선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화선 A와 화선 A'는 도 3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어(pair) 구성으로 제1 불가시화상이 처리되고, 화선 A와 화선 A'는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배치하며, 또한 화선 B와 화선 B'는 도 3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어 구성으로 제2 불가시화상이 처리되고, 화선 B와 화선 B'가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더욱이 화선 C가 도 30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으로서 시인되는 것이면, 본 실시예 2의 화선 형상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선 A와 화선 A'에서 화선면적율이 일치한다면 개개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선 B와 화선 B'에서 화선면적율이 일치한다면 개개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2에 따르면, 화선 C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3)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에 3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양(4)에 더하여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낸 모양(4)과 모양(8)은 중첩하는 배치로 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0에 실시예 3에서의 인쇄물에 형성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모양(3)은 적어도 4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A와 화선 A'가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B와 화선 B'가 쌍을 이루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는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0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C는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네 모퉁이에 화선 C의 중심이 오도록 4분의 1씩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화선 D는 도 20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형성하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중심에 화선 D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1에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각 화선의 위치관계를 간이적으로 나타낸다.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는 화선 A의 총화선면적과 화선 A'의 총화선면적이 같음으로써, 제1 불가시화상이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는 화선 B와 화선 B'의 총화선면적이 같음으로써, 제2 불가시화상이 불가시 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3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길이(S)가 340㎛이고, 인쇄모양(3)을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하였는데, 길이(S), 인쇄방법, 인쇄재료 및 인쇄장치에 대해서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0에서의 선 L21과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23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3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 위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와, 화선 B 및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B 및 화선 B'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들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시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불가시화상만 시인된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0에서의 선 L22와 일치하고, 도 24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이 경우에도, 화선 B 및 화선 B'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시인되지 않고, 화선 A'에 의해 형성되고, 화선 A에 의한 것과는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한 관계에 있는 제1 불가시화상이 시인된다. 즉,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중 어느 한 상태에서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인쇄물(1)의 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0에서의 선 L23과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25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5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고,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하지만, 화선 A 및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다. 이 때문에, 화선 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불가시화상이 시인된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20에서의 선 L24와 일치하여 도 26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유로, 화선 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불가시화상이 시인된다.
결국, 상술한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판별구로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로 관찰했을 때는 화선 C는 거의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 및 제2 불가시화상이 가시화상으로서 발현되었을 때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3에서의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의 화선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형이어도 좋다. 인쇄모양(3)은 적어도 4개 이상의 화선요소를 구비한다. 화선 A와 화선 A'는 도 3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제1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화선 A와 화선 A'가 사각형 내에서 중심에 대하여 상하 대칭으로 배치된다. 화선 B와 화선 B'는 도 3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제2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가 사각형 내에서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화선 C는 도 3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으로서 시인되고, 화선 D는 도 3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시화상(디자인:모양)으로서 시인된다.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고, 화선 B와 화선 B'도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각 화선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3에 따르면, 화선 C 및 화선 D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4)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을 형성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설명하였는데, 실시예 4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처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본 실시예 4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21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마찬가지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C 위에 임의의 유색 예를 들어,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를 인쇄한다. 이 화선 F는 화선 C로 구성되는 제1 가시화상 그리고 화선 D로 구성되는 제2 가시화상과는 별도로, 인쇄물의 관찰조건에 의해 현출하는 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4에서는 화선 F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서의 화선 C의 화선면적은 화선 F와 동일하거나 또는 화선 F보다 크다. 한편, 본 실시예 4에서의 광휘성 재료 및 유색잉크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33은, 본 실시예 4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33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33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3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처리된 옅은 자주색의 화선 F가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 및 화선 D로 구성된 2종류의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3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광휘성의 작용을 가지지 않는 옅은 자주색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만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화선 F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5) 실시예 5
본 실시예 5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처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본 실시예 5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21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마찬가지이다. 도 35에 나타내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 위에 무색투명재료 예를 들어, 투명 니스(varnish)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G를 인쇄하고 있다. 모양 G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의 배치와 특별한 위치관계는 없다. 본 실시예 5에서는, 모양 G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5에서의 광휘성 재료 및 무색투명재료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33은, 본 실시예 5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33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33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3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형성된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는 완전히 투과되기 때문에,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 및 화선 D로 구성된 2종류의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3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의 부분에 대해서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D의 광휘성 작용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모양 G만 광휘성의 차이로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모양 G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에서는,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이것을 0도로 함)로 겹치면, 도 3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5)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되고, 그 위치로부터 판별구(2)를 약간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3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6)이 가시화상이 되어 출현한다. 또한, 더욱이 판별구(2)를 세로축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서 겹치면, 도 3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5)이 포지티브 상태로 출현하고, 그 위치로부터 판별구(2)를 약간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3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6)이 포지티브 상태가 되어 출현한다. 도 37의 (a) 또는 도 38의 (a) 및 도 37의 (b) 또는 도 3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것은, 판별구(2)와 인쇄물(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의 범위내이다.
(6)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실시예 6의 위조방지용 인쇄물(1)의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이다. 도 3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가상의 중심선 X1에 대하여 마주보고 있으며, 서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란, 예를 들어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 한 쪽이 유착색일 때는 다른 쪽은 무착색이고, 쌍방 모두 흑 또는 쌍방 모두 백인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고, 이 화선들에 의해 제1 화선요소(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39의 (b)에 대해서는 도 39의 (a)와 같이, 화선 B와 화선 B'가 가상의 중심선 X2에 대하여 마주보고 있으며, 서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이 화선 B와 화선 B'는 면적이 동일하고, 이 화선들에 의해 제2 화선요소(9)를 구성하고 있다.
도 40은 상술한 각 화선요소를 일정한 방향(Y)으로 복수개 배치한 것이다. 도 40의 (a)는 제1 화선요소(8)를 일정한 방향(Y)으로 복수개 배치한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이고, 도 40의 (b)는 제2 화선요소(9)를 제1 화선요소(8)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같은 일정한 방향(Y)으로 복수개 배치한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이다.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선요소의 중심선(X1)끼리의 거리(피치)(S)는 일정하고, 또한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를 구성하고 있는 각 화선요소의 중심선(X2)끼리의 거리(피치)(S)도 일정하며,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에서의 피치(S)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에서의 피치(S)는 같다. 한편, 이 피치(S)는 가시상태에서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1mm 이하가 된다.
도 41은 상술한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가 규칙적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이 규칙적인 배열이란,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화선요소(8)의 중심선(X1)의 위치에,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를 구성하고 있는 제2 화선요소(9)의 각 화선 B 및 화선 B'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의 피치(S)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의 피치(S)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에 대하여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를 1/4 피치 이동시켜서 배열하고 있는 것이 된다. 한편, 도 41의 (a)는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가 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41의 (b)는 제1 불가시화상 요소(10)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11)가 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도면이다. 가시상태에서의 디자인을 고려하면, 도 41의 (a)와 같이 접하여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불가시화상 요소(10) 및 불가시화상 요소(11)를 기재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빈틈없이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도 42와 같이 된다. 도 42는,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선을, 제1 불가시화상, 제2 불가시화상 및 가시화상 각각의 구성을 알 수 있도록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3은 도 42에서 원으로 감싼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한편, 이 도면에서 점선으로 둘러싼 공백화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선요소가 2개의 화선이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2에서의 화선 C는 인쇄물에서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구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시인상태에서 육안으로 시인되는 임의의 도형 및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을 나타낸다. 여기서, 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는 화상이며, 불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없거나 혹은 극히 시인되기 어려운 화상이다. 이 화선 C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가시화상을 구성한다. 또한, 화선 C로 구성되는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이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를 완전히 감추지 않도록 번갈아 배치하는 등,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C의 개수를 적어도 전체 화선수의 절반 정도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선 C와,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위치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선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가시화상을 명확하게 시인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가 도 4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또는 도 4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이상, 이른바 '화선 C의 면적≥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면적'의 관계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화선의 크기가 같은 것이다. 본 실시예 6에서는 모든 화선의 크기를 같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화선 C를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본래 화선 A를 배치하는 곳에 화선 A를 배치하지 않고, 화선 C를 배치하여도 되고, 또는 먼저 화선 A를 배치한 후에 겹쳐서 인쇄하여 화선 C를 배치하여도 된다.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그리고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C의 색은, 비용을 고려하여 단색(모두 같은 색)이어도 가능하지만, 색채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복수색이어도 된다. 단, 불가시화상의 화선요소인 화선 A 및 화선 A'와 화선 B 및 화선 B'는 각각이 쌍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화선 A 및 화선 A'가 동색이고, 화선 B 및 화선 B'가 동색이어야 한다. 또한,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C와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색의 관계는, 화선 C가 각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보다 농도가 높아지면, 판별구를 겹쳐서 불가시화상을 출현시킬 때 불가시화상의 출현을 저해하여 버린다. 따라서, 화선 C의 농도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농도와 같거나 또는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선 C를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의 일부 화선에 겹쳐서 인쇄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겹쳐서 인쇄하는 만큼 결국 혼합색이 되어서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그 농도의 상승을 최대로 억제하게 위해서도 화선 C의 농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6에서는 거리(피치)(S)를 340㎛로 하고, 인쇄모양(3)은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되어 있다. 하지만, 거리(피치)(S), 인쇄물의 기재, 인쇄방법, 인쇄재료, 인쇄장치 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육안으로는 가시화상이 시인되지만, 불가시화상은 시인되지 않는다. 판별구를 인쇄모양 위의 소정의 위치에 겹치면, 그때까지 시인되었던 가시화상이 전혀 확인할 수 없게 되고, 반대로 불가시화상이 시인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 6에 따른 인쇄물에서의 화상의 스위치 효과의 원리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가시화상이 시인되고 불가시화상이 시인되지 않을 때, 그 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화선 C이고, 그 배경 일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A 또는 화선 A', 및 화선 B 또는 화선 B'이다. 화선 A 및 화선 A'와 화선 B 및 화선 B'는 각각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는 동시에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화상(모양)으로서 확인되지 않는다.
인쇄물 위의 소정의 위치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화선 A의 중심 즉, 도 39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이 경우, 화선 A가 확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화상(모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때, 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던 화선 C 및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화선 B 및 화선 B'는, 확대되어 있는 화선 A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더욱이 화선 B 및 화선 B'는 서로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이에 의해, 화상으로서가 아니라, 똑같은 배경으로서 밖에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화상이 스위치되게 된다. 또한, 화선 A'가 확대되도록 세로축 방향에 따라서 판별구(2)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도 39에서의 선 L2와 일치하도록 이동시켰을 경우, 화선 A에 의해 시인된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반전되어 시인된다.
또한, 판별구를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도 39에서의 선 L3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화선 B가 확대되도록 판별구를 놓았을 경우, 더욱이 이 상태로부터 세로축 방향에 따라서 판별구(2)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도 39에서의 선 L4와 일치하도록 이동시켰을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로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하여 시인된다.
인쇄모양(3)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9에서의 선 L1과 각 렌즈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46에 나타낸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39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도 46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4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39에서의 선 L2와 일치하고, 도 47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4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A와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37의 (a) 또는 도 3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이어서, 도 39에서의 선 L3과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인쇄모양(3)에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48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48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고,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4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39에서의 선 L4와 일치하고, 도 39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4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결국, 상술한 도 37의 (b) 또는 도 3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되는 것이다.
한편, 판별구를 이용하여 제1, 제2 불가시화상을 판별할 때, 화선 C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되거나 또는 보이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 및 제2 불가시화상이 가시화상으로서 발현하였을 때, 이들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판별구(2)는, 렌티큘러 렌즈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만선 필터의 경우, 필터 위의 만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을 은폐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만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가시화상을 완전히 은폐할 수는 없고 약간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간이적으로 판별하는데는 만선 필터를 이용하여도 충분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 6에서의 인쇄물(1)의 일 화선인 화선 A,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는 원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50과 같이 원형(a), 사각형(b), 육각형(c), 타원형(d), 직사각형(e) 또는 마름모 형상(f) 등 여러가지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가 각각 달라도 된다. 화선 A와 화선 A'가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1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가 쌍을 이루어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제2 불가시화상을 구성하고, 또한 화선 C가 가시화상(디자인:모양)으로서 시인되는 것이면, 화선의 형상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51에 각 화선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구성한 인쇄물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1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화선 A 및 화선 A'는 원형, 제2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화선 B 및 화선 B'는 육각형,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C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도, 제1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화선 A 및 화선 A'의 면적은 동일하고 동색이며, 제2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화선 B 및 화선 B'의 면적은 동일하고 동색이고,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 C는 다른 화선과 면적은 동일하지만 색은 다르다. 또한, 제1 불가시화상 요소와 제2 불가시화상 요소는 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 51의 배치에 의해서도, 판별구(2)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각 화선의 중심 즉, L1, L2, L3 및 L4와 일치하도록 각각 위치를 세로축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면서 놓음으로써, 화선 A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 화선 A'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화선 A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화선 B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 및 화선 B'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화선 B가 구성하는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이 각각 출현한다.
본 실시예 6에 따르면, 화선 C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와 화선 B 및 화선 B'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6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7)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6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을 형성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설명하였는데,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지 않고 시인할 수 있는 잠상모양을 처리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2는 본 실시예 7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42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같다. 도 52에 나타내는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화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화선 위에 임의의 유색잉크 예를 들어,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D를 인쇄한다. 이 화선 D는 화선 C로 구성되는 가시화상과는 별도로, 인쇄물의 관찰조건에 따라 출현하는 잠상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 7에서의 화선 D의 면적은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와 같거나 작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 7에서의 광휘성 재료 및 유색잉크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53은, 본 실시예 7에서의 인쇄모양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이 도 53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이 도 53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5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5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 위에 처리된 옅은 자주색의 화선 D가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광휘성의 작용을 가지지 않은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D만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화선 D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8) 실시예 8
이어서, 상기 실시예 6, 실시예 7과 다른 방법에 의해 잠상모양을 형성하는 실시예 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본 실시예 8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42의 구성과 같으며,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 위에 무색투명재료 예를 들어, 투명 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을 인쇄하고 있다. 이 모양은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의 배치와 특별한 관계는 없고, 임의의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3은, 본 실시예 8에서의 인쇄모양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과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이 도 53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8)과 시점(9)과 인쇄물(1)이 도 53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5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5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 위에 처리된 투명 니스의 화선 E가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5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및 화선 C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광휘성의 작용을 가지지 않는 투명 니스로 이루어지는 화선 E만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화선 E의 배치로 구성된 문자 'N'이 관찰된다.
그런데,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 또는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에 상관없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15120호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위블록 경계에서의 만선모양의 절단, 혹은 모양에 처리된 불가시화상의 경계의 상태에 의해, 인쇄재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40㎛의 만선피치의 치수(S)를 가지는 인쇄모양(3)을 처리한 인쇄물(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쳤을 때,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58에 나타낸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58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5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하지만, 인쇄방식 예를 들어, 볼록판 방식, 오목판 방식 및 공판(孔版)(실크스크린) 방식 등의 최저화선폭이 제판 기재의 재현성이나, 디지털 제판(예를 들어, CTP 등)의 화상해상도 설정 등에 화상재현성이 의존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58의 (a)에 나타내는 화선부(x1)의 최소화선폭은 3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판공정 또는 인쇄공정에서 소실될 우려가 있고, 인쇄재현이 곤란한 부위로서 인쇄물 품질의 불안정 요소가 된다. 또한, 비화선부(x2)의 최단비화선폭은 3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판공정 또는 인쇄공정에서 주위 화선의 팽창에 의해 묻혀버릴 우려가 있어서, 인쇄재현이 곤란한 부위로서 인쇄물 품질의 불안정 요소가 된다.
또한, 어떠한 불가시화상을 설치하였다고 하여도, 불가시화상의 경계 상태에 따라서 그 경계부가 인쇄재현이 곤란한 부위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인쇄재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는 상기 인쇄재현상의 문제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9) 실시예 9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본 실시예 9에서의 인쇄물에 대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의 부분적인 확대와,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을 알 수 있도록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세로 치수(S)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크기이다. 도 59의 (a)의 화선은 유닛이라고 칭하는 최소단위이며, 화선 A와 화선 A'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 59의 (a)의 화선이 인쇄물 표현상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온오프의 관계에 있다. 이 온오프의 관계란 예를 들어,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 한 쪽이 유착색일 때는 다른 쪽은 무착색이고, 기본적으로는 쌍방 모두 흑 또는 쌍방 모두 백인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화선 A와 화선 A'가 존재함으로써 통상의 가시조건하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화선 A만에 의해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화선 A'만에 의해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선을 인쇄물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가로세로 빈틈없이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도 59의 (b)가 된다. 이 도 59의 (b)는,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세로 스텝수 v와 가로 스텝수 h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선과, 불가시화상을 그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두꺼운 실선으로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 9에서 말하는 스텝수란, 인쇄모양(3) 위에서 반복되는 유닛의 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스텝수에 어떤 제한은 없고, 이 스텝수에 따라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의 화상도와 비례한다. 불가시화상으로 나타내는 굵은 실선은 어디까지나 위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도 59의 (b)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A의 총면적과 화선 A'의 총면적은 같다. 또한, 화선 A 및 화선 A'가 가로방향으로 늘어섬으로써, 화선 A군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만선 및 화선 A'군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만선이 형성된다. 즉, 도 59의 (b)는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에 의해 불가시화상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육안으로 보이며, 복수개의 화선 A와 복수개의 화선 A'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유닛의 근방부에서 화선 A와 화선 A'가 모두 온(유착색)이 되기 때문에, 농도가 높게(진하게) 보이거나, 또한 복수개의 화선 A와 복수개의 화선 A'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유닛의 근방부에서 화선 A와 화선 A'가 모두 오프(무착색)가 되기 때문에, 농도가 낮게(옅게) 보여서, 육안으로는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 60에 나타낸 알고리즘에 의해 최소단위인 유닛[h, v] 마다 화선의 삭제 그리고 추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한편, [v]는 유닛을 세로 위에서부터 센 스텝수이고, [h]는 유닛을 가로 왼쪽에서부터 센 스텝수이다. 먼저, 처리 f1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열마다의 유닛[h, v]에 있어서, 차례로 화선 A[h, v] 및 화선 A'[h, v]를 검지한다. 한편, 화선 A[h, v] 및 화선 A'[h, v]를 검지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인쇄모양(3)이 비트맵 형식의 2진화상인 경우, 처리할 유닛 안에서 일반적으로 라벨링이라는 처리에 의해 화선 A[h, v] 또는 화선 A'[h, v]를 식별하여 삭제하여도 된다.
이어서, 처리 f2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1]을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3에서, 유닛[v]에서의 본래 배치되는 위치인 화선 A'[h, v]의 삭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6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 유닛[h, v+1], 유닛[h, v+2]를 배치할 때, 유닛[h, v]의 화선 A'[h, v]와 유닛[h, v+1]의 화선 A[h, v+1]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 도 6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다. 또한, 처리 f2의 조건에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f4로 이행한다. 한편, 이 처리 f2, 처리 f3이 도 59의 (b)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61의 (c)에 나타내는 인쇄모양(3)이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화선 A'가 삭제됨으로써, 화선 A의 총면적에 대하여 화선 A'의 총면적이 적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처리 f4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5에서, 유닛[h, v]와 유닛[h, v+1]의 사이에 화선 추가를 실시한다. 즉, 도 6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와 유닛[h, v+1]의 중간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1]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처리 f6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2]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7에서,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E를 추가한다. 즉, 도 6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처리 f8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2]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9에서,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E를, 그리고 유닛[h, v+1]과 유닛 [h, v+2]의 사이에 화선 a를 추가한다. 즉, 도 6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되고, 유닛[h, v+1]과 유닛[h, v+2] 사이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따라서, 이 처리 f4에서 처리 f8까지가 도 59의 (d)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62의 (e)에 나타내어지는 인쇄모양(3) 전체영역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 상태에서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9에서는 길이(S)가 340㎛이고, 인쇄모양(3)이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되어 있다. 하지만, 길이(S), 인쇄물의 기재, 인쇄방법, 인쇄재료, 인쇄장치 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물 위의 소정의 위치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화선 A의 중심 즉, 도 62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이 경우, 화선 A가 확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화상(모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화선 A'가 확대되도록 세로축방향에 따라서 판별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화선 A에 의해 시인된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되어 시인된다.
인쇄모양(3)에 소정의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2에서의 선 L1과 각 렌즈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64에 나타낸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62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도 64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6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A와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여기서 판별구(2)는 렌티큘러 렌즈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만선 필터인 경우, 필터 위의 만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을 은폐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만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가시화상을 완전히 은폐할 수는 없고 약간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간이적으로 판별하는데는 만선 필터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 10 및 실시예 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 9에 따르면,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9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게다가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해서도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선 a 및 화선 E에서의 최단폭을 인쇄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화선폭 이상으로 하여 둠으로써, 필연적으로 인쇄물품질의 불안정 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10) 실시예 10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9는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의 일례를 나타낸 것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 10은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5는, 본 실시예 10에서의 인쇄물에 대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의 부분적인 확대와,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을 알 수 있도록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세로 치수(S)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크기이다. 도 65의 (a)의 화선은 유닛이라는 최소단위이며, 화선 A와 화선 A'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 65의 (a)의 화선이 인쇄물의 표면상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온오프의 관계에 있다. 이 온오프의 관계란 예를 들어,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 한 쪽이 유착색일 때는 다른 쪽은 무착색이고, 기본적으로는 쌍방 모두 흑 또는 쌍방 모두 백인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화선 A와 화선 A'가 존재함으로써, 통상의 가시조건하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화선 A만에 의해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화선 A'만에 의해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선을 인쇄물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가로세로 빈틈없이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도 65의 (b)가 된다. 이 도 65의 (b)는,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세로 스텝수 v와 가로 스텝수 h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선과, 불가시화상을 그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두꺼운 실선으로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 10에서 말하는 스텝수란, 인쇄모양(3) 위에서 반복되는 유닛의 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스텝수에 어떤 제한은 없고, 이 스텝수에 따라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의 화상도와 비례한다. 불가시화상으로 나타내는 굵은 실선은 어디까지나 위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도 65의 (b)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A의 총면적과 화선 A'의 총면적은 같다. 또한, 화선 A 및 화선 A'가 가로방향으로 늘어섬으로써, 화선 A군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만선 및 화선 A'군으로 이루어지는 점군이 형성된다. 즉, 도 65의 (b)는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에 의해 불가시화상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육안으로 보이며, 복수개의 화선 A와 복수개의 화선 A'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유닛의 근방부에서 화선 A와 화선 A'가 모두 온(유착색)이 되기 때문에, 농도가 높게(진하게) 보이거나, 또한 복수개의 화선 A와 복수개의 화선 A'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유닛의 근방부에서 화선 A와 화선 A'가 모두 오프(무착색)가 되기 때문에, 농도가 낮게(옅게) 보여서, 육안으로는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 60에 나타낸 알고리즘에 의해 최소단위인 유닛[h, v] 마다 화선의 삭제 그리고 추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한편, [v]는 유닛을 세로 위에서부터 센 스텝수이고, [h]는 유닛을 가로 왼쪽에서부터 센 스텝수이다. 먼저, 처리 f1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열마다의 유닛[h, v]에 있어서, 차례로 화선 A[h, v] 및 화선 A'[h, v]를 검지한다. 한편, 화선 A[h, v] 및 화선 A'[h, v]를 검지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인쇄모양(3)이 비트맵 형식의 2진화상인 경우, 처리할 유닛 안에서 일반적으로 라벨링이라는 처리에 의해 화선 A[h, v] 또는 화선 A'[h, v]를 식별하여 삭제하여도 된다.
이어서, 처리 f2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1]을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3에서, 유닛[v]에서의 본래 배치되는 위치인 화선 A'[h, v]의 삭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6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 유닛[h, v+1], 유닛[h, v+2]를 배치할 때, 유닛[h, v]의 화선 A'[h, v]와 유닛[h, v+1]의 화선 A[h, v+1]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 도 6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다. 또한, 처리 f2의 조건에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f4로 이행한다. 한편, 이 처리 f2, 처리 f3이 도 65의 (b)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66의 (c)에 나타내는 인쇄모양(3)이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화선 A'가 삭제됨으로써, 화선 A의 총면적에 대하여 화선 A'의 총면적이 적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처리 f4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5에서, 유닛[h, v]와 유닛[h, v+1]의 사이에 화선 a를 추가한다. 즉, 도 6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와 유닛[h, v+1]의 중간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1]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처리 f6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2]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7에서,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E를 추가한다. 즉, 도 6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처리 f8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2]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9에서,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E를, 그리고 유닛[h, v+1]과 유닛 [h, v+2] 사이에 화선 a를 추가한다. 즉, 도 6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되고, 유닛[h, v+1]과 유닛[h, v+2] 사이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따라서, 이 처리 f4에서 처리 f8까지가 도 65의 (d)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67의 (e)에 나타내어지는 인쇄모양(3) 전체영역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 상태에서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0에서는 길이(S)가 340㎛이고, 인쇄모양(3)이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되어 있다. 하지만, 길이(S), 인쇄물의 기재, 인쇄방법, 인쇄재료, 인쇄장치 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물 위의 소정의 위치에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이 화선 A의 중심 즉, 도 67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이 경우, 화선 A가 확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화상(모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화선 A'가 확대되도록 세로축방향에 따라서 판별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화선 A에 의해 시인된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포지티브가 반전되어 시인된다.
인쇄모양(3)에 소정의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7에서의 선 L1과 각 렌즈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69에 나타낸다.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62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도 69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6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A와 화선 A'는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제1 불가시화상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여기서 판별구(2)는 렌티큘러 렌즈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만선 필터인 경우에는, 필터 위의 만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을 은폐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만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가시화상을 완전히 은폐할 수는 없고 약간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간이적으로 판별하는데는 만선 필터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 10에서의 인쇄물(1)의 일 화선의 화선 A, 화선 A', 화선 a 및 화선 E는 원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사각형, 육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및 마름모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선 A, 화선 A', 화선 a 및 화선 E가 각각 서로 달라도 된다. 화선 A와 화선 A'가 쌍을 이루어 온오프의 관계이고, 또한 화선 a와 화선 E가 화선 A와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이면, 화선의 형상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0에 따르면,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10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게다가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해서도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선 a 및 화선 E에서의 최단폭을 인쇄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화선폭 이상으로 하여 둠으로써, 필연적으로 인쇄물품질의 불안정 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11)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9에서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선위상 변조(Line phase modulation),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로 이루어지는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불가시화상이 시인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 11에서는, 더욱 복잡한 도형군을 형성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불가시화상 및 통상 관찰시의 가시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있는 화상이고, 불가시화상이란, 통상의 가시광하에서 육안으로 시인될 수 없거나 혹은 매우 시인되기 어려운 화상이다.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통상의 가시조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임의의 도형 및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4)과,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이 시인된다. 도 70에 나타낸 모양(4)과 모양(8)은 중첩되는 배치로 되어 있으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이것을 0도로 함)로 겹치면, 도 71의 (a) 또는 도 7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5)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또한,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겹치면, 도 72의 (a) 또는 도 7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6)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도 71의 (a) 또는 도 71의 (b), 그리고 도 72의 (a) 또는 도 7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것으로 보이는 것은, 판별구(2)와 인쇄물(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의 범위내이다.
도 73에 본 실시예 11에서의 인쇄물에 형성된 인쇄모양의 일 화선의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7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은 적어도 7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7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A와 화선 A'가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B와 화선 B'가 쌍을 이루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는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C는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네 모퉁이에 화선 C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화선 D는 도 7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중심에 화선 D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3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E, 도 73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 도 73의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b는 각각, 육안으로 보았을 때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인데, 이 화선들의 추가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선을 인쇄물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가로세로 빈틈없이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도 74가 된다. 이 도 74는,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세로 스텝수 v와 가로 스텝수 h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선과, 불가시화상을 그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두꺼운 실선으로 간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74의 (a)와 도 74의 (b)는 같은 인쇄모양(3)에 있어서 불가시화상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 11에서 말하는 스텝수란, 인쇄모양(3) 위에서 반복되는 유닛의 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스텝수에 어떤 제한은 없고, 이 스텝수에 따라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의 화상도와 비례한다. 불가시화상으로 나타내는 굵은 실선은 어디까지나 위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도 74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A의 총면적과 화선 A' 및 화선 B의 총면적과 화선 B'의 총면적은 같다. 즉, 도 74는 점위상 변조(Dot phase modulation)에 의해, 도 74의 (a)와 도 74의 (b)에 나타내어지는 2종류의 불가시화상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육안으로 보이며, 복수개의 화선 A와 복수개의 화선 A' 및 복수개의 화선 B와 복수개의 화선 B'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근방부의 농도가 높게 보이거나, 또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공백부에 의해 농도가 낮게 보여서, 육안으로는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을 완화하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처리를 하는 도 60에 나타낸 알고리즘 및 가로방향으로 처리를 하는 도 75에 나타낸 알고리즘에 의해, 최소단위인 유닛[h, v]마다 화선의 삭제 그리고 추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한편, [v]는 유닛을 세로 위에서부터 센 스텝수이고, [h]는 유닛을 가로 왼쪽에서부터 센 스텝수이다. 먼저, 처리 f1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열마다의 유닛[h, v]에 있어서, 차례로 화선 A[h, v] 및 화선 A'[h, v], 그리고 화선 B[h, v] 및 화선 B'[h, v]의 검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화선 A[h, v] 및 화선 A'[h, v], 그리고 화선 B[h, v] 및 화선 B'[h, v]를 검지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인쇄모양(3)이 비트맵 형식의 2진화상인 경우, 처리할 유닛 안에서 일반적으로 라벨링이라는 처리에 의해 화선 A[h, v] 또는 화선 A'[h, v], 그리고 화선 B[h, v] 또는 화선 B'[h, v]를 식별하여 삭제하여도 된다.
이어서, 도 60에 나타내는 처리 f2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1]을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3에서, 유닛[v]에서의 본래 배치되는 위치인 화선 A'[h, v]의 삭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7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 유닛[h, v+1], 유닛[h, v+2]를 배치할 때, 유닛[h, v]의 화선 A'[h, v]와 유닛[h, v+1]의 화선 A[h, v+1]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 도 7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의 화선 A'[h, v]가 삭제된다. 또한, 처리 f2의 조건에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f4로 이행한다. 한편, 도 75에 나타내는 처리 f12에서, 유닛[h, v]에 화선 B'[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1, v]에 화선 B[h+1,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13에서 유닛[v]에서의 본래 배치되는 위치인 화선 B'[h, v]의 삭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7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 유닛[h+1, v], 유닛[h+2, v]를 배치할 때, 유닛[h, v]의 화선 B'[h, v]와 유닛[h+1, v]의 화선 B[h+1, v]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 도 7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의 화선 B'[h, v]가 삭제된다. 또한, 처리 f12의 조건에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f14로 이행한다. 한편, 이 처리 f12, 처리 f13이 도 74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77에 나타내는 인쇄모양(3)이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화선 A' 및 화선 B'가 삭제됨으로써, 화선 A의 총면적에 대하여 화선 A'의 총면적이 적고, 화선 B의 총면적에 대하여 화선 B'의 총면적이 적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60에 나타내는 처리 f4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 v+1]에 화선 A'[h, v+1]을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5에서, 유닛[h, v]와 유닛[h, v+1]의 사이에 화선 a를 추가한다. 즉, 도 7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와 유닛[h, v+1]의 중간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a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1]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한편, 도 75에 나타내는 처리 f14에서, 유닛[h, v]에 화선 B[h, v]를 가지고, 또한 유닛[h+1, v]에 화선 B'[h+1,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15에서 유닛[h, v]와 유닛[h+1, v]의 사이에 화선 b를 추가한다. 즉, 도 78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와 유닛[h+1, v]의 중간에 화선 B 또는 화선 B'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b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1, v]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도 60에 나타내는 처리 f6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7에서,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E를 추가한다. 즉, 도 7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한편, 도 75에 나타내는 처리 f16에서, 유닛[h, v]에 화선 B'[h, v]를 가지고, 유닛[h+1, v]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B[h,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17에서, 유닛[h+1, v]에 화선 E의 추가를 실시한다. 즉, 도 78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1, v]의 중심에 화선 B 또는 화선 B'의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2, v]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도 60에 나타내는 처리 f8에서, 유닛[h, v]에 화선 A'[h, v]를 가지고, 유닛[h, v+1]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 v+2]에 화선 A'[h, v+2]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9에서, 유닛[h, v+1]에 화선 E를, 그리고 유닛[h, v+1]과 유닛 [h, v+2] 사이에 화선 a를 추가한다. 즉, 도 7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 v+1]의 중심에 화선 A 또는 화선 A'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 v+2]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한편, 도 75에 나타내는 처리 f18에서, 유닛[h, v]에 화선 B'[h+2, v]를 가지고, 유닛[h+1, v]에 화선이 없으며, 유닛[h+2, v]에 화선 B'[h+2, v]를 가지는 조건에 일치하였을 때, 처리 f19에서, 유닛[h+1, v]에 화선 E를, 그리고 유닛[h+1, v]와 유닛 [h+2, v] 사이에 화선 b를 추가한다. 즉, 도 78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h+1, v]의 중심에 화선 B 또는 화선 B'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가 추가되고, 유닛[h+1, v]와 유닛[h+2, v] 사이에 화선 B 또는 화선 B'의 절반 또는 대략 절반의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b가 추가된다. 이에 의해, 유닛[h, v]와 유닛[h+2, v] 사이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따라서, 이 도 60에서의 처리 f4에서 처리 f9 및 도 75에서의 처리 f14에서 처리 f19가 도 65의 (b)의 인쇄모양(3)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79에 나타내어지는 인쇄모양(3) 전체영역에서 육안으로 농도가 불균형하게 보이는 것이 완화된다.
이어서, 도 8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C와 화선 D를 배치한다. 화선 C는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고, 화선 D는 제2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을 구성하는 화선이 된다. 이 상태에서 도 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1에서는 길이(S)가 340㎛이고, 인쇄모양(3)이 오프셋 인쇄에 의해 코트지에 인쇄되어 있다. 하지만, 길이(S), 인쇄물의 기재, 인쇄방법, 인쇄재료, 인쇄장치 등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78에서의 선 L1과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82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82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 위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A와 화선 B 및 화선 B'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8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B 및 화선 B'는 화선 A에 대하여 중심선(7)과의 접선이 적기 때문에, 이것들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시인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화선 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불가시화상만 시인된다.
인쇄물(1)의 모양(3)에 대하여, 렌티큘러 렌즈에서의 각 렌즈의 중심선(7)이 도 78에서의 선 L2와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한 상태를 도 83에 나타낸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7)이 도 83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으며, 중심선(7)에 위치하는 것은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에 의해 중심선(7)에 위치하는 화선 B, 화선 A 및 화선 A'가 팽창되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도 8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의 가시화상이 발현된다. 여기서, 화선 A 및 화선 A'는 화선 B에 대하여 중심선(7)과의 접선이 적기 때문에, 이것들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은 시인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화선 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불가시화상만 시인된다.
본 실시예 11에서는 판별구로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만선 필터이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로 관찰할 때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거의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불가시화상 및 제2 불가시화상이 가시화상으로서 발현했을 때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1에서의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의 화선은,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8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형이어도 된다. 도 8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은 적어도 7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8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A와 화선 A'가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B와 화선 B'가 쌍을 이루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B와 화선 B'는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C는 제1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네 모퉁이에 화선 C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화선 D는 도 8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시화상(디자인:모양)을 형성하고,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며, 사각형의 중심에 화선 D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4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E, 도 84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 도 84의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b는 각각, 육안으로 보았을 때 농도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각 화선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1에 따르면, 화선 C 및 화선 D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11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E에서의 최단폭을 인쇄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저화선폭 이상으로 하여 둠으로써, 필연적으로 인쇄물 품질의 불안정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12)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1은 인쇄물(1)의 인쇄모양(3)에 제1 불가시화상과 제2 불가시화상의 2종류의 불가시화상을 설치한 것이다. 하지만, 제1 불가시화상과 제2 불가시화상 각각을 설치하는 처리를 하였을 때,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화선 중에 도 90에 나타내는 유닛[h, v]와 같이 화선 A 또는 화선 A' 및 화선 B 또는 화선 B'가 완전히 빠진 것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 12와 같이, 유닛[h, v]의 중심에 화선 A, 화선 A', 화선 B 또는 화선 B'와 대략 같은 화선면적을 가지는 화선 E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육안으로 보았을 때의 농도 불균형이 한층 완화된다.
(13)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2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을 설치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 13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실시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5는 본 실시예 13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80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같다. 도 85에 나타내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C 위에 임의의 유색 예를 들어,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를 인쇄하고 있다. 이 화선 F는, 화선 C로 구성되는 제1 가시화상 그리고 화선 D로 구성되는 제2 가시화상과는 별도로, 인쇄물의 관찰조건에 따라 현출하는 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13에서는 화선 F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3에서의 화선 C의 화선면적은 화선 F와 같거나 화선 F보다 크다. 한편, 본 실시예 13에서의 광휘성 재료 그리고 유색잉크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86은 본 실시예 13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86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며,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86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8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8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처리된 옅은 자주색의 화선 F가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 및 화선 D로 구성된 가시화상 2종류를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8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8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광휘성의 작용을 가지지 않는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만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화선 F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14) 실시예 14
본 실시예 14는 상기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이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처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8는 본 실시예 14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80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같다. 도 88에 나타내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 위에 무색투명재료 예를 들어, 투명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G를 인쇄하고 있다. 이 모양 G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의 배치와 특별한 위치관계는 없다. 본 실시예 14에서는 모양 G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4에서의 광휘성 재료 및 무색투명재료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86은 본 실시예 14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86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86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8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8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처리된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는 완전히 투과되기 때문에,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C 및 화선 D로 구성된 2종류의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8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8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 부분에 대해서는, 화선 A, 화선 A', 화선 a, 화선 B, 화선 B',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의 광휘성 작용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모양 G만 광휘성의 차이로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모양 G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15) 실시예 15
본 발명의 실시예 15는 1종류의 불가시화상 및 가시화상을 설치한 예이다.
도 9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은 적어도 4개 이상의 화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9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A와 화선 A'는 쌍을 이루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A와 화선 A'가 각각 사각형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9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선 C는 화선 A 및 화선 A'와 면적이 동일하거나 크고, 이 화선 C에 의해 가시화상(디자인: 모양)을 형성하며, 도 7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을 구성하는 화선이 되고, 사각형의 대략 중심에 화선 C의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E, 도 9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선 a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면, 각각의 화선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화선 C와 화선 E는 위치를 공유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효과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5에 따르면, 제5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가시화상들로 이루어지는 자유도가 높은 유가증권에 특유한 고급감이 있는 아름다운 의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인쇄모양에 구비하는 의장성을 가지는 아름다운 가시화상이, 불가시화상의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인쇄물에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불가시화상이 쉽고 선명하게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화선 구성에 의해 단색인쇄만으로 위조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가격 대 성능비(cost performance)가 뛰어나고, 제판 및 인쇄방법도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방식에도 자유도가 있다.
(16) 실시예 16
아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2에서는,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이것을 0도로 함)로 겹치면, 도 92의 (a) 또는 도 9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불가시화상(5)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또한,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120도를 이루는 각도로 겹치면, 도 93의 (a) 또는 도 9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불가시화상(6)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더욱이, 인쇄물(1) 위에 판별구(2)를 소정의 각도에 대하여 60도를 이루는 각도로 겹치면, 도 94의 (a) 또는 도 9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3 불가시화상(7)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도 92의 (a) 또는 도 92의 (b), 도 93의 (a) 또는 도 93의 (b), 도 94의 (a) 또는 도 9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포지티브 형상 중 어느 하나로 보이는 것은, 판별구(2)와 인쇄물(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효과의 범위내이다.
본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2에서의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95의 인쇄모양(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육각형 배열로 이루어지는 미세한 화선군이다. 이와 같은 모양을, 도 9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인쇄모양(3)에 처리되어 있는 불가시화상을 가시화상으로서 발현시킬 수 있다. 판별구(2)는 투명성을 가지는 필터에 복수개의 직선이 만선형상으로 일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것으로, 이 육각형 배열에 있어서, 만선 필터 또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2)를 겹칠 때의 유효각도는, 각도 La가 0도, 각도 Lz가 30도, 각도 Lc가 60도, 각도 Ly가 90도, 각도 Lb가 120도, 각도 Lx가 150도이며, 총 6종류의 각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6에 나타내는 렌티큘러 렌즈의 만선피치의 간격(S)은, 도 95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한 쪽은 각도 La, 각도 Lb, 각도 Lc이고, 다른 쪽은 각도 Lx, 각도 Ly, 각도 Lx인 2계통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도에 의해 불가시화상을 해상할 수 있는 간격(S)은 도 97에 나타내는 5종류가 된다. 도 9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Lx, 각도 Ly, 각도 Lz에서는 간격 S1, 간격 S2, 간격 S3이고, 각도 La, 각도 Lb, 각도 Lc에서는 간격 S4, 간격 S5가 된다. 이들의 차이는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2에서 설명하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2)를 겹칠 때의 유효각도와 불가시화상의 유효면적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2는 유닛이라고 불리는 8종류의 화선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영역에 가시화상과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화선군으로 이루어지는 8종류의 유닛 (a) ~ 유닛(h)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도 92에 나타내는 제1 불가시화상(5) 또는 도 93에 나타내는 제2 불가시화상(6) 또는 도 94에 나타내는 제3 불가시화상(7)이 인쇄모양(3)에 적용된다. 이 유닛 (a) ~ 유닛 (h)에 포함되는 화선요소는 화선 A 및 화선 A'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와, 복수개의 화선 B 및 화선 B'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와, 복수개의 화선 C 및 화선 C'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화선 A와 화선 A'는, 도 91에 나타내는 선 L1의 각도인 0도의 축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서로 온오프의 관계에 있다. 이 온오프의 관계란, 예를 들어 한 쪽이 흑(온)일 때는 다른 쪽은 백(오프), 한 쪽이 유착색일 때는 다른 쪽은 무착색이고, 기본적으로는 쌍방 모두 흑 또는 쌍방 모두 백인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화선 A와 화선 A'가 존재함으로써 통상의 가시조건하에서는 시인되지 않고, 화선 A만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화선 A'만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선 B와 화선 B'는, 선 L2의 축으로 마주보고 온오프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다. 화선 B만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화선 B'만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화선 C와 화선 C'는, 선 L3의 각도의 축으로 마주보고 온오프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다. 화선 C만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화선 C'만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이어서, 유닛 (a) ~ 유닛 (h)에서의 개별 화선 구성을 도 99b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닛 (a)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A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유닛 (a)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b)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B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B와 화선 A'와 화선 C'가 유닛 (b)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c)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C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C와 화선 A'와 화선 B'가 유닛 (c)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d)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A와 화선 B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유닛 (d)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e)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B와 화선 C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B와 화선 C와 화선 A'가 유닛 (e)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f)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A와 화선 C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A와 화선 C와 화선 B'가 유닛 (f)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g)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온이고, 오프 화선은 없다. 즉,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유닛 (g)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유닛 (h)로 구성되는 화선은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온이고, 그 밖에는 오프로 하였다. 즉,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유닛 (h)에서의 주요화선으로 되어 있다.
(17)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a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 L1, 선 L2, 선 L3는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의 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선 L1은 0도, 선 L2는 120도, 선 L3은 60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선 L1, 선 L2, 선 L3 각각의 간격은 도 97에 나타낸 불가시화상을 해상하기 위한 간격 S2의 2배에 상당하며, 본 실시예 17에서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도 99b은 도 99a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에 배치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 17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8종류의 유닛은 도 98에 나타내는 화선영역 (a) ~ (h)에 적용된다. 도 99b의 (a)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a)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b)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b)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B와 화선 A'와 화선 C'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c)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c)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C와 화선 A'와 화선 B'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d)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d)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e)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e)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B와 화선 C와 화선 A'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f)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f)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A와 화선 C와 화선 B'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g)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g)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로 구성되어 있다. 도 99b의 (h)는 본 실시예 17에서의 유닛 (h)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7은 도 99b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와 구성으로 도 98에 나타내는 각각의 영역에 적용된 것이다. 이에 의해, 도 9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판별구(2)를 인쇄물(1) 위의 인쇄모양(3)에 겹치고 정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도 92에 나타낸 제1 불가시화상(5) 또는 도 93에 나타낸 제2 불가시화상(6) 또는 도 94에 나타낸 제3 불가시화상(7) 각각이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본 실시예 17에 따르면,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C'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17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일인쇄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게다가 제판 및 인쇄방법 등도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8) 실시예 18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c은 본 실시예 18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 L1, 선 L2, 선 L3은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의 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선 L1은 0도, 선 L2는 120도, 선 L3은 60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선 L1, 선 L2, 선 L3 각각의 간격은 도 97에 나타낸 불가시화상을 해상하기 한 간격 S4에 상당하고, 본 실시예 18에서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8에서는, 쌍이 되는 화선의 거리가 다른 화선과의 거리보다 가깝고, 또한 쌍이 되는 화선의 거리는 같은 화선요소끼리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쌍이 되는 화선 A와 화선 A'의 거리는 화선 B, 화선 C, 화선 B' 및 화선 C'와의 거리보다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한편 같은 화선요소인 화선 A끼리 및 화선 A'끼리와의 거리에 있어서도 쌍이 되는 화선 A와 화선 A'의 거리가 보다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실시예 18에서는, 쌍이 되는 화선들을 제외한 다른 화선의 대부분이 쌍이 되는 화선 사이의 거리보다 떨어져 있다. 따라서, 거리가 떨어져 있는 화선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화선 D 및 화선 E를 설치하여도 된다. 한편, 이 화선 D 및 화선 E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하나의 중심에 위치하여 있을 때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모두 겹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 화선 D 및 화선 E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 및 제2 불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9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판별구(2)를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화선 D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되고, 더욱이 화선 E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이 시인된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할 수 있다.
도 99d는 도 99c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에 배치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 18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유닛 (a) ~ 유닛 (h) 각각에 포함되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마찬가지이며, 본 실시예 18은 도 99c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와 구성으로 도 98에 나타내는 각각의 영역에 적용된 것이다.
본 실시예 18에 따르면, 화선 D 및 화선 E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C'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18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19) 실시예 19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f는 본 실시예 19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 L1, 선 L2, 선 L3은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의 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선 L1은 0도, 선 L2는 120도, 선 L3은 60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선 L1, 선 L2, 선 L3 각각 간격(S)은 도 97에 나타낸 불가시화상을 해상하기 위한 간격 S1의 4배에 상당하고, 본 실시예 19에서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9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9에서는, 화선 A 또는 화선 A', 화선 B 또는 화선 B', 화선 C 또는 화선 C'가 공유되어 있다. 일례로서,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공유되어 있는 화선과 쌍이 되는 화선은, 화선 A'와 화선 B와 화선 C가 공유되어 있는 화선이다. 이와 같이, 화선 요소를 각각 공유하고 있어도 도 92에 나타낸 제1 불가시화상(5), 또는 도 93에 나타낸 제2 불가시화상(6), 또는 도 94에 나타낸 제3 불가시화상(7)이 각각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 19에서는, 화선 A 또는 화선 A'와, 화선 B 또는 화선 B'와, 화선 C 또는 화선 C'가 공유되어 있음으로써, 육각형 배열 중에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것에도 공유하지 않는 화선을 설치할 수 있다. 결국, 이 공유하지 않는 화선에는 필요에 따라 화선 D 및 화선 E를 설치하여도 된다. 한편, 이 화선 D 및 화선 E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각각 공유되어 있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것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모두 겹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 화선 D 및 화선 E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9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판별구(2)를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화선 D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되고, 더욱이 화선 E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이 시인된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할 수 있다.
도 99g는 도 99f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에 배치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 19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유닛 (a) ~ 유닛 (h) 각각에 포함되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마찬가지인데, 본 실시예 19에서는 화선 A 또는 화선 A'와, 화선 B 또는 화선 B'와, 화선 C 또는 화선 C'가 공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예 19는 도 99f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와 구성으로 도 98에 나타내는 각각의 영역에 적용된 것이다.
본 실시예 19에 따르면, 화선 D 및 화선 E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C'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19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0) 실시예 20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h는 본 실시예 20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 L1, 선 L2, 선 L3은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의 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선 L1은 0도, 선 L2는 120도, 선 L3은 60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선 L1, 선 L2, 선 L3 각각 간격(S)은 도 97에 나타낸 불가시화상을 해상하기 위한 간격 S4의 3배에 상당하고, 본 실시예 20에서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9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0에서는, 화선 A 또는 화선 A'와, 화선 B 또는 화선 B'와, 화선 C 또는 화선 C'가 각각의 위치관계를 육각형 배열로 유지하면서, 개개의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가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인 선 L1, 선 L2 또는 선 L3의 각도방향으로, 같은 화선요소마다 적어도 2개 이상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20은 실시예 18 또는 실시예 19와 비교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접하는 화선영역이 많기 때문에, 도 92에 나타낸 제1 불가시화상(5), 또는 도 93에 나타낸 제2 불가시화상(6), 또는 도 94에 나타낸 제3 불가시화상(7) 각각이 상기 실시예 18 또는 실시예 19보다 선명한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 20에서는, 육각형 배열 중의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를 제외한 위치에 화선 D 및 화선 E를 설치하여도 된다. 한편, 이 화선 D 및 화선 E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것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모두 겹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 화선 D 및 화선 E에 의해 제1 가시화상 및 제2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9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판별구(2)을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화선 D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되고, 더욱이 화선 E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이 시인된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99i은 도 99h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 20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유닛 (a) ~ 유닛 (h) 각각에 포함되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마찬가지이고, 본 실시예 20은 도 99h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와 구성으로 도 98에 나타내는 각각의 영역에 적용된 것이다.
본 실시예 20에 따르면, 화선 D 및 화선 E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C'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20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1) 실시예 21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j은 본 실시예 21에서의 인쇄물에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 L1, 선 L2, 선 L3은 판별구인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의 각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선 L1은 0도, 선 L2는 120도, 선 L3은 60도로 되어 있다. 또한, 선 L1, 선 L2, 선 L3 각각의 간격(S)은 도 97에 나타낸 불가시화상을 해상하기 위한 간격 S4의 3배에 상당하고, 본 실시예 21에서는 예를 들어 340㎛와 같이 1mm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 20과 겉보기에는 인상이 다르지만, 육각형 배열에서의 각 화선요소의 위치관계는 상기 실시예 20과 기본적으로 같은 화선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9j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1에서는, 화선 A 또는 화선 A'와, 화선 B 또는 화선 B'와, 화선 C 또는 화선 C'가 각각의 위치관계를 육각형 배열로 유지하면서, 개개의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가,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인 선 L1, 선 L2 또는 선 L3의 각도방향으로 신장(伸長)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21은 상기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20과 비교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접하는 화선영역이 많기 때문에, 도 92에 나타낸 제1 불가시화상(5), 또는 도 93에 나타낸 제2 불가시화상(6), 또는 도 94에 나타낸 제3 불가시화상(7) 각각이 상기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20보다 선명한 가시화상이 되어 발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 21에서는, 육각형 배열 중의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를 제외한 위치에 화선 D 및 화선 E를 설치하여도 된다. 한편, 이 화선 D 및 화선 E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것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선 L1, 선 L2 및 선 L3이 모두 겹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 화선 D 및 화선 E에 의해 제1 가시화상 및 제2 가시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9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1)의 인쇄모양(3)을 판별구(2)을 이용하지 않고 통상의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면, 화선 D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4)이 시인되고, 더욱이 화선 E에 의해 임의의 도형 및 문자로 이루어지는 모양(8)이 시인된다. 이에 의해, 여러가지 디자인 표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99k는 도 99j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 21에서의 8종류의 유닛 (a) ~ 유닛 (h)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유닛 (a) ~ 유닛 (h) 각각에 포함되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마찬가지이며, 본 실시예 21은 도 99j의 모식도에 나타내는 화선의 배치와 구성으로 도 98에 나타내는 각각의 영역에 적용된 것이다.
본 실시예 21에 따르면, 화선 D 및 화선 E를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을 가지는 선명한 가시화상을, 불가시화상 발현시에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증권 등의 인쇄물에도 유용하다. 또한, 인쇄물 위에 단일 판별구를 겹침으로써, 화선 A 및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B', 화선 C 및 화선 C'로 형성되는 불가시화상을 쉽고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 21에서의 인쇄물을 구성하는 각 화선을 동일색으로 한 단색인쇄 만으로도 충분한 위조방지 효과가 얻어지며, 제판 및 인쇄방법 등에 대하여 전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22)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1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사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을 설치한 위조방지용 인쇄물을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 22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사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처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9l은 본 실시예 22에서의 화선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99j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같다. 도 99l에 나타내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에서의 화선 D 위에 임의의 유색 예를 들어,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를 인쇄하고 있다. 이 화선 F는 화선 D로 구성되는 제1 가시화상 그리고 화선 E로 구성되는 제2 가시화상과는 별도로, 인쇄물의 관찰조건에 따라 현출하는 화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22에서는 화선 F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2에서의 화선 C의 화선면적은 화선 F와 같거나 화선 F보다 크다. 한편, 본 실시예 22에서의 광휘성 재료와 유색잉크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99m은, 본 실시예 22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99m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99m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99m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99n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처리된 옅은 자주색의 화선 F가 시인되기 어려워지고,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D 및 화선 E로 구성된 가시화상(1) 및 가시화상(2)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99m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99n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광휘성의 작용을 가지지 않는 옅은 자주색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F만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화선 F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23) 실시예 23
본 실시예 23은 실시예 22와 마찬가지로, 렌티큘러 렌즈 등의 판별구를 사용하여 시인할 수 있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불가시화상에 더하여, 판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인할 수 있는 불가시화상을 처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23에서의 기본적인 화선 구성은 도 99j에 나타낸 화선의 배치와 같으며,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 예를 들어, 금속광택을 가지는 은잉크 등으로 인쇄된 인쇄모양(3)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모양(3) 위에 무색투명재료 예를 들어, 투명 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G를 인쇄하고 있다. 이 모양 G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의 배치와 특별한 위치관계는 없다. 본 실시예 23에서는 모양 G의 배치로 문자 'N'을 구성하고 있다. 모양 G는 문자, 숫자, 도안, 무늬, 로고마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 23에서의 광휘성 재료 및 무색투명재료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99m은, 본 실시예 23에서의 인쇄모양(3)이 인쇄된 인쇄물(1)에 있어서, 인쇄물(1)을 확산광영역과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했을 때의 각각의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 세가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99m의 (a)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확산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되고, 조명광원(9)과 시점(10)과 인쇄물(1)이 도 99m의 (b)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 정반사 광영역에서 관찰한 것이 된다.
도 99m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99o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모양(3) 위에 처리된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는 완전히 투과되기 때문에, 주로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D 및 화선 E로 구성된 2종류의 가시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99m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반사 광영역에서 인쇄물(1)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도 99o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는 정반사광이 가져오는 광휘성의 작용에 의해 명도가 높아지고, 무색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모양 G 부분에 대해서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D 및 화선 E의 광휘성의 작용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모양 G만 광휘성의 차이로 강조되어 시인된다. 따라서, 모양 G의 배치로 구성한 문자 'N'이 관찰된다. 모양 G는 문자, 숫자, 도안, 무늬, 로고마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예를 들어, 0°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화선 A와, 화선 A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화선 A'가 한쌍이 되어 형성된 제1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60°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화선 B와, 화선 B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화선 B'가 한쌍이 되어 형성된 제2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며, 120°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화선 C와, 화선 C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화선 C'가 한쌍이 되어 형성된 제3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된다. 더욱이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A와 화선 A'의 면적이 같고,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B와 화선 B'의 면적이 같으며,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C와 화선 C'의 면적이 같을 필요가 있다. 한편,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끼리의 면적이 동일하면 되고,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화선 C' 각각의 화선면적은 서로 달라도 된다. 더욱이 어느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A와 화선 A'와, 다른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A와 화선 A'는 면적도 서로 달라도 된다. 또한, 어느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B와 화선 B'와, 다른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B와 화선 B'의 면적도 서로 달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어느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C와 화선 C'와, 다른 한쌍으로 형성된 화선 C와 화선 C'의 면적도 서로 달라도 된다.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선 A와 화선 A'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제1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A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한 쪽이 형성되며, 화선 A'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쪽이 형성된다. 또한, 화선 B와 화선 B'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제2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B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한 쪽이 형성되며, 화선 B'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쪽이 형성된다. 더욱이, 화선 C와 화선 C'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제3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화선 C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한 쪽이 형성되며, 화선 C'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쪽이 형성된다. 제1 불가시화상, 제2 불가시화상 및 제3 불가시화상은 문자, 숫자, 도안, 무늬, 로고마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형상 및 색을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쳤을 경우에,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이 같은 색으로 시인된다. 또한, 다른 형태로는, 화선 A와 화선 A'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와, 화선 B와 화선 B'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와, 화선 C와 화선 C'로 이루어지는 제3 화선요소의 색이 서로 다른 구성으로 함으로써,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렌티큘러 렌즈를 겹쳤을 경우에,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이 각각 다른 색으로 시인된다. 이 구성에서는 가시화상의 색채와, 렌티큘러 렌즈를 겹쳐서 관찰했을 경우의 불가시화상의 색채가 다르기 때문에, 쉽게 불가시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형상은 각각 원형상, 각각 반원형 이하의 형상,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에 의해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은 렌티큘러 렌즈를 겹치지 않은 단계에서의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의 불가시성이 뛰어나고, 렌티큘러 렌즈를 겹쳤을 경우에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화선 D와 화선 E는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의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은, 화선 D와 화선 E가 화선 A, 화선 B, 화선 C, 화선 A', 화선 B' 및 화선 C' 중 어느 것의 화선으로 배열된 육각형 배열 내 또는 삼각형 배열 내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에 의해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은 렌티큘러 렌즈를 겹쳤을 경우에 그 시인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3에 따르면, 단일한 판별구에 의해 선명한 발현이 가능한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이 형성되는 동시에, 세가지의 불가시화상을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불가시화상을 발현시켰을 때 가시화상에 의해 시인성이 저해되지 않는 위조방지용 인쇄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에 기재된 '면적이 동일'이란, 인쇄기, 프린터 등에서 잉크가 전이된 화선면적의 편차의 범위내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1: 인쇄물 2: 판별구
3: 인쇄모양 4: 제1 가시화상
5: 제1 불가시화상 6: 제2 불가시화상
7: 제3 불가시화상 8: 제2 가시화상

Claims (47)

  1. 기재(基材)에,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따라서 상기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을 가지는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화선요소에서의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상기 제1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화선요소에서의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이 동일하며, 상기 제3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고, 또한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 및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제5 화선에 의하여 가시화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선요소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한 변의 길이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각각 원형상 또는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각각 반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각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화선이 상기 화선요소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5 화선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상기 제5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상기 제5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6 화선이 상기 화선요소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6 화선에 의해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나 상기 제5 화선 또는 제6 화선 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나 상기 제5 화선 또는 제6 화선과 각각의 크기가 같거나 혹은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7 화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7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및 상기 제5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위의 적어도 일부에 무색투명재료를 사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 위의 적어도 일부에 무색투명재료를 사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0. 기재에,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가 일정한 방향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된 제1 불가시화상 요소와,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가 상기 일정한 방향과 같은 방향이고 일정한 피치와 같은 피치로 규칙적으로 복수개 배치된 제2 불가시화상 요소가 번갈아 복수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불가시화상 요소와 상기 제2 불가시화상 요소는, 상기 일정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일정한 피치의 1/4 피치 어긋나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화선요소에서의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이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상기 제1 화선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2 화선요소에서의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이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상기 제3 화선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요소의 피치 및 상기 제2 화선요소의 피치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요소를 구성하는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서로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화선요소와,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화선요소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불가시화상 요소 및 상기 제2 불가시화상 요소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제5 화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5 화선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과 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크고,
    상기 제5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화선의 색 농도는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색 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화선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화선이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일부 화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 불가시화상 요소 및 상기 제2 불가시화상 요소를 규칙적으로 복수개 배열할 때, 본래 배치되어야 할 상기 일부 화선의 위치에 상기 일부 화선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5 화선만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일부 화선이 배치된 위에 상기 제5 화선이 겹쳐져 인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4 화선 또는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5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4 화선 또는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5 화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4 화선 또는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5 화선과 각각의 크기가 같거나 혹은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6 화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6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4 화선 또는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5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4 화선 또는 상기 제1 화선 내지 상기 제5 화선 위에서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1. 기재에,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소정의 영역에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 배치된 각각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면적 및 색이 같으며,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 다른 쪽을 오프로 하는 조합에 의해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의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고 같은 색인 제3 화선이,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끼리의 일정한 피치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이나 상기 제1 화선 또는 상기 제2 화선이 본래 불가시화상을 형성하는 일부 화선 위치에, 제4 화선이 겹쳐져 인쇄되거나 또는 상기 제4 화선만 배치되고,
    상기 제4 화선은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과 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크며,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화선의 색 농도는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의 색 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의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6. 기재에, 제1 방향에 따라서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화선 및 제2 화선과, 상기 제1 방향과 직행하는 제2 방향에 따라서 상기 중심을 경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화선 및 제4 화선을 가지는 유닛이 소정의 영역에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 배치된 각각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고, 또한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은 네가티브/포지티브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면적 및 색이 같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 다른 쪽을 오프로 하는 조합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화선 및 상기 제2 화선의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5 화선이 유닛끼리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에 있어서, 한 쪽을 온, 다른 쪽을 오프로 하는 조합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 중, 복수 인접하여 배치된 유닛 중, 오프로 되어 있는 부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6 화선이 상기 유닛끼리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한 변의 길이가 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 제7 화선을 더 가지고,
    상기 제7 화선에 의해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각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은 각각 반원 형상 또는 이등변 삼각형을 가지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반원 형상일 때는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는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반원 형상일 때는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이등변 삼각형일 때는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1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며,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3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되고, 상기 제2 화선의 2분의 1과 상기 제4 화선의 2분의 1이 중복됨으로써,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하나의 원 또는 하나의 사각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화선이 상기 유닛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7 화선에 의해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상기 제7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상기 제7 화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더욱이 제8 화선이 상기 유닛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8 화선에 의해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래 존재하는 위치, 및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래 존재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농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의 절반의 화선면적율을 가지는 제9 화선이 상기 유닛의 중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및 상기 제4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중심에 배치된 제10 화선을 더 가지고,
    상기 제10 화선이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또는 상기 제4 화선과 동일한 화선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상기 제6 화선, 상기 제7 화선, 상기 제8 화선 및 상기 제9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광휘성 재료를 가지는 잉크로 인쇄된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 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과 동일하거나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11 화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1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상기 제6 화선, 상기 제7 화선, 상기 제8 화선 및 상기 제9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상기 제6 화선, 상기 제7 화선, 상기 제8 화선 및 상기 제9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사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6. 기재에, 제1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1 화선과, 상기 제1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1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3 화선과, 상기 제3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4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2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제5 화선과, 상기 제5 화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6 화선이 한쌍으로 형성된 제3 화선요소가 일정한 피치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며,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기 제5 화선과 상기 제6 화선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제1 화선요소가 형성된 상기 제1 방향을 0도로 한 경우에, 상기 제2 화선요소가 배열되는 상기 제2 방향이 60도이며, 상기 제3 화선요소가 배열되는 상기 제3 방향이 120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1 화선요소는와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1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화선에 의해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2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2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4 화선에 의해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5 화선과 상기 제6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상기 제3 화선요소는 온오프의 관계에 의해 제3 불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5 화선에 의해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의 포지티브 화상 또는 네가티브 화상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6 화선에 의해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의 네가티브 화상 또는 포지티브 화상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고, 또한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 및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제7 화선에 의하여 제1 가시화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과 상기 제2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선요소와, 상기 제3 화선과 상기 제4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화선요소와,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으로 이루어지는 제3 화선요소의 색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이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상기 제6 화선 및 상기 제7 화선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고, 또한 상기 제1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 상기 제2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 및 상기 제3 불가시화상을 가시화할 때에 겹치는 판별구의 중심선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제8 화선에 의하여 제2 가시화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 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이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 중 어느 하나의 화선으로 배열된 육각형 배열내 또는 삼각형 배열내의 중심에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및 상기 제6 화선은 각각 원형상, 각각 반원형 이하의 형상,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 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은 각각 원형상, 각각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의 적어도 일부 화선 위에 무색투명재료를 이용하여 민인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선, 상기 제2 화선, 상기 제3 화선, 상기 제4 화선, 상기 제5 화선, 상기 제6 화선,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은 광휘성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되고,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 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의 일부 화선 위에 상기 제7 화선 및 상기 제8 화선이나 상기 제7 화선 또는 상기 제8 화선과 동일하거나 작은 화선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유색잉크로 인쇄된 제9 화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9 화선에 의해 제3 가시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46. 삭제
  47. 삭제
KR1020107004703A 2007-09-03 2008-09-03 위조방지용 인쇄물 KR101437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7564 2007-09-03
JPJP-P-2007-227564 2007-09-03
JPJP-P-2007-295146 2007-11-14
JP2007295146 2007-11-14
JPJP-P-2008-111008 2008-04-22
JP2008111008 2008-04-22
JPJP-P-2008-161350 2008-06-20
JP2008161350 2008-06-20
JP2008199731 2008-08-01
JPJP-P-2008-199732 2008-08-01
JP2008199732 2008-08-01
JPJP-P-2008-199731 2008-08-01
PCT/JP2008/065845 WO2009031570A1 (ja) 2007-09-03 2008-09-03 偽造防止用印刷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38A KR20100050538A (ko) 2010-05-13
KR101437031B1 true KR101437031B1 (ko) 2014-09-03

Family

ID=4042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03A KR101437031B1 (ko) 2007-09-03 2008-09-03 위조방지용 인쇄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00194094A1 (ko)
EP (1) EP2191974B1 (ko)
JP (1) JP4635160B2 (ko)
KR (1) KR101437031B1 (ko)
CN (1) CN101821106B (ko)
AU (1) AU2008295964B2 (ko)
CA (1) CA2702654C (ko)
RU (1) RU2432262C1 (ko)
WO (1) WO200903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9204A1 (de) * 2007-06-25 2009-01-08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JP5099638B2 (ja) * 2008-07-25 2012-12-19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真偽判別印刷物
JP5103582B2 (ja) * 2008-11-07 2012-12-19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印刷物
JP5481691B2 (ja) * 2009-04-23 2014-04-23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形成体
JP5557187B2 (ja) * 2010-01-29 2014-07-23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形成体
JP5424266B2 (ja) * 2010-07-06 2014-02-26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印刷物
CN103097920B (zh) * 2010-08-23 2015-04-15 伊诺维亚证券私人有限公司 多通道光学可变装置
AP2013006993A0 (en) * 2010-09-03 2013-07-31 Securency Int Pty Ltd Optically variable device
JP5709132B2 (ja) * 2011-06-01 2015-04-30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印刷物、偽造防止用印刷物の作成方法及び偽造防止用印刷物の作成システム
WO2013039474A1 (en) 2011-09-12 2013-03-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tance-based image analysis
JP5990791B2 (ja) * 2012-04-02 2016-09-14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印刷物
WO2014081402A1 (ru) * 2012-11-23 2014-05-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Едапс-Лазер"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ценных бумаг и документ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6233806B2 (ja) * 2013-12-18 2017-11-22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EP3152063B1 (de) 2014-06-06 2020-02-12 Gemalto AG Sicherheitselement und identifikationsdokument
US11014390B2 (en) * 2015-01-09 2021-05-25 Dai Nippon Printing Co., Ltd. Luminescent medium and method for reading luminescent medium
KR101688970B1 (ko) * 2015-06-18 2017-01-02 조성재 패턴의 움직이는 방향과 범위를 한정시킨 엠 홀로그램 필름
GB2542783B (en) * 2015-09-29 2018-02-07 De La Rue Int Ltd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19136171A1 (en) 2018-01-03 2019-07-11 Visual Physics, Llc Micro-optic security device with interactive dynamic security features
FR3079052A1 (fr) * 2018-03-16 2019-09-20 Idemia France Document apte a generer une image couleur
JP6860151B2 (ja) * 2018-06-07 2021-04-14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印刷物の読取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印刷物の読取検査用ソフトウェア
JP7164855B1 (ja) 2021-10-20 2022-11-02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JP7352232B2 (ja) * 2022-12-21 2023-09-28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複写牽制画線印刷物及び複写牽制画線印刷物の作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675A (ja) * 1998-11-19 2000-06-06 Toppan Printing Co Ltd 可変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及び可変画像表示体
JP2004202951A (ja) * 2002-12-26 2004-07-22 Toppan Printing Co Ltd 潜像を有する画像形成体
KR100574871B1 (ko) 2003-12-19 2006-04-27 한국조폐공사 복사 및 컴퓨터 프린팅에 의한 위조 방지용 용지, 이의제조방법 및 필터 인식기를 이용한 위조 여부 확인방법
JP2007144671A (ja) * 2005-11-25 2007-06-14 National Printing Bureau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8698A (ko) * 1971-09-18 1973-06-07
JPS62170527A (ja) 1986-01-22 1987-07-27 Osaka Gas Co Ltd ピツチ系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2540339B2 (ja) * 1987-08-10 1996-10-02 新富士製紙株式会社 透かし模様印刷用オフセットインキ
US4869946A (en) * 1987-12-29 1989-09-26 Nimslo Corporation Tamperproof security card
EP0375833B1 (de) * 1988-12-12 1993-02-10 Landis & Gyr Technology Innovation AG Optisch variables Flächenmuster
JP3383004B2 (ja) * 1993-05-27 2003-03-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記録媒体の作成方法および作成装置
CN1106344A (zh) * 1994-02-05 1995-08-09 苏斌 防伪造的平面标记和防复印、翻摄伪造的平面标记
US7114750B1 (en) * 1995-11-29 2006-10-03 Graphic Security Systems Corporation Self-authenticating documents
JP4132122B2 (ja) 1996-12-20 2008-08-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物、判別具、画像の形成方法および複写物の判別方法
US6104812A (en) * 1998-01-12 2000-08-15 Juratrade, Limited Anti-counterfei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screening
US20020117845A1 (en) * 2000-01-03 2002-08-29 Bundesdruckerei Gmbh Security and/or valve document
US6103353A (en) * 1998-07-08 2000-08-15 Eastman Kodak Company Copy restrictive documents
JP3449688B2 (ja) * 1998-07-21 2003-09-22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真偽判別印刷物及びその作製方法
JP4013450B2 (ja) * 2000-05-16 2007-11-28 凸版印刷株式会社 ドットパターン表示媒体並びにこの作製方法
DE10127979C1 (de) * 2001-06-08 2002-11-07 Ovd Kinegram Ag Zu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DE10136252A1 (de) * 2001-07-25 2003-02-20 Kurz Leonhard Fa Durch Drucken erzeugtes Halbtonbild
MXPA04001135A (es) * 2001-08-07 2004-07-08 Pacific Holographics Inc Sistema y metodo para codificar y descodificar una imagen o documento y el documento asi modificado.
JP4415542B2 (ja) 2002-11-28 2010-02-17 凸版印刷株式会社 潜像を有する印刷物およびその顕像化方法
DE10255639A1 (de) * 2002-11-28 2004-06-17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980654B2 (en) * 2003-09-05 2005-12-27 Graphic Security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article
EP2474424A3 (en) * 2003-11-21 2014-01-08 Visual Physics, LLC Micro-optic security and image presentation system
JP4415102B2 (ja) * 2004-03-16 2010-02-17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メッセージを埋め込んだ画像を有する印刷物
JP2006051646A (ja) * 2004-08-11 2006-02-23 National Printing Bureau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EP2080636A2 (en) * 2004-09-07 2009-07-22 Document Security Systems, Inc. Document containing scanning survivable security features
DE102005028162A1 (de) * 2005-02-18 2006-12-28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760167B2 (ja) 2005-07-05 2011-08-31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画像形成体
KR100706792B1 (ko) 2005-08-01 200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펌프 유닛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및 상기 펌프유닛을 세정하는 방법
JP4682283B2 (ja) * 2005-09-16 2011-05-11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光沢差を利用した潜像印刷物
JP3120531U (ja) * 2006-01-19 2006-04-06 廣川株式会社 隠し画像発現装置
CA2651986C (en) * 2006-05-12 2011-09-13 Crane & Co., Inc. A micro-optic film structure that alone or together with a security document or label projects images spatially coordinated with static images and/or other projected images
JP5099638B2 (ja) * 2008-07-25 2012-12-19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真偽判別印刷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675A (ja) * 1998-11-19 2000-06-06 Toppan Printing Co Ltd 可変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及び可変画像表示体
JP2004202951A (ja) * 2002-12-26 2004-07-22 Toppan Printing Co Ltd 潜像を有する画像形成体
KR100574871B1 (ko) 2003-12-19 2006-04-27 한국조폐공사 복사 및 컴퓨터 프린팅에 의한 위조 방지용 용지, 이의제조방법 및 필터 인식기를 이용한 위조 여부 확인방법
JP2007144671A (ja) * 2005-11-25 2007-06-14 National Printing Bureau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02654C (en) 2017-03-14
US20160176220A1 (en) 2016-06-23
WO2009031570A1 (ja) 2009-03-12
CN101821106A (zh) 2010-09-01
RU2432262C1 (ru) 2011-10-27
CN101821106B (zh) 2012-07-11
KR20100050538A (ko) 2010-05-13
JPWO2009031570A1 (ja) 2010-12-16
AU2008295964B2 (en) 2013-03-21
EP2191974A4 (en) 2015-11-04
JP4635160B2 (ja) 2011-02-16
EP2191974A1 (en) 2010-06-02
US20100194094A1 (en) 2010-08-05
AU2008295964A1 (en) 2009-03-12
EP2191974B1 (en) 2016-05-04
CA2702654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031B1 (ko) 위조방지용 인쇄물
CA2738992C (en)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JP5424266B2 (ja) 偽造防止用印刷物
JP5493109B2 (ja) 潜像模様形成体
JP5527528B2 (ja) 偽造防止印刷物
JP4415542B2 (ja) 潜像を有する印刷物およびその顕像化方法
JP5481691B2 (ja) 偽造防止用形成体
JP5103582B2 (ja) 偽造防止用印刷物
JP2003098324A (ja) 光散乱パターン
JP4238396B2 (ja) ディスプレイ
JPH10332916A (ja) 回折格子パターン
AU2014203192B2 (en) Forgery preventive printed matter
JP2002254788A (ja) 網点画像を利用した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判別方法
JP2002254869A (ja) 線画画像を利用した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判別方法
JP2002254791A (ja) 微小スリット画像を利用した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判別方法
JP5060455B2 (ja) 偽造防止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