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925B1 - 기계식 주차장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925B1
KR101418925B1 KR1020110120952A KR20110120952A KR101418925B1 KR 101418925 B1 KR101418925 B1 KR 101418925B1 KR 1020110120952 A KR1020110120952 A KR 1020110120952A KR 20110120952 A KR20110120952 A KR 20110120952A KR 101418925 B1 KR101418925 B1 KR 101418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nductor
electrode
parking space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979A (ko
Inventor
이치로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4Plug-like or socket-lik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less inductiv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60Y2200/912Electric vehicles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vehicle, e.g. trolley buses or t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팔레트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도 연속적으로 팔레트로부터 차량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기계식 주차장(10)은, 콘센트를 가지는 팔레트(32)와, 팔레트(32)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주차공간이 종횡의 2차원적으로 배열된 B1F 주차실(14), B2F 주차실(16), B3F 주차실(18)과,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에서 팔레트(32)를 개별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장치(58)를 구비한다. 팔레트(32)가 차량을 탑재하고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그 팔레트(32)의 콘센트에는 연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장{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본 출원은, 2010년 11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25812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출원의 전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은 공간에 다수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으로서, 기계식 주차장이 알려져 있다. 기계식 주차장도 다양한 구조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하나로서 팔레트 상에 차량을 탑재하고, 이 팔레트를 종횡으로 레일이나 홈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비어 있는 팔레트 공간으로 옮기는 구성으로 한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리프트 및 입체적인 주차층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주차 효율을 높인 기계식 주차장도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최근에, 저소음이고 친환경적인 전기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이하 이들을 EV차라 총칭함)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EV차는 거기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전지 등의 2차 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고 있다. 이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서는 수 십분 내지 수 시간의 충전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주차장에 EV차를 주차하고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EV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19741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70985호
특허문헌 1에는 EV차에의 급전에 대한 기재는 없지만, 가령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팔레트가 주차실 내를 종횡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에서 EV차에 급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EV차에의 급전을 미리 정해져 있는 급전용의 주차공간에서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팔레트와 급전설비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으로 팔레트의 이동의 자유도를 해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 급전용의 주차공간 이외의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는 EV차에는 급전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EV차의 주차시간을 급전을 위한 시간으로서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주차시간을 급전을 위한 시간으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기계식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은, 차량에의 급전수단을 가지는 팔레트와, 팔레트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주차공간이 종횡의 2차원적으로 배열된 주차실과,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에서 팔레트를 개별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구비한다. 팔레트가 차량을 탑재하여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그 팔레트의 급전수단은 탑재된 차량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차시간을 급전을 위한 시간으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급전을 단속(斷續)시키지 않고, 주차실 내의 다수의 차량에 동시에 급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의 상면도이다.
도 3 (a), (b)는, 팔레트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4는, 제1 전극조(組) 및 제3 도체홀더의 상면도이다.
도 5는,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靜止)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集電)자 및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c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d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a는, 팔레트가 제2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팔레트의 방향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팔레트가 제2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팔레트의 방향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팔레트가 제2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팔레트의 방향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팔레트가 제2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팔레트의 방향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무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의 상면도이다.
도 9 (a), (b)는, 팔레트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10 (a)~(c)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 (a), (b)는, 무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의 상면도이다.
도 12a는, 세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상면도이다.
도 12b는, 세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하면도이다.
도 12c는, 가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 및 제10 전극조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에 관한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 및 제10 전극조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무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의 상면도이다.
도 16 (a), (b)는, 팔레트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17은, 기계식 주차장의 B1F 주차실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무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팔레트의 상면도이다.
도 20 (a)~(d)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 제2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고 표시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우측면도이다. 기계식 주차장(10)은, 지상에 설치된 건물(104)의 지하에 지하 3층까지 설치된, 이른바 지하식의 기계식 주차장이다. 도 1에서는, 후술하는 전극조(組)의 표시는 생략한다.
기계식 주차장(10)은, 지하 1층의 주차실인 B1F 주차실(14)과, 지하 2층의 주차실인 B2F 주차실(16)과, 지하 3층의 주차실인 B3F 주차실(18)과, 복수의 팔레트(32)와, 제1 이동장치(56)와, 복수의 제2 이동장치(58)와, 리프트 프레임(88)과,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승강로(96)의 네 모서리에 지주로서 설치된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마스트 106, 108은 도 1에서는 미도시)와, 승강장치(94)를 구비한다.
기계식 주차장(10)은, 팔레트(32)를 이용한 팔레트식의 주차장이다. 이 팔레트식의 기계식 주차장(10)은, 승강장치(94)를 이용하여 차량(20)이 탑재된 상태의 팔레트(32)를 승강시키거나, 혹은 제1 이동장치(56)나 제2 이동장치(58)를 사용하여 종횡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함으로써, 주차실에 차량(20)을 주차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팔레트(32)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팔레트(32)의 차량(20)이 탑재되는 상면(32a)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팔레트(32)는 차량(20)에 급전하기 위한 콘센트 등의 급전수단을 가진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B1F 주차실(14), B2F 주차실(16), B3F 주차실(18)은 각각 10개의 주차공간을 포함한다. 그들 10개의 주차공간은, 평면에서 본 경우에 종방향(도면의 x방향)으로 5행,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횡방향(도면의 y방향)으로 2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주차공간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팔레트(32)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주차공간은 팔레트(32)와 함께 차량(20)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실 내의 1 주차영역(주차의 1 단위)이다.
각 주차실 내의 팔레트(32)에는, 그 주차실 내에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큐비클 등의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력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특히 팔레트(32)가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그 팔레트(32)에 연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팔레트(32)는, 공급된 전력을 탑재된 차량(20)에 콘센트를 통하여 공급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B1F 주차실(14)의, 승강로(96)에 인접하는 주차공간(14a)을 예로 들어 주차공간(14a)이 취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주차공간(14a)은, B1F 바닥(98) 상에 설치된 제2 이동장치(58a)와, 제2 이동장치(58a)에 탑재된 팔레트(32b)와, 팔레트(32b)에 탑재된 EV차(20a)를 포함한다. 즉, 주차공간(14a)은 EV차(20a)가 주차되어 있고 또한 EV차(20a)에 급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급전상태에 있다. 주차공간의 다른 상태로서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만 급전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주차상태와, 팔레트는 있지만 차량은 주차되어 있지 않은 공차상태와, 팔레트가 없는 무팔레트 상태가 있다.
기계식 주차장(10)에 있어서는, 승강로(96)가 연직방향(도면의 z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96)는, B1F 주차실(14), B2F 주차실(16), B3F 주차실(18)의 각각과 연통한다. 승강로(96)의 하단에는 승강장치(94)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형인 리프트 프레임(88)은,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프트 프레임(88)의 상부에는 제1 이동장치(56)가 탑재된다.
승강장치(94)는 승강로(96)를 따라서 리프트 프레임(88)을 승강시킨다.
제1 이동장치(56)의 상부에는 팔레트(32)가 탑재된다. 제1 이동장치(56)는, 이재(移載)방향으로 팔레트(32)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리프트 프레임(88),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 승강장치(94)는, 제1 이동장치(56) 및 거기에 탑재된 팔레트(32)를 승강로(96)를 따라서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형성한다.
기계식 주차장(10)에 차량(20)을 넣거나 기계식 주차장(10)으로부터 차량(20)을 빼내기 위한 승강실(12)은 건물(10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실(12)은 승강로(9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실(12)과 승강로(96)는 팔레트(32)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연결구멍(1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만, 리프트 프레임(88), 4개의 마스트(90, 92, 106, 108), 및 승강장치(94)에는,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프트 프레임, 4개의 마스트, 승강장치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장치(58)에는, 예컨대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7-29681호에 기재된 반송(搬送)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2 이동장치(58)의 네 모서리 중 대각에 위치하는 2개소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차륜을 배치하고, 나머지에 종동차륜을 배치한다. 제2 이동장치(58)는, 탑재된 팔레트(32)를 구동차륜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시킨다. 또한, 이 네 모서리에 배치된 4개의 차륜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약 90°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차륜은 정회전 및 역회전 모두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이동장치(58)는, 팔레트(32)를 종방향 및 횡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장치(56)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이동장치(56)가 팔레트(32)를 이재(移載)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점, 즉 제1 이동장치(56)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차륜은 팔레트(32)를 이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점 및 후술하는 링크기구를 제외하고는 제2 이동장치(58)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도 1에 관한 상기의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도 공통된다. 다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팔레트(32)나 주차공간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2는,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120)의 상면도이다. 주차공간(120)은, 제2 이동장치(58)와, 제1 전극조(組)(122)와, 제2 전극조(124)와,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과, 제4 전극조(128)와, 제5 전극조(130)와,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과, 제1 링크기구(138)와, 제2 링크기구(146)를 구비한다.
제1 전극조(122)는, 서로 절연되고 종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횡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고, 제3 도체홀더(도 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주차공간(1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다만, 도 2에서는 전원장치(126)가 2개 그려져 있는데 양자는 동일한 전원장치이다.
제4 전극조(128)는 제1 전극조(122)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제2 전극조(124)는, 서로 절연되고 횡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고, 제4 도체홀더(도 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주차공간(1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제5 전극조(130)는 제2 전극조(12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이하, 제1 전극조(122)의 3개의 전극도체 중 가운데의 전극도체를 그것이 뻗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을 제1 전극조(122)의 기준축이라 한다. 제2 전극조(124),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 및 후술하는 제3 전극조(132), 제6 전극조(1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은, 제1 전극조(122)의 기준축과 제2 전극조(124)의 기준축의 교점에 설치된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은, 제3 전극조(132)와, 제1 도체홀더(134)를 포함한다. 제3 전극조(132)는, 서로 절연된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비교적 짧은 3개의 전극도체가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고, 제1 도체홀더(134)에 장착된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100V~200V의 전위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제1 전극조(122) 및 제2 전극조(124)의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측의 단부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을 통하여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에 인접한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은, 제3 전극조(132)가 제1 전극조(122)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3 전극조(132)가 제2 전극조(124)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가로이동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세로이동모드에서는 제3 전극조(132)의 기준축과 제1 전극조(122)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가로이동모드에서는 제3 전극조(132)의 기준축과 제2 전극조(124)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제1 도체홀더(134)는 턴테이블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고, 벨트나 체인 등의 제1 링크기구(138)를 통하여, 제4 차륜홀더(162)의 xy평면 내의 회전과 동기하여 xy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도 2에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이 세로이동모드에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4 차륜홀더(162)가 대략 90도 회전하면, 제1 링크기구(138)에 의하여 제1 도체홀더(134)도 대략 90도 회전하여,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은 세로이동모드로부터 가로이동모드로 전환된다.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은, 제4 전극조(128)의 기준축과 제5 전극조(130)의 기준축의 교점에 설치된다.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은, 제6 전극조(140)와, 제2 도체홀더(142)를 포함한다.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은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제2 링크기구(146)는 제1 링크기구(138)에 대응하고, 제1 차륜홀더(156)의 회전을 제2 도체홀더(142)에 전달한다.
제1 전극조(122), 제2 전극조(124),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미리 정해져 있는 정지(靜止)위치에 있을 때의 그 팔레트(32)의 중심(C)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전극조(122), 제2 전극조(124), 제3 전극조(132),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 제6 전극조(140)는, 제1 전극조(122), 제4 전극조(128)를 종방향의 2변, 제2 전극조(124), 제5 전극조(130)를 횡방향의 2변, 제3 전극조(132), 제6 전극조(140)를 대각선 상의 2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혹은 또한,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 제6 전극조(140)는, 중심(C)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조(122), 제2 전극조(124), 제3 전극조(132)가 존재하지 않는 측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대응하는 주차공간(120)의 한 변의 길이의 절반보다 크다. 즉, 제1 전극조(122), 제4 전극조(128)의 길이(L4)는, 주차공간(120)의 세로길이(L2)의 절반보다 크다. 제2 전극조(124), 제5 전극조(130)의 길이(L3)는, 주차공간(120)의 가로길이(L1)의 절반보다 크다.
제2 이동장치(58)는, 제1 구동차륜(148)과, 제1 종동차륜(150)과, 제2 종동차륜(152)과, 제2 구동차륜(154)과, 제1 차륜홀더(156)와, 제2 차륜홀더(158)와, 제3 차륜홀더(160)와, 제4 차륜홀더(162)와, 제1 구동모터(164)와, 제2 구동모터(166)와, 방향전환용 모터(168)를 포함한다.
제1, 제2, 제3, 제4 차륜홀더(156, 158, 160, 162)는 각각 미도시된 베어링기구를 가지고, 그 베어링기구에 의하여 각각 제1 구동차륜(148), 제1 종동차륜(150), 제2 종동차륜(152), 제2 구동차륜(15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구동모터(164)는 제1 구동차륜(148)을 회전시킨다. 제2 구동모터(166)는 제2 구동차륜(154)을 회전시킨다.
이들 4개의 차륜은, 팔레트(32)를 종방향으로 보내는 세로이송모드와, 팔레트(32)를 횡방향으로 보내는 가로이송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세로이송모드에서는 각 차륜은 횡방향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가로이송모드에서는 각 차륜은 종방향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도 2에는, 4개의 차륜이 세로이송모드에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방향전환용 모터(168)의 작용에 의하여 제1 차륜홀더(156), 제2 차륜홀더(158), 제3 차륜홀더(160), 제4 차륜홀더(162)가 일제히 대략 90도 회전하면, 가로이송모드로 전환된다.
도 3 (a), (b)는, 팔레트(32)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3 (a)는 팔레트(32)의 상면도이고, 도 3 (b)는 팔레트(32)의 하면도이다.
팔레트(32)는, 팔레트판(170)과,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과, 제2 세로레일(178)과,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와, 제3 방향전환체(196)와, 제4 방향전환체(202)와, 제1 방향전환식 집전(集電)자(204)와,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와, 팔레트배선(208)과,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팔레트판(170)의 상면에는 차량(20)(도 3에서는 미도시)이 탑재된다. 콘센트(210)는 팔레트판(17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 콘센트(210)로부터 미도시된 급전케이블을 통하여 차량(2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1 가로레일(172) 및 제2 가로레일(174)은 각각, 횡방향으로 뻗는 단면이 대략 “工”자 형상인 금속제 레일이다. 그들은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제1 세로레일(176) 및 제2 세로레일(178)은 각각, 종방향으로 뻗는 단면이 대략 “工”자 형상인 금속제 레일이다. 그들은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제1 가로레일(172)과 제1 세로레일(176)은 그들이 교차되게 되는 개소에서 양자 모두 끊어져 있고, 그 끊어진 개소에 제1 방향전환체(1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체(184)는, 제1 방향전환 레일(180)과, 제1 회전기구(182)를 가진다. 제1 방향전환 레일(180)은 제1 회전기구(182)에 장착된다. 제1 회전기구(182)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즉 제1 방향전환 레일(180)이 제2 종동차륜(152)과 대향하여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3 차륜홀더(16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세로이송모드에서는, 제1 방향전환 레일(180)은 제1 세로레일(176)의 일부로서 구조적으로 기능한다. 가로이송모드에서는, 제1 방향전환 레일(180)은 제1 가로레일(172)의 일부로서 구조적으로 기능한다.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세로레일(178)은 그들이 교차되게 되는 개소에서 양자 모두 끊어져 있고, 그 끊어진 개소에 제2 방향전환체(19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방향전환체(190)는, 제2 방향전환 레일(186)과, 제2 회전기구(188)를 가진다.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은 그들이 교차되게 되는 개소에서 양자 모두 끊어져 있고, 그 끊어진 개소에 제3 방향전환체(196)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방향전환체(196)는, 제3 방향전환 레일(192)과, 제3 회전기구(194)를 가진다.
제2 가로레일(174)과 제2 세로레일(178)은 그들이 교차되게 되는 개소에서 양자 모두 끊어져 있고, 그 끊어진 개소에 제4 방향전환체(202)가 설치되어 있다. 제4 방향전환체(202)는, 제4 방향전환 레일(198)과, 제4 회전기구(200)를 가진다.
제2 방향전환체(190), 제3 방향전환체(196), 제4 방향전환체(202)는 각각 제1 방향전환체(184)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제1 방향전환체(184), 제2 방향전환체(190), 제3 방향전환체(196), 제4 방향전환체(202)는,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3 방향전환체(196)의 간격이 제2 종동차륜(152)과 제1 구동차륜(148)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고,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의 간격이 제2 종동차륜(152)과 제2 구동차륜(154)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조(組)를 3개 포함한다. 각 단자조는 전극조의 각 전극도체와 대응한다.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제2 방향전환 레일(186)과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위치관계가 제2 구동차륜(154)과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의 위치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제3 방향전환 레일(192)과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의 위치관계가 제1 구동차륜(148)과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의 위치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팔레트배선(208)을 통하여, 팔레트판(170)의 상면에 설치된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는, 제1 전극조(122) 및 제3 도체홀더(212)의 상면도이다. 제1 전극조(122) 및 제3 도체홀더(212)는, 각 전극도체를 레일로 생각하였을 때에 측턱 구비 레일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제1 전극조(122)와 제3 도체홀더(212)를 조합시킨 형상은, 측턱 구비(つば付き) 레일과 아주 유사한 형상임). 즉, 제1 전극조(122)의 기준축(RB1)을 따라서 제3 도체홀더(212)의 표면 상에 형성된 3개의 홈의 각각에, 제1 전극조(122)의 대응하는 전극도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의 깊이는 전극도체의 두께보다 크다.
다른 전극조 및 도체홀더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도 5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12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방향전환식 집전자와 전극조의 접촉상태를 대표한다.
제3 전극조(132)의 기준축(RB2)은, 중앙의 전극도체의 단면의 대략 중심을 통과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단자홀더(214)와, 제1 단자(216)와, 제1 스프링(218)과, 제2 단자(220)와, 제2 스프링(222)과, 제3 단자(224)와, 제3 스프링(226)을 가진다.
제1 단자(216)는, 단자홀더(214)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제1 스프링(218)을 통하여 장착된다. 제1 단자(216)는, 제1 스프링(218)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3 전극조(132)의 대응하는 전극도체에 압접(壓接)된다. 제1 단자(216)는, 제1 도체홀더(134)의 표면 상에 형성된 홈에 끼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제1 단자(216)는 대응하는 전극도체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단자(220), 제3 단자(22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각 단자가 제1 도체홀더(134)의 홈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1 도체홀더(134)가 회전하면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도 또한 수동적으로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32)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a는, B1F 주차실(14)의 주차공간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28), 제2 주차공간(230), 제3 주차공간(232)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가로레일, 세로레일, 이동장치의 표시는 생략한다. 팔레트(32)에는 EV차가 탑재되고, 그 EV차의 급전케이블은 콘센트(210)에 접속되어 있지만,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그들의 표시는 생략한다.
제1 주차공간(228)과 제2 주차공간(230)은 횡방향으로 인접하고, 제2 주차공간(230)과 제3 주차공간(232)은 종방향으로 인접한다.
도 6a에서는, 팔레트(32)는 제1 주차공간(228) 내의 정지위치에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34)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36)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34) 및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36)은 모두 가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팔레트(32)의 가로이동에 대비하여, 제2 주차공간(230)의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도 가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도 6a의 상태로부터 팔레트(32)가 횡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도 6b는, 팔레트(32)가 제1 주차공간(228)과 제2 주차공간(230)의 경계를 넘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단자는 전극도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의 단자는 제5 전극조(238)의 대응하는 전극도체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다. 따라서, 콘센트(210)에는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6b의 상태로부터 팔레트(32)가 횡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단자가 제2 주차공간(230)에 설치된 제2 전극조(240)의 대응하는 전극도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개시한다. 이로써,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그 상태로부터 팔레트(32)가 횡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가 제5 전극조(238)로부터 벗어난다. 도 6c는,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가 제5 전극조(238)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의 단자는 전극도체와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단자는 제2 전극조(240)의 대응하는 전극도체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다. 따라서,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다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단자가 제2 주차공간(230)에 설치된 제2 전극조(240)의 대응하는 전극도체에 접촉한 후에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가 제5 전극조(238)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L3>0.5L1인 것이 필요하다.
도 6d는 팔레트(32)의 횡방향의 이동이 완료되어, 팔레트(32)가 제2 주차공간(23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28), 제2 주차공간(230) 사이를 팔레트(32)가 이동할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주차공간(228)의 제5 전극조(238) 및 제2 주차공간(230)의 제2 전극조(240)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이 유지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팔레트(32)가 제2 주차공간(23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팔레트(32)의 방향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는 각각 방향전환 전의 팔레트(32)의 하면도 및 제2 주차공간(230)의 상면도이고, 도 7c, 도 7d는 각각 방향전환 후의 팔레트(32)의 하면도 및 제2 주차공간(230)의 상면도이다. 도 7b 및 도 7d에서는 팔레트(32)의 표시는 생략한다.
도 7a, 도 7b에서는, 제1 구동차륜(148), 제1 종동차륜(150), 제2 종동차륜(152), 제2 구동차륜(154)은 가로이송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체(184), 제2 방향전환체(190), 제3 방향전환체(196), 제4 방향전환체(202)는 가로이송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은 모두 가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방향전환용 모터(168)의 작용에 의하여, 제1 차륜홀더(156), 제2 차륜홀더(158), 제3 차륜홀더(160), 제4 차륜홀더(162)가 90도 회전한다. 그러면 제1 구동차륜(148), 제1 종동차륜(150), 제2 종동차륜(152), 제2 구동차륜(154)도 90도 회전한다. 또한, 제1 링크기구(138), 제2 링크기구(146)의 작용에 의하여,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도 90도 회전한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도 90도 회전한다.
이 방향전환시,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의 단자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의 제3 전극조의 대응하는 전극도체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의 단자는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의 제6 전극조의 대응하는 전극도체와의 접촉을 유지한다.
도 7c, 도 7d에서는, 제1 구동차륜(148), 제1 종동차륜(150), 제2 종동차륜(152), 제2 구동차륜(154)은 세로이송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체(184), 제2 방향전환체(190), 제3 방향전환체(196), 제4 방향전환체(202)는 세로이송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2),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44)은 모두 세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주차공간(230), 제3 주차공간(232) 사이를 팔레트(32)가 이동할 때의 동작은,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28), 제2 주차공간(230) 사이를 팔레트(32)가 이동할 때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에 의하면, 팔레트(32)가 급전대상인 차량을 탑재하여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및 방향전환할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그 팔레트(32)의 콘센트(210)와 전원장치의 전기적인 접속이 유지된다. 따라서, 급전대상인 차량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팔레트(32)가 주차실 내를 종횡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끊김 없이 급전대상인 차량에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에서는, 팔레트(32)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각각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36),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144)에 대향한다. 따라서, 세로이송모드와 가로이송모드의 전환에 맞추어, 예컨대 그와 동시에, 세로이동모드와 가로이동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그들을 따로따로 전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팔레트(32)를 급전상태를 유지한 채로 주차실 내에서 보다 신속히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에서는, 전극조는 주차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어서, 복수의 주차공간에 걸쳐지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여진다.
다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팔레트(32)가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일단 이동원(元; 출발지)인 주차공간의 전극조로부터 벗어나서, 다시 이동처(處; 도착지)의 전극조에 접촉한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재접촉을 순조롭게 하기 위하여,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04),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206)는 모두, 전극조와 접하고 있지 않을 때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기구를 가져도 된다. 또한, 재접촉을 순조롭게 하기 위하여, 집전자 또는 전극에 가이드기구를 가져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조(122), 제2 전극조(124), 제3 전극조(132),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 제6 전극조(140)가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250)에서는, 제4 전극조(128), 제5 전극조(130), 제6 전극조(140)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에, 제1 전극조(252), 제2 전극조(254)를 대응하는 주차공간의 한 변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한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250)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270)의 상면도이다. 주차공간(270)은, 제2 이동장치(58)와, 제1 전극조(252)와, 제2 전극조(254)와,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과, 제1 링크기구(138)를 구비한다.
제1 전극조(252)는, 서로 절연되고 종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횡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3 도체홀더(미도시)를 통하여 주차공간(27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각 전극도체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외하고 주차공간(270)의 종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2 전극조(254)는, 서로 절연되고 횡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4 도체홀더(미도시)를 통하여 주차공간(27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각 전극도체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외하고 주차공간(270)의 횡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은, 제1 전극조(252)의 기준축과 제2 전극조(254)의 기준축의 교점에 설치된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은, 제3 전극조(256)와, 제1 도체홀더(258)를 포함한다. 제3 전극조(256)는, 서로 절연된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비교적 짧은 3개의 전극도체가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1 도체홀더(258)에 장착된다. 전원장치(126)는, 이 3개의 전극도체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은, 제3 전극조(256)가 제1 전극조(252)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3 전극조(256)가 제2 전극조(254)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가로이동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도체홀더(258)는 턴테이블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며, 제1 링크기구(138)를 통하여, 제4 차륜홀더(162)의 xy평면 내의 회전과 동기하여 xy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제1 전극조(252)는, 주차공간(270)과 그와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의 경계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차공간의 제1 전극조(262, 264)와 전기적으로 연속이 된다. 예컨대, 제1 전극조(252, 262, 264)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조(254)는, 주차공간(270)과 그와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의 경계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차공간의 제2 전극조(266, 268)와 전기적으로 연속이 된다. 예컨대, 제2 전극조(254, 266, 268)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9 (a), (b)는, 팔레트(272)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9 (a)는 팔레트(272)의 상면도이고, 도 9 (b)는 팔레트(272)의 하면도이다.
팔레트(272)는, 팔레트판(170)과,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과, 제2 세로레일(178)과,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와, 제3 방향전환체(196)와, 제4 방향전환체(202)와,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와, 팔레트배선(276)과,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조(組)를 3개 포함한다. 각 단자조는 전극조의 각 전극도체와 대응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팔레트(272)가 주차공간(27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에,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팔레트(272)가 주차공간(27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6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팔레트배선(276)을 통하여, 팔레트판(170)의 상면에 설치된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2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a)~(c)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272)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 (a)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78), 제2 주차공간(280), 제3 주차공간(282)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가로레일, 세로레일, 이동장치의 표시는 생략한다. 팔레트(272)에는 EV차가 탑재되고, 그 EV차의 급전케이블은 콘센트(210)에 접속되고 있지만,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그들의 표시는 생략한다.
제1 주차공간(278)과 제2 주차공간(280)은 횡방향으로 인접하고, 제2 주차공간(280)과 제3 주차공간(282)은 종방향으로 인접한다.
도 10 (a)에서는, 팔레트(272)는 제1 주차공간(278) 내의 정지위치에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84)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84)은 가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팔레트(272)의 가로이동에 대비하여, 제2 주차공간(280)의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86)도 가로이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 (a) 상태로부터 팔레트(272)가 횡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제1 주차공간(278)의 제2 전극조(290)와 제2 주차공간(280)의 제2 전극조(28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의 단자는 그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극조의 대응하는 전극도체 상을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10 (b)는 횡방향으로 이동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의 단자는 제2 전극조(288)의 대응하는 전극도체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다. 따라서,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10 (c)는 팔레트(272)의 횡방향의 이동이 완료되어, 팔레트(272)가 제2 주차공간(280)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286)의 바로 위에 있어 그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콘센트(210)에는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를 통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78), 제2 주차공간(280) 사이를 팔레트(272)가 이동할 때, 제1 주차공간(278)의 제2 전극조(290) 및 제2 주차공간(280)의 제2 전극조(288)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의 접촉이 유지된다.
방향전환시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방향전환시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주차공간(280), 제3 주차공간(282) 사이를 팔레트(272)가 이동할 때의 동작은,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278), 제2 주차공간(280) 사이를 팔레트(272)가 이동할 때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250)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250)에서는, 팔레트(272)가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의 단자는 전극홀더의 홈에 끼워진 채가 된다. 즉,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274)의 단자는 전극도체를 레일로 생각하였을 때, 그 레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팔레트(272)가 주차실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 팔레트(272)로부터 EV차 등에의 연속적인 급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 팔레트(272)의 이동을 보다 순조롭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조를 주차공간(120)측에 설치하고,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팔레트(32)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00)에서는, 전극조를 팔레트측에 설치하고, 방향전환식의 급전커넥터를 주차공간측에 설치한다.
이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00)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a), (b)는,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302)의 상면도이다. 도 11 (a)는 세로이송모드 상태, 도 11 (b)는 가로이송모드 상태를 나타낸다.
주차공간(302)은, 제2 이동장치(304)와, 세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6)와, 가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8)를 구비한다.
제2 이동장치(304)는, 제1 구동차륜(148)과, 제1 종동차륜(150)과, 제2 종동차륜(152)과, 제2 구동차륜(154)과, 제1 차륜홀더(156)와, 제2 차륜홀더(158)와, 제3 차륜홀더(160)와, 제4 차륜홀더(162)와, 제1 구동모터(164)와, 제2 구동모터(166)와, 방향전환용 모터(168)와,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를 포함한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는 단자면을 위로 향하여 제4 차륜홀더(162)에 장착된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조를 3개 포함한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는 제4 차륜홀더(162)의 회전에 따라서 xy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전원장치(126)는,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의 3개의 단자조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세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6)는, 세로이송모드에 있을 때의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의 중심을 지나 종방향과 평행한 직선과, 주차공간(302)의 횡방향의 한 변과의 교점에 설치된다.
가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8)는, 가로이송모드에 있을 때의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의 중심을 지나 횡방향과 평행한 직선과, 주차공간(302)의 종방향의 한 변과의 교점에 설치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팔레트(312)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12a는 세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312)의 상면도이고, 도 12b는 세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312)의 하면도이며, 도 12c는 가로이송모드에 있어서의 팔레트(312)의 하면도이다.
팔레트(312)는, 팔레트판(170)과,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과, 제2 세로레일(178)과,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와, 제3 방향전환체(196)와, 제4 방향전환체(202)와, 제7 전극조(314)와, 제8 전극조(316)와, 제9 전극조(318)와, 제10 전극조(320)와, 제11 전극조(322)와, 팔레트배선(324)과,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제7 전극조(314)는, 서로 절연되고 종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횡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5 도체홀더(도 1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제2 세로레일(178)에 고정되어 있다.
제8 전극조(316)는, 서로 절연되고 횡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6 도체홀더(도 1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제1 가로레일(172)에 고정되어 있다.
제9 전극조(318)는, 서로 절연된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비교적 짧은 3개의 전극도체가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7 도체홀더(도 1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제1 방향전환 레일(180)에 장착된다.
제9 전극조(318) 및 제1 방향전환체(184)는, 제9 전극조(318)가 제8 전극조(316)와 불연속이 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9 전극조(318)가 제8 전극조(316)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가로이동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가로이동모드에서는 제9 전극조(318)의 기준축과 제8 전극조(316)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제10 전극조(320)는, 서로 절연된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비교적 짧은 3개의 전극도체가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8 도체홀더(도 1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제2 방향전환 레일(186)에 장착된다.
제10 전극조(320) 및 제2 방향전환체(190)는, 제10 전극조(320)가 제7 전극조(314)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10 전극조(320)가 제8 전극조(316)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가로이동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세로이동모드에서는 제10 전극조(320)의 기준축과 제7 전극조(314)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가로이동모드에서는 제10 전극조(320)의 기준축과 제8 전극조(316)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제11 전극조(322)는, 서로 절연된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비교적 짧은 3개의 전극도체가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9 도체홀더(도 12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제4 방향전환 레일(198)에 장착된다.
제11 전극조(322) 및 제4 방향전환체(202)는, 제11 전극조(322)가 제7 전극조(314)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11 전극조(322)가 제7 전극조(314)와 불연속이 되는 가로이동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세로이동모드에서는 제11 전극조(322)의 기준축과 제7 전극조(314)의 기준축이 대략 일치한다.
제7 전극조(314), 제8 전극조(316), 제9 전극조(318), 제10 전극조(320), 제11 전극조(322)는, 팔레트배선(324)를 통하여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3은, 팔레트(312)가 주차공간(302)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 및 제10 전극조(320)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 세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6), 가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308) 등의 급전커넥터와 전극조의 접촉상태를 대표한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는, 단자홀더(328)와, 제1 단자(330)와, 제1 스프링(332)과, 제2 단자(334)와, 제2 스프링(336)과, 제3 단자(338)와, 제3 스프링(340)을 가진다. 단자홀더(328)는 제4 차륜홀더(162)의 측면에 장착되고, 단자(330, 334, 338)가 노출되는 면이 위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8 도체홀더(326)는 제10 전극조(320)의 각각의 전극도체가 수납되는 3개의 홈을 가지고, 제2 방향전환 레일(186)의 측면에 장착된다. 제8 도체홀더(326)는, 제10 전극조(320)의 3개의 전극도체가 xy평면 내에 늘어서도록 형성된다.
제4 차륜홀더(162)가 xy평면 내에서 회전하면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도 xy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10)의 각 단자는 제8 도체홀더(326)의 홈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8 도체홀더(326) 및 제2 방향전환 레일(186)도 또한 수동적으로 회전한다.
전극조의 3개의 전극도체가 연직방향으로 늘어서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도 14는, 변형예에 관한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42) 및 제10 전극조(344)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342)는, 단자홀더(346)와, 제1 단자(330)와, 제1 스프링(332)과, 제2 단자(334)와, 제2 스프링(336)과, 제3 단자(338)와, 제3 스프링(340)을 가진다. 단자홀더(346)는 제4 차륜홀더(162)의 측면에 장착되고, 단자(330, 334, 338)가 제2 방향전환 레일(186)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제8 도체홀더(348)는 제10 전극조(344)의 각각의 전극도체가 수납되는 3개의 홈을 가지고, 제2 방향전환 레일(186)의 측면에 장착된다. 제8 도체홀더(348)는, 제10 전극조(344)의 3개의 전극도체가 연직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00)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작용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조를 주차공간(120)측에 설치하고,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팔레트(32)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50)에서는, 전극조를 팔레트측에 설치하고, 상하진퇴(進退)식의 급전커넥터를 주차공간측에 설치한다.
이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50)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352)의 상면도이다.
주차공간(352)은, 제2 이동장치(58)와,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와,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와,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와,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를 구비한다.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는, 미도시된 액츄에이터 등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조를 3개 포함한다. 전원장치(126)는,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의 3개의 단자조에 0V, 200V 및 접지전위를 각각 인가한다.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는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 및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는, 주차공간(352)의 바닥에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즉, 그들은 횡방향에 평행한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된다.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 및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는, 주차공간(352)의 바닥에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즉, 그들은 종방향에 평행한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된다.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는, 팔레트(362)가 주차공간(352)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후술하는 전극조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6 (a), (b)는, 팔레트(362)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팔레트(362)는, 팔레트판(170)과,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과, 제2 세로레일(178)과,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와, 제3 방향전환체(196)와, 제4 방향전환체(202)와, 제12 전극조(364)와, 제13 전극조(366)와, 팔레트배선(368)과,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제12 전극조(364)는, 서로 절연되고 종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횡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10 도체홀더(도 16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고정된다. 특히 제12 전극조(364)는 팔레트판(170)의 종방향의 한 변을 따라서 고정된다.
제13 전극조(366)는, 서로 절연되고 횡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3개의 전극도체가 종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늘어선 조(組)이며, 제11 도체홀더(도 16에서는 미도시)를 통하여 팔레트판(170)의 하면에 고정된다. 특히 제13 전극조(366)는 팔레트판(170)의 횡방향의 한 변을 따라서 고정된다.
제1 가로레일(172), 제2 가로레일(174)은 제12 전극조(364)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 세로레일(176), 제2 세로레일(178)은, 제13 전극조(366)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2 전극조(364) 및 제13 전극조(366)는, 팔레트배선(368)을 통하여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362)가 이동할 때는,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는 상승하여 제12 전극조(364)와 접촉하는 한편,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는 하강하여 팔레트(362)와의 간섭을 피한다.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362)가 이동할 때는, 제1 진퇴식 급전커넥터(354),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356)는 상승하여 제13 전극조(366)와 접촉하는 한편, 제3 진퇴식 급전커넥터(358),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360)는 하강하여 팔레트(362)와의 간섭을 피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50)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의 작용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70)에서는, 팔레트에 축전지 등의 2차 전지를 탑재한다.
도 17은, 기계식 주차장(370)의 B1F 주차실(372)의 평면도이다. 도 17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팔레트(374)에 탑재되는 차량을 생략하고 표시한다.
팔레트(374)는, 축전지(378)와,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와,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는 축전지(37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전지(378)는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B1F 주차실(372)에 포함되는 10개의 주차공간 중, 승강로(96)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주차공간은, 팔레트(374)에의 급전이 가능한 급전주차공간(376)이 된다. 급전주차공간은 급전시스템(40)을 가진다.
급전시스템(40)은, 급전반(42)과,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를 가진다. 급전반(42)과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는 도면 중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는, 예컨대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급전커넥터이다.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는,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팔레트(374)가 급전주차공간(376)에 배치되면, 그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주차실측 급전커넥터(44)와 팔레트측 급전커넥터(380)가 접속되면, 급전반(42)으로부터 축전지(378)에 전력이 공급되어, 축전지(378)가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370)에 의하면, 팔레트(374)가 급전대상인 차량을 탑재하여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및 방향전환시에도, 축전지(378)로부터 콘센트(210)를 통하여 그 차량에 전력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축전지(378)를 사용하므로, 팔레트(374)의 위치나 이동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차량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제6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조와 방향전환식 집전자가 접촉함으로써 팔레트가 차량에 공급하여야 할 전력을 얻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6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90)에서는, 팔레트는 그 전력을 비접촉으로 얻는다.
이하 제 6의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90)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무(無)팔레트 상태에 있는 주차공간(392)의 상면도이다.
주차공간(392)은, 제2 이동장치(394)를 구비한다.
제2 이동장치(394)는, 제1 구동차륜(148)과, 제1 종동차륜(150)과, 제2 종동차륜(152)과, 제2 구동차륜(154)과, 제1 차륜홀더(156)와, 제2 차륜홀더(158)와, 제3 차륜홀더(160)와, 제4 차륜홀더(162)와, 제1 구동모터(164)와, 제2 구동모터(166)와, 방향전환용 모터(168)와, 공급측 전자(電磁)유도기(396)를 포함한다.
공급측 전자유도기(396)는, 시간변화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자속발생면(397)을 위로 향하여 제2 이동장치(394)의 중앙에 설치된다. 전원장치(126)는 공급측 전자유도기(396)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만, 도 18에서는 공급측 전자유도기(396)를 중앙에 하나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주위에 복수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19는, 팔레트(398)의 상면도이다.
팔레트(398)는, 팔레트판(170)과, 제1 가로레일(172)과, 제2 가로레일(174)과, 제1 세로레일(176)과, 제2 세로레일(178)과, 제1 방향전환체(184)와, 제2 방향전환체(190)와, 제3 방향전환체(196)와, 제4 방향전환체(202)와, 제1 수전(受電)측 전자유도기(400)와, 제2 수전측 전자유도기(402)와,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와,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와, 제5 수전측 전자유도기(408)와, 팔레트배선(410)과, 콘센트(210)를 포함한다.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는, 그 수전면 중 적어도 일부가 공급측 전자유도기(396)의 자속발생면(397)과 대향할 때, 공급측 전자유도기(396)로부터 전력을 비접촉으로 받는다.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는, 자속발생면(397)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의 시간변화를 콘센트(210)에 공급하여야 할 전력으로 변환한다.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비접촉으로 전달하는 기술 자체는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는다.
제2 수전측 전자유도기(402),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 제5 수전측 전자유도기(408)는,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그들은 팔레트배선(410)을 통하여 콘센트(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팔레트판(170)에는,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를 중심으로 하여 그 종방향의 양측에 제2 수전측 전자유도기(402), 제5 수전측 전자유도기(408)가 설치되고, 그 횡방향의 양측에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가 설치된다.
보는 방식을 달리하면, 제2 수전측 전자유도기(402),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 제5 수전측 전자유도기(408)는, 공급측 전자유도기(396)로부터 수전 가능한 종방향으로 뻗는 유닛을 형성하고,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는, 공급측 전자유도기(396)로부터 수전 가능한 횡방향으로 뻗는 유닛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39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a)~(d)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412), 제2 주차공간(414) 사이를 팔레트(398)가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0에서는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가로레일, 세로레일, 이동장치의 표시는 생략한다. 팔레트(398)에는 EV차가 탑재되고, 그 EV차의 급전케이블은 콘센트(210)에 접속되어 있지만,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그들의 표시는 생략한다.
도 20 (a)에서는, 팔레트(398)는 제1 주차공간(412) 내의 정지위치에 있다.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의 수전면은 제1 주차공간(412)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6)의 자속발생면과 거의 전체면에서 대향한다. 콘센트(210)에는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 공급측 전자유도기(416)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도 20 (a) 상태로부터 팔레트(398)가 횡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도 20 (b)는,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의 수전면이 제2 주차공간(414)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8)의 자속발생면과 대향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의 수전면의 일부와 제1 주차공간(412)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6)의 자속발생면의 일부가 대향한다. 따라서, 콘센트(210)에는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 공급측 전자유도기(416)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도 20 (c)는,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의 수전면이 제1 주차공간(412)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6)의 자속발생면으로부터 벗어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의 수전면의 일부와 제2 주차공간(414)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8)의 자속발생면의 일부가 대향한다. 따라서, 콘센트(210)에는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 공급측 전자유도기(418)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도 20 (d)는, 팔레트(398)가 제2 주차공간(414) 내의 정지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주차공간(412), 제2 주차공간(414) 사이를 팔레트(398)가 이동하는 동안, 제1 수전측 전자유도기(400), 제2 수전측 전자유도기(402), 제3 수전측 전자유도기(404), 제4 수전측 전자유도기(406) 및 제5 수전측 전자유도기(408)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주차공간(412)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6) 및 제2 주차공간(414)의 공급측 전자유도기(418)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398)가 이동할 때의 동작은,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398)가 이동할 때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390)에 의하면, 팔레트(398)가 급전대상인 차량을 탑재하고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및 방향전환시, 그 팔레트(398)의 콘센트(210)는 급전대상인 차량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한 기계식 주차장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그러한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또한, 실시형태끼리의 조합도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컨대, 제1부터 제4 및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센트(210)의 전단에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축전지와 마찬가지의 축전지를 설치하여도 된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210)로부터 차량에 급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팔레트판(170)의 상면에 콘센트(210) 대신 공급측의 전자유도기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자유도에 의하여 급전되는 타입의 차량에의 급전이 가능하여진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콘센트(210)를 전자유도기로 치환하여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조 및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2 이동장치의 차륜을 통하여 팔레트에 급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극으로서의 차륜이 팔레트의 레일에 접촉하고, 그 레일로부터 배선을 통하여 콘센트에 전력이 공급된다.
상술한 설명에 근거하여,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접속수단"은 팔레트 측에 구비된 접속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실시형태의 경우 제1,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제3 실시형태의 경우 팔레트의 종횡으로 뻗은 제7 내지 제11 전극조를; 제4 실시형태의 경우 제12, 제13 전극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2 접속수단"은 주차공간측에 구비된 접속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내지 제6 전극조를;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내지 제3 전극조를; 제3 실시형태의 경우 세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 가로이송용 고정식 급전커넥터 및 방향전환식 급전커넥터를; 제4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내지 제4 진퇴식 급전 커넥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도체"는 종방향으로 뻗은 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주차공간측의 제1 전극조를, 제3 실시형태의 경우 팔레트측에 설치된 제7 전극조를; 제4 실시형태의 경우 팔레트 측에 설치된 제12 전극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2 도체"는 횡방향으로 뻗은 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주차공간측의 제2 전극조를, 제3 실시형태의 경우 팔레트측에 설치된 제8 전극조를, 제4 실시형태의 경우 팔레트측에 설치된 제13 전극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3 도체"는 제1 도체의 축과 제2 도체의 축의 교점에 설치된 도체로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경우 제3 전극조를 포함하는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을, 제3 실시형태의 경우 제10 전극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4 도체", "제5 도체" 및 "제6 도체"는 제1 실시형태에서 제4 전극조, 제5 전극조 및 제6 전극조를 포함하는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을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항 5의 "제1 집전자" 및 "제2 집전자"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방향전환식 집전자 및 제2 방향전환식 집전자를 가리키며, 제3 도체 및 제4 도체는 제1 실시형태의 제1 방향전환식 접속수단 및 제2 방향전환식 접속수단을 가리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항 6의 "제1 집전자"는 제4 실시형태의 제3 및 제4 진퇴식 급전커넥터를, "제2 집전자"는 제4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진퇴식 급전커넥터를 가리키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변환수단"은 제6 실시형태의 수전측 전자유도기를 포함하고 "공급수단"은 제6 실시형태의 공급측 전자유도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0 기계식 주차장, 12 승강실, 14 B1F 주차실, 16 B2F 주차실, 18 B3F 주차실, 32 팔레트, 56 제1 이동장치, 58 제2 이동장치, 88 리프트 프레임, 94 승강장치, 96 승강로, 104 건물, 120 주차공간, 126 전원장치.

Claims (8)

  1. 차량에의 급전수단을 가지는 팔레트와,
    팔레트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주차공간이 종횡의 2차원적으로 배열된 주차실과,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에서 팔레트를 개별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를 구비하고,
    팔레트는 급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각 주차공간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어느 일방은, 종방향으로 뻗는 제1 도체 및 횡방향으로 뻗는 제2 도체를 가지고,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타방과 제1 도체의 접촉 또는 대향이 유지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상기 타방과 제2 도체의 접촉 또는 대향이 유지되며,
    팔레트가 차량을 탑재하고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팔레트의 급전수단은 탑재된 차량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수단 및 상기 제2 접속수단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미리 정해져 있는 정지(靜止)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상기 타방이, 제1 도체의 축과 제2 도체의 축의 교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상기 일방은, 제1 도체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세로이동모드와, 제2 도체의 일부로서 전기적 및 구조적으로 기능하는 가로이동모드를, 회전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도체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체는, 제1 도체의 축과 제2 도체의 축의 교점에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제3 도체는 세로이동모드로 전환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제3 도체는 가로이동모드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이 제1 도체, 제2 도체, 제3 도체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제4 도체, 제5 도체, 제6 도체를, 제1 도체, 제2 도체, 제4 도체, 제5 도체에 의하여 정지위치에 있는 팔레트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상기 타방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3 도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집전자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6 도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집전자
    를 포함하고,
    제1 도체, 제2 도체, 제4 도체, 제5 도체의 각각의 길이는, 대응하는 주차공간의 한 변의 길이의 절반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수단 또는 상기 제2 접속수단 중 상기 타방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1 도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집전자와,
    팔레트가 주차공간 내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제2 도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집전자
    를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제2 집전자는 제2 도체와 비접촉이 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차공간 사이를 팔레트가 이동할 때, 제1 집전자는 제1 도체와 비접촉이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레트는 급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7. 청구항 1에 있어서,
    팔레트는, 자속의 시간변화를 전자유도에 의하여 급전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고,
    각 주차공간은, 상기 변환수단에 시간변화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장.
  8. 삭제
KR1020110120952A 2010-11-18 2011-11-18 기계식 주차장 KR101418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8126A JP5611002B2 (ja) 2010-11-18 2010-11-18 機械式駐車場
JPJP-P-2010-258126 2010-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79A KR20120053979A (ko) 2012-05-29
KR101418925B1 true KR101418925B1 (ko) 2014-07-15

Family

ID=4606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52A KR101418925B1 (ko) 2010-11-18 2011-11-18 기계식 주차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11002B2 (ko)
KR (1) KR101418925B1 (ko)
CN (1) CN1024656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9870B4 (de) 2011-07-27 2015-02-19 Christoph RULAND Mobile Ladestation für Elektrofahrzeuge und Ladesystem
JP6095921B2 (ja) * 2012-09-10 2017-03-1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車両給電装置
WO2015141732A1 (ja) * 2014-03-18 2015-09-24 株式会社Ihi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と車両給電装置
CN107973046B (zh) * 2016-10-25 2019-09-17 中国计量科学研究院 大质量砝码存储装置及大质量砝码处理模块
US10377253B2 (en) * 2016-10-29 2019-08-13 Chang Yup Lee Automated mechanical parking structure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JP6925859B2 (ja) * 2017-04-28 2021-08-2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対象物搬送機構と駐車装置
CN107804190B (zh) * 2017-11-24 2023-07-14 江苏金冠停车产业股份有限公司 配备充电功能的移动车位充电控制系统
CN108086750B (zh) * 2017-12-08 2023-09-05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及其存车、取车方法
CN109339531A (zh) * 2018-11-26 2019-02-15 扬州中恒智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带位姿调整的载车装置
CN110030931A (zh) * 2019-04-19 2019-07-19 深圳市简道三捷智能停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车辆超长的检测方法及装置
KR102214099B1 (ko) 2020-06-23 2021-02-10 (주)링크텍 기계식 주차장 관리 시스템
CN113335109A (zh) * 2021-06-21 2021-09-03 防城港桂铁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专用车道门式充电桩
CN113682168A (zh) * 2021-09-29 2021-11-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曲阜市供电公司 一种基于scada系统的智能停车充电站
CN114382032A (zh) * 2022-01-14 2022-04-22 广州金贝壳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场安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637A (ja) * 1992-11-05 1994-05-27 Sumitomo Heavy Ind Ltd 機械式駐車場及びその携帯用操作ボックス
JP2003125503A (ja) 2001-10-15 2003-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駐車設備
JP2010070985A (ja) 2008-09-19 2010-04-02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循環式駐車装置及びその駐車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940B2 (ja) * 1992-08-03 1999-06-23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充電装置を具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H0813847A (ja) * 1994-06-28 1996-01-16 Nissei Ltd 自走台車を用いる機械式駐車設備
JP2002004620A (ja) * 2000-06-23 2002-01-0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充電接点付きパレットとこれを用いた機械式駐車装置
JP2002317569A (ja) * 2001-04-20 2002-10-31 Nissei Ltd 機械式駐車装置のトレー送り機構
JP4615572B2 (ja) * 2008-02-19 2011-01-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CN201495815U (zh) * 2009-01-12 2010-06-02 张荣波 立体停车充电汽车库
JP2010196338A (ja) * 2009-02-25 2010-09-09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637A (ja) * 1992-11-05 1994-05-27 Sumitomo Heavy Ind Ltd 機械式駐車場及びその携帯用操作ボックス
JP2003125503A (ja) 2001-10-15 2003-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駐車設備
JP2010070985A (ja) 2008-09-19 2010-04-02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循環式駐車装置及びその駐車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5619B (zh) 2014-10-15
CN102465619A (zh) 2012-05-23
JP5611002B2 (ja) 2014-10-22
JP2012107447A (ja) 2012-06-07
KR20120053979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925B1 (ko) 기계식 주차장
US11465521B2 (en) Multi charging station for a storage system
CN104508946B (zh) 车辆供电装置
JP7334192B2 (ja) コンテナ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を備える自動保管システム
US20170217324A1 (en)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an articulated arm
JP2013133659A (ja) 移載装置及び移動車両
WO2015152180A1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と車両給電装置
CN103171639A (zh) 自动导引搬运机器人
JP2014054133A (ja) 車両給電装置
US20170008406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CN109515395B (zh) 换电执行机构
KR101521033B1 (ko)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CN104782017A (zh) 车辆供电装置
JP5639410B2 (ja) 駐車装置
US20210078830A1 (en) Linear motor and elevator
CN108819783A (zh) 一种具有充电功能的垂直升降类立体车库
JP6618261B2 (ja) 機械式駐車場
CN113454002B (zh) 存储系统
CN112208553B (zh) 一种微轨交通系统的车辆及微轨交通系统
KR20220147653A (ko) 자체 추진 캐리지용 구동 유닛, 자체 추진 캐리지, 자체 추진 캐리지용 지지 구조물 및 운송 시스템
CN218558597U (zh) 中转充电库和换电系统
CN104521102B (zh) 车辆供电装置
JP6522212B1 (ja) 自走車用集電装置
CN110424793A (zh) 可充电公交立体车库
CN116635266A (zh) 具有至少一个感应式充电区域的充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