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386B1 -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386B1
KR101422386B1 KR1020130003300A KR20130003300A KR101422386B1 KR 101422386 B1 KR101422386 B1 KR 101422386B1 KR 1020130003300 A KR1020130003300 A KR 1020130003300A KR 20130003300 A KR20130003300 A KR 20130003300A KR 101422386 B1 KR101422386 B1 KR 10142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nnular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315A (ko
Inventor
준지 오사카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상대 커넥터(20)와의 감합 및 발거시에 있어서의 원환상 콘택트(13)의 가이드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원주 방향에 있어서 파단부를 가지지 않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무파단의 환상 부재에 의해 원환상 콘택트(13)를 형성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파단부를 가지는 종래의 원환상 콘택트에 비해 필요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성을 증대시켜, 예를 들면, 원환상의 축방향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20)가 감합 또는 발거된 경우라도, 원환상 콘택트(13)에 있어서 변형을 억제하고, 상대 커넥터(20)를 원환상의 축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시킴으로써 원환상 콘택트(13)의 감합 가이드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COAXIAL TYPE ELECTRIC CONNECTOR AND COAXIAL TYPE ELECTRIC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원환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원환상 콘택트가 상대 커넥터의 감합시에 슬릿(slit)을 통해 탄성 변위되도록 구성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서로 감합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이나 플렉서블(flexible) 배선 기판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인쇄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한 쌍의 배선 기판끼리(기판 대 기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전기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듯이 신호 전송 매체나 배선 기판이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제1의 커넥터)와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2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한 쌍의 배선 기판끼리(기판 대 기판)의 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와 그라운드 콘택트를 동심상으로 배치한 동축형의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는 원주 방향의 일부에 슬릿(파단부)이 설치된 원환상 콘택트가 사용되고 있고, 이 원환상 콘택트의 원환상 개구부를 통해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상대 커넥터의 감합 또는 발거는 원환상 개구부의 축방향을 따라 행해지지만, 이 때에 원환상 콘택트의 슬릿(파단부)의 간격이 넓혀지도록 탄성 변위하고, 이에 의해 원환상 콘택트의 외경이 확대됨과 아울러, 감합 조작 또는 발거 조작이 완료한 시점에서, 원환상 콘택트가 원래의 위치에 복원됨으로써 커넥터끼리가 감합 상태 또는 해방 상태로 보유된다.
이 때에 원환상 콘택트에는 상대 커넥터가 당해 원환상 콘택트(contact)에 맞닿고 나서 감합 또는 발거(拔去)가 완료될 때까지 상대 커넥터를 적정한 자세로 유지하는 감합 가이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원환상 콘택트에 슬릿이 파단부로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환상 콘택트의 전체적인 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예를 들면, 원환상 콘택트의 원환상 개구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된 경우 등에 있어서 원환상 콘택트에 변형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결과, 상대 커넥터에 대한 원환상 콘택트의 감합 가이드 기능이 저하하여 원활한 감합 또는 발거 동작을 할 수 없게 되거나 커넥터 손상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전기 커넥터에 의해 기판과 기판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감합의 상대 커넥터가 기판으로 덮여 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원환상 콘택트의 감합 가이드 기능은 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4-06337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및 발거시에 있어서의 원환상 콘택트의 가이드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원환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원환상 콘택트를 가지고, 이 원환상 콘택트에 형성된 원환상 개구부를 통해, 당해 원환상 개구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되도록 구성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원환상 콘택트가, 원주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무파단의 환상 부재로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원환상 콘택트 전체가 무파단의 일체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주 방향으로 파단부를 가지는 종래의 원환상 콘택트에 비해 필요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성이 증대되게 되어, 예를 들면, 원환상의 축방향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된 경우라도, 원환상 콘택트에 있어서 변형이 억제되고, 이 결과 원환상 콘택트의 감합 가이드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됨으로써 상대 커넥터가 원환상의 축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원환상 콘택트의 원환상 개구부가, 당해 원환상 개구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 또는 외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의 감합 및 발거시에, 원환상 콘택트의 원환상 개구부에 설치된 만곡면을 따라 상대 커넥터가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원환상 콘택트의 감합 가이드 기능이 더욱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원환상 콘택트에는,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의 감합 및 발거시에 원환상 콘택트에 발생하는 응력이 투공을 통해 원환상 콘택트 전체에 분산되게 되어 원환상 콘택트의 사용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와, 이 동축형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원환상 콘택트가 그라운드 콘택트임과 아울러, 이 그라운드 콘택트의 직경 방향의 내방측에 신호 콘택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쇄 배선 기판에는,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도전로와, 상기 신호 콘택트가 접속되는 신호 도전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신호 도전로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의 직경 방향의 중심 영역에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신호 콘택트의 전기적인 접속이 그라운드 콘택트의 중심 부분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당해 신호 콘택트의 접속에 관한 위치 결정이, 그라운드 콘택트의 원주 방향에 대해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배선 기판에의 실장시에, 그라운드 콘택트의 축 둘레로 커넥터 전체가 회전한 경우라도, 신호 콘택트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장 작업은 계속하여 가능하게 되고, 실장 오류가 저감됨으로써, 이른바 생산 수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종래와 같은 신호 콘택트의 접속 다리부의 상방을 절연하는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신호 콘택트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경로의 외주측 부분이 그라운드 콘택트로 덮이기 때문에 신호 전송 경로에 대한 전자 차단성(EMI 특성)이 향상된다.
이상 말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파단부를 가지지 않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무파단의 환상 부재에 의해 원환상 콘택트를 형성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파단부를 가지는 종래의 원환상 콘택트에 비해 필요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성을 증대시켜, 예를 들면, 원환상의 축방향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된 경우라도, 원환상 콘택트에 있어서 변형을 억제하고, 상대 커넥터를 원환상의 축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시킴으로써 원환상 콘택트의 감합 가이드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및 발거시에 있어서의 원환상 콘택트의 가이드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의 신뢰성을 염가로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기 직전 상태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시키기 직전 상태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상대 커넥터에 감합시킨 후의 감합 완료 상태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중의 VII-VII선에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 중의 VIII-VIII선에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3에 나타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신호 콘택트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인쇄 배선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구조에 대해]
도 1~도 9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를 이용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 내에 배치된 인쇄 배선 기판 P 상에 납땜에 의해 실장된 것으로서, 당해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상방측에,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되면서 동축상으로 배치되고(도 5 참조), 이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하방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10)를 향해 적당한 힘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양쪽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된 상태로 된다. 또, 이들 양쪽 커넥터(10, 20)의 감합 상태로부터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를 파지하여 상방측으로 적당한 힘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로부터 상대측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 이탈하도록 하여 발거를 한다.
또한, 상술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삽입 및 발거 조작은 작업자의 손으로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에 대해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의 삽입 방향 및 발거 방향을 각각 "하?향" 및 "상방향" 이라고 한다.
[절연 하우징의 구성에 대해]
그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본체부를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은,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몰드 성형된 것으로서, 인쇄 배선 기판 P 상에 재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a)과, 이 베이스 프레임(11a)의 중심측 부분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는 중앙 프레임(11b)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 중의 중앙 프레임(11b)은 베이스 프레임(1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외경이 연속적으로 줄어드는 원추형상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중앙 프레임(11b)의 내방측 부분에는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중공 형상의 콘택트 삽입 통로(11c)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콘택트 삽입 통로(11c)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신호 전송용의 신호 콘택트(12)가 하방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베이스 프레임(11a)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단면에는 고정편(11d)(도 8 참조)이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편(11d)에 대해서, 원환상 콘택트를 구성하는 접지용의 그라운드 콘택트(13)에 설치된 후술의 투공(13c)이 계합함으로써 그라운드 콘택트(13) 전체의 고정을 하고 있다. 이 원환상 콘택트로서의 그라운드 콘택트(13)는 중앙 프레임(11b)을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그라운드 콘택트(13)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신호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
신호 콘택트(12)는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인쇄 배선 기판 P 상에 형성된 신호 도전로 P1에 땜납 접합되는 접속 다리부(12a)를 가지고 있다. 이 때의 신호 도전로 P1은, 특히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동축형 전기 커넥터(10)가 실장되는 영역의 대략 중심 위치에 원형 모양을 이루어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모양의 신호 도전로 P1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12)의 접속 다리부(12a)가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 신호 콘택트(12)의 접속 다리부(12a)는, 특히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인쇄 배선 기판 P의 표면을 따라 연재하는 평판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접속 다리부(12a)의 바로 상방 위치에는, 측면 대략 U자 모양(도 7 참조)을 이루도록 형성된 감합 접촉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합 접촉부(12b)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종단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접속 다리부(12a)의 일단연부로부터 상방측으로 반전하도록 절곡되어 연출하는 만곡 연결부(12c)를 통해 양쪽 부재(12a, 12b)끼리가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 콘택트(12)의 감합 접촉부(12b)는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신호 콘택트(22)의 감합 접촉부(22b)에 대해서,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끼워넣어져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이 때에 상술한 만곡 연결부(12c)에 있어서의 판폭 방향의 양측연부에는 한 쌍의 고정편(12d, 12d)이 각각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각 고정편(12d)이 절연 하우징(11)의 베이스 프레임(11a)의 일부에 계합함으로써 신호 콘택트(12) 전체의 고정을 하고 있다.
또, 상술한 감합 접촉부(12b)의 저면 부분은 접속 다리부(12a)의 상방 위치를 대략 평행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감합 접촉부(12b)의 저면 부분에는 접속 확인 구멍(12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확인 구멍(12e)은 감합 접촉부(12b)의 저면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접속 확인 구멍(12e)의 대략 반원 부분을 통해 하방의 접속 다리부(12a)의 단연부가 목시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나머지의 대략 반원 부분을 통해 하방의 인쇄 배선 기판 P의 상표면이 목시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속 확인 구멍(12e)를 사용해 상방측에서 보는 것에 의해, 인쇄 배선 기판 P의 신호 도전로 P1에 대해서 접속 다리부(12a)가 규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작업자의 눈에 의해 직접 확인되게 되어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원환상 콘택트인 그라운드 콘택트(13)는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의 중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그라운드 본체부(13a)와, 이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외주 하연부(下緣部)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출하는 접속 다리부(13b)를 가지고 있다. 이 중의 접속 다리부(13b)는 사방에 걸쳐서 일정한 폭을 이루도록 연재하는 플랜지 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인쇄 배선 기판 P 상에 원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4체)의 그라운드 도전로 P2 상에 재치되어 땜납 접합되게 되어 있다. 또한, 그라운드 콘택트(13)가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제품간의 피치(pitch)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라운드 본체부(13a)는 원주 방향에 대해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종래와 같은 슬릿(파단부)을 가지지 않는 무파단의 환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본체부(13a)는 상술한 접속 다리부(13b)의 내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원환상 개구부를 통해 상대 커넥터로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감합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그라운드 콘택트(13)는 연속한 원환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그라운드 본체부(13a)를 원주 방향으로 분할하는 슬릿(파단부)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전체가 일체로 된 상태로 원주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원환상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연(上緣) 환상부(13a1)는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상연 환상부(13a1)는 직경 방향의 종단면 형상이 대략 원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상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하도록 연출한 후에, 이 대략 원호상의 정점부로부터, 더 직경 방향 내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속한 대략 원호상의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연출하고 있다.
이러한 상연 환상부(13a1)에 있어서의 내방측의 선단 부분은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중심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훅(hook)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지만, 이 상연 환상부(13a1)의 내방측 선단 부분은 원환상 계지부(13a2)로 되어 있다. 이 원환상 계지부(13a2)에는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에 설치된 원환상 계합부(23c)가 탄성적으로 계합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그라운드 콘택트(13)의 그라운드 본체부(13a)에는 복수의 투공(13c)이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투공(13c)은 그라운드 본체부(13a) 하연(下緣)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출하는 긴 구멍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상연 환상부(13a1)의 정점부의 근방 부분까지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대해서,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감합 및 발거되게 되지만, 감합을 하는데 즈음해서는, 상술한 그라운드 콘택트(13)를 구성하고 있는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상연 환상부(13a1)에 대해서,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그라운드 본체부(23a)가 상방측으로부터 맞닿고,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상연 환상부(13a1)의 만곡면을 따라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내방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내경 부분이 외방으로 밀려 퍼지도록 탄성 변형하고, 당해 그라운드 본체부(13a)가 원주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의 감합 조작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그라운드(ground) 본체부(13a)가 원주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축소하는 방향으로 복원된다. 또한,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를 동축형 전기 커넥터(10)로부터 발거하는 조작시에는 상술한 탄성 변위가 역방향으로 행해진다.
[상대 커넥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거나 또는 상방측을 향해 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때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도 개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재에 대해서는 십단위의 「1」을 「2」로 바꾸어 표시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하에서 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에 설치된 절연 하우징(21)은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평판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절연 하우징(21)의 중심 부분에 신호 전송용의 신호 콘택트(22)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신호 콘택트(22)를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접지용의 그라운드 콘택트(23)가 장착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
신호 콘택트(22)는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쇄 배선 기판 Q 상에 형성된 신호 도전로(도시 생략)에 땜납 접합되는 접속 다리부(22a)를 가지고 있다. 이 접속 다리부(22a)는 절연 하우징(21)의 중심측으로 연출하고 있어고, 중심 부분에 있어서 대략 직각 방향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돌출하는 중공의 핀 형상을 이루는 감합 접촉부(22b)가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이 감합 접촉부(22b)는 전술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감합 접촉부(12b)의 내방측에 대해 끼워넣어지는 구성(도 7 및 도 8 참조)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라운드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
또,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에 설치된 그라운드 콘택트(23)도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의 중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그라운드 본체부(23a)의 외주부로부터 반경 외방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출하는 복수의 접속 다리부(23b)가 인쇄 배선 기판 Q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도전로(도시 생략)에 땜납 접합되게 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본체부(23a)의 외주 하연부에는, 환상홈으로 이루어지는 원환상 계합부(23c)가 성형되어 있다. 당해 원환상 계합부(23c)는 전술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원환상 계지부(13a2)에 대해서 직경 방향의 내방측에 삽입되어 탄성적인 감합 상태(도 7 및 도 8 참조)로 된다.
그리고, 이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하향으로 반전한 상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후, 하방으로 밀어넣도록 하여 감합을 한다. 이 감합 조작에 있어서는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의 그라운드 본체부(23a)의 선단연부(하단연부)가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상연 환상부(13a1)에 맞닿고, 이 상연 환상부(13a1)가 가지는 만곡면의 안내 작용에 의해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그라운드 본체부(23a)가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내방측으로 삽입되어 가고, 이 때에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그라운드 본체부(13a)가 원주 방향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의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탄성 변형은 당해 그라운드 본체부(13a) 전체가 가지는 탄성에 근거한 대략 균일한 원주 응력하에서 이루어져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20)에 대한 감합을 한다.
또,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 조작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원환상 계지부(13c)에 대해서,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원환상 계합부(23c)가 끼워넣어지고,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그라운드 본체부(13a)가 원주 방향으로 축소하는 방향으로 복원된다. 또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발거시에는 상술한 공정과 역방향의 탄성 변위를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와의 감합 조작 또는 발거 조작을 하는데 즈음하여,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원환상 콘택트로서의 그라운드 콘택트(13)가 당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전체가 가지는 탄성력 하에서의 탄성 변위를 한다. 즉,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에 설치된 그라운드 콘택트(13)는 이 전체가 일체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주 방향으로 슬릿(파단부)을 가지는 종래의 원환상 콘택트에 비해 감합 및 발거에 필요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강성이 증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원환상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가 감합 또는 발거된 경우라도, 동축형 전기 커넥터(10)의 그라운드 콘택트(13)에 있어서 변형이 억제 되고, 이 결과 그라운드 콘택트(13)의 감합 가이드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가 원환상의 축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원환상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연 환상부(13a1)가 원환상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을 향해 만곡면을 이루도록 연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감합 및 발거시에, 그라운드 콘택트(13) 상연 환상부(13a1)의 만곡면을 따라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가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감합 가이드 기능이 더 높여져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콘택트(13)에는 복수의 투공(13c)이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감합 및 발거시에 그라운드 콘택트(13)에 발생하는 응력이 투공(13c)을 통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전체에 분산되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사용 내구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쇄 배선 기판 P에 형성된 신호 도전로 P1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직경 방향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12)의 전기적인 접속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중심 부분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당해 신호 콘택트(12)의 접속에 관한 위치 결정이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원주 방향에 대해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인쇄 배선 기판 P에의 실장시에, 그라운드 콘택트(13)의 축 둘레로 커넥터 전체가 어느 정도 회전한 경우라도, 신호 콘택트(12)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장 작업은 계속하여 가능하게 되고, 실장 오류가 저감됨으로써, 이른바 생산 수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종래와 같은 신호 콘택트의 접속 다리부의 상방을 절연하는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신호 콘택트(12)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경로의 외주측 부분이 그라운드 콘택트(13)로 덮이기 때문에 신호 전송 경로에 대한 전자 차단성(EMI 특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그라운드 본체부(13a)의 원환상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연 환상부(13a1)가 원환상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연재하고 있지만, 외방측으로 연출하도록 형성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의 다양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동축형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베이스 프레임 11b 중앙 프레임
11c 콘택트 삽입 통로 11d 고정편
12 신호 콘택트
12a 접속 다리부 12b 감합 접촉부
12c 만곡 연결부 12d 고정편
12e 접속 확인 구멍
13 그라운드 콘택트(원환상 콘택트) 13a 그라운드 본체부
13a1 상연 환상부 13a2 원환상 계지부
13b 접속 다리부 13c 투공
P 인쇄 배선 기판 P1 신호 도전로
P2 그라운드 도전로
20 동축형 전기 커넥터(상대 커넥터)
21 절연 하우징 22 신호 콘택트
22a 접속 다리부 22b 감합 접촉부
23 그라운드 콘택트 23a 그라운드 본체부
23b 접속 다리부 23c 원환상 계합부
Q 인쇄 배선 기판

Claims (4)

  1. 원환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원환상 콘택트를 가지고, 이 원환상 콘택트에 형성된 원환상 개구부를 통해, 당해 원환상 개구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가 감합 또는 발거되도록 구성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원환상 콘택트가, 원주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무파단의 환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환상 콘택트의 원환상 개구부가, 당해 원환상 개구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측 또는 외방측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환상 콘택트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4. 제1항 기재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와, 이 동축형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 배선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원환상 콘택트가 그라운드 콘택트임과 아울러, 이 그라운드 콘택트의 직경 방향의 내방측에 신호 콘택트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인쇄 배선 기판에는,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도전로와, 상기 신호 콘택트가 접속되는 신호 도전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신호 도전로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의 직경 방향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0130003300A 2012-03-13 2013-01-11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KR101422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5338A JP5569548B2 (ja) 2012-03-13 2012-03-13 同軸型電気コネクタ及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装置
JPJP-P-2012-055338 2012-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315A KR20130105315A (ko) 2013-09-25
KR101422386B1 true KR101422386B1 (ko) 2014-07-22

Family

ID=4771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300A KR101422386B1 (ko) 2012-03-13 2013-01-11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44827B2 (ko)
EP (1) EP2639885A1 (ko)
JP (1) JP5569548B2 (ko)
KR (1) KR101422386B1 (ko)
CN (1) CN103311697B (ko)
TW (1) TWI4963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389B2 (ja) * 2012-06-08 2016-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KR101488266B1 (ko) * 2013-08-06 2015-01-30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 반도체 패키지 조립체 및 전자기기
JP6496142B2 (ja) * 2014-12-26 2019-04-03 株式会社ヨコオ 交換用コンタクトユニット及び検査治具
US9585255B2 (en) * 2015-03-11 2017-02-28 Raytheon Company Component support for dense circuit board
US9472873B1 (en) * 2015-08-12 2016-10-18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Reversible receptacle connector
JP6610309B2 (ja) * 2016-02-04 2019-11-27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9155492B (zh) * 2016-06-10 2020-11-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CN209434542U (zh) * 2016-06-10 2019-09-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连接器
US9935410B2 (en) 2016-08-26 2018-04-03 Sterling Innovation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le and female connectors
CN209526303U (zh) * 2016-10-18 2019-10-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
JP6794831B2 (ja) * 2016-12-29 2020-12-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2018170177A (ja) *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D838581S1 (en) * 2017-06-05 2019-01-22 Miniwiz Co., Ltd. Fastener
KR102006131B1 (ko) * 2018-05-03 2019-08-01 주식회사 엠피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CN110768037A (zh) * 2018-07-27 2020-02-07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超高频极细同轴rf连接器总成
WO2020031760A1 (ja) *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面実装型コネクタセット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013690B1 (ko) * 2018-11-23 2019-08-23 주식회사 기가레인 하우징 일체형 기판 메이팅 커넥터 및 이의 제작 방법
US10516224B1 (en) * 2018-12-21 2019-12-24 Raytheon Company Edge launch connector for electronics assemblies
US11092496B2 (en) * 2019-02-15 2021-08-17 Shibaura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emperature sensor
CN109709360A (zh) * 2019-03-05 2019-05-03 镇江蓝箭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pcb信号测试的柔性测试头
KR102646125B1 (ko) * 2019-07-04 2024-03-08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CN211126359U (zh) * 2019-10-17 2020-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210668900U (zh) * 2019-10-17 202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
JP7151744B2 (ja) * 2020-07-01 2022-10-1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TWI750868B (zh) * 2020-10-23 2021-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環形連接器
JP2022103929A (ja) * 2020-12-28 2022-07-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820U (ko) * 1990-03-02 1991-11-15
JP2009140687A (ja) 2007-12-05 2009-06-25 I-Pex Co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0087202A1 (ja)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KR20110089450A (ko) * 2009-03-27 2011-08-0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동축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281B2 (ja) * 1995-05-25 2001-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JP2001110482A (ja) * 1999-10-04 2001-04-20 Hosiden Corp 圧接実装型部品・圧接実装型部品実装構造
JP2002093533A (ja) * 2000-09-14 2002-03-29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546180B2 (ja) * 2000-12-27 2004-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JP3963758B2 (ja) 2002-03-29 2007-08-22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3761501B2 (ja) * 2002-07-31 2006-03-29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が実装されるグランドパッド
TW555194U (en) * 2002-11-29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834309B2 (ja) * 2002-12-26 2006-10-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2005158657A (ja) * 2003-11-28 2005-06-16 I-Pex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066384A (ja) * 2004-07-27 2006-03-09 Hosiden Corp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TWM270536U (en) * 2004-12-10 2005-07-11 Advanced Connectek Inc Coaxial connector
US7946853B2 (en) * 2005-07-02 2011-05-24 Teradyne, Inc. Compliant electro-mechanical device
US7699617B2 (en) * 2007-10-08 2010-04-20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interconnect apparatus
JP2009099478A (ja) * 2007-10-19 2009-05-07 Kuurii Components Kk コネクタプラグ
WO2009061022A1 (en) * 2007-11-06 2009-05-14 Gigalane Co. Ltd.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US7806191B2 (en) 2007-12-27 2010-10-05 Intelliserv, Llc Communication connections for wired drill pipe joints for provid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TWM347726U (en) * 2008-02-01 2008-12-21 Yang-Yin Li Connector
CN201498694U (zh) * 2009-05-22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100304579A1 (en) * 2009-05-26 2010-12-02 Brian Lyle Kisling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WO2011013747A1 (ja) * 2009-07-31 2011-02-03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5370276B2 (ja) * 2009-08-25 2013-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FR2950200A1 (fr) * 2009-09-11 2011-03-18 Thale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signaux haute frequence entre un connecteur et une ligne de transmission
TWM380636U (en) * 2009-12-29 2010-05-11 Insert Entpr Co Ltd Coaxial micro switch connector
JP5218490B2 (ja) 2010-07-26 2013-06-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820U (ko) * 1990-03-02 1991-11-15
JP2009140687A (ja) 2007-12-05 2009-06-25 I-Pex Co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0087202A1 (ja)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KR20110089450A (ko) * 2009-03-27 2011-08-0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동축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4827B2 (en) 2015-02-03
JP5569548B2 (ja) 2014-08-13
JP2013191341A (ja) 2013-09-26
US20130244486A1 (en) 2013-09-19
EP2639885A1 (en) 2013-09-18
TWI496356B (zh) 2015-08-11
CN103311697B (zh) 2016-01-20
TW201338279A (zh) 2013-09-16
KR20130105315A (ko) 2013-09-25
CN103311697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386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US9595793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taining member with a cover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shell of a mating connector
US9509067B2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JP558560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20130149897A1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EP2551968A1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US9214751B2 (en) Coaxial connector plug an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JP2013020920A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JP2015076312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8858254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3013680B (zh) 连接器组件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US10522955B2 (en) Enhanced safety serial bus connector
WO2010042579A2 (en)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multi-pole connector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7076592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473758B2 (ja) コネクタ
JP6252969B2 (ja) 電気コネクタ
JP606596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26890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46351A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4123532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