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46B1 -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46B1
KR101435746B1 KR1020130021914A KR20130021914A KR101435746B1 KR 101435746 B1 KR101435746 B1 KR 101435746B1 KR 1020130021914 A KR1020130021914 A KR 1020130021914A KR 20130021914 A KR20130021914 A KR 20130021914A KR 101435746 B1 KR101435746 B1 KR 10143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contents
separating
ang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준
Original Assignee
윤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준 filed Critical 윤상준
Priority to KR102013002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46B1/ko
Priority to CN201480011145.XA priority patent/CN105190713A/zh
Priority to PCT/KR2014/001674 priority patent/WO2014133355A1/ko
Priority to JP2015560103A priority patent/JP201650864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7/00Devices for opening envelopes
    • B43M7/02Devices for both opening envelopes and removing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Abstract

본 발명은 경조금으로서의 지폐 등과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로부터 내용물을 분리하여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를 받아들이는 봉투 투입구;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들어온 상기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내용물 분리부; 및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지면과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용물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봉투를 받아들일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봉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봉투 속의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채로 상기 봉투를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ENVELOPE AND CONTENTS}
본 발명은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조금으로서의 지폐 등과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로부터 내용물을 분리하여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과 같은 동양권 국가에서는 전통적인 행사인 결혼과 장례 등의 절차에서 방문하는 하객이나 조문객이 경조금을 전달하는 문화가 있다. 이 경우에 경조금의 접수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하객이나 조문객이 경조금이 포함된 봉투를 접수자에게 전달하고 방명록에 서명하고 행사에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경조금이 포함된 봉투의 표면에는 하객이나 조문객의 성명이 적혀 있다. 접수자는 경조금 봉투에 든 경조금의 액수와 방문한 사람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별도의 장부에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경조금에 대한 접수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경조금 접수 처리는 번거로움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경조금의 분실이나 횡령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신용카드로 경조금을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직접 자기 이름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에 현금을 기계에 접수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7388과 같은 발명이 있다.
그러나, 공지된 경조금 자동 접수 처리 시스템은 하객이나 조문객이 직접 자기의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경조금이 든 봉투에서 경조금을 분리하여 접수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조금으로서의 지폐 등과 같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로부터 내용물을 분리하여 자동으로 접수할 수 있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를 받아들이는 봉투 투입구;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들어온 상기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내용물 분리부; 및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지면과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용물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봉투를 받아들일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봉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봉투 속의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채로 상기 봉투를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제2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된 내용물을 받아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유지부의 내용물을 계수하는 내용물 계수부; 및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내용물을 진동시켜, 상기 내용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진동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유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이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타격됨으로써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유지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계수부는, 내용물의 표면을 스캔하는 내용물용 스캐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한 후, 상기 내용물 분리부를 일정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계수부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납하는 내용물 수납부; 및 상기 내용물 분리부로부터 떨어지는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 수납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수납부는 내용물이 일정한 높이를 낙하한 후에 쌓이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봉투의 측부를 상기 봉투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봉투의 입구를 벌리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봉투의 입구를 벌리고, 상기 봉투의 내측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지폐이며, 상기 봉투 투입구와 상기 내용물 분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투입된 봉투의 표면을 스캔하는 봉투용 스캐너 장치; 상기 내용물 계수부에서 얻어진 경조금 정보와, 상기 봉투용 스캐너 장치에서 얻어진 인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경조금 정보와 상기 인명 정보를 가공 처리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계수부는, 지폐의 표면을 스캔하는 지폐용 스캐너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용 스캐너 장치에서 얻어진 지폐의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봉투에 들어있는 지폐의 총액을 산출하고, 해당 지폐가 들어있던 봉투의 인명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는 자동으로 지폐와 봉투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접수자가 개별적으로 봉투와 경조금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서 경조금의 접수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장치는 봉투에 기재된 인명 정보를 문자로 인식하여 저장하고 분리된 경조금을 계수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으므로 경조금의 접수 처리의 효율성 및 데이터의 후 가공 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내용물 분리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내용물 분리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분리 대상은 봉투 내에 들어있는 내용물로서, 내용물에는 지폐 등과 같은 화폐, 정보가 기재된 문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용물로서, 지폐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내용물은 지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100) 는, 봉투 투입부 (110) 와, 내용물 분리부 (120) 와, 유지부 (130) 와, 내용물 계수부 (140) 와, 메모리부 (150) 와, 제어부 (160) 와, 표시부 (17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봉투 투입부 (110) 는 분리 장치 (100) 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내용물인 지폐 (2) 가 든 봉투 (1) 를 분리 장치 (100) 내로 투입하는 부분을 말한다. 봉투 투입부 (110) 는 봉투 (1) 가 기기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봉투 투입구 (111) 를 구비한다. 한편, 봉투 투입부 (110) 에는 봉투 (1) 의 삽입 방향이 일정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안내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투 투입구 (110) 로 봉투가 투입되면, 롤러 장치 등을 이용한 이송 장치에 의해 봉투 (1) 는 내용물 분리부 (120) 로 이송된다. 이송 도중에 봉투 (1) 의 표면을 스캔할 수 있도록 봉투용 스캐너 장치 (180) 를 구비하여도 된다. 봉투용 스캐너 장치 (180) 는 공지의 스캐너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봉투 (1) 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을 스캔함으로써, 봉투 (1) 에 기재되어 있는 경조금 제공자에 대한 성명 등의 인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스캔된 데이터는 후술할 메모리부 (150) 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봉투용 스캐너 장치 (180) 는 도 1과 같이 봉투 투입부 (110) 와 내용물 분리부 (1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봉투 (1) 가 내용물 분리부 (120) 로부터 분리되어 봉투 수납부 (191) 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내용물 분리부 (120) 는 봉투 투입구 (111) 로부터 들어온 봉투 (1) 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121) 를 구비하며, 지폐 (2) 를 봉투 (1) 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a는 봉투 (1) 가 봉투 투입구 (111) 로부터 내용물 분리부 (120) 로 도입되어 봉투 (1) 의 입구가 벌어지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며, 도 2b는 고정부재 (121) 를 이용하여 봉투 (1) 의 입구를 벌려 봉투 (1) 를 고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봉투 (1) 는 내용물 분리부 (120) 의 가이드 (122) 사이로 도입된다. 봉투 (1) 는 가이드 (122) 에 의하여 자리를 잡아 위치하게 되며, 고정부재 (121) 는 가이드 (122) 와 대략 일면 (一面) 하도록 위치하여 봉투 (1) 에 대해 가압을 행하지 않는다.
고정부재 (121) 는 봉투 (1) 를 그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 (121) 를 한 측면에만 설치되도록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 측면에 한 쌍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부재 (121) 가 봉투 (1) 와 접촉하는 부위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봉투 (1) 의 손상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 (121) 가 봉투 (1) 를 그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도 2b와 같이 봉투 (1) 의 입구가 벌어진다. 이와 더불어, 봉투 (1) 는 고정부재 (121) 와 가이드 (122) 에 의해 내용물 분리부 (120) 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2b와 같이, 내용물 분리부 (120) 의 저면에는 개방구를 두어 봉투 (1) 의 입구가 하측으로도 벌어질 수 있도록 하면, 효과적으로 봉투 (1) 의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 (121) 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여러가지 다른 구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로서, 봉투 (1) 의 상하 방향으로 진공압 튜브를 위치시켜 봉투 (1) 를 고정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으며, 또한 봉투 (1) 의 입구에 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고정부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내용물인 지폐 (2) 를 고정하지는 않으면서, 봉투 (1) 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봉투 (1) 가 우겨지거나 훼손됨에 의해 벌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 (121) 로 가압하기 전에, 또는 고정부재 (121) 로 가압하는 것과 동시에 공기 (또는 압축 공기) 를 봉투 (1) 의 입구 쪽으로 분사하여 봉투 (1) 의 입구가 더 쉽게 벌어질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의 분사를 이용하면 봉투 (1) 의 입구가 벌어지지 않는 경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내용물 분리부 (120) 는 도 1과 같이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입된 봉투 (1) 의 입구가 회전축 (123) 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된다. 즉, 도 1의 본 실시예에서 봉투 (1) 의 입구가 오른쪽을 향하도록 봉투 투입구 (111) 로 투입되어야 하며, 봉투 (1) 는 내용물 분리부 (120) 에 도입되어 그 입구가 회전축 (123) 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한편, 회전축 (123) 은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모터와 같은 미도시한 구동원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는 일반적인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텝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내용물 분리부 (120) 는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봉투 투입구 (111) 로부터 내용물 분리부 (120) 가 봉투 (1) 를 받아들일 수 있는 각도이며, 제2 각도는 고정부재 (121) 로 봉투 (1) 를 고정한 상태로 봉투 (1) 속의 지폐 (2) 를 자중에 의해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이며, 제3 각도는 고정부재 (121) 의 고정을 해제한 채로 봉투 (1) 를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먼저 제1 각도는 도 1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내용물 분리부 (120) 가 취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제1 각도의 위치의 내용물 분리부 (120) 는 봉투 (1) 를 도 2a와 같이 도입할 수 있다.
제1 각도에서 내용물 분리부 (120) 가 봉투 (1) 를 받은 후에는 도 2b와 같이 고정부재 (121) 로 봉투 (1) 의 측면을 밀어서 봉투 (1) 의 입구를 벌린다. 이후, θ1 만큼 내용물 분리부 (120) 를 회전시키면, 봉투 (1) 내의 지폐 (2) 가 자중에 의해 유지부 (130) 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지폐 (2) 가 봉투 (1) 내측에 부착되는 등의 이유로 유지부 (130) 로 낙하되지 않는 이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 (121) 로 봉투 (1) 의 입구를 벌린 후에 압축 공기를 봉투 (1) 의 입구로 일정 시간 동안 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지폐 (2) 가 봉투 (1) 내측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
또한, 내용물 분리부 (120) 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한 후, 내용물 분리부 (120) 를 일정 시간 동안 진동시킴으로써, 지폐 (2) 를 봉투 (1) 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 (2) 를 봉투 (1) 로부터 분리시켜 내용물 분리부 (120) 에 봉투 (1) 만 남게 된 후에는, 내용물 분리부 (120) 를 θ2 만큼 더욱 회전시키고, 개방부재 (121) 를 후퇴시켜 봉투 (1) 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봉투 (1) 는 내용물 분리부 (120) 로부터 해제되어 낙하하게 되며, 낙하 후에는 봉투 수납부 (191) 에 쌓이게 된다.
한편, 내용물 분리부 (120) 가 제2 각도를 취함으로써, 지폐 (2) 는 도 3과 같은 유지부 (130) 에 도입된다. 유지부 (130) 는 지폐 (2) 가 일정 시간 유지되면서 내용물 계수부 (140) 로 도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내용물 계수부 (140) 로 지폐 (2) 가 정렬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지폐 (2) 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진동부란 지폐를 진동시킬 수 있는 모든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진동부는 내용물 계수부 (140)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으며, 또한 유지부 (130) 에 위치한 지폐 (2) 들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진동부로서, 유지부 (130) 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봉 (131) 을 예시하고 있다. 회전봉 (131) 은 양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중심 부분이 유지부 (130) 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지폐 (2) 가 유지부 (130) 에 도입된 채로, 회전봉 (131) 이 회전할 경우 회전봉 (131) 의 단부가 지폐 (2) 의 중심부분을 타격하게 되므로, 여러 장의 지폐 (2) 가 진동되면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유지부 (130) 로 지폐 (2) 가 도입되는 때에는, 도입이 용이하도록 회전봉 (131) 은 유지부 (130) 의 저면과 일직선이 되도록 위치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회전봉 (131) 의 회전 방향은 지폐 (2) 가 내용물 계수부 (14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은 방향을 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봉 (131) 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봉 (131) 은, 유지부 (130) 에 저면과 마주보는 천정면이 구비된 경우에, 이 천정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전봉 (131) 은 도 3에서와 같이 일자 형태로서 2개의 단부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1개의 단부 또는 3개 이상의 단부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단부의 개수가 늘어나면 단위 시간당 타격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회전봉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진동부에 의해 지폐 (2) 가 정렬된 후에는, 내용물 계수부 (140) 에 의해 지폐 (2) 가 계수된다. 내용물 계수부 (140) 로서는 현금 자동 인출기 (ATM) 등에 사용되는 공지의 계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지폐 (2) 의 표면을 스캔하는 스캐너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결혼식, 장례식 등의 경조금의 경우 1만원권, 5만원권과 같은 현금 대신에 각 은행에서 발행한 수표를 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수표의 식별을 위해서는 스캐너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수된 지폐 (2) 는 내용물 계수부 (140) 로부터 배출되어 내용물 수납부 (192) 로 모아진다. 내용물 수납부 (192) 에는 다량의 지폐 (2) 가 쌓이게 되는데, 낙하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면 지폐 (2) 가 불규칙적으로 혼잡하게 쌓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 수납부 (192) 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미도시) 를 더 구비하여, 지폐 (2) 가 일정한 높이를 낙하한 후에 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용물 분리부 (120) 에 의해 봉투 (1) 와 지폐 (2) 가 분리되어 각각 봉투 수납부 (191) 및 내용물 수납부 (192) 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봉투용 스캐너 장치 (180) 와 내용물 계수부 (140) 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봉투용 스캐너 장치 (180) 에서는 봉투 (1) 표면에 기재된 인명 정보가 이미지의 형태로 얻어져서 메모리부 (150) 로 보내지며, 또한 내용물 계수부 (140) 에서는 봉투 (1) 에 들어있던 경조금과 관련된 정보가 메모리부 (150) 로 보내진다.
여기서 내용물 계수부 (140) 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내용물 계수부 (140) 가 공지의 계수 장치인 경우에는 액수 정보일 수 있고, 내용물 계수부 (140) 가 스캐너 장치인 경우에는 지폐 (2) 의 표면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 (160) 에서는 투입 이벤트마다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일련 번호 별로 대응되는 경조금 정보와 인명 정보를 메모리부 (150) 에 저장해 놓는다. 예를 들어, 10번째 투입 이벤트에 투입된 경조금의 인명 정보로서 'people_image10.jpg'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경조금 정보로서 'money_image10.jpg'인 이미지 파일 [내용물 계수부 (140) 로서 스캐너 장치가 사용된 경우] 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60) 에서는 메모리부 (150) 에 저장된 인명 정보와 경조금 정보에 대한 데이터 처리 등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160) 는 문자 인식을 행하여 인명 정보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수 있으며, 경조금 정보가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화면 인식을 행하여 액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표시부 (170) 는 분리 장치 (100) 의 외측에 시인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표시부 (170) 는 일종의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로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OL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TFT display devi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 (170) 에는 경조금의 관리자가 볼 수 있게끔 인명 정보와 경조금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될 수 있고, 경조금의 총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객들을 위해서는 봉투 (1) 의 투입 방향을 안내하거나, 행사의 홍보 화면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장치 (200) 는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달리, 봉투 (1) 의 입구를 먼저 봉투 투입구 (211) 에 투입하도록 설정한 것으로서, 내용물 분리부 (220) 의 방향을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달리한다.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내용물 분리부 (220) 의 회전축 (223) 은 봉투 투입구 (211) 측으로 위치하며, 봉투 (1) 는 그 입구가 회전축 (223) 에 반대편을 향하도록, 입구를 먼저 봉투 투입구 (211) 로 투입한다.
내용물 분리부 (220) 는 회전축 (223) 으로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각도에서 지폐 (2) 를 봉투 (1) 에서 분리하고, 제3 각도에서 봉투 (1) 를 지폐 분리부 (220) 로부터 해제하게 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도 4의 분리 장치 (200) 는 회전축 (123, 223) 의 위치를 각각 달리하여, 장치 내부의 공간 이용을 달리한다. 따라서, 장치 내부의 부품이나 구조의 배치에 따라 회전축의 위치를 결정하여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장치 (300) 는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3 각도를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달리 설정함으로써, 봉투 수납부 (191) 를 제거한 것에 있어서 도 1의 분리 장치 (100) 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봉투 (1) 가 분리 장치 (300) 내부로 투입되어, 내용물 분리부 (320) 가 제1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봉투 (1) 를 받아들이고, 제2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지폐 (2) 를 봉투 (1) 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도 1의 분리 장치 (100) 와 동일하다.
이후, 도 5와 같이,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설정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3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지폐 (2) 는 분리 장치 (300) 외부로 방출될 수 있어, 별도의 봉투 수납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별도의 봉투 수납부를 편의상 구비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 (100, 200, 300) 는 자동으로 내용물인 지폐 (2) 와 봉투 (1) 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접수자가 개별적으로 봉투 (1) 와 경조금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서 경조금의 접수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 (100, 200, 300) 는 봉투 (1) 에 기재된 인명 정보를 문자로 인식하여 저장하고 분리된 경조금을 계수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으므로 경조금의 접수 처리의 효율성 및 데이터의 후 가공 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봉투 2…지폐 (내용물)
110, 210, 310…봉투 투입부 111, 211, 311…봉투 투입구
120, 220, 320…내용물 분리부 121…고정부재
123, 223, 323…회전축 130, 230, 330…유지부
131…회전봉 140, 240, 340…내용물 계수부
150, 250, 350…메모리부 160, 260, 360…제어부
170, 270, 370…표시부 180, 280, 380…봉투용 스캐너 장치
191, 291…봉투 수납부 192, 292, 392…내용물 수납부
100, 200, 300…본 발명에 따른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Claims (11)

  1. 내용물이 들어있는 봉투를 받아들이는 봉투 투입구;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들어온 상기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내용물 분리부; 및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지면과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용물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봉투 투입구로부터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봉투를 받아들일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봉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봉투 속의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해제한 채로 상기 봉투를 떨어뜨릴 수 있는 각도이며, 상기 제1 각도, 상기 제2 각도 및 상기 제3 각도는 각각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제2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된 내용물을 받아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유지부의 내용물을 계수하는 내용물 계수부; 및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내용물을 진동시켜, 상기 내용물의 정렬을 유도하는 진동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유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이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타격됨으로써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유지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계수부는, 내용물의 표면을 스캔하여 내용물을 계수하도록 구성된 내용물용 스캐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분리부가 상기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한 후, 상기 내용물 분리부를 일정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계수부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납하는 내용물 수납부; 및
    상기 내용물 분리부로부터 떨어지는 봉투를 수납하는 봉투 수납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수납부는 내용물이 일정한 높이를 낙하한 후에 쌓이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봉투의 측부를 상기 봉투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봉투의 입구를 벌리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봉투의 입구를 벌리고, 상기 봉투의 내측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지폐이며,
    상기 봉투 투입구와 상기 내용물 분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투입된 봉투의 표면을 스캔하는 봉투용 스캐너 장치;
    상기 내용물 계수부에서 얻어진 경조금 정보와, 상기 봉투용 스캐너 장치에서 얻어진 인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경조금 정보와 상기 인명 정보를 가공 처리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계수부는, 내용물의 표면을 스캔하여 내용물을 계수하도록 구성된 지폐용 스캐너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용 스캐너 장치에서 얻어진 지폐의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봉투에 들어있는 지폐의 총액을 산출하고, 해당 지폐가 들어있던 봉투의 인명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KR1020130021914A 2013-02-28 2013-02-28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KR10143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4A KR101435746B1 (ko) 2013-02-28 2013-02-28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CN201480011145.XA CN105190713A (zh) 2013-02-28 2014-02-28 袋子和内容物的分离装置
PCT/KR2014/001674 WO2014133355A1 (ko) 2013-02-28 2014-02-28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JP2015560103A JP2016508649A (ja) 2013-02-28 2014-02-28 封筒と内容物との分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4A KR101435746B1 (ko) 2013-02-28 2013-02-28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46B1 true KR101435746B1 (ko) 2014-08-28

Family

ID=5142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14A KR101435746B1 (ko) 2013-02-28 2013-02-28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508649A (ko)
KR (1) KR101435746B1 (ko)
CN (1) CN105190713A (ko)
WO (1) WO2014133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4615B1 (en) 2018-04-13 2022-03-09 Sealed Air Corporation (US) Mailer dispens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315A (ja) * 1992-11-24 1994-06-10 Hitachi Ltd 封筒入現金取引装置
KR101000535B1 (ko) * 2010-07-05 2010-12-14 윤상준 경조금이 수납된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 및 그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조금 자동 접수 처리 시스템
KR20110019868A (ko) * 2009-08-21 2011-03-02 김철중 경조사비 수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조사비 수납방법
KR101102886B1 (ko) * 2011-09-27 2012-01-10 이제혁 경조금 정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059U (ja) * 1983-06-07 1984-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の繰出し装置
JPS6090232U (ja) * 1983-11-22 1985-06-2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取込装置
JP2983271B2 (ja) * 1990-09-25 1999-11-29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自動預金システム
JPH04256197A (ja) * 1991-02-08 1992-09-10 Kumahira Safe Co Inc 現金取扱装置
JP2669746B2 (ja) * 1992-01-17 1997-10-29 ファイザー製薬株式会社 開袋機
JPH07315612A (ja) * 1994-05-27 1995-12-05 Toshiba Corp 紙葉類の搬送装置
JPH0891336A (ja) * 1994-09-29 1996-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ィルム包装品の自動解梱装置
JPH1035628A (ja) * 1996-07-26 1998-02-10 Tokyo Seifunki Seisakusho:Kk 開袋機
JPH11167657A (ja) * 1997-12-02 1999-06-22 Toshiba Corp 紙幣集積装置
JP3397702B2 (ja) * 1998-09-09 2003-04-21 明和電気株式会社 持参金銭処理装置
JP2003072776A (ja) * 2001-08-31 2003-03-12 Toosero Packs Kk 包装袋
JP4012423B2 (ja) * 2002-03-26 2007-11-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07140939A (ja) * 2005-11-18 2007-06-07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JPWO2008050462A1 (ja) * 2006-10-24 2010-02-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識別計数機
ATE496830T1 (de) * 2008-05-02 2011-02-15 Indag Gmbh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flexiblen beuteln
KR20100037388A (ko) * 2008-10-01 2010-04-09 강소영 부조금 자동 접수 방법 및 장치
CN202563605U (zh) * 2012-03-28 2012-11-28 陈大彦 自助礼金收取机
JP5403102B2 (ja) * 2012-04-27 2014-01-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315A (ja) * 1992-11-24 1994-06-10 Hitachi Ltd 封筒入現金取引装置
KR20110019868A (ko) * 2009-08-21 2011-03-02 김철중 경조사비 수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조사비 수납방법
KR101000535B1 (ko) * 2010-07-05 2010-12-14 윤상준 경조금이 수납된 봉투와 지폐의 분리장치 및 그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조금 자동 접수 처리 시스템
KR101102886B1 (ko) * 2011-09-27 2012-01-10 이제혁 경조금 정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8649A (ja) 2016-03-22
CN105190713A (zh) 2015-12-23
WO2014133355A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664355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装置
WO2013088876A1 (ja) 紙幣入出金機及び紙幣処理装置
US20170103621A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articulated note acceptor-presenter
US8702095B2 (en) Apparatus for pulling bills and checks in bundle bill and check acceptor
WO2016194466A1 (ja) 搬送ガイド、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JPS58221487A (ja) 入出金装置
KR101435746B1 (ko)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KR20110019868A (ko) 경조사비 수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조사비 수납방법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9271803A (ja) 紙葉類取扱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1608128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003267B2 (ja) 紙幣入出金機
JPS5972590A (ja) 紙葉類の集積・取出し装置
CN111275881B (zh) 带有纸币止动器的自动柜员机
KR101616963B1 (ko) 봉투와 내용물의 분리 장치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6127049A (ja) 自動取引装置
JP4248273B2 (ja) 紙葉類取扱端末
JP7275479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JP5208802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216488B2 (ja) 紙幣取扱装置
KR2007004933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복합형 지폐 이송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